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5209Y1 -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 Google Patents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5209Y1
KR200145209Y1 KR2019960002134U KR19960002134U KR200145209Y1 KR 200145209 Y1 KR200145209 Y1 KR 200145209Y1 KR 2019960002134 U KR2019960002134 U KR 2019960002134U KR 19960002134 U KR19960002134 U KR 19960002134U KR 200145209 Y1 KR200145209 Y1 KR 2001452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wire
flat
elevating
bending
reciproc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1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730U (ko
Inventor
김재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02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5209Y1/ko
Publication of KR9700527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7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52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520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9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orming corrugations on conductor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36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8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removal of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ir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플랫 와이어(W)를 적충 유지할 수 있으며 최상단의 플랫 와이어(W)를항상 일정 높이에 유지시킬 수 있는 적재기(11), 상기 적재기(11)로부터 공급되는 플랫 와이어(W)를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13), 상기 이송기(13)로부터 이송된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기(14) 및, 양단의 피복이 탈피된 플랫 와이어(W)를 소정 형상으로 굽히는 굽힘기(15)를 구비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는 탈피 작업 및 굽힘 작업이 단일의 장치내에서 일관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각 부분의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므로 불량의 발생 가능성이 없다.

Description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고안 장치에 의한 가공이 수행되기 이전 및 이후의 플랫 와이어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적재기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이송기의 개략적인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에도시된 이송기의 작용 상태도.
제6(a)도는 본 고안의 탈피기의 정면도.
제6(b)도는 제6(a)도의 탈피기 및, 굽힘기 일부의 평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굽힘기에 대한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굽힘기의 작용을도시하는 정면도.
제9도는 제7도의 굽힘기에 대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W'. 플랫 와이어 11 : 적재기
13 : 이송기 14 : 탈피기
15 : 굽힘기 22 : 와이어
23,24 : 피복 32 : 승강 플레이트
33,33' : 흡착 노즐 35 : 공압 실린더
37 : 왕복 실린더 41 : 이송 승강부
42 : 가이드 43 : 격벽
63,63',64,64' : 실린더 72 : 회전 실린더
76,76' : 샤프트 73 : 왕복 실린더
78 : 승강 실린더
본 고안은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flat wire bending machin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 와이어의 단부를 탈피한 이후에 이를 소정 형상으로 굽힘 가공시킬 수 있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랫 와이어(flat wire)는 컴퓨터등과 같은 전자 제품에서 메인 인쇄 회로 기판과 서브 인쇄 회로 기판을 상호 연결하는 기능을 지닌다. 플랫 와이어는 다수의 와이어를 합성 수지와 같은 재료내에 상호 절연된 상태로 피복시킨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평탄한 형상을 지닌다. 플랫 와이어는 소정의 길이로 절단되고, 와이어가 노출되도록 양 단부의 피복이 제거되며, 인쇄 회로 기판의 전극 단자에 연결될 수 있도록 인쇄 회로 기판의 배치 상태에 따라 굽힘 가공되어야 한다. 일단 굽힘 가공된 플랫 와이어는 와이어 자체의 연성 때문에 굽힘 상태를 유지하므로 인쇄 회로 기판의 전극 단자에 연결되기에 용이하다.
