KR200153921Y1 -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921Y1
KR200153921Y1 KR2019970020364U KR19970020364U KR200153921Y1 KR 200153921 Y1 KR200153921 Y1 KR 200153921Y1 KR 2019970020364 U KR2019970020364 U KR 2019970020364U KR 19970020364 U KR19970020364 U KR 19970020364U KR 200153921 Y1 KR200153921 Y1 KR 2001539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joint
door
flange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03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6871U (ko
Inventor
권정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03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9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68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8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9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9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8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opening panels, e.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도어(1)의 내측면 상.하부에 결합공(12)을 구비한 플랜지(10)가 볼팅되고, 상기 결합공(12)에 볼 조인트부재(20)의 결합단(22)을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하며, 하기 볼 조인트부재(20)의 연결단(24)을, 차체에 결합되고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2)와 일단이 결합된 작동아암(3)의 타단에 결합하며, 상기 플랜지(10)와 볼 조인트부재(20)의 결합부위에 커버부재(30)가 결합된 것으로, 도어(1)와 작동아암(3)이 볼 조인트부재(2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도어(1)의 개폐작동이 원할하고,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본 고안은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버스의 스윙도어 내측면에 테이퍼진 결합공을 구비한 플랜지를 볼팅하여 결합하고, 상기 플랜지의 결합공에 볼 조인트부재의 결합단을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하며, 상기 볼 조인트부재의 연결단을 차체의 일측에 회동부재와 연결되어 결합된 작동아암의 끝단부와 연결함으로써, 상기 스윙도어의 개폐시에 마찰음을 제거할 수 있고, 개폐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의 전방 도어는 승객의 승.하차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도어는 접철식 도어와 글라이딩도어(GLIDING DOOR), 그리고 스윙도어(SWING DOOR)로 분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어중에서 상기 스윙도어는 그 도어 내측 상하부에 요크 플랜지가 결합되고, 이 요크 플랜지에 요크가 볼트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요크의 일단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고 차체의 일측에 회동되도록 고정된 회동부재와 결합된 작동아암의 끝단과 연결되어 있었던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아암의 끝단에 연결된 요크와 요크 플랜지는 단순히 볼트로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시에 마찰음이 발생하여 승객에게 불쾌감을 주고 있었으며, 작동이 원활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윙도어와 차체의 연결구조가 갖는 문제점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윙도어와 차체의 연결구조는 도어(A)의 내측면 상하부에 볼팅되어 결합되고, 전면에 설치공(B-2)을 구비한 상.하결합단(B-1)이 돌설된 요크 플랜지(B)와, 상기 요크 플랜지(B)의 상.하결합단(B-1)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C)로 결합되도록 결합공(D-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나사부(D-2)가 형성된 요크(D)와, 버스의 승강구 일측에 설치된 유압실린더(E)에 의해 작동하고, 차체의 일측에 회동되게 고정되는 회동부재(F)와, 상기 회동부재(F)에 일단이 융착되어 고정되고, 절곡된 타단의 각 끝단부는 상기 요크(D)의 나사부(D-2)와 결합되는 작동아암(G)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윙도어와 차체의 연결구조는 작동아암(G) 끝단에 일단이 결합된 요크(D)의 타단이 요크 플랜지(B)의 상.하결합단(B-1)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C)로 결합된 관계로, 도어(A)가 계폐될 때 요크(D)의 타단 상.하면이 요크 플랜지(B)의 상.하결합단(B-1) 각 상.하면에 면접촉되면서 마찰음이 발생하고 있었다.
