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312A - 방향 선택 키를 구비한 축소 키보드 - Google Patents

방향 선택 키를 구비한 축소 키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312A
KR20010110312A KR1020017008447A KR20017008447A KR20010110312A KR 20010110312 A KR20010110312 A KR 20010110312A KR 1020017008447 A KR1020017008447 A KR 1020017008447A KR 20017008447 A KR20017008447 A KR 20017008447A KR 20010110312 A KR20010110312 A KR 20010110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data
keys
rdi
microproces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8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8297B1 (ko
Inventor
리앙 쓰 창
Original Assignee
리앙 쓰 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앙 쓰 창 filed Critical 리앙 쓰 창
Publication of KR20010110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5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chord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데이타 엔트리 및 처리 시스템은 종래의 데이타 엔트리 키들을 이용해서, 숫자 데이타의 한번의 스트로크 엔트리에 더해서 많은 보조 영숫자 데이타에 대해 간단한 2개의 스트로크 엔트리를 제공한다. 키 어레이는 주어진 영숫자 데이타 아이템을 선택하고 입력하기 위해 종래의 키들에 사용된 반경 방향 지시기 키들의 세트를 포함한다. LCD 표시에서, 앞서-프로그램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전자 구성 요소들은 입력된 신호를 전송을 위해 필요한 DTMF 톤 또는 컴퓨터 데이타 엔트리를 위한 ASCⅡ 코드로 변환하는것 뿐만아니라, 디스플레이 하는것도 포함된다. 이 시스템은 일반적인 이용자들의 사용에 간편하고, 모든 전자 구성 요소들은 표준적이며, 크기가 아주 작은, 숫자가 작고, 저소비전력 및 저비용이다. 소형화된 장치 애플리케이션에는 특히 더 좋다.

Description

방향 선택 키를 구비한 축소 키보드{REDUCED KEYBOARD WITH DIRECTIONAL SELECTION KEYS}
현재 통상의 전화기 키패드에는, 10개의 숫자 키, 별표(asterisk) 키 및 샤프 키(pound sign key, # 키)가 있다. 알파벳의 문자들은 8개의 숫자 키위에 세개씩 그룹을 이루어 기입되어 있다. 숫자들을 입력하는 것은 표시된 키들을 차례로 단지 누름으로서 행해진다. 그러나, 어떤 주어진 문자(알파벳)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일련의 키 스트로크(key stroke)가 필요하지만, 이 방법을 일반인들이 납득 또는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음성 메일 디렉토리 탐색 등의 전기 통신 응용에서나 또는 전자 브로커를 사용하는 주식에 있어서, 알파벳 데이타 코드들의 고유의 해석이 빈번히 필요하다. 그 결과로서, 종래의 키패드를 이용한 알파벳 데이타 입력에서의 에러들은 통상있는 좌절적인 일상이 되었다. 이러한 것들로 인해, 알파벳 데이타 및 숫자 데이타를 입력하는 간단하고, 비교적 에러가 없는 방법이 요청되고 있다.
종래의 키 배열로 영숫자 데이타를 입력하는 것에 따른 문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많은 장치들이 발명되었고 이용할 수 있었지만, 현재까지 일반 대중이나 제조업자에 의해 채용된 것은 하나도 없다. 이것은 주로 이들의 사용 및/또는 제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나 제어 패널용 키보드는 일반적으로 많은 키를 가지고 있으며, 몇몇 키는 2가지 기능이 가능하였다. 그 결과, 키보드의 크기는 데스크탑 컴퓨터에는 적합하지만, 랩탑 또는 각종의 소형의 휴대용 제어 패널과 같이 공간이 제약된 컴퓨터들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현재의 해결책은 키를 아주 작은 크기로 만들고 주어진 커맨드 입력을 위해 몇개의 키를 올바른 순서로 눌러야만 하는 것이다. 손가락이 큰 사용자에 있어서, 키 표면이 좁고 키들 사이의 간격이 작아 불만족스러우며 이로인해 오류가 생기게 된다. 이와같이, 키의 크기 및 필요한 키들의 개수가 보드 또는 키패드의 크기를 결정하게 된다.
리모콘(remote controller), 계산기, 게임기, 이동 전화기 및 유사한 전자 통신 장비의 제조업자들에게는, 종래의 키를 가지고 적절한 데이타 입력을 위해 공간이 필요하지만, 공간 제약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문제가 발생되고 있으며, 요망되는 장치의 소형화에도 장애가 되고 있다.
