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9320A - 유압 파일럿 컨트롤 - Google Patents

유압 파일럿 컨트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9320A
KR20010109320A KR1020017012130A KR20017012130A KR20010109320A KR 20010109320 A KR20010109320 A KR 20010109320A KR 1020017012130 A KR1020017012130 A KR 1020017012130A KR 20017012130 A KR20017012130 A KR 20017012130A KR 20010109320 A KR20010109320 A KR 20010109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valve
pressure
lever
hydraulic pi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2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인츠 하버만
빌헬름 카스텔
Original Assignee
알프레트 포이저, 게오르크 니켈
만네스만 렉스로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90220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1093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알프레트 포이저, 게오르크 니켈, 만네스만 렉스로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알프레트 포이저, 게오르크 니켈
Publication of KR20010109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40Control devices
    • B66D1/42Control devices non-automatic
    • B66D1/44Control devices non-automatic pneumatic of hydraul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01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 F15B13/0406Valve members; Fluid interconnections therefor for rotar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4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 F15B13/04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 F15B13/042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a single servomotor operated by fluid pressure with manually-operated pilot valves, e.g. joysti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7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in distinct seque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38Rotary valve
    • Y10T137/86646Plug type
    • Y10T137/86654For plural l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 Servomotors (AREA)
  • Safety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 압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2개의 제어 출구들(96, 97)과 하나의 유압 파일럿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제어 컨트롤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압 파일럿 제어장치는 중립위치로부터 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나의 레버(81) 그리고 중립위치로부터 레버가 변위함으로써 조정 가능한 하나의 압력밸브(69)를 포함한다. 상기의 파일럿 컨트롤에 있어서 간단한 방식으로 양방향 내로 제어레버를 변위 시키기 위해 파일럿압의 대칭인 특성변화가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본 발명에 따라, 압력밸브가 제 1 방향으로 레버가 변위될 시에 그리고 제 2 방향으로 레버가 변위될 시에 동일한 의미에서 조정가능하며, 그리고 방향제어밸브(73)가 제공되어 있음으로 해서 달성된다. 이때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레버의 변위방향에 종속되면서 압력밸브의 제어출구(80)를 제 1 제어출구(96) 혹은 제 2 제어출구(97)와 연결시킨다.

Description

유압 파일럿 컨트롤 {HYDRAULIC PILOT CONTROL}
상기의 유압 파일럿 컨트롤은 예컨대 DE 196 30 798 A1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상기의 유압 파일럿 컨트롤은 다수 개의 감압 밸브들을 장착하는 하나의 파일럿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감압밸브들로부터는 각각의 밸브들을 이용하면서 제어출구에서 파일럿압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제어장치는 하나의 제어레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레버는 한 중립위치로부터 하나의 제 1 감압밸브를 조정하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그리고 제 2 감압밸브를 조정하기 위해 제 1 방향의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 1 방향으로 지정된 각도만큼 제어레버의 변위된 후에, 그런 다음에는 제 1 제어 출구에서 발생하는 파일럿압은, 만약 제어레버가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각도만큼 변위된다면, 제 2 제어출구에서 발생하는 파일럿압과는 구분된다. 이러한 점은, 감압밸브의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결부되어 있는 허용오차에 기인한다. 특히 압력밸브의 조정 스프링의 허용오차가 파일럿압 내에 결합된다.
제어레버의 변위각도가 지정된 경우 파일럿압력들 내 차이는 지정된 경우들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 외에도 변위방향에 무관하게 제어레버의 일정한 변위각도 후에 동일한 압력이 제 1 제어출구에서 혹은 제 2 제어출구에서 발생하는 적용예가 있다. 예를 들어 제어레버가 자신의 중립위치로부터 변위될 시에 우선적으로 비례하는 식으로 조정 가능한 방향제어밸브가 자신의 중심위치로부터 제어레버의 변위방향에 무관하게 한 방향으로 혹은 다른 방향으로 변위되는 권상기용 유압 제어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제어레버의 일정한 변위각도로부터 출발하여 방향제어밸브의 공급유출구는 완전히 개방된다. 그런 다음 상기 변위각도로부터 출발하여 제어레버의 변위방향과 무관하게 호이스팅 드럼을 구동시키는 유압모터가 파일럿압에 종속되면서 자신의 흡수용적에 있어서 조정된다. 상기 조정은 제어레버의 정해진 변위각도로부터 개시된다. 상기 각도는 사용자에 있어서는 한 작용점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지금까지, 만약 한편에서 제어레버의 정해진 변위각도 후에 변위방향과 무관하게 각각 두 제어출구들 내에 동일한 파일럿압을 갖고자 할 때 그리고 상기 파일럿압은 또한 여전히 일정한 값을 갖는다고 할 때 여러 가지 조정작업이 필요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서두의 특징들을 포함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상기한 작동 모드 동안 제어레버가 위치하게 되는 각도영역 및 제어레버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의 회로도이며;
도 2는, 동시에 복구 장치 및 하우징에 대한 절단평면이 파일럿 제어 밸브에 대한 절단평면과 다른 평면인 것으로, 제어레버의 축에 대해 수직인 파일럿 제어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며;
도 3은 제어레버와 더불어 회전 가능한, 캠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샤프트, 복구 장치의 스러스트 피스, 그리고 이완의 방향으로 제어레버가 최대한 변위된 경우 부품들을 포착하는 위치에 있는 파일럿 제어 밸브의 스템(stem)에 관한 도이며;
도 4는 제어레버가 자신의 중립위치로부터 권상 각도영역으로 15도 정도 변위되어 있는 위치에 있는 도 3과 동일한 부품들에 관한 도이며;
도 5는 제어레버가 25도 정도 변위된 후 도 4 내에 있는 것과 동일한 부품들에 관한 도이며;
도 6은 제어레버가 권상 각도영역의 종료시까지 45도 정도 변위된 후 도 5로부터의 부품들에 관한 도이며;
도 7은 제어레버가 계류 각도영역의 개시 시까지 57도 정도 변위된 후 도 6으로부터의 부품들에 관한 도이며;
도 8은 제어레버가 계류 각도영역의 종료 시까지 100도 정도 변위된 후 도 7로부터의 부품들에 관한 도이며;
도 9는 도 2의 절결선 IX-IX에 의해 절결된 단면도이며; 그리고
도 10은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의 제어출구가 하나의 제어출구, 다른 하나의 제어출구 혹은 두 제어출구들과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제어밸브의 회전 슬라이드 밸브의 그루브의 전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개 간단한 방법으로 레버의 변위방향에 무관하게 지정된 변위각도 후에 지정된 파일럿압이 두 제어출구들 중 한 출구에 생성될 수 있도록 청구항 제 1 항의 도입절의 특징들을 가지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또한 공지된 유압 파일럿 컨트롤을 비용 저렴하게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설정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을 나타내는 부분에 따라 상기 청구항의 도입절의 특징을 가지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이 하나의 압력밸브 및 하나의 방향제어밸브를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압력밸브는 레버의 변위 시에 제 1 방향으로 그리고 레버의 변위 시에 제 2 방향으로 동일한 의미에서 조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레버의 중립위치에서 취해지는 정지위치로부터 레버가 변위되는 방향에 종속되면서, 압력밸브의 제어출구를 제 1 제어 출구와 연결하는 제 1 제어위치로 혹은 압력밸브의 제어출구를 제 2 제어출구와 연결하는 제 2 제어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파일럿 컨트롤에 있어서 레버의 두 변위방향에 대해 단지 하나의 압력밸브만이 제공되어 있다. 그로 인해 압력밸브의 컴포넌트들 내 허용오차들이 더 이상 지정된 변위각도만큼 레버가 변위 된 후 파일럿압의 값들의 차이에 결합되지 않게 된다. 만약 레버의 두 변위방향에 대해 변위각도에 종속되면서 압력밸브의 조정을 동일하게 한다면, 항상 파일럿압 역시 변위방향에 종속되지 않게 된다. 만약 변위각도가 지정된 경우 지정된 파일럿압을 갖고자 한다면, 단지 단 하나의 압력밸브만을 조정하기만 하면 된다. 방향제어밸브는 또한 일반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많은 개별 부품들을 포함하는 압력밸브로서 제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파일럿 컨트롤은 또한 비용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파일럿 컨트롤의 형성예는 종속항들 내에 제시된다.
그러므로 청구항 제 2 항에 따라 방향제어밸브의 정지위치에서 두 제어 출구들은 방향제어밸브의 하나의 탱크접속부를 통해 압력밸브의 통과 하에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된다. 그 자체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의 정지위치에서 압력밸브를 통해서도 또한 제어출구의 하중 경감이 가능할 수도 있는데, 왜냐하면 레버의 중립위치에서 압력밸브의 제어출구가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되어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제 3 항에 따라 방향제어밸브는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회전 슬라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의 축은 레버의 회전축과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는 밸브 박스의 밸브 보어 내에서 레버를 통해 회전될 수 있다. 레버의 변위각도가 큰 경우에도 또한 본원에서는 방향제어밸브의 제어부재와 레버를 상호 연결하는 점에 있어 어떠한 난점도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는 바람직하게는 축방향 스토퍼와 더불어 스프링으로부터 밸브 박스의 스토퍼에 대해 밀착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는 항상 동일한 축방향 위치를 취하게 되며 그리고 밸브 보어 내로 개방되는 각각의 채널들 간의 연결이 신뢰되게 제어된다.
특히 선호되는 것은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형성예이다. 상기 형성예에 따라서 고정되게 조정되는 하나의 감압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감압밸브는 내부에 제어압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슬라이드 밸브로서 설계된 방향제어밸브의 제어부재의 축방향 보어 내 공간을 절감하면서 장착되어 있다. 내부 제어압력 공급이라고 한다면 감압밸브가 높은 시스템 압력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더욱 낮은 제어압력을 생성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압력은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에 공급된다.