종개 기술에 따르면, 플랫 와이어의 피복 제거 및 굽힘 가공등의 작업이 수작업으로 진행되어 왔다. 작업자는 커터나 리퍼와 같은 수공구를 이용하여 플랫 와이어의 피복을 절단하고, 피복을 와이어의 단부로부터 제거한 후에, 플랫 와이어 소정의 형상으로 굽힘 가공하였다. 이러한 수작업은 비록 간단한 것일지라도 대량의 플랫 와이어를 필요로 하는 생산 체계에서는 부적합한 것이다. 숙련된 작업자라도 작업 속도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주어진 생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작업 인원을 증가시키는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반복적인 단순 작업 때문에 불량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자재의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량 생산에 적합하도록 자동화된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플랫 와이어의 피복 제거 및 굽힘 작업이 일관되게 수행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작업의 정확성과 속도가 증진된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소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플랫 와이어를 적층 유지할 수 있으며 최상단의 플랫 와이어를항상 일정 높이에 유지시킬 수 있는 적재기, 상기 적재기로부터 공급되는 플랫 와이어를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 상기 이송기로부터 이송된 플랫 와이어의 양단부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기 및, 양단부의 피복이 탈피된 플랫 와이어를 소정 형상으로 굽히는 굽힘기를 구비하는 플랫 와이어를 굽힘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재기는 승강 수단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승강될 수 있으며, 그 위에 다수의 플랫 와이어가 적층되는 승강 플레이트를 지닌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적재기의 일측에는 상기 플랫 와이어를 진공 흡착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하게 승강 및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한 진공 흡착 노즐이 구비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이송기는, 플랫 와이어의 양단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부재 및, 승강 운동과 전후진 운동이 제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한쌍의 플레이트와 그 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격벽을 지닌 이송 승강 부재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탈피기는, 수평 프레임 부재,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위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프레임 부재,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를 제어 가능하게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 구동 수단,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에 고정되며 상부에 플랫 와이어의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 부재, 플랫 와이어의 양단부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블레이드 및, 상기 블레이드를 제거 가능하게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굽힘기는, 프레임 부재, 상기 프레임 부재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 상기 몸체를 제어 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 수단, 상기 몸체를 제어 가능하게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왕복 구동 수단, 상기 몸체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 표면에 플랫 와이어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 표면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승강되는 승강 조오 부재, 상기 승강 조오 부재를 제어 가능하게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는 샤프트 부재 및, 상기 샤프트 부재를 제어 가능하게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플랫 와이어의 양단부에서 와이어가 노출된 부분에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복이 제거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플랫 와이어의 양단부가 지지될때, 상기 굽힘기의 몸체는 상기 몸체 왕복 구동 수단에 의해 상기 탈피기로 접근하며,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 표면과 상기 승강 조오에 의해 상기 플랫 와이어의 중심부가 고정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샤프트 부재는 상기 고정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의 상부에 유지된 평탄한 플랫 와이어를 소정 형상으로 굽힌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도면에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도시한 것이다.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플랫 와이어(W)를 적충 유지하는 적재기(11)와, 상기 적재기(11)로부터 공급되는 플랫 와이어(W)를 진공 흡착 노즐(33,33')로 이송시키는 이송기(13)와, 상기 이송기(13)로부터 이송된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기(14)와, 양단의 피복이 탈피된 플랫 와이어(W)를 소정 형상으로 굽히는 굽힘기(15)를 구비한다.
제2(a)도를 참조하면,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로 공급되는 플랫 와이어(W)의 형상이도시되어 있다. 플랫 와이어(W)는 합성 수지와 같은 피복 재료(23,24)에 의해 다수의 와이어(22)가 평행하게 피복된 것이다. 본 고안의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로 공급되기 이전에 소정의 가공이 행해지는데, 플랫 와이어(W)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양 단부의 피복(24)만을 절단하여 어느 정도 외측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와이어(22)가 노출된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이후에 행해지는 양단부 피복 제어 작업인 탈피 작업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다.
제2(b)도는 본 고안의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에 의한 가공이 완료된 상태의 플랫 와이어(W')를도시한 것이다. 플랫 와이어(W')는 소정의 곡률로 굽힘 가공되어 있으며, 양 단부의 피복은 완전히 제거되고 와이어(22)가 노출된다.
제3도는 제1도에도시된 적재기 (11)로부터 플랫 와이어(W)를 이송기(13)로 공급하는 흡착 노즐(33,33')의 설치 상태를도시한 사시도이다. 플랫 와이어(W)는 적재기의 프레임 일측에 마련된 승강 플레이트(32)에 적층된 상태로 유지된다. 승강 플레이트(32)는도시되지 아니한 모터 또는 유압 실린더등과 같은 공지의 수단에 의해 제거 가능하게 승강된다. 승강 플레이트(32)의 상부에 적층된 플랫 와이어(W)가 다음 단계로 이동되기 위하여 하나씩 제거될때마다 유압 실린더의 상승 작용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32)가 상승될 수 있으며, 따라서 흡착 노즐(33,33')이 플랫 와이어(W)를 흡착하여 소정의 장소로 공급할 수 있다.