영숫자 키패드 문제점을 해소한 특허들이 많이 있다. 그러나, 그 어느 것도 단순한 "수동(hands on)" 방식으로 소망의 횟수의 개별 단일의 키 데이타 입력을 할 수 있으면서 복잡성이 없이 에러없는 데이타를 제공하거나 키패드/키보드를 실제로 소형화할 수 있는 키패드/키보드 데이타 입력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하시모또(Hashimoto)의 미국 특허 제4,918,721호 및 웬(Wen)의 미국 특허 제4,825,464호와 같은 많은 종래 기술의 특허들에서, 영숫자 키패드 데이타 입력 문제가 해결되었지만, 이 해결책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기에는 너무 복잡하고 취급이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다방향 키(multi-directional key)를 갖는 키패드의 사용에 대해 많은 특허들이 개시하고 있으며, 이것은 키보드 소형화의 가능성을 예기하고 있는 방법이다. 이들 특허 중에 린(Lin) 등의 미국 특허 제5,528,235호의 개시가 있다. 린 등의 특허에서는, 다상태 데이터 입력 키(multi-status dta entry key) 및 각 키 상태와 사전 할당된 신호 또는 상태 사이에 일대일 대응을 할 수 있는 키보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것은 5개의 면을 갖는 키를 스프링위에 탑재하고 이 키를 사용하여 네가지 직교 방향 및 아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키"는 다섯개의 키처럼 동작한다. 각 면 방향을 누름으로써 다른 데이타가 입력된다. 린 등의 특허는 이 입력 데이타를 사용가능한 폼으로 변환하여 전송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에 관하여 상세한 설명이나 특허청구의 범위에 어떠한 개시도 하고 있지 않다.
불행하게도, 린 등의 발명 및 유사한 장치들은 전화 통신 또는 리모콘 및 유사한 장비들에 대한 산업 시장에서 성공하지 못했다. 산업 제조업자들이 이들 발명 장치를 채용하지 못한 이유로서, 린 등의 특허에서 개시되어 있는 다면 키(multi-faceted key)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할 때 사용자 손이 촉각 오류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과 장치, 특히 키를 제조함에 있어서의 복잡성으로 가격이 고가로 되는 것을 들고 있다. 이러한 점을 살펴볼 때, 공간-제약이 있는 컴퓨터, 소형화된 제어기등 뿐만 아니라, 전자통신 장비를 위한 간단하면서 비교적 에러가 없는 영숫자 데이타 입력 시스템이 여전히 필요하다는 것은 분명하다.
본 발명은 데이타 입력 또는 장치 제어를 위한 키패드 및 키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방향 맵핑된 키 입력의(directionally-mapped, keyed) 영숫자 데이타 입/출력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화기용으로 사용되는 종래 기술의 통상의 키패드를 예시한 도면.
도 2는 단어 "BROWN"과 종래 기술의 통상의 키패드를 사용하여 각 문자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패드 스트로크를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호(multi-symbol) 데이타 입력 키 어레이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영숫자 데이타 입력 시스템의 개략 블럭도.
도 5는 단어 "BROWN"과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입력 키 어레이를 사용하여 각 문자를 입력하는데 필요한 키패드 스트로크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타 입력 키 어레이상에 위치하는 방향키들의 몇개의 대안 구성들 중의 하나를 예시한 도면.
본 발명은 키 어레이(key array), 마이크로프로세서, DTMF 발생기, LCD 드라이버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방향-매핑된, 영숫자 데이타 입력 시스템(a directionally-mapped, alpha-numeric data entry system)이다. 키 어레이는 "n"개의 반경 방향 지시기 키 및 숫자 키 그룹으로 된 적어도 하나의 셋을 포함한다. "n"개의 반경 방향으로 각 숫자 키를 둘러싸고 이쓴 표면위에는 알파벳 표기, 기호 또는 커맨드가 새겨져 있다. 어떤 반경 방향 키를 누른 다음에 숫자 키를 누르면, 숫자 키 주변에 위치하면서 누른 반경 방향에 대응하는 알파벳 표기나 다른 기호가 입력된다. 이와 같이, 8개의 반경 방향의 키를 사용하는 경우, 촉각의 문제 또는 오류없이 숫자 키 그룹내의 각 키마다 총 8개의 상이한 알파벳 입력과 1개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별히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키입력된 입력 신호를 수신하고 디지털 신호를 DTMF 발생기에 제공하여 전기 통신을 위한 DTMF 코드로 변환하도록 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터 입력을 위한 ASCⅡ 코드를 제공하고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LCD 드라이버에 신호를 보낸다. 키 어레이를 포함하는 완전한 시스템은 즉시 입수가능한 몇개의 구성요소만을 이용하며, 소형이고, 저렴하며 전력 소모를 거의 하지 않는다. 따라서, 전기통신 장비 또는 다른 통상의 데이타 입력/통신 장치에 즉시 채용가능하고 또한 적당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사용상의 단순성을 담보하면서, 종래의 숫자 키패드의 기능을 향상시킨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목적은 생산에 경제성이 있고 설치상 실용성이 있는 영숫자 데이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크기를 아주 소형으로 할 수 있어 장치 소형화에도 기여하는 데이타 입력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종래기술에 대한 주요 잇점은 발명의 구성 요소 모두가 표준화되어 있고, 즉시 입수가능하며 저가라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들 및 잇점들은 이하의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및 첨부된 도면을 고찰해보면 명백하게 될 것이다.
