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447Y1 - 스폿 전구 - Google Patents

스폿 전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447Y1
KR0123447Y1 KR2019930021719U KR930021719U KR0123447Y1 KR 0123447 Y1 KR0123447 Y1 KR 0123447Y1 KR 2019930021719 U KR2019930021719 U KR 2019930021719U KR 930021719 U KR930021719 U KR 930021719U KR 0123447 Y1 KR0123447 Y1 KR 01234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t
glass sphere
bulb
conductive line
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7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585U (ko
Inventor
전종득
Original Assignee
전종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종득 filed Critical 전종득
Priority to KR20199300217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447Y1/ko
Publication of KR9500125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58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4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44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9/00Lamps having two or more incandescent bodies separately heat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KELECTRIC INCANDESCENT LAMPS
    • H01K1/00Details
    • H01K1/28Envelopes;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21V19/003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 F21V19/0035Fastening of light source holders, e.g. of circuit boards or substrates holding light sources the fastening means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attaching of an other part, e.g. a housing portion or an optical component

Landscapes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폿전구(Spot Lam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구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미세전구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전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스폿전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국부영역을 집중조명하는 스폿전구에 있어서, 배면에 반투명 착색부(10)를 갖는 하나의 유리구(1)와, 상기 유리구(1)의 배면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한쌍의 단자선(40)이 매입되어 있는 스템(4)과, 상기 유리구(1)내에 배치되며 각각은 하나의 필라멘트(20)와 각 필라멘트를 인접 미세전구의 필라멘트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22)을 갖는 다수의 미세전구(2)와, 전면에 상기 미세전구(2)의 빛이 반사되어 설정된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31,51)이 코팅되고, 배면에 양극 도전라인(50)과 음극 도전라인(50)이 교대로 다수의 동심원 패턴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구 내의 스템(4)으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단자선(40)이 상기 양극 및 음극 도전라인(5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2)의 리드선(22)이 상기 양극과 음극 도전라인(50)에 병렬로 연결되는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3,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폿 전구(Spot Lamp)
본 고안은 스폿전구(Spot Lamp)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리구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미세전구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전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스폿전구에 관한 것이다.
스폿전구는 스포트라이트(Spot Light), 또는 투광 조명등(Flood Light)으로 불리어지기도 하며, 일방향으로 집중조명되는 집광등의 일종이다.
종래의 스폿전구는 유리구 내부의 하부에 불투명 착색부를 가지며 내부에 설치된 필라멘트에 의해 발광시키는 전구이다. 이러한 스폿전구는 불투명 착색부를 제외하면 그의 내부구조는 일반적인 백열전구와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스폿전구는 일정방향으로 장시간 집중조명하는 용도로 주로 사용하므로 가능한한 최대의 수명을 보장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스폿전구 또는 백열전구의 수명은 약 5,000-7,000시간이다.
이와 같은 스폿전구에 요구되는 장수명화를 도모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구조는 다수의 미세전구를 직렬로 연결시켜 유리구 내에 내장시키는 것이다. 이 경우 각 미세전구의 발광원을 필라멘트로 하되, 어느 하나의 미세전구에 대한 필라멘트가 소단(燒斷)되면, 별도의 도통부재에 의해 다른 필라멘트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직렬로 연결된 미세전구들의 필라멘트가 차례로 끊어져도 다른 끊어지지 않은 미세전구는 계속하여 빛을 발하게 된다.
상기한 도통부재는 필라멘트의 소단순간 소전구 내부의 화학적 작용에 의하여 쉽게 전류가 흐르는 재질에 의해 구성되며, 미합중국 특허 제3,479,548호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한 기술적 원리를 응용하여 다수의 소전구를 직렬연결한 뒤 유리구 내부에 배치한 세장형 비상 조명등을 본 고안자에 의해 이미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세장형 조명등은 스폿전구의 구조로서 부적합하므로 본 고안자는 상기한 다수의 미세전구를 일반적인 오뚜기형 전구에 내장시킨 형태로서 구현하고자 한다.