흡착 노즐(33,33')은 수직 방향으로 승강 운동을 하는 공압(또는 유압) 실린더(35)에 고정되어 있으며, 진공에 의해 플랫 와이어(W)를 흡착시킬 수 있다. 공압 실린더(35)는 가이드(36)를 따라 전 후진 운동을 하는 왕복 실린더(37)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흡착 노즐(33,33')은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거나 또는 수평선을 따라 직선 왕복 운동 할 수 있다. 흡착 노즐(33,33')은 일정 위치에서 수직 하강함으로써 플랫 와이어(W)를 진공 흡착한다. 또한 왕복 실린더(37)의 작용으로 다른 위치로 이동한 후에 진공을 해제하여 플랫 와이어(W)를 소정의 장소에 내려 놓을 수 있다. 필요하다면, 승강 실린더 및 왕복 실린더 대신에 로봇을 이용하여 플랫 와이어(W)를 소정 위치에 내려 놓을 수도 있을 것이다.
제4도는 제1도의 이송기(13)의 구성을 개략적인 사시도로서도시한 것이다. 이송기는 플랫 와이어(W)의 이송을 제한 및 안내하는 가이드(42)와,도시되지 아니한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승강 운동 및 전후진 왕복 운동하는 이송 승강부(41)를 구비한다.
가이드(42)는 2 개가 평행하게 배치되며,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를 지지한다. 가이드(42)는도면 번호 45 로 지시된 평판 부분과, 일변이 제거된 사각형 단면을 지닌 부분(46)을 지닌다. 플랫 와이어(W)는도면에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가 평판 부분(45)의 상부 표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사각형 단면을 지닌 부분(46)에서는 플랫 와이어(W)가 가이드(42)의 횡방향으로 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이송 승강부(41)는 2 개의 플레이트를 평행하게 배치하고, 플레이트 상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격벽(43)을 고정시킨 것이다. 이송 승강부(41)의 작동중에는 격벽(43) 사이마다 플랫 와이어(W)가 배치되어 가이드(43) 따라 이동한다. 이송 승강부(41)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도시되지 아니한 하나 이상의 공압 실린더등에 의해 수직 승강 운동 및 전후진 왕복 운동을 하며, 격벽(43)이 플랫 와이어(W)를 밀어냄으로써 이송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 승강부(41) 사이에는 한쌍의 가이드 레일(48)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제3도에도시된 흡착 노즐(33,33')은 상기 평판 부분(45)으로 하강하여 플랫 와이어(W)를 내려놓게 된다. 플랫 와이어(W)의 양 단부는 가이드의 평판 부분(45) 상부 표면에 지지된다. 이후에 설명될 이송 승강부(41)의 작용에 따라 플랫 와이어(W)는 가이드(42)의 단부에도달한다. 제4도에서도면 번호 47 로 표시된 위치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탈피기(14)의 설치 장소이며, 플랫 와이어(W)는 이송 승강부(41)의 상부에 놓인 상태로 탈피기(41)에 이송된다.
제5(a)도 내지 제5(e)도에는 이송 승강부(41)의 작용이도시되어 있다. 제5(a)도에서, 플랫 와이어(W)는 진공 흡착 노즐(33,33')에 흡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격벽 사이에(43)에 배치되고,도면 부호 47 로 지시된 탈피기 설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5(b)도에서, 탈피기 설치 위치(47)에 배치된 플랫 와이어(W)는 탈피 작용과 함께 제거된 상태이며, 흡착 노즐(33,33')에 흡착된 플랫 와이어(W)는 제4도의 평탄부(45)에 놓여진 상태이다. 이때 이송 승강부(41)는 공압 실린더의 작용으로 하강한다.
제5(c)도에서, 이송 승강부(41)는 공압 실린더의 작용으로 우측으로 후진하며, 제5(d)도는 이송 승강부(41)가 상승한 상태를도시한다.
