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2411A -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고정을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고정을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2411A
KR20010102411A KR1020017010937A KR20017010937A KR20010102411A KR 20010102411 A KR20010102411 A KR 20010102411A KR 1020017010937 A KR1020017010937 A KR 1020017010937A KR 20017010937 A KR20017010937 A KR 20017010937A KR 20010102411 A KR20010102411 A KR 20010102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identification
sheet
feed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0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인하르트 비트버
Original Assignee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페슐레거,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코페슐레거
Publication of KR20010102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241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7/00Switches operated by a removable member, e.g. key, plug or plate; Switches operated by setting members according to a single predetermined combination out of several possible se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63Ignition switch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8Electronic key extraction preven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889For automotive vehicles
    • Y10T70/5956Steering mechanism with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915Tampering prevention or attack defeating
    • Y10T70/7955Keyhole guar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70Operating mechanism
    • Y10T70/7441Key
    • Y10T70/7915Tampering prevention or attack defeating
    • Y10T70/7955Keyhole guards
    • Y10T70/7977Key-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80Parts, attachments, accessories and adjuncts
    • Y10T70/8432For key-operated mechanism
    • Y10T70/8649Keyhole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 고정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장치는 하우징 내에 식별 공급기를 삽입하기 위한 시이트를 갖는다. 상기 시이트의 내부에 배치된 고정 부재는 식별 공급기의 측면 인덴트 내로 결합된다. 상기 시이트의 개구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은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된다. 작동이 보장된 경제적인 디자인을 제조하기 위해, 커버 부재는 회전가능한 플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랩은 식별 공급기에 의해 시이트의 개구를 커버하는 외향 회전 위치로부터 시이트의 내부에 있는 내향 회전 위치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플랩은 앞면에 식별 공급기용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는 돌출부를 갖는다. 플랩의 내향 회전 운동을 위해서는 시이트의 옆에 하나의 리세스가 배치된다. 상기 식별 공급기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 플랩의 돌출부는 식별 공급기의 윤곽에 부딪치고 상기 윤곽은 임시적으로 과회전 위치로 역회전한다. 윤곽을 형성하는 제어면은 효과적인 차단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차단 위치는 플랩의 내향 회전 위치를 위한 공간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플랩의 돌출부를 식별 공급기의 인덴트 내에 확실하게 결합된다.

Description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 고정을 위한 장치 {DEVICE FOR RECEIVING AND HOLDING AN IDENTIFICATION PROVIDER, SUCH AS AN ELECTRONIC KEY, ESPECIALLY FOR AN IGNITION-STARTER SWITCH}
독일 특허 공개 공보 제 DE 198 36 968 A1호에 공지된 전자식 키와 상호 작용하는 기동 스위치에서, 하우징 내에 제공된 시이트의 개구를 위한 커버 부재로서 종판을 갖는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시프트가 사용된다.
상기 시프트는 축방향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고 제한 스토퍼에 의해 배출 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배출 위치에 개구가 폐쇄된다. 시이트는 하우징 내부의 회전자 내에 배치된다. 키가 삽입될 경우 상기 회전자는 미리 정해진 정지 위치로부터 상이한 작업 위치로 전환되며, 상기 작업 위치에서 키는 시이트로부터 또다시 빼내질 수 없다. 이를 위해, 회전자의 레이디얼 보어 내에 가이드된 고정핀이 사용되며, 상기 고정핀은 회전자의 정지 위치에서 벗어난 회전시 삽입된 키에서 직경 방향 리세스 내에 결합됨으로써, 키를 회전자 내의 삽입 위치에 고정한다. 상기 키가 정지 위치에 있을 때에만 고정핀은 서로에 대해 방사 방향으로 멀리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동 스위치에서 키를 위한 고정 부재 및 시이트의 개구를 위한 커버 부재는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설치되어야만 하는 별도의 부품들이다.
