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4341A -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를 기재로 한 상처 봉합 물질 - Google Patents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를 기재로 한 상처 봉합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4341A
KR20010104341A KR1020017010027A KR20017010027A KR20010104341A KR 20010104341 A KR20010104341 A KR 20010104341A KR 1020017010027 A KR1020017010027 A KR 1020017010027A KR 20017010027 A KR20017010027 A KR 20017010027A KR 20010104341 A KR20010104341 A KR 20010104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methylidene malonate
formula
molecular weight
methylid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브뤼-마니에니꼴
브르똥빠스깔
로끄-까름므끌로드
벨리아르이자벨
Original Assignee
추후등록
비르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등록, 비르솔 filed Critical 추후등록
Publication of KR20010104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4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 A61L24/04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4/06Surgical adhesives or cements; Adhesives for colostomy devic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2/10Esters
    • C08F2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8F251/00 - C08F289/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처 봉합용의 새로운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이 물질은 하기를 함유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을 50 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생체적합성 및 생체접착성 혼합물로 구성된다:
- 하나 이상의 하기 식 (I)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및/또는 하기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고 6,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4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화학식 I]
[식 중,
- A 및 B 는 독립적으로 하기 (a) 또는 (b)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a]
[화학식 b]
(식 중, R1, R2및 n 은 명세서내에 정의된 것과 같다)];
[화학식 II]
(식 중, A 및 B 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다);
- 분자량이 6,000 초과이고 식(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중량%.

Description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를 기재로 한 상처 봉합 물질{SUTURE MATERIAL FOR WOUNDS BASED ON METHYLIDENE MALONATE}
본 명세서 내에서, "봉합 물질" 이란 용어는 접착에 의해, 상처 부위를 접합시키고, 출혈을 멈추며(지혈), 상처난 조직의 치유를 촉진시키는 생체적합성 물질을 말한다.
본 발명은 표피의, 진피 표피의 또는 피하 진피 표피의 상처, 특히 진피 표피 상처의 깨끗한 치료에 주로 적용된다.
의사들이 진피 표피 상처를 치료하는 주요한 4 가지 방법으로는 재흡수가능한 또는 재흡수 불가능한 실(스티치, stitches)에 의한 봉합, 스태플(staple)의 사용, 접착성 스트립(strip)의 사용 또는 피부용 아교의 사용이 있다.
실을 사용한 봉합은 일반적으로 재흡수 불가능한 실의 경우에는 외피 및 표피층을 접합시키는데 사용되거나, 재흡수가능한 실의 경우에는 심층 근육 및 피하층을 접합시키는데 사용된다.
이것은 가장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치료 방법이다.
그러나, 그것은 국소 마취, 멸균 관련된 기구(핀셋, 가위, 니들 홀더...), 치료 후의 간호뿐만 아니라 며칠 후의 스티치의 제거를 요하기 때문에, 비교적 사용하기 어렵다.
이것은 수술 후 기간동안 너무 제한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의사의 사무실 또는 응급 병동에서 외상 후의 치료동안의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또한, 이런 유형의 치료는 환자에게 다소 심리적으로 상처를 주며, 특히 환자가 어린이인 경우에는 빠르고 고통없는 치료가 보장되어야 한다.
실제적으로, 스태플의 사용에는 실로 봉합될 때와 동일한 문제가 상당히 많이 수반된다.
예를 들어 상표명 Steri-Strip으로 알려진 제품과 같은 접착성 스트립의 사용은 거의 고통없이 양성의 상처를 치료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그것의 사용은 기계적 응력이 가해진 것과 같은 몸의 임의 부분의 작은 진피 표피의 외부 상처의(약 1 센티미터) 치료에 제한된다.
지난 몇년간, 다른 접착성의 생체적합성 물질이 상처의 봉합을 위해 개발되어 왔다.
이들 접착성 물질은 일반적으로 "아교"로 불리워지며, 2 개의 범주로 나눌 수 있다:
- 일반적으로 혈장 단백질로부터 합성되는 생물학적 접착물;
- 주로 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만들어지며, 특히 2-옥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2-에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2-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및 2-이소부틸시아노아크릴레이트로 만들어진 합성 접착물.
생물학적 접착물은 응고의 마지막 단계룰 재생시키고 치유 위치 상에 피브로넥틴("접합 단백질")을 제공함으로써 조직에 응혈을 고정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이들 생물학적 접착물은 상처난 조직을 다시 맞물리게 하여 치유 조직이 성장하도록 하기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그러나, 주요한 단점은 바이러스 전염의 잠재적인 위험이다.
합성 접착물은 하기의 이유 때문에 특히 유리하다:
- 그들은 일반적으로 사용 준비가 된(ready-to-use) 형태로 생산된다;
- 그들은 다양한 크기의 상처를 봉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약 1 내지 10 cm);
- 봉합 후 자국의 미적 질이 실 또는 스태플로 봉합되어 생긴 자국과 비슷하거나 더 낫다.
그러나, 시판되어 현재 이용가능한 합성 접착물은 매우 많은 단점을 갖는다.
첫째, 상기 접착물은 일반적으로 액체이고, 단지 표면에만 도포되어 그들의 적용 범위를 넘어서 흘러내리는 경우가 있다.
둘째, 이들 접착물은 일반적으로 잠재적으로 알레르기를 일으키며, 일반적으로 유기체에 유해한 것으로 간주되는 생성물을 형성하여, 유기체 내에서 분해되기가 상당히 어렵다. 이것들은 그들의 가치를 상당히 제한한다.
