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7654B1 -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7654B1
KR102597654B1 KR1020220134104A KR20220134104A KR102597654B1 KR 102597654 B1 KR102597654 B1 KR 102597654B1 KR 1020220134104 A KR1020220134104 A KR 1020220134104A KR 20220134104 A KR20220134104 A KR 20220134104A KR 102597654 B1 KR102597654 B1 KR 102597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material
control uni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4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주)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20134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76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7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76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는, 공동주택단지에 마련되며, 전기설비와 유류설비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공동구와;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유류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기 화재 또는 유류 화재 또는 상기 전기설비와 유류설비의 동시 이상 작동에 따른 보통 화재 중 어느 하나의 화재 원인을 감지하는 화재 원인 감지부; 및, 상기 공동구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소화 물질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소화 물질들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 진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A DIFFUSION PREVENTION EQUIPMENT OF FIRE SMOKE AND FLAME FOR UNDERGROUND CONSTRUCTION}
본 발명은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의 원인을 즉시 확인하고, 화재 원인에 따라 소화가 가능한 소화 물질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안전한 소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지하의 공동구라 함은 공동주택 단지에 동(棟))과 동(棟))을 연결하거나, 또는 단지내로 인입되도록 도로 기반시설과의 연결통로, 또한 도로의 노면 굴착을 수반하는 전기, 가스, 수도 등의 공급설비, 통신설비, 하수도시설 등의 지하매설물을 공동으로 수용함으로써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도로 구조의 보전 및 교통의 원활한 소통을 기하기 위해서 지하에 설치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이러한 지하공동구는 각종 케이블과 배관이 수용될 수 있도록 터널형상으로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전기합선이나 기타의 내/외부의 원인 등으로 공동주택 단지의 지하공동구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가연성 물질인 케이블의 외부포장에 사용되는 폴리에틸렌이나 중간재(역청재)로 인한 연소확대가 열화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거대한 복사에너지로 화재발생지역을 확대시킨다. 이러한 케이블의 외장재는 연소되면서 염화수소가스(Hcl), 일산화가스(CO), 이산화탄소등의 유독가스를 배출한다. 특히, 일산화탄소의 경우는 화재시 3%이상이 되어 흡입하면 즉시 사망할 위험성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공동구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의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로, 임의의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에만 몰두하였다.
현재 소화 물질을 분류하는 기준으로 A형(보통화재용), B형(유류화재용), C형(전기화재용)이 있다.
화재의 유형을 이렇게 나눠놓은 이유는 A형은 밟아서 끄든 물 부어서 끄든 상관이 없는데 반해 B형 유류화재는 물을 부어버리면 불이 꺼지는 게 아니라 오히려 더 퍼져버리는 특성이 있고, C형 전기화재의 경우도 물이나 폼 같은 액체를 부어버리면 감전 위험이 있기 때문에 유형이 나눠진 것이다. 산소를 차단하는 소화 방식은 대부분의 화재에 적용 가능해서 소화기에 널리 쓰인다.
