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656A -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656A
KR20010103656A KR1020010024780A KR20010024780A KR20010103656A KR 20010103656 A KR20010103656 A KR 20010103656A KR 1020010024780 A KR1020010024780 A KR 1020010024780A KR 20010024780 A KR20010024780 A KR 20010024780A KR 20010103656 A KR20010103656 A KR 20010103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body
joint
spiral
nipple
spiral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4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9891B1 (ko
Inventor
이케가미히로시
타카시마마사토시
Original Assignee
오마츠 세이이치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마츠 세이이치, 토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마츠 세이이치
Publication of KR20010103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6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9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98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02Weld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16L25/0054Joints for corrugated pipes with specially shaped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036Joints for corrug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 F16L33/2071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the sleeve being a separate connect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85/00Pipe joints or couplings
    • Y10S285/903Corrug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관 조이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나선관 조인트는 하나의 니플(1)과, 하나의 코킹링(2) 및 줄 모양의 가요성 압접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니플(1)의 삽입부(11)를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한 다음, 상기 삽입부(11) 위쪽에 위치하는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 주위에 상기 가요성 압접부재(3)를 1회 이상 감아주고, 그렇게 감아 놓은 가요성 압접부재(3)의 외측에 코킹링(2)을 올려놓은 다음, 그 코킹링(2)을 파이프 몸체(P)의 중심방향으로 압축하므로 써, 상기 삽입부(11)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 위에서 코킹 깊이가 상기 삽입부(11)와 단부(13)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더 깊어지도록 코킹링(2)의 직경을 축소시킨다.

Description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JOINT FOR SPIRAL PIPE AND CONNECTING METHOD}
본 발명은 통신케이블 또는 전선케이블의 보호용 나선관 또는 액체수송용 나선관의 단부에 장착되거나, 하나의 나선관을 다른 나선관 또는 맨홀의 박스 보디에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나선형으로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외주관벽을 갖는 나선관에 조인트를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나선관에 장착된 나선관 조인트의 측단면을 보여주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 나선관 조인트는 니플(1a) 및 코킹링(caulkingring)(2a)을 포함한다. 상기 니플(1a)은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P)의 단부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고, 조인트 메인보디(joint main body)를 형성한다. 상기 코킹링(2a)은 파이프 몸체(P)를 니플(1a)에 고정하여 준다. 상기 니플(1a)은 플랜지(12a), 삽입부(11a), 및 일단(一團)의 환상돌기부(13a)들을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12a)는 주로 금속 원통형으로 니플(1a)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1a)는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환상돌기부(13a)들은 각각 상기 삽입부(11a)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일단의 환상 돌기부 (13a)의 축방향 단면은 상기 플랜지(12a)의 맞은 편의 단부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고 톱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코킹링(2a)은 금속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과 결합될 수 있는 치수로 구조되어 있다. 특히, 상기 니플(1a)의 삽입부(11a)가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코킹링(2a)을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위치시키고, 니플(1a) 쪽으로 압축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니플(1a)과 파이프 몸체(P)를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파이프 몸체(P)는 코킹링(2a)에 의하여 변형되어 직경이 작아진다. 