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704B1 -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3704B1
KR101923704B1 KR1020170105053A KR20170105053A KR101923704B1 KR 101923704 B1 KR101923704 B1 KR 101923704B1 KR 1020170105053 A KR1020170105053 A KR 1020170105053A KR 20170105053 A KR20170105053 A KR 20170105053A KR 101923704 B1 KR101923704 B1 KR 101923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user terminal
providing
tutoring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8773A (ko
Inventor
김미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튜터링
김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튜터링, 김미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튜터링
Priority to KR1020170105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704B1/ko
Publication of KR20170098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8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로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선택된 강사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VoIP 기반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앱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화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특정 강의 콘텐츠를 출력하여 제공하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형태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온디맨드 기반의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학습자의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교육자 풀을 조회하여 해당 학습자와 강사 간에 음성 통화에 기반한 과외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Mobile tutoring service server based on on-demand and mobile education servic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상에서 학습자와 강사 사이를 서로 연결하여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 상의 교육 또는 과외 시스템은 과목, 강의 레벨, 강사 등의 정보에 따라 구분되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교육 컨텐츠들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는 원하는 강의를 선택하는 과정이 수반되어 진다.
그 예로서 사용자는 해당 교육 시스템에 접속하여 자신에게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교육 컨텐츠(ex, 강의명, 강의 레벨, 강사, 강의 날짜, 시간)를 일일이 확인하고 선택 또는 예약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관리자나 담당자와 추가적으로 통화하거나 방문 상담하는 과정을 거친다.
하지만 이와 같은 기존의 방법은 수강생과 관리자 모두에게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주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기존의 일반적인 교육 시스템은 여러 레벨의 강의를 온라인 상에서 제공하며 인터넷 접속된 사용자는 원하는 레벨의 강의를 선택하여 수업을 받는 방식으로서 이는 단순히 오프라인 상의 교육 시스템을 온라인으로 이관시킨 서비스에 불과한 것이다.
또한 일반적인 어학 교육 시스템을 예로 들면, 학습 분야가 일반 회화, 문법, 토익, 토플 등과 같은 전형적인 기존 틀에 국한되어 있으며 강사 또한 해당 틀에서 인정되는 강의만 가능하므로 학습자의 능률 향상과 학습 동기를 부여하는 데에 한계가 따른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0-0115538호(2010.10.28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모바일 앱 상에서 관심사 기반의 지능적인 교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학습자와 강사 간의 음성 통화에 기반한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를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로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선택된 강사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VoIP 기반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앱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화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특정 강의 콘텐츠를 출력하여 제공하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형태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온디맨드 기반의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로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강사 리스트 제공부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선택된 강사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VoIP 기반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는 통화 연결부, 및 상기 모바일 앱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외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과외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화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특정 강의 콘텐츠를 출력하여 제공하되,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공유되는 형태로 출력하여 제공하는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학습자의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교육자 풀을 조회하여 해당 학습자와 강사 간에 음성 통화에 기반한 과외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한 강사 풀 내에서 학습자의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과 매칭되는 최적 조건의 강사를 지능적으로 검색하고 모바일 앱 상에서 더욱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관심사 기반의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과와 능률을 높일 수 있고 모바일 앱의 활용도 및 사용 빈도를 높여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를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앱에 접속한 학습자의 기본 정보를 등록받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약 기반의 튜터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터디 노트 화면 및 채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터디 노트에서 첨삭 지도 내용이 실시간 공유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과외 콘텐츠 오픈 플랫폼의 구동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을 통한 강사 고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시스템은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 제1 사용자 단말(200), 제2 사용자 단말(300)을 포함하며, 각각은 유무선 통신망(400)으로 연결되어 있다.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는 온라인상에 구현되어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서, 학습자 측 단말인 제1 사용자 단말(200)과 강사 측 단말인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의 음성 통화 기반의 과외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는 과외 서비스 웹 서버에 연동하는 모바일 앱(Application)을 통하여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의 과외 서비스를 중개한다.