청구항 제 9 항에 따라 최소한 큰 각도영역에 걸쳐 중립위치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레버가 변위될 시에 압력밸브의 조정의 종속성은 중립위치로부터 제 1 방향으로 레버가 변위될 때와 동일하다. 이러한 점은 그에 상응하게 형성되며 그리고 레버와 더불어 회전 가능한, 압력밸브용 플레이트 캡에 의해 용이하게 달성된다. 다시 말해 동일한 변위각도에 있어서 변위방향과 무관하게 각각 동일한 파일럿압이 두 제어 출구들 중 한 출구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점이 특히 바람직한 경우는, 유압장치가 레버의 변위방향에 무관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제어될 때이다.
변위각도가 정해진 경우 일정한 파일럿압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압력밸브가 청구항 제 12항에 따라서 하우징 내에 자신의 컴포넌트들이 장치된 후에 외부방향에서부터 조정될 수 있다. 이때 청구항 제 13 항과 제 14 항은 압력밸브의 조정에 대한 바람직한 2가지 가능성을 도시하고 있다. 청구항 제 13 항에 따라 하나의 조정 스프링이 제공되어 있는데, 상기 스프링의 초기 장력은 조정가능한 스토퍼에 의해 변화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조정 스프링의 하중으로부터 그리고 조정 스프링의 하중으로부터 생성되며, 제어부재 상에 작용하는 총 스프링 하중이 조정된다. 청구항 제 14 항에 다라서 조정을 위해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어 에지들이 축방향으로 변위되며, 그럼으로써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의 제어위치 및 그로 인한 스템의 축방향 위치가 지정된 경우 조정 스프링의 초기 장력은 제어부재의 제어위치에서 변화된다. 청구항 제 13 항과 제 14 항의 특징들을 조합함으로써 레버의 변위각도가 지정된 경우 파일럿압의 레벨 뿐 아니라, 레버의 중립위치 및 파일럿 압력 형성 개시 사이의 유휴 각도(idle angel) 역시 조정될 수 있다.
특히 선호되는 것은 청구항 제 15 항에 따른 형성예이다. 상기 형성에에 따르면, 스템은 가이드 슬리브 내에서 리드된다. 하우징에 고정된 제어 에지의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제어 카트리지는 상기 제어에지에 걸쳐서 연장되며 그리고 분리되지 않게 가이드 슬리브를 수용한다. 그러므로 제어 카트리지, 가이드 슬리브 및 이동 가능한 압력밸브의 부품들은 전체로서 취급되며 전체로서 간단한 방식으로 하우징 내에 장치될 수 있는 하나의 구조부재를 형성한다. 분명하게 청구항 제 15 항에 따른 압력밸브의 형성예는 상기 압력밸브가, 일반적으로 레버의 모든 변위방향에 대해 조정 가능한 하나의 압력밸브가 제공되어 있는 통상적인 파일럿 제어장치 내에 사용되더라도 또한 이점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압 파일럿 컨트롤의 실시예는 도면 내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의 도들에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에는 조정 가능한 유압모터(12)의 기어장치(11)를 통해 반대 방향으로 작동 가능한 권상기(10)가 도시되어 있다. 유압모터의 피동축과 기어장치 사이에는 하나의 브레이크(13)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브레이크는 간단하게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14)를 통해 작동 가능하다. 상기 유압실린더(14)는 차동 실린더의 유형에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실린더의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는 브레이크의 맞물림의 의미에 있어서 스프링에 의해 변위 가능하다. 유압실린더(14)의원환(15)(annulus)에 압력매체를 공급함으로써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는 스프링의 하중에 대해 후퇴하며 그럼으로써 브레이크(13)는 이완된다. 유압모터(12)의 흡수용적은 제어 입구(16)에 제공된 제어 압력에 종속되면서 무단 조정되며 그리고 상기 용적이 더욱 작아지면 작아질수록, 제어압력은 더욱 커지게 된다. 조정을 위해 차동 실린더로서 설계되는 작동 실린더(17)(operating cylinder)와 펌프 조절 밸브(18)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펌프 조절 밸브는 하나의 탱크 포트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탱크 포트는 오버플로우 오일 라인(19)(overflow oil line)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조절 밸브는 2개의 체크 밸브(20)를 통해 각각 모터 접속부(21 혹은 22)와 연결되는 하나의 압력 탭, 그리고 피스톤 로드 배면에 위치한 작동 실린더(17)의 압력실과 연결되는 하나의 실린더 연결부를 포함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 배면에 위치한 작동실린더(17)의 압력실은 펌프 조절 밸브(18)의 압력 탭과 연결되어 있다. 펌프 조절 밸브(18)의 피스톤 밸브는 압력 탭과 실린더 접속부의 연결의 의미에서는 제어압력에 의해 그리고 탱크 포트와 실린더 접속부의 연결의 의미에서는 고정 값으로 조정된 제 1 압축 스프링과 그리고 제 2 압축 스프링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피스톤 밸브의 초기 장력은 작동 실린더(17)의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의 위치와 더불어 변하게 된다. 다시 말해 작동 실린더(17)의 피스톤과 피스톤 로드는 각각, 펌프 조절 밸브(18)의 피스톤에서 공급되는 제어 압력에 의해 생성된 하중과 스프링에 의해 생성된 하중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어 압력에 의해 유압모터(12)의 일정한 흡수 용적이 조정된다.
유압모터(12)에 공급되는 압력매체에 대한 소스는 탱크(6)로부터 유압유를 흡입하여, 공급 라인(27)으로 제공하는 가변용량형 펌프(25)이다. 상기 가변용량형 펌프(25)는 하나의 압력 레귤레이터(28)를 장치하고 있으며, 또한 공급라인(27) 내에서 압력 레귤레이터(28)에 조정된 압력에 도달될 시에 공급라인(27) 내에 조정된 압력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한 행정체적(swept volume)으로 재 설정된다. 너무 높은 압력에 대해 전체 제어장치를 보호하기 위해 압력제한밸브(29)가 공급라인(27)에 연결되어 있다. 가변용량형 펌프의 최대 행정체적은, 비록 다수 개의 유압 소모장치의 동시 작동의 고려 하에 최대 압력매체량이 요구된다고 하더라도, 상기 가변용량형 펌프가 아직 스토퍼에까지 방향을 바꾸어 나아가지 않는 방식으로 설정된다.
유압모터(12)가 회전하는 속도 및 회전방향은 비례하는 식으로 조정 가능한 방향제어밸브(35)로 제어 가능하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한 중심위치 내에서 스프링을 중심에 위치시키며 그리고 유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총 6개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는데, 즉, 공급라인(27)의 압력매체가 압력레귤레이터(37)를 통해 공급될 수 있는 하나의 공급포트(36), 곧바로 탱크라인(39)과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배출포트(38), 브레이크 밸브(41)를 통해 탱크라인(39)과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제 2 배출포트(40), 소모장치 라인(43)을 통해 모터 접속부(21)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제 1 소모장치 접속부(42), 소모장치 라인(45)을 통해 모터 접속부(22)와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제 2 소모장치 접속부(44), 그리고 유압실린더(14)의 원환(15)에 압력매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해주는 하나의 브레이크 접속부(46)를 포함하고 있다.
스프링이 중심에 위치하는 방향제어밸브(35)의 중심위치에서 상기 방향제어밸브의 접속부들(36, 40, 44)이 차단된다. 상기 접속부들(42, 46)은 접속부(38)와 그리고 그로 인해 탱크(26)와 연결된다. 제 1 제어 체임버(47)에 제어압력을 공급함으로써 방향제어밸브(35)의 피스톤 밸브는 각각 제어 압력의 레벨에 따라 훨씬 멀리 배출포트(38)가 차단되어 있는 제 1 작동위치로 변위된다. 소모장치 접속부(42)와 브레이크 접속부(46)는 함께 유량조정 유출구(48)를 통해 공급포트(36)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유량조정 유출구의 개구 횡단면은 밸브 피스톤의 변위 정도에 종속된다. 소모장치 접속부(44)는 배출 스로틀 밸브(49)를 통해 배출포트(40)와 연결되어 있다. 만약 제어 체임버(47)가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되고 그리고 제 2 제어 체임버(50)는 제어압력을 공급받게 된다면, 방향제어밸브(35)의 피스톤 밸브는 중심위치로부터 훨씬 멀리 벗어나, 소모장치 접속부(42)가 스로틀 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출포트(38)와 연결되어 있는 제 2 작동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브레이크 접속부와 또 다른 소모장치 접속부(44)는 함께 유량조정 유출구(48)를 통해 공급포트(36)와 연결되어 있다. 배출포트(40)는 차단되다. 대립되는 양방향으로 밸브 피스톤의 최대 변위 이동은 조정 가능한 스토퍼(51)에 의해 제한된다.
압력 레귤레이터(37)는 방향제어밸브(35)의 상이한 접속부들 간의 도시한 연결에 따라 방향제어밸브의 두 작동위치에서 각각 유량조정 유출구(48)의 흐름 상부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압력 레귤레이터(37)의 작동 피스톤은 폐쇄하는 방향에서는 유량조정 유출구의 흐름 상부 방향의 압력으로부터 그리고 개방하는 방향에서는 압축 스프링(52)과 그리고 제어라인(53)을 통해 공급되는 압력으로부터 가압된다. 상기 제어라인은 방향제어밸브의 브레이크 접속부와 그리고 그로 인해 각각 유압모터(12)쪽으로 리드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방향제어밸브(35)의 소모장치 접속부(42 혹은 44)와 연결되어 있다. 압력은 또한 각각 유량조정 유출구(48)의 흐름 하부방향의 압력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압력 레귤레이터(37)는 스프링(52)의 하중과 등가의, 유량조정 유출구(48)를 통과하는 일정한 압력차이를 조절하게 되다. 그로 인해 유량조정 유출구(48)를 통과하여 흐르는 압력매체량은 단지 유량조정 유출구의 개구 횡단면에 종속되며 그리고 하중 압력 및 펌프 압력과는 무관하다.