본 발명은 상처 봉합용의 새로운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물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수적으로 합성이고, 상기 언급된 합성접착물과 동일한 이점을 가지며, 사용하기 쉽고, 독성 생성물을 만들지 않고 유기체 내에서 비교적 쉽게 분해되며, 상해입은 피부의 모든 층에서 상처 내부에 적용될 수 있는, 상처 봉합을 위한 새로운 물질의 제공으로 구성되는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기술적인 문제를 산업적인 규모에서 적용가능한 방법으로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로 만들어진 특정 단량체 및/또는 올리고머 및/또는 중합체 조성물이 상기 목표를 만족하면서 상처의 봉합을 위한 새로운 물질의 창조를 위해, 특히 적용 전 및/또는 후의 생체접착성 및 점도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갖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것이 본 발명의 기초이다.
따라서, 첫번째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를 함유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을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로 함유하는 생체적합성 및 생체접착성 혼합물로 구성되는 상처 봉합용 물질이다:
- 하나 이상의 식 (I)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및/또는 분자량이 6,000 이하이고 하기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4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식 중:
- A 및 B 는 하기 (a) 또는 (b) 기를 독립적으로 나타낸다:
(식 중, R1및 R2는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의 알킬기를 독립적으로 나타내며, n 은 1 내지 5 의 정수이다)];
(식 중, A 및 B 는 상기에서 정의된 것과 같다);
- 분자량이 6,000 초과이며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0 내지 6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중량%.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상기에서 언급된 식 (I) 및 (II)에서:
- A 는 R1이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기를 나타내는 기(a)를 나타내고,
- B 는 R2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 은 1 과 같은 수인 기 (b)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조성물은 하기를 함유하고:
- 분자량이 6,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이고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0 내지 90 중량%,
- 분자량이 6,000 초과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및 상기 언급된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는 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이다.
상기 조성물은 그자체로 새로우며, 본 출원은 그것을 새로운 물질로서 보호하는 것을 또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현재까지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은 하기를 함유한다:
- 분자량이 3,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000이며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5 내지 65 중량%,
- 분자량이 6,00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00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00 내지 25,000 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35 내지 45중량%.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상처 봉합용 물질은 단량체 및/또는 분자량이 6,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인 올리고머로 그 자체가 주로 구성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로 주로 구성된다는 사실을 필수적으로 특징으로 한다.
그러한 조성물의 점성 및 생체 접착성(또는 결합성) 특성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생체적합성 화합물과 혼합물로서 진피 표피 상처의 치료에 사용 가능하게 한다.
특히, 그러한 조성물은 접착동안 어떠한 지속적인 출혈도 없고, 접착 10 일 후에 어떠한 염증성 반응도 없이, 상처 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은 생체 짓무름(bio-erosion)에 의해 분해되고, 유기체에 유해하다고 일반적으로 간주되지 않는 에탄올 및 글리콜산을 방출한다. 글리콜산은 세포 성장 자극제처럼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은 당업자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으며, 임의적으로 각각 제조된 이들 화합물(단량체, 올리고머, 중합체)의 적합한 용매 내에서의 단순한 혼합 및 이어서 용매의 증발에 의해 쉽게 제조될 수 있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단량체는 중합 저해제 (SO2) 를 제거하기 위해 일정한 중량으로 팔렛(pallet) 펌프로 진공 탈기한 후, 본 발명에서 참조로 반영된 특허US 4,931,584 및 US 5,142,098 에 대응하는 특허 EP 0,283,346 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및 중합체는 상기 언급된 단량체로부터 음이온 또는 라디칼 중합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올리고머 및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바람직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경우에, 이들 조성물은 하나의 단일 단계로 또한 얻어질 수 있다. 구성성분의 상대적인 비율은 중합 매질에서 음이온 또는 라디칼 개시제의 농도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당업자는 생체접착성 및 점도의 요구되는 특성을 갖는 상처 봉합용 물질을 얻기 위해,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상기 언급된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해된 것처럼, 물리화학적인 특성은 봉합 물질 내의 모든 성분의 성질에 따라 조절되어야만 한다. 목표는 적합한 점도의 생체접착성 물질을 얻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 외의, 본 발명에 따른 상처 봉합용 물질의 구성성분은 상기 물질의 중량 중 50 중량% 이하를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들 구성성분은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과 함께, 생체접착성 및 점도의 바람직한 특성을 갖는 본질적인 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선택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들이 존재할 때, 이들 구성성분은 봉합 물질의 총 중량에대해 약 1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중량%로 단지 구성된다.
이들 구성성분은 천연 또는 합성 원료로부터 기인하여 다양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체의 예로는, 하기로 만들어진 것이 언급될 것이다:
- 특허 FR n°2,555,589 및 FR n°2,461,724 에 더욱 상세히 기재된 가용성 또는 불용성 치환 관능화된 덱스트란:
-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 폴리알킬메틸아크릴레이트;
- 생체적합성 폴리우레탄;
- 폴리옥시알킬렌;
- 폴리아미노산;
- 폴리락테이트;
-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
- 폴리비닐알콜.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구성성분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혼합물 내에서 가소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폴리옥시알킬렌 계열에 속하는 친수성 첨가물, 또는 폴리(락티드-co-글리콜리드), 혼합물의 생분해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 계열에 속하는 생분해성 첨가물이다.
일반적으로, 이들 구성성분은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과의 혼합물의 형태로 봉합 물질 내에 존재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를 벗어나지 않고, 이들 구성성분은 상기 정의된 대로 식(II)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내의 단량체의 형태로 봉합물질 내에서 또한 발견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해야 한다.