상기 파이프 몸체(P)의 내벽은 상기 니플(1a)의 삽입부(11a) 홈부분에 끼워져 결합되므로, 니플(1a)과 파이프 몸체(P) 사이의 연결부분은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플(1a)에 힘을 가하여 니플(1a)을 파이프 몸체(P)로부터 빼내려고 시도하여도, 파이프 몸체(P)는 환상돌기부(13a)에 결합되어 물려 있으므로 빠지지 않으며, 따라서 파이프 몸체(P)의 해체를 방지한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에 있어서는,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P)의 두께가 얇은 경우에는, 환상돌기부의 돌출부분과 우묵하게 들어간 부분 사이의 단(段) 높이 차이 때문에, 나선관의 내측면이 쉽게 부러진다. 그와 같은 나선관 내측면의 파손을 피하기 위하여 상기 코킹링(2a)의 코킹력(caulking force)을 약화시키는 경우에는 나선관이 삽입부(11a)로부터 빠질 수 있다. 즉, 전술한 종래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에 있어서는, 코킹력을 조절함으로써, 나선관 내측면의 파손과 나선관이 미끄러져 빠지는 것을 동시에 모두 해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서 남아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선행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에서 발견되는 단점을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가지 목적은 조인트 메인보디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나선관에 장착하는 작업을 변경할 필요 없이, 나선관의 내측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선관으로부터의 일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나선관용 조인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나선형으로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외주 관벽을 갖는 나선관에 조인트를 연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첨부 도면에 예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된 특징들을 참고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라, 나선형으로 울퉁불퉁하게 형성된 외주관벽을 갖는 나선관에 사용될 조인트는:
파이프 몸체(P)의 단부 속으로 삽입되어 조인트의 메인보디를 형성하는 니플(1)과,
상기 파이프 몸체(P)를 니플(1)에 고정하는 코킹링(2), 및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 속으로 결합될 줄(繩) 모양으로 형성된 가요성 압접부재(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니플(1)은 금속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한쪽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2)와,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될 삽입부(11), 및 그 삽입부(11)의 플랜지(12) 쪽으로 향한 면에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로 (제2도) 이루어져 있다. 상기 코킹링(2)은 금속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과 결합할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조인트에 있어서는, 상기 니플(1)의 삽입부(11)가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된 다음, 상기 가요성 압접부재(3)를 삽입부(11) 위에 위치하는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을 빙 둘러 1회 이상 감은 다음,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 둘레에 감겨있는 압접부재(3) 위에 상기 코킹링(2)을 올려놓고, 파이프 몸체(P)의 중심방향으로 압축하여, 상기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 위에서 코킹링(2)의 코킹량이 상기 삽입부(11)와 단부(13)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커지도록 상기 코킹링(2)의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니플(1)과 파이프 몸체(P)가 고정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를 나선관에 장착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반(半) 측단면도 이다.
도 2는 상기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니플(nipple)의 반 측단면도 이다.
도 3은 상기 니플의 후면도 이다.
도 4는 상기 니플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니플의 사시도 이다.
도 6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코킹링의 반 측단면도 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코킹링의 정면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압접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압접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부분 반 측단면도 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파이프 몸체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나선관이 조인트와 연결되는 방법을 측면에서 보여주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선행기술의 조인트가 나선관에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반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파이프 몸체(P) 니플(1)
니플(1a) 코킹링(2)
코킹링(2a) 가요성 압접부재(3)
연결링(4) 삽입부(11)
삽입부(11a) 플랜지(12)
플랜지(12a) 단부(13)
