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039A -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039A
KR19990012039A KR1019970035311A KR19970035311A KR19990012039A KR 19990012039 A KR19990012039 A KR 19990012039A KR 1019970035311 A KR1019970035311 A KR 1019970035311A KR 19970035311 A KR19970035311 A KR 19970035311A KR 19990012039 A KR19990012039 A KR 199900120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witch
relay
starting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3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039A/ko
Publication of KR19990012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039A/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동스위치(1)의 시동위치(ST)와 제 1릴레이(2)의 제 1코일부(2a)사이에 제 2릴레이스위치(10a)가 연결되고 충전경고등(4)과 발전기(5)사이에 제 2코일부(10b)가 연결된 제 2릴레이가 구성되어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시동키이를 돌려도 시동용 모터(3)가 무단으로 작동되는 않도록 하여 시동용 모터(3)의 망실을 방지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다시 시동키이를 돌렸을 때에 시동용 모터의 작동을 방지하는 시동 제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장착된 시동용 모터는 시동장치의 하나로서, 자동차용 엔진이 자력(自力)으로는 시동되지 않으므로 엔진의 실린더안에서 최초의 폭발연소를 일으켜 엔진을 기동시키려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으로 크랭크샤프트를 돌려주어야 하며, 이 일을 하는 것이 시동장치의 시동용 모터이다.
시동용 모터는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직류전동기를 사용하며, 시동용 모터의 회전력을 엔진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갖춘 것이 대부분이다.
종래에 자동차의 시동을 걸기위하여, 운전석의 전면에 장착된 조향핸들의 일측에 부착된 시동용 키이홀더를 통해 시동키이로 시동을 걸 수 있었다.
즉, 자동차용 배터리와 시동용 모터로부터 각각의 접점이 키이홀더에 접속되어 있어 시동용 키이홀더에 시동키이를 삽입하고 일정방향으로 돌리면 접점이 온되고, 접점을 통해 자동차용 배터리의 전원이 시동용 모터로 공급되어 모터가 기동을 시작하며, 기동된 시동용 모터는 엔진을 초기구동시키는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엔진의 초기점화를 일으킨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첨부한 제 1도의 자동차의 시동장치를 도시한 전기배선도에서, 자동차용 배터리(B+)는 각종의 기기 및 장치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고, 시동스위치(1)는 상기 배터리(B+)에 연결되어 시동을 걸기위한 것으로 운전석 전면의 스티어링휠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릴레이(1)에는 배터리(B+)와 릴레이스위치(2a)가 연결되고 시동스위치(1)와 코일부(2b)가 연결되어 배터리(B+)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것이고, 시동용 모터(3)는 상기 시동스위치(1) 및 릴레이(2)에 연결되어 배터리(B+)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엔진을 시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발전기(5)는 엔진의 구동력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B+)를 충전시키는 것이고, 충전경고등(4)은 시동스위치(1)와 발전기(5)사이에 연결되어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또, 배터리(B+)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전기(7)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점화코일(6) 및 점화모듈(8)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시동장치는 시동키이를 시동스위치(1)인 시동용 키이홀더에 삽입한 다음에 점화위치(IGN)에서 시동위치(ST)로 돌리면, 배터리(B+)로부터 전원이 시동위치(ST)를 거쳐 릴레이(2)의 코일부(2b)로 인가되어 코일부(2b)를 자화시킨다. 자화된 코일부(2b)는 릴레이스위치(2a)를 온상태로 전환시키고, 전환된 릴레이스위치(2a)를 통해 배터리(B+)의 전원이 시동용 모터(3)로 공급된다. 따라서, 시동용 모터(3)가 자동차용 배터리(B+)로부터 공급된 전원으로 회전하면서 엔진의 시동을 걸어준다. 시동이 걸린 후에 시동키이를 놓으면, 시동키이는 점화위치(IGN)로 되돌아 온다. 시동스위치(1)가 점화위치에 있으면, 발전기(5)는 엔진의 회전력으로 발전이 되어 배터리(B+)를 충전시킨다. 이때, 시동스위치(1)와 발전기(5)사이에 연결된 충전경고등(4)이 점등되어 충전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동용 모터(3)가 구동된 후에 시동스위치(1)의 점화위치(IGN)를 통해 배터리(B+)의 전원이 점화코일(6)로 인가되어 배전압이 된 상태에서 배전기(7)로 공급되고, 배전기에 연결된 점화플러그는 점화모듈(8)의 작동에 따라 순차적 또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불꽃을 발생시켜 준다. 이로써 엔진은 정상적인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엔진의 시동이 걸린 상태나 자동차의 운행중에 운전자의 부주의나 탑승자(특히, 어린이)의 오조작으로 시동키이를 돌리면, 시동용 모터가 동력전달기구를 통해 다시금 시동을 걸게 되어 이미 작동중인 엔진 및 시동용 모터에 과부하를 주게 된다.
