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694A -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694A
KR20010108694A KR1020000029410A KR20000029410A KR20010108694A KR 20010108694 A KR20010108694 A KR 20010108694A KR 1020000029410 A KR1020000029410 A KR 1020000029410A KR 20000029410 A KR20000029410 A KR 20000029410A KR 20010108694 A KR20010108694 A KR 2001010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ructor
data
video
conversation
inter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9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승
Original Assignee
김용훈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훈,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filed Critical 김용훈
Priority to KR1020000029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8694A/ko
Publication of KR2001010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6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외국어 강사와 학생을 연결시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은, 이용자가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어학 학습을 요청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대화할 수 있는 상대방 강사들의 단위 강사료를 포함하는 프로필(profile)을 제시하는 제 1단계; 제시된 프로필에서 선정된 강사의 데이터 단말기와 상기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호 교환시켜 상대측으로 송신함으로써 화상대화를 제공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화상대화의 제공과 동시에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화상대화가 종료되면, 그 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선정된 강사의 단위 강사료에 근거한 수업료를 산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학생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능력의 어학강사와 가장 적절한 비용으로 어학수업을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강사 가입자는 학원, 가정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인터넷을 통해 학생을 가르치고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강사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language practice through internet}
본 발명은, 인터넷을 통해 외국어 강사와 학생을 연결시켜 외국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월드 와이드 웹(WWW : World Wide Web), 전자우편(E-Mail), 그리고 이동통신의 발달에 따라 사람들의 생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서 원하는 시간에 어디에서든지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또는 가까운 곳의 PC방 등에서 컴퓨터를 통해서 인터넷 쇼핑을 하거나 또는 이메일이나 파일을 송수신할 수 있어, 장소를 이동해야 한다거나 실제 공간상에서 사람을 만나야만 하는 필요성이 감소되고 있으며, 또한 원하는 정보획득을 위해 도서관 등을 일일이 방문하여 서적을 뒤지면서 정보를 획득하지 않고서도 인터넷 등을 통해 원하는 정보를 간단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외국어 등을 학습하기 위해 일일이 외국어 학원등을 찾아다니거나, 비싼 과외비용을 지불하면서 개인교습을 받지 않고서도 인터넷 등을 통해 외국어 강의를 시청하면서 어학능력의 향상을 꾀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인터넷을 통한 외국어 학습은 외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학생이, 제공되는 정해진 교육과정이나 자료화면을 통해서 일방적으로 외국어를 청취하는 것이어서, 어학능력의 향상을 꾀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그리고 전화망을 통해 정해진 강사와 대화를 함으로써 어학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는 방법도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방법 또한 그 강사의 어학능력을 알 수가 없어 자신의 어학수준에 맞는 강사를 선택하기가 쉽지 않고 더욱이 많은 강사료를 지불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강사의 어학능력이 그에 상응하게 뒷받침되지 못해 학생이 경제적인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강사와 학생간에 자신의 어학능력에 맞는 상대방을 선정하여 화상대화를 통해 어학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이 구현된 전제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2는 도1의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통합하여 도식화한 것이고,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이고,
도4 및 도5는 도1의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의 가입자 관리모듈(DB)에 등록저장되는 가입자정보의 형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고,
도6은 도1의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 내의 가입자 관리모듈에 저장되는 가입자의 이용내역의 형태를 예를 들어 도시한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10c : 통신단말기 20 : 포털 서버
30 : 신용카드 결제서버 40 : 금융 결제서버
100 :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 101 : 망접속 모듈
102 : 데이터 송수신모듈 103 : 패킷 데이터 모듈
104 : 데이터 서비스모듈 105 : 호처리 모듈
106 : 시계부 107 : 데이터 저장모듈
110 : 응용 프로토콜 모듈 120 : 화상대화 모듈
130 : 가입자 관리모듈 140 : 운용모듈
150 : UDP 모듈 200 : 전화망
