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4130Y1 -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4130Y1
KR0114130Y1 KR2019940022268U KR19940022268U KR0114130Y1 KR 0114130 Y1 KR0114130 Y1 KR 0114130Y1 KR 2019940022268 U KR2019940022268 U KR 2019940022268U KR 19940022268 U KR19940022268 U KR 19940022268U KR 0114130 Y1 KR0114130 Y1 KR 01141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vehicle
alternator
voltme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22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8483U (ko
Inventor
홍영철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400222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4130Y1/ko
Publication of KR9600084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84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41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41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10Safety devices
    • F02N11/101Safety devices for preventing engine starter actuation or eng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 F02N11/087Details of the switching means in starting circuits, e.g. relays or electronic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시동키로 재시동을 걸 때에 시동모터에 가해지는 밧데리 전원에 의해 시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교류발전기(20)에서 밧데리(3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계(40)와, 상기 전압계(40)로 부터 감지된 전압이 가변저항(VR1)을 통해 설정된 전압을 비교기(IC1)로 부터 비교하여 설정된 전압보다 크면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50)과, 상기 비교수단(50)의 출력신호로 스위칭 기능을 갖는 스위칭 수단(60)와, 상기 스위칭 수단(60)의 출력신호가 코일(L1)에 걸려 차단스위치(SW1)를 오프시키는 차단 릴레이(70)와, 상기 차단 릴레이(70)의 차단스위치(SW1)의 한 접점에 접속되고 시동모터(90)를 구동시키는 시동스위치(80)를 구비하여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제 1도는 일반적인 차량의 시동시 시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계통도.
제 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재시동 방지장치의 전기배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전압체 50 : 비교수단
60 : 스위칭 수단 70 : 차단 릴레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시동키이로 재시동을 걸 때에 시동모터에 가해지는 밧데리 전원에 의한 시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엔진은 자력(自力)으로 시동할 수 없으므로 실린더안에서 최초로 폭발연소를 일으켜 엔진을 회전시키려면, 외부의 힘으로 크랭크 샤프트를 돌려주어야 하며, 이 일을 하는 것이 시동장치이다.
자동차용 엔진에는 밧데리를 전원으로 하는 직류모터를 사용하며, 모터의 회전력을 엔진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를 갖춘 것을 시동모터라 한다. 여기서 시동장치는 밧데리, 시동스위치 및 시동모터와 이를 접속하는 배선으로 구성된다.
종래의 경우에 첨부한 제 1도와 같이, 운전자가 시동키이(1)를 시동스위치(2)에 삽입한 다음 시동키이(1)을 II단 위치까지 돌리면 밧데리(3) 전원이 공급되고, ON 위치까지 돌리면 밧데리(3) 전원이 시동모터(4)를 구동시켜 엔진(5)을 시동시킨다. 이때 이 엔진(5)이 시동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키이(1)를 놓으면 시동스위치(2)내의 스프링의 작용력에 의해 작동키이(1)는 II단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시동모터(4)로 공급되던 밧데리(3) 전원은 차단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량이 시동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시동키이(1)로 시동스위치(2)를 재시동 시키면, 작동중인 엔진(5)에 시동모터(4)의 구동력이 가해져 시동모터(4)에 역부하가 걸려 손상을 입을 수 있다. 