따라서, 시동용 모터는 과도한 소음을 발생하거나 과열상태가 되어 망실되는 하나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자동차의 최초 시동시에도 시동키이를 너무 오랫동안 작동시키는 경우에도 시동용 모터에 무리를 주게 되어 시동용 모터의 망실로 재시동이 되지 않는 등 자동차의 운행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자동차가 이미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는 시동키이를 돌려도 시동용 모터에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이 공급되지 않도록 시동 제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동용 모터가 불필요하게 작동하는 것을 배제하여 시동용 모터의 망실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관한 전기배선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제한장치의 전기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시동스위치 2: 제 1릴레이
3: 시동용 모터 4: 충전경고등
5: 발전기 6: 점화코일
7: 배전기 10: 제 2릴레이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종의 기기 및 장치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시동을 걸기위한 시동스위치와, 배터리와 릴레이스위치가 연결되고 시동스위치와 코일부가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릴레이와, 상기 시동스위치 및 릴레이에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용 모터와, 엔진의 구동력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발전기와, 시동스위치와 발전기사이에 연결되어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경고등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전기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점화코일 및 점화모듈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스위치와 코일부사이에 제 2릴레이스위치가 연결되고 충전경고등과 발전기사이에 제 2코일부가 연결된 제 2릴레이가 구성되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재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한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시동 제한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의 전기배선도이다.
제 2릴레이(10)는 시동스위치(1)의 점화위치(IGN)와 제 1릴레이(2)의 제 1코일부(2b)사이에 연결된 제 2릴레이스위치(10a)와, 충전경고등(4) 및 발전기(5)의 사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 제 2코일부(10b)로 구성된다. 제 2릴레이(10)의 제 2코일부(10b)의 자화여부에 따라 제 2릴레이스위치(10a)는 온 또는 오프상태가 된다. 즉, 상기 제 2릴레이(10)의 제 2릴레이스위치(10a)는 항시 온상태를 유지하다가 제 2코일부(10b)의 자장에 의해 오프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관한 작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자동차를 초기에 시동시킬 때에는 제 2릴레이(10)의 제 2릴레이스위치(10a)가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시동스위치(1)가 점화위치(IGN)에서 시동위치(ST)로 전환되었을 때에 배터리(B+)로부터 인가된 전원이 제 2릴레이(10)의 제 2릴레이스위치(10a)를 거쳐 제 1릴레이(2)의 제 1코일부(2b)에 걸려 시동용 모터(3)를 기동시킨다. 시동용 모터(3)가 기동되면 엔진이 구동되어 시동이 걸린 상태가 된다.
시동용 모터(3)가 기동상태가 되었을 때에 운전자는 시동스위치(1)에서 손을 떼면 시동스위치(1)는 시동위치(ST)에서 점화위치(IGN)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때에는 시동스위치(1)의 시동위치(ST)에 연결된 제 1릴레이(2)의 제 1코일부(2b)는 자장을 잃게 되어 제 1릴레이스위치(2a)를 오프시키므로 더 이상 시동용 모터(3)에는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지 못한다.