또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는 다수의 강사 프로파일을 보유한 강사 풀(Pool)을 관리하는데, 강사 풀은 모바일 앱에 회원 인증된 복수의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각각 입력된 강사 프로파일 정보를 기초로 구축될 수 있다. 강사 프로파일은 강사의 개인 정보뿐만 아니라 강의와 관련된 세부적 사항들(ex, 제공 가능한 강의 분야 또는 과목, 레벨, 학습 목적, 강사의 관심 토픽, 강의 경력 등)을 포함하는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하여 강의를 신청 또는 예약하는 학습자 측 단말기에 해당하고, 제2 사용자 단말(300)은 해당 모바일 앱에 접속한 상태에서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신청 또는 예약받은 강의를 학습자에게 제공하는 강사 측 단말기에 해당한다.
만일 본 발명의 실시예가 모바일 어학(영어) 과외 서비스를 위한 것이라면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일반 강사뿐만 아니라 원어민 강사에 해당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에 강사가 외국에 거주하는 경우에도 본 시스템의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모바일 앱에 접속한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과 같은 기본 정보를 등록받으면, 강사 풀 내에서 그와 매칭되는 강사 리스트를 조회하여 제1 사용자 단말(200)에게 추천 강사 리스트로 제공한다.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강사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제1 사용자 단말(200) 간에 VoIP 기반의 통화 연결을 지원하여 모바일 앱 상에서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과외 서비스를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에는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 해당되는 강의 콘텐츠의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강의 과정에서 화면을 공유하면서 채팅 및 실시간 첨삭 지도 기능을 실시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은 네트워크(400)에 접속 가능한 공지된 다양한 수단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각종 모바일 기기, 노트북 등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에 대한 모바일 앱의 제공 정보 및 관리 권한은 사용자 속성에 따라 달리 주어지므로 모바일 앱의 구동 화면 역시 차별화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은 자명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는 정보 등록부(110), 정보 매칭부(120), 강사 리스트 제공부(130), 통화 연결부(140), 과외 서비스 제공부(150), 강의 스케줄 제공부(160), 스케줄 관리부(170), 강사 고용 결정부(180)를 포함한다.
정보 등록부(110)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등록받는다. 이러한 기본 정보는 정보 등록부(110) 내에서 학습자 DB로 분류되어 관리될 수 있다. 물론 정보 등록부(110)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등록된 강사 프로파일 정보를 학습자 DB와 구분되는 강사 DB로 분류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정보 매칭부(120)는 기 등록된 강사 풀(Pool)로부터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사 정보를 추출한다. 강사 리스트 제공부(130)는 상기 추출한 강사 정보를 이용하여 추천하고자 하는 강사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 그러면, 제1 사용자 단말(200)은 추천 강사 리스트 중에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통화 연결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상기 선택된 강사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에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기반의 통화 연결을 지원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에 mVoIP(mobile VoIP) 방식의 음성 통화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과외 서비스 제공부(150)는 모바일 앱 상에서 상기와 같은 음성 통화 연결 상태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한다.