제5(e)도에서, 이송 승강부(41)는 좌측으로 전진한다. 이때 격벽(43)은 플랫 와이어(W)들을 가이드(42)상에서 이송 승강부(41)의 진전 거리 만큼 이동시킨다. 최좌측에 있던 플랫 와이어(W)는 비어 있는 탈피기 설치 위치(47)로 이동하며, 그에 따라 최우측에 형성된 빈 공간에 흡착 노즐(33,33')이 새로운 플랫 와이어(W)를 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송기에서는 제5(a)도 내지 제5(e)도에도시된 작용이 제어 가능하게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써 플랫 와이어(W)를 탈피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6(a)도는 제1도에도시된 탈피기(14)를 개략적으로도시된 정면도이다. 탈피기(14)에서는 플랫 와이어(W)의 양단 피복을 제거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제6(a)도는 L-L' 선을 중심으로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이 상이한 타이밍에 상이한 작용을 수행하는 것을도시한다. 좌측 부분은 플랫 와이어(W)가 이송기로부터 이송되어 탈피 작업이 수행되기 이전의 작용 상태를도시하며, 우측 부분은 탈피 작업이 수행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제6(a)도에서, 탈피기는 수평 프레임(61)과, 상기 수평 프레임 상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수직 프레임(62,62')과, 상기 수평 프레임(61)상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 프레임(62,62')을 구동시키는 왕복 실린더(63,63')와, 상기 수직 프레임(62,62')의 일측에 설치되어 블레이드(67,67')를 구동시키는 승강 실린더(64.64')를 구비한다.
블레이드(67,67')는, 제2(a)도에도시된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 피복(24)을 제거할 수 있도록, 전체적으로 두께가 얇은 박판의 형상을 지니며, 그 폭은 플랫 와이어(W)의 폭과 동일하거나 크다. 블레이드(67,67')의 단부는 제2(a)도에서 플랫 와이어의 와이어(22)가 노출된 부분에 수직 방향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형상을 지닌다. 블레이드(67,67')는 와이어 노출 부위에 삽입된 이후에, 플랫 와이어(W)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복(24)을 제거한다.
블레이드(67,67')는 블레이드 홀더(65,65')에 고정되며, 블레이드 홀더(65,65')는 승강 실린더(64)에 의해 수직 프레임(62')의 내측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될 수 있다. 제6(a)도에서 선 L-L'의 좌측 부분은 블레이드(67)가 승강 실린더(64)에 의해서 상승된 상태를도시하고, 우측 부분은 블레이드(67')가 하강하여 플랫 와이어(W)의 와이어 노출 부분 제2(a)도의도면 부호(22)에 삽입되어 단부에 있는 피복을 제거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다.
블레이드 홀더(65,65')의 측면에는 지지부(66,66')가 배치되며, 지지부(66,66')의 상부에는 플랫 와이어(W)가 지지된다. 지지부(66,66')는 승강 운동하는 블레이드 홀더(65,65')와는 독립적으로 수직 프레임(62,62')에 고정된다. 따라서 블레이드 홀더(65,65')가 승강 운동하더라도 지지부(66,66')는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62,62'), 승강 실린더(64,64'), 블레이드 홀더(65,65') 및, 지지부(66,66')는 왕복 실린더(63,63')가 수직 프레임(62,62')을 왕복 구동함으로써 수평 방향으로 일체로 운동할 수 있다. 수직 프레임(62,62')등은 일 시점에서 그들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고, 다른 시점에서는 간격이 좁아진다. 제6(a)도에서 선 L-L'선의 좌측 부분은 수직 프레임등의 간격이 넓어진 상태이고, 우측 부분은 간격이 좁아진 상태를도시한다.