브레이크 밸브(41)의 작동 피스톤은 개구 방향에서는 방향제어밸브(35)의 소모장치 접속부에서 그리고 그로 인해 소모장치 라인(43) 내에서 그리고 모터 접속부(21)에서 발생하는 압력으로부터 그리고 폐쇄방향에서는 압축스프링(54)의 하중 및 제어라인(55)을 통해 공급되는 파일럿압에 의해 가압되며, 상기 파일럿압은 예컨대 40bar의 영역에서 일정하게 위치한다. 상기 두 압력은 동일한 크기의 표면에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브레이크 밸브(41)는 화물 인장 시에 스로틀 밸브(49)와 더불어 유압모터(12)로부터 소모장치 라인(45)을 통과하는 압력매체의 배출을 각각, 소모장치 라인(43) 내에 브레이크 밸브의 작동 피스톤에서 하중을 생성하는 압력이 형성되도록 강하게 스로틀 된다. 상기 하중은 압축 스프링(54)의 하중과 파일럿압으로부터 생성된 하중의 평형을 유지시킨다. 유압모터(12)의 회전속도는 또한 화물의 인장 시에 또한 유량조정 유출구(48)의 개구 횡단면에 의해 결정된다. 그 외에도 방향제어밸브(35)의 브레이크 접속부(46)에서의 압력은 화물의 인장 시에 브레이크(13)가 이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만큼 높다.
상기 두 소모장치 라인들(43과 45) 사이에는 압력제한밸브(60)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제한밸브는 가변용량형 밸브(25)에 의해 조절되는 압력 이상이지만, 압력제한밸브(29)의 조정 압력 이하에 위치하는 10 - 20bar 정도의 압력으로 조정되어 있다.
방향제어밸브(35), 압력레귤레이터(37), 브레이크 밸브(41) 및 압력제한밸브(60)는 밸브 플레이트 내에 설치된다. 상기 밸브 플레이트 상에는 하나의 파일럿 제어장치(6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장치를 통해 차단 가능한 바이패스 라인(66)이 리드되며, 상기 바이패스 라인은 공급라인(27)으로부터 압력 레귤레이터(37)의 흐름 상부 방향으로 인출되며 그리고 소모장치라인(45) 내로 개방되며, 또한 압력레귤레이터(37) 및 방향제어밸브(35)를 통과한다. 바이패스 라인(66) 내에는 플레이트(61) 내에 위치하는 하나의 노즐(67)이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노즐을 통해서는 유압모터(12)에 바이패스 라인(66)을 통해 공급될 수 있는 압력매체량이 대략 유량조정 유출구(48)의 최대 개방 시에 방향제어밸브(35)를 통해 유압모터(12) 쪽으로 흐르는 압력매체량의 10%로 제한된다.
파일럿 제어장치(65)는 2개의 감압밸브(68과 69), 하나의 방향제어밸브(70), 하나의 체크 밸브(71), 다수 개의 셔틀밸브(72, 73, 74, 75), 2개의 완충 노즐(76), 2개의 릴리프 노즐(77) 및 밸브들을 상하로 연결하기 위한 상이한 채널들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체크밸브(71)는 바이패스 라인(66)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공급라인(27)쪽으로 차단된다. 체크밸브(71)의 흐름 하부방향에는 감압밸브(68)가 자신의 압력 탭과 더불어 바이패스 라인(66)에 연결되어 있다. 감압밸브(68)의 릴리프 포트는 누출 채널(78)(leakage channel)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감압밸브(68)는 고정된 값으로 조정되며 그리고 자신의 제어 출구에서 그리고 파일럿압 공급채널(79)에서 예컨대 이미 언급한 40 bar 수준의 압력을 조절한다. 상기 파일럿 압력 공급 채널에는 또한 블레이크 밸브(41)쪽으로 리드되는 제어라인(55)이 연결되어 있다. 자신의 압력 탭과 더불어서는 채널(79)에, 자신의 릴리프 포트와 더불어서는 채널(78)에 그리고 자신의 제어 출구와 더불어서는 파일럿압 채널(80)에 연결되어 있는 감압밸브(69)는 중립위치로부터 제어레버(81)가 변위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제어레버(81)의 변위축은 (82)로 부호 표시되어 있다. 제어레버에는 하나의 레이디얼 캠(radial cam)을 포함하는 하나의 플레이트 캠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레이디얼 캠에는 감압밸브(69)의 작동 스템(84)이 인접하여 있다. 상기 레이디얼 캠은, 중립위치로부터 제어레버의 변위 시에 우선 변위방향에 무관하게 감압밸브(69)가 동일한 방식으로 조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비록 절대적으로 전체에 걸쳐 동일한 기울기를 가지지 않지만, 채널(80) 내 파일럿압은 대략 8도의 변위각도로부터 출발하여 45도의 변위각도까지 연속해서 증가하게 된다. 한 방향으로 변위의 경우 제어레버(81)의 변위 각도는 대략 50도로 제한된다. 상기 방향으로는 제어레버가 이완하기 위해, 다시 말해 권상기(10)로부터 케이블을 풀기 위해 변위된다. 다른 방향으로의 제어레버의 변위는 만약 권상기(10) 상에 케이블이 감긴다고 할 때 권상을 위해 이루어진다. 이때 제어레버(81)는 이완의 방향으로 변위될 때 뿐 아니라 권상 방향으로 변위 될 시에도 레버 자신에게 작용하는 반동장치에 근거하여, 만약 상기 제어레버가 릴리스 된다고 한다면, 다시금 자신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 그럼에도 권상의 방향으로는 제어레버는 대략 100도의 변위각도까지 변위 가능하며, 동시에 상기 레버는 대략 54도 이상으로 변위될 시에 그런 다음에는 비록 릴리스된다고 하더라도 자신에 의해 포착된 위치 내에 머무르게 된다. 이러한 영역 내에서 권상기(10)는 계류 모드로 작동된다. 3가지 각도영역 즉 이완, 권상 및 계류 각도영역들은 도 1 내에 빗금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완에 대한 관련부호는 (85), 권상에 대한 관련부호는 (86), 그리고 계류에 대한 관련부호는 (87)이다. 이때 플레이트 캠(83)은 계류 각도영역(87)에서 채널(80) 내 압력은 제어레버(81)의 변위각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방향제어밸브(70)는 제어레버(81)에 의해 기계적으로 작동된다. 자신의 이동 가능한 밸브 엘리먼트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rotary slide valve)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의 회전축은 제어레버(81)의 축(82)과 일치한다.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기능에 따라 구별 가능한 총 4가지 제어위치들을 취할 수 있으며 그리고 7개의 접속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접속부들 중 2개의 접속부들(88과 89)은 체크밸브(71)의 흐름 하부방향으로 그리고 노즐(67)의 흐름 상부방향으로 바이패스 라인(66) 내에 위치한다. 하나의 접속부(90)쪽으로는 파일럿 압력채널(80)이 리드된다. 한 접속부(91)는 누출채널(78)과 연결되어 있다. 3개의 나머지 접속부들(92, 93, 94)은 각각 셔틀밸브(72 내지 73 내지 74)의 제 1 입구쪽으로 리드된다. 셔틀밸브(74)의 제 2 입구는 방향제어밸브(35)의 브레이크 접속부(46)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셔틀밸브의 출구로부터는 하나의 라인(5)이 유압실린더(14)의 원혼(15)쪽으로 리드된다. 상기 두 셔틀밸브들(72와 73) 각각의 제 2 입구는 각각 본 경우에는 폐쇄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제 2 파일럿 제어장치를 이용하여 권상기를 제어하는 가능성을 제공하는 하나의 외부 포트(9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2 파일럿 제어장치는 플레이트(61)와 파일럿 제어장치(65)로 구성되는 블록으로부터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원거리 제어의 경우에 그리고 작은 파일럿압의 경우에 방향제어밸브(35)의 포트(46)와 셔틀밸브(74) 사이에 라인이 필요하게 되는데, 왜냐하면 그런 다음 상기 라인을 통해 유압실린더(14)의 원환(15)이 압력을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셔틀밸브(72)의 출구로부터는 완충 노즐(76)을 통해 하나의 제어라인(96)이 제어 체임버(50)쪽으로 그리고 셔틀밸브(73)의 출구로부터는 마찬가지로 완충 노즐(76)을 통해 하나의 제어 라인(97)이 방향제어밸브(35)의 제어 체임버(47)쪽으로 리드되어 있다. 셔틀밸브(75)는 한 입구와 더불어서는 셔틀밸브(72)의 출구에 그리고 자신의 타 입구와 더불어서는 셔틀밸브(73)의 출구에 인접하여 있다. 상기 셔틀밸브(75)의 출구는 하나의 제어라인(98)을 통해 유압모터(12)의 제어 입구(16)와 연결되어 있다.
방향제어밸브(70)는 제어레버(81)의 중립위치에서 접속부들(88, 89, 90)이 차단되며 그리고 기타 접속부들은 탱크 채널(78)과 연결되어 있는 하나의 위치를 취한다. 바이패스 라인(66)도 또한 차단된다. 제어라인들(95, 96, 97, 98)은 채널(78)쪽으로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된다. 그러므로 방향제어밸브(35)는 자신의 중심위치에 위치하게 되다. 유압모터(12)는 최대 흡수용적에 위치하게 된다. 브레이크(13)는 맞물린다.