따라서 시동모터(4)에 가해진 손상으로 시동모터(4)는 망실되거나 시동모터(4)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엔진의 작동중에는 교류발전기로부터 밧데리로 충전전압이 공급되므로, 교류발전기에서 밧데리로 전압이 걸리면 전압계에서 충전전압을 감지하여 비교수단으로 출력하고, 비교수단에서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스위칭 수단을 통해 차단 릴레이의 차단스위치를 오프시켜, 시동스위치로 공급되는 밧데리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시동모터가 구동되지 않도록 하여 그 구동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위한 본 고안은 시동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으로 밧데리로부터 출력되는 일정 전원을 시동모터에 인가함으로서 엔진이 구동되며, 이 엔진의 구동으로 출력되는 충전전압을 밧데리로 공급하는 교류발전기가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교류발전기와 밧데리의 사이에 접속되어 그 교류발전기에서 출력되는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계와, 이 전압계로부터 감지된 전압이 저항(R1)을 통해 비반전단자(+)에 공급되고 그 반전단자(-)에 가변저항(VR1)을 통해 설정된 전압이 공급되어 두 전압차를 비교 출력하는 비교수단과, 이 비교수단의 출력단에 에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D1)와, 이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이 베이스단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단에 저항(R2)를 매개로 일정전원이 접속된 트랜지스터(TR1)로 이루어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트랜지스터(TR1)와 저항(R2) 사이에 접속되어 그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정전원(Vcc)을 인가받는 코일(L1)과, 이 코일(L1)에 일정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밧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그 일측이 시동스위치에 접속된 오프되는 차단스위치(SW1)으로 이루어진 차단릴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 2도에서, 시동스위치(80)의 시동 조작에 의해 밧데리(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시동모터(90)와, 이 시동모터(90)의 구동에 따른 엔진(10)의 동작으로 일정한 충전전압을 밧데리(30)로 공급하는 교류발전기(20)와, 이 교류발전기(20)에서 밧데리(30)로 공급되는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계(40)와, 이 전압계(40)로부터 감지된 전압을 가변저항(VR1)을 통해 설정된 전압과 비교후 그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수단(50)과, 이 비교수단(50)의 출력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는 스위칭 수단(60)와, 이 스위칭 수단(60)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접점 동작하는 차단 릴레이(7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차단 릴레이(70)의 한 접점에는 시동스위치(80)가 접속된다. 또한 상기 비교수단(50)은 전류계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저항(R1)을 매개로 비반전단자(+)에 접속되며, 일정전원(Vcc)이 가변저항(VR1)을 매개로 반전단자(-)에 접속된 비교기(IC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60)은 비교기(IC1)의 출력측 에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D1)와, 이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이 베이스단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단에 소정의 전원(Vcc)이 저항(R2)를 통해 접속된 트랜지스터(TR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차단릴레이(70)는 상기 트랜지스터(RT1)의 콜렉터단과 저항(R2)의 사이에 접속되어 그 일측이 접지된 코일(L1)과, 이 코일(L1)에 전류가 유도됨에 따라 스위칭 되는 차단스위치(SW1)로 이루어진다.
한편,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 재시동 방지장치에 관하여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보통 차량이 시동이 걸린 상태는 엔진(10)이 가동된 상태로 그 엔진(10)의 작동이 크랭크축과 풀리를 작동시켜 교류발전기(20)에 걸린다. 이때 교류발전기(20)의 계자코일에 흐르는 전압은 미 도시된 전압조정기에 의해 제어되며, 이 전압조정기에 의해 교류발전기(20)의 출력전압이 제어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전압조정기를 거친 전압은 밧데리(30)에 충전되고, 교류발전기(20)와 밧데리(30)의 사이에 전압계(40)가 접속되어 있어 교류발전기(20)에서 밧데리(30)로 충전되는 전압이 입력되는데 이때 이 전압계(4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은 저항(R1)을 거쳐 비교기(IC1)의 비반전단자(+)에 걸린다.
그리고 이 비교기(IC1)의 반전단자(-)에는 가변저항(VR1)을 통한 일정한 전압(Vcc)가 걸리므로 결국 비교기(IC1)의 출력측에는 두 전압의 차가 출력되는 것이다. 즉, 상기 비교기(IC1)의 반전단자(-)에 설정된 기준 전압이 전압계(40)로부터의 입력되는 전압을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전압계(40)에서 감지된 전압이 크면 비교기(IC1)이 출력은 하이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 비교기(IC1)에서 출력된 신호는 스위칭 수단(60)의 다이오드(D1)를 거쳐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 단자에 걸려 트랜지스터(TR1)를 턴온시킨다. 트랜지스터(TR1)의 컬렉터단에 접속된 차단 릴레이(70)의 코일(L1)에 전류가 흘러 차단스위치(SW1)를 오프시킨다.
