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6182B1 -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6182B1
KR101476182B1 KR1020080002497A KR20080002497A KR101476182B1 KR 101476182 B1 KR101476182 B1 KR 101476182B1 KR 1020080002497 A KR1020080002497 A KR 1020080002497A KR 20080002497 A KR20080002497 A KR 20080002497A KR 101476182 B1 KR101476182 B1 KR 101476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nu
input
character
screen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6506A (ko
Inventor
조혜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6182B1/ko
Priority to US12/340,469 priority patent/US8479123B2/en
Priority to EP09150094A priority patent/EP2079012A3/en
Priority to CN2009100026320A priority patent/CN101483681B/zh
Publication of KR2009007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6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6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 내의 각종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에 부합하는 메뉴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최소한의 단말기 조작을 통해 원하는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 내의 각종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다양한 기능들의 예로 데이터 및 음성 통신 기능, 카메라를 통해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능, 음성 저장 기능, 스피커 시스템을 통한 음악 파일의 재생 기능, 이미지나 비디오의 디스플레이 기능 등이 있다. 일부 단말기는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추가적 기능을 포함하고, 다른 일부 단말기는 멀티미디어 기기로서 구현되기도 한다. 더욱이 최근의 단말기는 방송이나 멀티캐스트(multicast) 신호를 수신하여 비디오나 텔레비전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다. 상술한 노력은 단말기를 형성하는 구조적인 구성요소의 변화 및 개량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의 개량도 포함한다.
날이 갈수록 많은 기능이 하나의 단말기에 집적되어 구현됨에 따라서, 상기 집적된 기능들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이 계속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더욱 만족시키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이 단말기에서 쉽게 선택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더욱 고려되어 단말기 내의 각종 기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대기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부, 디스플레이부, 및 대기화면에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사용될 수 있는 메뉴들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진입하는 대기 화면 진입 단계, 및 상기 대기화면에서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가 선택되는 문자 종류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이 대기 화면으로 진입하는 대기 화면 진입 단계, 및 상기 대기화면에서 입력되는 문자가 사용될 수 있는 메뉴들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하는 메뉴 선택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가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대기화면 상에서 원하는 문자의 종류(예를 들면, 숫자, 한국어, 영어, 특수문자 등 중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에 부합하는 메뉴가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최소한의 단말기 조작을 통해 원하는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에 부합하는 메뉴를 단말기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사전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만의 취향에 따라 원하는 메뉴를 쉽게 실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 는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휴대 단말기와,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비휴대 단말기가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휴대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의 설명에 따른 구성은 휴대용을 위해 특별히 구성된 구성요소를 제외한다면 데스트탑 컴퓨터 등과 같은 상기 비휴대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휴대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상기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휴대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휴대단말기(100)와 휴대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 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 모듈(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은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 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휴대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단말기의 방위, 휴대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휴대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는 휴대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액정 디스플레 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휴대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과 내부 디스플레이 모듈(미도시)이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휴대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휴대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 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맵(지도) 정보가 저장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맵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의 각 메뉴의 최근사용내역 또는 누적사용빈도가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최근사용내역 또는 누적사용빈도의 용도는 나중에 후술된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 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더욱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를 외형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더욱 살펴보겠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간명함을 위해 폴더 타입, 바 타입, 스윙타입, 슬라이더 타입, 등과 같은 여러 타입의 휴대단말기들 중에서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슬라이더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전술한 타입을 포함한 모든 타입의 휴대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100)는 제1바디(200)와, 상기 제1바디(20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205)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타입일 수 있다.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200)가 제2바디(205)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적어도 일측이 폴딩 또는 언폴딩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폴더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2 바디가 폴딩(folding) 되게 구성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바디가 언폴딩(unfolding)되게 구성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더욱이 또한, 상기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단말기는, 비록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바디와, 상기 제 1 바디에 대해 스윙가능하게 구성된 제 2 바디를 포함하는 스윙 타입일 수도 있다. 여기서, 제 1 바디가 제 2 바디에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라 칭할 수 있으며, 제 2 바디가 스윙되어 제 1 바디의 일부분이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폴더 타입과 상기 스윙 타입에 따른 단말기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2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와 제 1 리어 케이스(225)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 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200), 구체적으로 제 1 프론트 케이스(220)에는 디스플레이모듈(151), 음향출력모듈(152), 카메라(121) 또는 제1 사용자 입력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은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설명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음향출력모듈(152)은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200)와 마찬가지로, 제 2 바디(205)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와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의해 형성된다.
