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130B1 -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130B1
KR100482130B1 KR10-2002-0068383A KR20020068383A KR100482130B1 KR 100482130 B1 KR100482130 B1 KR 100482130B1 KR 20020068383 A KR20020068383 A KR 20020068383A KR 100482130 B1 KR100482130 B1 KR 1004821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arm
opening
main body
rigid body
imp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8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063A (ko
Inventor
임세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8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213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0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1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1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6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allowing controlled deformation during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22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having L-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2Aluminium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관한 것으로,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본체와 강체물의 결합부위가 파단되어 충격을 차단함으로써, 현가장치로 가해지는 횡방향의 충격에 의해 차륜의 너클과 타이로드 등의 중요 구성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A lower arm in suspension system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가장치에 가해지는 횡방향 충격에 의해 로워암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중요한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의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량의 승차감 및 주행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장치로서, 이 같은 현가장치의 주요기능은 차체를 차륜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차륜으로부터 제공되는 진동을 억제 및 신속히 감소시키는 기능이다.
여기서, 차륜을 자체에 연결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하는 부재로 전방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로워암(110)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어 차체(100)에 A점부쉬(102)와 G점부쉬(104)가 연결되고 B점에서는 볼조인트(106)를 통해 차륜의 너클과 연결되어 어퍼암과 함께 차륜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스태빌라이저도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로워암(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에 연통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12)와, 일단이 본체(112)의 개구부로 삽입하여 3점(P1∼P3)의 볼팅에 의해 본체(112)에 체결되는 막대형상의 강체물(114)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급격한 코너링 또는 슬립 등에 의해 전방 현가장치에 횡방향의 충격이 가해지면 현가장치의 강성 및 구조에 따라 로워암이나 로워암에 연결되어 있는 차륜의 너클 또는 차륜에 연결된 조향장치의 타이로드가 파손될 수 있다.
이중 차륜의 너클이 파손되면 주행 안정성이 상실되고, 특히 타이로드가 파손되면 조향이 불가능해지는 최악의 사태가 발생하므로, 로워암이 파손되는 편이 가장 낫지만, 실제로는 로워암의 강성이 차륜의 너클과 타이로드에 비해 크므로 횡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차륜의 너클이나 타이로드가 파손되어 추돌사고나 전복사고 등 대형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횡방향의 충격을 감쇄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은, 차체에 체결되고 일측의 개구부에 연통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일단이 본체의 개구부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타단이 차륜의 너클측에 체결되는 강체물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와 강체물이 상기 강체물의 길이방향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수단을 매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완충수단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빗살모양으로 형성된 변형부와, 결합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와 접하는 상기 강체물의 부위에 상기 개구부측 방향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된 테이퍼부 및, 상기 강체물의 소정 부위에 파이프형태로서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을 도시한 평면도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은, A 점과 G 점이 차체에 체결되고 일측의 개구부(11)에 연통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10)와, 일단이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내로 삽입하여 볼트(Bt) 체결하고 타단(B 점)이 차륜의 너클 측에 체결되는 강체물(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에 의해 쉽게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빗살모양으로 부재의 축방향을 따라 다수로 절개되어 트임부를 형성하는 변형부(12)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강체물(2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서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와 접하는 부위에 개구부(11)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부(taper)(2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수용되는 부위에 파이프형태로서 외주면이 주름형상으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내로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2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강체물(20)의 테이퍼부(21)가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에 끼워맞춤으로 결합되는데, 상기 변형부(12)의 빗살형상으로 인한 잔류 응력으로 그 결합력이 보다 강해지게 된다.
일예로, 상기 강체물(20)은, 일반 강재보다 강성이 커서 충격시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변형의 발생에 유리한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로워암에 횡방향의 충격이 가해질 경우, 그 충격량이 일정 범위 미만의 작은 충격인 경우에는 상기 강체물(20)의 주름관(22)에 의해 그 충격이 감쇄된다.
만약, 가해지는 횡방향의 충격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충격인 경우에는 상기 강체물(20)의 주름관(22)이 수축하면서, 로워암 본체(10)의 변형부(12)가 외측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현가장치에 큰 힘의 횡방향 충격이 가해지면, 이 충격이 차륜의 너클이나 타이로드 등으로 전달되기 이전에 로워암이 먼저 파단되어 충격을 차단함으로써, 차륜의 너클이나 타이로드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형, 수정을 용이하게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 또는 수정이 본 발명의 특징을 이용하는 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로워암은, 횡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에 대해 본체와 강체물의 결합부위가 파단되어 충격을 차단함으로써, 현가장치로 가해지는 횡방향의 충격에 의해 차륜의 너클과 타이로드 등의 중요 구성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이용하면, 자동차의 주행 시 현가장치로 횡방향의 큰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차륜의 너클이나 타이로드가 파손됨으로 인한 추돌이나 전복 등의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로워암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워암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4에 도시된 로워암 본체의 개구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로워암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로워암을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횡방향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 로워암 본체와 강체물의 결합부위가 변형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개구부
12: 변형부 20: 강체물
21: 테이퍼부 22: 주름관
B: 볼트

