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0090B1 - 데이터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0090B1
KR100430090B1 KR1019960069522A KR19960069522A KR100430090B1 KR 100430090 B1 KR100430090 B1 KR 100430090B1 KR 1019960069522 A KR1019960069522 A KR 1019960069522A KR 19960069522 A KR19960069522 A KR 19960069522A KR 100430090 B1 KR100430090 B1 KR 100430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data input
characters
arrangem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9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677A (ko
Inventor
김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69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00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0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0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0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판 및 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요소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입력 능력을 향상시키고 입력 장치의 기기 내 점유 면적을 감소시킨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나의 방사상 중심을 갖고 방사상으로 각각 배열되며, 방사상 중심으로부터 확장된 라인에 일치하여 상기 각 배열에 문자들이 배치된 다수의 문자 배열 그룹;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라인에 일치하는 다수의 선택 위치를 갖고 방사상으로 배열된 문자 선택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문자 선택부는 또한 회전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이를테면 볼륨 조절이나 커서 제어 등을 행할 수 있게 하고 있다.

Description

데이터 입력 장치{DATA INPUT APPARATUS}
본 발명은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판 및 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요소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입력 능력을 향상시키고 입력 장치의 기기 내 점유 면적을 감소시켜 데이터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자 수첩,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용 기기의 보급에 따라, 이를 통해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있다. 더욱이, 최근의 휴대폰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기능도 제공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한글, 영문자, 숫자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이를테면 휴대폰에 적어도 30개 이상의 키를 갖추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휴대용이므로 협소한 면적에 이들 키를 모두 수용하기가 곤란하므로, 상대적으로 휴대용 기기가 이로 인해 커질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종래에는 다수의 문자, 숫자를 하나의 키를 공통으로 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채택한 경우가 있었다. 그러나, 하나의 자음(모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번 이상의 키 누름을 수행하기 때문에 그 사용 방법이 매우 번거로웠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문자판 및 이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요소를 원형으로 배치하여 입력 능력을 향상시키고 입력 장치의 기기 내 점유 면적을 감소시킨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선택부에 대해서 회전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이를테면 볼륨 조절이나 커서 제어 등을 행할 수 있게 한 데이터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나의 방사상 중심을 갖고 방사상으로 각각 배열되며, 방사상 중심으로부터 확장된 라인에 일치하여 상기 각 배열에 문자들이 배치된 다수의 문자 배열 그룹; 및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라인에 일치하는 다수의 선택 위치를 갖고 방사상으로 배열된 문자 선택 입력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에 의해서 달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장치는 다수의 문자 배열을 선택하기 위해서 별도의 문자 배열 선택부를 가질 수도 있다. 그러면 이 선택부로 문자 배열 중 한 배열을 선택하고, 각각의 배열 내의 문자들로서, 예를 들면 숫자 또는 영문자 등을 입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선택 입력부는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것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원형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어 이를테면, 커서 업 다운이나 볼륨 크기 조정 등을 회전 동작으로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레이아웃의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소형화된 기기에 적용이 용이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에 대해서 보다 상세한 것을 첨부한 도면을 사용하여 다음에 설명한다. 그리고, 첨부한 도면에서,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다음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대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며, 이러한 상세함으로서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님에 유의한다. 이 분야에 숙련된 자는 본 발명의 정신으로부터 많은 수정 예를 발견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장치가 적용된 휴대폰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본 발명은 이러한 적용 예로 국한되지 않으며, 이를테면 휴대폰 이외에도 전자 수첩 또는 볼륨 조절이나 커서 이동을 필요로 하는 장치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제 1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폰은 표시장치로서 LCD 디스플레이(1), 안테나(2) 및 단말기 본체(6)를 갖추고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 번호 등을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 입력부(3)를 또한 갖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부(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나의 방사상 중심을 갖고 방사상으로 각각 배열되며, 방사상 중심으로부터 확장된 라인에 일치하여 상기 각 배열에 문자들이 배치된 다수의 문자 배열 그룹(31)을 가지며, 상기 방사상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배열 위치에는 상기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라인에 일치하는 다수의 선택 위치를 갖고 방사상으로 배열된 문자 선택 입력부(33)를 갖는다. 더욱이, 상기 다수의 배열 그룹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버튼(32)이 예를 들면, 휴대폰의 앞 표면 상에 적당한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배열 그룹(31)을 원형 형상을 취하고 있고, 이 원형의 원점을 공통으로 하여 이로부터 외부로 확장하는 각각의 라인 상에는 각각의 문자 배열 내의 문자들이 일치되게 배열된다. 여기서, 문자는 설명의 편의상 영숫자 및 한글 자모음 등 문자 기호 모두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본 실시 예에서, 문자 선택 입력부(33) 역시 하나의 일체로된 원판 형상이며, 상기 원점을 공통으로 하고 있다. 이 문자 선택 입력부(33)는 제 1 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점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더욱이, 문자 선택을 위한 다수의 홈(34)이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는데, 그 홈의 개수는 배열된 최대 문자 개수에 대응하여 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식 문자 선택 입력부(33)는 고정되어도 무방하다.