이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공중합체는 당업계에 잘 알려진 전통적인 중합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들 중에서, 음이온 중합, 라디칼 중합, 또는 공중합체의 전구체 서열(이들 서열은 사슬 말단에서 미리 적합하게 관능화되어 왔다)을 결합하는 기술이 언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언급된 구성성분을 형성하는 단량체 단위는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사카리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락테이트 및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의 구성성분 단량체 단위중에서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사카리드의 구성성분 단량체 중에서, 특허 FR n°2,555,589 및 FR n°2,461,724 에 특히 상세하게 설명된 가용성 또는 불용성 치환 관능화된 덱스트란의 구성성분 단량체 단위로 만들어진 것을 특히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의 구성성분 단량체 단위 중에서, 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및 이타코네이트를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공중합체의 단량체 단위 중 50% 이상은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단위로 구성될 것이다.
이들 공중합체는 랜덤할 수 있으며, 또는 블락 또는 그래프트 구조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 물질은,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가소제와 같이 구성성분 중에서 그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는 생체적합성 생성물, 또는 예를 들어 소위 "점착성" 수지와 같이 접착을 증진시키는 생체적합성 생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적합한 가소제 중에서,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아디프산, 아젤산, 시트르산, 올레산, 스테아르산, 세박산으로부터 유도된 에스테르를 언급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내에서 적합한, 적절한 점착성 수지 중에서, 개질된 폴리테르파인 또는 테르파인 수지, 탄화수소 수지, 및 방향족 및 지방족 수지의 혼합물을 언급한다.
본 발명에 따라, 봉합 물질은 구성성분 중에서 하나 이상의 유효 성분을 또한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 스트렙토마이신과 같은 세균발육저해제 및 항생제; 예를 들어 케토프로펜과 같은 진통제 중에서 주로 선택된다.
두번째 관점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 정의된 대로, 표피, 진피 표피, 피하 진피 표피 상처 내에서 상처 봉합용 물질의 충분한 양을 적용하고, 필요하다면 미리 연화 온도 초과의 온도로 예열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피, 진피 표피, 피하 진피 표피 상처용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리 전이 온도가 0 내지 -50 ℃ 사이인 올리고머 및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로 주로 구성되는 바람직한 물질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예열 온도는 35 내지 47 ℃ 의 범위 내에 있다.
이해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봉합 물질은 예를 들어 내부 자체 가열 주입기와 같은 활용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로 패키지될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의해 이제 증명될 것이다.
하기 약자가 이들 실시예에서 사용되었다:
MM 2.1.2 : 하기 식과 같은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1-에톡시카르보닐-1-에톡시카르보닐메틸렌옥시카르보닐 에텐으로도 불림)
PMM 2.1.2 : 하기 식과 같은 반복적 단량체 단위로 구성되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
PEG : 폴리(에틸렌글리콜)
PLGA : 폴리(락티드-co-글리콜리드)
POE : 폴리(옥시에틸렌)
PεCL : 폴리(ε카프로락톤)
DCC :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또한, 이들 실시예에서뿐만 아니라 명세서에서,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PS) 당량의 g/몰로 표시되고, 폴리스티렌 기준 중합체로 표준화된 크로마토그래피 장치로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되는, Mw로 언급되는 중량 평균 분자량을 말한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분당 10℃의 스캔 속도로 미분(differential) 엔탈피 분석에 의해 결정했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상처 봉합용 물질의 제조
A. 실험 절차
올리고머 및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다양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을 하기 절차에 따라, 단량체로부터 용매 매질(아세톤) 내에서 음이온 중합(0.1 N NaOH)으로 제조했다:
- 250 ml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중합 저해제(이산화황)를 제거하기 위해, 5 시간동안 프라이머리(primary) 진공하에 유지되고, 부피 V(ml로 표현)의 아세톤에 용해된 양 m(g으로 표현) 의 단량체를, 10 분동안 자석교반하에 유지했다.
- 그 후, 부피 V'(ml로 표현)의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자석교반하에 한번에 첨가한다.
교반을 15 분간 유지하고, 그 후 염산을 데시몰양으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의부피와 거의 동일한 부피까지 첨가하여(만약 중합이 중단되지 않았다면) 중합을 멈춘다. 아세톤을 진공하에 증발제거하고 수득된 중합체는 증류수로 세정한 후 실리카겔로 건조한다.
대안적으로, 아세톤 내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아세톤 내의 단량체 용액을 첨가함으로써 이들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B. 제조된 조성물의 특성
5 개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된 실험 조건뿐만 아니라 이들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하기 표 I 에 나타낸다.
조성물 번호 m(g)MM2.1.2 아세톤 V(ml) V'(ml)NaOH Tg(℃)
1 1 50 10 -22
2 3 150 30 -20
3 1 50 2.6 -13
4 1 50 2.6 -11
5 3 150 3 -10
조성물 1 의 약 80 중량%는 분자량 3,000(Mw = 약 600) 미만의 올리고머로 구성되고, 약 20 중량% 는 주요 구성 성분이 분자량 10,500을 나타내는 중합체로 구성된다.
조성물 2 의 약 78 중량%는 분자량 3,100 미만의 올리고머로 구성되고, 약 22 중량% 는 주요 구성성분이 분자량 13,000을 나타내는 중합체로 구성된다.
조성물 5 의 약 78 중량%는 분자량 5,100 미만의 올리고머로 구성되고, 약 22 중량% 는 주요 구성성분이 분자량 18,000을 나타내는 중합체로 구성된다.
복강 형성술에 대한 수술 폐기물로부터 얻어진 인간 피부의 피부판(flap)에서 수행된 연구는 이들 조성물 모두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다른 생체적합성 구성성분과 함께 봉합 물질로서 사용될 때, 특히 생체접착성 및 점도의 관점에서 요구되는 모든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게 하였다.