201 : 데이터 통신망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은, 이용자가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어학 학습을 요청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대화할 수 있는 상대방 강사들의 단위 강사료를 포함하는 프로필(profile)을 제시하는 제 1단계; 제시된 프로필에서 선정된 강사의 데이터 단말기와 상기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호 교환시켜 상대측으로 송신함으로써 화상대화를 제공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화상대화의 제공과 동시에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화상대화가 종료되면, 그 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선정된 강사의 단위 강사료에 근거한 수업료를 산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고,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화상 대화장치는, 통신망에 접속되어 그 접속규격에 맞는 신호형태로 송수신하는 망 접속수단; 상기 망 접속수단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 통신망을 통해 화상대화할 가입자의 각종 등록 정보와 화상대화 내역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접속된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대화할 수 있는 상대방 강사들을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그 강사들의 단위 강사료를 포함하는 프로필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선택된 해당 강사의 데이터 단말기를 특정하여 양 데이터 단말기를 상호 데이터 중계할 단말기로 지정하는 지정수단; 상기 지정된 양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지정된 상대측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화상대화를 제공하는 중계수단; 상기 중계수단이 제공하는 화상대화의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측정된 시간과 해당 화상대화에 참여한 강사의 프로필에 기록된 단위 강사료에 근거하여 수업료를 산출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록하고, 이의 결제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제시된 프로필에 의해 선택된 해당 강사의 기 등록된 연락정보를 이용하여 대화요청된 사실을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이 구현된 전제 네트워크의 구성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그 구성으로서는 개인들이 유선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PC 또는 이동전화기와 같은 데이터 단말기(10a 또는 10b)와, 데이터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어댑터를 구비한 PC와 같은 데이터 단말기(10c); 상기 데이터 단말기(10c)를 네트워크에 접속시키는 허브(11); 개인의 인터넷 접속과 개인에게 메일계정을 부여하여 이메일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포털 서버(20); 신용카드에 의한 지불비용을 승인하는 신용카드 결제서버(30); 계좌이체 등에 의한 금융결제 처리를 위한 금융 결제서버(40); 상기 데이터 단말기(10a, 10b 또는 10c)를 통한 접속 후에 가입을 희망하는 개개인의 등록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기 등록저장된 가입자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에게 인터넷을 통한 화상대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 및 이들 간에 데이터 경로를 제공하는 회선망(전화망 또는 이동통신망)(200)과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데이터 네트워크(201)가 포함된다.
도2는 도1의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구조를 통합하여 도식화한 것으로서, 데이터 네트워크(201) 및 전화망(200)과 연결된 링크를 통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망접속 모듈(101)과, 상기 망접속 모듈(101)을 기반으로 하여 링크에 연결된 상대측 네트워크 장치, 예를 들어 교환기와, 소정길이 단위로 시퀀스 번호가 부여되는 데이터 프레임의 형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모듈(102)과, 네트워크(200 또는 201)를 통해 연결된 상대측 종단(end) 통신단말기(10a,10b 또는 10c)와의 패킷 데이터의 인캡슐과 디캡슐을 수행하는 패킷 데이터 모듈(103)과, 상기 송수신되는 패킷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파일, 하이퍼 텍스트 또는 메일형태의 데이터를 구성하여 송신 또는 수신하는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을 통해, 문자, 그림 또는 파일 등을 하이퍼 텍스트 형태의 문서(이하, "웹페이지 문서"라 함)로 제공하는 데이터 서비스모듈(104)과, 네트워크를 통한 접속 요청 및 외부로의 접속을 수행하는 호처리 모듈(105)과, 현재의 날짜 및 시각을 제공하는 시계부(106)와, 연결된 종단 단말기에 제공해야할 각종 웹페이지 데이터 및 가입자 각 개개인의 등록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모듈(107)과, 수신되는 데이터를 단일 패킷화하여 상대측으로 송신하고, 또한 그로 부터 수신되는 순서대로 처리하는 UDP(User Data Protocal) 모듈(150)과, 양 가입자(학생 및 강사) 간의 화상대화에 따라, 상기 UDP 모듈(150)을 통한 동영상 및 음성데이터 패킷의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상대화 모듈(120)과, 가입요청하면서 기재한 가입자들의 입력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기록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모듈(130)과, 그리고 접속된 외부 단말기를 통한 인터넷 어학 교육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각 모듈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운용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흐름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가 도1의 네트워크 상에서 수행하는 어학 교육방법에 대해 도2의 구성 및 도3a 및 도3b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신청하기 위해서는 이용자가, 통신단말기(10a 또는 10b)에서 전화망(또는 이동통신망)(200)을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에 접속한다. 