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120Y1 -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120Y1
KR200153120Y1 KR2019970021188U KR19970021188U KR200153120Y1 KR 200153120 Y1 KR200153120 Y1 KR 200153120Y1 KR 2019970021188 U KR2019970021188 U KR 2019970021188U KR 19970021188 U KR19970021188 U KR 19970021188U KR 200153120 Y1 KR200153120 Y1 KR 2001531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noise
recess
cover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11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7666U (ko
Inventor
김관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211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120Y1/ko
Publication of KR19990007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1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1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해제 핸들의 하단부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시 탄성력을 받는 소음방지 커버를 힌지 결합함으로써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도어 핸들 하우징의 오목부를 덮어 주행시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저감되도록 하여 주행소음이 저감되도록 하여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장애 요소를 없애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외측에 설치된 도어 핸들 하우징과, 도어 핸들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 및 오목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해제 핸들을 구비한 도어 핸들에 있어서, 도어 해제 핸들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오목부를 덮는 소음방지 커버, 및 도어 해제 핸들과 소음방지 커버 각각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소음방지 커버에 탄성의 힘을 가하여 상시 오목부를 덮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도어를 여는 동작에서 소음방지 커버가 오목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며,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오목부를 덮어 주행시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저감되도록 하여 주행소음이 저감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 해제 핸들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들어올려 도어를 열기 위한 동작에서 손가락이 들어가는 도어 핸들 하우징의 오목부에 주행시 발생하는 압력차에 의한 소음이 저감되도록 한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 핸들이라 함은 도어의 외측 또는 내측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손잡이를 말한다. 이 도어 핸들에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과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이 있다. 한편 이 도어 핸들에는 움직이는 방법에 따라 도어 해제 핸들 전체를 끌어올리는 풀 업식과 한쪽이 힌지로 되어 있는 풀 라이즈식으로 분류된다.
전술한 도어 아웃 사이드 핸들은 핸들 전체를 끌어올리는 풀 업식의 경우가 대부분이고, 도어 인사이드 핸들의 경우에는 한쪽이 힌지 결합되는 풀 라이즈식이 대부분이다. 도어 핸들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 핸들을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이하 도어 핸들이라 함)(1)은 도어 핸들 하우징(3)과 도어 해제 핸들(5)의 일단이 힌지축(10)에 의해 회전 결합된다. 또한 도어 핸들 하우징(3)과 도어 해제 핸들(5)의 일단에는 도어 해제 핸들(5)의 조작 후 복귀를 위해 리턴 스프링(7)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도어 핸들(1)은 도어를 열 때 도어 해제 핸들(5)을 들어올리면 이 도어 해제 핸들(5)은 힌지축(10)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 회전하여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다. 도어의 록킹이 해제된 후 도어 해제 핸들(5)을 놓으면 리턴 스프링(7)에 의해 도어 해제 핸들(5)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한편 도어 핸들 하우징(3)에는 도어 해제 핸들(5)을 위로 끌어올리기 위한 동작에서 손가락이 들어가는 오목부(3a)가 형성된다. 따라서 일정한 폭과 넓이를 갖는 오목부(3a)에 손가락을 집어넣어 도어 해제 핸들(5)을 들어올리려면 도어 해제 핸들(5)의 세로 폭은 오목부(3a)의 세로 폭보다 작아야 한다. 즉 오목부(3a)의 하부와 도어 핸들 하우징(3)에 설치된 상태의 도어 해제 핸들(5) 하단부 사이에는 모아진 손가락이 들어갈 수 있도록 일정한 공간이 생긴다.
이처럼 구성된 도어 핸들은 자동차가 서행 중이거나 정지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일정한 속도 이상으로 달리게 되면 오목부는 기압이 낮아져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차에 의해 자동차의 주행 소음이 더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창문을 열고 주행할 경우 그 소음은 운전자의 주의를 산만하게 할 정도로 주행소음이 심하다.
따라서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조성하여 안전 운전에 장애가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사고의 위험이 가중됨은 물론 장거리 운행시 심한 피로감을 감수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도어 해제 핸들의 하단부에 토션 스프링에 의해 상시 탄성력을 받는 소음방지 커버를 힌지 결합함으로써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도어 핸들 하우징의 오목부를 덮어 주행시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저감되도록 하여 주행소음이 저감되도록 하여 주위를 산만하게 하는 장애 요소를 없애 안전 운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자동차의 도어 외측에 설치된 도어 핸들 하우징과, 도어 핸들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 및 오목부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해제 핸들을 구비한 도어 핸들에 있어서, 도어 해제 핸들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오목부를 덮는 소음방지 커버, 및 도어 해제 핸들과 소음방지 커버 각각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소음방지 커버에 탄성의 힘을 가하여 상시 오목부를 덮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도어를 여는 동작에서 소음방지 커버가 오목부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며,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오목부를 덮어 주행시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저감되도록 하여 주행소음이 저감되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도어 핸들을 도시한 정면도.
도 2 는 도 1 의 A-A선의 종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B-B선의 종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의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0 : 도어 핸들 3,110 : 도어 핸들 하우징
3a,112 : 오목부 5,120 : 도어 해제 핸들
7 : 리턴 스프링 130 : 소음방지 커버
132 : 힌지 140 : 토션 스프링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을 나타낸 정면도, 도 4 는 도 3 의 B-B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 핸들(100)은 자동차의 도어 외측에 설치된 도어 핸들 하우징(110), 도어 핸들 하우징(110)에 형성된 오목부(112), 및 오목부(112)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해제 핸들(120)을 구비한 도어 핸들(100)에서, 도어 해제 핸들(120)의 하단부에 힌지(132) 결합되어 오목부(112)를 덮는 소음방지 커버(130), 및 도어 해제 핸들(110)과 소음방지 커버(130) 각각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소음방지 커버(130)에 탄성의 힘을 가하여 상시 오목부(112)를 덮도록 하는 토션 스프링(140)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도어를 여는 동작에서 소음방지 커버(130)가 오목부(112) 안쪽으로 밀려들어가 손가락에 도어 해제 핸들(110)이 걸릴 수 있도록 하며,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어 오목부(112)를 덮어 주행시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저감되도록 하여 주행소음이 저감되도록 한 것이다.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의 작용 상태도이다.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도어 핸들(100)은 도어를 해제하려는 동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토션 스프링(140)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 해제 핸들(110)과 소음방지 커버(130)가 나란하게 펼쳐진 상태로 도어 핸들 하우징(110)의 오목부(112)를 덮고 있는 상태가 유지되고, 도어를 해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소음방지 커버(130)를 오목부(112)의 안쪽으로 밀면 힌지(132)를 중심으로 소음방지 커버(130)가 회전하여 손가락에 도어 해제 핸들(120)이 걸리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 해제 핸들(120)을 들어올리면 도어가 해제되어 열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도어 핸들(100)에서 도어 핸들 하우징(110)의 오목부(112)를 도어 해제 핸들(120)과 소음방지 커버(130)가 상시 덮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를 운행하는 상태에서도 오목부(112) 내의 압력이 낮아지지 않아 대기압과 오목부(112) 내의 압력차가 적게 되고, 그로 인한 소음이 저감되어 자동차의 주행소음이 저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어 핸들 하우징(110)의 오목부(112) 전체를 덮을 수 있도록 도어 해제 핸들(120)의 하단부에 소음방지 커버(130)를 설치하되 도어를 해제시키기 위한 동작에 아무런 장애가 없도록 함으로써 오목부 내측과 대기압과의 압력차 저감되어 차량소음이 저감된다.
또한 오목부(112)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도어 핸들 하우징의 오목부가 도어 해제 핸들과 소음방지 커버에 의해 외기와 차단되므로 자동차의 주행시 대기압과 오목부 내측의 압력차가 거의 없게 되어 오목부에서의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로는 오목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1)

