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8193A -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에이디피-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에이디피-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8193A
KR20010108193A KR1020017010070A KR20017010070A KR20010108193A KR 20010108193 A KR20010108193 A KR 20010108193A KR 1020017010070 A KR1020017010070 A KR 1020017010070A KR 20017010070 A KR20017010070 A KR 20017010070A KR 20010108193 A KR20010108193 A KR 20010108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anthocyanidins
adp
silica gels
ribosylatio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토시 노다
간다도모마사
야나기다아키오
히에다가즈오
Original Assignee
마사토시 노다
오하라히로시
닛카우위스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사토시 노다, 오하라히로시, 닛카우위스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사토시 노다
Publication of KR20010108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819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4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 A61K31/765Polymers containing oxygen
    • A61K31/78Polymers containing oxygen of acrylic acid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35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methantheline 
    • A61K31/3533,4-Dihydrobenzopyrans, e.g. chroman, catec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엔테로톡신 타입의 장내감염의 원인세균, 예를들어 병원성 비브리오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 (Vibrio parahaemolyticus))에 의해서 생산된 독소를 억제할 수 있는 사과 또는 포도 추출물과 같은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프로안토시아니딘의 ADP-리보실화 억제활성을 기본으로하는 디프테리아 등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들 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 또는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프로안토시아니딘 또는 조성물을 함유하는 식품첨가물 및 식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에이디피-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 치료용 조성물{ADP-RIBOSYLATION INHIBITORS AND REMEDIES FOR ENDOTOXIC BACTERIAL ENTERIC INFECTION CONTAINING PROANTHOCYANIDIN AS THE ACTIVE INGREDIENT}
1998년의 WHO 데이타는 전세계적으로 세균성 감염으로 인한 사망자수는 2000만명에 달한다고 보고하고 있다. 특히, 이 보고서는 콜레라에 의한 피해자는 세계적으로 연간 수백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항생제, 백신 등을 포함한 의료기술이 현저하게 진보된 현재까지도 환자의 수는 감소하지 않고 있다. 더구나, 최근의 국제적 교통기관의 현저한 발달에 수반하여 인적교류 및 물자의 이동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 이질균, 독소생산성에스케리키아 콜라이 (Escherichia coli), 살모넬라 등에 기인한 여행자 설사는 선진국에서 조차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에 의해서 야기되며 주징후로서 심한 장액성설사 (watery diarrhea)를 특징적으로 나타내는 매우 높은 치사율을 가지는 질환이다. 콜레라는 전세계에서, 특히 아시아와 아프리카에서 발견된다. 콜레라는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가 구강을 통해서 체내로 들어가서 소장 내강을 따라서 존재하는 점막에서 감염을 야기시키고 증식하여 콜레라 독소를 생산하는 기전에 의해서 야기된다. 콜레라 독소는 A 및 B 서브유니트로서 공지되어 있으며, 이질균, 독소생산성 이. 콜라이 (E. coli), 장관출혈성 이. 콜라이 (E. coli)로부터 생산되는 독소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은 두개의 단백질 서브유니트로 구성된 구조를 갖는다. B 서브유니트는 장관강의 상피세포 상의 갱글리오사이드 GM1 수용체 부위에 결합한다. ADP-리보실라제 활성을 갖는 콜레라 독소의 A 서브유니트는 ADP-리보실화를 촉진시킴으로써 GSα로 공지되어 있는 아데닐릴 사이클라제 시스템의 자극성 GTP-결합단백질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장관루프의 상피세포에서 cAMP 레벨을 증가시키고 물 및 전해질을 대량으로 분비시킴으로써 장액성설사를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Med. Immunol., 21, 359-365 (1994); Masatoshi Noda, SHONI-NAIKA (Children Internal Medicine), 28 (9), 1186-1193 (1996)).