환상돌기부(13a)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를 나선관에 장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반 측단면도 이다. 도 2 내지 도 5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니플의 반 측단면도, 후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이다. 또한, 도 6 및 도 7은 각각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코킹링의 반 측단면도와 그 정면도이다. 또한, 도 8 및 도 9는 각각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압접부재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는 니플(1), 코킹링(2) 및 가요성 압접부재(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니플(1)은 플랜지(12), 삽입부(11) 및 직경이 작은 단부(1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니플(1)은 선행기술의 니플과 같이 탄소강(SS)으로 성형된 관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상기 니플(1)의 기본 형상은 선행기술의 니플과 대체로 동일하다. 본 발명의 특징인 삽입부(11)의 외경은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될 나선관의 표준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니플(1)의 외주면은 평탄한 원통표면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랜지(12)에 근접한 원통표면에는 삽입부(11) 보다 작은 직경으로 단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1)와 단부(13) 사이의 높이 차이는 나선관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결착력(結着力)을 발휘할 수 있도록 설정 함으로써, 나선관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연결될 나선관의 호칭직경(呼稱直徑)에 거의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본 발명이 120 mm 내지 300 mm의 범위의 호칭직경을 갖는 나선관에 사용할 때에는 단부(13)의 단 높이 차이를 1 내지 2 mm의 차수로 설정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11) 보다 작은 직경의 단부(13)가 직경이 큰 삽입부(11)로 이행하는 단부면의 외주부분을 모따기 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나선관의 내벽이 상기 단부면 부분에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파이프 몸체(P)의 파손 및 일탈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가장 바람직한 것은, 상기 가요성 압접부재(3)에 의하여 감기는 파이프 몸체(P)의 나선부분은 아래쪽 관 내부에 상기 단부(13)에 인접한 삽입부(11)가 위치하는 파이프 몸체(P)의 외주부분으로서, 즉 다시 말하면, 관 내부에 직경이 작은 단부(13)가 위치하는 부분에 인접한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상기 가요성 압접부재(3)가 감겨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코킹링(2)은 니플(1)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되며, 이때 코킹링(2)의 내경은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될 나선관의 표준에 따라, 즉, 나선관의 최대 외경과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크게 설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코킹링(2)의 두께를 니플(1)의 두께와 동일하게 또는 약간 작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표면에 형성된 나선홈 속에 결합될 가요성 압접부재(3)에 있어서는, 그 단면을 예를들어 원형, 타원형, 구형, 또는 사다리꼴 모양과 같은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요성 압접부재(3)의 단면은 나선관 외주면의 나선홈 내에 결합/유지될 수 있는 형상을 갖거나, 또는 상기 나선홈의 폭 보다 약간 큰 폭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한편 가요성 압접부재(3)의 종단면 치수는 상기 나선홈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약간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가요성 압접부재(3)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실제로 V-벨트와 같은 이미 시중에 존재하는 기성의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즉, 가요성 압접부재(3)는 V-벨트를 원하는 길이로 간단히 절단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몸체(P)와 본 발명의 조인트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파이프 몸체(P)를 코킹링(2)에 미리 삽입될 수도 있으며, 그 다음 상기 니플(1)의 삽입부(11)를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한 다음에, 가요성 압접부재(3)를 파이프 몸체(P)의 외주표면에 형성된 나선홈 속으로 최소한 1회 이상, 바람직하게는 1.5회 또는 2회 이상 감아 넣고, 그 다음 가요성 압접부재(3)가 감겨있는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 위에 코킹링(2)을 올려놓은 다음, 코킹링(2)을 파이프 몸체(P)의 중심 쪽으로 압축 내지 압착시킨다. 이 경우, 상기 작은 직경의 단부(13)에 해당하는 코킹링(2) 부분에 대한 코킹 깊이를 상기 단부(13)와 삽입부(11)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크게 함으로써, 상기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P) 내측면이 삽입부(11)의 외주면 부분 보다 단부(13)의 외주부분에서 더욱 강하게 압축력을 받도록 한다. 코킹 처리를 한 다음,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기부는 강력한 압축력을 받아 압축되어 변형하며, 특히, 상기 단부(13)에 해당하는 파이프 몸체(P) 부분의 나선 돌기부는 상기 단부(13)와 삽입부(11)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큰 압축변형력 때문에, 상기 단부(13)의 외주면과 밀착하여 강력하게 접촉함으로써, 니플(1)과 파이프 몸체(P)의 내측면 및 외측면 사이의 밀폐성이 유지될 수 있다.
