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5188U -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5188U
KR19980015188U KR2019960028398U KR19960028398U KR19980015188U KR 19980015188 U KR19980015188 U KR 19980015188U KR 2019960028398 U KR2019960028398 U KR 2019960028398U KR 19960028398 U KR19960028398 U KR 19960028398U KR 19980015188 U KR19980015188 U KR 199800151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ternator
voltage
control device
overvoltage
voltag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38531Y1 (ko
Inventor
이영철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2019960028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531Y1/ko
Publication of KR199800151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518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1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 H02J7/141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dynamo-electric generators driven at varying speed, e.g. on vehicle with a generator driven by a prime mover other than the motor of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적 부하로 인하여 과전압이 발생되는 경우 과전압 흡수용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이용하여 상기 과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전압조정기 내의 파워 트랜지스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여자코일(2)을 구비한 교류발전기(1), 상기 교류발전기(1)의 초기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7),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6), 발전유무를 표시하는 충전램프(5) 및 상기 교류발전기(1)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조정기(3)를 포함하는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L 단자와 E 단자간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기적 부하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과전압을 흡수하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C4)로 구성된 전압조정기 보호부(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도 1은 종래의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류발전기2 : 여자코일
3 : 전압조정기4 : 파워 트랜지스터부
5 : 충전램프6 : 점화 스위치
7 : 배터리8 : 전압조정기 보호부
본 고안은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외부의 전기적 부하로 인하여 과전압이 발생되는 경우 과전압 흡수용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이용하여 상기 과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전압조정기 내의 파워 트랜지스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기동장치 및 점화장치의 전장품을 비롯하여 램프류나 에어컨디셔너 등과 같은 각종 전기적 부하가 구비되어 있고, 이들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구동시키고 있으며, 전기적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는 배터리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는 전원을 충전하지 않고 계속 사용하게 되면, 충전되어 있던 전원이 서서히 방전되어 더 이상 전원을 공급할 수 없게 되므로 차량에는 발전기가 구비되어, 엔진의 구동시 발전기를 함께 구동시켜 전기적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면서 배터리에 전원을 충전시키고 있다.
상기 발전기는 벨트로 엔진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것으로서 발전기의 발전량은 엔진의 회전수에 따라 상이하게 되고, 또한 여자코일로 흐르는 전류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그리고 발전기의 발전량이 전기적 부하량 즉, 전기적 부하에서 사용되는 전기량보다 적을 경우에는 배터리의 전원이 방전되면서 공급하게 되고, 발전량이 부하량보다 많을 경우에는 발전기의 발전 전원이 모든 전기장치에 공급됨과 아울러 남는 전기량은 배터리에 충전된다.
이때, 배터리의 충전전압이 배터리의 정격전압 이상으로 배터리에 과전압이 충전되면 배터리가 손상될 뿐만 아니라 전기장치에도 과전압이 인가되어 손상되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발전기에 전압조정기가 구비되어 있어 발전기의 발전량을 검출하고, 검출한 발전량에 따라 발전기의 여자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제어하여 발전량을 조절 즉, 발전기의 발전량이 많을 경우에 여자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감소시켜 발전량을 줄이고, 발전량이 적을 경우에 여자코일로 흐르는 전류를 증가시켜 발전량을 증가시킴으로써 배터리에 항상 정격 전원이 충전되고, 전기장치에는 항상 정격 전압이 공급되게 하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초기에 L 단자 측으로 충전램프(5)를 통해 여자코일(2)로 전류가 흐르고, 이어 전압조정기(3)의 파워 트랜지스터부(4)를 통해 흘러 교류발전기(1)가 자화되어 발전준비를 한다.
그리고 나서, 교류발전기(1)가 회전하면서 교류발전기(1)에서 발전이 시작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L 단자를 통해 각종 릴레이를 부착하여 외부의 전기적 부하를 사용함에 따라 상기 전기적 부하로부터 과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전압조정기 내부의 파워 트랜지스터부의 트랜지스터가 파손되어 전압 조정 기능을 상실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발전기에서 과전압이 발생되거나 또는 발전이 되지 않아 배터리나 차량의 전기장치가 손상을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제너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이용하여 릴레이에서 발생되는 과전압을 흡수함으로써 파워 트랜지스터의 파손을 방지하여 전압조정기를 보호하도록 한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는, L 단자와 E 단자간에 외부의 과전압을 흡수하기 위한 제너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부착하고, 이 제너 다이오드와 콘덴서를 통해 외부의 과전압을 흡수함으로써 파워 트랜지스터의 손상은 물론 전압조정기의 기능 상실을 회복하여 교류발전기의 안전한 동작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의 회로도이다. 여기서, 도 1과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같은 도면부호를 주어 설명한다.
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여자코일(2)을 구비한 교류발전기(1)와, 상기 교류발전기(1)의 초기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7)와,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6)와, 발전유무를 표시하는 충전램프(5)와, 상기 교류발전기(1)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조정기(3)와, 외부의 전기적 부하 인가시 과전압을 흡수하여 상기 전압조정기(3)를 보호하기 위한 전압조정기 보호부(8)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조정기 보호부(8)는 L 단자와 E 단자간에 접속된 제너 다이오드(ZD2)와 이에 병렬로 접속된 콘덴서(C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점화 스위치(6)를 온하면 L 단자 측으로 충전램프(5)와 파워 트랜지스터부(4)의 트랜지스터(Q3,Q4)를 통해 여자코일(2)로 여자전류가 흐르고, 이에 따라 교류발전기(1)가 발전하기 시작한다.
상기 발전이 시작되면 차량에서는 상기 L 단자를 통해 각종 릴레이를 부착하여 전기적 부하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전기적 부하의 사용으로 과전압이 발생하게 되면, 전압 보호부(8)의 제너 다이오드(ZD2)와 콘덴서(C4)를 통해 상기 과전압이 흡수되어 전압조정기(3)의 파워 트랜지스터부(4)에 인가되는 과전압이 제거되게 된다.
따라서, 제너 다이오드(ZD2)와 콘덴서(C4)를 통해 릴레이에서 발생된 과전압을 흡수함으로써 전압 조정기의 파워 트랜지스터부(4)의 손상을 방지하여 전압 조정기의 파손을 막을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제너 다이오드(ZD2)와 콘덴서(C4)를 이용하여 전기적 부하의 과전압을 제거함으로써 전압 조정기의 파손을 방지하여 내구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교류발전기의 안정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Claims (1)