콜레라는 현재 대증요법인 수액요법 (transfusion)에 의해서 치료되고 있다. 실제 상황하에서는 콜레라의 근본적인 치료를 위한 방법이나 약제가 밝혀지지 않았다. 광범한 연구의 결과로 본 발명자 중의 한 사람인 마사토시 노다 (MasatoshiNoda)는 이미 장내감염을 야기시키는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 등과 같은 세균에 의해서 생산되는 독소를 억제하고 독소를 무해하게 만드는 약제를 개발하였다 (참조: "MEDICAMENT FOR TREATING ENTEROTOXIN TYPE BACTERIAL INFECTIONS" (일본국 특허출원 제 6-505177호; Masatoshi Noda, Hajime Nishiya and Morimichi Yamaguchi) 및 "GALLIC ACID ESTER DERIVATIVES AND DRUGS CONTAINING THE SAME AS ACTIVE INGREDIENTS" (일본국 공개특허출원 제 10-273495호; Masamichi Ueno, Izumi Takai, Hiroshi Ohi, Masakazu Adachi and Masatoshi Noda)). 그러나, 전자는 주성분으로서 생약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제약조건으로 인한 생산비용 등의 문제를 갖는다. 후자는 유효성분이 합성화합물이기 때문에 안전성 시험과 같은 추가의 연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후자를 실용화시킬 때 까지는 적어도 수년의 기간이 필요하다. 인간에게 높은 안전성을 가지며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유도된 약제를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저렴한 약가로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본 기술분야의 현재 상황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아데노신-5'-디포스페이트 (ADP)-리보실화 억제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엔테로톡신 (enterotoxin)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조성물, 및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식품첨가물로서 및/또는 식품으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사과추출물의 농도와 시험예 1에서의 그의 억제활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발명을 수행하는 최상의 방식]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효성분 중의 하나인 사과추출물은 본질적으로 폴리페놀로 구성된다.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이들 폴리페놀에 대하여 조성상의 특징, 안전성 및 제조방법에 관한 광범한 연구가 수행되어 그들의 기능 및 실용성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일본국 특허출원 제 7-285876호로 출원되었다. 이들 폴리페놀은 상기 출원의 출원인에 의해서 제조되어 식품재료, 식품첨가물, 화장품 재료 등으로서 판매되고 있다. 이들 시판생성물은 실제로 다양한 식품, 가공식품, 화장품 등에 적용되고 있다. 추가의 광범한 연구의 결과로, 발명자들은 이들 폴리페놀 내에서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ADP-리보실화 억제작용을 나타내는 물질을 발견하였으며, 발명자들은 이 물질이 폴리페놀의 하나인 프로안토시아니딘인 것으로 확인하였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플라보노이드성 골격을 갖는 플라반-3-올 또는 플라반-3,4-디올의 축합 또는 중합에 의해서 형성된 적어도 다이머 (dimer)인 물질이다 (Hemingway, R.W. et al., Chemistry and Significance of Condensed Tannins, 83-107). 예를들어, 사과추출물은 2- 내지 15-머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Ohnishi-Kameyama M. et al., Rapid Comm. Mass Spectrom., 11, 31-36 (1997)).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는 추출물이 식물로부터 유도된 2- 내지 15-머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한은 어떠한 추출물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식물물질은 식물물질로부터 충분한 양의 2- 내지 15-머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추출물이 수득될 수 있는 한은 식물의 종류와는 무관하게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식물추출물은 물론 조추출물일 수 있으나, 적어도 일정량의 2- 내지 15-머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출물은 또한 2- 내지 15-머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 분획화시킨 후에, 추가로 분획을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머 프로안토시아니딘,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헥사머 (6-머)의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 정제한 후에 사용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2- 내지 15-머,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머,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머인 이들 프로안토시아니딘의 분획화 및 추출은 본 명세서에 온전히 그대로 참고로 포함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 10-184143호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식용식물의 예에는 사과 이외에도 로자세 (Rosaceae), 딸기 및 라즈베리 (raspberries)가 포함된다. 