특별히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에는 전화기들에 사용된 것과 같은 종래의 키패드(1)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Q" 및 "Z"를 제외한 알파벳 24개 문자들이 8개의 숫자키 상에 3개씩 그룹을 이루도록 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키로 입력할 단어 "BROWN"을 도시하고 있는 도 2를 살펴보자. 단어 "BROWN"을 키로 입력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키패드(1)를 사용할 경우는, 각 문자에 대해 많은 키 스트로크를 입력해야만 하고 그에 덧붙여 단어가 끝났을 때 여분의 키 스트로크도 입력해야 한다. "BROWN"의 각 문자에 대응하는 키 스트로크는 각 문자 아래에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B"(10)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알파벳을 지시하는 "*" 키를 한번 누르고 "2"키를 두번 누르게 되는데, 그것은 "B"가 숫자키 "2"에서 두번째 글자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R"(15)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를 누른 다음에 "7"키를 두번 눌러야 한다. 단어의 끝에서는, 문자 "N"(5)에 대해서 키 스트로크 "*66"을 입력한 후에, 알파벳 입력의 끝을 지시하기 위해서 "#"키(20)를 눌러야만 한다. 종래 키패드에서 단어 "BROWN"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6개의 별도의 키 스트로크를 적절한 순서로 입력해야만 하며, 5개의 문자로 된 어떤 단어의 경우에는 키 스트로크가 21개까지 되기도 한다. 게다가, 문자 "Q" 나 "Z"를 입력할 방법도 없다.
알파벳 데이타를 전화기에 입력하는 이러한 어렵고 오류 발생이 쉬운 방법이 대중에게 인기가 없었던 것은 전혀 놀랄 일이 아니다.
영숫자 데이타 엔트리의 좋은 방법을 대중 및 산업에 제공하는 것은 희망적으로서, 방향 매핑된 영숫자 데이타 입력 시스템의 따르는 양호한 실시예가 제공된다.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다기호 입력 키 어레이의 예시적인 레이아웃을 도 3에 도시되어 있고, 도 4는 본 발명을 간략화한 블럭도이다. 시스템은, 사전 프로그램된 마이크로프로세서(60), 반경 방향 지시기(RDI) 키들의 셋(45) 및 마이크로프로세서(60)의 데이타 입력 신호를 제공하는 키패드 또는 어레이 키들(50),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신호를 전화기용의 DTMF 코드들(70)로 변환하는 DTMF 발생기(65), 마이크로프로세서(60)으로부터의 신호를 제공된 LCD(licquid crystal display) 드라이버(80) 및 LCD 드라이버(80)에 의해 구동되는 디스플레이(85)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60)는 모든 입력된 영숫자 데이타를 처리하고 DRMF 발생기 회로, 또는 컴퓨터 사용 용도인 출력 ASCⅡ 코드들(75)에 전송을 위해 영숫자 데이타를 BCD코드로 변환하는 것이 프로그램되어 있다. 또한 프로비전(provision)이 데이타 엔트리의 확인 모드를 사용자 선택을 위해 만들어짐으로서, 사용자는 데이타를 넣는 처리에 대해 동의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상에서 데이타 엔트리를 볼수 있다.
프로비전은 또한 기지의 컴퓨터 마우스와 같은, 대안의 방향 포인터(55)를 제공되고, 키패드 또는 어레이위에서 방향 키들(45)을 대신해서 연결되고 사용되어진다.
마이크로프로세서(60), DTMF 발생기(65) 및 LCD 드라이버(80)는 크기가 작고입력 전력이 아주 작게 사용된다. 키 어레이가 공간을 제일 많이 담당한다.
도3에 도시된 키 어레이는 제어기/컴퓨터 입력과 합쳐진 것에 대한 어레이의 예이다. 반경 방향 지시기(RDI) 키들은 큰 구역 멤브레인 회로 표면(25)위에 어레이의 최상층에 도시되어 있다. 8 방향들은 기입된 화살표들 (26), (27), (28), (29), (30), (31), (32) 및 (33)에 의해 지시되어지고, 필요할때 만지면 된다. 숫자 키들(35)은, 이 경우에서는 종래의 숫자 키들과 같게, 12개로 도시되어 있다.