이와 같은 접속은 상기 통신단말기(10a)가 포털서버(20)에 먼저 접속한 다음, 포털 서버(20)를 경유하여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에 접속할 수도 있으며, 인터넷과 같은 데이터 통신망에 직접 접속되는 통신단말기(10c)는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의 네트워크 주소(URL : Uniform Resource Locator)를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 네트워크(201)를 통해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접속요청 신호는 상기 망접속 모듈(101)에서 데이터로 복원되어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에서 링크 및 네트워크 층(layer)의 헤더정보 등의 부가정보가 제거되어 접속요청 정보만이 호처리 모듈(105)로 전달된다. 상기 호처리 모듈(105)은 수신된 접속요청 정보로부터 통신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시에 수행할 응용 프로토콜, 예를 들어 하이퍼 텍스트 변환 프로토콜(http)을 결정하여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을 수행시키고, 그 하위 경로상에서 패킷 데이터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패킷 데이터 모듈(103)을 또한 활성화시킨 다음, 통신단말기와의 접속사실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에 통지한다.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이용자가 접속된 통신단말기를 통해 서비스 가입을 요청하게 되면, 서비스 가입을 위한 초기화면 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토콜모듈(110)을 통해 접속된 상대측 통신단말기(10a, 10b 또는 10c)로 웹 또는 왑(WAP)페이지 형태로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가입을 위한 정보들을 제시된 웹페이지의 해당창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용자가 수업을 제공받는 학생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서비스 가입을 위해 입력하는 데이터의 예로서, 자신의 성명, 영어회화 수준, 주민등록번호, 자신을 간단히 소개하는 소개내용(학력, 현재직업 등), 계정주소,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 정보와, 그리고 비용(수업료) 결제방식 등을 포함하게 되는데, 비용 결제방식의 입력시에는 비용 결제방식이 신용카드 결제인 경우에는 신용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을, 은행간 계좌이체인 경우에는 은행계좌번호와 비밀번호 등을 입력하게 된다.
이용자가 수업을 제공하는 강사인 경우에는 서비스 가입을 위해 입력하는 데이터의 예로서, 자신의 성명, 주민등록번호, 자신을 간단히 소개하는 소개내용(학력, 경력 등), 희망 강사료, 자신의 계정주소, 전화번호 등의 연락처 정보와, 그리고 은행계좌번호 등을 포함하게 되며, 이때 추가로 자신의 모습을 촬영한 영상파일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용자가 필요한 데이터들을 통신단말기(10a, 10b 또는 10c)상에서 입력하여 가입 요청함으로써, 이를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에 송신하게 되면,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접속된 이용자에게 로그인명(username)과 비밀번호(password)의 지정을 요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지정요구에 대해 이용자가 로그인명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이전입력된 가입자정보와 함께 그 입력된 내용이 가입자 관리모듈(130)에 전달되어,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은 수신받은 가입자정보에 새로운 가입자번호를 부여한 뒤 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저장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은 강사의 학력 및 경력, 그리고 그 강사가 제시한 희망 강사료 등을 고려하여 강사의 강사료를 결정하게 되고, 강사가 제시한 희망 강사료가 아닌 결정된 강사료를 가입자정보로서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저장하게 되며, 강사가 제시한 희망 강사료와 결정된 강사료가 상이한 경우에는 결정된 강사료를, 입력된 정보내의 계정주소를 통해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로 하여금 메일을 송신케 함으로써, 그 강사에게 통보하게 된다.
도4 및 도5는 상기와 같은 가입절차를 통해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저장된 가입자(학생 및 강사)정보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서비스 가입자가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를 통해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에 접속하여 어학학습을 하고자 하면(S10),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로그인명과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는 화면데이터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을 통해 접속된 상대측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로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여 이용자로 하여금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보들을 제시된 웹페이지의 해당창에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S11).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은 이용자, 즉 학생 가입자가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 상에서 입력하는 로그인명과 비밀번호를 수신하여 입력수신된 로그인명과연계저장되어 있는 가입자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서 확인하고, 확인된 가입자정보 내의 이용자 비밀번호와 상기 수신된 이용자 비밀번호를 비교하게 된다(S12). 상기 비교결과 양 비밀번호가 동일한 경우에는(S20) 상기 서비스 요청자가 서비스 이용이 정당한 가입자이므로,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이용자의 서비스 이용을 위한 화면데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을 통해 접속상태에 있는 이용자의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강사 가입자들을 현재 로그인 되어 있는 대화가능한 강사그룹과 그렇지 않은 강사그룹으로 구분한 뒤, 구분된 각 그룹의 강사리스트와 이들에 대한 간단한 이력정보 및 강사료 정보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의 저장내용에 근거하여 제공하게 되고, 만약 강사 가입자로 부터 제공받은 영상파일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영상도 함께 제공함으로써, 학생 가입자로 하여금 강사 가입자들의 얼굴과 이력, 그리고 강사료 등을 통해 대화를 원하는 강사를 선택지정할 수 있도록 한다(S21).