제2 바디(205), 구체적으로 제 2 프론트 케이스(230)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사용자 입력부(215)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또는 제 2 리어 케이스(235))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사용자 입력부(245),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사용자 입력부(210, 215, 245))는 사용자 입력부(130)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 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215)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 사용자 입력부(210)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에 디스플레이되는 아이콘들과 연동되어 사용되는 소위 소프트키와, 방향 지시 및 확인을 위한 네비게이션키(4개의 방향키 및 중앙키로 구성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245)는 예컨대 사이드키 형태로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키의 자세한 용도에 대해서는 이후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에 대해서는 이미 도 1과 관련되어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 측에는 상기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90)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는 도 2의 휴대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제2바디(205)의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후면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는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와 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바디(200)의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바디의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50)와 거울(255)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쉬(250)는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상기 거울(255)는 사용자가 제2바디(205)의 카메라(121)을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제 2 리어 케이스(235)에는 음향출력모듈 (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바디(205)의 음향출력모듈(152)는 제1바디(200)의 음향출력모듈(152)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 2 리어 케이스(235)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2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260)는 제2바디(205)(2)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바디(200)의 제 1 리어 케이스(225) 측에는 제1바디(200)와 제2바디(205)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265)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265)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205)의 제 2 프론트 케이스(230)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카메라(121)) 등이 제2바디(20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 등과 같이 제 2 리어 케이스(235)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260, 121 내지 250, 15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200), 주로는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제 1 리어 케이스(225)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205)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바디의 카메라(121)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바디의 카메라(121)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바디의 카메라(121)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단말기가 동작 가능한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통신 시스템은, 서로 다른 무선 인터페이스 및/또는 물리 계층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시스템에 의해 이용 가능한 무선 인터페이스에는,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시분할 다중 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UMTS')(특히, LTE(Long Term Evolution)),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GSM')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CDMA에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을 포함한 모든 통신 시스템 적용될 있음은 당연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무선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기들(100), 복수의 기지국(Base Station; 'BS')(270), 기지국 제어부(Base Station Controllers; 'BSCs')(275), 이동 스위칭 센터(Mobile Switching Center; 'MSC')(280)를 포함할 수 있다. MSC(280)는, 일반 전화 교환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PSTN')(290)과 연결되도록 구성되고, BSCs(275)와도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BSCs(275)는, 백홀 라인(backhaul line)을 통하여, BS(270)과 짝을 이루어 연결될 수 있다. 백홀 라인은, E1/T1, ATM, IP, PPP, Frame Relay, HDSL, ADSL 또는 xDSL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BSCs(275)가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각각의 BS(270)는, 적어도 하나의 섹터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섹터는, 전방향성 안테나 또는 BS(270)으로부터 방사상의 특정 방향을 가리키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섹터는, 다양한 형태의 안테나를 두 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각각의 BS(270)는, 복수의 주파수 할당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파수 할당 각각은, 특정 스펙트럼(예를 들어, 1.25MHz, 5MHz 등)을 갖는다.
섹터와 주파수 할당의 교차는, CDMA 채널이라고 불릴 수 있다. BS(270)은, 기지국 송수신 하부 시스템(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s')이라고 불릴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지국"이라는 단어는, 하나의 BSC(275) 및 적어도 하나의 BS(270)을 합하여 불릴 수도 있다. 기지국은, 또한 "셀 사이트"를 나타낼 수도 있다. 또는, 특정 BS(270)에 대한 복수의 섹터들 각각은, 복수의 셀 사이트로 불릴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송신부(Broadcasting Transmitter; 'BT')(295)는, 시스템 내에서 동작하는 단말기들(100)에게 방송 신호를 송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방송용 모듈(111)은, BT(295)에 의해 전송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단말기(100) 내에 구비된다.