그러나 이러한 화재 원인을 공동주택의 지하에 마련되는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인지한다 할지라도, 작업자가 직접 해당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해당되는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소화한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고, 작업자의 안전 사고의 위험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지하의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의 원인을 즉시 파악 및 해당 화재의 종류에 따라 해당 소화 물질을 즉시 살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44575호(등록일자: 2004.08.05)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본 발명은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의 원인을 즉시 확인하고, 화재 원인에 따라 소화가 가능한 소화 물질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안전한 소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공동구의 내벽에 격자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 물질을 구비하는 소화 물질 제공부를 더 구비하고, 화재가 발생됨에 따른 원인이 파악되는 경우 즉시 해당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소화 물질을 살포하도록 해당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는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공동구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영역을 지정한 이후에 공동구에서 이동 가능한 화재 진압벽들을 이동시켜 화재 영역을 밀폐하고, 화재 진압벽에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하여 화재가 공동구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는, 공동주택단지에 마련되며, 전기설비와 유류설비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공동구와;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와;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유류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기 화재 또는 유류 화재 또는 상기 전기설비와 유류설비의 동시 이상 작동에 따른 보통 화재 중 어느 하나의 화재 원인을 감지하는 화재 원인 감지부; 및, 상기 공동구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소화 물질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소화 물질들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 진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화재 진압부는,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 장치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소화 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소화 물질을 분사하고,
상기 서로 다른 소화 장치는,
상기 전기 화재를 진압하는 제 1소화 물질을 갖는 제 1소화 장치와,
상기 유류 화재를 진압하는 제 2소화 물질을 갖는 제 2소화 장치와,
상기 보통 화재를 진압하는 제 3소화 물질을 갖는 제 2소화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천정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대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대기홈에는,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2,3소화 장치가 구획되어 수용되는 대기 공간들이 형성되는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대기 공간들 각각의 내부 천정에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2,3소화 장치의 상단은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승강축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2,3소화 장치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어부는,
제 1,2,3소화 물질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에 해당되는 소화 물질을 선정하고,
제 1,2,3소화 장치 중, 선정된 소화 물질에 해당되는 소화 장치를 사용하여 해당 소화 물질을 상기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승강축은,
한 쌍의 단위 승강축과, 상기 한 쌍의 단위 승강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에 연결되는 축 방식으로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2,3소화 장치 각각에는,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된 화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위치 정보에 소화 물질을 분사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3소화 장치의 자세를 가변시킨다,
또한, 상기 공동구의 천정에는, 격자 형상의 다수의 설치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설치 영역 각각에는, 수용판들이 배치되고,
상기 수용판들은, 상기 제 1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1수용판들과, 상기 제 2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2수용판들과, 상기 제 3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3수용판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수용판들에는, 힌지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1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도어를 개방하는 제 1회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수용판들에는, 힌지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2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도어를 개방하는 제 2회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3수용판들에는, 힌지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3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3도어를 개방하는 제 3회전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소화 장치는 제 1튜브와 연결되는 제 1소화물질 공급기를 통해 상기 제 1소화 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제 2소화 장치는 제 2튜브와 연결되는 제 2소화물질 공급기를 통해 상기 제 21소화 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제 3소화 장치는 제 3튜브와 연결되는 제 3소화물질 공급기를 통해 상기 제 3소화 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제 1튜브에는 제 1유량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 1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2튜브에는 제 2유량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 2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3튜브에는 제 3유량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 3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전기 화재인 경우, 상기 제 1소화 물질 공급기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1유량 센서에서 상기 제 1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1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1수용판에 수용된 상기 제 1소화 물질을 낙하시키고,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유류 화재인 경우, 상기 제 2소화 물질 공급기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2유량 센서에서 상기 제 2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2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2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2수용판에 수용된 상기 제 2소화 물질을 낙하시키고,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보통 화재인 경우, 상기 제 3소화 물질 공급기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3유량 센서에서 상기 제 3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3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3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3수용판에 수용된 상기 제 3소화 물질을 낙하시킨다.
또한,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 양측벽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다수의 화재 진압벽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에 구비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 중 한 쌍의 화재 진압벽을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화재 진압벽 사이에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이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소화부에 구비되는 상기 소화부를 사용하여 소화수를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소화부는,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의 내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소화 유로와,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와 각각 연결되는 분사 노즐들과,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와 각각의 튜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화수를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로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튜브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 측에 노출되는 소화 유로와 연결되는 해당 튜브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 측에 노출되는 소화 유로로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의 양측벽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의 일단은,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을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 각각은,
상기 레일에 연결되는 기준 화재 진압벽과,
상기 기준 화재 진압벽의 하단에 다단을 이루어 승강되도록 연결되는 돌출 화재 진압벽들과,
상기 돌출 화재 진압벽들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통하여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의 원인을 즉시 확인하고, 화재 원인에 따라 소화가 가능한 소화 물질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안전한 소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구의 내벽에 격자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 물질을 구비하는 소화 물질 제공부를 더 구비하고, 화재가 발생됨에 따른 원인이 파악되는 경우 즉시 해당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소화 물질을 살포하도록 해당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공동구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영역을 지정한 이후에 공동구에서 이동 가능한 화재 진압벽들을 이동시켜 화재 영역을 밀폐하고, 화재 진압벽에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하여 화재가 공동구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3소화장치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3소화 장치가 공동구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축의 다른 실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의 천정에서 수용판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수용판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에 화재 진압벽이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구성요소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구성요소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구성요소와 상기 구성요소 상에 (또는 하에)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이 개재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구성요소들은 서로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의 작동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는 공동주택단지에 마련되며, 전기설비(1)와 유류설비(2)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공동구(100)와, 상기 공동구(100)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200)와, 상기 공동구(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기 설비(1)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유류 설비(2)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기 화재 또는 유류 화재 또는 상기 전기설비(1)와 유류설비(2)의 동시 이상 작동에 따른 보통 화재 중 어느 하나의 화재 원인을 감지하는 화재 원인 감지부(300)와, 상기 공동구(100)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소화 물질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소화 물질들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 진압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화재 진압부(400)는 상기 공동구(100)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 장치(410, 410', 410")와, 제어부(4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소화 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소화 물질을 분사한다.
