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895A -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 Google Patents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895A
KR20010102895A KR1020010064944A KR20010064944A KR20010102895A KR 20010102895 A KR20010102895 A KR 20010102895A KR 1020010064944 A KR1020010064944 A KR 1020010064944A KR 20010064944 A KR20010064944 A KR 20010064944A KR 20010102895 A KR20010102895 A KR 20010102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proof
underground
fire
facilities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44575B1 (ko
Inventor
원철희
Original Assignee
원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철희 filed Critical 원철희
Priority to KR10-2001-0064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4457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2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5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5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2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area conflagrations, e.g. forest fires, subterranean fir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 E05Y2900/134Fir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6Fireproof doors or similar closures; Adaptations of fixed constructio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화재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시설물 지하공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방지하도록 지하공동구를 내화구획하는 방화벽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개정된 법률을 만족하는 동시에 장시간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내화성이 우수하며, 신설 공동구는 물론, 기존의 공동구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케이블이나 배관의 증설시 내화재의 폐기함 없이 내화재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화염의 취약지점을 보강하고, 부피팽창형 내화재로 화염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되는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Fire stopping system of underground common utility tunnels having fire stopping room}
본 발명은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공동구의 화재발생시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게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구라함은, 도로의 노면 굴착을 수반하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의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기하기 위해서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지하공동구는 단지, 각종 케이블과 배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터널형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화재방재시설이 전무하여 전기합선이나 기타의 내/외부의 원인 등으로 지하공동구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때, 가연성 물질인 케이블이나 배관 및 공동구 벽면을 타고 화염이 급속하게 전파되어 결국은 서로 연결된 도시의 전체 지하공동구로 화재가 확대되고, 이로 인하여 다른 도시의 다른 구역에까지 화재가 전파되는 등 막대한 손해를 입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공동구의 실제 화재 사고 사례로, 1994년 3월 10일 동대문 지하구 화재 사건, 1994년 11월 남대구 전신전화국 지하통신구 화재 사건, 1994년 12월 19일 안양시 평촌 관악아파트 지하공동구 화재사건, 2000년 2월 18일 여의도 공동구 화재 사건 등이 있고, 이러한 공동구의 화재사건으로 말미암아 동대문 지하구 화재 사건 등에서는 수도권 통신 두절, 이동통신 불통, 언론사 방송송출중단, 일부 전화 불통, 은행전산망 마비 등의 피해가 있었음은 물론이고, 여의도 공동구 화재 사건 시에는 가연성 케이블과 난방관 및 상수도관의 가연성 외피 때문에 화재가 공동구 전체로 확산되어 영등포구 여의도동 35번지 일대의 공동구는 물론, 건물들이 차례로 화재에 의해 큰 피해를 입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대한민국 도로계획법 시행규칙에 "제142조의 7(방화벽의 설치기준) 영 제32조 제6항의 규정에 의한 방화벽의 설치기준은 다음 각호에 해당한다. 1. 내화구조로서 홀로 설 수 있는 구조일 것. 2. 방화벽에 출입문을 설치하는 경우 방화문으로 할 것. 3. 방화벽을 관통하는 케이블, 전선 등에는 내화성이 있는 화재차단재로 마감할 것. 4. 방화벽의 위치는 분기구 및 화기구 등의 구조를 고려하여 설치할 것."이라는 조항을 2001년 7월 27일자로 신설하였으나, 이러한 조항을 만족하는 어떠한 구성도 구체적으로 개발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법령의 시행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정된 법률을 만족하는 동시에 장시간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내화성이 우수한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신설 공동구는 물론, 기존의 공동구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케이블이나 배관의 증설시 내화재의 폐기함 없이 내화재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염의 취약지점을 보강하고, 부피팽창형 내화재로 화염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되는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이 공동구에 설치된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4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시설물 지하공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방지하도록 지하공동구를 내화구획하는 방화벽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화벽은, 지하공동구를 가로막도록 스터드(Stud) 또는 러너(Runner)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중공부가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을 덮는 내화보드; 사람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방화문틀을 포함한 방화문; 상기 내화보드와 각종 케이블 및 배관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내화퍼티; 상기 내화보드, 방화문 사이 및 조인트의 틈새에 마감처리되는 내화실란트; 및 각종 케이블과 배관의 표면에 도포되는 난연도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화문은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화재감지용 센서와 상기 방화문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 및 상기 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화보드는, 탄성형 판재형상인 발포성 내화보드(Intumescent Fire Stop Board)이고, 상기 내화퍼티는 각종 케이블이나 배관의 증설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경화되지 않는 막대형 탄성 비경화성 퍼티(Putty)이며, 상기 내화실란트는 경화성 실란트(Sealant)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방화벽은, 공동구의 통로와 통로가 서로 교차하는 분기관부분이나 중앙사령실 등 공동구의 중요부분의 입구나 일정 거리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은,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시설물 지하공동구를 구성하는 것으로서,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방지하도록 지하공동구를 내화구획하는 방화벽(10)을 설치하는 것이다.