이젠 이완을 위한 제어레버는 각도영역(85) 내에서 조정된다. 그럼으로써 방향제어밸브(70)는 접속부(89와 94), 접속부(90과 93) 그리고 접속부(91과 92)각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로 인해 접속부(90과 93)를 통해서 그리고 셔틀밸브(73) 및 제어라인(97)을 통해서 방향제어밸브(35)의 제어 체임버(47)는 제어압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어압력은 셔틀밸브(75) 및 제어라인(98)을 통해 또한 유압모터(12)의 제어입구(16)에서 생성된다. 방향제어밸브(35)의 제어 체임버(50)는 제어라인(96), 셔틀밸브(72), 그리고 방향제어밸브(70)의 접속부들(91과 92)을 통해 혹은 하나의 릴리프 노즐(77)을 통해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된다. 그로 인해 방향제어밸브(35)는 공급포트(36)가 유량조정 유출구(48)를 통해 소모장치 접속부(42) 및 브레이크 접속부(46)와 연결되어 있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소모장치 라인(43)과 공급라인(27) 내에는 셔틀밸브(74)를 통해 유압모터(14)의 원환(15) 내에도 또한 생성되며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브레이크를 이완시키기에 충분한 압력이 형성된다. 유압펌프(25)로부터 이송된 압력매체는 이젠 공급라인(27), 압력레귤레이터(37), 방향제어밸브(35) 그리고 소모장치 라인(43)을 통해 유압모터(12) 쪽으로 그리고 상기 유압모터로부터 소모장치 라인(25), 방향제어밸브(35)의 스로틀 개구부(49), 그리고 브레이크 밸브(41)를 통해 탱크(26)쪽으로 흐를 수 있게 된다. 케이블은 권상(10)에 의해 감기게 된다. 이때 비록 인장 화물이 케이블에 걸린다고 하더라도, 브레이크 밸브(41)로 인해 유압모터(12)에서 탱크 쪽으로의 압력매체의 배출이 단지 스로틀 되어 발생할 수 있게 되며, 그럼으로써 소모장치 라인(43) 내에는 일정한 압력이 유지된다. 상기 압력은 브레이크(13)를 이완상태로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그 외에도 케이블이 풀리게 되는 속도는 단지 제어레버(81)의 변위에 종속되는 제어압력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때 권상기(10)의 속도는 2가지 방식으로 영향을 받는다. 대략 25도의 변위각도까지는 단지 방향제어밸브(35)만이, 조정되며, 그러나 유압모터(12)는 조정되지 않는다. 상기 유압모터는 최대 흡수용적 및 최대 토크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토크는 도 1 내에 스프링들(85, 86, 87)의 반경방향 연장부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25도로 제어레버(81)가 변위한 후에 방향제어밸브(35)는 완전히 개방된 상태이다. 제어레버(81)의 추가 변위 시에 유압모터(12)의 흡수용적이 감소되며, 그럼으로써 유압모터의 회전속도도 상승하게 되며, 그러나 토크는 낮아진다. 이러한 점은 도 1 내 스프링(85)의 적어지는 반경방향 연장부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만약 도시된 중립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제어레버(81)가 권상각도영역(86)으로 변위한다면, 방향제어밸브(70)는, 다시금 접속부들(89와 94)이 상호간에 연결되어 있는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접속부(90)는 접속부(92)와 그리고 접속부(91)는 접속부(93)와 연결된다. 그로 인해 제어 체임버(47)는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되며 그리고 방향제어밸브(35)의 제어 체임버(50)는 제어레버(81)의 변위각도에 종속되는 파일럿압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파일럿압은 유압모터(12)의 제어입구(16)에도 또한 생성된다. 방향제어밸브는 가변용량형 펌프(25)로부터 이송되는 압력매체가 공급라인(27), 압력 레귤레이터(37), 사이에 위치하는 유량조정 유출구(48)를 포함하는 접속부들(36과 44) 그리고 소모장치 라인(45)을 통해 유압모터(12)로 공급될 수 있는 자신의 제 2 작동위치에 도달한다. 유압모터(12)로부터 압력매체의 배출은 소모장치 라인(43) 및 방향제어밸브(35)의 접속부들(42와 38)을 통해 탱크(26)쪽으로 이루어진다. 소모장치 라인(45) 내 그리고 공급 라인(27) 내에서는 브레이크(13)를 이완시키기에 충분한 화물에 종속되는 압력이 형성된다. 이젠 케이블이 권상기(10)에 감기게 된다.
만약 제어레버(81)가 여전히 계속해서 계류각도영역(87)으로 변위된다면, 방향제어밸브(70)는 접속부들(88과 94)이 접속부(89)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압력매체의 관통용으로 바이패스 라인(66)은 개방되며 그리고 유압실린더(14)의 원환(15)은 체크밸브(71)의 흐름 하부방향으로 바이패스 라인에 연결된다. 방향제어밸브(70)의 포트(90)는 차단된다. 접속부들(92와 93)은 접속부(90)와, 다시 말해 감압밸브(69)의 제어출구와 연결된다. 그로 인해 방향제어밸브(35)의 두 제어 체임버 내에는 동일한 파일럿압이 생성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방향제어밸브는 자신이 스프링을 중심에 위치시키는 것에 근거하여 중심위치로 귀환한다. 파일럿압은 또한 유압모터(12)의 입구에서 생성된다. 이때 플레이트 캠(83)의 레이디얼 캠은 계류각도영역의 개시 시에 파일럿압이, 유압모터가 지신의 최소 흡수용적으로 설정되어 있을 만큼 높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로 인해 유압모터(12)에 의해 부과 가능한 토크 역시 최소값이다. 계류각도영역(87) 내 제어레버(81)의 증가하는 변위와 더불어 파일럿압은 계속해서 감소하며, 그럼으로써흡수용적 및 그로 인한 부과 가능한 유압모터(12)의 토크는 계속해서 증대된다. 이러한 점은 작동 물리학상 바람직한 것이다.
계류각도영역(87) 내에서는 유압모터(12)의 접속부(22)에 압력매체가 단지 바이패스 라인(66)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급은 노즐(67)에 의해 제한되며, 그럼으로써 계류 모드에서 유압모터의 회전속도 역시 그리고 그로 인한 케이블이 감기는 속도가 제한된다. 이러한 점은 작동 안전성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때 제어레버(81)는 계류각도영역(87)에서 외부 하중의 간섭 없이 자신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선적으로 제어레버를 계류각도영역으로 설정하며 그런 다음 케이블에서 일을 하는 척하거나 혹은 케이블의 영역 내에서 지체하는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이제는 노즐(67)에 의해서 케이블이 이동하는 속도가 작은 속도로 제한된다. 비록 케이블이 찢기게 되더라도, 속도가 화물 적재된 경우보다 약간 더욱 높아지려고 한다면, 케이블이 감기는 속도는 노즐(67)로 인해 낮은 상태로 유지된다.
제어레버(81)는 파일럿제어장치(65)의 하우징(101)으로부터 돌출되는 샤프트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183)를 이용하여서는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하우징(101) 내에 캠 디스크(102)는 반동장치(103)와 상호작용하는 캠 플레이트(104)와 그리고 축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캠 디스크(102)에 연결되는 플레이트 캠(83)은 감압밸브(69)의 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레이디얼 캠(105)과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 플레이트(104)와 레이디얼 캠(105)은 각각 부분 원통형 표면을 가지며, 상기 표면은 축방향으로 일정한 정도에 걸쳐 연장된다. 캠 디스크(102)와플레이트 캠(83)은 하우징(101)의 더욱 큰 중공부(99) 내에 위치하며 상기 중공부 내에는 정 반대편에 위치하지만 그럼에도 캠 디스크(102)와 플레이트 캠(83)의 축방향 변위에 상응하게, 마찬가지로 축방향으로 상호간에 변위되어 2개의 하우징 보어들(106과 107)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 보어(106)는 반동장치(103)의 부분을 수용한다. 하우징 보어(107) 내에는 감압밸브(69)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감압밸브(69)는, 제어레버(81)의 변위각도가 선택된 경우 채널(80) 내에서 완전하게 결정된 파일럿압이 생성되어 있는 방식으로 외부에서 조정 가능하다. 이러한 선택된 변위각도에서 방향제어밸브(35)는 완전하게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유압모터(12)의 조정이 개시된다. 감압밸브(69)는 조정을 위해 상부방향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보어(107)의 단부로부터 이 하우징 보어 내로 나사 고정 삽입되는 제어 슬리브(108)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어 슬리브(108)는 외부에서는 3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리고 각 단계에는 하나의 밀봉부(109, 110 및 111)를 포함하고 있다. 최소의 직경을 가지는 밀봉부(109)와 중간의 밀봉부(110) 사이에 있어서 제어 슬리브(108)와 하우징(11) 사이의 하나의 원환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환은 도 1에 있어서 (79)로 부호 표시되는 제어압력 공급 채널의 부분이 되며 그리고 상기 원환 내에는 감압밸브(68)에 의해 조절되는 압력이 40bar의 레벨로 생성된다. 두 밀봉부(110과 111)들 사이의 축방향으로는 제어 슬리브(108)의 외부에 추가 원환이 위치하며, 상기 추가 원환은 도 1의 파일럿 압력 채널(80)에 속한다. 제어 슬리브(108)와 하우징(101) 사이의 추가 원환은 밀봉부(109) 앞쪽에 제공되어 있으며, 동시에 상기 원환은 도 1의 누출 채널(78)에 속한다.
제어 슬리브(108)에 의한 중심 관통부(112)는 축방향으로 연달아 위치하는 상이한 횡단면을 가지는 단면들을 갖는다. 최소의 직경을 가지는 보어 단면은 대략 밀봉부(109와 11) 사이에 축방향으로 위치해 있으며 그리고 2개의 레이디얼 보어들(113)을 통해 원환(79) 쪽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보어 단면은 외부 방향으로 대략 더욱 크면서 부분적으로 암나사를 장치하고 있는 보어 단면으로 이어지며, 상기 단면으로부터는 원환(80) 내로 개방되는 레이디얼 보어(114)가 개시된다. 보어단면에는 헤드리스 나사(115)가 나사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헤드리스 나사를 통해 언급한 보어 단면들이 외부방향으로 밀폐되어 있다. 헤드리스 나사(115)의 반대편에는 관통부가 다각형 구멍으로서 설계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부에는 대개 회전시기키 위해 그리고 그로 인해 제어 슬리브(108)를 축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 하나의 공구와 맞물려질 수 있다. 레이디얼 보어(113)가 개방되는 보어 단면은 내부 방향으로 하나의 추가 단을 가지는 수용부(116)로 이어지며 상기 수용부로부터 레이디얼 보어(117)가 원환(78)으로 리드된다. 상기 수용부(116) 내에는 감압밸브(69)의 스텝(84)용 가이드 부시(118)(guide bush)가 장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그 내부에는 헤드리스 나사(121)에 의해 분리될 수 없게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부시는 레이디얼 보어들(119)을 포함하며, 상기 레이디얼 보어들을 통해 제어 슬리브(108)와 가이드 부시(118) 사이에 놓여지는 원환과 더불어 제어 슬리브(108), 가이드 부시(118) 그리고 스템(84) 사이에 형성된 스프링부(120)가 원환(78)과 그리고 그로 인해 탱크와 연결된다.