즉, 스폿전구가 갖는 짧은 수명을 미세전구 집합체에 의하여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미세전구 집합체를 백열전구 또는 스폿전구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미세전구 집합체의 지지방법을 종래와 같이 스템에서 연장된 지지선에 의존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그것은 지지선에 의하여 미세전구 집합체가 지지되더라도 운반이나 이동중에 흔들림에 의해 미세전구 내부의 필라멘트는 물론 전원선이 쉽게 단선되어 수명이 급격하게 떨어질 뿐아니라 유리구 내부의 배치구조가 불안정하여 외관 유리구의 접촉파손의 위험성이 있으며, 외관산으로도 내장된 미세전구가 조악하게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단일라인의 텅스텐 필라멘트를 발광원으로 하는 전구에 있어서는 광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최근 클립톤(Clipton) 가스 봉입상태에서 필라멘트를 발광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클립톤 가스에 의하여 어느정도의 밝기는 향상되었으나 클립톤 가스를 일반 백열전구의 내부에 필요한 매질로 봉입할 경우 클립톤 가스가 갖는 가격상의 문제로 인하여 전구 자체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송중에도 유리구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미세전구를 안정되게 지지하여 전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스폿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스폿전구의 수명연장과 동시에 저렴한 비용으로 광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스폿전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폿전구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요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미세전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일부절단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수직방향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폿전구의 주요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지지판의 저면도,
제7도는 제5도의 수직방향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유리구 2:미세전구
3,5:지지 플레이트 4:스템
10:반투명 착색부 20:필라멘트
21:도통부재 22:리드선
30:단자구멍 31:반사면
40:단자선 41:지지선
42:연장돌기 50:양극/음극 도전라인
51:반사면 52:단자구멍
53:고정구멍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국부영역을 집중조명하는 스폿전구에 있어서, 배면에 반투명 착색부를 갖는 하나의 유리구와, 상기 유리구의 배면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한쌍의 단자선이 매입되어 있는 스템과, 상기 유리구 내에 배치되며 각각은 하나의 필라멘트와 각 필라멘트를 인접 미세전구의 필라멘트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을 갖는 다수의 미세전구와, 전면에 상기 미세전구의 빛이 반사되어 설정된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이 코팅되고, 배면에 양극 도전라인과 음극 도전라인이 교대로 다수의 동심원 패턴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구 내의 스템으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단자선이 상기 양극 및 음극 도전라인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의 리드선이 상기 양극과 음극 도전라인에 병렬로 연결되는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전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는 좀더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템으로부터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선 및/또는 스템의 연장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에 밝기를 개선하기 위하여 클립톤 가스를 미량 봉입하면, 백열전구 유리구 전부에 봉입할 때에 비하여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밝기를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유리구 내부에 다수의 미세전구를 효과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스폿전구의 수명을 크게 연장함과 동시에 클립톤 가스의 봉입에 의해 효과적인 램프의 밝기도 개선되었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제1도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폿전구를 보여주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고안의 요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미세전구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일부절단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의 수직방향 단면도이다.
먼저 제1도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국부영역을 집중조명하는 스폿전구는 배면에 반투명 착색부(10)를 갖는 하나의 유리구(1)와, 상기 유리구(1)의 배면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한쌍의 단자선(40)이 매입되어 있는 스템(4)과, 상기 유리구(1) 내에 배치되며 각각은 하나의 필라멘트(20)와 각 필라멘트를 인접 미세전구의 필라멘트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22)을 갖는 다수의 미세전구(2)와, 전면에 상기 미세전구(2)의 빛이 반사되어 설정된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31)이 코팅되고, 배면에 상기 유리구 내의 스템(4)으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단자선(40)이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2)의 리드선(22)이 고정되는 다수쌍의 단자구멍(30)에 공통접속된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3)는 좀더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템(4)으로부터 뻗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선(41)이 상기 단자선(40)과 다른각도에서 지지 플레이트(3)를 지지하고 있다.
상기 미세전구(2)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그 내부에 하나의 필라멘트(20)와 도통부재(21)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필라멘트(20)의 양단으로부터 외부로 한쌍의 리드선(22)이 인출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2)는 밝기를 개선하기 위하여 클립톤 가스가 미량봉입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폿전구는 스템(4)으로부터 연장된 한쌍의 단자선(40)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리드선(22)에 의해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3)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며,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3)에 다수의 미세전구(2)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단자선(40)과 연결되므로 전기적인 단선이 쉽게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한 지지 플레이트(3)의 전면에 코팅된 반사면(31)과 유리구(1)의 배면에 코팅된 반투명 착색부(10)에 의해 미세전구(2)에서 생성된 빛이 전면으로 조사되게 된다.
한편 제5도에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폿전구의 주요부에 대한 발췌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제6도에는 제5도에 도시된 지지판의 저면도, 제7도에는 제5도의 수직방향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폿전구는 배면에 반투명 착색부(10)를 갖는 하나의 유리구(1)와, 상기 유리구(1)의 배면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한쌍의 단자선(40)이 매입되어 있는 스템(4)과, 상기 유리구(1) 내에 배치되며 각각은 하나의 필라멘트(20)와 각 필라멘트를 인접 미세전구의 필라멘트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22)을 갖는 다수의 미세전구(2)를 포함한다.