뿐만 아니라, 도 4에서는, 여러 개의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위성(300)을 도시한다. 상기 위성들(300)은, 복수의 단말기(100) 중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을 돕는다. 도 4에서는 두 개의 위성이 도시되어 있지만, 유용한 위치 정보는, 두 개 이하 또는 이상의 위성들에 의해 획득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GPS 모듈(115)은, 원하는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위성들(300)과 협력한다. 여기에서는, GPS 추적 기술뿐만 아니라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모든 기술들을 이용하여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또한, GPS 위성들(300) 중 적어도 하나는,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로 위성 DMB 전송을 담당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전형적인 동작 중, BS(270)은, 다양한 단말기들(100)로부터 역 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이때, 단말기들(100)은, 호를 연결 중이거나, 메시지를 송수신 중이거나 또는 다른 통신 동작을 수행중에 있다.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수신된 역 링크 신호들 각각은, 특정 기지국(270)에 의해 내에서 처리된다. 상기 처리 결과 생성된 데이터는, 연결된 BSC(275)로 송신된다. BSC(275)는, 기지국들(270) 간의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들의 조직화를 포함하여, 호 자원 할당 및 이동성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BSC(275)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를 MSC(280)으로 송신하고, MSC(280)은, PSTN(290)과의 연결을 위하여 추가적인 전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유사하게, PSTN(290)은 MSC(280)과 연결하고, MSC(280)은 BSCs(275)와 연결하고, BSCs(275)는 단말기들(100)로 순 링크 신호를 전송하도록 BS들(270)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는 제어 방법과 관련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겠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더욱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하의 실시예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이 아니더라도 구현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다. 이하에서는 하기의 실시예들이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이 아니더라도 실시될 수 있음을 강조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이 아닌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도면부호 400으로 지칭하도록 하겠다.
제 1 실시예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6 및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먼저,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대기 상태의 화면(이하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대기 화면의 하단에는 좌하단 아이콘(401)과 우하단 아이콘(402)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비록 도 6의 (6-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대기 화면의 하단에는 중하단 아이콘(도 13의 (13-3)의 40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좌하단 아이콘(401), 상기 좌우단 아이콘(402), 상기 중하단 아이콘을 단순히 터치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좌하단 아이콘(401), 상기 우하단 아이콘(402), 및 상기 중하단 아이콘(403)은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에 구비되는 제 1 및 2 소프트키(미도시)와 네비게이션키(미도시)의 중앙키를 통해 각각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이 없더라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므로, 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도 6에서는 상기 좌하단 아이콘(401)으로서 메뉴 아이콘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메뉴 아이콘은 상기 휴대단말기 내의 각종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도 6에서는 상기 우하단 아이콘(402)으로서 문자종류 아이콘이 할당되어 있다.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는 대기 화면 상에서 문자 입력을 위해 사용자 입력부의 예컨대 키패드가 조작되는 경우 입력될 문자의 종류(이하 "대기화면 문자 종류"라 함)를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문자의 종류로서 예를 들면, 영어, 한국어, 숫자, 특수문자 등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트북, 데스크탑 등과 같은 개인용 컴퓨터의 윈도우 대기 화면에서는 문자 입력을 위해 키보드를 조작하더라도 문자가 입력되지 않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도 6의 (6-1)에서는 예시적으로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이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영어임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소프트키가 선택된다.
그러면, 도 6의 (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이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영어에서 한국어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소프트키가 다시 선택된다.
그러면, 도 6의 (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이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다시 한국어에서 숫자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상기 제 2 소프트키가 다시 선택된다.
그러면, 도 6의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가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숫자에서 특수 문자로 전환되었음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특수 문자들의 리스트 창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단말기 사용자는 원하는 특수 문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상기 키패드를 통해 선택함으로써 상기 원하는 특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다[S51].
도 7의 (7-1) 및 (7-2)에서는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영어와 숫자일 때를 각각 예시하고 있다.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이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영어인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영어인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키패드를 조작한다[S52].
그러면, 도 7의 (7-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입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에디터 창(또는 화면)(500)이 디스플레이된다[S53].
그리고, 상기 에디터 창(500)에는 상기 키패드 조작에 해당하는 영문이 작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S54]. 상기 문자 입력 중에도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을 선택하여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를 영어에서 다른 종류(예를 들면, 한국어, 숫 자, 또는 특수문자)로 전환할 수도 있다.
상기 에디터 창(500)이 반드시 생성(또는 화면 전환)되어 디스플레이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영문이 대기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의 하단에는 상기 입력된 영문이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단말기 내의 메뉴들(실행 후보 메뉴들)을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510)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뉴리스트(510)에는 상기 입력된 영문에 대한 실행 후보 메뉴들로서 메시지 메뉴(511), 이메일 메뉴(512), 및 메모 메뉴(513)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은 상기 휴대단말기(100)에서 누적 사용 빈도순 또는 최근 사용순에 따라 순서대로 디스플레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뉴리스트(510)에 나타나는 실행 후보 메뉴들의 사용에 대해서는 이하의 별도의 실시예로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도 6의 (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종류 아이콘(402)이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숫자인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키패드를 조작하는 경우를 살펴보자.
