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430Y1 - 다이캐스팅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캐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430Y1
KR200152430Y1 KR2019960005403U KR19960005403U KR200152430Y1 KR 200152430 Y1 KR200152430 Y1 KR 200152430Y1 KR 2019960005403 U KR2019960005403 U KR 2019960005403U KR 19960005403 U KR19960005403 U KR 19960005403U KR 200152430 Y1 KR200152430 Y1 KR 2001524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gas discharge
die casting
mold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54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3718U (ko
Inventor
구양모
Original Assignee
정명식
학교법인포항공과대학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명식, 학교법인포항공과대학교 filed Critical 정명식
Priority to KR20199600054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430Y1/ko
Publication of KR97005371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371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4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4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7/00Pressure die casting or injection die casting, i.e. casting in which the metal is forced into a mould under high pressure
    • B22D17/20Accessories: Details
    • B22D17/22Dies; Die plates; Die supports; Cooling equipment for dies; Accessories for loosening and ejecting castings from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22C9/067Venting means for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이캐스팅장치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고안 다이캐스팅장치장치는, 금형내부의 캐비티에 충진된 용융금속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금형외부로 배출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금형의 캐비티 사이에 종방향으로 용융금속과 접촉하게 되는 복수의 가스배출장공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융금속내에 녹아 있는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이캐스팅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Ⅰ-Ⅰ을 도시한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Ⅱ-Ⅱ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의 가스배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의 가스배출부재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금형 101 : 캐비티
103 : 벤트 105 : 블레이드
110 : 적층코어 111 : 고정부재
120 : 가스배출장공 121 : 나사부
130 : 가스배출부재 131 : 가스배출홀
132 : 직선프레임 133 : 나사부
135,136 : 판부재 140 : 보강스프링
본 고안은 다이캐스팅장치(diecast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융금속내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제거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다이캐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이캐스팅이란 금형내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대적으로 용융점이 낮은 비철금속이나 그 합금들을 성형하는 방법으로서, 용융금속을 대기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주형치수와 거의 완전히 일치하는 고정밀도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표면이 깨끗하여 기계가공이 생략되어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그러나, 다이캐스팅으로 생산되는 제품내에는 크기가 큰 기포 및 크기가 작은 핀홀과 응고시 생기는 수축공들이 생겨 제품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되었다.
또한, 다이캐스팅에는 알루미늄이 사용되는 바, 알루미늄을 용해하면 필연적으로 수소가스가 용융금속에 녹아 들어가게 되고, 알루미늄 산화물이 용융금속중에 혼입되게 된다. 이러한 수소가스는 응고시 다시 용출되어 나와 제품에 핀홀이 형성되며, 알루미늄 산화물은 용융금속의 유동도를 줄일 뿐만 아니라 제품내부에 남아 기계적 강도를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기공이 발생되는 이유는 용융금속의 충진단계에서 금형내의 캐비티(cavity)를 충진하는 동안 캐비티에 있던 공기가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이며, 가장 주된 이유는 용융금속내에서 녹아 있던 가스(G)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많은 결함들은 용융금속의 가장 두꺼운 부분에서 대부분 발생되며, 특히 코어와 용융금속이 접촉하게 되는 부분에는 벤트(vent)를 형성하기 어려워서 이 부분에 가스가 모여 결함이 발생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캐스팅 주조시 용융금속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제거하여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다이캐스팅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은, 금형내부의 캐비티에 용융된 금속을 가압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다이캐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내부의 캐비티에 충진된 용융금속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금형 외부로 배출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의 캐비티 사이에 종방향으로 용융금속과 접촉하게 되는 복수의 가스배출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한 특징은, 상기 가스배출장공에는 그 하부에 금형내부에 충진된 용융금속은 통과하지 못하고 용융금속내의 가스는 통과되는 소정의 가스배출홀들이 형성된 가스배출부재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가스배출부재는, 그 상부에 금형내부에 충진된 용융금속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스배출부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가스배출부재는, 그 외주면에 상기 가스배출장공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3도는 제2도의 Ⅰ-Ⅰ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제4도는 제2도의 Ⅱ-Ⅱ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의 가스배출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의 가스배출부재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 다이캐스팅장치는 우선,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용융금속이 적층코어(110)와 금형(100)내부의 캐비티(101)에 충진된다. 전술한 적층코어(110)의 내측에는 이의 방사상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부재(111)가 설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금형(100) 사이에는 용융금속내부에 녹아 있는 가스(G)를 배출시키도록 다수의 벤트(vent; 103)가 형성된다.
본 고안 다이캐스팅장치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코어(110)의 중심에서 외측방향으로 다수의 블레이드(105; 용융금속 미주입시에는 캐비티(101)가 됨)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각각의 블레이드(105)가 위치하는 금형(100)내부에는 소정깊이의 가스배출장공(120)이 형성된다. 이 가스배출장공(120)은 전술한 캐비티(101) 사이에 종방향으로 형성되고, 그 하측 선단부가 용융금속에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가스배출장공(120)의 하부에는 금형(100)내부에 충진된 용융금속은 통과되지 못하고, 용융금속내의 가스(G)는 통과되는 소정 크기의 가스배출홀(131)들이 형성된 가스배출부재(130)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가스배출부재(130)의 상부에는 금형(100)내부에 충진된 용융금속의 압력에 의해, 이 가스배출부재(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보강스프링(140)이 설치된다.
또한, 전술한 가스배출부재(130)는 그 외측면에 가스배출장공(12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133)가 형성된다.