즉, 이러한 방화벽(10)은, 크게 프레임(11)과, 내화보드(12)와, 방화문(13)과, 내화퍼티(14)와, 내화실란트(15) 및 난연도료(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은 지하공동구를 각각 한전관로(1), 수도관로(2), 통신관로(3) 등으로 나누는 벽체(100)와 벽체(100) 사이에 설치되어 화염이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의 한전관로(1), 수도관로(2), 통신관로(3)를 각각 내화구획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1)은 지하공동구를 가로막도록 스터드(11a)(Stud) 또는 러너(11b)(Runner)로 이루어지고,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은 그 단면이 'ㄷ'형상이고, 스텐레스 스틸 등의 금속재질인 스터드(11a)와 러너(11b)를 격자형태로 조립하고, 상기 내화보드(12)를 나사조립으로 덮어 고정함으로써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중공부(12a)가 형성되도록 제작된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11)은 통상적으로 전선 케이블을 수용하는 한전관로(1), 상하수도관을 수용하는 수도관로(2), 전화선이나 인터넷선 등 각종 통신케이블을 수용하는 통신관로(3) 등으로 구획된 지하공동구에 각각 개별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보드(12)는, 내부에 중공부(12a)가 형성된 상기 프레임(11)의 양측면을 덮는 것으로서, 불꽃의 차단이 가능하도록 탄성형 판재형상인 발포성 내화보드(Intumescent Fire Stop Board)이다.
이러한 상기 발포성 내화보드(12)의 특징은 화재시 불꽃이 차단되도록 고온에서 부피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발포 팽창형 내화재료로서, 화재시에는 상기 내화보드에서 발생한 발포물이 상기 프레임(11) 내부의 중공부(12a)에 가득 차서 하나의 두터운 내화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화문(13)은 사람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11)에 설치되는 출입문으로 이는 일반적인 출입문이 아니라 철판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소정 시간 동안 화염을 막아낼 수 있는 규격의 방화문이다.
이러한 상기 방화문(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과 조립되는 방화문틀(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평상시 열려 있다가, 화재발생시 화재를 스스로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화재감지용 센서(131)와 상기 방화문(13)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132) 및 상기 센서(131)로부터 화재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개폐장치(132)를 제어하는 제어부(1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러한, 개폐장치(132)는 자석식 릴리즈나, 모터 및 유압실린더를 이용한 엑츄에이터 등 매우 다양한 종류의 개폐장치가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개폐장치에 대한 기술은 해당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있어 수정 및 변경이 용이한 것이다.
따라서, 지하공동구의 점검이나 케이블 증설시 작업자가 자유롭게 방화문(13)을 통과하여 작업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특정 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센서(131)가 이를 감지하여 제어부(133)에 화재신호를 보내면 제어부(133)가 상기 개폐장치(132)를 작동시킴으로써 열려져 있던 방화문(13)이 자동으로 폐쇄되어 화재가 다른 구역으로 전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내화퍼티(14)는, 상기 내화보드(12)를 관통하는 각종 케이블(4)과 배관(5) 주위의 틈새에 충진되는 것으로서, 각종 케이블(4)이나 배관(5)의 증설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경화되지 않는 막대형 탄성 비경화성 퍼티(Putty)이다.