로자세 (Rosaceae)에 속하는 식물 이외의 식용식물의 예는 비타세아에 (Vitaceae)의 포도, 악티니디아 (Actinidia)의 키위과실, 에리카세아에 (Ericaceae)의 블루베리 (blueberries) 및 크랜베리 (cranberries), 레구미노세 (Leguminosae)의 아주키콩 (adzuki beans) 및 타미린드 (tamarinds), 에베나세아에 (Ebenaceae)의 감, 무사세아에 (Musaceae)의 바나나, 아나카르디아세아에 (Anacardiaceae)의 캐슈넛트 (cashew nuts), 스테르큘리아세아에 (Sterculiaceae)의 카카오, 파가세아에 (Fagaceae)의 재패니즈 오크 (Japanese oaks), 에버그린 오크 (evergreen oaks), 밤 및 파사니아 (pasanias), 및 칸나비나세아에 (Cannabinaceae)의 호프이다. 이들 식물중에서, 자원의 효과적인 재순환 및 큰 추출용적의 관점에서 불필요하여 제거된 미숙한 사과, 압착된 포도의 잔류물에 함유된 종자 등이 유리하게 사용된다.
즉,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서 식용식물로부터 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ADP-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를 위한 상기의 억제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억제제 및 조성물은 프로안토시아니딘 이외에도 추가로 다른 폴리페놀, 유기산 또는 당이 결합된 프로안토시아니딘, 및 하이드레이트와 같은 그의 용매화물을 함유할 수 있다. 동일한 조물질로부터 수득된 다른 성분들도 또한 본 발명의 억제제 및 조성물 내에 함유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서 식용식물로부터 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콜레라 또는 보툴리누스 (botulinus)에 의해 야기된 여행자 설사와 같은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ADP-리보실화 억제제로서 탁월한 효과를 제공하기 때문에, 조성물은 또한 ADP-리보실라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기회감염 등과 같은 다른 감염성 질환을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도 효과적이다.
유효성분으로서 식용식물로부터 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담체, 부형제 및 그밖에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른 첨가제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약제학적 제제를 제조하는데에는 고체 또는 액체 담체 및 부형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담체 및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덱스트린,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전분, 탈크, 젤라틴, 한천, 펙틴, 아라비아고무, 올리브유, 호마유, 카카오지, 에틸렌글리콜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정제, 환제, 캅셀제, 과립제, 분말, 액체 등의 형태로 경구로 투여된다. 경구용량은 환자의 상태, 연령, 성별 등에 따라 각각의 경우에 적절하게 결정되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 계산하여 성인에게 일반적으로 100 ㎎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200 ㎎ 내지 1 g의 1일 용량으로 투여될 수 있다. 조성물은 볼루스 (bolus)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거나, 1일 용량을 경구투여를 위해서 수회로 분할할 수도 있다. 물론, 1일 용량은 다양한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부의 경우에는 상기 제시된 것보다 더 소량으로도 충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을 경구투여하기 위해서는 예를들어 정제, 분말 또는 과립제의 형태로 고체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조성물에서는, 식용식물-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활성성분에 대해서 불활성인 적어도 하나의 희석제와 배합시킨다.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만니톨, 글루코즈,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전분, 메타규산 및 마그네슘알루미네이트가 포함된다.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칼슘셀룰로즈글리콜레이트와 같은 붕해제, 락토즈와 같은 안정화제,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과 같은 용해보조제가 포함된다. 정제 또는 환제는 필요에 따라 슈크로즈, 젤라틴,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즈,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프탈레이트, 환원된 팔라티노즈, (palatinose) 제인 등의 장용성 또는 위용성 코팅필름으로 피복시킬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서 식용식물-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경구투여용 액체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유제, 용액, 현탁액, 시럽, 엘릭서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경구투여용 액체제제는 또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들어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불활성 