관련 폐쇄 실린더 내에 종래의 워드(ward) 및 텀블러(tumbler)를 갖는 기계식 키에서, 상기 키는 폐쇄 실린더 내에 삽입된 키가 회전한 후에는 폐쇄 실린더로부터 더 이상 빼내질 수 없다. 상기 키는 폐쇄 실린더의 스타팅 위치에서만 삽입되거나 빼내질 수 있었다. 이러한 효과는 바람직하다. 원격 조종 전자식 키에서도 이러한 효과는 없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전자식 식별 공급기와 상호 작용하는 청구항 1항의 서문에 제시된 방식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조종간 로킹 장치 및/또는 기동 스위치로부터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배치될 수 있지만, 기계식 결합 또는 전기식 결합에 의해 이와 같은 결합체와 상호작용한다. 그러나, 상기 장치는 이러한 결합체 중 하나 또는 두 개와 조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체에 자동차의 시동을 위한 별도의 핸들이 제공될 수 있는데, 상기 핸들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기동 스위치 및/또는 조종간 로킹 장치와 작용 결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및 키로서 형성된, 시이트를 삽입하기 전의 키로서 형성된 식별 공급기의 종단면도이고,
도 2a는 시이트 내에 키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 1에 상응하는 도이며,
도 2b는 도 1에서 도 2a로 전환되는 상태에 대한 도이고,
도 3a+3b는 도 2a의 돌출한 절단선 IIIa-IIIa을 따라 절단된, 키의 서로 상이한 2개의 회전 위치에 삽입된 키를 갖는 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 또는 2에 상응하는 장치의 대안적인 형태를 나타낸 도이고,
도 5는 도 4의 절단선 V-V을 따라 절단된, 자물쇠의 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와 유사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 도이고,
도 7은 자동차용 전기 기동 스위치 및 전기 로킹 장치와 결합되어 있는 키 홀더로서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 4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며,
도 8은 도 7에 따라 형성된, 키를 삽입하기 전의 장치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부품의 평면도이며,
도 10a+10b는 장치 내부에 제공된 차단 효과가 있는 부품의 상이한 2개의 위치에 삽입된, 키로서 형성된 식별 공급기에서 장치의 부분에 대한 도 8에 상응하는 도이고,
도 11은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 도 7 내지 10b의 실시예에 도시된 전자식 키 대신 사용될 수 있는, 체크 카드와 같은 플레이트의 형태로 형성된 식별 공급기의 측면도이며,
도 12은 도 11에 도시된 다른 형태의 식별 공급기를 삽입하기 전에, 도 8 내지 10b에 도시된 장치 및 도 9와 유사한 부품 평면도에 대한 대안적인 실시예이고,
도 13은 대안적으로 형성된 장치의 부분에 대한, 도 8과 유사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가로 제조될 수 있는 청구항 1항의 서문에 제시된 방식의 고장이 나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하기에 다루어질 청구항 1항의 특징부에 제시된 처리에 의해 달성된다.
플랩은 탄성력에 의한 부하를 받는다. 따라서, 실선으로 표시된 전자식 키에서 플랩은 폐쇄된 위치에 고정된다. 키를 삽입하고 빼낼 때 탄성력은 로킹 효과를 생성하며, 상기 로킹 효과는 삽입된 키와 플랩에 제공된 돌출부 간의 마찰 결합을 위해 제공된다. 내향 회전 위치에 존재하는 플랩에 대한 효과적인 차단 위치에서 제어면을 제어할 때 포지티브한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나서, 플랩에 제공된 돌출부는 전자식 키의 측면 워드 내로 삽입되어, 삽입된 위치를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플랩은 이중 기능을 갖는다. 상기 플랩은 우선 키가 빼내질 때 시이트의 개구를 폐쇄하는 커버 부재이다. 상기 플랩의 제 2 기능은 그것의 돌출부가 동시에 키를 위한 고정 부재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나타난다. 플랩은 키가 시이트로부터 빼내지는 것을 막아야만 하는 각각의 작업 위치에서 청구항 1항에 제시된 "과회전 위치"로 더 이상 이동될 수 없다는 사실만 염려하면 된다. 이를 위해, 과회전 위치로 계속 회전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제어면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부가의 처리 및 장점은 청구항, 하기 명세서 및 도면에 제시된다.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1 내지 도 3b의 제 1 실시예에는 장치(10)가 도시되며, 상기 도면에서 장치 하우징(11)은 식별 공급기(30)를 삽입하기 위한 시이트(12)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식별 공급기는 소위 "전자식 키"로서 형성되며 조종간 로킹 장치 및/또는 기동 스위치와 전자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이를 위해, 예컨대 하우징 내에 제공된트랜스폰더 코일(13)이 사용되며, 상기 트랜스폰더 코일(13)은 키(30) 내에 전자식으로 저장된 데이터를 전자기적으로 검출한다.
도 1 내지 3b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1)은 회전자(15) 및 고정자(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자는 실린더형 하우징 재킷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자(14)와 회전자(15) 사이에는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회전 스토퍼 이외에도 도 1에 도시된 로킹 부재(16)도 제공되며, 상기 로킹 부재(16)는 특정한 회전 위치에 있는 회전자(15)를 정해진 고정력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두 개의 회전 위치는 도 3a 및 3b에 도시된다. 도 3a에는 회전자(15)의 정지 위치가 도시되며, 상기 도면에서 키(30)에 제공된 섕크(shank)(31)를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의 도면에서 섕크(31)는 내부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되지 않고, 단지 선영으로 표시될 뿐이다. 상기 키(30)의 섕크(31)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 인덴트(indent)(32)를 가지며, 상기 인덴트(32)는 키의 넓은 측면에서 홀 또는 리세스로서 형성될 수 있지만, 하기에서는 항상 "인덴트"로 표기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키(30)는 소위 "전환 키" 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섕크(31)는 일치하는 2개의 직경 방향 인덴트(32)를 갖는다.
리세스(12)는 회전자(15) 내에 존재한다. 도 1에 따라 실선으로 표시된 키(30)에서 리세스(12)의 개구(17)는 폐쇄된다. 도 1의 회전 위치는 간단히 "외향 회전 위치"로 표기된다. 시이트(12)에는 플랩(20)을 위한 측면 리세스(40)가 제공된다. 시이트(12) 및 리세스(40)로 이루어진 공간은 개구(17)의 내폭에 대해 좁아진다. 이를 통해, 플랩(20)을 위한 내부 쇼울더(18)가 제조되며, 상기 내부 쇼울더(18)는 한편으로는 도 1에 도시된 플랩(20)의 외향 회전 위치를 위한 제한 스토퍼로서 작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플랩(20)의 회전축(21)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플랩(20)은 도 1에서 화살표(23)로 표시된 탄성력의 작용을 받는다. 상기 탄성력(23)은 회전축(21)에 배치된 2아암으로 형성된 나사선 코일 스프링(2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선 코일 스프링(24)은 도 1의 외향 회전 위치에서 플랩(20)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된다.