그러나 시동스위치(1)가 시동위치(ST)에서 점화위치(IGN)로 절환되었을 때에는 배터리(B+)의 전원이 점화위치(IGN)를 거쳐 충전경고등(4) 및 점화코일(6)에 각각 걸리게 된다. 충전경고등(4)에 인가된 배터리(B+)의 전원은 발전기(5)를 거쳐 도통상태가 되고, 또 제 2릴레이(10)의 제 2코일부(10b)로 인가된다. 제 2코일부(10b)로 인가된 배터리(B+)의 전원에 의해 제 2코일부(10b)는 자화되어 제 2릴레이스위치(10a)를 오프시킨다. 즉, 온상태의 제 2릴레이스위치(10a)는 제 2코일부(10b)의 자장에 의해 오프상태가 되고, 이는 자동차의 시동이 꺼질 때까지 유지된다.
따라서, 시동스위치(1)의 시동위치(ST)와 제 1릴레이(2)의 제 1코일부(2b)에 연결된 제 1릴레이의 제 1릴레이스위치(2a)가 오프상태에서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시동스위치(1)를 오조작시켜 시동위치(ST)로 돌려도 시동용 모터(3)에는 배터리(B+)의 전원이 인가되지 않아 시동용 모터(3)가 무단으로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망실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시동 제한장치로, 시동스위치와 시동용 모터사이에 제 2릴레이를 구성하여, 자동차가 시동이 걸려 엔진이 회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시동스위치를 작동시켜도 배터리의 전원이 시동용 모터에 공급되지 않아 시동용 모터를 구동시키지 않으므로, 제 1릴레이를 통해 전달되었던 자동차용 배터리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는 시동 제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엔진으로의 동력전달기구에 무리를 주지 않으며, 시동용 모터의 망실을 방지할 수 있어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증대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각종의 기기 및 장치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자동차용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에 연결되어 시동을 걸기위한 시동스위치와, 배터리와 릴레이스위치가 연결되고 시동스위치와 코일부가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스위칭시키는 릴레이와, 상기 시동스위치 및 릴레이에 연결되어 배터리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용 모터와, 엔진의 구동력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발전기와, 시동스위치와 발전기사이에 연결되어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충전경고등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으로 배전기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점화코일 및 점화모듈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동스위치와 코일부사이에 제 2릴레이스위치가 연결되고 충전경고등과 발전기사이에 제 2코일부가 연결된 제 2릴레이가 구성되어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재시동이 걸리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1019970035311A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199900120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311A KR19990012039A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311A KR19990012039A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039A true KR19990012039A (ko) 1999-02-25

Family

ID=66040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311A KR19990012039A (ko) 1997-07-26 1997-07-26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0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645A (ko) * 2020-12-25 2023-03-14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KR20230035646A (ko) * 2020-12-25 2023-03-14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645A (ko) * 2020-12-25 2023-03-14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엔진의 시동 제어 장치
KR20230035646A (ko) * 2020-12-25 2023-03-14 미츠비시 쥬코 메이키 엔진 가부시키가이샤 엔진 시동용 배터리의 보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812726A (pt) Máquina elétrica
KR19990012039A (ko)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19990012038A (ko) 자동차의 시동 제한장치
KR200162085Y1 (ko) 자동차 엔진 시동장치용 기동모터의 자동전원 차단장치
KR200246563Y1 (ko) 차량용예열플러그작동시엔진시동방지장치
KR0134318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고장시 자동 경고 장치
KR0123540Y1 (ko) 자동차의 시동제한장치
KR200147321Y1 (ko) 자동차의 초기 시동장치
KR0129040Y1 (ko) 차량의 엔진 기동장치
KR0128346Y1 (ko) 자동차의 점화회로
KR970027790A (ko) 상용차량의 시동 안전 장치
KR0134519B1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조향장치
KR0114130Y1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960041695A (ko) 자동차의 중복시동 방지장치
KR960001475A (ko) 자동차의 스타트 모터 보호장치
KR200144383Y1 (ko) 엔진 시동후 스타팅 모터 기동방지 장치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JP3580835B2 (ja) 車両の外部表示灯点灯システム
KR0123539Y1 (ko) 자동차의 시동제한장치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19980010360U (ko) 자동차 스타터 소손방지장치
KR19980044519U (ko) 자동차 기동장치의 기동전동기 보호장치
KR19990003206U (ko) 차량의 오시동 방지장치
KR970045312A (ko) 자동차 재시동 방지 장치
KR20050007046A (ko) 자동차용 시동모터의 오버런 방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