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8302Y1 -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8302Y1
KR200148302Y1 KR2019940007882U KR19940007882U KR200148302Y1 KR 200148302 Y1 KR200148302 Y1 KR 200148302Y1 KR 2019940007882 U KR2019940007882 U KR 2019940007882U KR 19940007882 U KR19940007882 U KR 19940007882U KR 200148302 Y1 KR200148302 Y1 KR 2001483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field coil
motor
starting motor
s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78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768U (ko
Inventor
이영만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400078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8302Y1/ko
Publication of KR9500307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7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83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83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00Details of windings
    • H02K3/46Fastening of windings on the stator or rotor structure
    • H02K3/5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 H02K3/521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 H02K3/522Fastening salient pole windings or connections thereto applicable to stators only for generally annular cores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4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 H02K1/146Stator cores with salient poles consisting of a generally annular yoke with salient po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star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ron Core Of Rotating Electric Machin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의 폴(10)에 있어서,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80)가 폴슈(20)에 형성된 폴(10)을 구비하여 폴슈(20)에 간섭받지 않고 효율적인 전기 회로의 설계가 이루어지므로 최적의 설계가 가능한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Description

자동차용 시동 전동기
제1도는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의 계자코일 권취 상태도.
제2도의 (a)는 종래 시동전동기의 폴을 도시한 평면도.
(b)는 종래 시동진동기의 폴을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의 단면도.
제4도는 (a)는 본 고안에 따른 시동전동기의 폴을 도시한 평면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시동전동기의 폴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폴(Pole) 20 : 폴축심부
30 : 폴슈 40 : 계자코일(Field coil )
50 : 계자코일 구출선 60 : 전기자(Armature)
70 : 고정자(Yoke) 80 :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
90 : 계자코일 구출부
본 고안은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의 폴(Pole)에 있어서, 폴슈(Pole shoe)부에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를 성형함으로 폴슈에 간섭 받지 않는 전기 회로를 구성하여 효율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인 자동차 엔진은 자가시동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시동을 걸때에는 외력에 의해 크랭크축를 회전 시켜야 한다. 또한 이 크랭크축의 회전은 일정이상의 속도를 내지 않으면 시동할 수가 없으므로 시동에 사용하는 전동기가 따로 부착되어 있는데 이를 시동전동기(Start motor 또는 Starter)라고 한다. 시동전동기로서 현재 사륜 자동차에서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직류직권 전동기가 채용되고 있으며, 이 전동기는 엔진의 실린더 용적, 압축압력, 각 마찰력을 이겨내서 엔진을 시동가능한 회전수로 구동시켜야 하므로 시동토오크가 큰 것이 필요하며, 가능한 한 소형 경량인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시동 전동기의 효율을 높이면서 최적설계를 위해서는 전동기 내부에 설치된 계자코일의 전기 저항을 최소화해야 하며, 이를위해 계자코일을 고정자(Yoke)와 폴슈(Pole shoe)사이에 완전 밀착고정 시키고, 코일 단면적을 최대화 해야한다.
그러나, 종래의 시동전동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계자코일 구출선(50)으로 인하여 폴(10)에 권취된 계자코일 구출부(90)는 다른 부분과는 달리 계자코일(40)의 두께만큼 반경방향의 두께가 더 두껍게 되므로, 계자코일 구출선(50)이 있는 부분에서는 폴슈(30)를 형성할 수 없게되어 전동기 최적 설계에 하나의 제한적인 설계요소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에 있어서, 폴 축심부에 권취되는 계자코일 구출부가 폴슈에 의해 간섭 받지 않도록 폴의 형상을 변경시켜 폴슈의 일부분에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를 성형하므로 폴슈의 간섭을 받지않고 전기회로를 구성하고, 최적의 효율적인 전자기 회로가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원통형으로 자력선의 통로가 되고 시동전동기의 틀이되는 고정자와, 상기 고정자의 안쪽면에서 계자코일을 지지하여 자극이되는 폴과, 상기 폴의 내부 중심에서 회전하는 전기자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에 있어서, 상기 폴의 폴슈에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를 성형한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3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폴(10)은 폴축심부(20)와 폴슈(30)로 이루어지며, 폴축심부(20)에 계자코일(40)이 권취되어 있다. 폴(10)은 전동기 내에서 항시 2개 이상의 짝수개로 구성되며, 따라서, 폴(10)에 권취되는 계자코일(40) 또한 2개 이상의 짝수개로 구성되어 각각의 계자코일(40)이 서로 연결되어 있게된다. 폴(10)의 외주면은 고정자(70)에 밀착 고정되어 있으며 , 폴(10)의 내주면에는 원통형으로 전기자(Armature)(60)가 위치되고, 계자코일(40)은 폴슈(30)와 고정자(70)사이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시동전동기는 계자코일(40)에 통전이 되면 폴축심부(20)를 자화시켜 전자석을 형성하며, 이때 발생된 자속은 폴슈(30)를 통해 전기자(60)로 전달되면서 시동전동기의 자기회로를 형성하고, 전기자(60)가 회전하면서 전기자(60)의 축에 부착된 피니언기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엔진의 시동작용을 수행한다. 이때 폴축심부(20)에 권취 되어 있는 계자코일(40)은 전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폴축심부(20)에 최대한 밀착되어 권취되고, 계자코일 구출선(50)은 폴축심부(20)에 접한 계자코일(40)에서 형성된다. 따라서, 계자코일(40)의 전기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계자코일(40)을 고정자(70)와 폴슈(30)사이에 밀착고정 시키고, 계자코일(40)의 단면적을 최대화해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큰 제한요소로서 계자코일(40)의 다른 부분과는 달리 계자코일 구출부(90)의 두께가 계자코일(40)의 두께 만큼 반경 방향의 두께가 더 두꺼워 계자코일 구출부(90)가 있는 곳에 폴슈(30)를 형성할 수 없다는 점과, 설사 계자코일 구출부에 폴슈(20)를 성형한다고 할지라도 계자코일 구출부(90)의 폴슈(20) 두께가 다른 폴슈(20) 두께에 비해 두꺼워지고 또한 폴(10)이 냉간단조로 제작되는 만큼 폴슈(20)의 두께를 얇게 제작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 2도의(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폴(10) 형상을 제4도의(a) 및(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직사각형의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80)을 폴슈(30)에 형성함으로써 계자코일 구출선(50)이 폴슈(20)에 간섭받지 않고 폴축심부(30)에 권취될 수 있다.
따라서,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가 형성된 본 고안은 폴슈에 구출선 안내부가 성형되므로 고정자와 폴슈사이의 거리가 다른 고정자와 폴슈사이의 거리보다 커져 시동전동기 설계에서 제한요소로 작용했던 구출선 문제가 제거되어 폴슈의 간섭을 받지 않고 전기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의 시동전동기 설계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고안은 시동전동기 뿐만이 아니라 시동전동기와 발전기가 일체로된 시동발전기(Starter-Generator)에도 적용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원통형으로 자력선의 통로가 되고 시동전동기의 틀이 되는 고정자(70)와, 상기 고정자(70)의 안쪽면에서 계자코일(40)을 지지 하여 자극이 되는 폴(10)과, 상기 폴(10)의 내부 중심에서 회전하는 전기자(60)를 구비한 자동차용 시동전동기에 있어서 : 상기 폴(10)의 폴슈(20)에 계자코일 구출선 안내부(80)를 성형한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KR2019940007882U 1994-04-15 1994-04-15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KR2001483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882U KR200148302Y1 (ko) 1994-04-15 1994-04-15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7882U KR200148302Y1 (ko) 1994-04-15 1994-04-15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68U KR950030768U (ko) 1995-11-20
KR200148302Y1 true KR200148302Y1 (ko) 1999-06-15

