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8500A - 차량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8500A
KR20010098500A KR1020010019170A KR20010019170A KR20010098500A KR 20010098500 A KR20010098500 A KR 20010098500A KR 1020010019170 A KR1020010019170 A KR 1020010019170A KR 20010019170 A KR20010019170 A KR 20010019170A KR 20010098500 A KR20010098500 A KR 20010098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chart
data
spe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9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지리다카시
이토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가와구치 미츠오
다이토 엠이 가부시키가이샤
노지리 다카시
유겐가이샤 에스피기카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구치 미츠오, 다이토 엠이 가부시키가이샤, 노지리 다카시, 유겐가이샤 에스피기카쿠 filed Critical 가와구치 미츠오
Publication of KR20010098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8500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02Analysing tachograph ch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은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기록된 원반형상의 차트지로부터 차트지상에 기록된 주행속도, 주행거리 등을 포함하는 운행데이터를 판독하여 차량의 운행상황을 해석한다. 차트지에 기록된 주행속도, 주행거리 등의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차트지에 극좌표형식으로 인쇄되어 있는 시간축선, 주행거리눈금선 및 주행속도눈금선 등과 함께 이미지스캐너로 판독한다.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산출함과 동시에, 적어도 운행데이터기록선을 극좌표형식으로부터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인쇄출력한다. 또한 판독한 주행속도, 주행거리를 포함하는 운행데이터기록선으로부터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를 산출하고, 그들 산출데이터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의 수치를 표화하여 출력하여 운전일보나 운전상황평가표를 작성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SYSTEM FOR ANALYZING OPERATION CIRCUM STANCES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한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차트지상에 기록된 운행데이터기록선으로부터 차량의 운전상황을 판독하여 해석하는 운전상황해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에 탑재하여 차량의 운행데이터를 기록하는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가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류의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는 원반형의 차트지상에 운행데이터를 기록선으로서 기록한다. 따라서 운행데이터의 해석이나 운전상황의 판단은 관리자가 그 차트지의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육안으로 보면서 행하여지나, 원반형상의 차트지에 운행데이터기록선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보기가 어렵고, 차량의 주행상태의 해석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일본에서는 1999년 1월부터 디지털식 운행기록계가 운수성에 의해 인정되고, 디지털식 운행기록계는 차량의 주행중에 계측한 주행속도나 주행거리 등의 데이터를 메모리카드 등의 기억매체에 판독하여 주행 후에 그것을 인출하고 컴퓨터에 접속하여 그 운행데이터를 해석하는 것이다.
그러나 디지털식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메모리카드 등의 기억매체는 차량에 탑재되어 반복하여 사용된 경우 단자부 등에 마모나 오염이 발생하고, 또한 차량주행중의 혹독한 사용환경에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어 고장이 많이 발생하여 신뢰성이 부족한 문제가 있었다.
또 현재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가 이미 대부분의 운송업자의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는 현재 상황에서는 디지털식 운행기록계가 운수성에서 인정받았다 하더라도 차량의 소유자에게 있어서는 한꺼번에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로부터 디지털식 운행기록계로 바꾸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담이 크고, 운송업자의 차량에 있어서는 앞으로도 당분간 많은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가 디지털기록계와 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는 현재 운송업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운행기록계의 대부분을 차지함에도 불구하고, 그 기록한 운행데이터를 디지털화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집한 운행데이터를 용이하게 데이터베이스화하거나, 해석할 수 없어 애써 수집한 운행데이터가 있어도 우량운전자의 평가나 악질운전자의 지도, 교육에 그것을 활용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가 기록한 차트지상의 운행데이터기록선을 보기 쉽게 표시 또는 인쇄하여 관리자가 그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용이하게 해석할 수 있는 운전상황해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은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기록된 원반형상의 차트지를 이미지스캐너에 걸어 거기에 기록된 정차·주행속도·주행거리 등의 운행데이터기록선의 화상을 차트지에 극좌표형식으로 인쇄되어 있는 시간축선, 주행거리눈금선 및 주행속도눈금선 등과 함께 컴퓨터로 판독하여 그 화상데이터를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기하학연산을 사용한 연산처리에 의해 이 극좌표형식으로 기록된 운행데이터기록선과 눈금선의 화상을 직교좌표형식의 화상으로 변환처리하여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상에 직교좌표형식의 운행데이터기록선, 눈금선을 표시하거나 그것을 인쇄한다.
차트지상에 기재된 시간축선, 눈금선, 운행데이터기록선의 화상을 정확하게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차트지를 유지하는 대지를 설치하고, 대지에는 각각 차트지의 세트위치를 나타내는 차트지의 바깥 원보다 조금 큰 차트지세트원과, 그 원의 중심부에 차트지의 중심구멍보다 조금 큰 흑색부를 인쇄한다. 이 대지의 차트지세트원내에 차트지를 유지하고, 대지에 유지된 차트지를 이미지스캐너의 판독대의 정위치에 얹어 놓는다.