레이디얼 보어들(113)이 개방되는 관통 단면은 작동피스톤(125)용 가이드 보어로서 역할을 하며 그리고 작동 피스톤과 더불어 상이한 원환들(78, 79, 80) 사이의 연결을 제어한다. 이때 한 측면에서는 레이디얼 보어들(113)과 보어 단면 사이의 에지가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는 보어 단면과 더욱 큰 스프링부(120) 사이의 에지가 제어 에지를 형성한다. 작동 피스톤(125)은 축방향 팩 보어(126)를 포함하는 중공 피스톤이며, 상기 팩 보어는 레이디얼 보어들(114) 쪽으로 개방되며 그리고 다수 개의 레이디얼 보어들(127)을 통해 작동 피스톤의 외부측면과 연결된다. 상기 레이디얼 보어들(127)은 외부 방향에서 링 그루브(128)로 이어진다. 레이디얼 보어들(127)을 포함하는 링 그루브의 축방향 연장부는 제어 슬리브(108)에 있는 제어 에지들 사이의 내경의 축방향 간격보다 극미하게 작으며, 그럼으로써 팩 보어(26)는 포지티브 커버를 이용하여 레이디얼 보어들(113)뿐 아니라 스프링부(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가능하다. 작동 피스톤(125)은 스프링부(120)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그리고 헤드(129)를 이용하여서는 스템(84)의 팩 보어(130) 내로 돌출된다. 상기 작동 피스톤은 헤드(129)와 더불어 스템(84)과 밸브 스프링 리테이너(132) 사이에 배치되며 그리고 홈이 난 스냅 링의 유형에 따라 헤드(129)를 고정하는 하나의 디스크(131)를 뒤에서 고정시킨다. 스프링부(120)에 의해 수용되는 스템(84)용 복구 스프링(133)은 한 측면에서는 제어 슬리브(108)에 그리고 다른 측면에서는 밸브 스프링 리테이너(132) 및 디스크(131)를 통해 스템(84)에 지지되며 그리고 상기 스템을 레이디얼 캠(105)에 밀착시킨다. 또한 스프링부(120)로부터는 조정 스프링(134)이 수용되며 상기 조정 스프링은 작동 피스톤(125)의 견부에 위치하는 밸브 스프링 리테이너(135)와 상기 밸브 스프링 리테이너(132) 사이에 신장되어 있으면서, 도시된 스템(84) 정지위치 내에 상기 스템의 헤드(129)가 디스크(131)에 인접하여 있도록 해 준다.
압력제한밸브(69)는 제어레버(81)의 축과 관련하여 스템(84)의 축이 제어레버(81)의 축(82)을 수직으로 절결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레이디얼 캠(105)은, 축(82)으로부터 자신의 간격이 최소가 되며 그리고 제어레버(81)의 중립위치에서는 스템(84)이 인접하여 있는 중심의 중립 라인으로부터 출발하여, 양 측면 방향으로 우선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다. 축(82)으로부터 상기 레이디얼 캠의 간격은 이때 연속해서 증가한다. 한 측면으로는 상기 레이디얼 캠(105)이 반경방향의 외부 방향으로 인출되는 표면 단면(140)에서 종료되며, 상기 표면 단면에 대해 스템(84)은 스토퍼로서 작용하며 그리고 그로 인해 상기 표면 단면은 제어레버(81)의 변위각도를 한 방향으로 제한한다. 다른 방향으로는 대략 레이디얼 캠 단면(140)과 동일한 중심라인으로부터 간격에서 작은 상승부(141)가 위치하며, 상기 상승부에 근거하여 제어레버(81)의 변위 시에 토크가 짧게 상승하며 그리고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한 작동영역에서 제 2 작동영역으로 전환됨을 신호화한다. 상승부(141)에 대한 접속부 내에서는 레이디얼 캠 단면(142) 내 축(82)으로부터 레이디얼 캠의 간격이 작아진다.
도 2 내에 도시된 레이디얼 캠(105)의 중립 위치 내에는 스템(84)이 위치하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스템과 더불어 감압밸브(69)의 작동 피스톤(125)은, 원환(80)이 블라인드 홀(126), 레이디얼 보어(127), 스프링부(120), 레이디얼 보어(119) 및 레이디얼 보어(117)를 통해 원환(78)과 유체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한 위치 내에 위치하게 된다. 만약 이 시점에서 제어레버가 변위하면 스템(84)은 제어 슬리브(108) 내 쪽으로 변위된다. 조정스프링(134)을 통해서는 작동 피스톤(125)이 함께 이동되며, 그럼으로써 블라인드 홀(126)과 원환(78) 사이에 연결이 차단되며 그리고 블라인드 홀(126)과 원환(79) 사이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원환(79)으로부터 이젠 압력매체가 작동 피스톤(125)을 통해 원환(80) 내로 그리고 계속해서 방향제어밸브(35)의 하나 혹은 두 개의 원환(47과 50)으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압력매체는, 작동 피스톤(125)이 조정 스프링(134)에 대해, 압력 힘과 스프링 힘이 평형을 이룰 때까지 다시금 변위된다. 작동 피스톤(125)은 이제 제어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때 원환(80) 내 파일럿압의 레벨은 초기 장력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초기 장력은 작동 피스톤(125)의 제어 위치에서 스템(84)의 위치가 지정될 시에 조정 스프링(134)이 갖게 된다. 상기의 초기 장력과 그로 인한 지정된 스템 위치 내 파일럿압 역시 조정 가능하다. 또한 제어 슬리브(108)는 대략 하우징(101) 내로 혹은 하우징(101)으로부터 나사 고정되거나, 풀려진다. 그럼으로써 작동 피스톤(125)의 제어 위치 역시 그리고 그로 인해 스템 위치가 지정되는 경우 조정 스프링(134)의 초기 장력이 변하게 되며 그로 인해 파일럿압의 레벨도 변하게 된다. 제어 슬리브(108)를 나사 고정 삽입함으로써 파일럿압은 증가하게 되며 나사를 풀게 되면 상기 파일럿압은 감소한다. 그로 인해 제어레버(81)의 위치가 선택되는 경우 지정된 파일럿압은 조정될 수 있다. 그에 반해 제어레버(81)의 선택된 위치로부터 멀어지면서 여전히 패턴 편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상이한 패턴으로 이용되는 조정 스프링의 강도가 다양하기 때문이다.
반동장치(103)는 하나의 스러스트 피스(145)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러스트 피스는 원통형 단면(146)과 더불어 하우징 보어(106) 내에 리드되어 있으며, 양면(147)(two face)(자신의 평면한 표면들은 축(82)에 대해 수직으로 향해있음)과는 중공부(99) 내로 돌출되며 그리고 축(82)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자신의 전단부(148)는 복구 캠 플레이트(104)에 압착된다. 압착력은 전체 변위영역 내에서 복구 스프링(149)로부터 부과된다. 추가로 도 1 내에 (87)로 부호 표시되는 계류각도영역 내에서는 추가 압력 스프링(150)이 작용한다. 사기 스프링은 스러스트 피스(145)와 하우징 보어(106) 내 나사 고정되어 있는 밀폐 나사(151) 사이의 스프링부 내에 위치한다. 필요한 길이의 스프링을 아래로 넣기 위해 스러스트 피스(146)는 밀폐 나사(151) 쪽으로 개방되는 블라인드 홀(152)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블라인드 홀의 바닥부와 밀폐 사나(151) 사이에는 복구 스프링(149)이 신장되어 있다. 복구 스프링(149) 내부에는 마찬가지로 밀폐 나사(151) 쪽으로 개방되는 하나의 부시(153)가 위치해 있으며, 상기 부시의 블라인드 홀 내에는 압력 스프링(150)이 대부분 수용되어 있다. 도 2 내에 도시되는 스러스트 피스(145)의 위치는 상기 스러스트 피스가 밀폐 나사(151)로부터 가장 큰 간격을 가지고 있는 위치이며 그리고 상기 위치에서는 압력 스프링(150)이 완전하게 이완된다. 스러스트 피스(145)가 밀폐 나사(151)에 일정한 이동거리만큼 진행한 후에 비로소 압력 스프링(150)이 작용하게 된다.
가이드 단면(146) 내에서는, 상기 스러스트 피스(145)는 자신의 외부측면에 있어서 완전하게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그루브(154와155)를 갖는다. 상기 그루부들은 상이한 길이를 가지지만, 이때 그럼에도 밀폐 나사(151) 방향으로 향하는 스러스트 피스(154)의 단부로부터는 동일하게 이격되어 개시된다. 그루브(154) 내에는 극미한 간극을 가지면서 하나의 핀(156)이 맞물려 있는데, 상기 핀은 하우징(101) 내에 고정되어있다. 상기 핀(156)을 통해 스러스트 피스(145)는 회전할 수 없게 고정된다. 그루브(154)는 스러스트 피스(145)의 축방향 운동이 핀(156)에 의해 제한되지 않을 만큼 긴 길이를 갖는다.
캠 플레이트(104)는 대체로 상호간에 구분 가능한 4개의 적층 캠 단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캠 단면(160)은 축(82)을 중심으로 180도 이상 연장되며 그리고 정원통형으로 구부러져 있는데, 다시 말해 전체적으로 축(82)에 대해 동일하게 이격되어 있다. 제어레버(81) 및 그로 인한 캠 플레이트(104) 중립위치 내에서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축(82)과 캠 단면(160)의 단부를 통과하는 축방향 평면(164)이 스러스트 피스(145)의 축 상에 수직으로 서 있다. 캠 단면(160)의 두 단부 사이에는 표면의 평면 캠 단면들(161, 162, 163)이 위치해 있으며, 상기 단면들은 상호간에 각도를 이루면서 연장된다. 상기 3개의 캠 단면들 중 중앙의 캠 단면(161)은 평면(164)에 대해 평행하게 이 평면(164)으로부터 극미하게 이격되어 연장된다. 상기 두 캠 단면들(162, 163)은 캠 단면(161)에서 캠 단면(160) 쪽으로 경사져 연장된다.
