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2226Y1 -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2226Y1
KR200152226Y1 KR2019960059526U KR19960059526U KR200152226Y1 KR 200152226 Y1 KR200152226 Y1 KR 200152226Y1 KR 2019960059526 U KR2019960059526 U KR 2019960059526U KR 19960059526 U KR19960059526 U KR 19960059526U KR 200152226 Y1 KR200152226 Y1 KR 2001522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vehicle
predetermined
support rods
rectang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95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6373U (ko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95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22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637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637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22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22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 B60N2/3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bed by add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021/0293Additional pads or cushions in vehicle compartments, e.g.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실내의 후측에 구비되는 리어시트의 어린이를 위한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의 백시트부(5)에 착탈가능한 소정의 장방형 회동식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차량의 리어시트(6)에 앉게되는 어린이가 차량실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측 백시트부(5)의 하측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소정그리드의 그물망(7)을 갖는 착탈가능한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가 구비되되,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는 상기 시트등받이부(3)의 양측을 각각 잡아주는 절곡부(9)를 갖는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와,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12)를 통해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과,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을 일정한 마찰저항을 갖고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상호 수납가능한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으로 이루짐으로써 차량의 리어시트(6)에 앉게되는 어린이들이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의 이용을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본 고안은 차량실내의 후측에 구비되는 리어시트의 어린이를 위한 차량용 프론트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프론트시트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의 백시트부에 착탈가능한 소정의 장방형 회동식받침대를 구비하여 차량의 리어시트에 앉게되는 어린이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는 각각 프론트시트(1)가 구비되는 바 상기 프론트시트(1)는 대별하여 탑승자의 머리부분을 받쳐주는 헤드레스트(2)와,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등받이부(3)와, 탑승자의 체중을 주로 떠받치는 시트쿠션부(4)로 이루어져 탑승자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차량의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의 백시트부(5)에 착탈가능한 소정의 장방형 회동식받침대가 구비되어 있지 않음으로 인해 차량의 리어시트(6)에 앉게되는 어린이가 차량실내의 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리어시트에 앉게되는 어린이들로 하여금 차량의 실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하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
도 3은 상기 도 2의 회동식 받침대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확대 측면도이다.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프론트시트 3: 시트등받이부 5: 백시트부 7: 그물망 8: 장방형 회동식받침대 9: 절곡부 10,11: 제 1,2수납식 록킹바 12: 힌지부 13: 직선형 지지봉 14: 절곡형 지지봉 15: 나사식 관통구 16: 관통홀 17: 볼트부재 18: 지지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측 백시트부의 하측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소정그리드(Grid)의 그물망을 갖는 착탈가능한 장방형 회동식받침대가 구비되되,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는 상기 시트등받이부의 양측을 각각 잡아주는 절곡부를 갖는 제 1,2수납식 록킹바와,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를 통해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과,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을 일정한 마찰저항을 갖고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상호 수납가능한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의 백시트부(5)에 있어서,
상기 백시트부(5)의 하측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소정그리드의 그물망(7)을 갖는 착탈가능한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가 구비되되,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는 상기 시트등받이부(3)의 양측을 각각 잡아주는 절곡부(9)를 갖는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와,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12)를 통해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과,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을 일정한 마찰저항을 갖고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상호 수납가능한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으로 이루어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는 양자택일적으로 일측에는 나사식 관통구(1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선단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6)을 통해 볼트부재(17)가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은 하측에 상호 연관되게 90。