각 숫자 키 주위에 기입된 구역(40)은 8개의 다른 표식은, 각 지시된 엔트리에 대한 문자, 숫자, 명령 또는 다른 기호이다. 종래 키패드 숫자들을 제외한 어떤 하나의 데이타 아이템을 넣기 위해서, 숫자 키(35)주위의 기입된 데이타(40)의 위치에 대응해서, 막(25) 위의 RDI 화살표를 처음 만지는 것만이 필요하다. 또한 "B"를 넣기 위해서는 UP 화살표(27)를 만지고 다음에 "2"키를 누른다. 도5는 단어"BROWN"을 넣기 위해 필요한 키 스트로크를 예시한다. 키 스트로크 95, 96, 97 , 98 및 99들은 RDI 방향성 키 스트로크의 조합이고 하나의 숫자 키 스트로크는 총 10개 이다. 2-스트로크 프로세스의 열은 소망한다면 뒤집을 수 있다. 이것은 "리버스(reverse)" 또는 "확인(confirm)"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불린다. "확인" 모드로 동작하는 것의 장점은 가능한 키의 상대적 위치를 보기 위한 최종 사용자를 돕는 것이다. 제1 종래의 키 스트로크후에 디스플레이에서 기능을 선택한다는 것이다. RDI 키에 의해 따라진다면, 관련된 매핑 알파/기능은 확실해지고 입력된다. 대신에 종래 키에 의해 따라진다면, 정상적인 숫자 데이타 입력은 규칙적인 숫자 입력으로서 받아들여 질것이다.
숫자의 데이타 엔트리에 대해서, 종래의 키상에서 종래의 하나의 스트로크 프로세스는 변화지 않은채 남아있다.
도 3에 예시된 어레이에서, 8개의 RDI 방향 키들 및 각각의 12개의 숫자 키들 주위에 기입된 8개의 가능한 데이타 입력이 있다. 따라서, 12개의 숫자 키 단일 스트로크 엔트리에 더해져서, 8 x 12 = 96 개의 부가적 데이타 이중(double) 스트로크 데이타 엔트리가 됨으로서, 총 108개이다.
어레이 및 RDI 방향 키들의 어떤 숫자에서 어떤 편리한 수의 키들이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주어진 키 주위에 기입된 데이타 아이템의 최고 갯수는 주로 알기 쉽게 데이타 아이템을 프린트하는것에 대한 키 주위에 제공되는 공간에 의존한다. 도 3에 도시된 어레이 예에서, 8개의 데이타 아이템이 있다. 그러나, 데이타 아이템의 두개의 링(ring)들이 사용되어진다면, 주어진 키 주위에 안쪽 및 바깥쪽 링을 형성할 것이고, 하나의 단일 키 아이템에 더해져서, 키당 16개의 데이타 아이템들이 생길 것이다. 바깥 데이타 링에 대한 RDI 방향 키들의 여분의 세트는 이 형성 또는 가능한 특별 "바깥 링(outer ring)" 키를 위해 사용되어진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것에 대안적으로서, RDI 방향 키들의 하나의 가능한 정리를 보여준다. 이 정리에서는, RDI 방향 키들은 하나씩 위치되어 있고 단일 멤브레인(membrane) 상은 아니다. RDI 방향 키들의 어떤 정리도 허가가능하고, 소형화된 제어 패널 또는 키패드에 대해서 이것은 데이타 엔트리 키 어레이를 설계하는데 도움이되는 위치 유연성을 인정한다.
키들의 갯수, 데이타 엔트리 유형 및 엔트리의 갯수의 선택은 전적으로 장치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표준 전화기 엔트리 패드에 대해서, 26개의 알파 데이타 아이템들이(A 부터 Z까지) 더해저서 키들의 갯수는 12개로서 남게 된다. 이 어레이에 대한 RDI방향 키들의 실질적인 갯수는 3개로서, 3개 문자들 또는 10개의 숫자 키 주위보다 작게 된다. 이것은 전화기에서 간단한 에러없는 영숫자 입력을 보증한다. 다이얼링에 대해, 숫자 엔트리는 종래적으로 이루어진다. 영숫자 또는 알파 엔트리에 대해서는, 확실한 2개 스트로크 엔트리만이 필요하다. 다른 코드들을 기억하는것 또는 필요한 갯수의 스트로크들, 또는 별표 또는 # 표시 입력이 필요한지의 여부를 해결 할 필요는 없다. 긴 기한으로서, 이 간단한 방법은 전화기 사용자들에게 큰 이익이되고 아마도 전자통신 산업에 의해서도 환영을 받을 것이다.