제 2 도는 상기 기술된 문자 선택 입력부(33)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 2 도(A)는 문자 선택 입력부(33)의 정면도, 제 2 도(B)는 배면도, 및 제 2 도(C)는 측면도이다. 문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려면 서로 대응하여 이격된 전극이 서로 접하게 되는 지점에 의해서 소정의 전기 신호가 발생하도록 해야 하므로, 이를 위해서 제 2 도(B) 및 (C)와 같이 금속 재질의 접점(35)을 가지며, 또한 고정 또는 회전 동작을 위해서 지지대(36)가 구비된다. 지지대(35)에 의해서 휴대폰의 데이터 입력부를 위한 영역의 소정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는 홈(34)을 선택적으로 눌러 데이터를 입력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자 선택 입력부(33)에 대한 전기적인 등가 회로를 제 3 도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을 지정함에 따라 검출 회로(7)의 다입력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접속되어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하고 있어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어떤 접점과 스위치가 접점을 이루게 되면 인터럽트를 발생하므로 휴대폰은 능히 데이터를 인식할 수가 있다.
이에 더하여, 제 4 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선택 입력부(33)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는 제 2 도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으나, 접점(35)이 홈에 대응하여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효과적으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 점이 서로 상이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 장치는 제 5 도와 같이 이를테면 휴대폰 내부의 전기 회로도를 통해서 입력된 문자 데이터가 인식될 수 있다. 이 역시 대표적인 구성을 예시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로 한정되지 않음에 유념한다.
문자 선택 입력부(33)로부터 이에 형성된 다수의 홈(34)으로부터 구별 가능한 여러 전기 신호가 중앙 처리 장치(4)에 인가되면, 중앙 처리 장치(4)는 이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1)에 표시하기 위해 폰트 롬(5)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문자 배열 그룹(31)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들 중 어느 한 배열을 선택하기 위해서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문자 배열 선택부로서 선택 버튼(32)을 갖는다. 이는 전기적으로 제 5 도와 같이 중앙 처리 장치(4)에 결합된다. 문자 배열 선택이 행해지면 중앙 처리 장치(4)에서는 이를 판단하여 문자 선택 입력부(3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선택된 배열 내의 문자에 대응하는 폰트 데이터를 인출하도록 폰트 롬(5)에 액세스할 것이다. 이러한 문자 배열 선택부로서의 선택 버튼(32)은 예를 들면 버튼 형식으로 딥스위치 등을 통해 실현될 수도 있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선택 입력부(33)는 회전이 가능하므로, 전기적으로 본다면 이는 가변 저항과 같은 것이므로, 볼륨을 크게 하거나 줄이는 동작이 요구되는 기기나 커서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회전 동작으로 커서의 업 다운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문자 선택 입력부(33)의 회전에 따라 가변되어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대응하는 코맨드 신호로서 받아들이도록 이를테면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장치에 대해 동작예를 다음에 설명한다.
먼저, 회전 다접점 스위치 방식을 취하고 있는 문자 선택 입력부(33; 이하 회전 다접점 스위치라고도 함)를 사용하여 문자 입력을 하는 경우 휴대폰의 경우 이를테면 통화모드 및 문자 입력 모드를 갖는다.
본 실시 예에서 예를 든 휴대폰의 경우에, 전화 사용할 때, 문자 배열 그룹(31), 환언하여 문자판에서 숫자나 문자를 선택하도록 선택 버튼(32)을 눌러 숫자나 해당 문자판을 선택한다. 회전 다접점 스위치(33)의 가장 자리의 홈(34)을 누룸으로써 숫자가 선택되며 만약 두 개의 접점이 동시에 눌려졌을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처리될 수 있다.
동시에 버튼이 눌렸을 때에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LCD 디스플레이 상에 현재 눌려진 문자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계속 변하게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회전 다접점 스위치를 누른 상태에서 해당 문자 쪽으로 회전을 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하게 한다. 예를 들어 문자 입력의 경우 문자 A와 B가 동시에 눌려졌을 때 LCD 디스플레이 상에 동시에 눌려진 문자를 번갈아 표시하고 사용자가 A를 선택하고자 할 때에는 A쪽으로 스위치를 회전하면 된다.
문자 입력은 보통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할 때 사용되므로 회전 기능과 선택 버튼을 사용하여 문자판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홍길동 : 전화 123-4567 호출 015-XXX-XXXX"를 입력하려고 할 때, 먼저 선택 버튼(32)을 사용하여 문자 배열 그룹(31) 중 한글을 문자를 갖는 문자 배열을 선택하여, 문자 선택 입력부(33)에 의해서 한글을 입력한다. 마찬가지로, 선택 버튼(32)을 사용하여 문자 배열 그룹(31) 중 숫자를 갖는 문자 배열을 선택하여, 문자 선택 입력부(33)에 의해서 숫자를 입력한다. 이때 오자가 발생하면 회전 기능을 이용하여 문자 선택 입력부, 즉 회전 다점점 스위치를 회전시킴으로써 해당 글자로 이동한 후 다시 입력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문자 선택 입력부가 회전 기능 및 접점 방식의 문자 입력 기능을 통해서 문자 입력 방식의 복잡성, 예를 들면 어떤 때에 어떤 버튼을 눌러야 하는지 혼동이 해결되고, 아울러 여러 가지 다른 계열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하는 다양성이 제공되고 있다. 더욱이, 회전 기능을 이용하여 커서의 조작을 쉽게 한다거나 볼륨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이를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최근의 인터넷과 같은 문자 서비스가 휴대용 단말에 이용될 때 이러한 기능은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 기능으로 많은 버튼울 줄일 수 있어 휴대 단말기를 보다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져야할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데이터 입력 장치를 적용한 휴대용 전화기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제 2 도(A), (B), (C) 각각은 문자 선택 입력부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
제 3 도는 문자 선택 입력부에 대한 등가 회로도.
제 4 도(A), (B), (C) 각각은 또 다른 예의 문자 선택 입력부의 정면도, 배면도 및 측면도.
제 5 도는 문자 선택 입력부에 관련된 데이터 처리를 위한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디스플레이 2 : 안테나
3 : 데이터 입력부 31 : 문자 배열 그룹
32 : 선택 버튼 33 : 문자 선택 입력부
34 : 홈 4 : 중앙 처리 장치