각도로 위치고정되는 지지바(18)를 회동되게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측 백시트부(5)의 하측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소정그리드의 그물망(7)을 갖는 착탈가능한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가 구비되되,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는 상기 시트등받이부(3)의 양측을 각각 잡아주는 절곡부(9)를 갖는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와,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12)를 통해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과,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을 일정한 마찰저항을 갖고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상호 수납가능한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리어시트(6)측에 어린이를 탑승시키게 될 때 상기 각각의 프론트시트(1)의 시트등받이부(3)에 고정된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를 펼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를 이루는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절곡부(9)는 상기 시트등받이부(3)에 착탈되게 고정될 수 있게됨과 더불어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힌지부(12)에 연결된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으로 부터 상기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이 길이방향으로 입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은 상호 폭방향으로 입출될 수도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는 양자택일적으로 일측에는 나사식 관통구(1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선단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6)을 통해 볼트부재(17)가 체결됨으로써 차량의 운전자 또는 정비자가 상기 시트등받이부(3)에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의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절곡부(9)를 고정하게 될 때 상기 제 1수납식 록킹바(10)에 상기 제 2수납식 록킹바(11)를 끼운후 상기 제 2수납식 록킹바(11)의 관통홀(16)을 통해 상기 제 1수납식 록킹바(10)의 나사식 관통구(15)에 소정의 볼트부재(17)를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계속해서, 상기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은 하측에 상호 연관되게 90。각도로 위치고정되는 지지바(18)를 회동되게 구비함으로써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를 이루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측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을 후측으로 제낀후 상기 절곡형 지지봉(14)측 지지바(18)를 차량의 바닥측으로 90。회동시켜 위치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는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측 백시트부(5)의 하측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소정그리드의 그물망(7)을 갖는 착탈가능한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가 구비되되,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는 상기 시트등받이부(3)의 양측을 각각 잡아주는 절곡부(9)를 갖는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와,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12)를 통해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과,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을 일정한 마찰저항을 갖고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상호 수납가능한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으로 이루짐으로써 차량의 리어시트(6)에 앉게되는 어린이들이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의 이용을 통해 차량의 실내공간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차량실내의 전측에 양측으로 각각 구비되는 프론트시트(1)를 이루는 시트등받이부(3)의 백시트부(5)에 있어서,
    상기 백시트부(5)의 하측 소정부위에 내측으로 소정그리드의 그물망(7)을 갖는 착탈가능한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가 구비되되, 상기 장방형 회동식받침대(8)는 상기 시트등받이부(3)의 양측을 각각 잡아주는 절곡부(9)를 갖는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와,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의 양단에 각각 구비되는 힌지부(12)를 통해 일정거리를 두고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는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과, 상기 각각의 직선형 지지봉(13)을 일정한 마찰저항을 갖고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상호 수납가능한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수납식 록킹바(10,11)는 양자택일적으로 일측에는 나사식 관통구(15)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타측에는 선단측에 형성되는 관통홀(16)을 통해 볼트부재(17)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곡형 지지봉(14)은 하측에 상호 연관되게 90。각도로 위치고정되는 지지바(18)를 회동되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KR2019960059526U 1996-12-28 1996-12-28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KR2001522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526U KR200152226Y1 (ko) 1996-12-28 1996-12-28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9526U KR200152226Y1 (ko) 1996-12-28 1996-12-28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373U KR19980046373U (ko) 1998-09-25
KR200152226Y1 true KR200152226Y1 (ko) 1999-07-15

Family

ID=19484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9526U KR200152226Y1 (ko) 1996-12-28 1996-12-28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222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6373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74108A (en) Sofa bridge
US4291916A (en) Seat for bus, train or airplane
JPH02106448A (ja) 子供用椅子を合体した車シート構造
US3246347A (en) Combination seat and bed
US4743066A (en) Tiltable seats for vehicles
CN106379205B (zh) 车辆座椅机构和车辆
JPH10194045A (ja) 車両用シート
JPS5836732A (ja) 乗物用シ−ト
KR200152226Y1 (ko) 차량용 시트의 회동식 받침대구조
US11708013B2 (en) Vehicle seat arrangement
JP2004106785A (ja) 車両のチャイルドシート取り付け構造
US3305265A (en) Car seat
EP0324503B1 (de) Universal-Automobilsitz für kleine und grosse Insassen, insbesondere Mitinsassen
JP4223875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2029298A (ja) チャイルドシート
JP5088847B2 (ja) 椅子
JP6597297B2 (ja) 車両用荷室構造
HU208394B (en) Sitting furniture formable into bed
JP2663812B2 (ja) 方向転換型シート
JP4395684B2 (ja) 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JPH0414279Y2 (ko)
JPH0690835A (ja) 乗物用座席
JP3297280B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オットマン装置
RU167537U1 (ru) Мебель для сидения
DE3900906A1 (de) Universal- automobilsitz fuer kleine und grosse insassen, insbesondere mitinsass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