강의 스케줄 제공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강사에 대한 예약 현황 스케줄을 화면 상에 제공하여, 강의 예약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예약 현황 스케줄은 캘린더, 테이블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스케줄 관리부(170)는 만일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약 일자 또는 시간을 포함한 예약 정보를 입력받으면, 해당 예약 정보를 등록하고, 해당 일자 또는 시간에 대한 예약 등록 사항을 예약 현황 스케줄 내에 반영 및 업데이트 한다. 여기서, 예약이 이미 등록된 일자 또는 시간의 경우 예약 등록 기능을 비활성화시켜 타 사용자에 의한 예약 또는 중복 예약이 불가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외에도 별도의 대기 예약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예약이 설정된 경우, 통화 연결부(140)는 예약 일자 또는 시간에 대응하는 예약 시점이 도래할 때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의 IP에 동시에 콜링 신호를 전송하여 통화 연결을 자동으로 진행한다. 즉, 모바일 앱 내에 설정해 둔 예약 시점에 맞춰 콜링 신호를 양자에게 동시 전송할 수 있어,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콜 요청이나 단말 조작 없이도 양자 간의 VoIP 기반의 음성 통화를 자동으로 연결 유도하며 해당 강의가 정해진 예약 시간에 제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On Time VoIP call 서비스가 가능해진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예약 없이도 필요할 때 언제든지 튜터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 단말(200)에 보여지는 강사 리스트 상에 개별 강사의 프로파일과 함께 현재 상태 정보(온라인, 통화중(강의중), 오프라인)를 함께 제공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200)은 현재 온라인 상태이면서 미통화 상태인 강사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튜터링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강사 고용 결정부(180)는 모바일 앱 상에 접속된 제2 사용자 단말(300)에게 강사 고용에 필요한 질문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면서 질문에 대해 응답하는 강사의 모습을 녹화하고, 이를 기초로 추후 해당 강사의 고용 여부를 관리자 단말로부터 승인받아 고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온라인상의 강사 고용 방식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선택적으로 채용할 수 있는 부분이며, 필요에 따라 오프라인 상에서 고용된 강사를 혼용하여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내용을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서비스의 이용을 위해 사전에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앱에 접속한 다음 약관 동의 절차 및 이메일 계정과 패스워드를 입력을 통한 가입 절차가 필요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0)은 강사 측에 해당하므로 통상의 회원 가입 절차 이외에도 별도의 정보 등록 및 그에 기반한 채용 승인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은 모바일 앱에 접속된 상태에서 자신에게 맞는 최적의 강사를 추천받기 위한 정보로서 자신의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등록하게 된다.
그러면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는 자신이 가지고 있는 강사 풀 내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적합한 추천 강사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게 제공하고, 제1 사용자 단말(200)이 선택한 강사 측의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서로 연결하여 모바일 과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를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를 이용한 모바일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보 등록부(110)는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100)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본 정보를 등록받는다(S310).
여기서, 학습 레벨은 난이도나 학습 수준에 해당되고, 학습 목적은 취업, 토익, 리딩, 리스닝, 회와, 라이팅, 비즈니스 등과 같이 학습 목표나 학습 관심이 되는 분야에 해당될 수 있다. 관심 토픽은 일반적인 개인 관심사, 취미, 스포츠, 골프, 주요 활동 분야 등과 관련된 요소에 해당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모바일 앱에 접속한 학습자의 기본 정보를 등록받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좌측 화면은 사용자 로그인을 위한 화면으로서 아이디와 패스워드 입력에 의한 로그인 방법 또는 페이스북 연계를 통한 로그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200)이 로그인하면 우측 화면과 같이 학습 레벨(your level), 학습 목적(your interest), 관심 토픽(your topic)을 선택받는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물론 페이스북 아이디를 통한 로그인 접속 시에는 페이스북에 이미 등록된 개인 프로파일(ex, 성별, 직업, 교육 수준, 관심 분야) 정보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의 기본 정보가 등록되면, 정보 매칭부(120)는 등록받은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강사 정보를 기 등록된 강사 풀(Pool)로부터 추출한다(S320).
그리고 강사 리스트 제공부(130)는 추출한 강사 정보를 이용한 추천 강사 리스트를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한다(S330). 이러한 S330 단계에는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추천 강사 리스트뿐만 아니라 인기도에 기반한 인기 강사 리스트, 가격에 기반한 가격순 강사 리스트를 추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좌측 화면은 인기순(Popular), 추천순(Recommendation), 가격순(Affordable)으로 제공 가능한 화면으로서, 인기순 메뉴가 선택된 경우를 예시한다. 인기순 메뉴가 선택된 경우 기존에 즐겨찾기로 등록한 강사 리스트(My Favorite) 및 현재 바로 연결 가능한 인기순 강사 리스트(Available popular tutors)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외에도 추천순 메뉴가 선택되면 앞서 정보 매칭을 이용한 추천 강사 리스트가 제공되고, 가격순 메뉴가 선택되면 가격 정렬된 강사 리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의 우측 화면은 좌측 화면에서 제공되는 강사 리스트 중에 하나를 선택 시 보여지는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서, 선택한 강사에 대한 간단 프로필, 실시간 연락 가능 여부(온라인, 통화중, 부재중), 강의 스케줄 캘린더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추천 강사 리스트에서 강사를 선택받는 것을 예시로 한다.