탈피기(14)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송기(13)에 구비된 이송 승강부(41)는 플랫 와이어(W)를 지지부(66,66')의 상부에 올려놓을 수 있다. 이러한 전달 작용은 2 개의 평행한 평판으로 이루어진 이송 승강부(41)의 최대폭이 지지부(66,66') 사이의 최대 폭보다 좁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송 승강부(41)의 상부 표면에 올려진 플랫 와이어(W)는, 이송 승강부(41)의 전진 운동에 의해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가 지지부(66,66')의 상부 표면에 접촉 상태가 된다. 다음에 이송 승강부(41)가 하강하여 후진하면 플랫 와이어(W)는 지지부(66,66')에 의해 지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위와 같은 상태는 제6(a)도에서 L-L' 선의 좌측 부분에 의해서도시된 것이다.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될 바로서, 플랫 와이어(W)가 탈피기에도달하여 탈피 작용을 받을 때, 플랫 와이어(W)의 양 단부는 탈피기의 지지부(66,66')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그 중심부가 굽힘기(15, 제1도)에 구비된 승강 조오에 의해 고정된다. 플랫 와이어(W)는 중심부가 승강 조오에 의한 외력으로 고정되므로, 양 단부에서 탈피 작용이 이루어지더라도 한쪽으로 편향되지는 않는다. 제6(b)도는 탈피기(14)와 굽힘기(15)의 일부를 평면 상태로도시한 것으로서, 굽힘기(15)는 탈피기(14)의 수직 프레임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근접하거나 또는 이로부터 이탈되는 왕복 운동을 할 수 있다. 굽힘기(15)와 탈피기(14)가 상호 근접한 위치에 있을 때, 굽힘기(15)에 구비된 고정부 및 승강 조오는 탈피기(14)상의 플랫 와이어(W)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부(66,66')상에 플랫 와이어(W)가 지지되고 굽힘기의 조오에 의해 고정된 이후에는 왕복 실린더(63,63')가 작용하여 수직 프레임(62,62')의 폭이 좁아진다. 수직 프레임(62,62')의 폭이 좁아지면 블레이드(67,67')의 수직 하방에 플랫 와이어(W)의 와이어(22) 노출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승강 실린더(64,64')의 작용에 의해 블레이드 홀더(65,65')가 하강하면 블레이드(67,67')는 와이어 노출 부분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는 제6(a)도에서 L-L' 선의 우측 부분에도시된 바와 같다.
블레이드(67,67')가 와이어 노출 부분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직 프레임(62,62')은 왕복 실린더(63,63')의 작용으로 상호간의 폭이 넓어진다. 따라서 제2(a)도에도시된 플랫 와이어의 양단부 피복(24)은 제거될 수 있다. 양단부 피복(24)이 제거된 이후에도 플랫 와이어(W)는 다음의 굽힘 가공을 위해 지지부(66,66')상에 대기 상태로 유지된다.
제7도는 플랫 와이어를 굽힘 가공하는 굽힘기에 관한 사시도이다. 굽힘기(15)는 프레임(71)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 외측으로 돌출한 4 개의 샤프트(76,76')와, 몸체 외측에 고정된 고정부(77)와, 상기 고정부(77)의 상측에 배치된 플랫 와이어(W')의 상부 표면을 압박할 수 있는 승강 조오(79)를 구비한다. 프레임(71)의 하부에 설치된 회전 실린더(72)는 굽힘기(15)의 몸체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71)의 상부에 설치된 왕복 실린더(73)는 굽힘기 몸체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굽힘기(15)의 몸체 외측을 감싸는 커버(74)로부터 돌출한 샤프트(76,76')는도시되지 아니한 실린더에 의해 함께 승강될 수 있다. 커버(74)에 형성된 샤프트 이송홈(75)은 샤프트(76,76')의 이송 거리에 해당한다. 상하 2 개씩 2줄로 배열된 샤프트(76,76')의 사이에는 고정부(77)가 커버(74)의 외측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77)의 상부 표면에는 플랫 와이어(W')가 배치되며 (제7도에도시된 플랫 와이어는 굽힘 가공이 완료된 상태임), 플랫 와이어(W')의 상부 표면에는 승강 조오(79)가 승강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승강 조오(79)는 몸체의 상측에 설치된 승강 실린더(78)에 의해 승강 가능하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굽힘기(15)는 왕복 실린더(73)에 의해 탈피기(14)에 근접하거나 그로부터 이격되게 이동될 수 있으며, 근접 위치에서 고정부(77)의 상부 표면 수직 높이는 탈피기(14)의 지지부(66,66') 상부 표면 높이와 같다. 따라서 탈피되지 아니한 플랫 와이어(W)의 양 단부는 지지부(66,66')에 의해 지지됨과 동시에, 굽힘기(15)의 고정부(77)상에서 하강된 조오(79)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탈피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제8도에도시된 것은 굽힘기(15)의 정면도로서, 제7도에서도면 번호 76,76'로 표시되었던 4 개의 샤프트가 이동홈(75)을 따라 승강함으로써 플랫 와이어를 굽히는 작용을 2 개의 위치에서도시한 것이다.도면 부호 81 및 81' 로 표시된 것은 굽힘 작용이 수행되기 이전에 샤프트(76,76')가 상승 위치에서 대기중인 상태를 나타내며, 이때 플랫 와이어는도면 부호 W 로 표시된 바와 같이 평탄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강된 승강 조오(79)와 고정부(77) 사이에 고정되어 있다.도시되지 아니한 실린더의 작용에 의해 샤프트(81,81')가도면 부호 82,82'로 지시된 위치로 하강하면, 플랫 와이어는도면 부호 W'로 표시된 바와 같이 굽힘 작용을 받게 된다. 굽힘 작용은 샤프트가 하강할 때 고정부(77)의 수직 방향 외주면에서 형성되는 궤적을 따라 플랫 와이어(W)가 수직으로 굽힘으로써 수행된다.