희석제 이외에도 액체제제는 추가로 습윤제, 현탁화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예를들어, 락토즈), 용해보조제 (예를들어, 글루탐산, 아스파르트산)와 같은 보조제, 감미제, 풍미제 (corrigent), 방향제 및 보존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용식물-유도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또한 식품첨가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예방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적용할 식품이 우유, 음료, 쥬스 등과 같은 액체인 경우에,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마시기 직전에 이들 액체식품에 첨가할 수 있다. 사용된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양은 액체 100 ㎖ 당, 약 50 ㎎ 내지 1000 ㎎의 범위이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파스타, 빵 또는 쌀과 같은 주식에 혼합시키는 경우에는, 주식을 조리하거나 가공할 때에 식품 100 g 당, 약 50 ㎎ 내지 500 ㎎의 양으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주식에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병원성 비브리오균 (비브리오 콜레라에 (Vibrio cholerae), 비브리오 파라헤모리티쿠스 (Vibrio parahaemolyticus))과 같은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을 매개로하는여 장내감염의 원인균에 의해서 생산되는 독소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들 독소를 무해하게 만들 수 있는 것으로서,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 및/또는 예방하기 위한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로부터 유도된 ADP-리보실화 억제제 및/또는 매우 안전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콜레라 독소와 같은 독소에 의해서 생체내에서 촉진된 ADP-리보실화를 억제할 수 있으며 장액성설사를 억제할 수 있으나 인간에게 유해한 작용을 나타내지는 않는 천연적으로 존재하는 물질, 특히 식용식물로부터 유도된 물질에 대하여 광범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사과추출물, 포도추출물 등과 같은 식용식물의 추출물에서 매우 효과적인 ADP-리보실화 억제작용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 치료활성을 나타내는 물질을 밝혀내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완성되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더 상세히 기술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실시예 1: 사과추출물의 제조
미숙한 사과과실 10 ㎏을 세척하고, 파쇄한 다음 착즙한 후에, 생성된 쥬스를 원심분리하고 여과하여 투명한 쥬스 8.5 ㎏을 수득하였다. 쥬스를 1 리터 용적의 스티렌계 흡착수지칼럼에 통과시켰다. 칼럼을 물로 세척한 후에, 65% 에탄올수용액으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이렇게하여 수득한 용출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분무건조시켜 사과추출물 59.7 g을 수득하였다.
제조실시예 2: 포도추출물의 제조
줄기를 제거한 후에 포도를 압착하고 압착된 포도의 잔류물을 체로 걸러서 종자를 수집하였다. 종자 1 ㎏을 물로 세척하고, 종자를 50%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추출물을 진공중에서 농축시켰다. 농축물을 여과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그후, 추출물을 1 리터 용적의 스티렌계 흡착수지칼럼에 통과시켰다. 칼럼을 물로 세척한 후에, 65% 에탄올 수용액으로 용출을 수행하였다. 이렇게하여 수득한 용출액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킨 다음, 분무건조시켜 포도추출물 40.7 g을 수득하였다.
제조실시예 3: 사과추출물의 분획화
제조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사과추출물의 수용액을 스티렌계 흡착수지칼럼에 통과시켜 89%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분획을 수득하였다.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분획을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에 적용하여 모노머 (카테킨), 다이머, 트리머, 테트라머 및 펜타머 분획 및 헥사머 또는 그 이상의 분획으로 각각 분획화시켰다. 이들 각각의 분획을 진공중에서 농축시키고 동결건조시켜 각각의 건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약제예 1
제조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사과추출물 50 g을 옥수수전분 30 g, 결정성 셀룰로즈 10 g, 칼슘카복시메틸셀룰로즈 4 g 및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1 g과 혼합시켰다. 혼합물을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수득하였다.
약제예 2
제조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사과추출물 50 g을 칼슘카복시메틸셀룰로즈 7 g,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2 g 및 규산무수물 1 g과 혼합시켰다. 혼합물에 충분한 양의 멸균수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과립화를 위해서 압출시키고 건조시켜 과립제를 수득하였다.