학생 가입자가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를 통해 현재 대화가능한 강사 가입자 중 한사람을 선택지정한 경우에는(S30), 그 강사가 현재 대화중인지를 확인하고 대화중이 아니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학생 가입자가 선택지정한 해당 강사 가입자에게 이 사실을 알리고, 이에 따라 해당 강사 가입자가 이에 응답하게 되면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가입자 관리모듈(130)에 요청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학생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간단한 소개정보를 구성한 다음 이를 상기 강사 가입자에게 제공하게 되고, 상기 학생 가입자와 강사 가입자간에 화상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양 가입자간의 화상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두 가입자가 네트워크 연결시에 부여받은 ip주소를 화상대화 모듈(120)에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화상대화 모듈(120)은 수신받은 ip주소를 서로 중계해야 할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그런 다음 상기 양 가입자의 통신단말기(10a 또는 10c) 상에 구비된 부가 영상 입력장치(카메라) 및 음성 입력장치(마이크)를 통해 실시간 입력되어 데이터그램화된 가입자의 동영상 및 음성데이터가 그 단말기에 부여된 ip주소와 함께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수신되면,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은 이를 UDP 모듈(150)로 전달한다. 실시간 데이터는 도달되는 순서대로 재전송 과정없이 처리되는 데이터그램 형식으로 포맷구성되어 단말기에서 송신하므로 이 포맷에 대해서는 UDP 모듈(150)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UDP 모듈(150)은 동일 ip주소의 데이터그램을 순차적으로 패킹하여 화상대화 모듈(120)에 전달하고, 상기 화상대화 모듈(120)은 전달받은 메시지에 대해서 중계할 상대측 ip주소를 확인한 다음 그 ip주소를 목적지로 대체하여 해당 메시지를 UDP 모듈(150)로 송신함으로써, 양 단말기에서 송신한 영상 및 음성데이터가 상대측으로 전달되도록 한다(S31).
이와 같이 양 가입자의 통신단말기간에 영상 및 음성 교환이 이루어지고 있는 동안, 상기 운용모듈(140)은 상기 시계부(106)에 의한 진행시간에 근거하여 양 가입자의 현재 대화시간을 계속적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현재의 총 대화시간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의 가입자정보로 부터 확인되는 해당 강사 가입자의 강사료를 기준으로 현재의 수업료를 산정하게 되는데, 즉 상기 강사 가입자의 강사료가 10분당 4000원인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40)은 대화시간이 10분 경과시마다 수업료를 4000원씩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현재의 총 대화시간이 20분인 경우에는 수업료를 8000원으로 산정하게 되고, 이와 같이 산정된 수업료를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을 통해 별도의 안내창 형태로 양 가입자의 통신단말기(10a 또는 10c)에 각각 전송하여(S32) 양 가입자로 하여금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화의 수업료를 브라우저 상의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현재 화상대화 상태에 있는 상기 강사 가입자를 선택한 위해서 대기중인 학생 가입자들의 상태정보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강사 가입자의 통신단말기(10aX또는 10cX)에 제공함으로써, 강사 가입자로 하여금 현재 자신과 화상대화를 위해 대기중인 학생이 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양 가입자간의 화상대화가 종료되면(S40), 상기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학생 가입자가 상대측 강사 가입자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화면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을 통해 접속된 학생 가입자의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로 웹페이지 형태로 제공하게 되고(S41), 이에 따라 학생 가입자는 강사 가입자의 자질, 실력, 그리고 화상대화의 만족도 등을 고려하여 강사 가입자를 평가하게 되고, 평가결과를 A급, B급 등과 같이 기 지정된형태로 통신단말기(10a1또는 10c1) 상에서 입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는 동일 강사 가입자들에 대한 다수 학생 가입자들의 이와 같은 평가결과를 토대로, 해당 강사 가입자의 현재설정된 강사료를 증액 또는 감액시켜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저장하게 되고, 이후에도 학생 가입자들의 평가결과를 토대로 계속해서 강사 가입자의 수업료를 재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용모듈(140)은 양 가입자간의 화상대화가 종료되면, 양 가입자의 서비스 이용내역으로서, 상기 시계부(106)의 진행시간에 근거한 양 가입자의 이용 시작시각과 종료시각, 총 이용시간 등을 가입자 관리모듈(130)에 제공하고,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은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해당 학생가입자와 해당 강사가입자의 식별번호에 연계하여 각각 저장함으로써, 추후 가입자에게 이용내역서 제공시에 이용되도록 하는데, 각 가입자의 이용내역 저장형태를 도6에 예로 나타내었다.