본 발명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키에 입력 데이타의 비율이 적어도 9:1로 늘어나는 것이다. 그 결과로서, 공간이 제약된 통신 장치들에 대한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은, 다른 방법에서 필요한 것보다 훨씬 작은 갯수의 키들에 대해 설계할 수 있는 능력에 의해 용이해진다. 특히, 본 발명 시스템은 가령, 리모콘, 전기적 오거나이저(organizer), 계산기, 컴퓨터, 게임 및 각종의 제어 패널과 같은 공간이 제약된 장치에 대해 아주 큰 장점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키들의 유형에 있어서 큰 유연성 또한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들 키들은 가령 전도성의, 고무의 또는 멤브레인 회로와 같은 어떤 현재의 사용가능한 유형들이 있다.
최종적으로, 시스템 전자 구성 요소들은 크기가 작고, 작은 갯수, 저소비전력 및 저비용이라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대규모 제조 물량에 대해서는, 전체 시스템은 매우 저 비용이다.
상기의 설명으로 부터, 양호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목적들을 이루는 것으로 믿고 있다. 상기의 설명된 시스템안에서 만들어진 각종의 변경들 및 수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대안 및 변경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있으며 그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상정된다.

Claims (8)

  1. 영숫자 데이타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a) 키 어레이;
    (b) 상기 키 어레이에 연결된 마이크로프로세서;
    (c)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로부터 BCD 신호를 수신하여 전화 전송을 위해 DTMF 코드 톤을 생성하는 DTMF 발생기 회로;
    (d)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 단말과 연결된 액정 디스플레이(LCD) 드라이버 회로; 및
    (e) 영숫자 데이타 입력이 있을 때 이를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키 어레이는 다수의 반경 방향 지시기(RDI) 키들 및 다수의 데이타 입력 키들을 포함하며,
    상기 RDI 키들 각각은 그의 반경 방향을 나타낸 화살표가 마크되어 있고,
    상기 데이타 입력 키들 각각은 선택된 데이타 아이템에 대해 마크되어 있고, 각 키에 바로 둘러싼 어레이 표면위에서 반경 위치들에 새겨진 다수의 영숫자 기호들을 포함하고, 보조 데이타 아이템들을 정의하고, 키마다의 상기 보조 데이타 아이템 개수는 상기 RDI 키들의 개수와 같거나 적고,
    상기 RDI 키들은, 어떤 선택된 RDI 키가 눌려졌을때, 상기 데이타 키와 관련된 상기 보조 데이타 아이템을 입력하기 위해 어떤 데이타 입력 키와 같이 동작하고 상기 선택된 RDI 키에 마크된 반경 방향에 대응하여 위치하며,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데이타 입력 키 위에 표시된 모든 특정 데이타 아이템을 해석하기 위해 프로그램 되어지고, 모든 상기 보조 데이타 아이템은 상기 키 어레이 위에 표시되고, 모든 상기 데이타 아이템은 DTMF 발생기 회로에 전송을 위해 BCD 코드로 변환되고, 또한 LCD 드라이버 회로에 전송을 위하여, 데이타 엔트리에 대응하는 영숫자 신호들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숫자 데이타 입출력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ASCⅡ 코드 신호 입력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데이타 엔트리들에 대응하는 ASCⅡ 코드 신호를 생성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숫자 데이타 입출력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확인(confirm) 모드 동작에서, 상기 보조 아이템의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프로그램되어지고, 상기 확인 모드에서, 어떤 선택된 보조 데이타 아이템이 입력되어 처리되어지기 전에 사용자 재고 및 선택을 위해, 선택된 데이타 입력 키를 둘러싼 모든 보조 데이타 아이템들의 디스플레이를 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숫자 데이타 입출력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어레이는 상기 RDI 키들을 동작불가능케하고 상기 RDI 키들과 같은 기능을 하는 대안의 반경 방향 지시기 장치의 연결을 위한 설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DI 키들은 단일한 멤브레인 회로 표면 또는 분리된 키들, 상기 키 어레이의 표면 위에 어떤 위치로 정렬된 키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6. 전화기용 영숫자 데이타 입/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a) 키 어레이;
    (b) 상기 키 어레이와 연결된 마이크로 프로세서;
    (c)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부터의 BCD 신호들을 수신하여 전화 전송을 위해 DTMF 코드 톤을 생성하는 DTMF 발생기 회로;
    (d)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출력 단말과 연결되는 액정 표시(LCD) 드라이버 회로;
    (e) 영숫자 데이타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이들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되,
    상기 어레이는 3개의 반경 방향 지시기(RDI) 키들 및 12개의 데이타 입력 키들을 포함하고,
    반경 방향을 도시한 화살표로 각각 표시되어 지고, 큰 구역 멤브레인 회로 요소위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타 엔트리 키들은 직접적인 숫자("1" 부터 "9" 및 "0" 까지) 또는 기호적 데이타 입력으로 표시되어지고, 3개 또는 그 이하의 알파벳 기호를 갖는 상기 데이타 입력 키들 중의 10개는 각 키를 인접하여 둘러싼 어레이 표면위에 반경 방향에 기입되어 있고, 26개의 알파 데이타 아이템들("A" 부터 "Z"까지)을 정의하며,