캠 플레이트(104)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스러스트 피스(145)의 전단부(148)는 상호간에 동일 평면에 위치하며 스러스트 피스(145)의 축 상에 수직으로 서 있는 2개의 평면 표면 단면들(168, 169)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평면의 표면 단면들은 양면(147)의 원형의 측면 단면으로부터 훨씬 멀리 내부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표면 단면(169)은 실질적으로 표면 단면(168)보다 길다. 상기 두 표면 단면들 사이에는 전단부(148) 내로 평판측에 대해 수직으로 관통하는 하나의 리세스(170)가 설치되며, 상기 리스세는 표면 단면(168)의 내부 단부로부터 출발하여 동일하게 구부러진 표면(171)에 의해 제한되며, 상기 표면의 곡률은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160)의 곡률과 동일하다. 표면(171)에는 하나의 그루브(172)가 연결되며, 상기 그루브는 스러스트 피스의 전단부 내 중앙에 위치한다. 그루브(171)의 하 측면은 정지면(173) 내에 있어서 평면의 표면 단면(169) 내로 이어진다.
그루브(172) 내로는 스러스트 피스(145)를 통과하는 축방향 보어(174)가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축방향 보어의 연장부 내에서는 또한 부시(153)의 바닥부가 하나의 축방향 보어(175)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들(149와 150)을 수용하는 스프링부는 계속해서 하우징(101)의 중공부(99)와 유체에 의해 연결되어 있게 되다. 상기 중공부(99)는 다시금 누출 라인(78) 내에 위치한다.
이완을 위해, 다시 말해 권상기(10)로부터 케이블을 풀기 위해 제어레버(81)는 도 1에 따른 이완각도영역(85)으로 변위된다. 그럼으로써 제어레버(83)와 캠 디스크(102)는 도 2에 따라 볼 수 있듯이 시계바늘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다. 이때 우선적으로 캠 단면들(161과 163) 사이의 에지가 스러스트 피스(145)의 표면 단면(169)을 따라 리드된다. 그럼으로써 상기 스러스트 피스는 밀폐 나사(151)의 방향으로 변위되며, 그럼으로써 복구 스프링(149)의 초기 장력은 계속해서 증가된다. 만약 어떠한 한 위치에서 제어레버가 릴리스된다면, 스러스트 피스(145)와 제어레버는 복구 스프링(149)의 작용 하에 도 2 내에 도시된 중립위치로 다시금 귀환한다. 만약 제어레버(81)가 여전히 이완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변위된다면, 최종적으로 캠 단면(163)은 스러스트 피스(145)의 표면 단면(169)에 표면을 이루며 인접하게 된다. 제어레버가 계속해서 변위될 시에 스러스트 피스의 작용점은 점프하는 방식으로 제어레버의 축(82)으로부터 떨어져 캠 단면(163)과 캠 단면(160) 사이의 에지에까지 이동한다. 이러한 점은 토크의 급상승에서 나타나며, 상기 토크는 반동장치(103)가 제어레버에 부과하는 것이다. 그로 인해 사용자에게 이제부터 도 1로부터의 방향제어밸브(35)가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제어레버(81)의 계속되는 변위 시에 유압모터(12)의 흡수용적은 감소됨을 신호화한다. 만약 캠 단면들(163과 169)이 상호간에 표면을 이루며 인접한다면 파일럿압은 지정된 레벨을 가지며, 상기 레벨은 압력제한밸브(69)의 조정에 의해 조정된다. 계속 변위될 시에 이제부터는 캠 단면(160)과 캠 단면(163) 사이의 에지가 표면 단면(169)을 따라 리드되며 그럼으로써 스러스트 피스(145)는 계속해서 밀폐 나사 방향으로 변위되며 그리고 복구 스프링(149)은 계속해서 사전 신장된다. 최종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종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플레이트 캠(83)은 레이디얼 캠(105)의 단면(140)과 더불어 감압밸브(69)의 스템(84)에 충돌하며 그리고 더 이상 계속해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만약 제어레버가 릴리스 된다면, 상기 레버는 반동장치(103)의 작용 하에 다시금 자신의 중립위치로 귀환한다.
만약 제어레버(81)가 자신의 중립위치,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161)과 스러스트 피스(145)의 표면 단면들(168, 169)이 상호간에 표면을 이루며 인접하는 중립위치로부터 권상 방향으로 변위된다면, 상기 플레이트 캠(83)과 캠 디스크(102)는 도 2에 따른 도면에서 시계바늘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러스트 피스(145)는 캠 플레이트(104)를 도 4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단면들(161, 162) 사이의 에지에 압착시킨다. 제어레버(81)가 계속해서 변위될 시에 최종적으로 캠 플레이트(102)의 캠 단면(162)은 스러스트 피스(145)의 표면 단면(168)에 표면을 이루면 인접하게 된다. 상기의 상태는 도 5 내에 도시되어 있다. 제어레버(81)가 계속 변위될 시에 사용자는 필요한 작동력의 급상승을 인지하며 그로 인해 이제부터 유압모터(12)의 흡수용적이 조정됨을 신호화 받는다. 최종적으로 스러스트 피스(145)의 표면(168)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162)과 캠 단면(160) 사이의 에지에 인접한다. 그곳에서 제어레버(81)는, 감압밸브(69)의 스템(84)이 플레이트 캠(105)의 상승부에 대해 충돌될 때가지 계속 회전한다. 이러한 점은 사용자의 경우 제어레버(81)의 변위동안 더욱 넓은 작용점에 있어서 식별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어레버의 계속되는 변위 시에 권상각도영역(86)의 벗어남이 신호화된다. 권상각도영역 내에서 제어레버(81)의 릴리스 시에 반동장치(103)는 제어레버를 다시금 이 레버의 중립위치로 귀환시키려고 하는데, 왜냐하면 제어레버의 모든 계속되는 변위는 상기 영역에서 복구 스프링(149)의 초기 장력의 상승과 결부되기 때문이다.
만약 스템(84)에 의한 상승부를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이 상승된 상태에서 제어레버가 계속해서 변위된다면, 우선적으로 두 캠 단면들(168, 160)사이의 에지와 그리고 더욱더 커지는 정도에서는 캠 단면(160)이, 캠 단면(160)이 리세스(170)의 표면(171)에 인접하는 스러스트 피스(145)의 리세스(170) 영역에 도달하게 된다. 각각의 컴포넌트들의 도 6 내 도시되는 위치들 내에서 스러스트 피스(145)는, 압착 스프링(150)이 곧바로 여전히 장력 없이 스러스트 피스와 밀폐 나사 사이에 인접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밀폐 나사(151)의 방향으로 변위된다. 시계바늘반대방향으로 캠 디스크(102)가 계속해서 회전할 시에 스러스트 피스는 여전히 계속해서 밀폐 나사 쪽으로 변위되며, 그럼으로써 압착 스프링(150)은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들(160, 168) 사이의 에지가 스러스트 피스(145)의 리세스(170) 영역 내에 도달할 때가지 신장된다. 도 7에는 스템(84)이 플레이트 캠(105)의 상승부(141)를 곧바로 극복했으며 그리고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160)이 리세스(170) 내에 극미하게 잠겨 있으며 그리고 그곳으로부터 표면(171)에 인접하여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스러스트 피스(145)는 이제부터 스프링(149)의 하중으로부터 그리고 추가로 스프링(150)의 하중으로부터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160)에 압착된다. 캠 단면(160)의 곡률과 표면(171)이 동일하기 때문에 제어레버의 계속되는 변위는 더 이상 스프링들(149, 150)의 더욱 강한 초기 장력을 초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 스프링들은 어떠한 복원력도 더 이상 제어레버에 부과하지 않는다. 제어레버는 계류각도영역(87) 내에 위치하게 된다. 권상각도영역과 계류각도영역 사이의 간격은 대략 10도이며 상기 영역 내에서는 스템(84)이 플레이트 캠(105)의 상승부(141)를 극복한다. 이때 발생하는 파일럿압의 상승은 방향제어밸브(35) 및 유압모터(12)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데, 왜냐하면 권상각도영역의 종료 시에 방향제어밸브(35)는 완전히 개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유압모터(12)는 자신의 최소 흡수용적으로 조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도 1로부터의 계류각도영역(87)의 종료 시에 캠 플레이트(104)의 캠 단면(168)은 도 8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170)의 정지면(173)에 충돌한다. 제어레버(81)의 추가 변위는 더 이상 불가능하게 된다.
상승부(14)의 외부의 영역(142) 내 플레이트 캠(105)이, 제어레버의 계속되는 변위와 더불어 스템(84)이 항상 계속해서 가이드 부시(118)로부터 인출되며 그럼으로써 감압밸브(69)의 스프링들은 계속되는 변위의 의미에서 토크를 제어레버(81) 상에 부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러스트 피스(145)와 캠 디스크(102) 사이 및 스템(84)과 플레이트 캠(83) 사이의 마찰력은, 제어레버가 계류각도영역내에서 비록 자신이 릴리스 된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만큼 크다.
도 8로부터는 특히 스러스트 피스(145)의 리세스(170) 내에는 그루브(172)의 의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그루브에 의해 스프링들(149, 150)을 포함하는 스프링부와 하우징(101) 내 중공부(99) 사이의 압력매체 교환이, 만약 제어레버(81)가 계류각도영역의 종료 시까지 변위되어 있다면 간단한 방식으로 보장된다.
스러스트 피스(145) 내 그루브(155)는 권상기의 계류 모드를 이용한 제어장치에 대해 어떠한 중요성도 가지지 않는다. 그럼에도 모든 권상기들이 계류 모드용으로 제공되어 있지 않다. 상기 그루브(155)는 계류 모드를 포함하지 않는 권상기 용으로 또한 스러스트 피스(145)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다. 또한 단지 도2 내 도시된 상태와 비교하여 상기 스러스트 피스는 180도 정도로 자신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하우징(101) 내에 장치된다. 그런 다음 핀(156)은 그루브(155) 내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그루브의 짧은 길이로 인해 핀(156)은, 스러스트 피스(145)가 밀폐 나사(151) 쪽으로 변위될 수 있는 이동 거리를 제한하게 된다. 대개 그로 인해 권상각도영역의 종료 시에 제어레버를 위한 스토퍼를 획득하게 된다. 이온각도영역의 종료시에 마찬가지로 핀(156)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그루브(155)의 길이에 따라 경우에 다라 사전에 이미 스템(84)이 플레이트 캠(105)의 표면(140)에 충돌하게 된다. 그루브(155)는 또한 계류모드를 포함하지 않는 권상기 및 계류모드를 포함하는 권상기용 파일럿 제어장치에 동일한 스러스트 피스(145)를 장착하는 것을 허용한다. 마찬가지로 기존의 권상기도 재구성될 수 있다.