즉, 요크 플랜지(B)의 상.하결합단(B-1) 사이에, 결합공(D-1)이 형성된 요크(D)의 일단이 삽입되어 볼트(C)로 체결되고, 요크(D)의 상면과 저면이 요크 플랜지(B) 상.하결합단(B-1)의 내부면과 면접촉된 상태에서 유압실린더(E)가 작동하고, 이에 회동부재(F)가 회전하며, 상기 회동부재(F)와 결합된 작동아암(G)이 회전되어 도어(A)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요크(D)는 요크 플랜지(B)의 상.하결합단(B-1) 사이에서 회동되면서 그 상면과 저면이 요크 플랜지(B) 상.하결합단(B-1)의 내부면과 마찰되면서 소음을 발생시키고 있었고, 각 부품이 면접촉되어 작동됨으로써 접촉면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요크 플랜지(B)와 요크(D)가 볼트(C)로 결합된 상태가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도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고안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스윙도어 내측면에 결합되는 플랜지에 볼 조인트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볼 조인트부재의 끝단을 차체측과 연결된 작동아암의 끝단에 결합함으로써, 스윙도어의 개폐작동시 상기 볼 조인트부재에 의해 도어가 원할하게 작동할 수 있고,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에 커버부재가 결합됨으로써 결합부위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버스의 전방승강구를 개폐하는 도어의 내측에 볼팅되는 플랜지의 절곡된 상면에 테이퍼진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에 볼 조인트부재의 테이퍼진 결합단이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볼 조인트부재가 결합된 플랜지에 커버부재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 조인트부재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이 상기 작동아암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볼 조인트부재는 상기 연결단의 끝단부에 설치공을 구비한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단의 하부에 형성된 볼이 회동되도록 볼시트가 삽설되며, 상기 설치공의 저부는 마개가 체결되어 밀폐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는 먼지마개가 끼워져 그 하단이 클램프 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도 1a은 종래의 버스 도어와 차체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b는 종래의 버스 도어와 차체의 연결부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볼 조인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회전부재
3 : 작동아암 10 : 플랜지
12 : 결합공 20 : 볼 조인트부재
22 : 결합단 24 : 연결단
30 : 커버부재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로, 플랜지와 볼 조인트부재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 도어의 내측면에 플랜지가 볼팅되고, 플랜지에는 볼 조인트부재가 결합되며, 볼 조인트부재의 끝단은 작동아암의 끝단과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버스의 전방승강구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2)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아암(3)으로 이루어진 버스의 도어와 차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내측에 볼팅되는 플랜지(10)는 절곡 형성된 수평단 상면에 테이퍼진 결합공(12)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0)의 결합공(12)에 결합되는 볼 조인트부재(20)는 그 하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24)의 끝단부에 설치공(23)을 구비한 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3)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단(22)의 하부에 형성된 볼(22-1)이 회동되도록 볼시트(25)가 삽설되며, 상기 설치공(23)의 저부는 마개(26)가 체결되어 밀폐하고, 상기 몸체(21)의 상부에는 먼지마개(28)가 끼워져 그 하단이 클램프 링(27)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플랜지(10)의 수평단 저면에 나사 고정되는 커버부재(30)는 플랜지(10)와 볼 조인트부재(20)의 결합부위 상면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 볼 조인트부재(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24)에는 차체측에 결합된 작동아암(3)의 타단에 결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와 차체의 연결부위에 볼 조인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어(1)의 내측면 상.하부에 절곡된 플랜지(10) 일측면을 밀착시키고 볼팅하여 결합한다.
이때, 상기 플랜지(10)의 수평단에 결합공(12)을 형성하되, 그 하부는 넓고 상부는 좁은 형태로 테이퍼지게 형성한다.
도어(1)의 내측면에 플랜지(10)가 볼팅되면, 버스의 전방승강구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2)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아암(3)의 끝단부에 나사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차체측에 연결된 작동아암(3)의 끝단부에 나사공이 형성된 상태에서, 볼 조인트부재(20)의 연결단(24)을 체결하고, 너트로 조여 체결된 상태를 고정한다.
상기 볼 조인트 부재(20)는 다음과 같이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 조인트부재(20)는 상기 연결단(24)의 끝단부에 설치공(23)을 구비한 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3)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단(22)의 하부에 형성된 볼(22-1)이 회동되도록 볼시트(25)가 삽설되며, 상기 설치공(23)의 저부는 마개(26)가 체결되어 밀폐하고, 상기 몸체(21)의 상부에는 먼지마개(28)가 끼워져 그 하단이 클램프 링(27)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결합단(22)의 상부에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그 중간부는 상기 플랜지(10)의 테이퍼진 결합공(12)에 상응되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한다.
이는 결합단(22)을 플랜지(10)의 결합공(12)에 견고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것인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플랜지(10)의 결합공(12)에 볼 조인트부재(20)의 결합단(22)을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하여 결합한다.
이와 같이 테이퍼진 결합공(12)에 테이퍼진 결합단(22)이 삽입되어 그 상부가 너트로 조여지게 되면, 상기 결합단(22)의 테이퍼진 외주면은 테이퍼진 결합공(12)의 내주면에 완전하게 밀착되는데, 이때 상기 너트를 조이면 조일수록 결합단(22)의 외주면은 결합공(12)의 테이퍼진 내주면에 더욱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결합단(22)과 결합공(12)이 서로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플랜지(10)의 결합공(12)에 볼 조인트부재(20)의 결합단(22)이 삽입되어 너트로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10)의 저면에 커버부재(30)의 돌출단을 위치시킨 후에 나사로 체결하여 장착한다.
