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850A -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850A
KR20010103850A KR1020000022280A KR20000022280A KR20010103850A KR 20010103850 A KR20010103850 A KR 20010103850A KR 1020000022280 A KR1020000022280 A KR 1020000022280A KR 20000022280 A KR20000022280 A KR 20000022280A KR 20010103850 A KR20010103850 A KR 2001010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rting
vehicle
engine
generato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호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2000002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850A/ko
Publication of KR2001010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850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59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specially adapted to the type of the starter motor or integrated into 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2200/00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 F02N2200/06Parameters used for control of starting apparatus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power supply or driving circuits for the starter
    • F02N2200/061Battery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타팅스위치(S1)의 양단을 각각 보조릴레이(RL)와 발전기(G)의 충전램프(L)에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엔진시동후 발전기(G)가 가동되면, 트리오다이오드(D)의 출력단인 13번선에 전압이 발생하여 3번과 4번선이 동전위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보조릴레이(RL)에 구동전류가 흐르지 못하여 스타팅모터(M)가 시동상태에서 재기동되지 않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an engine restart protecting system of a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시동계와 배터리 충전계에 추가부품의 적용없이 간단한 회로구성의 변경을 통하여 시동완료후 스타팅모터가 기동되지 않도록 된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엔진은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4행정을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운전이 이루어지는데, 이 중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는 행정은 폭발행정 뿐이므로 정지상태의 엔진을 시동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엔진을 회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엔진의 링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을 갖춘 별도의 스타팅모터를 설치하고, 이 스타팅모터를 배터리에 연결하며, 스티어링컬럼상에 설치된 키이박스에 스타팅스위치를 설치하여 운전자의 키이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타팅스위치가 on/off됨으로써 스타팅모터의 기동을 통해 엔진이 시동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엔진이 정상적으로 시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자가 이를 모르고(버스와 같이 엔진이 뒤쪽에 설치된 대형차량의 경우 이러한 오조작이 빈번히 발생한다.) 다시 키이를 스타트위치로 돌려 재시동조작을 실시하거나 키이를 스타트위치에서 유지하고 있을 경우, 상기 스타팅모터의 피니언이 회전하고 있는 엔진의 링기어에 연결되면서 파손이 발생되고, 또한 특성상 장기회전에 적합치 않은 스타팅모터가 오래 회전되므로 스타팅모터 자체의 파손도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스타팅모터와 스타팅스위치의 사이에 설치되는 보조릴레이의 내부에, 엔진회전수나 발전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엔진시동후 정상작동됨이 확인되면 상기 보조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스타팅모터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별도의 전자회로를 추가로 설치하여 엔진시동후 스타팅모터의 재기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재시동 방지장치를 적용하였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보조릴레이에 별도의 전자회로를 추가하는 것은 추가비용이 소요되므로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스타팅스위치의 회로구성을 변경하여 회로상의 전압구배를 이용함으로써 보조릴레이의작동을 제어하여 엔진시동후 스타팅모터의 재기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자동차의 시동계와 충전계의 회로구성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스타팅스위치, RL : 보조릴레이,
M : 스타팅모터, B : 배터리,
G : 발전기, RG :레귤레이터,
L : 충전램프, 1,2,3,4,7,8,9,10,11,12,13 : 회로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타팅스위치와 보조릴레이 및 배터리에서 전력을 공급받는 스타팅모터로 이루어진 시동계 및 배터리에 발생전기를 공급하는 발전기와 레귤레이터 및 충전램프로 이루어진 충전계의 회로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스위치가 충전램프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자동차의 시동계와 충전계의 회로구성도로서, 본 발명은 스타팅스위치(S1)에 보조릴레이(RL)가 연결되고, 이 보조릴레이(RL)에 스타팅모터(M)가 연결되며, 이 스타팅모터(M)는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이 배터리(B)에 직류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발전기(G)가 연결되고, 이 발전기(G)에는 발생전압조정을 위한 레귤레이터(RG)와 충전상태표시를 위한 충전램프(L)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동계와 충전계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스위치(S1)의 일단이 상기 충전램프(L)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기존의 시동계와 충전계의 회로에서 스타팅스위치(S1)의 한쪽선이 보조릴레이(RL)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선이 충전램프(L)에 연결된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키이를 스타트위치로 돌려 스타팅스위치(S1)가 연결되면, 전류는 회로상의 1→ 2→ 3→ 4→ 11→ 12→ 7→ 8→ 9→ 10번 선으로 흐르게 되며, 이때 상기 보조릴레이(RL)가 스타팅모터(M)를 작동시켜 엔진이 시동된다.