도6에 예시적으로 제시된 이용내역의 DB는, 가입자 식별번호가 X100-AAA-0000005인 가입자가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어학학습, 즉 화상대화가 3회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각 3회의 이용내역은, 1회의 이용내역 저장시에 할당되는 크기가 일정한 것을 가정하였을 때 P1번째의 이용항목부터 체인형태로 3회가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할당크기가 S이면 이용내역 DB의 P1 x S의 주소에 위치한 P1의 항목과 이 항목에서 다음 이용내역으로 지정된 P1+5, 그리고 P1+5에서 다음 이용내역으로 지정하고 있는 P1+12 항목에 기록된 내용의 화상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P1+12의 항목은 다음 화상대화가 없음을 나타내기 위해 다음 이용인덱스에 0이 기록된다.
만약, 상기 가입자가 통신단말기를 이용한 화상대화가 다시 있게 되면, 가입자 관리모듈(130)은 이용내역을 위한 공간을 할당받아 그 공간의 인덱스 번호를 P1+12항목의 다음 이용인덱스 필드에 기재하고 이용횟수는 1증가시킨 다음, 할당된 공간에 도6에서 제시된 필드의 내용을 차례대로 기재하여 이용내역을 추가 등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운용모듈(140)은 양 가입자간의 화상대화가 종료됨에 따라, 상기 서비스 이용 학생 가입자의 비용 결제방식을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에 확인요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로 부터 상기 학생 가입자의 은행계좌번호 및 비밀번호 또는 신용카드번호 및 유효기간을 독출하여 이를 상기 운용모듈(140)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운용모듈(140)은 상기 학생 가입자의 비용 결제방식을 확인하게 되고, 상기 확인결과 비용 결제방식이 신용카드 결제인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로 부터 제공받은 신용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을 네트워크를 통해 신용카드 결제서버(30)에 제공하고, 만약 비용 결제방식이 은행간 계좌이체인 경우에는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로 부터 제공받은 은행계좌번호 및 비밀번호를 네트워크를 통해 금융 결제서버(40)에 제공하여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의 운용사에 할당된 계좌로 비용이체를 요청하게 한다(S42). 그런데 상기 인터넷 어학교육서버(100)가 화상대화 서비스 제공에 따른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하도록 가입자와 약정한 경우에는 상기 비용이체시에 상기 산정된 비용에 소정의 수수료가 추가된 비용을 상기 해당 결제기관에 이체요청한다.
이에 따라 지정기간 내에 해당 결제기관으로 부터 비용이체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40)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로 부터 확인되는 해당 강사 가입자의 은행계좌로 비용이체되도록 하는데(S43), 이때 가입자와의 약정에 따라 소정의 수수료를 지불받도록 된 경우에는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을 상기 강사 가입자의 은행계좌로 이체되도록 한다.