즉, 플랜지(10)의 결합부위가 일측부와 저부가 개구된 커버부재(3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커버부재(30)의 내부 하단에 형성된 체결단을 플랜지(10)의 저면에 나사로 체결하여 그 결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써, 도어(1)와 작동아암(3)은 볼 조인트부재(20)에 의해 원할하게 작동되도록 연결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는 도어의 내측면 상.하부에 결합공을 구비한 플랜지가 볼팅되고, 상기 결합공에 볼 조인트부재의 결합단을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하며, 하기 볼 조인트부재의 연결단을, 차체에 결합되고 실린더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와 일단이 결합된 작동아암의 타단에 결합하며, 상기 플랜지와 볼 조인트부재의 결합부위에 커버부재가 결합된 것으로, 도어와 작동아암이 볼 조인트부재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도어의 개폐작동이 원할하고, 작동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버스의 전방승강구 일측에 설치된 실린더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재(2)와, 상기 회전부재(2)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도어(1)의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작동아암(3)으로 이루어진 버스의 도어와 차체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1)의 내측에 볼팅되는 플랜지(10)의 절곡된 상면에 테이퍼진 결합공(12)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12)에 볼 조인트부재(20)의 테이퍼진 결합단(22)이 삽입되어 너트로 고정되며, 상기 볼 조인트부재(20)가 결합된 플랜지(10)에 커버부재(30)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볼 조인트부재(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연결단(24)이 상기 작동아암(3)의 끝단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 조인트부재(20)는 상기 연결단(24)의 끝단부에 설치공(23)을 구비한 몸체(21)가 형성되고, 상기 설치공(23)의 내부에는 상기 결합단(22)의 하부에 형성된 볼(22-1)이 회동되도록 볼시트(25)가 삽설되며, 상기 설치공(23)의 저부는 마개(26)가 체결되어 밀폐하고, 상기 몸체(21)의 상부에는 먼지마개(28)가 끼워져 그 하단이 클램프 링(27)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KR2019970020364U 1997-07-30 1997-07-30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KR2001539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64U KR200153921Y1 (ko) 1997-07-30 1997-07-30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0364U KR200153921Y1 (ko) 1997-07-30 1997-07-30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71U KR19990006871U (ko) 1999-02-25
KR200153921Y1 true KR200153921Y1 (ko) 1999-08-02

Family

ID=1950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0364U KR200153921Y1 (ko) 1997-07-30 1997-07-30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92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77B1 (ko) * 2002-05-07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윙도어의 암과 브래킷의 결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077B1 (ko) * 2002-05-07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윙도어의 암과 브래킷의 결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871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921Y1 (ko) 볼 조인트가 적용된 버스의 도어와 차체 연결구조
KR880007279A (ko) 차량문과 문 밀봉체를 갖는 차량
US2093036A (en) Ventilator control mechanism
JPS637554Y2 (ko)
KR200252566Y1 (ko) 윙바디 차량의 측면도아 누수방지구조
KR100326373B1 (ko) 차량 후방문의 후방창문 힌지구조
JPH0739101A (ja) モータ用カバーの密閉構造
JP2515818Y2 (ja) 自動車のフューエルリッド装置
KR100326379B1 (ko) 차량의 후방문 힌지구조
JP2528595Y2 (ja) 車室内部品の取付け構造
JPH0610191Y2 (ja) ボールジョイントのダストカバー
KR960009993Y1 (ko) 자동차의 후드개폐용 스프링
JPH09300972A (ja) 車両のバックドア構造
JPH0247075Y2 (ko)
KR200246733Y1 (ko) 자동차용도어록액튜에이터의밀폐구조
JPH1081139A (ja) 自動車の後部扉のヒンジ構造
KR0126156Y1 (ko) 자동차 체크 링크 결합구조
JPS6036502Y2 (ja) 自動車ワイパにおける密封装置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JPS6329630Y2 (ko)
KR200161587Y1 (ko) 승합차용 보닛 힌지(Bonnet hinge for a van)
JPH0331812Y2 (ko)
JPH085324B2 (ja) ウエザーストリップの取付構造
KR940004824Y1 (ko) 문짝 상부축의 지지장치
KR970001820A (ko) 자동차의 도어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