상기 대기 화면 문자 종류가 영어인 상태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키패드를 조작한다[S52].
그러면, 도 7의 (7-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 입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에디터 창(또는 화면)(500)이 디스플레이되고[S53], 상기 에디터 창(500)에는 상기 키패드 조작에 해당하는 숫자가 작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S54].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의 하단에는 상기 입력된 숫자가 적용되어 수행될 수 있는 단말기 내의 실행 후보 메뉴들을 나타내는 메뉴 리스트(510)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뉴 리스트(510)에는 상기 입력된 숫자에 대한 실행 후보 메뉴들로서 전화 메뉴(514), 메시지 메뉴(511), 전화번호부 메뉴(515)가 예시되어 있다. 이 외에는 도 7의 (7-1)과 관련된 전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즉, 도 7의 (7-1) 및 (7-2)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대기화면 상에서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가 상기 휴대단말기에서 디스플레이되면서 이를 위한 실행 후보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은 상기 입력되는 문자에 따라서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이하의 실시예에서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제 2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다른 대기화면 문자종류 선택 방안에 대해,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로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9의 (9-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대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문자 입력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패드가 조작된다[S81].
그러면, 도 9의 (9-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문자 입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에디터 창(또는 화면)(500)이 디스플레이된다[S82].
상기 에디터 창(500)에는 상기 키패드 조작에 해당하는 가능한 적어도 둘 이상의 종류의 문자들이 작성되어 디스플레이된다[S83]. 도 9의 (9-2)에서는 상기 키패드 조작에 대응되는 문자의 종류가 3가지, 즉, 숫자, 영문, 및 국문이 있는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 다음, 도 9의 (9-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3가지 종류의 문자들 중에서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하기 원하는 종류의 문자(예를 들면 영어)가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통해 선택된다[S84].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상기 원하는 종류의 문자에 커서가 위치하도록 하여 선택하는 것에 대해서는, 본 기술의 당업자라면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간명함을 위해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러면, 도 9의 (9-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어에 따른 상기 키패드 조작에 해당하는 문자만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도 9의 (9-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한다면 상기 디스플레이되는 문자에 연이어 영어 문자를 계속 입력할 수도 있다.
도 9의 (9-4) 및 (9-5)에 디스플레이되는 메뉴리스트(510)에 대해서는 이미 제 1 실시예에서 전술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제 3 실시예
앞선 제 1 및 2 실시예에서 대기화면에서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실행 후보 메뉴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됨에 대해 잠시 언급되었다. 이에 대해 좀더 구체적으로 여러 개의 실시예들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고, 도 11 및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입력되는 문자에 부합되어 실행될 실행 후보 메뉴가 단말기 제조 과정 중에 사전설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사전설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먼저 이에 대해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상기 단말기 사용자에 의한 사전설정은 본 실시예만을 위한 것은 아니며 이하의 다른 실시예들을 위해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먼저, 도 11의 (1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좌하단 아이콘(401)인 메뉴 아이콘이 선택된다.
그러면, 도 11의 (1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단말기 내의 각종 메뉴들(600)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중에서 단말기 설정을 위한 "9. setting" 메뉴가 선택된다. 상기 선택은 여러 방법을 통해 행해질 수 있으나, 간편하게는 상기 키패드 상의 해당 번호(즉, 9)를 누름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1의 (1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9. setting" 메뉴의 하부 메뉴들(610)이 디스플레이된다. 그 중에서 "3. Menu Assignment" 메뉴가 선택된다. 상기 선택도 간편하게는 상기 키패드 상의 해당 번호(즉, 3)를 누름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그러면, 도 11의 (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3. Menu Assignment" 메뉴의 하부 메뉴들(620)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하부메뉴들 중에서 "2. New Assignment"는 입력되는 문자에 부합하여 실행될 수 있는 실행 후보 메뉴를 새로이 사전 설정(즉, 입력문자에 대해 실행 후보 메뉴를 할당)하기 위한 것이고, "1. Assignment List"는 기존의 입력문자에 대한 실행 후보 메뉴 할당 리스트를 보기 위한 것이다.
상기 "2. New Assignment"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의 (11-4)에서 "2. New Assignment"가 선택된다.