Claims (3)

  1. 차체에 체결되고 일측의 개구부에 연통하는 내부의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본체와, 일단이 상기 본체의 개구부로 삽입하여 결합하고 타단이 차륜의 너클측에 체결되는 강체물로 구성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에는 충격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도록 빗살모양으로 축방향을 따라 다수로 절개되어 트임부를 형성하는 변형부가 구비되고, 결합상태에서 상기 본체의 개구부와 접하는 상기 강체물의 부위에 상기 개구부측 방향으로 좁아지는 형태의 테이퍼부가 형성되며, 상기 강체물의 일단 부위에서 파이프형태로서 외주면에 주름이 형성되어 길이방향으로의 신축이 가능한 주름관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완충수단을 매개로 상기 본체와 상기 강체물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물은 강성이 큰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KR10-2002-0068383A 2002-11-06 2002-11-06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KR1004821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383A KR100482130B1 (ko) 2002-11-06 2002-11-06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8383A KR100482130B1 (ko) 2002-11-06 2002-11-06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63A KR20040040063A (ko) 2004-05-12
KR100482130B1 true KR100482130B1 (ko) 2005-04-14

Family

ID=373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8383A KR100482130B1 (ko) 2002-11-06 2002-11-06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21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41899B1 (fr) * 2015-10-02 2018-08-03 Psa Automobiles Sa. Traverse de train arriere de vehicule, a moyens d'action pour son raccourcissement en cas de choc
FR3093674B1 (fr) * 2019-03-11 2024-03-15 Renault Sas Train de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bras de suspension assemblé comportant un organe de sureté fusib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120A (ja) * 1994-06-24 1996-03-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2002200908A (ja) * 2000-12-28 2002-07-16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67120A (ja) * 1994-06-24 1996-03-12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JP2002200908A (ja) * 2000-12-28 2002-07-16 Fuji Heavy Ind Ltd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063A (ko) 200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4142B2 (en) Wheel suspension for a vehicle axle
KR100372415B1 (ko) 선회 안전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현가장치
KR100482130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워암
KR102552080B1 (ko) 캠버 특성이 개선된 맥퍼슨 서스펜션
JP2009179294A (ja) カウルtoピラーブレース
KR102074646B1 (ko) 상용차량의 현가장치
KR100316958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로어암과 볼죠인트암의 결합구조
GB2150090A (en) Axle support arm
KR19990019567A (ko) 자동차 프론트 프레임의 충격흡수구조
KR100412858B1 (ko) 현가장치의 어퍼암
KR100423309B1 (ko) 전방현가장치의 로어암
KR200141758Y1 (ko) 자동차의 크로스멤버와 컨트롤암의 연결구조
CN214189287U (zh) 一种抗扭拉杆
KR200180937Y1 (ko) 자동차용 고무부쉬
KR100423313B1 (ko) 자동차의 현가장치
KR200274134Y1 (ko) 자동차 스티어링컬럼의 좌굴장치
KR100206223B1 (ko) 조향 컬럼 충격 완화구조
KR100507164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암 지지구조
KR200317033Y1 (ko) 차량의수직강성제어가개선된스테빌라이저바
KR100392222B1 (ko) 자동차의 상부전면에 위치하는 연결패널의 보강구조
KR10038024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장치
KR200149647Y1 (ko) 리어 서스펜션의 어퍼아암 결합구조
KR100412870B1 (ko) 자동차용 로어암의 지오메트리 부시
KR100452286B1 (ko) 차량 현가장치용 콘트롤아암용 부쉬
KR100461419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 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