    어떤 선택된 RDI 키가 눌러졌을때 상기 RDI 키들은, 상기 데이타 엔트리 키와 관련된 알파 데이타 아이템을 넣기 위해 어떤 데이타 엔트리 키와 같이 동작하고, 상기 선택된 RDI 키위에 표시된 반경 방향에 대응해서 위치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상기 키 어레이 위에 표시된 모든 입력된 영숫자 아이템을 해석하도록 프로그램되어지고, 모든 상기 데이타 아이템들을 DTMF 발생기 회로에 전송을 위하여 BCD 코드로 변환하고, 또한 LCD 드라이버 회로에 전송을 위하여, 데이타 엔트리에 대응하는 영숫자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RDI 키들은 상기 키 어레이의 표면위에 어떤 적당한 위치에서, 분리되어져서 마운트되고 키들과 연결되고 정렬되고, 별도의 공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용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확인 모드의 동작에서, 상기 알파 데이타 아이템의 엔트리를 받아들이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 상기 확인 모드에서 어떤 상기 알파 데이타 아이템이 입력되고 처리되기전에 사용자 재고 및 선택을 위해서, 선택된 데이타 엔트리 키를 둘러싼 모든 알파 데이타 아이템들을 표시를 하게 하는전화기용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KR1020017008447A 1998-12-31 1999-12-17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KR100638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224,435 1998-12-31
US09/224,435 US6320942B1 (en) 1998-12-31 1998-12-31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PCT/US1999/030129 WO2000041061A1 (en) 1998-12-31 1999-12-17 Reduced keyboard with directional selection key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312A true KR20010110312A (ko) 2001-12-12
KR100638297B1 KR100638297B1 (ko) 2006-10-26

Family

ID=22840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8447A KR100638297B1 (ko) 1998-12-31 1999-12-17 영숫자 데이터 입출력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3) US6320942B1 (ko)
EP (1) EP1141814A1 (ko)
JP (1) JP2002534732A (ko)
KR (1) KR100638297B1 (ko)
CN (1) CN1133112C (ko)
AU (1) AU2056000A (ko)
BR (1) BR9916708A (ko)
CA (1) CA2358933C (ko)
MX (1) MXPA01006711A (ko)
TW (1) TW429357B (ko)
WO (1) WO20000410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1251B2 (en) 2007-10-27 2012-10-02 Zaco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79663A1 (en) * 1998-12-31 2004-09-16 Keytouch Corporation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US6320942B1 (en) * 1998-12-31 2001-11-20 Keytouch Corporation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US6792146B2 (en) * 1999-04-13 2004-09-1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y of multi-stroke characters
US20030006956A1 (en) * 1999-05-24 2003-01-09 Charles Yimin Wu Data entry device recording input in two dimensions
GB0018812D0 (en) 2000-08-02 2000-09-2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xt entry on portable device
US7856603B2 (en) 2000-08-17 2010-12-21 Moelgaard John Graphical user interface
US6897849B2 (en) * 2000-09-14 2005-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al keys
JP2002116869A (ja) * 2000-10-06 2002-04-19 Takuo Kitamur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US6771751B1 (en) * 2000-10-17 2004-08-03 Comdi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exchange and synchronization using DTMF over telephone communication channels
US20020163504A1 (en) * 2001-03-13 2002-11-07 Pallakoff Matthew G. Hand-held device that supports fast text typing
FI116591B (fi) 2001-06-29 2005-12-30 Nokia Corp Menetelmä ja laite toiminnon toteuttamiseksi
JP2005504370A (ja) 2001-09-20 2005-02-10 ティモシー ビー. ヒギンソン ユニバーサルキーボード
KR100409278B1 (ko) * 2001-11-09 2003-12-18 텔슨전자 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US7113172B2 (en) * 2001-11-09 2006-09-26 Lifescan, Inc. Alphanumeric keypad and display system and method
WO2003063005A1 (en) * 2001-12-12 2003-07-31 Yuh-Il Kim 3 contact points key buttons in small keypad
KR200269602Y1 (ko) * 2001-12-12 2002-03-25 김여일 소형 키패드용 3분할 사용가능 키버튼
US7014099B2 (en) * 2001-12-31 2006-03-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ata entry device
KR100377432B1 (ko) * 2002-03-29 2003-05-09 주식회사 네오패드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CN1672141A (zh) * 2002-08-16 2005-09-21 姜润基 使用软键盘输入字符的方法
US6943777B2 (en) * 2002-10-10 2005-09-13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user interface capability and method therefor
US7218313B2 (en) * 2003-10-31 2007-05-15 Zeetoo, Inc. Human interface system
CN100456216C (zh) * 2003-11-28 2009-01-28 英属开曼群岛商奇特加科技股份有限公司 以英文韵母组为基础的中文双拼输入法
