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342A -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342A
KR20010106342A KR1020010065961A KR20010065961A KR20010106342A KR 20010106342 A KR20010106342 A KR 20010106342A KR 1020010065961 A KR1020010065961 A KR 1020010065961A KR 20010065961 A KR20010065961 A KR 20010065961A KR 20010106342 A KR20010106342 A KR 200101063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waste
impeller
foundry sand
ca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5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2412B1 (ko
Inventor
조전래
Original Assignee
기원금속(주)
조전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원금속(주), 조전래 filed Critical 기원금속(주)
Priority to KR10-2001-0065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2412B1/ko
Publication of KR20010106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342A/ko
Priority to EP02023521A priority patent/EP1306146A3/en
Priority to JP2002308960A priority patent/JP2003136185A/ja
Priority to US10/280,007 priority patent/US6725899B2/en
Priority to CNB021558086A priority patent/CN1184031C/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2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24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5/00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 B22C5/04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dressing or handling the mould material so far as specially adapted for that purpose by grinding, blending, mixing, kneading, or stir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1/00Solid material comminution or disintegration
    • Y10S241/10Foundry sand 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조에 사용된 폐주물사를 일정한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하는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의 회전송풍력에 따른 폐주물사와 연마드럼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고, 폐주물사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임펠러의 회전축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구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폐주물사의 재생처리속도를 높이면서도 재생된 주물사의 순도를 향상시키고, 폐주물사의 재생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물사의 파손을 방지하며,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여 콤펙트화 된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는, 원통형상으로 되는 측면틀(11)과, 폐주물사(1)의 투입호퍼(14)와 미세분말의 집진구(15)를 구비하는 상판틀(12)과, 재생주물사(2)의 배출구(16)를 구비하는 하판틀(13)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중앙부에는 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연동회전하는 회전축(25)이 상판틀(12)과 하판틀(13)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상,하부원판(26b)(26c)이 날개(26a)와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26)가 회전축(25)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26)의 중앙부에는 회전축(25)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관(25a)과 연통되는 송풍구(25b)가 임펠러(26)의 각 날개(26a)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26)와 케이싱(10)의측면틀(11)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31)이 임펠러(26)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방법은, 주형이나 주물로부터 분리된 주물사 덩어리를 파쇄하여 폐주물사(1)를 형성시키고, 상기 폐주물사(1)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므로서 폐주물사(1)를 일정한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31)의 내부에서 연마드럼(3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임펠러(26)를 회전시키고, 상기 임펠러(26)측으로 폐주물사(1)를 투입시켜 임펠러(26)의 회전송풍력에 따른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1)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며, 상기 폐주물사(1)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5)의 흡입관(25a)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구(15)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Regenerating apparatus of molding sand, and regen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주조에 사용된 폐주물사를 