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1758Y1 -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1758Y1
KR200141758Y1 KR2019960044803U KR19960044803U KR200141758Y1 KR 200141758 Y1 KR200141758 Y1 KR 200141758Y1 KR 2019960044803 U KR2019960044803 U KR 2019960044803U KR 19960044803 U KR19960044803 U KR 19960044803U KR 200141758 Y1 KR200141758 Y1 KR 200141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arm
cross member
panel
connection structure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48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640U (ko
Inventor
배재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448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1758Y1/ko
Publication of KR1998003164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64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1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17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Abstract

본 고안은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조립성 향상 및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탄력있는 재질로 중앙에 삽입공(111)이 형성된 완충재(110)가 일측에 결합된 컨트롤암(100)과, 상기 컨트롤암(10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에 각각 체결공(240)이 형성된 크로스멤버(2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암(100)의 삽입공(111)에 부시(120)를 결합하고, 상기 부시(120)와 크로스멤버(200)의 체결공(121, 240)에 일측 절개된 튜브형상의 스플릿슬리브(300)를 삽입하여 임시 고정하며, 볼트(260)를 상기 스플릿슬리브(300)를 통해 보디(280)에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히는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조립성 향상 및 체결상태를 더욱 견고히 할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이 연결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컨트롤암(10)은 일측에 고무나 플라스틱과 같은 탄력있는 재질의 완충재(11)가 결합되고, 상기 완충재(11)의 중앙에 원형상의 체결공(11a)이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암(10)이 결합되는 크로스멤버(20)는 상측의 어퍼패널(21)과 하측의 로오패널(22)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어퍼패널(21)과 로오패널(22)에 상기 완충재(11)의 체결공(11a)과 일치되는 체결공(24)이 형성되며, 상기 어퍼패널(21)의 체결공(24)상단에 너트(25)가 구비된 보디(28)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암(10)과 크로스멤버(20)의 연결은 우선 컨트롤암(10)의 완충재(11)를 크로스멤버(20)의 어퍼패널(21)과 로오패널(22)사이에 삽입하여 컨트롤암(10)의 체결공(11a)과 크로스멤버(20)의 체결공(24)을 일치시키고, 일치된 체결공(11a, 24)에 볼트(26)를 삽입하여 보디(28)의 너트(25)에 체결 고정함으로써 컨트롤암(10)과 크로스멤버(20)의 연결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에 컨트롤암(10)파 크로스멤버(20)의 연결구조는 진동이 발생하면 볼트(26)와 체결공(24)사이에 유동이 발생하여 볼트(26)의 체결상태가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진동이 발생하여도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품인 스플릿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컨트롤암 110 : 완충재
111 : 삽입공 120 : 부시
200 : 크로스멤버 210 : 어퍼패널
220 : 로오패널 241 : 체결공
300 : 스플릿슬리브 250 : 너트
260 : 볼트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탄력있는 재질로 중앙에 삽입공(111)이 형성된 완충재(110)가 일측에 결합된 컨트롤암(100)과, 상기 컨트롤암(100)의 일측이 삽입되도패널(210)과 로오패널(220)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에 각각 체결공(240)이 형성된 크로스멤버(2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암(100)의 삽입공(111)에 부시(120)를 결합하고, 상기 부시(120)와 크로스멤버(200)의 체결공(121, 240)에 일측 절개된 튜브형상의 스플릿슬리브(300)를 삽입하여 임시 고정하며, 볼트(260)를 상기 스플릿슬리브(300)를 통해 보디(280)에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주요부품인 스플릿슬리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고안인 자동차의 크로스멤버(200)와 컨트롤암(100)의 연결구조는 컨트롤암(100)과 크로스멤버(200)를 스플릿슬리브(300)를 이용하여 임시 고정하고, 상기 스플릿슬리브(300)에 볼트(260)를 체결하여 완전히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크로스멤버(200)는 일측에 상하로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을 형성하고, 상기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에 각각 일치되는 체결공(240)을 형성하며, 상기 어퍼패널(210)의 체결공(240)에 보디(280)의 너트(250)를 일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크로스멤버(200)와 결합되는 컨트롤암(100)은 일측에 진동을 흡수하는 완충재(110)를 결합하고, 상기 완충재(110)의 중앙에 체결공(111)을 형성하며, 상기 삽입공(111)에 크로스멤버(100)의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의 간격과 같은 길이로 중앙에 체결공(121)이 형성된 부시(120)를 삽입 고정한다. 또한, 상기 스플릿슬리브(300)는 원통형상으로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절개부(310)를 형성하여 내경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한 컨트롤암(100)과 크로스멤버(200)를 연결 할 경우에는 우선 컨트롤암(100)의 부시(120)에 형성된 체결공(121)과 크로스멤버(200)의 체결공(240)을 일치시키고, 일치된 체결공(121, 240)에 상하로 2개의 스플릿슬리브(300)를 삽입하여 임시적으로 고정하며, 상기 스플릿슬리브(300)에 볼트(260)를 삽입하여 어퍼패널(210)의 체결공에 일치된 보디(280)의 너트(250)에 체결함으로써 컨트롤암(100)과 크로스멤버(200)의 연결상태를 완전히 고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일치된 컨트롤암과 크로스멤버의 체결공에 스플릿슬리브 삽입하여 임시 고정하고 상기 스플릿슬리브에 볼트를 체결하여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을 연결함으로써 진동이 발생할 경우 볼트 체결부위의 마모를 스플릿슬리브가 방지하여 볼트의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조립작업시 임시적으로 연결상태를 고정할 수 있음으로 조립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탄력있는 재질로 중앙에 삽입공(111)이 형성된 완충재(110)가 일측에 결합된 컨트롤암(100)과, 상기 컨트롤암(100)의 일측이 삽입되도록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이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어퍼패널(210)과 로오패널(220)에 각각 체결공(240)이 형성된 크로스멤버(200)의 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암(100)의 삽입공(111)에 부시(120)를 결합하고, 상기 부시(120)와 크로스멤버(200)의 체결공(121,240)에 일측 절개된 튜브형상의 스플릿슬리브(300)를 삽입하여 임시 고정하며, 볼트(260)를 상기 스플릿슬리브(300)를 통해 보디(280)에 체결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 암의 연결구조.
KR2019960044803U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KR200141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03U KR200141758Y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4803U KR200141758Y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40U KR19980031640U (ko) 1998-08-17
KR200141758Y1 true KR200141758Y1 (ko) 1999-04-01