만일, 추천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되면, 통화 연결부(14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200)과 상기 선택된 강사 정보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에 VoIP 기반의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S340).
예를 들면, 도 5의 좌측 화면에서 추천순 메뉴를 통해 제공된 추천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선택되면 도 5의 우측 화면과 같이 해당 강사에 대한 정보 페이지가 오버레이나 팝업 형태로 표시되고,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통화 버튼이 클릭되면 해당 학습자와 강사 간에 VoIP 방식의 통화가 자동으로 연결된다. 물론 이외에도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강사를 선택받는 즉시 통화를 연결할 수도 있고, 강사를 선택받는 즉시 통화 연결 메뉴를 제공하여 통화 여부를 묻는 방식 등이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에 통화가 연결된 상태에서, 과외 서비스 제공부(150)는 모바일 앱 상에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한다(S350). 모바일 과외 서비스 중에는 모바일 앱 상에서 강의 콘텐츠 화면이 제공될 수 있으며 실시간 채팅 및 첨삭 지도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순간에 언제든지 원하는 강사를 선택하여 튜터링 서비스를 제공받는 온 디맨드 튜터링(On-demand tutoring) 방식을 지원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방식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앱에서 미리 설정해 둔 예약 시간에 맞춰 자동으로 통화 연결되는 온 타임 VoIP 콜 기반 튜터링(On time call tutoring) 방식도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약 방식을 사용하는 온 타임 VoIP 콜 기반 튜터링 방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예약 방식의 경우 통화 연결을 위한 S340 단계는 아래와 같이 세분화될 수 있다. 우선, 강의 스케줄 제공부(16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해당 강사에 대한 예약 현황 스케줄을 제공한다. 예약 현황 스케줄은 도 5의 우측 화면과 같이 스케줄 캘린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외에도 이미지, 테이블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스케줄 관리부(170)는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예약 일자 또는 시간을 포함한 예약 정보를 입력받으면,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한 예약 등록 사항을 예약 현황 스케줄에 즉시 반영한다. 예를 들어, 도 5의 우측 화면에서 스케줄 캘린더 상에 비번인 날짜와 시간을 선택하면 원 클릭으로 예약 등록이 완료되고 해당 예약 사항이 해당 강사의 스케줄에 업데이트될 수 있다.
이후, 해당 예약 일자 또는 시간에 대응하는 예약 시점이 도래하게 되면, 통화 연결부(140)는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의 각 IP에 동시에 콜링 신호를 자동으로 전송하여 통화 연결을 수행한다. 물론 콜링 신호가 전송될 때에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에는 통화 알림과 함께 강의 예약에 따른 콜링 신호임을 알리는 내용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예약 기반의 튜터링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도 6은 강사의 스케쥴 캘린더 상에서 예약이 비어있는 시간대(3월 8일 오후 5시)가 예약 정보로 등록된 경우로서, 해당 시점이 도래하면 자동으로 유저와 튜터의 IP로 동시에 콜 신호를 요청하여 통화를 연결하고 강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앱 내에 설정해 둔 예약 시점에 맞춰 서버(100)가 자동으로 양자에게 동시에 VoIP로 전화를 발신하여 연결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별도의 콜 요청이나 단말 조작이 필요 없으며 원하는 시간대에 정시에 강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강사와 학생 간의 모바일 과외 중에 스터디 노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채팅 및 첨삭 지도 기능을 지원한다. 즉, 과외 서비스 제공부(150)는 학습자의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강의 콘텐츠를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에 동시에 제공한다. 여기서 강의 콘텐츠는 서버(100)에서 직접 제공할 수도 있지만 제2 사용자 단말(300)에 의해 업로드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100)는 별도의 콘텐츠 회사와 연동하는 웹 플랫폼에 기반한 콘텐츠 DB를 운용하는 방식으로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VoIP 통화 시에 콘텐츠 DB를 통하여 학습 목적별 콘텐츠 목록을 제공하고 강의 내역과 진도 등을 관리할 수 있다.