특히, 상기 언듭된 5 개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접착력은 결합된 상처 및 결합 스트립된 상처 사이에서 어떤 차이도 나타내지 않으면서, 24 시간후에도 안정한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소량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의 적용 후 상처의 양면을 수동으로 접합시켰을 때 만족스러운 접착력을 나타내기에 충분한 것이 발견되었다.
최고의 결과는 조성물 1 로부터 얻어졌다.
그러한 조성물을 단독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 이들 조성물이 상처 내에서 적용전에 너무 빨리 경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 전이 온도는 0℃ 미만이어야 한다.
유리하게는, 이 유리 전이 온도는 -10 내지 -35℃, 및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일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상처 봉합용 물질의 제조
A/ 실험 절차
올리고머 및 중합체의 혼합물로부터 형성되고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가 성분이 혼입된 다른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은 이들 성분을 적절한 용매에서 단순히 혼합하여 제조되었다.
더욱 상세하게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및 임의적으로 하나의 부가 성분을 미리 결정된 양으로 중량하고, 자석 교반하에 공통적인 용매(일반적으로 아세톤)에 용해하고, 그 후 용매를 회전식 증발기를 사용하여 증발시키고, 혼합물을 프라이머리 진공 데시케이터에서 건조한다.
B/제조된 조성물의 특성
제조된 조성물의 주요한 특성이 아래의 표 IA에 나타나있다.
조성물 6 및 7 은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2.1.2 올리고머 및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2.1.2 중합체로만 구성된다.
조성물 8 및 9 는 PEG 형태이고 혼합물에서 가소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저분자량을 갖는 친수성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한다.
조성물 10 및 11 은 혼합물의 생분해성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PLGA 유형의 생분해성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한다.
사용된 PLGA는 하기의 특징을 갖는다;
Mw = 50,000-70,000; Tg = 45-50 ℃ (Aldrich 43,044-7)
조성물 11 은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2.1.2 단량체로 만들어진 부분을 추가적으로 함유하며, 상기 단량체는 세개의 다른 성분으로 구성된 아세톤 내의 혼합물에 차가운 상태로 첨가된다.
조성물 12 및 13 은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2.1.2 를 기재로 하고 다른 성분과 매우 양호한 친화성을 가지며, 상처의 접착 저항성을 개선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는 양쪽친매성 첨가물을 추가적으로 함유한다.
이 양쪽친매성 첨가물은 250 에틸렌 옥시드 단위 및 43 MM 2.1.2 단위를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며, 에틸렌 옥시드에 이어 MM 2.1.2의 연속 음이온 중합으로 제조된다.
조성물 14 는 혼합물과 양호한 친화성을 갖는 PMM 2.1.2 PεCL의 공중합체이며, 상기 혼합물의 전체적인 생분해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생분해성 서열을 갖는 MM 2.1.2.를 기재로 추가적인 생분해성 첨가물을 함유한다.
이 첨가물은 디클로로메탄 내의 DCC 의 존재하에 모두의 단일 공중합체인 α-히드록시 관능화된 PMM2.1.2 및 α-카르복시 관능화된 PεCL 사이에서 화학적 결합에 의해 제조된 5,800 g/mole 의 PMM2.1.2 서열 및 2,000 g/mole 의 PεCL의 서열을 갖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실시예 2
상처 봉합용 물질에서 필수적인 구성성분으로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가치 증명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의 접착력이 기니 피그(guinea pig)에서 진피 표피 상처상의 생체 내 연구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22℃의 유리 전이 온도를 갖는 상기에서 언급된 조성물 1 로 실시되었고, 참조 시스템(재흡수 불가능한 실로 봉합)과 비교했다.
하기 절차가 사용되었다.
사용된 동물은 모든 바이러스, 박테리아, 진균 및 기생충 질병이 없는 250-300 g 중량의 수컷 Hartley 기니 피그(Charles River, France)(n=10)였다.
모든 기니 피그는 P 3,000 토끼장(IFFA CREDO, France)에서 3 일의 풍토 순화 후 먼저 털을 깎았다.
그들 중 다섯 마리를 랜덤하게 선택하여 하기를 수행했다:
a- 두번째 털을 깎는 동안 Betadine을 발포시켜 소독(최종 밀접 면도),
b- 3 l.min-1의 산소 흐름(ACOMA VAPORIZER, 일본)과 Halothane(3%)으로 3 분간 일반적인 마취,
c- 노란 Betadine 으로 두번째 보충 소독,
d- No.15의 멸균 외과용 칼(Swann-Morton, 영국)로, 약 1 cm 길이의 진피 표피 척추인접 절개. 활경근을 해부상 배치를 위한 참고로 사용했다.
e- 상처의 한쪽 끝으로부터 다른쪽 끝으로 하나의 느린 움직임으로 상처 내부에서 테스트 조성물의 즉각적인 적용. 조성물을 47 ℃로 설정된 가열 판 상의 유리 접시에서 예열했다. 온도는 물을 함유한 대조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측정되었다. 절개 후 즉시, 적용을 위해 미세한 화학자용 압설기(폭 3 mm 및 두께 1 mm)를 사용하여 접시에 테스트 조성물을 놓았다,
f- 상처의 2 면을 손가락으로 30 초간 접합시킨다. 표면의 과량의 테스트 조성물을 압박 붕대로 제거했다,
g- 3 개의 접착 스트립(Steri-strip)을 둔다.
랜덤하게 선택된 나머지 5 마리의 기니 피그는 대조구를 형성한다. 그들을 절개하고 이어서 봉합했다.