선행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와 비교할 때, 전술한 본 발명의 나선관 조인트에 의하여, 나선 파이프 몸체(P)의 내측면이 상기 단부(13)를 포함하는 삽입부(11) 외측면의 단순한 원통표면과 압축/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압축접촉력이 증가할지라도 선행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에서와 같이 상기 환상돌기부(13a)의 돌기부분이 국부적으로 집중한 비정상적인 힘을 받아 파이프 몸체(P)가 손상될 수 있는 위험이 제거되며, 즉, 나선관 조인트의 수명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 몸체(P)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상기 삽입부(11)로부터 단부(13)로의 이행부분이 받아 지탱할 뿐만 아니라, 삽입부(11)와 파이프 몸체(P)의 내측면 사이의 압축 접촉력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조인트와 파이프 몸체(P) 사이에 강력한 결착 및 연결상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요성 압접부재(3)와 같이, 특정 규격을 위하여 특별히 제작된 몰드제품과 같은 것을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그 대신 V-벨트와 같은 기성부재가 나선관의 크기에 관계없이 사용될 수 있으므로, 나선관의 외측 및 내측을 간단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고도로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플(1) 안에 단지 작은 직경의 단부(13) 만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니플(1)을 형성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나선관 조인트의 제조공정은 선행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의 공정과 거의 동일하며, 따라서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니플(1)을 포함하는 조인트는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조인트는 φ200의 규격을 갖는 나선관을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조인트 니플(1)의 삽입부(11) 직경은 약 203.5 mm 이며, 한편 직경이 작은 단부(13)는 삽입부(11) 보다 1.5 mm 짧은 직경을 갖는다. 상기 단부(13)로부터 삽입부(11)로 이행하는 니플(1)의 이행부분은 1.5 mm 만큼 모따기 경사면을 형성한다. 상기 조인트는 탄소강으로 성형한다. 상기 조인트를 사용할 때는, 상기 니플(1)의 삽입부(11)를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한 다음, 일반적으로 V-벨트를 사용하는 가요성 압접부재(3)를,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니플(1)의 삽입부(11) 위에 위치하며, 단부(13)에 인접한 파이프 몸체(P)의 외주부분에 형성된 나선홈을따라 한 바퀴 반 빙 둘러 감는다. 그 다음, 상기 나선홈을 따라 감아놓은 가요성 압접부재(3) 위에 코킹링(2)을 올려놓는다. 그 다음, 코킹링(2)의 외주로부터 파이프 몸체(P)의 중심방향으로 압력을 가하여 파이프 몸체(P)의 직경을 감소시켜 죄어줌으로써 , 파이프 몸체(P)를 코킹하여 니플(1)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코킹작업에서 코킹 처리량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상기 삽입부(11)의 외주부분 위에서는 파이프 몸체(P)의 직경을 약 3.0 mm 만큼 축소시킬 수 있으며, 상기 단부(13) 위에서는 파이프 몸체(P)의 직경을 약 5.0 mm 만큼 축소된다. 즉, 파이프 몸체(P)의 직경은 직경이 작은 단부(13) 위에 위치하는 파이프 몸체(P) 부분에서 삽입부(11)와 단부(13)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더 크게 축소된다. 도 6은 상기 코킹링(2)의 초기 상태를 보여주며, 도 7은 코킹링(2)의 코킹 처리된 상태를 상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P) 구조와 외관을 보여주며, 한편 도 12는 상기 조인트에 의하여 파이프 몸체(P)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준다. 조인트를 사용할 때, 각각 단부에 착설된 조인트(1, 1)들을 갖는 2개의 파이프 몸체(P, P)들을 서로 마주보고 배치하고, 조인트(1, 1)들 사이에 환상 패킹판을 두고 서로 결합시킨 다음, 플랜지(12, 12)들을 연결링(4)으로 서로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강망(補强網)을 사용한 내압구조를 갖는 나선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12), 그러나, 물론 본 발명은 또한 통상의 파이프 몸체 구조를 갖는 호스에도 적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대표하는 것이라고 믿는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오직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만 항상 국한하는 것이 아니며, 만약 상술한본 발명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면, 본 발명은 또한 다른 여러 가지 실시방법에 의하여 실시될 수도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명백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 톱니 모양의 단면을 갖는 일단의 환상돌기부들이 형성되는 선행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나선관용 조인트는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의 내측면은 직경이 작은 단부를 포함한 니플의 단순 원통형 삽입부와 압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조 덕택으로, 압축 접촉력을 충분히 크게 설정하는 경우에도, 종래 기술의 나선관 조인트에 있어서와 같이, 각각 톱니형 단면을 갖는 