과외 서비스 제공부(150)는 강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터디 노트 화면 또는 채팅 화면 상에 제1 사용자 단말(200)에 의해 입력된 텍스트에 대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첨삭 지도 내용을 제1 사용자 단말(200) 및 제2 사용자 단말(300)의 화면 간에 실시간 공유시키는 방식으로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스터디 노트 화면 및 채팅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좌측 화면은 메뉴 바에서 히스토리(History) 메뉴를 선택한 경우로서, 상단에 통화 컨트롤 기능, 중앙에 일자별 수업 진도 캘린더, 하단에 수업 내용과 이전 튜터 내용 정보를 제공하는 형태를 가진다. 메뉴 바에서 스터디 노트(Study Note) 메뉴를 선택하면 도 7의 중앙 화면과 같이 스터디 노트 화면이 제공된다. 또한, 스터디 노트와 함께 음성 통화로 강의가 이루어지는 중에 채팅(Chatting) 메뉴를 선택하면 도 7의 우측 화면과 같이 학습자와 강사 간의 채팅 화면으로 전환되며 통화 중에 채팅을 통한 실시간 첨삭 지도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어학 학습의 경우 작문 테스트와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스터디 노트에서 첨삭 지도 내용이 실시간 공유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강의 중에 강사가 스터디 노트에 기록하는 내용(ex, 중요 부분 강조, 첨언 등)이 실시간 공유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삼자 통화 연결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강사 측인 제2 사용자 단말(300)은 자신에게 강의가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목록 중에서 기본 정보가 서로 매칭되는 두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강의가 등록된 복수의 사용자 중에서 기본 정보가 매칭되는 두 사용자를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선택받으면, 통화 연결부(14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300)과, 상기 두 사용자에 대응하는 두 개의 제1 사용자 단말(200) 간에 상기 VoIP 기반의 삼자 통화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단순히 삼자 통화 강의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모바일 어학(영어) 강의의 경우를 예를 들면, 학습 레벨과 관심 토픽이 유사한 두 사용자 간에 1:1 대화(영작 내용)를 채팅 창에 입력하도록 하고 강사는 이에 기반하여 첨삭 지도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과외 서비스 제공부(150)는 통화 연결 시에 도 7과 같은 스터디 노트 화면 또는 채팅 화면을 삼자에게 동시에 공유시키며 스터디 노트 화면 또는 채팅 화면 상에 두 개의 제1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입력되는 1:1 대화 텍스트에 대한 제2 사용자 단말(300)의 첨삭 지도 내용을 제2 사용자 단말(300) 및 두 개의 제1 사용자 단말(200)의 화면 간에 실시간 공유시킬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삼자 통화에 국한되지 않으며 다자간 통화를 이용한 모바일 과외 서비스로 확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모바일 앱에 접속하는 빈도 등에 따라 매칭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정보 매칭부(120)는 제1 사용자 단말(200)의 접속 시 최근 접속일 또는 접속 빈도를 기초로 상기 매칭에 사용되는 기본 정보의 매칭 항목 수를 조절하되, 최근 접속일이 오래되거나 접속 빈도가 낮을수록 기본 정보의 매칭 항목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초기 가입 시에는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을 포함하는 세가지 항목이 모두 매칭되는 강사 리스트를 추천하지만, 향후 접속일이 오래되거나 접속 빈도가 낮아진 경우에는 세 가지 항목 중에서 두 가지 항목 또는 한 가지 항목으로 점차 매칭 항목을 줄여서 매칭도가 낮은 강사 리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접속 빈도 등이 하한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정보 매칭 기반이 아닌 단순 인기순 강사 리스트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은 사용자로 하여금 접속 빈도를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를 통해 단순한 접속에만 그치지 않고 우수한 매칭도의 강사를 추천하여 직접적인 과외 연결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앱 상에서 관심사 기반의 친구 추천 기능을 제공하고 내 친구로 추가하여 친구 목록으로 제공하고 친구와의 VoIP 기반의 음성 통화 및 채팅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에 기반하여 최근 연락한 친구 목록, 그리고 별도 등록한 즐겨찾기 친구 목록 등을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서비스 제공자의 이윤 창출이 가능한 시스템으로서 학습자의 경우 강의 비용을 포인트로 충전한 다음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충전 포인트 한도 내에서 강의를 신청 및 수강할 수 있다. 물론 학습자 계정에서 차감되는 포인트는 해당 강사의 계정으로 전달되어 누적될 수 있으며, 강사는 강의 건당 수수료를 서버 측에 지급하되 자신의 누적 포인트 내에서 수수료에 상당하는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법으로 지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에서 제공하는 과외 콘텐츠 오픈 플랫폼의 구동 개념을 나타낸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버(100)는 콘텐츠사와 연동하는 웹 플랫폼에 기반한 콘텐츠 DB를 운용하면서 VoIP 통화 중에 학습자에게 강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VoIP 기반의 통화 연결을 통하여 음성 신호를 주고 받으며 강의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학습자의 기본 정보와 매칭된 강의 콘텐츠를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매칭된 강의 콘텐츠 중에 유료 콘텐츠는 학습자가 보유한 포인트를 차감하는 방식으로 추가 구입하여 즉시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 서버(100)에 접근한 콘텐츠사(출판사, 학습 도구 개발사) 측 단말이 강의 콘텐츠를 등록하면, 서버(100)는 일련의 검증 과정을 거친 후 해당 콘텐츠를 소비자의 VoIP 통화 화면의 More contents 목록에 자동으로 추가 등록 및 업데이트하여 강의 중에도 추가 콘텐츠를 쉽게 구매할 수 있게 한다. 