또한 상기 서로 다른 소화 장치(410, 410', 410")는, 상기 전기 화재를 진압하는 제 1소화 물질을 갖는 제 1소화 장치(410)와, 상기 유류 화재를 진압하는 제 2소화 물질을 갖는 제 2소화 장치(410')와, 상기 보통 화재를 진압하는 제 3소화 물질을 갖는 제 3소화 장치(410")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2,3소화장치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3소화 장치가 공동구에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100)의 천정(101)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대기홈(110)이 형성된다.
상기 대기홈(110)에는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가 구획되어 수용되는 대기 공간들이 형성되는 케이스(1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의 구성은 동일하고, 제 1,2,3소화 물질을 공급한다는 구성 만이 상이할 수 있다.
상기 대기 공간들 각각의 내부 천정(101)에는 승강되는 승강축(412)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411)이 각각 설치된다.
상기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의 분사 노즐(413)은 상기 승강 실린더들(411) 각각의 승강축(412)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승강 실린더들(411)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의 분사 노즐(413)를 승강시킨다.
상기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의 제 1,2,3소화물질 공급기(415)는 유로(414)를 통해 해당 승강 실린더(411)의 내부를 관통하여 해당 분사 노즐(413)에 연결된다. 상기 분사 노즐(413)은 해당 소화 물질을 분사구들을 통해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기홈(110)의 하단 일측부에는 힌지단(H)이 설치되고, 상기 힌지단(H)에는 개폐 도어(13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힌지단(H)에는 회전장치(140)의 축이 연결되고, 회전장치(140)는 제어부(420)의 제어에 의해 개폐 도어를 개폐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해당 소화 장치(410, 410', 410")가 사용되는 경우 해당 승강 실린더(411)의 승강축(412)을 하강시키 위해 해당 개폐 도어(130)를 회전장치(140)의 작동을 통해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상기 제어부(420)는, 제 1,2,3소화 물질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에 해당되는 소화 물질을 선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20)는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 중, 선정된 소화 물질에 해당되는 소화 장치를 사용하여 해당 소화 물질을 상기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축의 다른 실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상기 승강 실린더들(411) 각각의 승강축(412)은 한 쌍의 단위 승강축(412a)과, 상기 한 쌍의 단위 승강축(412a)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단(H)과, 상기 힌지단(H)에 연결되는 축 방식으로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 모터(412b)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의 분사 노즐(413) 각각에는,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된 화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43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화재 위치 정보에 소화 물질을 분사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412b)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의 분사 노즐(413)의 자세를 가변시켜 소화 물질의 분사 방향을 가변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의 천정에서 수용판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수용판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 하면 상기 공동구(100)의 천정에는, 격자 형상의 다수의 설치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설치 영역 각각에는, 수용판들(500)이 배치된다.
상기 수용판들(500)은, 상기 제 1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1수용판들(510)과, 상기 제 2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2수용판들(520)과, 상기 제 3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3수용판들(53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수용판들(500)은 상술한 제 1,2,3소화 장치들(410, 410', 410")이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된다.