Family

ID=19476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4803U KR200141758Y1 (ko) 1996-11-30 1996-11-30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175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640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5685B1 (ko)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아 고정구조
KR100482109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 장치
KR200141758Y1 (ko)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KR100482130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KR0140764B1 (ko) 리어 미션 브라켓트
KR200180937Y1 (ko) 자동차용 고무부쉬
KR0125161Y1 (ko) 가변탄성식 스태빌라이저 바
KR19990007600U (ko) 스태빌라이져 고정구
KR200159173Y1 (ko) 너트조립체
KR19990035685A (ko) 부쉬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KR100233606B1 (ko) 차량 현가장치용 부시
KR200149647Y1 (ko) 리어 서스펜션의 어퍼아암 결합구조
KR200152053Y1 (ko) 트레일링 링크의 포크구조
KR20020001330A (ko) 버스용 에어서스펜션의 에어 브라켓트 고정 구조
KR0131250Y1 (ko) 크로스 멤버와 차체의 진동저감 결합구조
KR0115885Y1 (ko) 리어범퍼용 충격흡수재
KR19980041484U (ko) 자동차의 리프스프링 부시
KR870001669Y1 (ko) 충격흡수기의 완충 고무조립체
KR100192285B1 (ko) 서스펜션 암의 마운팅 부쉬
KR19980048878U (ko) 크로스멤버와 하부차체의 취부구조
KR19980060512U (ko) 로워암(lower arm) 고정 장치
KR19980025308U (ko) 쇽업소버용 러버 부시
KR19990019568A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이 부착되는 롱지튜디널의 마운팅구조
KR19990021086A (ko) 스테비라이저와 서스펜션 아암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