상기 플랩(20)의 앞면은 돌출부(2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22)는 키(30)의 측면 인덴트(32)에 매칭된 보완적인 프로필을 갖는다. 도 4의 제 2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22)는 회전축(21)에 대해 방사형 간격을 두고(26) 배치되고, 도 1에 따라 개구(17)의 종방향 중심으로, 다시 말해 도 1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장치의 축의 방향으로 놓인다. 상기 축(19)은 회전자(15)의 회전축이기도 하다.
도 1의 화살표(33) 방향으로 키(30)가 삽입될 때 플랩(20)은 도 2a에 따라 키(30)가 완전히 삽입될 때(20') 간단히 "내향 회전 위치"로 표기될 것이다. 여기서, 상기 플랩(20)은 시이트(12)의 내부로 작용하는 스프링 부하 작용(23)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상기와 같은 내향 회전 위치(20')에서 플랩은 단지 41로 표기된, 리세스(40)의 제 1 영역을 수용한다. 여기서, 플랩 돌출부(22)는 키(30)의 양 인덴트(32) 중 하나에 삽입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될 때(33), 플랩은 20''으로 표기된 위치 내로 역회전해야만 하기 때문에, 돌출부(22)는 더 큰 폭을 갖는 키 생크(31)의 윤곽(34)에 부딪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플랩(30)은 리세스(40)의 제 1 공간(41)을 통해 경계를 이루는 제 2 영역(42)으로 역회전되어야만 한다. 도 2b의 플랩이 부가로 역회전된 위치(22')는 하기에서 "과회전 위치"로 표기될 것이다.
도 2b에서 볼 수 있듯이, 리세스(40)는 회전자의 방사형 보어(43)에 있는 회전자(15) 내에 하우징 재킷(14)의 내부면(44)에까지 제공된다. 상기 보어(43) 내에는 제어 부재(35)가 제공되며, 상기 제어 부재(35)는 한 실시예에서 느슨한 고정핀(3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핀(35)은 내부면(44)의 방사형 외부 단부(36)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외부 단부(36)는 볼 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어(43)는 고정핀이 두꺼워진 헤드를 갖는 것과 같이 계단 모양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2b에서 37로 표기된, 상호 작용하는 제한 스토퍼가 제공된다. 상기 제한 스토퍼(37)에 의해 고정핀(35)은 도 2a에서 볼 수 있는 축 위치에 고정되며, 방사형 내부 단부(38)는 리세스(40)의 제 2 영역 내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핀 내부 단부(38)는 리세스(40)의 제 1 공간(41)에 대한 경계선에 놓여있다. 도 2a에서 볼 수 있듯이, 플랩의 내향 회전 위치(20')를 위해 필요한 공간(41)은 제한된다. 상기 고정핀(35)의 개별 축 위치는 하우징 재킷(14)의 내부면(44)의 프로필에 의해 정해지며, 상기 내부면(44)은 핀(35)을 위한 "제어면"인 것으로 증명된다.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회전자(15)는 삽입된 키(30)에 의해 도 3a에 도시된 정지 위치로부터 도 3b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부가의 작업 위치로 화살표(27)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내향 회전 위치(20')에 존재하는 플랩 및 고정핀(35)은 종동한다. 상기 하우징 재킷(14)의 제어면(44)의 프로필은 방사형홈(45)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사형 홈(45)에는 도 3a의 정지 위치에서 고정핀(35)의 외부 단부(36)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면(44)의 경계를 이루는 영역은 변형되지 않은 채로 남아있는, 하우징 재킷(14)의 중공 실린더 면(46)으로 형성됨으로써, "방사형 상승부"와 같이 작용한다. 도 3b의 작업 위치에서 고정핀(35)은 외부 단부(36)에서 방사형 상승부(46)의 앞에 이르게 됨으로서, 공간(42)을 통과하면서 돌출하는 위치에 폐쇄된다. 상기 고정핀(35)의 방사형 내부 단부(38)는 내향 회전 위치(20')에 존재하는 플랩에 지지되어, 도 2b의 과회전 위치(20'')에까지 부가로 회전 운동하는 것을 막는다. 이를 통해, 안쪽으로 회전된 플랩(20')의 돌출부(22)가 키 섕크(31)의 인덴트(32) 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면(44)의 공동 실린더 영역(46)은 고정핀(35)을 위한 효과적인 "차단 위치"를 만들어내며, 상기 고정핀(35)은 플랩을 내향 회전 위치(20')에 폐쇄시킨다.