상기 제 1수용판들(500)에는, 힌지(h)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1도어(511)와,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도어(511)를 개방하는 제 1회전기(51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2수용판들(520)에는, 힌지(h)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2도어(521)와,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도어(521)를 개방하는 제 2회전기(52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3수용판들(530)에는, 힌지(h)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3도어(531)와,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3도어(531)를 개방하는 제 3회전기(532)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제 1소화 장치(410)는 제 1튜브(414)와 연결되는 제 1소화물질 공급기(415)를 통해 상기 제 1소화 물질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 2소화 장치(410')는 제 2튜브(414)와 연결되는 제 2소화물질 공급기(415)를 통해 상기 제 2소화 물질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 3소화 장치(410")는 제 3튜브(414)와 연결되는 제 3소화물질 공급기(415)를 통해 상기 제 3소화 물질을 공급받는다.
상기 제 1튜브(415)에는 제 1유량센서(416)가 설치되어 상기 제 1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2튜브(415)에는 제 2유량센서(416)가 설치되어 상기 제 2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3튜브(415)에는 제 3유량센서(416)가 설치되어 상기 제 3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전기 화재인 경우, 상기 제 1소화 물질 공급기(415)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1유량 센서(416)에서 상기 제 1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1회전기(512)를 사용하여 상기 제 1도어(511)를 개방하여 상기 제 1수용판(510)에 수용된 상기 제 1소화 물질을 낙하시킨다.
또한 제어부(420)는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유류 화재인 경우, 상기 제 2소화 물질 공급기(520)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2유량 센서(416)에서 상기 제 2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2회전기(522)를 사용하여 상기 제 2도어(521)를 개방하여 상기 제 2수용판(520)에 수용된 상기 제 2소화 물질을 낙하시킨다.
또한 제어부(420)는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보통 화재인 경우, 상기 제 3소화 물질 공급기(415)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3유량 센서(416)에서 상기 제 3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3회전기(532)를 사용하여 상기 제 3도어(531)를 개방하여 상기 제 3수용판(530)에 수용된 상기 제 3소화 물질을 낙하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구에 화재 진압벽이 더 설치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공동구(100)의 내부 공간 천정(101)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을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에 구비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부(700)를 구비한다.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을 이동시키는 이동부(800)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800)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 중 한 쌍의 화재 진압벽(600)을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화재 진압벽(600) 사이에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이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화재 진압벽(600)에 구비되는 상기 소화부(700)를 사용하여 소화수를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에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소화부(700)는,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의 내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소화 유로(미도시)와,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와 각각 연결되는 분사 노즐들(720)과,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와 각각의 튜브(711)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소화수를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로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730)를 포함한다.
상기 각각의 튜브(711)에는 밸브(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20)는,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 측에 노출되는 소화 유로와 연결되는 해당 튜브(711)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 측에 노출되는 소화 유로로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공동구(100)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는, 레일(R)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의 일단은, 상기 레일(R)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이동부(800)는, 상기 레일(R)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을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들(810)을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600) 각각은, 상기 레일(R)에 연결되는 기준 화재 진압벽(610)과, 상기 기준 화재 진압벽(610)의 하단에 다단을 이루어 승강되도록 연결되는 돌출 화재 진압벽들(620, 630)과, 제어부(4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돌출 화재 진압벽들(620, 630)을 승강시키는 다른 승강 실린더들(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R)은 상술한 제 1,2,3소화 장치(410, 410', 410")가 배치된 영역 이외의 영역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공동구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화재의 원인을 즉시 확인하고, 화재 원인에 따라 소화가 가능한 소화 물질을 자동으로 설정하여 안전한 소화를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공동구의 내벽에 격자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격자 영역에 서로 다른 종류의 소화 물질을 구비하는 소화 물질 제공부를 더 구비하고, 화재가 발생됨에 따른 원인이 파악되는 경우 즉시 해당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소화 물질을 살포하도록 해당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공동구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즉시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영역을 지정한 이후에 공동구에서 이동 가능한 화재 진압벽들을 이동시켜 화재 영역을 밀폐하고, 화재 진압벽에서 소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즉시 진압하여 화재가 공동구의 외부로 확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 : 전기설비