Family

ID=19381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7882U KR200148302Y1 (ko) 1994-04-15 1994-04-15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83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68U (ko) 1995-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17019B2 (ja) 車両用回転電機の回転子
JP6938617B2 (ja) ハイブリッド動力システム
JP2009131006A (ja) 回転電機
EP3562008B1 (en) Rotational electric machine
KR200148302Y1 (ko) 자동차용 시동전동기
US6509662B2 (en) DC motor
KR910003668B1 (ko) 내연기관 점화장치용 자석발전기
JP4556408B2 (ja) クローポール形回転機
JP3317061B2 (ja) スタータ
JPH038048Y2 (ko)
WO2023127450A1 (ja) 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内燃機関のバルブタイミング制御装置
JPH11103542A (ja) 回転電機
JP2565068Y2 (ja) パーマネントマグネット界磁形モータ
JPH11191952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JP3463744B2 (ja) フライホイールマグネト用ステータ
KR200345351Y1 (ko) 내연기관용시동장치의고정자요크
KR200277403Y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JPH0756607Y2 (ja) 発電装置
JP2023049370A (ja) 電動モータ
KR0145813B1 (ko) 교류발전기
JPH0122382Y2 (ko)
KR20210157561A (ko) 차량용 구동모터
KR19990006473U (ko) 자동차용 시동모우터 회전자의 절연체(insulation)구조
JPH0516868Y2 (ko)
JPH11299138A (ja) モータ用ステータおよびそ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