약제예 3
제조실시예 1에서 수득한 사과추출물 45 g을 슈크로즈 지방산 에스테르 5 g과 혼합시켰다. 혼합물을 타정기로 타정하여 정제를 수득하였다. 정제를 환원된 팔라티노즈 25 g으로 피복시키고, 추가로 제인 2 g으로 피복시켜 당의정제 (dragees)를 수득하였다.
시험예 1: 아그마틴 (agmatine) 시험방법에 의한 평가
콜레라 독소는 세포내 단백질 G인 Gsα를 ADP-리보실화시키며, 또한 아그마틴을 위한 기질로서 NAD로부터 ADP-리보즈로의 ADP-리보실트랜스퍼라제 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전을 기초로하여 콜레라 독소를 억제하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의 활성을 노다 (Noda) 등에 의해 보고된 아그마틴 시험방법 (Noda M. et al., Biochemistry, 28, 7936 (1989))에 따라 평가하였다.
즉, 콜레라 독소 1 ㎍ 및 표 1에 제시된 소정량의 샘플을 50 mM 인산칼륨 완충액 (pH 7.5), 5 mM MgCl2, 100 μM GTP, 100 μM [아데닌-14C]NAD (6000 cpm), 20 mM DTT, 20 mM 아그마틴 및 0.1 ㎎/㎖의 오브알부민 (총 300 ㎕)의 반응혼합물과 혼합시켰다. 이 혼합물을 30℃에서 3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 50 ㎕를 다우엑스 (Dowex) AG1-X2 (Bio Rad, Inc.에 의해서 제조)로 충전된 칼럼 (Φ5 ×20 ㎜)에 통과시켰다. 미반응 [아데닌-14C]NAD를 제거한 후에, 콜레라 독소의 ADP-리보실화에 의해서 생산된 [아데닌-14C]ADP-리보실아그마틴의 방사활성을 측정하였다. 이 [아데닌-14C]ADP-리보실아그마틴 형성을 지표로 사용하여 각각의 샘플에 의한 콜레라 독소의 ADP-리보실트랜스퍼라제 활성의 억제율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사과추출물의 농도와 ADP-리보실화 억제활성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또한 도 1에 제시하였다.
콜레라 독소 억제율 (%)
시험한 샘플 농도 (㎍/㎖) 억제율 (%)
사과추출물 (미숙과실)*1 25 95.4
포도추출물 (종자) 63 96.1
해바라기추출물 (종자) 167 4.0
대황추출물 (생약)*2 10 99.3
총 프로안토시아니딘 분획모노머 (카테킨)다이머 분획트리머 분획테트라머 분획펜타머 분획헥사머 이상의 분획 25252525252525 97.80.07.09.551.896.797.6
주) *1 사과추출물 IC 50 < 10 ㎍/㎖*2 콜레라 독소에 대해 양성반응을 갖는 환자: 일본국 특허출원 제 6-505177호
이 시험에서 사과추출물 및 포도추출물은 포터방법 (Porter method)에 따라 프로안토시아니딘 B2로서 계산하여 각각 51% 및 63%의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였다.