Claims (6)

  1. 데이터 입력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하나의 방사상 중심을 갖고 방사상으로 각각 배열되며, 방사상 중심으로부터 확장된 라인에 일치하여 상기 각 배열에 문자들이 배치된 다수의 문자 배열 그룹;
    상기 방사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문자 배열 그룹들 중 한 배열을 선택하기 위해 마련된 문자 배열 선택부; 및
    상기 문자 배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문자 배열에 배치된 문자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상기 라인에 일치하는 다수의 선택 위치를 갖고 방사상으로 배열된 문자 선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부는 상기 방사상 중심에 대해서, 상기 방사상으로 배열된 선택 위치들간 이동이 될 수 있도록 회전시키는 문자 선택부 회전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은 볼륨의 크기 조정 또는 커서의 업 다운 지정에 대응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으로 된 문자 배열들 및 문자 선택부는 원형 또는 그의 일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 선택부는 상기 방사상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 장치는 휴대용 전화기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 장치.
KR1019960069522A 1996-12-21 1996-12-21 데이터입력장치 KR100430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522A KR100430090B1 (ko) 1996-12-21 1996-12-21 데이터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9522A KR100430090B1 (ko) 1996-12-21 1996-12-21 데이터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77A KR19980050677A (ko) 1998-09-15
KR100430090B1 true KR100430090B1 (ko) 2004-08-18

Family

ID=3733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9522A KR100430090B1 (ko) 1996-12-21 1996-12-21 데이터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0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798B1 (ko) * 2001-07-23 2004-08-09 김승환 개인용 컴퓨터와 호환성을 갖는 휴대형 문자입력 장치
KR100458397B1 (ko) * 2002-04-22 2004-11-26 닌텐도가부시키가이샤 한글 문자 입력이 가능한 게임장치와 이것에 사용되는프로그램을 기억한 정보 기억 매체
KR100784538B1 (ko) 2006-08-21 2007-12-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형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키사용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002A (ko) * 1995-07-13 1997-02-24 가네꼬 히사시 단말기장치, 무선통신단말기 및 정보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9002A (ko) * 1995-07-13 1997-02-24 가네꼬 히사시 단말기장치, 무선통신단말기 및 정보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67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3914B1 (en)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KR100636718B1 (ko) 키보드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 장치
EP2270629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with keyboard
KR100464115B1 (ko) 키입력장치
KR100870501B1 (ko) 전기 장치용 키패드 스타일 입력 장치
KR19990077513A (ko) 가변키보드를갖는전자장치
JP2002534732A (ja) 方向選択キーを備えた小型キーボード
KR19980042677A (ko) 정보입력장치, 커서이동장치 및 휴대용 전화
KR20040014296A (ko) 휴대용 전자기기
KR20020033833A (ko) 휴대용 디바이스상의 텍스트 입력
KR20040083463A (ko) 휴대용 통신 장치의 키 입력 장치
CN101164325B (zh) 改进的移动通信终端
EP1777610A1 (en) Keypad for an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for operating a keypad for an electronic equipment
CN101981903A (zh) 12键qwerty文本输入方法
KR100430090B1 (ko) 데이터입력장치
KR100762635B1 (ko) 휴대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JPWO2003107632A1 (ja) 電子機器
WO2001071746A1 (en) Alphanumeric keypad
US20080024452A1 (en) Method Of Data Entry
KR100765218B1 (ko) 문자/숫자/기호의 입력과 출력을 요하는 전자기기의입력장치
WO2002039701A2 (en) Process apparatus and media for acquiring symbol input in response to multiple actuator movements
KR19990007518A (ko) 셀룰라 무선통신 단말기의 문자입력 방법
KR20060026830A (ko) 휴대용 키패드 시스템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EP2148495B1 (e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