일정한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하는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임펠러의 회전송풍력에 따른 폐주물사와 연마드럼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고, 폐주물사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임펠러의 회전축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구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폐주물사의 재생처리속도를 높이면서도 재생된 주물사의 순도를 향상시키고, 폐주물사의 재생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물사의 파손을 방지하며,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여 콤펙트화 된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조법은 금속을 용융점 온도까지 가열시켜 용융금속을 형성시킨 다음, 제조하고자 하는 제품의 모양과 동일하게 제작된 주형(鑄型; 거푸집)속에 용융금속을 부어 넣고, 주형의 내부에서 용융금속을 냉각 및 응고시키므로서 주물제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소성가공과 분말야금 및 용접 등과 함께 금속가공법의 중요한 분야를 차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주조법에서 성형틀의 역할을 하는 주형의 재료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내화성이 우수한 규사를 주성분으로 하는 주물사로서, 20∼70메시 안팎의 입도(粒度)를 가지는 모래에 점결제로서 점토를 4∼8%, 수분을 2∼6% 가량 첨가하여 생형용 주물사를 제작하게 되며, 이와 같이 제작된 생형용 주물사를 원형(原型; pattern)이 놓인 주조틀의 내부로 넣어 잘 다져 굳히므로서 하나의 분할된 주형이 완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주형을 사용하여 주물제품을 주조하게 되면, 용융금속의높은 온도에 의하여 각 주물사의 표면에 점결제가 경화되어 부착되고, 이와 같이 점결제가 부착된 폐주물사를 별도의 처리없이 다음의 주조에 바로 사용하게 되면, 주물사간의 결합력 저하와 주형의 통기성 저하와 같이 주물제품에 좋지 못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발생하기 때문에,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하여 일정한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주물사의 재생처리에 사용되는 방법에는, 에어노즐을 사용하여 폐주물사를 연마편에 고속으로 분사시키는 방법과, 기류속에서 폐주물사를 기계적으로 진동시키는 방법과, 회전드럼의 내부에 폐주물사를 투입시켜 회전드럼의 원심력에 의한 폐주물사간의 마찰력을 이용하는 방법과, 폐주물사를 수세하는 방법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주물사의 점결제로 수지 등을 사용한 경우에는 폐주물사를 가열하여 표면의 점결제를 연소 및 휘발시키는 방법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분사방법은 폐주물사를 연마편에 고속으로 충돌시키므로서 폐주물사의 처리성능은 우수하게 되는 데 반하여, 폐주물사에 의한 연마편의 국부적인 마모가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연마편을 자주 갈아주어야 할 뿐만 아니라, 연마편과의 강한 충돌에 의하여 주물사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폐주물사로부터 떨어져 나온 점결제의 미세분말과, 폐주물사와의 충돌에 의한 연마편의 미세분말을 재생된 주물사와 별도로 분리시키기가 매우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류에 의한 기계식 진동방법의 경우에는 진동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이매우 복잡하게 되고, 폐주물사를 일정한 순도 이상의 주물사로 처리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수세방법의 경우에는 폐주물사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된 점결제를 물세척만으로는 용이하게 제거시킬 수 없기 때문에 진동장치와 같은 부가적인 장치를 별로도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하여 폐주물사의 재생처리에는 상기한 회전드럼방식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와 같이 회전드럼을 이용한 종래의 주물사 재생장치가 국내특허공보 제 1981-1841호(등록일자 1981년 11월 17일), 국내공개특허공보 제 1983-7177호(공개일자 1983년 10월 14일),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제 1988-21514(공개일자 1988년 12월 24일) 등에 기재되어 알려져 있다.
그러나, 회전드럼을 이용한 종래의 주물사 재생장치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회전드럼의 원심력에 의하여 회전드럼의 내주벽부로 밀집된 폐주물사간의 마찰력만을 점결제의 제거에 이용하게 되므로서, 상기 에어분사방식에 비하여 폐주물사의 처리속도와 처리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주물사 재생장치를 이용한 한 번의 처리과정만으로는 폐주물사를 높은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하기가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회전드럼의 회전력만으로는 폐주물사로부터 떨어져 나온 점결제의 미세분말을 주물사로부터 분리시켜 집진구측으로 배출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에, 점결제의 미세분말을 집진구측으로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위한 임펠러를 회전드럼과는 별도의 장치로서 설치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폐주물사를 상기 회전드럼의 내부로 일정하게 투입시키기 위한 모래분배구조와, 회전드럼에 의한 폐주물사의 재생처리구조 및 재생주물사의 배출구조를 포함하여 상기 임펠러에 의한 외부공기의 송풍구조가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복잡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부피가 대형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은, 임펠러의 회전송풍력에 따른 폐주물사와 연마드럼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고, 