그런데 만약 지정기한 내에 상기 신용카드 결제서버(30) 또는 금융 결제서버(40)로 부터 비용이체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40)은 이 사실을 상기 가입자 관리모듈(130)에 통지하여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에 해당 가입자의 이용상태 정보를 '비정상' 상태로 표기해 둠으로써, 비정상 상태의 해당 가입자에 대해서는 비용입력 전까지는 서비스 이용을 제한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결제기관에의 비용 이체요청은 상기에서와 같이 가입자의 화상대화 종료시 마다 매번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나, 주기적으로(예를 들어 매월 1회) 그동안의 각 가입자들의 서비스 이용에 따른 도6의 이용내역 DB에 수록된 각 가입자별 수업료를 모두 합하여 이를 한번에 이체요청할 수도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만약, 학생 가입자가 현재 대화가능하지 않은 강사 가입자 중 한사람을 선택지정한 뒤 호출요청한 경우에는(S50),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그 가입자와 호출한 강사의 로그인명을 기억한 다음, 호출사실을 상기운용모듈(140)에 알리게 되고, 상기 운용모듈(140)은 학생 가입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강사 가입자를 호출하게 되는데(S51), 이때의 호출방식으로는 이메일 전송, 이동전화기(휴대폰)에의 단문메시지 전송, 직접 전화접속, 그리고 무선호출기를 이용한 호출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이중 이메일을 이용하여 강사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40)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 예를 들어 "학생 가입자의 화상대화 요청, 빠른 접속 요망"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의 해당 가입자정보로 부터 확인되는 강사 가입자의 계정주소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로 전달하면서 이메일 발송을 요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응용 프로토콜 모듈(110)의 이메일 프로토콜부는 전달받은 메시지와 계정주소로 부터 이메일을 구성하여 이를 패킷 데이터 모듈(103)을 통해 데이터 네트워크(201)로 발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발송된 이메일은 네트워크에서 그 주소에 따라 라우팅(routing)되어, 이의 수신인이 데이터 통신단말기 또는 이동전화기로 억세스할 수 있는 서버의 메일계정에 저장됨으로써, 메일 수신인은 자신의 데이터 통신단말기 또는 이동전화기를 통해 메일계정을 억세스함으로써 메일 내용을 확인하게 된다.
만약 이동통신서비스 중의 하나인 단문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서비스를 이용하여 강사 가입자를 호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단문메시지를 통해 강사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40)은 전송하고자 하는 메시지의 내용과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의 해당 가입자정보로 부터 확인되는 가입자의 이동전화번호를 상기 호처리 모듈(105)로 전달하면서 단문메시지의 발송을 요청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호처리 모듈(105)은 전화망(이동통신망)(200)이 해석할 수 있는 착신지 이동전화번호의 단문메시지를 구성하여 이를 상기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이동통신망(200)으로 발송함으로써, 상기 이동전화번호를 갖는 이동전화기(10b)를 통해 해당 강사가 단문메시지의 내용을 확인하도록 한다.
또한, 직접 전화접속을 통해 강사 가입자를 호출하는 경우에는, 상기 운용모듈(140)은 상기 데이터 저장모듈(107)의 해당 가입자정보로 부터 확인되는 가입자의 전화번호(이동전화번호 또는 유선전화번호)를 상기 호처리 모듈(105)에 전송하면서 그 전화번호의 단말기(이동전화기(10b) 또는 유선전화기)와 호접속하기를 요청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요청에 의해 상기 호처리 모듈(105)은 호요구 데이터를 구성하여 이를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프레임화시켜 전화망(또는 이동통신망)(200)의 교환기로 송신함으로써, 해당 전화기(이동전화기(10b) 또는 유선전화기)에 링(ring)신호가 착신되도록 한다.
링신호에 의해 수신자가 응답을 하면 그에 따른 응답데이터가 전화망(또는 이동통신망)(200)으로 부터 데이터 송수신모듈(102)을 통해 호처리 모듈(105)에 전달되고, 상기 호처리 모듈(105)은 호연결 사실을 상기 운용모듈(140)에 통지하게 된다. 호연결이 되었음을 인지하면 상기 운용모듈(140)은 기 지정되어 있는 음성 안내메시지, 예를 들어 "이 전화는 인터넷 화상대화 제공사로 부터 걸려온 전화입니다. 현재 귀하에게 화상대화 요청이 접수되었습니다. 빠른 접속 부탁드리겠습니다"를 상기 망접속 모듈(101)을 통해 상기 전화망(또는 이동통신망)(200)으로 송출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해당 강사 가입자가 자신의 접속요청 사실을 이지하고,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 어학 교육서버(100)에 자신의 로그인명으로 접속하게 도면, 데이터 서비스모듈(104)은 그 로그인명이 강사의 로그인명인지를 확인하고, 강사인 경우에는 그 로그인명과 함께 기억되어 있는 접속된 가입자의 대기요청이 있는지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대기요청된 가입자가 있으면 그 가입자 중 가장 먼저 호를 요청한 가입자와 방금 로그인된 강사 단말기의 ip주소를 화상대화 모듈(120)에 전달하여 화상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화상대화 연결사실을 운용모듈(140)에 알리게 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은 화상대화에 의한 어학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S52).