이와 같이 엔진이 시동되면 상기 발전기(G)가 작동하여 전기가 발생되고, 이때 트리오다이오드(D)의 출력단인 13번 선에 전압이 발생되므로, 스타팅스위치(S1)의 양단이 각각 보조릴레이(RL)의 3번선과 충전램프(L)의 4번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상기 3번선과 4번선이 동전위(同電位)상태가 됨으로써 보조릴레이(RL)에 구동전류가 흐르지 못하므로 off되면서 스타팅모터(M)가 기동을 멈추고 더 이상 작동하지 않게 된다.
즉, 시동후에는 스타팅스위치(S1)를 아무리 조작하여도 스타팅모터(M)의 피니언이 엔진의 링기어쪽으로 전진되지 않으므로 피니언과 링기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스타팅모터(M)가 엔진측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고속회전됨으로써 고장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미설명부호 S2는 키이스위치로서 스타팅스위치(S1)이 연결될때는 항상 연결되어 단순도선의 역할을 하며, SC와 FC는 발전기(G)의 스테이터코일과 필드코일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또는 발전기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보조릴레이를 제어함으로써 스타팅모터의 재기동을 방지하도록 된 전자회로를 추가설치하지 않고도, 엔진시동후 스타팅모터의 재기동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전자회로의 적용폐지로 인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스타팅스위치(S1)에 보조릴레이(RL)가 연결되고, 이 보조릴레이(RL)에 스타팅모터(M)가 연결되며, 이 스타팅모터(M)는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한편, 이 배터리(B)에 직류전기를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발전기(G)가 연결되고, 이 발전기(G)에는 발생전압조절을 위한 레귤레이터(RG)와 충전상태표시를 위한 충전램프(L)가 구비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동계와 충전계에 있어서,
    상기 스타팅스위치(S1)의 일단이 상기 충전램프(L)에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1020000022280A 2000-04-26 2000-04-26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200101038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280A KR20010103850A (ko) 2000-04-26 2000-04-26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2280A KR20010103850A (ko) 2000-04-26 2000-04-26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850A true KR20010103850A (ko) 2001-11-24

Family

ID=45811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280A KR20010103850A (ko) 2000-04-26 2000-04-26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85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29500B2 (ja) 電圧給電装置
KR101225307B1 (ko) 엔진 시동 장치, 저항 단락 장치
KR20020026372A (ko) 엔진용 시동기 장치
JP4799641B2 (ja) エンジン始動装置
EP1630413B1 (en) Method for minimizing generator load 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10014060A (ko) 차량용 교류 발전기의 제어 장치
KR20010103850A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100215659B1 (ko) 차량의 에어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214959B1 (ko) 연료펌프 구동 릴레이회로
JPH04132877A (ja) 自動二輪車の始動装置
KR200266245Y1 (ko) 스타트모터소손방지장치
JPS6123656Y2 (ko)
JP3307080B2 (ja) 内燃機関用燃料ポンプ制御装置
KR20130096782A (ko) 차량 시동 전용 장치
KR19990041153U (ko) 차량의 재시동 방지 장치
KR100192913B1 (ko) 자동차의 키스위치 리턴 시스템
KR100283320B1 (ko) 차량의 스타트 불량방지 회로
JPS585407A (ja) 排ガス駆動装置
KR980008592U (ko) 배터리 방전시 비상용 점화장치
KR19990012039A (ko)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19990012038A (ko)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970021720A (ko) 차량의 축전기 방전시 비상 시동장치 및 방법
KR19980045883U (ko) 자동차의 시동 모터 보호 장치
KR19990004073A (ko) 전기자동차의 전압센서를 이용한 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