  1. 여자코일(2)을 구비한 교류발전기(1), 상기 교류발전기(1)의 초기 구동전압을 제공하는 배터리(7), 차량의 엔진을 구동시키기 위한 점화 스위치(6), 발전유무를 표시하는 충전램프(5) 및 상기 교류발전기(1)의 발전전압을 제어하는 전압조정기(3)를 포함하는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에 있어서,
    L 단자와 E 단자간에 접속되어 외부의 전기적 부하의 사용으로 발생되는 과전압을 흡수하는 제너 다이오드(ZD2)와 이에 병렬 접속된 콘덴서(C4)로 구성된 전압조정기 보호부(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KR2019960028398U 1996-09-06 1996-09-06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KR01385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98U KR0138531Y1 (ko) 1996-09-06 1996-09-06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398U KR0138531Y1 (ko) 1996-09-06 1996-09-06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5188U true KR19980015188U (ko) 1998-06-25
KR0138531Y1 KR0138531Y1 (ko) 1999-05-15

Family

ID=19466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398U KR0138531Y1 (ko) 1996-09-06 1996-09-06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531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879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전 시스템의 과전압 방지회로
KR20030018871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전 시스템의 과전압 방지회로
KR20030037932A (ko) * 2001-11-07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레귤레이터의 개선 회로
KR100427893B1 (ko) * 2002-04-19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레귤레이터의 개선 회로
KR20050097322A (ko) * 2004-04-01 2005-10-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발전기의 전자파 노이즈 차단장치
KR20160108680A (ko) * 2015-03-05 2016-09-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879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전 시스템의 과전압 방지회로
KR20030018871A (ko) * 2001-08-31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충전 시스템의 과전압 방지회로
KR20030037932A (ko) * 2001-11-07 2003-05-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레귤레이터의 개선 회로
KR100427893B1 (ko) * 2002-04-19 2004-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버스용 레귤레이터의 개선 회로
KR20050097322A (ko) * 2004-04-01 2005-10-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발전기의 전자파 노이즈 차단장치
KR20160108680A (ko) * 2015-03-05 2016-09-2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8531Y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55585A (en) Car alternator electric power generator protected against transients due to battery disconnection
US4349854A (en) Power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generator
JP4429387B2 (ja) 三相発電機の出力電圧の制御装置
JP3627047B2 (ja) 発電機の出力電圧を制御する電圧制御器
KR0138531Y1 (ko) 교류발전기의 전압 제어장치
JPH0988782A (ja)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JP3525010B2 (ja) 点火制御装置
US20070165341A1 (en) Overvoltage-protective automotive power generation control circuit
KR100445860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JPH1032940A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CN100402835C (zh) 汽车、摩托车启动保护装置
KR100465400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장치
JP2707616B2 (ja) 車両用発電機の電圧制御装置
KR0175748B1 (ko) 차량용 발전기의 과전압 발생 방지회로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KR100328771B1 (ko) 알티네이터의 충전램프용 과전류보호회로
KR920008363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조정기회로
KR910002764Y1 (ko) 차량용 전압 조정기의 과전류 제한 회로
KR19980047445U (ko) 서지 및 리플 제거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충전장치
KR200289720Y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자동차의 전원공급장치
KR0125277Y1 (ko) 교류발전기의 전압조정장치
JPH049024B2 (ko)
KR20050023481A (ko) 자동차용 충방전시스템의 자기진단 방법
KR0134554Y1 (ko) 알터네이터의 역전류 방지장치
KR19990051913A (ko) 알터네이터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