제9도는 굽힘 작용이 종료된 상태를도시한다. 굽힘기(15)의 몸체는 왕복 실린더(73)에 의해 탈피기(14)로부터 이격되며, 이후에 승강 조오(79) 및 샤프트(76,76')가 상승할 수 있고, 회전 실린더(72)의 작용에 의해 굽힘기(15)의 몸체가 회전할 수 있다. 다음 단계의 가공을 받기 위해 고정부(77)에 유지되어 있는 플랫 와이어(W')는 적절한 수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완성된 플랫 와이어(W')는 제2(b)도에도시된 바와 같다.
위에 설명된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의 작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플랫 와이어(W)는 적재기(11)에 적층되며, 적재기(11)와 이송기(13)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흡착 노즐(33,33')에 의해 이송기(13)에 공급된다. 이송기(13)에 구비된 이송 승강부(41)는 승강 및 전후진 운동을 반복함으로써, 플랫 와이어(W)를 탈피기(14)의 지지부(66,66')상에 이송시킨다. 플랫 와이어(W)는 탈피기(14)의 지지부(66,66')상에 양단부가 지지됨과 동시에, 그 중심부가 굽힘기(15)의 고정부(77)와 승강 조오(79) 사이에 고정된다. 탈피기(14)에 구비된 블레이드(67,67')는 하강 운동함으로써 플랫 와이어(W)의 양 단부에서 와이어(22)의 노출 부분에 삽입되며, 수평 방향 운동을 함으로써 플랫 와이어(W)의 양 단부 피복(24)을 제거한다. 다음에 굽힘기(15)의 샤프트(76,76')가 하강함으로써 소정 형상의 플랫 와이어(W')가 완성된다. 굽힘기(15)의 몸체는 회전 실린더(72)의 작용에 의해 회전하며, 플랫 와이어(W')는 다음 단계의 공정을 위해 굽힘기(15)로부터 제거된다.
본 고안의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는 탈피 작업 및 굽힘 작업이 단일의 장치내에서 일관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므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다. 또한 각 부분의 동작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되므로 불량의 발생 가능성이 없다.
본 고안은 첨부된도면에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소정 길이로 절단된 다수의 플랫 와이어(W)를 적층 유지 할 수 있으며 최상단의 플랫 와이어(W)를항상 일정 높이에 유지시킬 수 있는 적재기(11), 상기 적재기(11)로부터 공급되는 플랫 와이어(W)를 소정 위치로 이송시키는 이송기(13), 상기 이송기(13)로부터 이송된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 피복을 제거하는 탈피기(14) 및, 양단의 피복이 탈피된 플랫 와이어(W)를 소정 형상으로 굽히는 굽힘기(15)를 구비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11)는 승강 수단에 의해 제어 가능하게 승강될 수 있으며, 그 위에 다수의 플랫 와이어(W)가 적층되는 승강 플레이트(32)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기(11)의 일측에는 상기 플랫 와이어(W)를 진공 흡착하여 소정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 가능하게 승강 및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한 진공 흡착 노즐(33,33')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기(13)는, 플랫 와이어(W)의 양단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한쌍의 평행한 가이드 부재(42) 및, 승강 운동과 전후진 운동이 제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한쌍의 플레이트와 그 위에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복수의 격벽(43)을 지닌 이송 승강 부재(41)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피기(14)는, 수평 프레임 부재(61),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61), 상기 수평 프레임 부재(61)위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수직 프레임 부재(62,62'), 상기 수직 프레임 주재(62,62')를 제어 가능하게 왕복 운동시키는 왕복 구동 수단(63,63'),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62,62')에 고정되며 상부에 플랫 와이어(W)의 양단이 지지되는지지 부재(66,66'),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블레이드(67,67') 및, 상기 블레이드(67.67')를 제어 가능하게 승강 구동하는 승강 구동 수단(64,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굽힘기(15)는, 프레임 부재(71), 상기 프레임 부재(71)의 상부에 설치된 몸체, 상기 몸체를 제어 가능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 구동 수단(72), 상기 몸체를 제어 가능하게 왕복 운동시킬 수 있는 운동 구동 수단(73), 상기 몸체 일측에 고정되어 상부 표면에 플랫 와이어(W)를 유지할 수 있는 고정 부재(77), 상기 고정 부재(77)의 상부 표면에 소정 압력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승강되는 승강 