폐주물사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임펠러의 회전축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구로 배출되도록 하므로서, 폐주물사의 재생처리속도를 높이면서도 재생된 주물사의 순도를 향상시키고, 폐주물사의 재생처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주물사의 파손을 방지하며,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여 콤펙트화 된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장치는, 원통형상으로 되는 측면틀과, 폐주물사의 투입호퍼와 미세분말의 집진구를 구비하는 상판틀과, 재생주물사의 배출구를 구비하는 하판틀로 이루어지는 케이싱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의 중앙부에는 모터의 구동에 따라 연동회전하는 회전축이 상판틀과 하판틀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하부원판이 날개와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가 회전축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의 중앙부에는 회전축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관과 연통되는 송풍구가 임펠러의 각 날개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와 케이싱의 측면틀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이 임펠러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방법은, 주형이나 주물로부터 분리된 주물사 덩어리를 파쇄하여 폐주물사를 형성시키고, 상기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므로서 폐주물사를 일정한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의 내부에서 연마드럼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임펠러를 회전시키고, 상기 임펠러측으로 폐주물사를 투입시켜 임펠러의 회전송풍력에 따른 폐주물사와 연마드럼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며, 상기 폐주물사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임펠러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의 흡입관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구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주물사 2 : 재생주물사 10 : 케이싱
11 : 측면틀 12 : 상판틀 13 : 하판틀
14 : 투입호퍼 15 : 집진구 16 : 배출구
21 : 모터 22 : 구동풀리 23 : 벨트
24 : 종동풀리 25 : 회전축 25a : 흡입관
25b : 송풍구 26 : 임펠러 26a : 날개
26b : 상부원판 26c : 하부원판 27 : 베어링
31 : 연마드럼 32 : 고정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면에 대한 부호의 설명중 미설명 된 부호 10a 및 10b는 케이싱의 체결을 위한 볼트 및 너트, 32a는 연마드럼의 보강편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되는 측면틀(11)과, 상기 측면틀(11)의 상측에서 측면틀(11)과 일체로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상판틀(12)과, 상기 측면틀(11)의 하측에서 측면틀(11)과 일체로 설치되는 원판 형태의 하판틀(13)로서 주물사 재생장치의 케이싱(10)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상판틀(12)에는 폐주물사(1)가 투입되는 투입호퍼(14)와, 폐주물사(1)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이 배출되는 집진구(15)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의 하판틀(13)에는 재생주물사(2)가 배출되는 배출구(16)가 설치되며, 상기의 집진구(15)는 싸이클론 집진기와 같은 도시되지 아니한 집진장치와 연결되고, 상기의 배출구(16)는 재생주물사(2)의 저장탱크나 분류탱크와 같은 도시되지 아니한 수집장치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중앙부에는 상판틀(12)과 하판틀(13)을 관통하는 회전축(25)이 베어링(27)을 개재시킨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5)의 상단부에는 모터(21)에 결합된 구동풀리(22)와 벨트(23)로서 연결되는 종동풀리(24)가 설치되어, 모터(21)의 구동에 따라 회전축(25)이 연동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한 구동풀리(22)와 종동풀리(24)는 모터(21)의 구동에 따른 회전축(25)의 회전속도를 요구되는 속도에 맞추어 조절할 수 있도록 가변속 풀리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0)의 내부 중앙에는 4~12개 정도의 날개(26a)가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날개(26a)의 상,하측에는 상부원판(26b)과 하부원판(26c)이 날개(26a)와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26)가 회전축(25)상에 설치되어, 모터(21)의 구동에 따른 회전축(25)의 연동회전으로 상기의 임펠러(26)가 케이싱(10)의 내부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임펠러(26)의 상부원판(26b)은 케이싱(10)의 내부로 투입된 폐주물사(1)를 방사상으로 뿌려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케이싱(10)의 상판틀(12)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투입호퍼(14)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26)의 하부원판(26c)은 재생주물사(2)를 배출구(16)측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케이싱(10)의 하판틀(13)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배출구(16)측에 근접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임펠러(26)의 중앙부에는 외부공기의 송풍구(25b)가 임펠러(26)의 각 날개(26a) 사이에 관통 형성되며, 상기의 송풍구(25b)는 회전축(25)의 상면으로부터 