환상돌기부에 국부적으로 인장력이 집중될 수 있고, 따라서 인장력의 비정상적인 집중 때문에 파이프 몸체가 손상되는 위험을 제거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즉, 나선관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 몸체를 코킹링을 이용하여 니플에 코킹 처리를 할 때, 직경이 작은 단부에 대한 코킹량은 상기 삽입부와 직경이 작은 단부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러한 코킹 때문에, 파이프 몸체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상기 파이프 몸체의 내측면과 상기 니플의 삽입부의 외주면 사이의 압축 접촉력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또한 상기 작은 직경 단부의 외주면에 대한 강력한 압축 접촉력과, 직경이 작은 단부가 삽입부로 이행하는 부분의 외주부분이 받는 힘으로 이루어지는 결합력에 의하여 극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선관 조인트와 파이프 몸체 사이에 강력한 연결이 이루어지며, 이것은 동시에 강력한 이탈방지 효과와 방수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상기 압접부재를 상기 파이프 몸체의 외주면 주위에 빙 둘러 감고, 그 위에 코킹링을 올려놓고 코킹 처리를 하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 몸체는 설사 내부에 보강망을 매설한 것일지라도, 상기 압접부재는 보강망의 외주면에 대하여 압축될 수 있으며, 이때 보강망이 절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코킹링에 압력을 가하여 직경을 축소시킴으로써, 상기 파이프 몸체를 압축하여 니플과 압접시키기 때문에, 초기 코킹압력이 시간의 흐름과 함께 이완되는 현상이 제거되어 초기 코킹력이 오랜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나선관 조인트가 안전의 의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뛰어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니플은 파이프 몸체 속으로 삽입될 니플의 삽입부에 단지 원통형으로 직경이 작은 단부를 형성시키는 단순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저렴한 비용으로 니플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접부재는 파이프 몸체의 나선홈을 따라 감아주기 때문에, 몰딩의 제작, 즉, 파이프 몸체의 특수 규격에 따라 서로 직경이 다르게 특별히 제작되는 압접부재를 제조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예를들어, V-벨트와 같은 줄 모양의 기성 재료의 이용이 가능하므로, 상기 나선관 조인트를 나선관의 단부에 연결하는 것을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또한 조인트를 나선관의 내측 및 외측 면에 대하여 동시에 고도의 밀폐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8)

  1. 관벽의 외주면이 나선형으로 울퉁불퉁한 모양으로 형성된 나선관에 사용하기 위한 조인트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한쪽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2)와,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될 삽입부(11)와, 상기 플랜지(12) 쪽으로 삽입부(11) 외주면에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를 포함하는 하나의 원통형 니플(1)과,
    관 내부에 상기 삽입부(11)가 삽입되어 위치하는 파이프 몸체(P) 부분의 외주면을 빙 둘러 최소 1회 이상 감겨서,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 속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압접부재(3)와,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과 결합하여 파이프 몸체(P)를 상기 니플(1)에 결착하여 줄 수 있는 크기의 내경을 갖는 하나의 원통형 코킹링(2)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코킹링(2)을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감겨있는 압접부재(3) 위에 올려놓고, 파이프 몸체(P)의 중심방향으로 압착 함으로써, 코킹 깊이가 상기 삽입부(11)와 단부(13)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깊게 코킹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용 조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니플(1)과 코킹링(2)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용 조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재(3)는 단면이 사다리꼴, 원형, 타원형, 또는 구형(矩形) 형상을 갖는 줄 모양의 가요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용 조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재(3)는 단면 폭이 파이프 몸체(P)의 나선 폭 보다 약간 크며, 단면 길이는 상기 나선홈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보다 길게 형성된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용 조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접부재(3)는 상기 파이프 몸체(P)의 나선홈 단면 속으로 매설될 수 있는 단면폭과, 상기 나선홈의 깊이와 같거나, 또는 보다 긴 단면 길이를 갖는 줄 모양의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용 조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가 상기 삽입부(11)의 직경이 큰 부분으로 이행하는 경계부분의 외주연부(外周緣部)를 모따기하여 경사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용 조인트.