  1. 자동차의 도어 외측에 설치된 도어 핸들 하우징(110)과, 상기 도어 핸들 하우징(110)에 형성된 오목부(112)와, 상기 오목부(112)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는 도어 해제 핸들(120)을 구비한 도어 핸들(100)에 있어서,
    상기 도어 해제 핸들(120)의 하단부에 힌지(132) 결합되어 상기 오목부(112)를 덮는 소음방지 커버(130); 및
    상기 도어 해제 핸들(120)과 상기 소음방지 커버(130) 각각에 양끝단이 지지되고, 상기 소음방지 커버(130)에 탄성의 힘을 가하여 상시 상기 오목부(112)를 덮도록 하는 탄성부재(140)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를 여는 동작에서 상기 소음방지 커버(130)가 상기 오목부(112)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며, 힘이 제거된 상태에서는 상기 오목부(112)를 덮어 주행시 대기압과의 압력차가 저감되도록 하여 주행소음이 저감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KR2019970021188U 1997-07-31 1997-07-31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KR2001531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88U KR200153120Y1 (ko) 1997-07-31 1997-07-31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1188U KR200153120Y1 (ko) 1997-07-31 1997-07-31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66U KR19990007666U (ko) 1999-02-25
KR200153120Y1 true KR200153120Y1 (ko) 1999-08-02

Family

ID=1950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1188U KR200153120Y1 (ko) 1997-07-31 1997-07-31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12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34B1 (ko) * 2011-12-06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83642B1 (ko) * 2018-10-29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가림막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165B1 (ko) * 2001-11-23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7034B1 (ko) * 2011-12-06 2013-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히든 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102083642B1 (ko) * 2018-10-29 2020-03-0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 도어용 인사이드 핸들 가림막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666U (ko) 1999-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53120Y1 (ko) 소음 저감형 도어 핸들
KR100412901B1 (ko) 트렁크 처짐 방지장치
JP4246572B2 (ja) 自動車用ウエザーストリップ
KR101189987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공동소음 방지장치
KR100803840B1 (ko) 그립타입 아웃사이드 핸들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200144265Y1 (ko) 자동차 도어의 밀림방지구조
KR0118477Y1 (ko) 자동차의 리어 도어 변형 방지장치
KR0172213B1 (ko) 풍절음 방지용 차량 도어 외부손잡이
KR200198171Y1 (ko) 화물차용 전면패널의 힌지구조
KR200149111Y1 (ko) 자동차의 백도어 열림방지구
KR200214917Y1 (ko) 차량용 플랩도어 잠금장치
KR100232925B1 (ko) 자동차 테일 게이트의 힌지구조
KR200228019Y1 (ko) 도어의 암 레스트 구조
JPH072013A (ja) 車両のランプ構造
KR0125716Y1 (ko) 자동차의 본넷 힌지 구조
KR200205051Y1 (ko) 자동차 엔진덮개의 개방수단
KR100461412B1 (ko) 차량용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 어셈블리
KR0121595Y1 (ko) 차량의 슬라이딩식 윈도우 소음방지 구조
KR0126059Y1 (ko) 승합차의 후방도어용 스테이 댐퍼 내장구조
KR100233603B1 (ko) 웨이트 밸런스가 구비된 도어
KR20030000629A (ko) 자동차의 도어 개폐장치
KR19980055519A (ko) 자동차 도어 손잡이
KR100193675B1 (ko) 자동차 도어 잠김 장치
KR20000019569U (ko) 테일 게이트의 후드 개스 스프링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