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3138A - 옻음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옻음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3138A
KR20010113138A KR1020000033271A KR20000033271A KR20010113138A KR 20010113138 A KR20010113138 A KR 20010113138A KR 1020000033271 A KR1020000033271 A KR 1020000033271A KR 20000033271 A KR20000033271 A KR 20000033271A KR 20010113138 A KR20010113138 A KR 20010113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mixture
fermentation
sugar
syr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3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5825B1 (ko
Inventor
김범준
Original Assignee
김범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범준 filed Critical 김범준
Priority to KR1020000033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5825B1/ko
Publication of KR20010113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3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5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5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84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using microorganisms or biological material, e.g. 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76Yeas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옻음료 제조방법은 옻나무를 베어 서서히 말리므로 옻나무의 수분 증발과 동시에 우루셀 성분을 증발시키는 옻나무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옻나무로부터 옻물을 우려내는 옻물 형성단계와, 상기 우려낸 옻물에 설탕이나 물엿을 일정비율로 섞어 혼합하는 옻물 혼합단계와, 상기 설탕이나 물엿이 혼합된 옻혼합물에 적당량의 발효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므로 옻나무의 잔여 우루셀 성분을 제거하는 옻혼합물 발효단계의 순으로 진행함으로써, 옻의 독성을 제거하여 일반인들이 몸에 좋은 옻음료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옻음료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lacquer beverage}
본 발명은 옻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옻을 우려낸 물에 설탕이나 물엿을 일정 비율로 넣고, 거기에 이스트를 첨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옻의 독성을 제거하여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옻음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옻나무(Rhus vernicifera STOKES)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고목으로서 중국, 한국, 일본 및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으며, 껍질은 회백색이고, 잎은 우상복엽이며, 6월경에 황녹색의 꽃이 피고, 열매는 익으면 황갈색을 띠는 나무이다. 상기 옻나무의 수액을 옻이라 하며, 이 옻은 지금까지 공업용 또는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이창복,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1982)
일반적으로 옻나무는 옻나무의 독성으로 인하여 취급하기 어려워 현재까지 통경, 구충, 각 항균 등 이질이나 진해 등의 약제로 이용되고, 가구나 기계용 도료 등 특별한 용도 이외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한편, 옻나무의 옻의 특성은 몸이 냉한데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위장 등에 살균작용이 뛰어나고, 어혈을 풀어주며 또한 인체에 싸여 있는 불순물을 연동하여 배출시키고, 지방질 분해성이 뛰어나 피로회복에 좋고 정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며, 속이 쓰릴 때 특효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옻의 성분이 인체에 좋은 것은 알고 있으나 그 독성으로 인하여 사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옻에 대한 감수성이 예민한 사람에게는 아주 적은 옻이라도 피부질환을 일으키게 된다.
옻 독성은 우루셀(urushiol)이라는 성분인데 이 우루셀은 휘발성이 강하여 옻나무 근처에만 가도 옻이 오른다. 옻나무는 잎이 나는 초봄부터 잎이 떨어질 때 까지 습도가 알맞으면 멀리까지도 날아가는 강한 휘발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옻 특성상 피부에 닿았을 때 부작용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여 일반인들이 몸에 좋은 옻음료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옻음료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옻나무를 베어 서서히 말리므로 옻나무의 수분 증발과 동시에 우루셀 성분을 증발시키는 옻나무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옻나무로부터 옻물을 우려내는 옻물 형성단계와, 상기 우려낸 옻물에 설탕이나 물엿을 일정비율로 섞어 혼합하는 옻물 혼합단계와, 상기 설탕이나 물엿이 혼합된 옻혼합물에 적당량의 발효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므로 옻나무의 잔여 우루셀 성분을 제거하는 옻혼합물 발효단계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옻음료 제조공정을 나타내는 공정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0 ; 옻나무 건조단계 S20 ; 옻물 형성단계
S30 ; 옻물 혼합단계 S40 ; 옻 혼합물 발효단계
S50 ; 옻 혼합물 가열단계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옻음료 제조공정을 순서적으로 나타내는 공정순서도를 보인 것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옻나무를 베어다 껍질을 벗긴후 그늘에서 서서히 말리는 옻나무 건조공정(S10)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옻나무를 그늘에서 말리게 되면, 나무에 있는 우루셀 독성은 수분이 증발함과 동시에 증발하여 옻독이 제거되고, 옻껍질 부분에 있는 옻은 산화되어 버린다. 상기 산화된 옻은 다시 물에 넣어도 우루셀이 거의 나타나지 않게 된다. 옻껍질의 수분 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건조킨다.