조오 부재(79), 상기 승강 조오 부재(79)를 제어 가능하게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78), 상기 고정 부재(77)의 외주면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는 샤프트 부재(76,76') 및, 상기 샤프트 부재(76,76')를 제어 가능하게 승강시키는 승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67,67')는 상기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에서 와이어가 노출된 부분에 수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직 프레임 부재(62,6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복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66,66')의 상부에 플랫 와이어(W)의 양단부가 지지될 때, 상기 굽힘기(15)의 몸체는 상기 몸체의 왕복 구동 수단(73)에 의해 상기 탈피기(14)로 접근하며, 상기 고정 부재(77)의 상부 표면과 상기 승강 조오(79)에 의해 상기 플랫 와이어(W)의 중심부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부재(76,76')는 상기 고정 부재(77)의 외주면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고정 부재(77)의 상부에 유지된 평탄한 플랫 와이어(W)를 소정 형상으로 굽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KR2019960002134U 1996-02-12 1996-02-12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KR2001452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134U KR200145209Y1 (ko) 1996-02-12 1996-02-12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134U KR200145209Y1 (ko) 1996-02-12 1996-02-12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30U KR970052730U (ko) 1997-09-08
KR200145209Y1 true KR200145209Y1 (ko) 1999-06-15

Family

ID=19450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134U KR200145209Y1 (ko) 1996-02-12 1996-02-12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520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432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를 이용한 중간 탈피방법
KR20230031434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1432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를 이용한 중간 탈피방법
KR20230031434A (ko) * 2021-08-27 2023-03-07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
KR102575652B1 (ko) * 2021-08-27 2023-09-06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
KR102575646B1 (ko) * 2021-08-27 2023-09-06 경림테크 주식회사 비정형 다발와이어용 중간 탈피장치를 이용한 중간 탈피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730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89428B2 (ja) 積み重ねられた被加工物の一番上から略平らな被加工物を取り出す方法及び装置
KR101444815B1 (ko) 자동 기계 가공 장치
CN109175680A (zh) 一种全自动pcb紫外激光切割机
CN112498823A (zh) 顶断包装设备
KR200145209Y1 (ko) 플랫 와이어 굽힘 장치
CN111162427A (zh) 一种电线端子自动铆压机
CN207464477U (zh) 一种全自动激光切割机
JPH0741522B2 (ja) トランスフア加工装置
CN112875287A (zh) 全自动输送抓夹机
JP2571754Y2 (ja) 把持具交換装置
JPH0477079B2 (ko)
EP0613844B1 (en) Apparatus for sorting, forming and removing stacks of ceramic tiles in multiple shapes
CN106914790B (zh) 加工定位装置、加工机床及加工方法
CN109534033B (zh) 用于拾取坯料样品的装置、用于修整片材形元件的机器以及拾取坯料的方法
CN210285840U (zh) 多尺寸料框升降输送装置
CN111203745B (zh) 一种送料结构以及上下料装置
CN215827822U (zh) 一种线槽成型机自动上料机械装置
JPH11179463A (ja) 板材加工機におけるワーク搬入出装置
RU2116855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штамповки крупногабаритных деталей
CN111114001B (zh) 自动保压设备
JP3321981B2 (ja) 表面処理装置
CN213010737U (zh) 上料机构及玻璃切割设备
CN218802640U (zh) 冲孔切边机
CN215437305U (zh) 自动贴二维码传送带
CN211413020U (zh) 自动化激光去涂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