회전축(25)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관(25a)이 임펠러(26)측까지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5)의 흡입관(25a)을 통하여 유입된 외부공기가 송풍구(25b)을 통하여 케이싱(10)의 내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임펠러(26)와 케이싱(10)의 측면틀(11)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31)이 임펠러(26)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연마드럼(31)은 케이싱(10)의 측면틀(11)을 관통하여 연마드럼(31)을 가압하는 고정구(32)에 의하여 케이싱(10)의 내부에서 견고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의 연마드럼(31)은 폐주물사(1)와의 충돌과 마찰에 의한 마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산화알루미늄(Al2O3), 탄화규소(SiC), 지르코니아(ZrO2), 질화붕소(BN) 등과 같은 경질입자들이 고밀도로 결합된 연마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의 고정구(32)는 예를 들어, 측면틀(11)을 나사식으로 관통하여 연마드럼(31)을 가압 고정하는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고정구(32)의 선단부와 연마드럼(31)의 사이에는 보강편(32a)을 덧대어 고정구(32)에 의한 연마드럼(31)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장치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폐주물사(1)를 재생처리하는 작용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방법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물사 재생장치의 모터(21)에 전원을 인가하여 모터(21)의 구동에 따른 회전축(25)의 연동회전으로 임펠러(26)가 연마드럼(31)의 내부에서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한 상태에서, 주조에 사용된 주형이나 주물제품으로부터 분리된 주물사 덩어리를 파쇄하여 형성시킨 폐주물사(1)를 케이싱(10)의 상판틀(12)에 설치된 투입호퍼(14)를 통하여 투입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투입호퍼(14)를 통하여 폐주물사(1)를 케이싱(10)의 내부로 투입시키게 되면, 투입된 폐주물사(1)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26)의 상부원판(26b) 상면측으로 투하되고, 이와 같이 투하된 폐주물사(1)는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라 상부원판(26b)면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상부원판(26b)측에 투하된 지점으로부터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흩뿌려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원판(26b)에 의하여 연마드럼(31)의 내주벽으로 뿌려진 폐주물사(1)는 일차적으로 연마드럼(31)과 충돌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폐주물사(1)에 부착된 점결제의 일부가 연마드럼(31)과의 충돌과정에서 폐주물사(1)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되므로서, 연마드럼(31)에 의한 폐주물사(1)의 1차 재생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주물사(1)가 연마드럼(31)에 일차적으로 충돌한 직후에는, 자중에 의하여 케이싱(10)의 하판틀(13)측으로 자유낙하하려는 힘과,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따라 작용하는 임펠러(26)의 강한 회전송풍력에 의하여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타고 회전하려는 원심력이 동시에 폐주물사(1)에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상기의 폐주물사(1)는 케이싱(10)의 하판틀(13)측으로 바로 떨어지지 못하고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회전하면서 하판틀(13)측으로 서서히 하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폐주물사(1)가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타고 나선형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폐주물사(1)는 임펠러(26)의 회전송풍력에 의하여 표면조도가 거칠게 되는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따라 구르는 식으로 회전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1)의 2차 재생처리가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폐주물사(1)에 부착되어 있던 나머지 점결제가 완전히 제거됨과 동시에 점결제가 제거된 재생주물사(2)의 표면이 둥글게 다듬어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임펠러(26)의 고속회전에 따라 케이싱(10)의 내부공기가 집진구(15)와 배출구(16)를 통하여 배출되므로서, 상기 회전축(25)에 형성된 흡입관(25a)을 통하여 케이싱(10)의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이와 같이 유입된 외부공기가 임펠러(26)의 각 날개(26a)사이에 형성된 송풍구(25b)측으로 배출되므로서, 폐주물사(1)를 더욱 효과적으로 연마드럼(31)의 내주벽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구름마찰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마드럼(31)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재생처리된 재생주물사(2)는 케이싱(10)의 하판틀(13) 상면으로 낙하되고, 이와 같이 낙하된 재생주물사(2)는 임펠러(26)의 회전송풍력과 임펠러(26)의 하부원판(26c) 및 상기 송풍구(2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부공기에 의하여 그 흐름이 배출구(16)측으로 유도되므로서, 배출구(16)를 통하여 배출되는 재생주물사(2)를 도시되지 아니한 저장탱크나 분류탱크로 유입시켜 새로운 주물사로 재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의 재생처리 과정을 통하여 폐주물사(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그 