  7. 나선형으로 울퉁불퉁한 형상으로 형성된 외주관벽을 갖는 나선관에 조인트를 연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는:
    한쪽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2)와, 나선관의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될 삽입부(11)와, 상기 플랜지(12) 쪽으로 삽입부(11) 외주면에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를 포함하는 하나의 원통형 니플(1)과,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홈 속으로 결합되는 하나의 압접부재(3), 및
    상기 파이프 몸체(P)의 외주면과 결합될 수 있는 내경을 갖고 있으며, 상기 파이프 몸체(P)를 상기 니플(1)에 고정시켜 주는 하나의 원통형 코킹링(2)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파이프 몸체(P)를 상기 코킹링(2) 속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니플(1)의 삽입부(11)를 상기 파이프 몸체(P) 속으로 삽입하는 단계와,
    상기 압접부재(3)를 상기 파이프 몸체(P)의 내부에 상기 삽입부(11)가 삽입/배치되어 있는 부분의 외주면 주위에 빙 둘러 최소 1회 이상 감아주는 단계와,
    상기 파이프 몸체(P)에 감아놓은 압접부재(3) 주위에 상기 코킹링(2)을 올려놓는 단계, 및
    상기 단부(13) 상에서 코킹링(2)의 코킹량이 상기 삽입부(11)와 단부(13) 사이의 단 높이 차이 보다 더 깊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코킹링(2)을 파이프 몸체(P)의 중심방향으로 압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조인트 연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단부(13)가 삽입/배치되어 있는 부분에 인접한 파이프 몸체(P) 부분의 외주면에 빙 둘러 상기 압접부재(3)를 감아주도록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선관 조인트 연결방법.
KR1020010024780A 2000-05-08 2001-05-08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KR1007398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4970A JP4399691B2 (ja) 2000-05-08 2000-05-08 螺旋管継ぎ手
JP2000-134970 2000-05-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656A true KR20010103656A (ko) 2001-11-23
KR100739891B1 KR100739891B1 (ko) 2007-07-13

Family

ID=18643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4780A KR100739891B1 (ko) 2000-05-08 2001-05-08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81979B2 (ko)
JP (1) JP4399691B2 (ko)
KR (1) KR100739891B1 (ko)
GB (1) GB2362694B (ko)
MY (1) MY12361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9528A (zh) * 2017-09-06 2017-12-08 马鞍山市奈特仪表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管压力表及其生产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991B1 (ko) * 2002-06-01 2005-03-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오일 공급 구조
PL1564472T3 (pl) * 2004-02-10 2011-07-29 Schieffer Gmbh Co Kg Złącze przewodu giętkiego
CN1654873B (zh) * 2004-02-10 2010-04-28 希弗尔两合公司 包括软管连接件的软管轴节和具有该软管轴节的软管接头
DE102004020474B4 (de) * 2004-04-26 2016-07-14 U.M. Gewerbeimmobilien Gmbh & Co. Kg Schlauchkupplung
US7100947B2 (en) * 2004-09-17 2006-09-05 Quantum Technical Services, Inc. Tubing and connector system
US20080213709A1 (en) * 2005-11-18 2008-09-04 Russell Clayton Gas supply coupling for a water heater
US20090302603A1 (en) * 2005-11-18 2009-12-10 Russell Clayton Gas supply coupling for a water heater
PL2042797T3 (pl) 2007-09-26 2011-06-30 Norres Schlauchtechnik Gmbh & Co Kg Zespół łączący do węży zwijanych
US8465059B1 (en) 2009-04-24 2013-06-18 Camco Manufacturing, Inc. RV sewage disposal hose with swiveling connector
DK2362128T3 (da) * 2010-02-18 2013-06-24 Flex Seal Couplings Ltd Forbedringer i rørkoblingsbøsninger