회전자(15)가 도 3a의 정지 위치에 존재할때까지 상기 키(30)가 역 화살표(27')의 방향으로 다시 역 회전될 경우에, 상기 키(30)는 장치(10)로부터 다시 빼내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고정핀(35)의 방사형 외부 단부(36)에는 내부 그루우브(45)로서 형성된 제어면(44)의 방사형 홈이 제공된다. 상기 키(30)가 도 2b의 화살표(33')의 방향으로 빼내질 때 돌출부(22)는 인덴트(32)의 대각선 접촉면을 통해 방사형으로 멀리 가압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플랩은 과회전 위치(20'')에 이르게 된다. 상기 고정핀(35)은 외부 단부(36)에서 내부 그루우브(45) 내로 이동된다. 그리고 나서, 계속 회전된 플랩(20'')의 돌출부(22)가 키 섕크(31)의 윤곽(34)을 따라 부딪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자(15)의 정지 위치에서 고정핀은 "릴리스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상기 릴리스 위치에서 도 1 및 도 2b에 따른 고정핀(35)은 방사 방향으로 이동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장치(10)는 센서(39)를 가지며, 상기 센서(39)는 키 섕크(31)가 시이트(12) 내에 완전히 삽입될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상기 센서(39)는 예컨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슬라이딩 부재(39)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부재(39)는 바닥 개구를 통해 시이트(12) 내로 돌출하여, 도 1에 도시된, 키 섕크(31)의 앞면 단부의 이중 화살표의 방향으로 실선으로 도시된 "키 아웃"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도시된 "키 인" 위치에까지 역가압된다. 이는 도 2a에 구체적으로 도시된다.
도 4 및 5에 도시된, 장치(10)의 제 2 실시예는 도 1 내지 3b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자물쇠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단지 차이점 만을 설명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도 4와 도 5의 제 2 실시예에 도시된 장치(10)의 차이점은 무엇보다도, 별도의 느슨한 고정핀(35) 대신에 플랩(20)이 후면에 형성된 고정핀(25)을 갖는다는데 있다. 이 경우 플랩(20), 돌출부(22) 및 고정핀(25)으로 이루어진 유닛(50)이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는 유닛의 내향 회전 위치(50')가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이 경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회전자(15)가 정지 위치에 존재할 경우, 고정핀(25)의 방사형 외부 단부가 회전자(15)의 방사형 개구(43') 내로 돌출하여, 제어면(44)의 내부 그루우브(45)가 하우징 재킷(14)의 내부에 설치된다.
도 6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장치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6에서의 차이점은, 실선으로 도시된 외향 회전 위치에서 각각 시이트(12)를 위한 개구(17)의 절반을 커버하는 2개의 유닛(50)이 제공된다는 점이다. 상기 2개의 유닛(50)은 서로 분리된 회전축(21)을 가지며 전자식 키(30)가 서로에 대해 반사 대칭으로 삽입됨으로써 회전된다. 상기 2개의 유닛(50)은 도 6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내향 회전 위치(50')에 이르게 된다.
도 8 내지 10b에는 "키 홀더"로서 형성된 장치(10')가 도시되며, 상기 키 홀더(10')는 하우징 시이트(12)의 영역 내에 플랩(20)을 가지지만, 상기 시이트(12)는 고정될 수 있지만 회전자의 구성 부품은 아니다. 상기 키 홀더(10')는 도 7에 도시된 방식으로 부가의 결합체(51, 53)와 상호 작용한다. 기계식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을 지라도, 본 발명의 경우 상기 결합체(51, 53) 사이에는 전기 접속(47)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도 8에 따른 관련 하우징(11') 내에는 접속 콘택(48)이 존재한다.
도 7의 제 1 결합체(51)는 핸들(54)을 갖는 전기 기동 스위치로 이루어진다. 상기 핸들(54)은 도시되지 않은 자동차용 엔진의 시동을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핸들은 예컨대 회전 버튼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버튼은 도 7에 도시된 회전 작동 화살표(56)의 방향으로 핸들링된다. 키(30)의 정확한 삽입 위치는 키-인 콘택(49)에 의해 모니터링되며, 상기 콘택(49)의 콘택 아암은 이동 슬라이딩 부재(39)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키(30)가 삽입되기 전에 도 8에 따른 콘택(49)이 개방된다. 도 10a 및 10b에 따른 완전히 삽입된 키는 슬라이딩 부재를 콘택(49)을 폐쇄하는 위치(39') 내로 가압한다. 그리고 나서, 키(30)와 키홀더(10') 사이에서 전자기식으로 식별되며, 이는 예컨대 도 8에서 볼 수 있는 트랜스폰더 코일(13)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키(30)가 삽입될 때 플랩은 도 8에서 볼 수 있는 외향 회전 위치(20)로부터 내향 회전 위치(20')로 역 회전되며, 이에 따라 키 측의 인덴트(32)와 플랩 측의 돌출부(22)가 결합될 수 있다. 키(30)가 결합되거나 해체될 때 플랩(20)은 도 2b에 따른 과회전 위치 내로 단시간에 제공된다. 이 점에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기술된 바와 같다.