따라서, 상기 내화퍼티(14)의 형태 변형이 자유로워서 상기 케이블(4) 및 배관(5) 주위의 틈새에 밀착되어 상기 내화보드(12)와 케이블(4) 및 배관(5) 사이의 공간에 충진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상기 내화퍼티(14)는 비경화성이기 때문에 시공 후에도 이를 다시 걷어내어 케이블 증설시 재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내화퍼티(14)의 특징은 화재시 불꽃이 차단되도록 고온에서 부피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팽창형 내화재료로서, 화염을 적극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재료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화실란트(15)는 상기 내화보드(12)와 내화보드(12), 방화문(13) 및 각종 조인트의 틈새에 마감처리되는 것으로서, 처음에는 연성이나 상기 틈새에 발라진 다음 경화되는 경화성 실란트(Sealant)이다.
따라서, 상기 내화보드(12)와 다른 내화보드(12) 사이로 화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내화성을 더욱 증대시키고, 구조적으로 더욱 견고한 내구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연도료(16)는, 상기 내화보드(12)를 기준으로 각종 케이블(4)과 배관(5) 및 그 주위에 소정 거리만큼 도포되는 것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케이블(4)과 배관(5) 전체 표면에 도포되어 화염이 케이블(4)이나 배관(5)을 따라 전파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방화벽(10)은 통상 공동구를 다수개의 밀폐된 내화구역으로 구획하는 것으로서, 그 일례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심을 가로지르는 "ㄷ"형 지하공동구(200)에 대략 수백 미터 내지 수킬로미터의 거리별로 본 발명의 방화벽(10)이 설치된다.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화벽(10)은, 지하공동구의 주관(201)부분이나 지하공동구의 통로와 통로가 서로 교차하는 분기관(202)부분이나 중앙사령실(203) 등 공동구의 중요부분의 입구나 전후방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의 설치 위치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은 기존의 공동구에 재시공되거나, 최초 공동구 시공시 설치되는 것이 모두 자유로워서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한전관로, 수도관로, 통신관로가 복합된 공동구에 적용되는 것으로 국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은 각각의 관로에 적용되거나 이외에도 화염 전파가 예상되는 모든 공동구에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에 의하면, 개정된 법률을 만족하는 동시에 장시간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고, 내화성이 우수하며, 신설 공동구는 물론, 기존의 공동구에도 설치가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케이블이나 배관의 증설시 내화재의 폐기함 없이 내화재를 그대로 재활용할 수 있게 하여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며, 화염의 취약지점을 보강하고, 부피팽창형 내화재로 화염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통로를 폐쇄되는 방화문을 설치하여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게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6)

  1.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하는 시설물 지하공동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화염의 전이 및 확산을 방지하도록 지하공동구를 내화구획하는 방화벽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지하공동구를 가로막도록 스터드(Stud) 또는 러너(Runner)로 이루어져서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
    중공부가 형성된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을 덮는 내화보드;
    사람의 유출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방화문틀을 포함한 방화문;
    상기 내화보드와 각종 케이블 및 배관 사이의 틈새에 충진되는 내화퍼티;
    상기 내화보드, 방화문 사이 및 조인트의 틈새에 마감처리되는 내화실란트; 및
    각종 케이블과 배관의 표면에 도포되는 난연도료;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은 화재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되도록 화재감지용 센서와 상기 방화문을 개폐시키는 개폐장치 및 상기 센서로부터 화재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보드는, 탄성형 판재형상인 발포성 내화보드(Intumescent Fire Stop Board)이고, 상기 내화퍼티는 각종 케이블이나 배관의 증설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경화되지 않는 막대형 탄성 비경화성 퍼티(Putty)이며, 상기 내화실란트는 경화성 실란트(Seala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보드 및 내화퍼티는, 화재시 불꽃이 차단되도록 고온에서 부피가 순간적으로 증가하는 발포 팽창형 내화재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벽은, 공동구의 통로와 통로가 서로 교차하는 분기관부분이나 중앙사령실 등 공동구의 중요부분의 입구나 일정 거리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KR10-2001-0064944A 2001-10-20 2001-10-20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KR1004445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944A KR100444575B1 (ko) 2001-10-20 2001-10-20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944A KR100444575B1 (ko) 2001-10-20 2001-10-20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122U Division KR200271310Y1 (ko) 2001-10-20 2001-10-20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895A true KR20010102895A (ko) 2001-11-17
KR100444575B1 KR100444575B1 (ko) 2004-08-21

Family

ID=4578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944A KR100444575B1 (ko) 2001-10-20 2001-10-20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4457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41B1 (ko) * 2004-12-30 2006-12-28 주식회사 시공테크 금고형 문화재 및 유물 보관용 항습내화 수납장
KR100725869B1 (ko) * 2007-02-23 2007-06-08 제일설계(주) 칸막이 방화벽을 가진 송전 케이블 선로.