2 : 유류설비
100 : 공동구
200 : 화재 감지부
300 : 화재 원인 감지부
400 : 화재 진압부
500 : 수용판들

Claims (4)

  1. 공동주택단지에 마련되며, 전기설비와 유류설비가 구비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는 공동구;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전기 설비의 동작 상태 및 상기 유류 설비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기 화재 또는 유류 화재 또는 상기 전기설비와 유류설비의 동시 이상 작동에 따른 보통 화재 중 어느 하나의 화재 원인을 감지하는 화재 원인 감지부; 및,
    상기 공동구에 구비되며, 서로 다른 소화 물질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소화 물질들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 진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재 진압부는,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의 천정에 배치되는 다수의 소화 장치와,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소화 장치는, 상기 서로 다른 소화 물질을 분사하고,
    상기 서로 다른 소화 장치는, 상기 전기 화재를 진압하는 제 1소화 물질을 갖는 제 1소화 장치와, 상기 유류 화재를 진압하는 제 2소화 물질을 갖는 제 2소화 장치와, 상기 보통 화재를 진압하는 제 3소화 물질을 갖는 제 2소화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천정에는, 하부가 개방되는 대기홈이 형성되고, 상기 대기홈에는,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제 1,2,3소화 장치가 구획되어 수용되는 대기 공간들이 형성되는 케이스가 설치되고, 상기 대기 공간들 각각의 내부 천정에는 승강되는 승강축을 갖는 승강 실린더들이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 1,2,3소화 장치의 상단은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승강축의 하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제 1,2,3소화 장치를 승강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2,3소화 물질 중, 상기 감지되는 화재 원인에 따라 미리 설정된 소화 물질에 해당되는 소화 물질을 선정하고, 상기 제 1,2,3소화 장치 중, 선정된 소화 물질에 해당되는 소화 장치를 사용하여 해당 소화 물질을 상기 화재가 발생된 영역에 분사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강 실린더들 각각의 승강축은,
    한 쌍의 단위 승강축과, 상기 한 쌍의 단위 승강축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단과, 상기 힌지단에 연결되는 축 방식으로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2,3소화 장치 각각에는, 상기 화재 발생에 따른 화재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화재가 발생된 화재 위치 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위치 정보에 소화 물질을 분사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2,3소화 장치의 자세를 가변시키고,
    상기 공동구의 천정에는, 격자 형상의 다수의 설치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설치 영역 각각에는, 수용판들이 배치되고,
    상기 수용판들은, 상기 제 1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1수용판들과, 상기 제 2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2수용판들과, 상기 제 3소화 물질이 수용되는 제 3수용판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수용판들에는, 힌지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1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1도어를 개방하는 제 1회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수용판들에는, 힌지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2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도어를 개방하는 제 2회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3수용판들에는, 힌지 방식을 통해 회전 개폐되는 제 3도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3도어를 개방하는 제 3회전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소화 장치는 제 1튜브와 연결되는 제 1소화물질 공급기를 통해 상기 제 1소화 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제 2소화 장치는 제 2튜브와 연결되는 제 2소화물질 공급기를 통해 상기 제 2소화 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제 3소화 장치는 제 3튜브와 연결되는 제 3소화물질 공급기를 통해 상기 제 3소화 물질을 공급받고,
    상기 제 1튜브에는 제 1유량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 1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2튜브에는 제 2유량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 2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 3튜브에는 제 3유량센서가 설치되어 상기 제 3소화물질의 유량을 측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전기 화재인 경우, 상기 제 1소화 물질 공급기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1유량 센서에서 상기 제 1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1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1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1수용판에 수용된 상기 제 1소화 물질을 낙하시키고,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유류 화재인 경우, 상기 제 2소화 물질 공급기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2유량 센서에서 상기 제 2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2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2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2수용판에 수용된 상기 제 2소화 물질을 낙하시키고,