외과적 절차는 단계 e 후에, 각각의 기니 피그를 13 mm 단면의, P3 굴곡 바늘이 구비된 단일한 실 Prolene Bleu 4/0으로 봉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와 동일하다.
절개의 봉합은 하기와 같이 수행되었다:
- 기니 피그 6 : 2 스티치,
- 기니 피그 7 : 2 스티치,
- 기니 피그 8 : 3 스티치,
- 기니 피그 9 : 2 스티치,
- 기니 피그 10 : 3 스티치.
수술 후, 각각의 기니 피그를 그들의 우리에 돌려놓고, 수술 후 5 분 이내에 깨어났으며, 그리고나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도록 했다.
상처는 매일 노란 Betadine으로 국소적으로 소독되었다. 상처는 T = 1d; T = 3 d 및 T = 10 d 에 사진찍었다.
6 일 후, 일반적인 마취하에 스티치를 제거했다.
상처의 미적 질은 블라인드(blind) 조건하에서 활동중인 응급 내과의에 의해 시각적 유사 척도로 봉합을 모니터링하여 평가하였다. 두 그룹 사이의 결과는 T=10 d(유효 구간은 5% 로 정했다)에서 Mann 및 Whitney 비변수 일방향 테스트를 사용하여 비교되었다.
"접착" 그룹에서는 11 일 후 및 "봉합" 그룹에서는 12 일 후 Phenobarbital 용액을 기니 피그의 내부 복막에 주입하여 기니 피그를 희생시켰다.
2 번의 생체 절개 검사가 기니 피그마다 수행되었다: 건강한 피부 대조구 및 상처를 포함하는 하나의 포괄면.
해부 병리 분석을 위해 대기하는 동안 10% 포르말린 용액에 샘플을 두었다.
하기 결과가 얻어졌다.
수술의 전체 시간은 각각의 그룹에서 처음과 끝 기니 피그 사이가 1 시간이었다.
몇가지 관찰이 발견되었다:
a- T=1 d에서, 기니 피그 6 은 그것의 3개의 실이 자연적으로 없어졌고, 기니 피그 8 및 10 은 T=5 d 에서 한개의 스티치가 자연적으로 없어졌다.
접착 그룹(조성물 1)에서 모든 기니 피그의 접착 스트립은 24 시간 후 자연적으로 떨어졌다,
b- 어떤 국소적 또는 일반적 감염도 관찰되지 않았다,
c- 보지 않는 상태의 촉각적인 관점에서, 중합체 상의 상처는 실로 된 상처와는 반대로 부드럽고 거칠지 않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d- T=10 d에서 각각의 상처의 미적 질이 시각적 유사 척도(0-200)로 블라인드 조건하에 평가되고 수득된 결과가 하기 표II에 얻어졌다.
기니 피그n=5 조성물 1(점수) 기니 피그n=5 실로 봉합(점수)
1 125 6 141
2 190 7 121
3 196 8 180
4 168 9 90
5 179 10 80
중간 179 p=0.0476 121
최소 125 80
최대 196 180
10 일째 되는 날 스티치를 제거한 후, 상처의 미적 질의 시각적 유사 척도를통계적 분석은, 봉합 실보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조성물이 유리하다는 것이 통계적 유의값(p=0.0476)으로 나타났다.
연구 중에 두 그룹에서 어떤 감염도 없었다.
동일한 생체 실험이 조성물 6,8,9,10,11,12,13 및 14 에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 절차는 상기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하고, 절개의 봉합은 대조구의 각 기니 피그에 대해 3 스티치로 수행되었다.
표 III 에 보고된 결과는 T=21 d 에서의 상처의 미적 질에 관한 것이며, 시각적 유사 척도(0-200)의 도움으로 블라인드 조건에서 평가되었다.
이들 결과의 통계적인 분석은 실로 봉합된 것보다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조성물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통계적 유의값(p=0.0005)에서 나타났다.
실로 된 상처는 항상 "사다리 가로대"(ladder rung)의 양상으로 처리된다.
해부 병리 연구가 수행되었다:
- 한편으로는, 폴리메틸리덴 말로네이트의 분해 생성물에서 기인한 임의의 염증성 위험을 증명하기 위해,
- 다른 한편으로는, 사용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조성물의 생체재용해성 성질을 조절하기 위해.
얻어진 결과는 조직학적 관점에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조성물의 거동이 완전히 만족스러움을 증명한다.

Claims (12)

  1. 하기를 함유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을 5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중량% 이상으로 함유하는 생체적합성 및 생체접착성 혼합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처 봉합용 물질:
    - 하나 이상의 하기 식 (I) 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및/또는 분자량이 6,000 이하이고 하기 식 (II) 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40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중량%
    [화학식 I]
    [식 중,
    - A 및 B 는 독립적으로 하기 (a) 또는 (b)기를 나타낸다;
    [화학식 a]
    [화학식 b]
    (식 중, R1및 R2는 1 내지 6 개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독립적으로 나타내며, n 은 1 내지 5 사이의 정수이다)];
    [화학식 II]
    (식 중, A 및 B 는 상기와 같이 정의된다);
    - 분자량이 6,000 초과이고 식(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0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중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식 (I) 및 (II) 에서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물질:
    - A 는 R1이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기를 나타내는 기 (a)를 나타내고,
    - B 는 R2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에틸기를 나타내고, n 은 1 인 기 (b)를 나타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식 (I) 및 (II) 에서 하기를 특징으로 하는 물질:
    - A 는 R1이 에틸기를 나타내는 기 (a)를 나타내고;
    - B 는 R2가 에틸기이고, n 이 1 인 기 (b)를 나타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이 하기를 함유하고, 상기 물질의 유리 전이 온도가 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분자량이 6,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이며,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0 내지 90 중량%,
    - 분자량이 6,000 초과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이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분자량이 3,000 이하이고 식 (II) 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5 내지 65 중량%,
    - 분자량이 6,00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00 초과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35 내지 45 중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이 하기를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분자량이 300 내지 1,000 이고, 식 (II) 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5 내지 65 중량%,
    - 분자량이 12,000 내지 25,000 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35 내지 45 중량%.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중량% 이상의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질은 5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하의 하기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이외의 하나 이상의 구성성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바람직하게는 폴리알킬시아노아크릴레이트;
    - 폴리알킬메타크릴레이트;
    - 생체적합성 폴리우레탄;
    - 폴리옥시알킬렌;
    - 폴리아미노산;
    - 폴리락테이트;
    -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
    - 폴리비닐알콜.