도 9로부터는 하우징(101)이 하나의 밸브 보어(180)를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밸브 보어 내에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로서 설계되어 있으면서 이동 가능한 방향제어밸브(70)의 제어부재가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보어 내로는 도 1에 따라서 방향제어밸브 쪽으로 리드되며 그리고 하우징(101) 내에서 보어들로서 형성되어 있는 라인들 혹은 라인 단면들이, 도 10에 따라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밸브 보어(180)는 자신의 한 단부에서는 캠 디스크(102)와 플레이트 캠(83)이 위치하는 중공부(99)쪽으로 확장된다. 상기 캠 디스크(102)와 플레이트 캠(83)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와 일체형으로 제조되어 있다. 외부방향으로는 상기 중공부(99)가 하우징 커버(182)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커버 내로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의 축에 대해 동일 평면에 그리고 중심에 샤프트(183)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는 커버(182)의 위쪽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샤프트에서는 돌출한 단면에 제어레버(81)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는 하우징(101)의 내부에서 스톱 칼라(184)(stop collar) 내에서 종료된다. 상기 스톱 칼라는 커버(182) 내 한 단에 충돌하며 그리고 샤프트(183)가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샤프트(183)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는 2개의 핀(185)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상호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핀들 중 각각은 축방향으로 회전 슬라이드 밸브 및 샤프트의 보어 내로 맞물려 있다.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 쪽으로 개방되며 중심에 위치하는 샤프트(183)의 팩 보어 내에는 압축 스프링(186)이 장치되어 있으며, 상기 압축 스프링은 팩 보어의 바닥부에 그리고 볼(187)에 의해서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에 지지되며 그리고 샤프트(183)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는 축방향으로 상호간에 강제 분리되며 그럼으로써 한편에서는 샤프트(183)가 커버(182)에 그리고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는 캠 디스크(102)에 의해 하우징(101)에 인접하며 그리고 상기 두 부품들은 계속해서 고정되는 축방향 위치를 취하게 된다.
중공부(99) 반대편에 위치하면서 밸브 보어(180)는 반경 내에서 확대된 종단부(188) 내로 개방된다. 상기 종단부는 외부방향으로 밀폐나사(189)에 의해 밀폐된다. 중공부(99)와 상기 한 공간(188)은 도 1의 표시부호(78)로 표시되는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간에 그리고 오버플로우 오일 라인(19)과 연결되어 있다.
밀폐 나사(189)로 향해 있는 전단부로부터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 내로 단계식 팩 보어(190)가 제공되어 있으며, 상기 팩 보어 내로는 감압밸브(68)가 삽입되어 있다. 감압밸브(68)의 앞쪽에 축방향으로 팩 보어(90)가 감압밸브(68)의 하나의 축방향 제어포트(191)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포트 내로는 상기 감압밸브가 40 bar의 일정한 파일럿압을 조절한다. 감압밸브(68), 그리고 개의 축방향 보어(193)를 통해 상기 공간(188)과 연결되어 있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 사이의 원환(192)은 감압밸브(68)의 배출포트를 형성한다. 제 2 원환(194)은 감압밸브의 공급포트를 형성한다.
도 10 에 따라서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의 전개도에 있어서, 하우징의 상이한 보어들의 개구들이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보어들은 도 9 내에서는 부분적으로 공간상, 부분적으로는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그리고 방향제어밸브(70)의 상이한 접속부들(88 ~ 94)을 나타낸다. 상기 접속부(90)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를 중심으로 링 그루브(201)가 순환하는 위치에서 밸브 보어(180) 내로 개방되어 있다. 한 라인 내에는 접속부(90)의 한 측면 상에 축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접속부에 이격되어 접속부(92)가 그리고 타 측면 상에서는 접속부(93)가 밸브 보어(180) 내로 개방되어 있다. 접속부(92)의 높이 상에 축방향으로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 내에는 2개의 동일한 길이의 최종 그루브(202, 203)가 위치해 있으며, 상기 그루브들은 축방향 그루브들을 통해 링 그루브(201)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두 그루브들(202, 203) 사이에는 더욱 짧은 그르부들(204, 205)이 위치하며, 상기 그루브들(204, 205)은 각각 하나의 레이디얼 보어(206)를통해 중심의 축방향 보어(207)와 그리고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의 추가 레이디얼 보어(208)는 중공부(99)와 그리고 그로 인해 오버플로어 오일 라인과 유체에 의해 연결되어 있게 된다.
접속부(90)와 관련하여 그루브들(204, 205)에 대해 점대칭되는 방식으로 접속부(93)의 높이 상에 축방향으로 2개의 그루브들(209, 210)이 위치해 있으며, 상기 그루브들(209, 210)은 다시금 레이디얼 보어들(206)을 통해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의 축방향 보어(207)와 연결된다. 상기 두 그루브들(209, 210)의 사이에는 각 2개의 그루브들(221, 212) 내지 (213, 214)가 위치해 있으며, 상기 그루브들은 그루브(202, 203)과 마찬가지로 축방향 그루브를 통해 링 그루브(201)와 연결되어 있다. 밸브의 통로 기능에 중요한 것은 단지 링 그루브(210)와 그루브들(202, 204, 209, 211, 213)이다. 기타 그루브들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에서 반경방향의 압력보상의 역할을 한다.
도 10 내에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가 제어레버(81)의 중립위치에서 취하게 되는 한 위치에 있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가 도시되어 있다. 알 수 있는 점은 그루브들(204, 209)이 접속부(92, 93)를 커버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두 접속부들은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된다. 만약 이제부터 권상기의 권상 작동 모드를 위해 도 10에 따른 도면 내 회전 슬라이드 밸브가 하부방향으로 이동한다면, 상기 접속부(92)는 그루브(204)로부터 분리되며 그리고 짧은 이동 거리 후에는 그루브(202)로 커버된다. 접속부(92)는 또한 이제부터는 감압밸브(69)의 제어출구와 연결된다. 접속부(93)는 우선적으로 그루브(209)로 커버된 상태로 유지되며,그로 인해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1로부터의 권상각도영역(86)이 종료될 때가지 유지된다. 그런 다음 접속부(93)는 그루브(209)의 영역으로부터 나와서 그루브(213)로 커버된다. 상기 접속부(93)에는 이제부터는 접속부(92)에서와 동일한 파일럿압이 생성된다.
이완의 방향으로 제어레버의 변위 시에 접속부(92)는 그루브(204)로 커버되어 유지되며, 반면 접속부(93)는 그루브(211)로 커버된다.
그루브들(202 ~ 205)과 더불어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는 계속해서 하나의 순환 그루브(215)를 포함하며, 상기 순환 그루브로부터 레이디얼 보어(216)가 시작된다. 상기 레이디얼 보어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 내에 삽입된 감압밸브(68)의 앞쪽에서 팩 보어(190) 내로 개방되며, 다시 말해 감압밸브(68)의 제어 출구와 연결된다. 상기 그루브(215)와 레이디얼 보어(216)는 그로 인해 도 1에 따른 채널(79) 내에 위치하며, 상기 채널을 통해서는 감압밸브(69)의 공급포트에서 계속해서 일정한 파일럿 제어압력이 생성된다.
접속부(89)의 영역 내에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을 중심으로 하나의 그루브(217)가 순환한다. 상기 그루브는 축방향 그루브를 통해 상호간에 완전 반대편에 위치하는 2개의 짧은 그루브들(218)과 연결된다. 만약 제어레버가 계류각도영역 내에까지 변위 된다면 그루브들(218)은 접속부(88)로 커버되며, 그럼으로써 도 1의 바이패스 라인(66)을 통해 압력매체가 흐를 수 있게 된다. 그루브들(218)과 그로 인해 그루브(217)는 하나의 추가 링 그루브(219)를 통해 상호간에 완전 반대편에 위치하는 2개의 그루브들(220)과 연결되며, 상기 그루브들(220)을 이용하여서는 중립위치로부터 제어레버가 변위될 시에 접속부(94)가 커버되며 그럼으로써 도 1의 실리더(14)의 원환(15)은 시스템 압력을 공급받을 수 있게 되다. 제어레버(81)의 중립위치에서 접속부(94)는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의 작은 레이디얼 보어(221)를 통해 축방향 보어들(193)과 연결되며 그리고 그로 인해 탱크쪽으로 하중 경감된다. 링 그루브(219) 쪽으로 개방되는 레이디얼 보어(222)를 통해서는 원환(194), 다시 말해 감압밸브(68)의 압력입구가 링 그루브(217)과 그리고 그로 인해 바이패스 라인(66)과 연결된다.