키 홀더(10')는 기계식 및/또는 전기식 연결(57)에 의해 전기식 조종 키 로킹 장치(53)에 연결된다. 상기 키(30)가 화살표(33)의 방향으로 자물쇠(10') 내로 삽입되지 않을 경우 상기 로킹 장치(53)는 로킹 부재(57)에 의해 도 7에 따른 조종간(29)를 로킹한다. 기동 스위치(51) 및 조종 키 로킹 장치(53)는 구조상으로 볼 때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8 내지 10b의 키 홀더와 미리 언급된 도 1 내지 6에 따른 자물쇠에 대한 변형(10)과의 차이점은, 제어면이 회전 구동된 편심기(60)의 제어 곡선(61, 62)으로 이루어지는데 있다. 도 9에서 잘 볼 수 있듯이, 편심기(60)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하우징(11') 내에 배치된 전동기(58)가 사용되며, 상기 전동기(58)는 워엄(59)에 의해 편심기(60)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 워엄 휠(63)을 구동시킨다. 상기 편심기(60)에 제공된 제어 곡선은 방사 방향으로 리세트된 곡선 섹션(61) 및 방사 방향으로 돌출한 곡선 섹션(62)을 포함하며, 상기 곡선 섹션(62)은 리세트된 섹션(61)에 직경 방향으로 마주놓여 있다. 통상적인 방식으로 편심기(60)는 도 8내지 10a에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리세트된 곡선 섹션(61)은 시이트(12)의 옆에서 홀(40)의 반대 방향으로 향한다. 그리고 나서, 편심기(60)는 도 10a에 도시된 플랩의 내향 회전 위치(20')에 대한 릴리스 위치에 제공된다. 그리고 나서, 장치(10)에 관련해서 이미 기술된 바와 같이, 키(30)가 자물쇠(10') 내에 삽입되거나(33) 자물쇠(10')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33').
키 없이는 도 7의 시동 작동기(51)는 아무런 작동을 할 수 없다. 왜냐하면, 자동차의 엔진이 작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범주에 따른 키가 키 홀더(10') 내로 삽입되면, 기동 스위치(51)에 의해 핸들(54)이 작동될 수 있다. 이는 키 코드를 위한 전자 평가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여기서, 언급된 결합체(51, 53)는 필수적인 방식으로 제어될 뿐만 아니라, 단계 모터(58)가 정해진 양으로 작동된다. 이를 통해, 편심기(60)는 방사 방향으로 돌출하는 곡선 섹션(62)이 내향 회전 위치(20')에 존재하는 플랩의 제어 캠(28) 앞에 도달할때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나서, 전동기(58)는 자동으로 멈춘다. 상기 편심기(60)의 회전 위치에서 안쪽으로 회전된 플랩(20')은 거기에 지지될 제어 캠(28)에 의해 키(30)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도 10b에 따라 편심기(60)의 효과적인 차단 위치가 존재하게 된다. 자동차 엔진이 작동되는 한, 키가 화살표(33')의 방향으로 빼내지는 것이 차단된다. 자동차 엔진의 작동이 멈출때야 비로소 키 배출 장치가 릴리스된다. 그리고 나서, 조종간(29)의 로킹이 결합체(53)에 의해 이루어진다. 편심기(60)를 도 10b의 블록킹 위치 또는 도 10a의 릴리스 위치 내에 고정시키기 위해, 로킹 부재(65)가 예컨대 구형 디텐트의 형태로 제공되며, 상기 로킹 부재(65)는 워엄 휠(63)의 하부 정면에 상응하는 디텐트 홈과 상호 작용한다.
도 11 및 도 12에는 키 홀더(10')의 변형 실시예가 도시된다. 부품을 표기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도면 부호가 사용되기 때문에, 어느정도 지금까지의 기술이 적용된다. 단지 차이점만 설명되는 것으로 충분하다.
미리 기술된 원격 조종 키(30) 대신 플레이트형으로 형성된 식별 공급기(30')가 사용된다는 데 차이점이 있으며, 상기 식별 공급기(30')는 소위 체크 카드의 포맷을 갖는다. 이러한 포멧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시이트(32')가 식별 공급기(30') 내에 제공된다. 상기 체크 카드(30')도 전환된 형태로 키 홀더(10') 내에 사용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체크 카드(30')의 양 평면에는 각각 2개의 리세스(32')가 제공된다. 도 12에 도시된 하우징(11')은 체크 카드(30')의 플레이트 포멧에 매칭된 개구(17)를 가지며, 상기 개구(17)는 플랩(20)의 외향 회전 위치 내에 폐쇄된다. 상기 플랩(20)은 앞면에 양 리세스(32')에 배치된 이중 돌출부(22)를 가지는 반면, 후면에서 볼 때 플레이트 중앙에 존재하는 제어 캠(28)이 배치된다. 이 경우, 시동 버튼이 작동됨에 따라 키 홀더(10') 내에 삽입된 편심기(60)의 체크 카드(30')에서 효과적인 위치와 비효과적인 위치 사이에서 도 10a 및 10b와 유사하게 제어된다.