  9.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언급된 구성성분은 상기 언급된 식 (II)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단위와 공중합체 내에서 연관된 단량체의 형태로 존재하며, 특히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사카리드, 폴리옥시알킬렌, 폴리락테이트 및 폴리락테이트-co-글리콜레이트의 단량체 단위 구성성분의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10. 하기를 함유하는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조성물 90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이상으로 구성되고, 유리 전이 온도가 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새로운 물질:
    - 분자량이 6,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이고,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0 내지 90 중량%,
    - 분자량이 6,000 초과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10 내지 50 중량%.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이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분자량이 3,000 이하이고, 식(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5 내지 65 중량%,
    - 분자량이 6,000 초과, 바람직하게는 9,000 초과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35 내지 45 중량%.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기재 조성물이 하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 분자량이 300 내지 1,000 이고, 식 (II)의 반복 단위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올리고머 55 내지 65 중량%,
    - 분자량이 12,000 내지 25,000 인 하나 이상의 메틸리덴 말로네이트 중합체 35 내지 45 중량%.
KR1020017010027A 1999-02-09 2000-02-09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를 기재로 한 상처 봉합 물질 KR200101043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9/01485 1999-02-09
FR9901485A FR2789314B1 (fr) 1999-02-09 1999-02-09 Materiau de suture de plaies a base de methylidene malonate
PCT/FR2000/000305 WO2000047242A1 (fr) 1999-02-09 2000-02-09 Materiau de suture de plaies a base de methylidene malonat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4341A true KR20010104341A (ko) 2001-11-24

Family

ID=954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027A KR20010104341A (ko) 1999-02-09 2000-02-09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를 기재로 한 상처 봉합 물질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1) US6610078B1 (ko)
EP (1) EP1150723B1 (ko)
JP (1) JP4863550B2 (ko)
KR (1) KR20010104341A (ko)
CN (2) CN1559622A (ko)
AR (1) AR022549A1 (ko)
AT (1) ATE223739T1 (ko)
AU (1) AU767823B2 (ko)
BR (1) BR0008091A (ko)
CA (1) CA2361628A1 (ko)
CZ (1) CZ20012896A3 (ko)
DE (1) DE60000437D1 (ko)
DK (1) DK1150723T3 (ko)
ES (1) ES2183782T3 (ko)
FR (1) FR2789314B1 (ko)
HU (1) HUP0200330A2 (ko)
PL (1) PL350244A1 (ko)
PT (1) PT1150723E (ko)
RU (1) RU2241494C2 (ko)
SK (1) SK10772001A3 (ko)
TW (1) TW492883B (ko)
WO (1) WO2000047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1747B1 (en) 1993-05-03 2001-06-05 Quill Medical, Inc. Barbed Bodily tissue connector
US8795332B2 (en) 2002-09-30 2014-08-05 Ethicon, Inc. Barbed sutures
US5931855A (en) 1997-05-21 1999-08-03 Frank Hoffma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FR2774096B1 (fr) * 1998-01-29 2000-04-07 Virsol Nouveaux copolymeres tensioactifs a base de methylidene malonate
FR2812551B1 (fr) * 2000-08-07 2003-03-28 Virsol Forme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materiau support a base de methylidene malonate et un facteur de regulation cellulaire
US7056331B2 (en) 2001-06-29 2006-06-06 Quill Medical, Inc. Suture method
US6848152B2 (en) 2001-08-31 2005-02-01 Quill Medical, Inc. Method of forming barbs on a suture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US6773450B2 (en) 2002-08-09 2004-08-10 Quill Medical, Inc. Suture anchor and method
US8100940B2 (en) 2002-09-30 2012-01-24 Quill Medical, Inc. Barb configurations for barbed sutures
US20040088003A1 (en) 2002-09-30 2004-05-06 Leung Jeffrey C. Barbed suture in combination with surgical needle
US7624487B2 (en) 2003-05-13 2009-12-01 Quill Medica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barbs on a suture
ES2638301T3 (es) 2004-05-14 2017-10-19 Ethicon Llc Dispositivos de sutura
JP2007100108A (ja) * 2007-01-22 2007-04-19 Dainippon Ink & Chem Inc 硬化性樹脂組成物
US20080255612A1 (en) 2007-04-13 2008-10-16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ystems for surgical procedures
ES2488406T3 (es) 2007-09-27 2014-08-27 Ethicon Llc Suturas de auto-retención que incluyen elementos de retención a tejido con resistencia mejorada
US8916077B1 (en) 2007-12-19 2014-12-23 Ethicon, Inc. Self-retaining sutures with retainers formed from molten material
WO2009086172A2 (en) 2007-12-19 2009-07-09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utures with heat-contact mediated retainers
US8118834B1 (en) 2007-12-20 2012-02-21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Composite self-retaining sutures and method