그러면, 도 11의 (11-5) 또는 (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입력 문자에 대한 실행 후보 메뉴 할당용 창(또는 화면)(630)이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뉴 할당용 창(630)에는 입력 문자를 지정하기 위한 텍스트 박스(631)와, 상기 텍스트 박스(631)에서 지정된 입력 문자에 대한 사전 설정 가능한 모든 실행 후보 메뉴들(632, 633, 634, 635)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상기 메뉴 할당용 창에서는 상기 텍스트 박스(631)를 통해 소정의 입력문자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입력문자에 대한 실행 후보 메뉴들이 선택된다.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로는 전화 메뉴, 메시지 메뉴, 이메일 메뉴, 인터넷 메뉴, 메모 메뉴, 전자 사전 메뉴, 지도 메뉴, 멀티미디어 메뉴, 및 방송수신 메뉴 등이 있을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11의 (11-5)에서는 상기 텍스트 박스(631)에서 "'www' or 'http'"가 지정되고, 한 실행 후보 메뉴(즉, 인터넷)가 선택된다. 그러면, 본 사전 설정 과정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 중에 상기 지정된 "www" 또는 "http"라는 문자가 있으면(예를 들면, 입력되는 문자가 "www.lge.com"이라면) 도 11의 (11-5)에서 선택된 실행 후보 메뉴(즉, 인터넷)가 전술한 상기 에디터 화면(500)의 메뉴 리스트(510)에 나타나도록 한다.
도 11의 (11-6)에서는 상기 텍스트 박스(631)에서 "'ch' and number"가 지정되고, 한 실행후보메뉴(즉, TV)가 선택된다. 그러면, 본 사전 설정 과정이 종료된 이후에 상기 대기화면 상에서 입력되는 문자 중에 상기 "ch"와 숫자가 연이어 있으면(예를 들면 입력되는 문자가 "ch11"이라면) 도 11의 (11-6)에서 선택된 실행 후보 메뉴(즉, TV)가 전술한 상기 에디터 화면(500)의 메뉴 리스트(510)에 나타나도록 한다.
상기 실행 후보 메뉴가 상기 에디터 화면(500)의 메뉴 리스트(510)에 나타나는 것에 대해서는 다시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의 (11-5) 및 (11-6)에서는 하나의 실행 후보 메뉴만이 선택되는 것에 대해 예시되었으나, 본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둘 이상의 실행 후보 메뉴들이 동시에 선택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실행 후보 메뉴가 선택된 다음에 도 11의 (11-5) 및 (11-6)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 있는 상기 사전 설정의 저장을 위한 좌하단 아이콘(즉, "save"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사전 설정은 저장된다.
도 11의 (11-4)에서 "1. Assignment List"이 선택되면, 도 11의 (1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상기 실행 후보 메뉴 할당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실행 후보 메뉴의 할당의 예에 좀더 살펴보면, 상기 대기 화면 상에서 입력된 문자가 숫자로 구성되는 경우, 전화 메뉴, 메시지 메뉴, 메모 메뉴, 및 방송수신 메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실행 후보 메뉴가 할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기 화면 상에서 입력된 문자가 인터넷 주소과 관련된 표현(www, http, co, com, gov)를 포함하는 경우, 인터넷 메뉴 및 상기 메모 메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실행 후보 메뉴가 할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대기 화면 상에서 입력된 문자가 이메일 주소와 관련된 표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이메일 메뉴 및 상기 메모 메뉴 중 적어도 하나에 관련된 실행 후보 메뉴가 할당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상기 사전설정된 실행 후보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에 대해 다시 살펴본다.
도 12의 (1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대기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있고, 이 때 소정의 문자 입력을 위한 상 기 키패드의 조작이 행해진다[S101].
그러면, 도 12의 (1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에디터 창(500)이 나타나고 상기 에디터 창(500)에서는 상기 키패드 조작에 대응되는 문자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입력된 문자를 분석(또는 파싱(parsing))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실행 후보 메뉴들을 검색한다[S102].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 하단에 상기 메뉴 리스트(510)로서 상기 검색된 실행 후보 메뉴들(511, 512, 513)이 디스플레이된다[S103].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 중에서 한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가 상기 선택된 메뉴에 적용되어 실행된다.
한편, 도 12의 (1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에 디스플레이되는 문자가 점차 지워진다고 가정하자. 상기 문자가 모두 지워지면 도 12의 (1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은 사라지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서는 대기화면 상태로 돌아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의 실행 태양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로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3의 (1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에디터 창(50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상기 에디터 창(500)에는 상기 키패드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 하단에는 상기 입력된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실행 후보 메뉴들의 메뉴 리스트(510)가 디스플레이되고 있다.