    상기 화재 원인이 상기 보통 화재인 경우, 상기 제 3소화 물질 공급기를 작동 시키고, 상기 제 3유량 센서에서 상기 제 3소화 물질의 유량이 측정되지 않으면, 상기 제 3회전기를 사용하여 상기 제 3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제 3수용판에 수용된 상기 제 3소화 물질을 낙하시키고,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 양측벽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며, 수평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신축 가능한 다수의 화재 진압벽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에 구비되며,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을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감지되는 경우, 상기 이동부를 사용하여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 중 한 쌍의 화재 진압벽을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화재 진압벽 사이에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이 위치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한 쌍의 소화부에 구비되는 상기 소화부를 사용하여 소화수를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에 분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소화부는,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의 내부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소화 유로와,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의 양측부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와 각각 연결되는 분사 노즐들과,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와 각각의 튜브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소화수를 상기 한 쌍의 소화 유로로 공급하는 소화수 공급기를 포함하되,
    상기 각각의 튜브에는 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 측에 노출되는 소화 유로와 연결되는 해당 튜브에 설치된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화재가 감지된 영역 측에 노출되는 소화 유로로 소화수를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공동구의 내부 공간의 양측벽에는, 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의 일단은, 상기 레일에 연결되어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레일에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을 이동시키는 리니어 모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벽 각각은,
    상기 레일에 연결되는 기준 화재 진압벽과,
    상기 기준 화재 진압벽의 하단에 다단을 이루어 승강되도록 연결되는 돌출 화재 진압벽들과,
    상기 돌출 화재 진압벽들을 승강시키는 승강 실린더들을 구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220134104A 2022-10-18 2022-10-18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2597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04A KR102597654B1 (ko) 2022-10-18 2022-10-18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4104A KR102597654B1 (ko) 2022-10-18 2022-10-18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7654B1 true KR102597654B1 (ko) 2023-11-02

Family

ID=88747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4104A KR102597654B1 (ko) 2022-10-18 2022-10-18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7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75B1 (ko) 2001-10-20 2004-08-21 원철희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KR102232707B1 (ko) * 2020-07-24 2021-03-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복합 소화 시스템
KR102343035B1 (ko) * 2021-04-16 2021-12-24 (주)엠에스제이텍 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75B1 (ko) 2001-10-20 2004-08-21 원철희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KR102232707B1 (ko) * 2020-07-24 2021-03-26 주식회사 스탠더드시험연구소 복합 소화 시스템
KR102343035B1 (ko) * 2021-04-16 2021-12-24 (주)엠에스제이텍 주택 단지에 구비되는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CN107633640A (zh) 消防联动控制系统
JP4554617B2 (ja) 火災を防止し消火するための装置
ES2277243T3 (es) Procedimiento para la proteccion contra incendios y explosiones en almacenes de estantes elevados donde se almacenan productos quimicos peligrosos y almacen de estantes elevados asi protegido.
CN203809048U (zh) 电力隧道防火门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PL195429B1 (pl) Sposób prowadzenia procesu w atmosferze gazu obojętnego z użyciem bufora azotowego i urządzenie do stosowania tego sposobu
CN107715358A (zh) 火灾自动报警系统
JP2023161072A (ja) 水素ステーションの防災設備
ITGE20060068A1 (it) Impianto antincendio "s.p.i.s." (sistema di protezione interna a schiuma) per la protezione di gallerie ferroviarie.
KR102597654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확산 방지 장치
KR101057450B1 (ko) 방화셔터를 갖춘 지중전선 보호관
CN113237992A (zh) 一种电力电缆燃烧试验装置及方法
CN113972618A (zh) 一种应用于变电站的改进型防火电缆沟
CN112717304A (zh) 一种电缆沟液氮灭火车辆系统
KR102465278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진압 소방구조물
CN104740807A (zh) 氮气灭火系统
CN110556720B (zh) 一种可升降的弱电箱及弱电井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2571452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CN111583745A (zh) 一种模块化可重构真火训练设施用的训练方舱
KR200297747Y1 (ko) 다선출력 화재감지기 및 포소화약제를 이용한 구역차단식지하공동구 화재진압시스템
CN206769880U (zh) 一种正压防爆司钻房
CN110792466A (zh) 煤矿火区下开采的防灭火方法
KR102299050B1 (ko) 공동주택 공동구 화염 진압 소방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