상기와 바와 같이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는, 학생 가입자들로 하여금 강사 가입자들의 이력정보와 강사료 등을 통해 원하는 강사 가입자를 직접 선택지정하여 그 강사 가입자와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화상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학생 가입자는 자신이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능력의 어학강사와 가장 적절한 비용으로 어학수업을 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강사 가입자는 학원, 가정등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서도 인터넷을 통해 학생을 가르치고 자신의 능력에 적합한 강사료를 제공받을 수 있는 매우 유용하고 편리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0)

  1. 통신망을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상호 중계할 수 있는 서버에 있어서,
    이용자가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어학 학습을 요청하는 경우에,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대화할 수 있는 상대방 강사들의 단위 강사료를 포함하는 프로필(profile)을 제시하는 제 1단계;
    제시된 프로필에서 선정된 강사의 데이터 단말기와 상기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수신하여 상호 교환시켜 상대측으로 송신함으로써 화상대화를 제공하는 제 2단계; 및
    상기 화상대화의 제공과 동시에 경과시간을 측정하고 화상대화가 종료되면, 그 경과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선정된 강사의 단위 강사료에 근거한 수업료를 산출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현재 네트워크에 온라인으로 접속되어 있는 상대방과 온라인 상태가 아닌 상대방을 구분하여 프로필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이용자가 온라인 상태가 아닌 상대방을 선정하는 경우에는, 그 선정된 상대방의 기 등록정보에 근거하여 화상대화 요청이 있음을 통신망을 통하여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는 상기 화상대화 요청에 관련된 이용자와 상대방에 대한 정보를 기억한 다음, 해당 강사가 데이터 단말기를 통해 접속하여 온라인 상태가 되면 상기 기억된 정보를 이용하여 화상대화할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를 특정하여 화상대화 상대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화상대화의 제공과 동시에 그 경과시간을 특정하고 그 경과시간과 상기 선정된 강사의 단위 강사료에 근거하여 현재 화상대화가 진행중인 수업의 현재 수업료를 산출하여 양 당사자의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여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상기 화상대화 도중, 대화중인 강사를 지정하는 대화요청이 있는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대화중인 강사의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여 알리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수업료를, 상기 이용자가 기 등록한 결제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결제서버에 비용 결제를 요청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화상대화의 종료 후, 종료된 화상대화의 평가를 위한 설문데이터를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하고, 이에 따라 평가데이터를 수신한 다음, 그 평가결과에 따라 해당 강사의 프로필에 수록된 단위 강사료를 갱신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화상대화의 종료 후, 종료된 화상대화의 당사자의 이용내역을, 해당 당사자에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수록하는 제 4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10. 통신망에 접속되어 그 접속규격에 맞는 신호형태로 송수신하는 망 접속수단;
    상기 망 접속수단을 통해 데이터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수단;
    통신망을 통해 화상대화할 가입자의 각종 등록 정보와 화상대화 내역을 저장하는 저장수단;
    상기 송수신수단을 통해 접속된 이용자의 데이터 단말기에, 네트워크를 통해 화상대화할 수 있는 상대방 강사들을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그 강사들의 단위 강사료를 포함하는 프로필(profile)을 제시하고, 그에 따라 선택된 해당 강사의 데이터 단말기를 특정하여 양 데이터 단말기를 상호 데이터 중계할 단말기로 지정하는 지정수단;
    상기 지정된 양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지정된 상대측 데이터 단말기로 송신함으로써 화상대화를 제공하는 중계수단;
    상기 중계수단이 제공하는 화상대화의 시간을 측정하는 측정수단; 및
    상기 측정된 시간과 해당 화상대화에 참여한 강사의 프로필에 기록된 단위 강사료에 근거하여 수업료를 산출하여 상기 저장수단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기록하고, 이의 결제를 외부 서버에 요청하며, 상기 제시된 프로필에 의해 선택된 해당 강사의 기 등록된 연락정보를 이용하여 대화요청된 사실을 통신망을 통해 송신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장치.