상기 메뉴 리스트(510) 중에서 "message" 메뉴가 선택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message" 메뉴가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한 선택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러면, 도 13의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은 예컨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에는 메시지 상대방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상대방 리스트에서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소망의 상대방이 선택되면, 도 13의 (1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된다.
따라서, 도 13의 (13-3)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 표시되는 중하단 아이콘(403)으로 표시되는 전송 아이콘(403)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는 상기 메시지로서 상기 소망의 상대방으로 전송된다.
만약 상기 대기화면에서 입력되는 문자에 부합되는 실행 후보 메뉴가 하나인 경우에는, 실행 후보 메뉴에 관한 메뉴 리스트(510)가 디스플레이됨 없이 (즉, 상기 대기 화면(도 12의 (12-1))에서 도 13의 (13-1)을 거치지 않고 바로 도 13의 (13-2)로) 화면 전환이 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의 다른 실행 태양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로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4의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에디터 창(500)이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상기 에디터 창(500)에는 상기 키패드 조작을 통해 입력되는 문자가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 하단에 상기 메뉴 리스트(510)로서 상기 검색된 실행 후보 메뉴들을 디스플레이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메뉴 리스트(510)는 제 4 실시예에서의 메뉴 리스트와는 달리 둘 이상의 실행 후보 메뉴들이 동시에 선택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시지 전송을 위한 "message" 메뉴와 맵(지도) 검색을 위한 "map" 메뉴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도 14의 (1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 리스트(510)에서 상기 "message" 메뉴(511)와 상기 "map" 메뉴(516)가 선택된다. 메뉴 선택이 완료되면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중앙키를 길게 눌러서 상기 메뉴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그러면, 도 14의 (1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은 상기 입력된 문자에 해당하는 지도를 검색하여 보여 준다. 상기 지도 검색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맵을 통해 행해질 수도 있고, 또는 인터넷을 통해 지도 제공 웹사이트에 접속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상기 지도를 확인하고 상기 우하단 아이콘(402)의 다음("next") 아이콘을 선택하면, 도 14의 (1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에는 메시지 상대방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상대방 리스트에서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소망의 상대방이 선택되면, 도 14의 (1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된다.
따라서, 도 14의 (14-4)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 표시되는 중하단 아이콘(403)으로 표시되는 전송 아이콘(403)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와 관련되어 검색된 맵이 첨부된 상기 메시지가 상기 소망의 상대방으로 전송된다.
제 6 실시예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의 또다른 실행 태양에 대해, 도 15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로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가 구현되 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5의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 하단에 상기 메뉴 리스트(510)로서 상기 검색된 실행 후보 메뉴들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메뉴 리스트(510의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 중에서 메시지 전송을 위한 "message" 메뉴(511)와 이메일 전송을 위한 "Email" 메뉴(512)가 선택되는 경우에 대해 살펴본다.
도 15의 (1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뉴 리스트(510)에서 상기 "message" 메뉴(511)와 상기 "Email" 메뉴(512)가 선택된다. 메뉴 선택이 완료되면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의 중앙키를 길게 눌러서 상기 메뉴 선택이 완료되었음을 알린다.
그러면, 도 15의 (1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은 예컨대 단문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와 같은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을 위한 화면에는 메시지 상대방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메시지 상대방 리스트에서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소망의 상대방이 선택되면, 도 15의 (1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창(500)은 다시 이메일 전송을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이메일 전송을 위한 화면에는 이메일 상대방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이메일 상대방 리스트에서 예컨대 상기 네비게이션키를 이용하여 소망 의 상대방이 선택되면, 도 15의 (1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전송 및 상기 이메일 전송을 위한 모든 준비가 완료된다. 상기 이메일을 위한 상대방은 상기 메시지를 위한 상대방과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5의 (15-4)의 디스플레이 화면(400)에 표시되는 중하단 아이콘(403)으로 표시되는 전송 아이콘(403)이 선택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는 상기 메시지 및 상기 이메일로서 상기 소망의 상대방으로 전송된다.
제 7 실시예
상기 실행 후보 메뉴들의 더욱 또다른 실행 태양에 대해, 도 16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로서 살펴보도록 하겠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6의 (16-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이 대기화면인 상태에서, 소망의 문자(예를 들면 "seoul station")가 입력된다. 상기 입력되는 문자의 종류는 상기 우하단 아이콘(402)의 선택을 통해 정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전술되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상기 소망의 문자가 입력되면, 도 16의 (16-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 화면(400)에는 상기 에디터 화면(500)이 나타나면서 상기 입력되는 소망의 문자가 디스플레이된다.