시험예 2: 결찰된 토끼 장관루프 방법에 의한 시험
콜레라 독소는 세포내 단백질 G로서 알려져 있는 Gsα를 ADP-리보실화시킴으로써 아데닐릴 사이클라제의 지속적인 활성화, 장관루프의 상피세포에서 cAMP 레벨의 증가 및 물과 전해질의 대량분비를 야기시키며 따라서 장액성설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콜레라 독소에 의해 야기된 설사를 억제하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장액성설사에 있어서의 사과추출물의 액체저류활성을 데 (De) 등이 보고한 결찰된 토끼 장관루프 방법 (De S.N. and D.N. Chatterje, J. Pathol. Bacteriol., 66, 559 (1953))에 의해서 검사하였다. 즉, 토끼 회장을 매 15 ㎝ 마다 결찰시켜 여러개의 폐쇄된 장관시스템의 루프를 형성시켰다. 각각의 루프에 콜레라 독소 1 ㎍ 및 규정된 용량의 샘플을 투여한 후, 장관루프를 토끼의 체내로 복귀시켰다. 토끼를 가능한 한 안락한 상태로 유지시키고, 18 시간 후에 콜레라 독소에 의해서 야기되는 액체저류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로, 사과추출물은 50 ㎍/루프의 용량에서 콜레라 독소 1 ㎍에 의해서 야기된 액체저류를 거의 완전히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들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기술된 식용식물 추출물 및 그의 유효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생약제인 "대황"의 추출물과 마찬가지로 콜레라 독소에 작용하여 ADP-리보실트랜스퍼라제 활성을 억제하고, 따라서 항-콜레라 독소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ADP-리보실화 억제제는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유효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식용식물 추출물에 함유된 활성성분인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안전성은 이미 확립되어 있는데, 이는 프로안토시아니딘의 기원식물이 긴 인류역사에서 식용식물로서 이용되어 왔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하여도, 프로안토시아니딘의 안전성은 식품첨가물로서 사용하기 전에 급성독성시험 등에 의해서 다시 확인되었다. 프로안토시아니딘은 이미 식용식물로부터의 추출물로서, 산화방지제 또는 식품재료로서 광범하게 사용되어 왔다. 인간에 대한 악영향은 전혀 보고되지 않았다. 즉,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매우 안전하며,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매우 효과적이다. 따라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은 매우 유용한 약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1)

  1. 유효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아데노신-5'-디포스페이트 (ADP)-리보실화 억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식용식물 또는 식용식물-유도된 물질로부터 수득되는 ADP-리보실화 억제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식용식물 또는 식용식물-유도된 물질이 사과 또는 포도의 추출물인 ADP-리보실화 억제제.
  4. 제 1 항 내지 3 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물, 알콜, 에스테르 및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에 의해서 추출된 것인 ADP-리보실화 억제제.
  5. 제 1 항 내지 4 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스티렌계 흡착수지, 음이온교환수지, 옥타데실-화학적 결합형 실리카겔, 옥틸-화학적 결합형 실리카겔, 페닐-화학적 결합형 실리카겔 및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정제된 것인 ADP-리보실화 억제제.
  6. 유효성분으로서 제 1 항 내지 5 항 중의 어느 하나에 따르는 ADP-리보실화 억제제를 함유하는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 및 기회감염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7. 유효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콜레라, 보툴리누스 및 여행자 설사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것인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9. 제 7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식용식물 또는 식용식물-유도된 물질이 사과 또는 포도의 추출물인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10. 제 7 항 내지 9 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물, 알콜, 에스테르 및 케톤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에 의해서 추출된 것인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11. 제 7 항 내지 10 항 중의 어느 하나에 있어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이 스티렌계 흡착수지, 음이온교환수지, 옥타데실-화학적 결합형 실리카겔, 옥틸-화학적 결합형실리카겔, 페닐-화학적 결합형 실리카겔 및 실리카겔을 사용하여 정제된 것인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 질환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조성물.