무게가 매우 가볍기 때문에, 상기 송풍구(25b)를 통하여 배출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그 흐름이 집진구(15)측으로 유도되어 케이싱(10)의 외부로 배출되며, 이와 같이 배출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집진구(15)와 연결된 도시되지 아니한 집진장치로 수집하여 폐기처분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은, 케이싱(10)의 내부에서 연마드럼(3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26)측으로 폐주물사(1)를 투입시켜,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른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충돌에 의하여 폐주물사(1)를 1차로 재생처리시키고, 폐주물사(1)가 연마드럼(31)의 내주벽을 따라 나선형으로 하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1)를 2차로 재생처리시키므로서, 본 발명의 주물사 재생장치를 이용한 한 번의 처리과정만으로도 폐주물사(1)를 높은 순도를 가지는 재생주물사(2)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라 임펠러(26)의 상부원판(26b)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폐주물사(1)가 회전드럼(31)에 충돌되도록 하므로서, 압축공기에 의하여 폐주물사(1)를 연마편에 직접적으로 분사시키는 종래의 에어분사방식에 비하여 회전드럼(31)의 마모와 주물사의 파손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폐주물사(1)와 회전드럼(31)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한 복합적인 제거방식으로 폐주물사(1)에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에어분사방식에 비하여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라 송풍구(25b)측으로 배출되는 외부공기에 의하여 폐주물사(1)를 더욱 효과적으로 연마드럼(31)의 내주벽부에 밀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서,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구름마찰에 의한 점결제의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결제가 제거된 주물사의 표면까지 둥글게 다듬어주기 때문에 재생된 주물사의 품질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폐주물사(1)를 회전드럼(31)의 내주벽으로 골고루 뿌려주는 폐주물사(1)의 분배처리와, 연마드럼(31)에 의한 폐주물사(1)의 재생처리 및 폐주물사(1)의 재생처리 과정에서 폐주물사(1)로부터 떨어져 나온 점결제 미세분말의 집진처리가 상기 임펠러(26)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조작으로 모두 달성될 수 있으며, 점결제의 미세분말을 집진구(15)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외부공기의 유입통로가 임펠러(26)의 회전축(25)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시켜 콤펙트화 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은, 임펠러의 회전에 따른 폐주물사와 연마드럼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도록 하므로서, 주물사 재생장치를 이용한 한 번의 처리과정만으로도 폐주물사를 높은 순도를 가지는 재생주물사로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폐주물사의 재생처리속도와 재생된 주물사의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에어분사방식에 비하여 회전드럼의 마모와 주물사의 파손이 거의 발생하지 않게 하면서도, 폐주물사와 회전드럼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한 복합적인 제거방식으로 폐주물사에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에어분사방식에 비하여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송풍구로 배출되는 외부공기에 의하여 폐주물사를 더욱 효과적으로 연마드럼에 밀착시키므로서, 폐주물사와 연마드럼과의 구름마찰에 의한 점결제의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점결제가 제거된 주물사의 표면까지 둥글게 다듬어주어 재생된 주물사의 품질 또한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폐주물사의 분배처리와, 폐주물사의 재생처리 및 점결제 미세분말의 집진처리가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하나의 조작으로 모두 달성될 뿐만 아니라, 점결제의 미세분말을 집진구측으로 송풍시키기 위한 외부공기의 유입통로가 임펠러의 회전축 내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한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물사 재생장치의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시켜 콤펙트화 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원통형상으로 되는 측면틀(11)과, 상기 측면틀(11)의 상측에 설치되어 폐주물사(1)의 투입호퍼(14)와 미세분말의 집진구(15)를 구비하는 상판틀(12)과, 상기 측면틀(11)의 하측에 설치되어 재생주물사(2)의 배출구(16)를 구비하는 하판틀(13)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0)이 설치되고, 상기 케이싱(10)의 중앙부에는 모터(21)의 구동에 따라 연동회전하는 회전축(25)이 상판틀(12)과 하판틀(13)을 관통하여 설치된 것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상,하부원판(26b)(26c)이 날개(26a)와 일체로 형성된 임펠러(26)가 회전축(25)상에 설치되고,
    상기 임펠러(26)의 중앙부에는 회전축(25)의 내부를 관통하는 외부공기의 흡입관(25a)과 연통되는 송풍구(25b)가 임펠러(26)의 각 날개(26a) 사이에서 관통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26)와 케이싱(10)의 측면틀(11)의 사이에는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31)이 임펠러(26)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장치.