KR102041214B1 (ko) * 2019-05-20 2019-11-07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239B1 (ko) * 2006-06-26 2008-06-12 (주)태원종합기술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다목적실
KR100882778B1 (ko) * 2008-07-22 2009-02-09 주식회사 동보 지하 전력구 방화벽
DE102013221417A1 (de) * 2013-10-22 2015-05-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euerfeste Wanddurchführung für einen elektrisch isolierten Leiter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euerfesten Wanddurchführung
KR101396565B1 (ko) 2013-10-31 2014-06-27 창전이앤시 주식회사 유지관리용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CN111021874A (zh) * 2019-12-09 2020-04-17 国网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隧道防火门及相关的自检方法和防火方法
KR102597654B1 (ko) 2022-10-18 2023-11-02 (주) 한진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343B2 (ja) * 1988-11-18 1994-02-16 株式会社関電工 洞道等における防火扉を構成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KR0123447Y1 (ko) * 1993-10-21 1998-09-15 전종득 스폿 전구
JPH0874497A (ja) * 1994-09-01 1996-03-19 Kyoritsu Kagaku Sangyo Kk トンネル構造物の内壁形成工法
JPH10184289A (ja) * 1996-12-26 1998-07-14 Kyoritsu Kagaku Sangyo Kk トンネルの壁面構造
KR200271310Y1 (ko) * 2001-10-20 2002-04-10 원철희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41B1 (ko) * 2004-12-30 2006-12-28 주식회사 시공테크 금고형 문화재 및 유물 보관용 항습내화 수납장
KR100725869B1 (ko) * 2007-02-23 2007-06-08 제일설계(주) 칸막이 방화벽을 가진 송전 케이블 선로.
KR102041214B1 (ko) * 2019-05-20 2019-11-07 (주)펨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44575B1 (ko) 2004-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9032B1 (ko) 내화충전 일체형 벽체 슬리브
KR100444575B1 (ko)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AU2014307103A1 (en) Protective conduit for a structural panel opening
KR200271310Y1 (ko)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시스템
JP5462478B2 (ja) アウトレットボックスの防火措置構造
CN215060119U (zh) 楼体内排水管道的防火圈结构
JP2000170282A (ja) 貫通穴部の防火装置、防火構造及び防火工法
KR102073509B1 (ko) 배관 보온재 연소 차단 장치
JP2016171964A (ja) 冷媒配管系の防火区画貫通部に設置される耐火キャップの脱落防止装置および脱落防止方法
KR100282560B1 (ko) 건축구조물의슬리브마감장치
David et al. Yvonne
JPH10191535A (ja) ケーブル暗渠の防火壁及び防火区画
KR101504128B1 (ko) 지하 전력구내 전선 케이블 방화 장치
CN210129719U (zh) 一种金属线槽穿防火墙安装节点结构
JP3806238B2 (ja) 多層建物用スプリンクラー設備における縦管の床スラブ貫通部の構造
JP2885075B2 (ja) 防火区画カバー
KR102597654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CN111355196B (zh) 过路盒及建筑顶板安装过路盒的方法
RU215352U1 (ru) Строительный блок для инженерных коммуникаций здания
KR200241326Y1 (ko) 에어커튼을 구비한 방음벽
JPH0749965Y2 (ja) 中空間仕切壁における電線、電線管等の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JPH04207918A (ja) 断熱被覆銅管と付随制御ケーブル貫通部の施工方法
Mikkola et al. Prevention of fire spread within structures
KR101678190B1 (ko) 방화용 배수입상관 및 방화용 배수입상관 설치방법
Marx LATEST INTERNATIONAL DEVELOPMENTS IN PASSIVE FIRE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13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