KR100602400B1 (ko) * 2003-12-09 2006-07-14 조원형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US20050168447A1 (en) * 2004-01-30 2005-08-04 Caine Michael E. Keypad and method for detecting the selection of one of a plurality of key inputs associated with a single key
US7321360B1 (en) 2004-05-24 2008-01-22 Michael Gor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efficient communication utilizing a reduced number of selectable inputs
US7864949B2 (en) 2004-09-16 2011-01-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arrangement 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CN1758188A (zh) * 2004-10-08 2006-04-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多向度输入键盘
KR100678248B1 (ko) * 2004-11-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FR2878679A1 (fr) * 2004-12-01 2006-06-02 France Telecom Systeme de saisie de texte pour terminaux comportant un clavier a touches et des moyens de saisie directionnelle
US7320111B2 (en) * 2004-12-01 2008-01-15 Oded Volovitz Method for assigning large sets of characters in different modes to keys of a number keypad for low keypress-data-entry ratio
CN100549922C (zh) * 2005-01-05 2009-10-14 安宰佑 通过方向输入设备输入字符的方法和装置
US20060181435A1 (en) * 2005-02-11 2006-08-17 Research In Motion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characters typed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60271886A1 (en) * 2005-05-25 2006-11-30 Wenstrand John S Character entry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devices
US7417566B2 (en) * 2005-05-31 2008-08-26 Don Pham Sequential two-key system to input keyboard characters and many alphabets on small keypads
US8072427B2 (en) *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US7953448B2 (en) * 2006-05-31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KR100829782B1 (ko) 2005-06-13 2008-05-16 주식회사 씽크앤두 한글 입력장치 및 한글 입력방법
US20070047722A1 (en) * 2005-08-30 2007-03-01 Tetsunori Kunimune Telephone keypad with dot expression capability
US7646378B2 (en) * 2005-09-01 2010-01-12 David Hirshberg System and method for user interface
US7669770B2 (en) * 2005-09-06 2010-03-02 Zeemote, Inc. Method of remapping the input elements of a hand-held device
US7649522B2 (en) * 2005-10-11 2010-01-19 Fish & Richardson P.C.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US7652660B2 (en) 2005-10-11 2010-01-26 Fish & Richardson P.C. Mobile device customizer
US7280097B2 (en) * 2005-10-11 2007-10-09 Zeetoo, Inc. Human interface input acceleration system
US7649478B1 (en) 2005-11-03 2010-01-19 Hyoungsoo Yoon Data entry using sequential keystrokes
JP2007166511A (ja) * 2005-12-16 2007-06-28 Toshiba Corp リモコン装置及び情報再生装置
JP4449974B2 (ja) 2006-12-12 2010-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パネル、電気光学装置、及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KR101266265B1 (ko) * 2007-03-12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쿼티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이중톤 다중주파수 신호 출력 방법
KR101476182B1 (ko) * 2008-01-09 2014-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090179859A1 (en) * 2008-01-14 2009-07-16 Shaul Wisebourt Handhel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Keypad Having Multiple Character Sets Assigned Thereto, With The Character Sets Being Individually Illuminable
JP2011518375A (ja) * 2008-03-31 2011-06-23 逸郎 吉元 12キーqwerty文字入力装置
US20100207887A1 (en) * 2009-02-17 2010-08-19 Jepsen Philip M One-handed computer interface device
US8194041B2 (en) * 2009-03-11 2012-06-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Keypad with key pairs
US8654079B1 (en) * 2009-11-12 2014-02-18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putting data into a mobile device using a dynamically configured number pad
CN101706689B (zh) * 2009-11-25 2013-03-13 福州福昕软件开发有限公司 通过方向键进行字符输入的方法和装置
US20120057914A1 (en) * 2010-09-03 2012-03-08 Suni Vili Perez Resource expander keys
US8754861B2 (en) * 2011-07-06 2014-06-17 Google Inc. Touch-screen keyboard facilitating touch typing with minimal finger movement