그런 다음, 상기 건조된 옻나무에 물을 붓고 가열하여 옻물을 우려내는 옻물 형성단계(S20)를 수행한다.
그런 다음, 설탕이나 물엿을 상기 옻물에 첨가하여 혼합하는 옻물혼합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설탕이나 물엿을 첨가하는 비율은 옻물 부피비율 8∼10에 설탕이나 물엿 1을 첨가하여 희석시키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8:1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좋다.
그런 다음, 상기 옻물에 설탕이나 물엿이 혼합된 옻혼합물에 발효균을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옻혼합물 발효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발효균은 이스트를 적당량 넣게 되며, 상기 첨가한 이스트는 당을 발효시켜 옻혼합물 속에 남에 있는 우루셀 성분을 완전히 제거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스트로 인해 발효상태가 계속 진행되면, 발효 후에 79℃ 이상으로 끓이는 옻혼합물 가열단계(S50)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옻혼합물을 끓이게 되면, 알코올 성분이 증발하면서 발효상태가 중단되어 음용하기 좋은 옻음료수가 만들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옻나무의 독성인 우루셀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옻나무를 건조시키는 공정을 생략하고, 상기 이스트를 첨가하여 발효시키는 과정만으로 옻음료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옻음료 제조방법은 옻나무를 건소시킨 다음 옻을 우려낸 물에 설탕이나 물엿을 일정 비율로 넣고, 거기에 이스트를 첨가하여 발효시킴으로써 옻의 독성을 제거하여 일반인들이 몸에 좋은 옻음료를 손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옻나무로부터 우려낸 옻물에 설탕 또는 물엿을 혼합하는 옻물 혼합단계와,
    상기 설탕 또는 물엿이 혼합된 옻혼합물에 발효균을 첨가하여 옻나무의 우루셀 성분을 제거하는 옻혼합물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옻물 혼합단계의 옻물 대 설탕 또는 물엿의 부피비는 8:1 내지 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옻혼합물 발효단계는 이스트를 첨가하여 당을 발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옻혼합물 발효단계 이후에 옻혼합물을 가열하여 옻혼합물의 발효상태를 중단시키는 옻혼합물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옻혼합물 가열단계는 발효된 옻혼합물을 79℃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6. 옻나무를 건조하여 옻나무의 수분 증발과 동시에 우루셀 성분을 증발시켜 제거하는 옻나무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된 옻나무로부터 옻물을 우려내는 옻물 형성단계와,
    상기 우려낸 옻물에 설탕 또는 물엿을 섞어 혼합하는 옻물 혼합단계와,
    상기 설탕이나 물엿이 혼합된 옻혼합물에 발효균을 첨가하여 옻나무의 잔여 우루셀 성분을 제거하는 옻혼합물 발효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옻물 혼합단계의 옻물 대 설탕 또는 물엿의 부피비는 8:1 내지 10: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옻혼합물 발효단계는 이스트를 첨가하여 당을 발효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옻혼합물 발효단계 이후에 옻혼합물을 가열하여 옻혼합물의 발효상태를 중단시키는 옻혼합물 가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옻혼합물 가열단계는 발효된 옻혼합물을 79℃ 이상으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음료 제조방법.