상기 에디터 화면(500)에는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제 1 메뉴에 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6의 (16-2)에서는 제 1 메뉴에 대한 화면으로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메시지로서 전송되기 위한 화면(즉, 메시지 메뉴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메뉴가 복수인 경우에는, 다른 메뉴로의 전환이 예컨대 상기 사용자 입력부의 사이드키의 선택에 의해 행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1)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구비되는 메뉴 전환용 아이콘(501, 502)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다른 메뉴로의 전환이 행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메뉴 전환에 대해 이하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상기 메시지 메뉴가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메뉴 전환용 아이콘(502)을 선택한다.
그러면, 도 16의 (16-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화면(500)에는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제 2 메뉴에 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16의 (16-3)에서는 제 2 메뉴에 대한 화면으로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이메일로서 전송되기 위한 화면(즉, 이메일 메뉴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이메일 메뉴가 단말기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가 아닌 경우에는, 단말기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메뉴가 나타날 때까지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메뉴 전환용 아이콘(502)을 계속 선택한다.
그러면, 도 16의 (16-4) 및 (16-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디터 화면(500)에는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제 3 메뉴 및 제 4 메뉴가 차례대로 디스플레이된다. 도 16의 (16-4) 및 (16-5)에서는 제 3 메뉴 및 제 4 메뉴에 대한 화면으로서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메모되기 위한 화면(즉, 메모 메뉴 화면) 및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인터넷 웹페이지의 검색어로 사용되기 위한 화면(즉, 인터넷 검색 메뉴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상기 입력되는 문자가 적용되어 실행될 수 있는 메뉴들이 상기 사이드키 또는 상기 메뉴 전환용 아이콘이 선택될 때 전환되는 순서는 임의로 정해질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메뉴들의 누적 사용 빈도순 또는 최근 사용순으로 정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 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동작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1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2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에 대한 흐름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3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4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5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6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제어 방법의 제 7 실시예가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화면의 상태도이다.

Claims (17)

  1. 편집 창에 입력될 둘 이상의 문자들의 타입을 제공하는 메뉴 옵션을 포함한 대기화면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메뉴 옵션을 통해 문자 타입 및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 타입에 따라 상기 입력된 문자를 상기 편집 창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입력된 문자를 위해 실행될 추가 메뉴 옵션들을 제공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메뉴 옵션들은, 상기 입력된 문자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문자 타입에 따라 문자가 입력될 때, 상기 입력된 문자가 사용될 수 있는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선택될 수 있도록 더욱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뉴들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삭제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아이콘이 기 설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된 문자 타입에 따라 문자가 입력될 때, 상기 입력된 문자가 사용될 수 있는 메뉴들 중 둘 이상의 메뉴가 동시에 선택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편집 창에 입력될 둘 이상의 문자들의 타입을 제공하는 메뉴 옵션을 포함한 대기화면을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메뉴 옵션을 통해 문자 타입 및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문자 타입에 따라 상기 입력된 문자를 상기 편집 창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문자를 위해 실행될 추가 메뉴 옵션들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가 메뉴 옵션들은, 상기 입력된 문자 타입에 따라 서로 다르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의 제어 방법.