물론 서버(100)는 학습자가 구매한 콘텐츠에 대한 수익을 콘텐츠사와 자동 분배할 수 있는데, 도 9는 콘텐츠사와 본 발명의 서버(100)가 각각 7 : 3으로 수익이 분배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앱을 통한 강사 고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바일 앱 상에서 직접 녹화되는 강사 동영상을 바탕으로 강사의 고용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강사 고용 결정부(180)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2 사용자 단말(300)에게 강사 고용에 필요한 질문을 단계적으로 제공하면서 해당 질문에 대해 응답하는 강사의 모습을 녹화하는 동영상 녹화 기능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녹화된 동영상을 기초로 관리자 단말로부터 강사의 고용 여부를 승인받아 강사의 고용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추후 정보 등록부(110)는 고용이 승인된 제2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입력받은 강사 프로파일을 강사 풀에 등록함에 따라 고용된 강사에 대한 강사 풀을 관리할 수 있다.
도 10의 경우 현재 녹화 중인 영상과 함께 질문이 제공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동영상 녹화 기능의 경우 실제로 강사의 동영상 녹화 시에 주요 질문이 자동으로 제공되는데 그에 대한 답변이 종료되면 다음 질문으로 자동으로 전환되는 방식을 가진다. 물론 그 과정에서 답변에 대한 종료 사항을 확인받으면 다음 질문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 고용 방식은 초기에 동영상 녹화만으로 일차적으로 등급이 산정될 수 있으며 산정된 등급이 일정 이상을 만족하면 이후에는 사람이 판독하여 고용 여부를 승인할 수 있다. 이러한 온라인 고용 방식은 면접자와 피면접자가 대화를 주고 받는 형식을 모바일에서 연출한 것으로서 일련의 과정이 모두 녹화되어 서버(100)로 제공됨에 따라 서버 측의 관리자는 원격에서 빠르고 편리하게 강사의 고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모바일 환경에서 학습자의 기본 정보와 매칭되는 교육자 풀을 조회하여 해당 학습자와 강사 간에 음성 통화에 기반한 과외 서비스를 편리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히 학습 레벨에 국한되지 않고 관심사 기반의 지능적인 과외 서비스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유한 강사 풀 내에서 학습자의 학습 레벨, 학습 목적, 관심 토픽과 매칭되는 최적 조건의 강사를 지능적으로 검색하고 모바일 앱 상에서 더욱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관심사 기반의 과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학습 효과와 능률을 높일 수 있고 모바일 앱의 활용도 및 사용 빈도를 높여 수익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110: 정보 등록부
120: 정보 매칭부 130: 강사 리스트 제공부
140: 통화 연결부 150: 과외 서비스 제공부
160: 강의 스케줄 제공부 170: 스케줄 관리부
180: 강사 고용 결정부 200: 제1 사용자 단말
30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2)

  1.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를 이용한 모바일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 토픽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심 토픽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선택된 강사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VoIP 음성 통화의 연결을 지원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앱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관심 토픽이 아닌 인기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상기 VoIP 음성 통화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관심 토픽과 관련된 콘텐츠를 출력하여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출력하여 제공하는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
  2. 온디맨드(on-demand)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바일 과외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가 제공하는 모바일 앱에 접속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심 토픽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관심 토픽과 관련된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는 강사 리스트 제공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강사 리스트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선택된 강사에 대응되는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VoIP 음성 통화의 연결을 지원하는 통화 연결부; 및
    상기 모바일 앱 상에서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에 음성 정보를 중개하면서 모바일 과외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외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사 리스트 제공부에서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접속 빈도가 특정 값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관심 토픽이 아닌 인기도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상기 강사 리스트를 제공하고,