KR1020017010070A 1999-02-15 1999-02-15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에이디피-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0101081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0648 WO2000047204A1 (fr) 1999-02-15 1999-02-15 Inhibiteurs de adp-ribosylation et remedes pour une infection enterique bacterienne endotoxique contenant de la proanthocyanidine comme ingredient acti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8193A true KR20010108193A (ko) 2001-12-07

Family

ID=14234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070A KR20010108193A (ko) 1999-02-15 1999-02-15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에이디피-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53604A4 (ko)
KR (1) KR20010108193A (ko)
CN (1) CN1348368A (ko)
AU (1) AU2440499A (ko)
CA (1) CA2363454A1 (ko)
NZ (1) NZ513603A (ko)
WO (1) WO20000472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2241307B9 (en) * 2001-03-28 2005-08-11 Asahi Group Holdings, Ltd. Proteotoxin neutralizer
CN100349576C (zh) * 2001-03-28 2007-11-21 朝日啤酒株式会社 蛋白毒素中和剂
JP2006508924A (ja) * 2002-09-10 2006-03-16 アメリカ合衆国 細菌毒素を結合する因子
US7090856B2 (en) 2003-06-19 2006-08-15 Hong Ko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Anti-fouling exopolysaccharides isolated from cultures of Vibrio alginolyticus and Vibrio proteolyticus
CN113827588A (zh) * 2021-09-23 2021-12-24 天津国际生物医药联合研究院 原花青素在抗结核分枝杆菌感染中的潜在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6805B2 (ja) * 1989-05-19 1999-12-06 三井農林株式会社 細菌性外毒素に対する抗毒素剤
WO1994003193A1 (en) * 1992-07-31 1994-02-17 Tsumura & Co. Remedy for biotoxin type bacterial intestinal infectious diseases
JPH1029947A (ja) * 1996-07-15 1998-02-03 Nippon Koutai Kenkyusho:Kk 生体内毒素型細菌性腸管感染症治療剤
EP0935417B1 (en) * 1996-10-16 2009-05-06 Napo Pharmaceuticals, Inc. Enteric formulations of proanthocyanidin polymer antidiarrheal compositions
EP1014969B1 (en) * 1997-09-09 2008-11-1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Plant proanthocyanidin extract effective at inhibiting adherence of bacteria with p-type fimbriae to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3604A1 (en) 2001-11-14
WO2000047204A1 (fr) 2000-08-17
CA2363454A1 (en) 2000-08-17
NZ513603A (en) 2002-12-20
CN1348368A (zh) 2002-05-08
AU2440499A (en) 2000-08-29
EP1153604A4 (en) 2003-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206983A1 (en) Antithrombotic agents
KR102132655B1 (ko) 구절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MX2012005635A (es) Composicion para mejorar la circulacion sanguinea, que contiene extracto de lindera obtusiloba como ingrediente activo.
KR20140034645A (ko) 우엉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CA2403691C (en) The use of cocoa procyanidins combined with acetylsalicylic acid as an anti-platelet therapy
KR20010108193A (ko) 활성성분으로서 프로안토시아니딘을 함유하는에이디피-리보실화 억제제 및 엔테로톡신 타입 세균감염성질환 치료용 조성물
AU2001261004A1 (en) The use of cocoa procyanidins combined with acetylsalicyclic acid as an anti-platelet therapy
KR101350954B1 (ko) 아실-코에이:콜레스테롤 아실 트랜스퍼라제 저해 활성을가지는 조성물
KR101964054B1 (ko) 금은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크론병 치료 또는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0702885B1 (ko) 헬리코박터 파이로리 접착 저해제
MXPA05002081A (es) Extractos mejorados de psidium huajava, metodos para su obtencion y su uso para el tratamiento de padecimientos gastrointestinales.
KR101671697B1 (ko) 십전대보 십일가미탕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634210B1 (ko) 캠페롤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40084387A (ko) 포도나무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과잉의엘라스타제로 인해 야기된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561441B1 (ko) 도깨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43995B1 (ko) 마가목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200675B1 (ko) 테르펜 락톤의 함량이 증가된 은행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류 개선용 조성물
KR20130059741A (ko) 민대극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162128B1 (ko) 음양곽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080666A2 (ko) 단풍잎돼지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충치와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6182158A1 (ko) 가시상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13297B1 (ko) 리치 씨앗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2037530B1 (ko) 옥미수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100552425B1 (ko) 허수테논을 포함하는 간암 억제용 조성물
KR20200004460A (ko) 연자방 에탄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전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