  17. 삭제
KR1020080002497A 2008-01-09 2008-01-0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6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97A KR101476182B1 (ko) 2008-01-09 2008-01-0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12/340,469 US8479123B2 (en) 2008-01-09 2008-12-19 Accessing feature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EP09150094A EP2079012A3 (en) 2008-01-09 2009-01-06 Accessing features provided by a mobile terminal
CN2009100026320A CN101483681B (zh) 2008-01-09 2009-01-09 访问由移动终端提供的特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497A KR101476182B1 (ko) 2008-01-09 2008-01-0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6506A KR20090076506A (ko) 2009-07-13
KR101476182B1 true KR101476182B1 (ko) 2014-12-30

Family

ID=40481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497A KR101476182B1 (ko) 2008-01-09 2008-01-09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79123B2 (ko)
EP (1) EP2079012A3 (ko)
KR (1) KR101476182B1 (ko)
CN (1) CN1014836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57750A (zh) * 2009-07-20 2011-01-2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在电子装置上实现用户界面的方法
KR20110100394A (ko) * 2010-03-04 2011-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모티콘 편집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062279B2 (ja) * 2010-03-29 2012-10-3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機器および携帯情報機器
KR101980702B1 (ko) * 2010-09-15 2019-05-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30055153A1 (en) * 2011-08-29 2013-02-28 Jonathan Sherma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actions at a computing device
JP5752006B2 (ja) * 2011-10-26 2015-07-22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EP2631747B1 (en) 2012-02-24 2016-03-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that indicates content operators
EP2631760A1 (en) * 2012-02-24 2013-08-28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on a device enabling selection of operations to be performed in relation to content
USD773479S1 (en) * 2013-09-06 2016-12-06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icon group
US10031643B2 (en) 2014-09-26 2018-07-24 At&T Mobility Ii Llc Predictive determination of actions
BR112021007104A2 (pt) * 2018-10-15 2021-07-20 Huawei Technologies Co., Ltd método e dispositivos para apresentação de informações
CN113595864B (zh) * 2020-04-30 2023-04-18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转发邮件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35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3818A (en) * 1994-05-13 1996-08-0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text using an input device having a small number of keys
US5737394A (en) 1996-02-06 1998-04-07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functions activated by the use of dedicated and/or soft keys
JP3191284B2 (ja) * 1998-06-23 2001-07-23 日本電気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
KR100322575B1 (ko) * 1998-07-15 2002-03-08 윤종용 범용문자오타변환기능을갖는컴퓨터
US6320942B1 (en) * 1998-12-31 2001-11-20 Keytouch Corporation Directionally-mapped, keyed alpha-numeric data input/output system
GB2347240A (en) 1999-02-22 2000-08-30 Nokia Mobile Phones Ltd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predictive editor application
KR100285312B1 (ko) * 1999-03-29 2001-03-15 윤종용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US6459440B1 (en) * 1999-07-15 2002-10-0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deletion of a pop-up window
US6757372B1 (en) * 2000-01-10 2004-06-29 Cisco Technology, Inc. User interface for a network-enabled telephone
US20070037605A1 (en) 2000-08-29 2007-02-15 Logan James D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ellular and portable phones
US6897849B2 (en) * 2000-09-14 2005-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Key input device and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directional keys
WO2005112408A1 (en) * 2004-05-14 2005-11-24 Nokia Corporation Softkey configuration
CN1598744A (zh) 2004-09-10 2005-03-23 韩亚林 一种基于按键的输入装置及其操作方式
KR100678248B1 (ko) * 2004-11-22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100703342B1 (ko) * 2005-01-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처리 방법
KR100735554B1 (ko) * 2005-10-1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070094280A1 (en) * 2005-10-26 2007-04-26 Elina Vartiain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599362B2 (en) * 2005-11-28 2009-10-06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channel selection
CN1991726A (zh) 2005-12-30 2007-07-0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一种无键盘输入的便携式电子装置及其实现方法和操作界面
KR100808991B1 (ko) * 2006-05-04 2008-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전자사전을 이용한 단어검색 방법 및장치
TWI331317B (en) * 2006-12-22 2010-10-01 Ind Tech Res Inst Method and system for image editing
US8839142B2 (en) * 2007-06-08 2014-09-16 Apple Inc. Desktop system object removal
CN102749997B (zh) * 2007-09-18 2016-06-22 微软技术许可有限责任公司 移动终端和控制该移动终端的操作的方法
KR101629257B1 (ko) * 2009-09-28 2016-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친구검색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9735A (ko) * 2005-06-13 2006-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79012A2 (en) 2009-07-15
CN101483681A (zh) 2009-07-15
CN101483681B (zh) 2012-08-08
US20090174668A1 (en) 2009-07-09
KR20090076506A (ko) 2009-07-13
US8479123B2 (en) 2013-07-02
EP2079012A3 (en) 2012-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6182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387510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696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6190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nfc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461954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8019389B2 (en) Method of controlling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quipped with touch scre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executing functions thereof
KR10146778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채널 리스트 관리 방법
KR100943905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14612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21910B1 (ko) 이동단말기의 키패드와 그 표시방법
KR101430461B1 (ko) 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6382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57800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4557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키패드 표시 방법
KR101578000B1 (ko) 단말기, 그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기록 매체
KR101486341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0513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타 아이콘화 방법
KR10147618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KR10137333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웹브라우징 방법
KR101480463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KR101507831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99228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81511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474464B1 (ko) 메뉴바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메뉴바 표시방법
KR101537686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정보 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