Claims (15)

  1. 제어압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2개의 제어 출구들(96, 97)을 포함하며, 그리고 하나의 유압 파일럿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로서,
    상기 유압 파일럿 제어장치는 중립위치로부터, 가변성 제어압력을 제 1 제어출구(96)에 공급하기 위해 제 1 방향으로 그리고 가변성 제어압력을 제 2 제어출구(97)에 공급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 1 방향에 대해 반대인 제 2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는 하나의 레버(81), 및
    그리고 중립위치로부터 레버이(81) 변위됨으로써 제어 가능하며 제어출구(80)에서 제어압력을 생성하는 하나의 압력밸브(69)를 포함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에 있어서,
    압력밸브(69)는 레버(81)이 제 1 방향으로 변위될 시에 그리고 레버(81)이 제 2 방향으로 변위될 시에 동일한 의미에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레버(81)의 중립위치 내에서 취하는 정지위치로부터 레버(81)의 변위방향에 종속되면서 압력밸브(69)의 제어출구(80)를 제 1 제어출구(96)와 연결하는 제 1 제어위치로 혹은 압력밸브(69)의 제어출구(80)를 제 2 제어출구(97)와 연결하는 제 2 제어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하나의 방향제어밸브(70)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2. 제 1 항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70)의 정지위치에서 두 제어출구들(96, 97)은 방향제어밸브(70)의 탱크 접속부(91)를 통해 압력밸브(69)를 통과하면서 압력으로부터 하중 경감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파일럿 컨트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방향제어밸브(70)가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로서 하나의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의 축은 레버(81)의 회전축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는 레버(81)에 의해 밸브박스(101)의 밸브 보어(180) 내에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4. 제 3 항에 있어서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가 하나의 축방향 스토퍼(102)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를 이용하여서는 상기 회전 슬라이드 밸브가 스프링(186)에 의해 밸브 박스(101)의 스토퍼에 대해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5. 제 4 항에 있어서, 레버(81)이 밸브 박스 내 혹은 고정되어 상기 박스와 연결되는 하나의 부품(182)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리고 밸브 박스(101)로부터 나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방향 스토퍼(184)를 포함하는 샤프트(183)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는 분리된 부품으로서 샤프트(183)와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그리고 샤프트(183)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 사이에는 샤프트와 회전 슬라이드 밸브를상호간에 축방향으로 강제분리하는 스프링(186)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와 일체형으로 캠 디스크(102)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캠 디스크(102)에는 레버(81)용 바동장치(103)의 스러스트 피스(145)가 복구 스프링(149)의 하중 하에 이접되어 있으며, 상기 복구 스프링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보다 반경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복구 스프링은 회전 슬라이드 밸브(181)의 축방향 스토퍼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슬라이드 밸브(181)로서 형성되는 방향 제어밸브(70)의 제어부재는 자신의 한 전단부로부터 상기 방향제어밸브 내에 설치되는 축방향 보어(190) 내에 고정되어 조정되는 감압밸브(68)를 내부 제어압력공급을 위해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8. 제 7 항에 있어서, 감압밸브(68)는 축방향 보어(190) 내로 향하는 하나의 축방향 제어 접속부(191), 하나의 반경방향 배출포트(192) 그리고 계속해서 내부에서 배출포트(192)로서 축방향 보어(190) 내에 위치하는 반경방향 공급 포트(194)를 포함하며, 상기 축방향 제어 접속부(191)는 축방향 보어(190) 내로 개방되는 슬라이드 밸브(181)의 적어도 하나의 레이디얼 보어(216)를 통해 하우징 채널(79)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반경방향 배출포트(192)는 슬라이드 밸브(181) 내 적어도 하나의 축방향 보어(193)를 통해 슬라이드 밸브(181)의 전단부 앞쪽의 한 공간(188)과 연결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반경방향 공급포트(194)는 다시금 축방향 보어 내로 개방되는 슬라이드 밸브(181)의 적어도 하나의 레이디얼 보어(211)를 통해 하우징 채널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립위치로부터 제 2 방향으로 레버(81)이 변위될 시에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69)의 조정의 종속성이 중립위치에서 제 1 방향으로 레버(81)이 변위될 때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69)가 자신의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하나의 스템(84)을 포함하며, 스템(84)의 축은 대체로 수직으로 레버(81)의 변위축을 통과하며 그리고 상기 스템(84)은 레버(81)과 더불어 회전 가능한 플레이트 캠(83)의 주변에 위치하는 레이디얼 캠(105)에 의해 압력밸브(69)의 스프링(133, 134)의 하중에 대해 변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69)는 감압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69)는 자신의 컴포넌트가 하우징(101) 내에 장치된 후에, 레버(81)의 변위각도가 지정돈 경우 압력밸브의 제어출구(80)에서 지정된 파일럿압이 생성하는 방식으로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13. 제 12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가 하나의 밸브 박스, 축방향으로 리드되며 레버에 의해 변위 가능한 하나의 스템,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와 상호작용하는 하나의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 자신의 한 단부와 더불어서는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에 인접하며 그리고 타 단부와는 스템의 변위 시에 함께 이동 가능한 하나의 조정 스프링, 제어부재와 관련하여 스템의 반대편에 위치하면 하우징에 고정되는 조정 가능한 하나의 스토퍼 그리고 스토퍼와 제어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조정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조정 가능한 압력밸브(69)는 하나의 밸브 박스(101), 축방향으로 리드되며 레버(81)에 의해 변위 가능한 하나의 스템(84),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와 상호작용하는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125), 자신의 한 단부와 더불어서는 이동 가능한 제어부재(125)에 인접하며 타 단부와는 스템(84)의 변위 시에 함께 이동 가능한 하나의 조정 스프링(134), 그리고 밸브 박스(101) 내에 삽입되는 하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 카트리지에는 하우징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가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제어 카트리지의 축방향 위치는 외부로부터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15. 특히 제 14 항에 있어서, 스템(84)이 하나의 가이드 슬리브(118) 내에서 리드되며, 그리고 제어 카트리지(108)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에지에 걸쳐 연장되면서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리브(118)를 분리될 수 없게 수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압 파일럿 컨트롤.
KR1020017012130A 1999-03-24 2000-03-02 유압 파일럿 컨트롤 KR200101093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13276.3 1999-03-24
DE19913276A DE19913276A1 (de) 1999-03-24 1999-03-24 Hydraulische Vorsteuerung
PCT/EP2000/001790 WO2000057067A1 (de) 1999-03-24 2000-03-02 Hydraulische vorsteuer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20A true KR20010109320A (ko) 2001-12-08

Family

ID=790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2130A KR20010109320A (ko) 1999-03-24 2000-03-02 유압 파일럿 컨트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81461B1 (ko)
EP (1) EP1163454B1 (ko)
JP (1) JP2002540353A (ko)
KR (1) KR20010109320A (ko)
DE (2) DE19913276A1 (ko)
NO (1) NO20014575D0 (ko)
WO (1) WO20000570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97B1 (ko) * 2003-10-01 2007-04-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력전환 밸브를 이용한 유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13010A1 (de) * 2002-03-22 2003-10-02 Bosch Rexroth Ag Steuerung
US7152627B2 (en) * 2004-04-05 2006-12-26 R. H. Sheppard Co., Inc. Control valve for a hydraulic power steering system
DE102010048068B4 (de) 2010-04-16 2022-11-10 Robert Bosch Gmbh Ventilanordnung
DE102012012297A1 (de) 2012-03-30 2013-10-02 Atlas Copco Construction Tools Gmbh Ventil
CN102878142B (zh) * 2012-10-31 2015-03-18 南通润邦重机有限公司 一种比例恒张力液压阀组
US10207905B2 (en) 2015-02-05 2019-02-19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winch and capstan
CN104632746B (zh) * 2015-03-04 2017-11-24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切换阀、切换液压系统以及起重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6080C (ko)
US2523532A (en) * 1947-04-30 1950-09-26 Peter J Harinck Hydraulic control valve
US3150685A (en) * 1963-02-21 1964-09-29 Caterpillar Tractor Co Hydraulic control with mechanically vented pump unloading means
DE1601720A1 (de) * 1968-01-29 1971-01-07 Fendt & Co Xaver Hydraulikanlage fuer mehrere Verbraucher
DE2003584A1 (de) * 1969-02-26 1970-09-10 Mita Srl Einrichtung zur Druckmittelverteilung
US3847180A (en) * 1971-12-23 1974-11-12 Caterpillar Tractor Co Low effort, proportional control valve
DD116080A2 (ko) * 1974-05-29 1975-11-05
US4436020A (en) * 1982-03-11 1984-03-13 Caterpillar Tractor Company Dual input pressure compensated fluid control valve
DE4316229C2 (de) * 1993-05-14 1998-08-13 Mannesmann Rexroth Ag Hydraulisches Vorsteuergerät mit wenigstens einem über einen handbetätigbaren Betätigungshebel einstellbaren hydraulischen Druckregelventil
DE19630798A1 (de) * 1996-06-22 1998-01-02 Rexroth Mannesmann Gmbh Vorsteuerung für zwei hydraulisch betätigbare Wegeventile
DE19654547C2 (de) * 1996-12-27 1999-03-18 Kaessbohrer Gelaendefahrzeu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Winde und zugehörige Vorrichtu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6497B1 (ko) * 2003-10-01 2007-04-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압력전환 밸브를 이용한 유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14575L (no) 2001-09-20
US6481461B1 (en) 2002-11-19
DE19913276A1 (de) 2000-09-28
EP1163454B1 (de) 2004-01-07
WO2000057067A1 (de) 2000-09-28
JP2002540353A (ja) 2002-11-26
DE50004983D1 (de) 2004-02-12
NO20014575D0 (no) 2001-09-20
EP1163454A1 (de)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1197B1 (en) Pilot operated pressure valve
JP3617841B2 (ja) 負荷保持制動弁
JP2923379B2 (ja) 水圧モータ制御装置
US4629002A (en) Equalizing means for a subsurface well safety valve
US5036877A (en) Pilot controlled pressure relief valve
JPH1172102A (ja) 案内電磁制御バルブおよび同バルブを使用する液圧制御装置
KR100602396B1 (ko) 이완 모드, 권상 모드 및 계류 모드로 권양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 제어장치
KR20010109320A (ko) 유압 파일럿 컨트롤
JPH0454302A (ja) 油圧制御弁装置
US4129987A (en) Hydraulic control system
RU2314449C2 (ru) Клапан обратный управляемый
US4338856A (en) Dual pilot counterbalance valve
PL195576B1 (pl) Zawór sterujący, zwłaszcza do obudów górniczych
CN108591177B (zh) 回转缓冲装置、回转控制系统和工程机械
DE4032078C2 (de) Steuervorrichtung für einen hydraulischen Arbeitszylinder
US4892465A (en) Automatic control for variable displacement pump
US6152179A (en) Manually operable hydraulic pilot control
US4254798A (en) Directional control valve
JP4088606B2 (ja) 建設重装備用流量制御装置
US6027095A (en) Pipe breakage safety valve
US4848390A (en) Switching valve having hydraulic self-holding properties
CN213655278U (zh) 控制装置和工作设备
CA1237631A (en) Pressure modulation valve
KR100613938B1 (ko) 중장비의 정지충격 완화장치
US5027847A (en) Pneumatic valve actuator sequencing control system and sequencing relay device incorporated there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