KR1020000029410A 2000-05-30 2000-05-30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KR20010108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10A KR20010108694A (ko) 2000-05-30 2000-05-30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9410A KR20010108694A (ko) 2000-05-30 2000-05-30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694A true KR20010108694A (ko) 2001-12-08

Family

ID=45854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9410A KR20010108694A (ko) 2000-05-30 2000-05-30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8694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827A (ko) * 2001-03-29 2001-06-05 임범준 인터넷을 통한 언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10113982A (ko) * 2000-06-20 2001-12-29 조성철 인터넷상에서의 강사선택형 원격과외학습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0986A (ko) * 2000-07-31 2002-02-07 문단열 온라인 강사관리시스템 및 강사이미지 관리방법
KR20020062564A (ko) * 2001-12-29 2002-07-26 강선 인터넷상에서의 외국어 교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20063044A (ko) * 2001-01-26 2002-08-01 안원수 원격교육시스템
KR20030044137A (ko) * 2001-11-28 2003-06-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온라인 가상 커뮤니티에서의 피어-투-피어 매칭을 이용한외국어 대화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84412A (ko) * 2002-04-26 2003-11-01 양인승 혼용망에 의한 외국어회화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15105B1 (ko) * 2001-11-30 2004-01-13 한동욱 글로발 온라인 교육 중개장치 및 운영 방법
KR100741390B1 (ko) * 2006-09-30 2007-07-20 안병표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세계 언어 지원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개인 간 매칭과 이를 통한 교육과 지불 및 정산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13982A (ko) * 2000-06-20 2001-12-29 조성철 인터넷상에서의 강사선택형 원격과외학습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10986A (ko) * 2000-07-31 2002-02-07 문단열 온라인 강사관리시스템 및 강사이미지 관리방법
KR20020063044A (ko) * 2001-01-26 2002-08-01 안원수 원격교육시스템
KR20010044827A (ko) * 2001-03-29 2001-06-05 임범준 인터넷을 통한 언어 교육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44137A (ko) * 2001-11-28 2003-06-09 인벤텍 코오포레이션 온라인 가상 커뮤니티에서의 피어-투-피어 매칭을 이용한외국어 대화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0415105B1 (ko) * 2001-11-30 2004-01-13 한동욱 글로발 온라인 교육 중개장치 및 운영 방법
KR20020062564A (ko) * 2001-12-29 2002-07-26 강선 인터넷상에서의 외국어 교정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30084412A (ko) * 2002-04-26 2003-11-01 양인승 혼용망에 의한 외국어회화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41390B1 (ko) * 2006-09-30 2007-07-20 안병표 네트워크상에서 이루어지는 전세계 언어 지원 응용 프로그램에 의한 개인 간 매칭과 이를 통한 교육과 지불 및 정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2609B1 (ko) 통화를 수반하는 푸쉬형 정보통신 시스템
KR100383894B1 (ko) 인터넷상에서의 멀티미디어 교육 시스템 및 그 운영 방법
CN101427231A (zh) 用于使在多个参与者之间能够进行结构化实时对话的方法和系统
RU2272324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US10652505B2 (en) On-demand real-time video connection for parties in first-in-first-out queues
CN104995655A (zh) 用于与联络中心基于网页实时通信的系统和方法
KR100670906B1 (ko) 대화 상대 매칭을 통한 어학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50010487A (ko) 온라인 상에서의 학습정보 제공 방법
KR101217473B1 (ko) 공지의 화상통화시스템의 기능을 활용하여 원격강의를 제공하는 원격교육 시스템
KR20010108694A (ko) 인터넷을 통한 어학 교육방법 및 장치
KR101923704B1 (ko)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90011540A (ko) 모바일 외국어 학습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서비스 운영 방법
KR2000005008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180093385A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JP2005017318A (ja) 通話機能付情報端末による教授システム
JP2001282089A (ja) 電子メールを用いる学習方法、及びこのための学習サービスシステム
KR20000058461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영어 교육 시스템
CN101803356A (zh) 信息注册系统、服务器装置、服务器处理程序以及信息注册方法
WO2001055918A1 (en) A system for delivering educational information
Alharethi Autoresponder using Chatbot for Educational Services
KR20020071410A (ko) 인터넷폰을 이용한 어학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33364B1 (ko) 학습 커뮤니티에서의 협동 학습 방법 및 시스템
US20220343786A1 (en) Automated tutoring system and method
JP2007079935A (ja) 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する学習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