한편, 제5도는 본 고안 다이캐스팅장치의 가스배출부재(130)를 도시한 일시예로서, 가스배출부재(130)에 형성된 소정의 직경을 갖는 가스배출홀(131)을 보인 것이다.
그리고, 제6도는 본 고안 다이캐스팅의 가스배출부재(130)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가스배출부재(130)를 직선 프레임(132)을 갖는 두 개의 판부재(135,136)로 구성하여, 이들을 상호 직교시킴으로써 소정의 직경을 갖는 가스배출홀(131)이 형성되는 것을 보인 것이다.
한편, 전술한 가스배출홀(131) 직경크기는 본 고안의 출원인과 동일한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출원번호 제93-14862호에 의해 0.1-0.3mm 됨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캐스팅장치는, 용융금속을 금형(100)내에 주입한 후 가압하게 된다.
이때, 금형(100)의 캐비티(101)내에 있는 가스는 용융금속에 밀려 벤트(103)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대부분의 가스는 벤트(103)를 통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용융금속은 캐비티(101)내에 유입되면서, 용융금속은 가스배출장공(120)의 하측에 마련된 가스배출부재(130)와 접촉된 상태로 캐비티(101)에 충진되어 진다.
이때, 용융금속은 가스배출부재(130)를 금형(100)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지만, 보강스프링(140)에 의하여 가스배출부재(130)는 변형되지 않고, 용융금속내에 녹아있던 가스는 가스배출부재(130)의 가스배출홀(131)을 통과해서 가스배출장공(120)을 따라 대기중으로 배출되게 된다.
즉, 가스배출홀(131)의 직경은 0.1-0.3mm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융금속은 가스배출홀(131)을 통과하지 못하고 용융금속내에 녹아 있던 가스만이 가스배출홀(131)을 통과해서 가스배출장공(120)을 따라 대기중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용융금속은 금형(100)내에서 가압 주입된 후, 응고됨에 따라 가스가 함유되지 않은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고안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위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다이캐스팅장치에 의하면 용융금속내에 녹아 있는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양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금형내부의 캐비티에 용융된 금속을 가압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다이캐스팅장치에 있어서, 상기 금형(100)내부의 캐비티(101)에 충진된 용융금속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스를 금형(100)외부로 배출하여 양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상기 금형(100)의 캐비티(101) 사이에 종방향으로 용융금속과 접촉하게 되는 복수의 가스배출장공(12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장공(120)은, 그 하부에 금형(100) 내부에 충진된 용융금속은 통과하지 못하고 용융금속내의 가스는 통과되는 소정의 가스배출홀(131)들이 형성된 가스배출부재(13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재(130)는, 그 상부에 금형(100)내 충진된 용융금속의 압력에 의해 상기 가스배출부재(13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스프링(14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배출부재(130)는, 그 외주면에 상기 가스배출장공(120)의 하부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부(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캐스팅장치.
KR2019960005403U 1996-03-20 1996-03-20 다이캐스팅장치 KR2001524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403U KR200152430Y1 (ko) 1996-03-20 1996-03-20 다이캐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5403U KR200152430Y1 (ko) 1996-03-20 1996-03-20 다이캐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718U KR970053718U (ko) 1997-10-13
KR200152430Y1 true KR200152430Y1 (ko) 1999-07-15

Family

ID=19452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5403U KR200152430Y1 (ko) 1996-03-20 1996-03-20 다이캐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4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92U (ko)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캐스트맨 히트싱크 불량저감을 위한 복수 런너 다이캐스팅 금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92U (ko) 2016-01-08 2017-07-18 주식회사 캐스트맨 히트싱크 불량저감을 위한 복수 런너 다이캐스팅 금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3718U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68104B1 (de) Verfahren und giessform zum steigenden giessen in sandformen mit gerichteter erstarrung von gussteilen
JP3030384B2 (ja) プラスチック製品の成形におけるガス補助の利用方法
DE60300436T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Einsätzen für dampfgekühlte und heissem Gasfluss ausgesetze Komponenten
CA2425826C (en) Lightweight part, as well as a process and device for its production
KR200152430Y1 (ko) 다이캐스팅장치
JPH1094868A (ja) 加圧鋳造方法
KR100537493B1 (ko) 가압식 다이캐스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이캐스팅 방법
KR20010098729A (ko) 외부 주형부 및 내부에 삽입된 주형 재료 코어를 포함하는주형
JPH0146226B2 (ko)
JP2827827B2 (ja) 鋳造用金型設備におけるガス抜き装置
JP2005305466A (ja) 溶湯鍛造装置および溶湯鍛造法
JP3339290B2 (ja) 鋳物の製造装置
JP3180233B2 (ja) 特殊中子を用いて鋳造した鋳造品
JPH06277817A (ja) 低圧鋳造装置
JPS5970453A (ja) アルミニウム鋳込回転子製造方法
KR100236376B1 (ko) 냉각봉을 구비한 수지금형 및 그의 제조방법
JPH0716779B2 (ja) 下部加圧方式の高圧鋳造装置
JP3180234B2 (ja) 特殊中子を用いた鋳造方法
JPH04344863A (ja) 高品質鋳物の高圧鋳造方法
JP3044202B2 (ja) 軽合金複合部材の製造装置
JP6075533B2 (ja) 成型装置
JP3180235B2 (ja) 鋳造用特殊中子
JPH10156511A (ja) 局部加圧鋳造方法
JPH06344345A (ja) タイヤ成形用金型及びその製造法
JPH06278139A (ja) 簡易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