KR1020000033271A 2000-06-16 2000-06-16 옻음료 제조방법 KR100355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271A KR100355825B1 (ko) 2000-06-16 2000-06-16 옻음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33271A KR100355825B1 (ko) 2000-06-16 2000-06-16 옻음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3138A true KR20010113138A (ko) 2001-12-28
KR100355825B1 KR100355825B1 (ko) 2002-10-19

Family

ID=1967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3271A KR100355825B1 (ko) 2000-06-16 2000-06-16 옻음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582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53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옻나무 음료
KR20010070610A (ko) * 2001-05-26 2001-07-27 한종수 옻추출물과 한방 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367286B1 (ko) * 2000-09-21 2003-01-10 김중배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KR100500213B1 (ko) * 2001-05-24 2005-07-11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KR20230016523A (ko) 2021-07-26 2023-02-02 천병록 독성을 제거한 옻차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09B1 (ko) * 2001-03-30 2005-03-30 김범준 옻-함유 식품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식품
KR101089176B1 (ko) 2009-12-30 2011-12-02 송재실 옻나무 추출물을 무독화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된 무독화된 옻나무 추출 발효물
KR101307968B1 (ko) * 2011-11-23 2013-09-12 임영빈 우루시올이 제거된 옻 발효식초의 제조방법
KR20220147385A (ko) 2021-04-27 2022-11-03 최진오 참 옻나무를 이용한 분말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의해 제조된 참 옻 분말과 진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95B1 (ko) * 1992-10-22 1995-06-14 김태호 옻술 제조방법
KR19980073793A (ko) * 1997-03-19 1998-11-05 김범준 옻닭 독성 제거 방법
KR19980077496A (ko) * 1997-04-19 1998-11-16 박왕규 옻된장 및 옻간장 제조방법
KR100339837B1 (ko) * 1999-12-10 2002-06-07 김중배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7286B1 (ko) * 2000-09-21 2003-01-10 김중배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추출물의 추출방법
KR20010008353A (ko) * 2000-11-25 2001-02-05 박인복 옻나무 음료
KR100500213B1 (ko) * 2001-05-24 2005-07-11 한종수 독성을 제거한 옻물 및 옻물 제조장치
KR20010070610A (ko) * 2001-05-26 2001-07-27 한종수 옻추출물과 한방 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16523A (ko) 2021-07-26 2023-02-02 천병록 독성을 제거한 옻차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5825B1 (ko) 200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29364A (zh) 一种玫瑰花酒的制备工艺
KR100355825B1 (ko) 옻음료 제조방법
CN105124007B (zh) 花香红茶的加工方法
CN103918816A (zh) 一种天柱红茶的加工工艺
CN105660914A (zh) 一种栀子花香红茶的制作工艺
CN109329847A (zh) 一种迷迭香山核桃仁的制备方法
CN104171176A (zh) 一种桂花花茶的制备方法
JP7358350B2 (ja) ダリア組成物、ダリア組成物の粉末、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CN107616243B (zh) 一种藏茶的制备工艺
CN113424881A (zh) 一种松针白茶及其制备方法
KR102571344B1 (ko) 섬백리향 및 방향성 식물 정유를 포함하는 향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783237A (zh) 一种清新润燥奶香核桃仁及其制备方法
WO2023179295A1 (zh) 一种高花果香红茶的加工制作方法
KR20170056830A (ko) 황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3331274B (zh) 一种基于自然发花的散茯茶及其制备方法
KR20220067062A (ko) 클로로젠산 및 루틴이 강화되고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황칠나무 추출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621742A (zh) 一种蔷薇花茶、其制备方法和用途
JP7282350B2 (ja) タンパク質糖化反応阻害物質の製造方法
CN112841365A (zh) 一种茶花茶的制作方法
CN105851332A (zh) 一种桔梗花茶及其制备方法
CN112438335A (zh) 一种茶树花茶制作方法
KR101959249B1 (ko) 친환경 채색 코팅을 갖는 도기 오카리나
CN111234975A (zh) 一种丰花玫瑰花酒及其酿制方法
KR102221339B1 (ko) 치자를 함유하는 기능성 차와 식혜의 제조방법
KR100385311B1 (ko) 은행잎 차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은행잎 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