이 경우 제2실시예에서는 제6도 및 제7도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5)가 전면에 상기 미세전구(2)의 빛이 반사되어 설정된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51)이 코팅되고, 배면에 양극 도전라인(50)과 음극 도전라인(50)이 교대로 다수의 동심원 패턴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구 내의 스템(4)으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단자선(40)이 상기 양극 및 음극 도전라인(50)에 각각 납땜으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2)의 리드선(22)이 각각 단자구멍(52)을 통하여 상기 양극과 음극 도전라인(50)에 병렬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디스크형 플레이트(5)는 좀더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템의 연장돌기(42)가 중앙부의 고정구멍(53)을 관통하여 단부가 용융결합되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2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5)의 구조는 제1실시예에 따른 지지 플레이트(3) 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단자선(40)의 노출이 크게 줄어들게 되어 지지 플레이트(5)에 대한 물리적/전기적 안정성이 향상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유리구 내부에 다수의 미세전구를 효과적으로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어 스폿전구의 수명을 크게 연장함과 동시에 반사면과 클립톤 가스의 봉입에 의해 효과적인 램프의 밝기도 개선되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국부영역을 집중조명하는 스폿전구에 있어서, 배면에 반투명 착색부(10)를 갖는 하나의 유리구(1)와, 상기 유리구(1)의 배면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뻗어 있으며 그 내부에 외부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한쌍의 단자선(40)이 매입되어 있는 스템(4)과, 상기 유리구(1)내에 배치되며 각각은 하나의 필라멘트(20)와 각 필라멘트를 인접 미세전구의 필라멘트에 연결하기 위한 리드선(22)을 갖는 다수의 미세전구(2)와, 전면에 상기 미세전구(2)의 빛이 반사되어 설정된 영역에 집중시키기 위한 반사면(51)이 코팅되고, 배면에 양극 도전라인(50)과 음극 도전라인(50)이 교대로 다수의 동심원 패턴을 형성하며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유리구 내의 스템(4)으로부터 뻗어 있는 한쌍의 단자선(40)이 상기 양극 및 음극 도전라인(50)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되고,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2)의 리드선(22)이 상기 양극과 음극 도전라인(50)에 병렬로 연결되는 디스크형 지지 플레이트(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형 플레이트(5)는 좀더 안전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스템의 연장돌기(4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전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미세전구(2)는 클립톤 가스가 미량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폿전구.
KR2019930021719U 1993-10-21 1993-10-21 스폿 전구 KR01234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719U KR0123447Y1 (ko) 1993-10-21 1993-10-21 스폿 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719U KR0123447Y1 (ko) 1993-10-21 1993-10-21 스폿 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85U KR950012585U (ko) 1995-05-17
KR0123447Y1 true KR0123447Y1 (ko) 1998-09-15

Family

ID=19366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719U KR0123447Y1 (ko) 1993-10-21 1993-10-21 스폿 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44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75B1 (ko) * 2001-10-20 2004-08-21 원철희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575B1 (ko) * 2001-10-20 2004-08-21 원철희 지하공동구의 방화구획 내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585U (ko) 1995-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9746B2 (en) Light-emitting unit and illuminator utilizing the same
US6257740B1 (en) Lamp for use in light strings
US7049735B2 (en) Incandescent bulb and incandescent bulb filament
US20100246188A1 (en) lighting apparatus
KR0123447Y1 (ko) 스폿 전구
KR100304762B1 (ko) 전구형 엘이디 교통신호등
US6709140B2 (en) Vehicle headlamp unit and vehicle headlight with the headlamp unit
US4302698A (en) Dual-filament halogen incandescent lamp, particularly sealed-beam, automotive headlight
US20020047523A1 (en) High-pressure discharge lamp
JPH03101049A (ja) 白熱ランプ
CN112082097A (zh) 电路板支撑led灯丝发光组件及led灯丝灯具
US4748368A (en) Three way gas discharge lamp
JP4785038B2 (ja) 口金付ledバルブ
CN213177739U (zh) 一种基于印刷电路的led灯芯
KR200321330Y1 (ko) 다수 발광점을 갖는 장(長)형 저볼트 할로겐램프
KR200242880Y1 (ko) 전구
KR200496006Y1 (ko) 차열판이 설치된 메탈 할라이드 램프
JP2004523070A (ja) 電気ランプ
CN209991228U (zh) 一种灯丝灯
JPS62103962A (ja) 白熱電灯
HU203615B (en) Electric incandescent lamp
RU2220478C2 (ru) Источник света
KR200274256Y1 (ko) 장식용 전구
JPH025579A (ja) Ledランプ
KR200216980Y1 (ko) 전구식 형광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