DE102010008733B4 (de) * 2010-02-20 2014-10-16 Neoperl Gmbh Schlauch mit einem flexiblen, die Flüssigkeit aufnehmenden Innenliner
ES2530875T3 (es) 2011-03-11 2015-03-06 Neoperl Gmbh Manguera enrollada helicoidal
HUE028675T2 (en) * 2011-09-05 2016-12-2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Electrical switching system
EP2607767B1 (en) * 2011-12-23 2014-09-24 Matec Group S.r.l. Welding end for hoses comprising a watertight device
FI125956B (fi) * 2014-06-13 2016-04-29 Picote Oy Ltd Putkisaneerauksessa käytettävä haarakappale ja menetelmä putkiasetelman haarakohdan saneeraamiseksi
JP6377457B2 (ja) * 2014-08-28 2018-08-22 東拓工業株式会社 ホース用継手
AU2019339784A1 (en) 2018-09-11 2021-03-11 Netafim Ltd Corrugated piping assembly and sleeve for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896309A1 (ru) * 1980-04-14 1982-01-07 Всесоюзны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ого И Ручного Строительно-Монтажного Инструмента,Вибраторов И Строительно-Отделочных Машин Узел заделки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эластичного шланга
FR2502735B1 (fr) 1981-03-30 1985-11-22 Pons & Cie Ets Raccord pour tuyau semi-rigide comportant une douille a helice progressive
GB2104992B (en) 1981-08-28 1985-07-24 Ti Flexible Tubes Ltd Hose end fitting
KR100256514B1 (ko) * 1997-07-18 2000-05-15 조용래 유체 이송관의 연결접속부 누수방지 구조
JP3482515B2 (ja) * 1998-08-28 2003-12-22 東拓工業株式会社 管端連結継手
KR200302877Y1 (ko) * 1998-09-01 2003-11-19 황행철 고압호스조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49528A (zh) * 2017-09-06 2017-12-08 马鞍山市奈特仪表科技有限公司 一种螺旋管压力表及其生产方法
CN107449528B (zh) * 2017-09-06 2024-01-30 淄博益源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螺旋管压力表及其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62694B (en) 2004-03-17
GB2362694A (en) 2001-11-28
KR100739891B1 (ko) 2007-07-13
JP4399691B2 (ja) 2010-01-20
GB0111179D0 (en) 2001-06-27
US6581979B2 (en) 2003-06-24
MY123616A (en) 2006-05-31
US20020158468A1 (en) 2002-10-31
JP2001317672A (ja) 200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9891B1 (ko) 나선형 파이프용 조인트 및 그 체결방법
US5484174A (en) Pipe coupling and method of joining materials
CA1231117A (en) Pipe gasket
EP0109270B1 (en) Hose coupling
EP1899635B1 (en) Pipe coupling
WO199503085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ttaching conduits to a fitting
FI91989B (fi) Putkien muhviliitos
EP1818592B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resin pipe
EP2140191B1 (en) Pipe coupling
CN101006281A (zh) 用于连接软管的连接器
US6336640B1 (en) Gasket
JP4579194B2 (ja) ホース接続用のコネクタ
US4789167A (en) Pipe gasket with reinforcing means in its base self-energizing
KR100764946B1 (ko) 주름관 연결 구조
KR20040111265A (ko) 관 연결구에 사용되는 고무링과, 어댑터를 구비한 관 및 이들을 구비한 관 연결구
KR102201374B1 (ko) 이음관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연결 방법
KR101997716B1 (ko) 파형관 연결용 커플러
JP4496004B2 (ja) 管継手
JPH0336797Y2 (ko)
JP3122182U (ja) リング可撓管継手
JP4718310B2 (ja) 管体の継手構造および継手装置
KR200269762Y1 (ko) 호스 연결장치
KR200187003Y1 (ko) 관(管) 연결장치
WO2003012329A1 (en) Insert for hydraulic connector and hydraulic connector comprising such insert
JP3601235B2 (ja) 管継手及び管継手付きホ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