따라서 운전자가 부주의로 차량의 시동스위치(80)를 돌려도 밧데리(30) 전원이 시동스위치(80)를 통해 시동모터(90)에 걸리지 않는다. 그러므로 엔진(10)의 가동중에 시동무터(9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시동모터(9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엔진(10)이 작동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교류발전기(20)가 작동되지 않아 전압계(40)에는 전압이 걸리지 않는다. 따라서, 비교수단(50)의 비교기(IC1)의 출력은 로우상태이므로 차단 릴레이(70)의 차단스위치(SW1)는 온 상태가 되고, 시동 스위치(80)로 시동을 걸면 시동모터(90)에 밧데리(30) 전원이 걸려 엔진(10)을 시동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엔진(10)에 시동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재시동을 시도하더라도 차단릴레이(70)의 차단스위치(SW1)가 오프되어 있으므로 밧데리(30)가 시동모터(90)에 공급되지 않아 시동모터(9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시동모터(90)의 수명단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동스위치(80)의 스위칭 동작으로 밧데리(30)로부터 출력되는 일정전원을 시동모터(90)에 인가함으로서 엔진(10)이 구동되며, 이 엔진(10)의 구동으로 출력되는 충전전압을 밧데리(30)로 공급하는 교류발전기(20)가 구비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교류발전기(20)와 밧데리(30)의 사이에 접속되어 그 교류발전기(20)에서 출력되는 충전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계(40)와, 이 전압계(40)로부터 감지된 전압이 저항(R1)을 통해 비반전단자(+)에 공급되고 그 반전단자(-)에 가변저항(VR1)을 통해 설정된 전압이 공급되어 두 전압차를 비교 출력하는 비교수단(50)과,
    이 비교수단(50)의 출력단에 에노드단이 접속된 다이오드(D1)와, 이 다이오드(D1)의 캐소드단이 베이스단에 접속되고 그 콜렉터단에 저항(R2)를 매개로 일정전원이 접속된 트랜지스터(TR1)로 이루어져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는 스위칭 수단(60)과, 상기 스위칭 수단(60)의 트랜지스터(TR1)와 저항(R2)사이에 접속되어 그 스위칭 동작에 따라 일정전원(Vcc)을 인가받는 코일(L1)에 일정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밧데리(30)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그 일측이 시동스위치(80)에 접속되어 오프되는 차단스위치(SW1)으로 이루어진 차단릴레이(7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2019940022268U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01141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268U KR0114130Y1 (ko)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2268U KR0114130Y1 (ko)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83U KR960008483U (ko) 1996-03-15
KR0114130Y1 true KR0114130Y1 (ko) 1998-04-13

Family

ID=19392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2268U KR0114130Y1 (ko) 1994-08-31 1994-08-31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413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475A (ko) * 2001-10-23 2003-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동 모터의 오버런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8483U (ko) 199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46723A1 (en)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batteryless vehicle, for reducing and controlling loads such as electrical components upon its start-up
JP3502250B2 (ja) スタータ保護装置
JPS6159050B2 (ko)
KR0114130Y1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장치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100357575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점프장치
KR19980015188U (ko)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KR200150244Y1 (ko) 엔진 시동장치
KR200178370Y1 (ko) 자동차의 전원 공급장치
KR200289720Y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0133235B1 (ko) 자동차의 과방전 방지장치
KR100208155B1 (ko) 배터리 자동 충전장치
KR0180130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전류제한회로
KR200144286Y1 (ko) 자동차의 스타터 모터 과회전 방지회로
JPH0946919A (ja) バッテリアイソレータ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KR200295193Y1 (ko) 축전지경고장치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19990027285A (ko) 자동차의 재시동 방지 장치
JPS6230480Y2 (ko)
KR0134318Y1 (ko) 자동차의 알터네이터 고장시 자동 경고 장치
JPH0723575Y2 (ja) 車両用スタータ保護装置
KR0184546B1 (ko) 자동차용 보조 전원장치
KR19990041153U (ko) 차량의 재시동 방지 장치
KR970021720A (ko) 차량의 축전기 방전시 비상 시동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