EP2242430B1 (en) 2008-01-30 2016-08-17 Ethicon,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lf-retaining sutures
US8615856B1 (en) 2008-01-30 2013-12-31 Ethicon,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elf-retaining sutures
EP3533399A3 (en) 2008-02-21 2019-10-23 Ethicon LLC Method for elevating retainers on self-retaining sutures
US8216273B1 (en) 2008-02-25 2012-07-10 Ethicon, Inc. Self-retainers with supporting structures on a suture
US8641732B1 (en) 2008-02-26 2014-02-04 Ethicon, Inc. Self-retaining suture with variable dimension filament and method
CA2720847C (en) 2008-04-15 2016-06-28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Self-retaining sutures with bi-directional retainers or uni-directional retainers
SG196767A1 (en) 2008-11-03 2014-02-13 Ethicon Llc Length of self-retaining suture and method and device for using the same
US8106234B2 (en) * 2009-05-07 2012-01-31 OptMed, Inc Methylidene malonate process
US8993795B2 (en) 2009-05-07 2015-03-31 Optmed Inc Methylidene malonate process
WO2011090628A2 (en) 2009-12-29 2011-07-28 Angiotech Pharmaceuticals, Inc. Bidirectional self-retaining sutures with laser-marked and/or non-laser marked indicia and methods
NZ603886A (en) 2010-05-04 2014-12-24 Ethicon Llc Self-retaining systems having laser-cut retainers
BR112012031606B1 (pt) 2010-06-11 2020-11-10 Ethicon Llc distribuidor de sutura
US9249265B1 (en) 2014-09-08 2016-02-02 Sirrus, Inc. Emulsion polymers including one or more 1,1-disubstituted alkene compounds, emulsion methods, and polymer compositions
EP2630116B1 (en) 2010-10-20 2017-09-27 Sirrus, Inc. Synthesis of methylene malonates using rapid recovery in the presence of a heat transfer agent
US10414839B2 (en) 2010-10-20 2019-09-17 Sirrus, Inc. Polymers including a methylene beta-ketoester and products formed therefrom
US9279022B1 (en) 2014-09-08 2016-03-08 Sirrus, Inc. Solution polymers including one or more 1,1-disubstituted alkene compounds, solution polymerization methods, and polymer compositions
US9828324B2 (en) 2010-10-20 2017-11-28 Sirrus, Inc. Methylene beta-diketone monomers, methods for making methylene beta-diketone monomers, polymerizable compositions and products formed therefrom
RU2608237C2 (ru) 2010-11-03 2017-01-17 ЭТИКОН ЭлЭлСи Самоудерживающиеся шовные материалы, выделяющие лекарственные средства, и относящиеся к ним методы
NZ704802A (en) 2010-11-09 2015-12-24 Ethicon Llc Emergency self-retaining sutures and packaging
AU2012230716B2 (en) 2011-03-23 2016-05-19 Ethicon Llc Self-retaining variable loop sutures
US20130172931A1 (en) 2011-06-06 2013-07-04 Jeffrey M. Gross Methods and devices for soft palate tissue elevation procedures
EP2768897B1 (en) 2011-10-19 2019-01-23 Sirrus, Inc. Methods for making methylene beta-diketone monomers
CA2869112A1 (en) 2012-03-30 2013-10-03 Bioformix Inc. Composite and laminate articles and polymerizable systems for producing the same
CA2869108A1 (en) 2012-03-30 2013-10-03 Bioformix Inc. Methods for activating polymerizable compositions, polymerizable systems, and products formed thereby
EP2831185B1 (en) 2012-03-30 2019-09-25 Sirrus, Inc. Ink and coating formulations and polymerizable systems for producing the same
WO2013181600A2 (en) 2012-06-01 2013-12-05 Bioformix Inc. Optical material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WO2014078689A1 (en) 2012-11-16 2014-05-22 Bioformix Inc. Plastics bonding systems and methods
EP3712928A1 (en) 2012-11-30 2020-09-23 Sirrus, Inc. Composite compositions for electronics applications
WO2014110388A1 (en) 2013-01-11 2014-07-17 Bioformix Inc. Method to obtain methylene malonate via bis(hydroxymethyl) malonate pathway
US9416091B1 (en) 2015-02-04 2016-08-16 Sirrus, Inc. Catalytic transesterification of ester compounds with groups reactive under transesterification conditions
US9315597B2 (en) 2014-09-08 2016-04-19 Sirru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1,1-disubstituted alkene compounds for preparing polymers having enhanc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US10501400B2 (en) 2015-02-04 2019-12-10 Sirrus, Inc. Heterogeneous catalytic transesterification of ester compounds with groups reactive under transesterification conditions
US9334430B1 (en) 2015-05-29 2016-05-10 Sirrus, Inc. Encapsulated polymerization initiators, polymeriz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the same
US9217098B1 (en) 2015-06-01 2015-12-22 Sirrus, Inc. Electroinitiated polymerization of compositions having a 1,1-disubstituted alkene compound
WO2016205605A1 (en) * 2015-06-19 2016-12-22 Sirrus, Inc. Compositions containing 1,1-disubstituted alkene compounds for preparing polymers having enhance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s