    상기 과외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상기 VoIP 음성 통화 중에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에 상기 관심 토픽과 관련된 콘텐츠를 출력하여 제공하고, 상기 콘텐츠는 상기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의 화면에 실시간으로 공유되도록 출력하여 제공하는,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제공 장치.
KR1020170105053A 2017-08-18 2017-08-18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1923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053A KR101923704B1 (ko) 2017-08-18 2017-08-18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5053A KR101923704B1 (ko) 2017-08-18 2017-08-18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023A Division KR101771797B1 (ko) 2015-08-21 2015-08-21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73A KR20170098773A (ko) 2017-08-30
KR101923704B1 true KR101923704B1 (ko) 2018-11-29

Family

ID=5976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053A KR101923704B1 (ko) 2017-08-18 2017-08-18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7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22B1 (ko) 2019-12-26 2021-02-17 배가애 어플리케이션 기반 과외 매칭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320B1 (ko) 2019-04-30 2022-07-28 김흥환 맞춤형 스포츠 대리 지도자 매칭 시스템 및 방법
KR102277362B1 (ko) * 2019-07-01 2021-07-14 권소영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습득을 위한 언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964A (ja) 2000-10-27 2002-05-10 Seiji Notomi 教育指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32964A (ja) 2000-10-27 2002-05-10 Seiji Notomi 教育指導システ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7122B1 (ko) 2019-12-26 2021-02-17 배가애 어플리케이션 기반 과외 매칭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8773A (ko)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1797B1 (ko) 모바일 과외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과외 서비스 제공 방법
Wang et al. Pedagogical, social and technical designs of a blended synchronous learning environment
AU2011316586B2 (en) Language learning exchange
US20190347954A1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Interaction with Online Educational Programs
KR20180005877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10487A (ko) 온라인 상에서의 학습정보 제공 방법
KR101923704B1 (ko) 온디맨드 기반의 모바일 과외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013513856A (ja) 語学訓練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012420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준별 다자간 그룹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200040495A (ko) 온라인 강의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CN108352043A (zh) 同龄人之间的在线语言教育系统及方法
KR20190011540A (ko) 모바일 외국어 학습 플랫폼 서버 및 그것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서비스 운영 방법
KR100597729B1 (ko) 온라인 협업 스터디 그룹 운영 시스템 및 방법
KR101750172B1 (ko) 강의실 운용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20150027708A (ko) 온라인을 이용한 강의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0971933B1 (ko) 독서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2072846A (ja) 教育システム
KR20000058960A (ko) 인터넷을 이용한 회화강습 시스템의 운용방법
KR20010069292A (ko) P2p를 기반으로 한 원격 교육의 운영 방법 및 관리 시스템
JP3903992B2 (ja) 遠隔教育システムと方法、サーバ、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11644A1 (en) Collaborative Knowledge Exchange System
Hasanah et al. " I didn't need to be shy; I participated in the class": A case study of WTC learning support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a remote area
Mishra Mobile technologies in open schools
KR101766718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언어 교환 및 언어 수업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60011769A (ko) 강의 평가에 대한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서비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