  2. 주형이나 주물로부터 분리된 주물사 덩어리를 파쇄하여 폐주물사(1)를 형성시키고, 상기 폐주물사(1)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므로서 폐주물사(1)를 일정한 순도를 가지는 주물사로 재생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원통형상의 연마석으로 이루어지는 연마드럼(31)의 내부에서 연마드럼(31)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는 임펠러(26)를 회전시키고,
    상기 임펠러(26)측으로 폐주물사(1)를 투입시켜 임펠러(26)의 회전송풍력에 따른 폐주물사(1)와 연마드럼(31)과의 충돌 및 구름마찰에 의하여 폐주물사(1)의 표면에 부착된 점결제를 제거시키며,
    상기 폐주물사(1)로부터 분리된 점결제의 미세분말은 임펠러(26)의 회전에 따라 회전축(25)의 흡입관(25a)을 통하여 유입되는 외부공기와 함께 집진구(15)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물사 재생방법.
KR10-2001-0065961A 2001-10-25 2001-10-25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KR1004024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961A KR100402412B1 (ko) 2001-10-25 2001-10-25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EP02023521A EP1306146A3 (en) 2001-10-25 2002-10-22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laiming molding sand
JP2002308960A JP2003136185A (ja) 2001-10-25 2002-10-23 鋳物砂の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US10/280,007 US6725899B2 (en) 2001-10-25 2002-10-25 Apparatus for and method of reclaiming molding sand
CNB021558086A CN1184031C (zh) 2001-10-25 2002-10-25 回收利用型砂的方法及其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5961A KR100402412B1 (ko) 2001-10-25 2001-10-25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649U Division KR200260693Y1 (ko) 2001-10-25 2001-10-25 주물사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342A true KR20010106342A (ko) 2001-11-29
KR100402412B1 KR100402412B1 (ko) 2003-11-01

Family

ID=19715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5961A KR100402412B1 (ko) 2001-10-25 2001-10-25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725899B2 (ko)
EP (1) EP1306146A3 (ko)
JP (1) JP2003136185A (ko)
KR (1) KR100402412B1 (ko)
CN (1) CN1184031C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740B1 (ko) * 2005-03-25 2006-09-14 중소기업진흥공단 아크릴레이트를 점결제로 사용하는 폐주물사 재생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5569A1 (de) * 1999-09-23 2001-03-29 Eirich Maschf Gustav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Gießereiformsand und Vorrichtung hierfür
US6651819B2 (en) * 2001-07-06 2003-11-25 General Electric Company Debris removal from fluidized sand bed
CN100444987C (zh) * 2006-12-21 2008-12-24 于彦奇 机械摩擦式树脂砂再生机
KR101173053B1 (ko) 2010-06-30 2012-08-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초음파를 이용한 폐주물사 점결제 박리장치
PL2666562T3 (pl) * 2012-05-25 2014-12-31 Technofond Giessereihilfsmittel Gmbh Urządzenie regeneracyjne
PL223318B1 (pl) * 2012-06-19 2016-10-31 Fabryka Osi Napędowych Skb Spółka Z Ograniczoną Odpowiedzialnością S Mechaniczny regenerator wirnikowy zużytej masy odlewniczej
WO2015074676A1 (de) * 2013-11-25 2015-05-28 Technofond Regenerationsvorrichtung
JP6445334B2 (ja) * 2015-01-14 2018-12-26 旭有機材株式会社 回収鋳物砂の再生方法
JP6445333B2 (ja) * 2015-01-14 2018-12-26 旭有機材株式会社 回収鋳物砂の再生法
CN111889620B (zh) * 2020-08-10 2022-02-08 马鞍山市兴隆铸造有限公司 一种无地坑树脂砂再生加工处理设备
CN112077258B (zh) * 2020-09-10 2021-12-03 三门峡强芯铸造材料有限公司 一种覆膜砂精密铸造废砂再利用处理系统及处理工艺
CN112233527A (zh) * 2020-10-19 2021-01-15 张广君 一种城市规划设计用三维电子沙盘清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60562A (en) * 1974-02-01 1977-01-06 Jacob H Regenerating particulate mould materials
US4436138A (en) * 1980-07-23 1984-03-13 Nippon Chuzo Kabushiki Kaisha Method of and apparatus for reclaiming molding sand
US5062470A (en) * 1988-04-14 1991-11-05 Rikker Leslie D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gaseous material from evaporative pattern casting
DE3873522D1 (de) * 1988-05-26 1992-09-10 Pohl Giessereitech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nieren von giessereialtsanden.