도 13은 도 8에서 변형된 키 홀더(10')의 부분을 도시한다. 이에 따라, 단지 변형된 수단만이 편심기(60)를 제어하기 위해 도시된다. 도 7에 관련해서 이미 언급된 회전 핸들(54)은 기어 장치(52, 55)에 의해 편심기(60)에 연결되는데, 상기 회전 핸들(54)은 여기서 기동 스위치(51)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회전 핸들(54)은기어 휠(52)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기어 휠(52)은 기어 휠(55)과 결합된다. 상기 기어 휠(55)의 측면은 편심기(60)에 회전불가능하게 연결된다. 화살표(56) 방향으로의 회전 작동은 편심기(60)의 제어시 도 9에 도시된 곡선 섹션(61, 62)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Claims (11)

  1. 기동 스위치용 제어 샤프트 또는 기동 스위치(52)에 속한 전기 라인(47)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를 갖는 자동차 내에 고정된 하우징(11; 11')을 포함하며, 하우징은 식별 공급기(30; 30')가 삽입되기 위한 시이트(12)를 갖도록 형성되며,
    식별 공급기(30; 30')는 시이트(12) 내에 제공된 고정 부재용 측면 인덴트(32'; 32')를 가지며,
    시이트(12)에 속한 개구(17)는 하우징(11, 11') 내에서 스프링 부하를 받은 커버 부재에 의해 폐쇄되며, 상기 커버 부재는 식별 공급기(30; 30')가 삽입될 때(33) 탄성력(23)에 대해 역가압되도록 형성된,
    특히 자동차용 기동 스위치 및/또는 조종간 로킹 장치를 위한 전자식 키(30)와 같은 식별 공급기(30; 30')를 수용하고 고정시키기 위한 장치(10;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플랩(20)이며, 상기 플랩(20)은 개구(17)를 폐쇄하는 외향 회전 위치(20)로부터 식별 공급기(30; 30')에 의해 시이트(12)의 내부에 배치된, 개구를 릴리스하는 내향 회전 위치(20') 내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랩(20)은 그것의 앞면에 돌출부(2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22)는 -내향 회전 위치(20')에서- 식별 공급기(30; 30')의 측면 인덴트(32) 내로 삽입되고상기 식별 공급기(30; 30')를 위한 고정 부재로서 기능하며,
    상기 시이트(12)는 측면 인덴트(40)를 가지며,
    상기 플랩(20)은 식별 공급기(30; 30')를 삽입하거나 빼낼 때(33; 33') 식별 공급기(30; 30')의 윤곽(34) 위에 돌출부(22)가 부딪침으로써 내향 회전 위치(20')로부터 임시로 과회전 위치(20'')로 계속 역 회전할 수 있으며,
    내부 회전 위치(20') 내에 존재하는 플랩에 대해 제어면(44; 60)이 릴리스 위치(45; 61)와 차단 위치(46; 62) 사이에서 제어될 수 있으며,
    과회전 위치(20'')로 플랩(20)을 계속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공간(42)은 제어면(44; 60)의 릴리스 위치(45; 61) 내에서는 자유롭지만, 차단 위치(46; 62) 내에서는 차단됨으로써, 플랩의 돌출부(22)가 식별 공급기(30; 30')의 인덴트(32; 32') 내에 확실히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은 상기 시이트(12) 및 플랩(20)을 갖는 회전자(15)를 가지며,
    상기 회전자(15)는 고정가능한 하우징 재킷(14) 내에서 상기 식별 공급기(30)에 의해 정지 위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작업 위치로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면(44)은 하우징 재킷(14)의 내부면에 배치되어, 제어 부재(35; 25)와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제어 부재(35; 25)에 관련해서 볼 때- 정지 위치의 영역 내에서는 방사형 홈(45)을 가지고, 작업 위치 영역 내에서는 방사형 상승부(46)를 가지며,
    상기 제어 부재(35; 25)는 회전자(15) 내의 보어(43; 43')를 통해 돌출하며, 상기 보어(43; 43')에서 시이트(12)에 존재하는 플랩(20)이 고정되고 상기 플랩(20)은 -상기 식별 공급기(30)의 회전 위치에 따라- 플랩을 내향 회전 위치(20')에 차단시키거나 과회전 위치(20'')에까지 계속 회전하도록 릴리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35)는 축방향 제한 스토퍼(37) 사이에서 상기 회전자(15)의 보어(43) 내에 느슨하게 가이드되며,
    상기 제어 부재(30)는 -방사 방향 외부 단부(36)에 하우징 재킷(14) 내의 방사형 상승부(46)가 설치될 때- 자유로운 방사 방향 내부 단부(38)에 의해 리세스(40)의 각각의 공간(42) 내로 돌출하며, 상기 공간(42)은 플랩의 과회전 위치(20'')를 위해 필요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부재(25)는 상기 플랩(20)의 후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 부재(25)는 돌출부(22) 및 플랩(20)과 함께 플랩에 의해 이동가능한 공동의 유닛(50)을 형성하며,
    -유닛의 내향 회전 위치(50')로 볼 때- 상기 제어 부재(25)의 방사 방향 외부 단부(36)는 상기 회전자(15)의 방사형 개구(43') 내로 회전하여서, 상기 하우징 재킷(14)에 제공된 방사형 홈(45) 또는 방사형 상승부(46)와 함께 상호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항, 3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12)는 상기 하우징(11') 내에 고정될 수 있지만, 제어면은 회전 구동된 편심기(60)의 제어 커브(61, 62)로 이루어지며,
    상기 편심기(60)의 구동 장치(58)는 부가의 핸들(54)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편심기(60)를 적어도 2개의 정해진 회전 위치로 전환시키며,
    상기 편심기는 플랩(20)을 위해 정해진 리세스(40)의 옆에 있는 하우징(11') 내에 배치되고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곡선 섹션(62) 및 방사형으로 리세트되는 곡션 섹션(61)을 가지며,
    -핸들(54)의 작동에 따라- 상기 곡션 섹션(61, 62)은 제어 부재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으로 플랩을 내향 회전 위치(20')에 블록킹하고 상기 식별 공급기(30; 30')를 시이트(12) 내에 고정시키거나 플랩 및 식별 공급기(30; 30')를 릴리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12)는 블라인드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블라인드는 상기 식별 공급기(30; 30')를 삽입하거나 빼내기 위해(33; 33') 상기 식별 공급기(30; 30')의횡단면에 매칭된 개구(17)를 가지며,
    상기 블라인드는 내부 쇼울더(18)를 가지며, 상기 내부 쇼울더(18)는 플랩의 외향 회전 위치(29)를 위한 제한 스토퍼로서 작용하고 및/또는 상기 플랩(20)의 회전 베어링(21)을 커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1항 내지 6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공급기(30; 30')를 위한 고정 부재로서 사용되는 돌출부(22)는 상기 플랩(20)의 회전축(21)에 대해 방사형 간격을 두고(26)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2)는 -플랩의 외향 회전 위치(2)로 볼 때- 거의 상기 하우징(11)의 개구(17)의 종방향 중심(19)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1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20)은 다수의 돌출부(22)를 가지며, 상기 돌출부(22)의 다수의 리세스(32')는 상기 식별 공급기(30')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1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공급기(30')는 체크 카드 포멧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항 내지 10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이트(12)는 상기 하우징(11) 내에 다수의 플랩(20)을 가지며, 상기 플랩(20)은 분리된 회전축(21) 위에 배치되지만, 동일한 식별 공급기(30)에 의해 공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플랩(20), 바람직하게는 모든 플랩은 하나의 돌출부(22) 및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제어 부재(2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10937A 1999-02-25 2000-02-18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고정을 위한 장치 KR200101024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08085.2 1999-02-25