EP3124509A1 (en) 2015-07-31 2017-02-01 Afinitica Technologies, S. L. Fast light curing cyanoacrylate compositions
US9518001B1 (en) 2016-05-13 2016-12-13 Sirrus, Inc. High purity 1,1-dicarbonyl substituted-1-alkenes and methods for their preparation
US10196481B2 (en) 2016-06-03 2019-02-05 Sirrus, Inc. Polymer and other compounds functionalized with terminal 1,1-disubstituted alkene monomer(s) and methods thereof
US9567475B1 (en) 2016-06-03 2017-02-14 Sirrus, Inc. Coatings containing polyester macromers containing 1,1-dicarbonyl-substituted 1 alkenes
US9617377B1 (en) 2016-06-03 2017-04-11 Sirrus, Inc. Polyester macromers containing 1,1-dicarbonyl-substituted 1 alkenes
US10428177B2 (en) 2016-06-03 2019-10-01 Sirrus, Inc. Water absorbing or water soluble polymers, intermediate compounds, and methods thereof
JP2020521837A (ja) 2017-06-02 2020-07-27 アルケマ フランス 硬化性組成物及びその使用
CN114127220B (zh) 2019-07-19 2024-01-19 阿科玛法国公司 可用于获得非致敏性的固化产品的可固化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4669A (en) * 1993-03-31 1997-04-29 Tri-Point Medical Corporation Method of hemostatic sealing of blood vessels and internal organs
US5328687A (en) * 1993-03-31 1994-07-12 Tri-Point Medical L.P. Biocompatible monomer and polymer compositions
AU690303B2 (en) * 1994-06-28 1998-04-23 Closure Medical Corporation Ph-modified biocompatible monomer and polymer compositions
FR2722411B1 (fr) * 1994-07-18 1996-10-04 Union Pharma Scient Appl Immunonanoparticules revetues d'anticorps monoclonaux anti-beta2 microglobuline et leur utilisation pour la prophylaxie et/ou le traitement de pathologies dues a une infection par le virus hiv
US5550172A (en) * 1995-02-07 1996-08-27 Ethicon, Inc. Utilization of biocompatible adhesive/sealant materials for securing surgical devices
DE19508049C2 (de) * 1995-02-23 1997-02-06 Schering Ag Verwendung von Methylenmalondiesterderivaten zur Herstellung von gasenthaltenden Mikropartikeln
FR2755136B1 (fr) * 1996-10-25 1999-01-22 Virsol Procede de preparation de nanoparticules de methylidene malonate, nanoparticules contenant eventuellement une ou plusieurs molecules biologiquement actives et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s conten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50244A1 (en) 2002-12-02
CN1339974A (zh) 2002-03-13
DK1150723T3 (da) 2003-01-20
CZ20012896A3 (cs) 2002-01-16
FR2789314B1 (fr) 2001-04-27
BR0008091A (pt) 2001-11-13
AR022549A1 (es) 2002-09-04
JP2002536124A (ja) 2002-10-29
US6610078B1 (en) 2003-08-26
RU2241494C2 (ru) 2004-12-10
CA2361628A1 (en) 2000-08-17
ES2183782T3 (es) 2003-04-01
DE60000437D1 (de) 2002-10-17
HUP0200330A2 (en) 2002-06-29
WO2000047242A1 (fr) 2000-08-17
EP1150723A1 (fr) 2001-11-07
CN1559622A (zh) 2005-01-05
SK10772001A3 (sk) 2001-12-03
ATE223739T1 (de) 2002-09-15
FR2789314A1 (fr) 2000-08-11
JP4863550B2 (ja) 2012-01-25
EP1150723B1 (fr) 2002-09-11
AU767823B2 (en) 2003-11-27
AU2554300A (en) 2000-08-29
TW492883B (en) 2002-07-01
PT1150723E (pt) 200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4341A (ko) 메틸리덴 말로네이트를 기재로 한 상처 봉합 물질
Bal-Ozturk et al. Tissue adhesives: From research to clinical translation
JP3107514B2 (ja) ヒドロゲル形成性で自己溶媒和性の吸収性ポリエステルコポリマー、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EP0804257B1 (en) Self-supporting sheet-like material of cross-linked fibrin for preventing post operative adhesions
US5085861A (en) Bioerodable implant composition comprising crosslinked biodegradable polyesters
US4843112A (en) Bioerodable implant composition
DE60020330T2 (de) Eiweissschaum klebstoff zur chirurgischen und/oder therapeutischen verwendung
Jain et al. Recent developments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surgical glues: An overview
DE69929278T2 (de) Hydrogelbildende, selbst-solvatisierende, absorbierbare Polyestercopolymere sowie Verfahren zu deren Verwendung
JP3412039B2 (ja) 外科用接着剤組成物
US8535709B2 (en) Agents for controlling biological fluid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10227564A (ja) 低膨潤性生体適合性ヒドロゲル
JP2010227563A (ja) 低膨潤性生体適合性ヒドロゲル
JP2008212683A (ja) 低膨潤性生体適合性ヒドロゲル
JP2002514235A (ja) カーボネートまたはジオキサノン結合を含む重合可能な生体分解性のポリマー
JP2010520799A (ja) 組織癒着防止のためのシステム、方法、および組成物
CA2817405A1 (en) Medical absorbable hemostatic material for bone wound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CN115400260B (zh) 一种含重组人源化胶原蛋白的修复凝胶及其制备方法
CN115768497A (zh) 抗粘连聚合物组合物
JP2008543922A (ja) 生体吸収性ヒドロゲル
WO2019231763A1 (en) Tissue adhesives and sealants using naturally derived aldehydes
JP2583173B2 (ja) 創傷被覆材
MXPA01008028A (en) Suture material for wounds based on methylidene malonate
Neiman et al. Closure of Long Surgical Incisions with Hemostatic Tissue Adhesive in a Porcine Skin Model
Majeed et al. Wound Healing Adhes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