DE4315893A1 (de) * 1992-07-24 1994-11-17 Boenisch Dietma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generieren von Gießereisand
JPH06170486A (ja) * 1992-11-30 1994-06-21 Hitachi Metals Ltd 鋳物砂の再生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CH686411A5 (de) * 1994-06-15 1996-03-29 Fischer Georg Giessereianla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nerierung von Giessereialtsand.
JP3581467B2 (ja) * 1995-12-04 2004-10-27 株式会社清田鋳機 砂研磨装置
JP3991179B2 (ja) * 1998-12-11 2007-10-17 日本鋳造株式会社 鋳物砂再生装置
US6435262B1 (en) * 2001-03-16 2002-08-20 New Ideas, Llc Foundry s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740B1 (ko) * 2005-03-25 2006-09-14 중소기업진흥공단 아크릴레이트를 점결제로 사용하는 폐주물사 재생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031C (zh) 2005-01-12
US6725899B2 (en) 2004-04-27
JP2003136185A (ja) 2003-05-14
US20030079851A1 (en) 2003-05-01
EP1306146A2 (en) 2003-05-02
EP1306146A3 (en) 2004-03-24
KR100402412B1 (ko) 2003-11-01
CN1415442A (zh) 2003-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2412B1 (ko) 주물사 재생장치 및 그 재생방법
JP5506818B2 (ja) 粒体研磨装置、鋳物砂再生装置、および、微粒子生成装置
JP5110984B2 (ja) 再生鋳物砂の製造方法
JP3991179B2 (ja) 鋳物砂再生装置
US5706879A (en) Process for the reclamation of used foundry sand
JP5305805B2 (ja) 再生鋳物砂の製造方法
JP4098413B2 (ja) 砂・粒塊状物の粉砕研磨装置及び鋳物砂の回収再生設備
KR200260693Y1 (ko) 주물사 재생장치
JPH07106543B2 (ja) 粒状物の表面研磨装置
CN206951362U (zh) 自动脱粉制砂机
CN113664727A (zh) 一种具有多级电磁分离装置的高精度打磨设备及控制方法
KR100619431B1 (ko) 주물사 재생장치
JP5000744B2 (ja) 鋳物砂再生装置
US1393092A (en) Method of and means for reclaiming molding-sand
CN206392795U (zh) 一种磨盘式砂粒整形机
KR100305279B1 (ko) 회전마찰식폐주물사재생장치
CN205254027U (zh) 一种复合型旧砂再生机
CN105363998A (zh) 一种复合型旧砂再生机
CN205254026U (zh) 一种旧砂再生用强力除尘机
CN209953270U (zh) 一种带有加热的砂处理设备
CN214185125U (zh) 一种石英砂整形设备
CN212351667U (zh) 一种铸件用抛光装置用抛丸设备
CN216631044U (zh) 一种超硬陶瓷粉体精细球磨装置
CN219052824U (zh) 旧砂再生机
SU772872A1 (ru) Вертикально-подвижна головка трубоформовочного стан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