DE19908085A DE19908085C1 (de) 1999-02-25 1999-02-25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Halterung eines Identifikationsgebers, wie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insbesondere für einen Zündanlaßschalter und/oder eine Lenksäuleneverriegelung eines Motorfahrzeugs
PCT/EP2000/001315 WO2000051149A1 (de) 1999-02-25 2000-02-18 Vorrichtung zur aufnahme und halterung eines identifikationgebers, wie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insbesondere für einen zündanlassscha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2411A true KR20010102411A (ko) 2001-11-15

Family

ID=7898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0937A KR20010102411A (ko) 1999-02-25 2000-02-18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고정을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39762B1 (ko)
EP (1) EP1155427B1 (ko)
JP (1) JP2002538337A (ko)
KR (1) KR20010102411A (ko)
CN (1) CN1145996C (ko)
AT (1) ATE223107T1 (ko)
AU (1) AU760103B2 (ko)
BR (1) BR0008513A (ko)
DE (2) DE19908085C1 (ko)
ES (1) ES2177510T3 (ko)
WO (1) WO20000511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9733C2 (de) * 1999-08-21 2001-10-11 Huf Huelsbeck & Fuerst Gmbh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DE19951987C1 (de) * 1999-10-28 2001-06-28 Huf Huelsbeck & Fuerst Gmbh Schlüsselbetätigbarer Zündanlassschalter für Kraftfahrzeuge
DE10034350B4 (de) * 2000-07-14 2004-04-01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System zum Betrieb eines motorangetriebenen Kraftfahrzeugs
DE10147031B4 (de) * 2000-09-27 2012-11-29 Marquardt Gmbh Zündschloß für ein Kraftfahrzeug
US6731894B2 (en) * 2002-05-17 2004-05-04 Aetas Technology Inc. Protective shutter for a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a replaceable developer cartridge
EP1506107A4 (en) * 2002-05-23 2008-11-12 Methode Electronics Inc STEERING LOCK DEVICE
US7392675B2 (en) * 2002-11-08 2008-07-0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Slot mechanism and smart ignition system
DE10315023A1 (de) * 2003-04-02 2004-10-14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Fortbewegungsmittels und entsprechende Vorrichtung
US7277007B2 (en) * 2003-05-16 2007-10-02 Lear Corporation Keyless smart start system
FR2858433B1 (fr) * 2003-07-31 2006-07-14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e commande et antivol electronique pour vehicule automobile muni de ce dispositif
DE102004019919B3 (de) * 2004-04-21 2006-02-0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tarten eines Fahrzeugmotors mittels eines elektronischen Schlüssels und ein dazu zu verwendener Schlüssel
US20060053848A1 (en) * 2004-09-14 2006-03-16 Riad Ghabra Vehicle ignition lock
DE102005016649A1 (de) * 2005-04-12 2006-10-19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tarten und zum Betrieb eines Motors in einem Kraftfahrzeug
DE102005018494A1 (de) * 2005-04-21 2006-10-26 Daimlerchrysler Ag Fahrberechtigungssystem,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7730752B2 (en) * 2006-03-13 2010-06-08 Kawasaki Jukogyo Kabushiki Kaisha Theft prevention apparatus for leisure vehicle
DE102006023143A1 (de) * 2006-05-16 2007-11-22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Elektronischer Schlüssel
WO2007142405A1 (en) * 2006-06-07 2007-12-13 Eung Lyul Kim Steering lock device for coupling electronic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7334441B1 (en) * 2007-01-16 2008-02-26 Lear Corporation Electronic vehicle key and housing assembly
PL2017795T3 (pl) * 2007-07-18 2012-10-31 Iloq Oy Zamek elektromechaniczny
US8459072B2 (en) * 2008-08-27 2013-06-11 Shred-It International Inc. Security cover for a cylinder lock
US8482382B2 (en) * 2009-03-12 2013-07-09 Honda Motor Co., Ltd.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mart communication system for a vehicle
FR2962471A1 (fr) * 2010-07-06 2012-01-13 Valeo Securite Habitacle Lecteur d'identification pour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 volet a faible bruyance
ITTO20110402A1 (it) * 2011-05-06 2012-11-07 Giobert Spa Lettore di chiave elettronica di un veicolo
EP3832521A1 (en) * 2019-12-04 2021-06-09 Netatmo Smart lock having an electromechanical ke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81773C (ko) *
US419091A (en) * 1890-01-07 Charles d
US108099A (en) * 1870-10-11 Improvement in locks
US834918A (en) * 1906-01-23 1906-11-06 Paul K Lindgren Cylinder-lock and key therefor.