US9563282B2 (en) * 2013-12-30 2017-02-07 Venkatakrishna Venkatesh Bevoor Brahmi phonemics based keyboard for providing textual inputs in indian language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67273A (en) * 1974-03-29 1976-06-29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pushbutton telephone keys for generation of alpha-numeric information
DE3446147A1 (de) * 1984-12-18 1986-06-19 Siemens Ag Folientastatur
JPH0754950B2 (ja) 1987-08-24 1995-06-07 橋本コーポレイション株式会社 プッシュホンを用いた文字通信方式
US4825464A (en) 1987-12-16 1989-04-25 Inventa Electronic Co., Ltd. Successive key operating mechanism for telephone dialing
FR2646808A1 (fr) * 1989-05-11 1990-11-16 Alcatel Business Systems Dispositif de saisie d'un texte alphanumerique comprenant un afficheur et un clavier et application de ce dispositif a un terminal telephonique
GB2242047A (en) * 1990-03-12 1991-09-18 Pitney Bowes Inc Alphanumeric data entry systems
US5339358A (en) * 1990-03-28 1994-08-16 Danish International, Inc. Telephone keypad matrix
US5249220A (en) * 1991-04-18 1993-09-28 Rts Electronics, Inc. Handheld facsimile and alphanumeric message transceiver operating over telephone or wireless networks
US5528235A (en) 1991-09-03 1996-06-18 Edward D. Lin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US5559512A (en) * 1995-03-20 1996-09-24 Venturedyne,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alpha-numeric data
JPH0911663A (ja) 1995-06-30 1997-01-14 Masayuki Makita 新聞紙
US5790103A (en) * 1995-10-04 1998-08-04 Willner; Michael A. Ergonomic keyboard entry system
JPH10210129A (ja) * 1997-01-24 1998-08-07 Kokusai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
US6043761A (en) * 1997-07-22 2000-03-28 Burrell, Iv; James W. Method of using a nine key alphanumeric binary keyboard combined with a three key binary control keyboard
US6320942B1 (en) 1998-12-31 2001-11-20 Keytouch Corporation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1251B2 (en) 2007-10-27 2012-10-02 Zacod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20942B1 (en) 2001-11-20
CA2358933C (en) 2004-07-27
US6681002B2 (en) 2004-01-20
MXPA01006711A (es) 2003-05-15
US20020051525A1 (en) 2002-05-02
CN1133112C (zh) 2003-12-31
US20030169188A1 (en) 2003-09-11
JP2002534732A (ja) 2002-10-15
AU2056000A (en) 2000-07-24
WO2000041061A1 (en) 2000-07-13
TW429357B (en) 2001-04-11
CN1258875A (zh) 2000-07-05
KR100638297B1 (ko) 2006-10-26
US6459777B1 (en) 2002-10-01
BR9916708A (pt) 2002-06-04
CA2358933A1 (en) 2000-07-13
EP1141814A1 (en)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10312A (ko) 방향 선택 키를 구비한 축소 키보드
US5528235A (en) Multi-status multi-function data processing key and key array
US5253940A (en) User selectable numeric keycaps layout
CN1117308C (zh) 用数字键输入语言相关字母
AU2002351591B2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keyboard
US8581750B2 (en) Data input system with multi-directional pointing device
US6483913B1 (en) Method for interactively entering alphanumeric text into a multiline display device using a keypad
US4831218A (en) Universal binary keyboard system
RU2421773C2 (ru) Клавиатура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лавиатурой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US6243460B1 (en) Telephone with character keypad
CN101981903A (zh) 12键qwerty文本输入方法
US20040179663A1 (en)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KR100580146B1 (ko) 문자입력버튼을 갖는 전자기기의 문자입력방법
CN101625600B (zh) 小键盘上文字输入的方法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WO2007046567A1 (en) Method for inputting words in an electronic appliance with buttons of inputting words
KR20050120517A (ko) 키보드의 키 배열
KR100430090B1 (ko) 데이터입력장치
CN101621556A (zh) 五行六列三十个字符按键的全字母手机键盘
CN1403905A (zh) 双键输入法
GB2378554A (en) Text inputting using a keypad of an electronic instrument
JPH0962425A (ja) 文字・記号入力装置
KR20020052042A (ko) 문자 패턴을 이용한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0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