US1594297A (en) * 1922-01-13 1926-07-27 Rosa S Muzzio Cylinder lock
US1657402A (en) * 1927-03-29 1928-01-24 John F Daly Locking device
US2395762A (en) * 1942-01-02 1946-02-26 Rober Anton Padlock
US2906112A (en) * 1956-12-18 1959-09-29 American Hardware Corp Keyway shutters for cylinder locks
DE1962783A1 (de) * 1969-12-15 1971-06-24 Rudolf Eichenauer Lenkschloss fuer Kraftfahrzeuge
FR2481733A1 (fr) * 1980-04-30 1981-11-06 Sodex Magister Serrure a barillet comportant un volet basculant d'obturation du canal de cle
DE3330740A1 (de) * 1983-08-26 1985-03-14 Neiman GmbH, 5657 Haan Schloss
FR2552147B1 (fr) * 1983-09-16 1988-04-29 Fichet Bauche Cle pour serrure a cache d'entree mobile
DE3503660A1 (de) * 1985-02-04 1986-08-07 Fa. Wilhelm Karrenberg, 5620 Velbert Schliessvorrichtung mit schliesszylinder und flachschluessel
US4953420A (en) * 1989-09-29 1990-09-04 Clum Manufacturing Company, Inc. Key lock apparatus
US5189895A (en) * 1989-11-11 1993-03-02 Yoms Aktiengesellschaft Industrieprodukte Locking mechanism for motor vehicles
US5479800A (en) * 1992-10-19 1996-01-02 Fort Lock Corporation Plastic lock
US5335520A (en) * 1993-03-02 1994-08-09 Miko Lee Flat lock
US5467624A (en) * 1994-09-12 1995-11-21 Fort Lock Corporation Dust shutter assembly for locks
JP3408094B2 (ja) * 1997-02-05 2003-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DE19751805C1 (de) * 1997-11-24 1998-10-29 Daimler Benz Ag Elektronisches Zündschloßsystem,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19836968C2 (de) * 1998-08-14 2002-05-08 Huf Huelsbeck & Fuerst Gmbh Elektrischer Zündanlaßschalter für Motor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0008513A (pt) 2001-11-06
DE50000419D1 (de) 2002-10-02
EP1155427A1 (de) 2001-11-21
DE19908085C1 (de) 2000-06-21
US6539762B1 (en) 2003-04-01
AU760103B2 (en) 2003-05-08
CN1145996C (zh) 2004-04-14
CN1341266A (zh) 2002-03-20
ES2177510T3 (es) 2002-12-16
ATE223107T1 (de) 2002-09-15
EP1155427B1 (de) 2002-08-28
WO2000051149A1 (de) 2000-08-31
AU2805400A (en) 2000-09-14
JP2002538337A (ja) 2002-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102411A (ko) 기동 스위치용 전자식 키와 같은 식별 공급기의 수용 및고정을 위한 장치
EP1845223B1 (en) Key cylinder
US6327882B1 (en) Motor vehicle theft-deterrent steering lock
US5907963A (en) Lock assembly with a key-activated removable core structure
KR101124763B1 (ko) 전자 키를 이용한 차량 엔진 시동 장치 및 이를 위해사용될 키
US20060213240A1 (en) Electromechanical lock cylinder
DE10262209B4 (de) Lenkradschlosseinrichtung
EP0384648A1 (en) A Locking mehanism
US7823427B2 (en) Cylinder lock device
KR20060135886A (ko) 차량 도어, 차량 플랩 등에 사용하기 위한 로크
US8689593B2 (en) Anti-theft security device for vehicles
KR20040010346A (ko) 자동차 로킹 장치
US4947664A (en) Lock cylinder
US4905487A (en) Steering locking apparatus
GB1563368A (en) Motor vehicle theft protection arrangement
EP2163715B1 (en) Motor-driven lock with a rotary bolt
CN112004981B (zh) 机动车锁
US4018069A (en) Key-actuated barrel-type locks
KR20010075463A (ko) 자동차용 클로징 실린더
JP4028117B2 (ja) キーロック装置
CN107458344B (zh) 转向锁定装置
US6886381B2 (en) Actuating device for a lock, especially in a motor vehicle
US5868017A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s, particularly for vehicle doors
GB1570346A (en) Steering and ignition lock
JPH054421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