이미지스캐너에 의해 그 화상데이터를 컴퓨터로 판독하여 차트지의 중심구멍의 검은 원부를 흑색도트의 집합으로서 검출하고, 그 흑색도트부에 대하여 3평방의 정리 등에 의해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산출한다. 이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기하학연산을 사용한 연산처리에 의해 차트지의 중심위치로부터 방사선형상으로 그려져 있는 시간축선을 Y축과 평행한 등간격선으로 표시하도록 변환하고,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동심원으로 그려져 있는 주행거리눈금선 및 주행속도눈금선을 X축과 평행한 등간격선으로 표시하도록 변환한다. 또 마찬가지로 운행데이터기록선도 극좌표형식으로부터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여 X축·Y축의 직교좌표상의 시간축과 눈금 선상에 직교좌표형식의 운행데이터기록선을 표시한다.
그런데 상기 대지에 인쇄되어 있는 부착위치를 나타내는 원의 중심점으로부터 대지의 끝을 향하여 차트지세트원의 반경보다 약간 긴 시각표적선을 인쇄하면 좋다. 이 경우 차트지를 대지에 대하여 차트지에 인쇄되어 있는 특정한 시간축선을 그 시각표적선에 맞추어 차트지세트원내에 차트지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시간축선을 X축으로 한 직교좌표형식의 화면의 왼쪽 끝에 운행개시시각을 위치시켜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시간의 경과와 함께 오른쪽 끝(X축방향)을 향하여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차량의 운행관리자는 그 직교좌표형식으로 작성된 운행데이터기록선과 눈금선의 화상을 봄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차량 주행시의 최고속도나 주행거리를 인식하여 운전상황을 해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가 기록한 차트지상의 운행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지털화하고, 그들 운행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운행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운전상황해석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에서는 상기 구성에 덧붙여 차트지로서 시간축선, 눈금선 등의 색을 적색계로 인쇄한 차트지를 사용하고, 거기에 운행데이터기록선을 흑색계의 색으로 기록한다. 이미지스캐너의 판독대상에 적색의 필터를 얹어 놓고, 그 위에 차트지를 유지한 대지를 얹어 놓고 이미지스캐너를 동작시켜 차트지의 화상데이터를 컴퓨터에 도입한다.
이에 의하여 차트지에 적색계로 인쇄되어 있는 시간축선, 주행거리 및 주행속도눈금선, 인쇄문자 등은 판독화상데이터로부터 소거되어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나타내는 흑점부, 시각표적선 및 운행데이터기록선만을 화상데이터로 하여 컴퓨터에 도입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하여 주행개시시각과 종료시각을 입력한다. 그리고 극좌표형식으로 기록되어 있는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여 시간축(X축)방향으로 소정시간(예를 들면 약 15초간)마다 X값(1도트씩 증가)와, 그 시각의 Y 값이 되는 흑색의 도트로 검출되는 주행거리, 주행속도를 포함하는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중심으로부터의 도트수의 최소값과 최대값으로서 카운트하여 그 수치를 그 시간내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및 주행거리 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들 운행데이터기록선을 나타내는 도트수의 수치데이터를 사용하여 소정시간(예를 들면 30분)간격의 시간축선, 주행거리를 10 Km 마다 눈금을 긋는 거리기록선, 10 Km/h 간격의 주행속도눈금선을, 시간축선을 X축과 속도를 Y축으로 한 직교좌표그래프의 화면상에 표시하거나 그것을 인쇄한다.
또한 이들 운행데이터기록선의 수치 데이터로부터 모든 행정의 최고속도, 평균속도, 각 주행속도대의 주행비율, 기준 이상의 주행속도·주행시간·정차시간 등을 산출하여 그것들을 운전자, 차량, 운전일 등을 지정한 운전일보나 운전상황평가표 등으로서 표시 또는 인쇄한다. 이와 같이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가 기록한 차트지상의 운행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지털화하고, 그들 운행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운행데이터의 해석을 용이하고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운전상황 해석시스템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다른 실시예의 전체구성도,
도 3은 차트지를 유지하는 대지(臺紙)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대지상에 차트지를 얹어 놓는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플라스틱시트을 접착한 대지의 평면도,
도 6은 운행데이터를 기록한 차트지의 평면도,
도 7은 시간축선, 눈금선과 함께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 화상도,
도 8은 도 7의 화상도의 부분확대도,
도 9는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적색 필터와 대지를 얹어 놓은 상태의 이미지스캐너의 사시도,
도 10은 주행개시시각, 주행종료시각의 입력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1의 (a)는 주행거리데이터를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여 직교좌표 그래프상에 표시한 그래프도, (b)는 주행거리를 시간축상을 따라 수치화한 그래프도,
도 12는 컴퓨터처리의 메뉴화면의 설명도,
도 13은 운전데이터의 해석 후의 주행속도와 주행거리의 그래프를 나타내는 출력그래프도,
도 14는 적색계로 눈금선 등을 인쇄한 차트지로서, 적색 필터를 사용하여 화상을 도입하였을 때의 화상판독화면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15는 운전상황해석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 16은 데이터베이스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운전일보의 출력표도,
도 17은 데이터베이스의 기억내용에 의거하여 작성한 운전상황평가표의 출력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면의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도 2에 있어서 컬러 이미지스캐너(1)가 컴퓨터(7)에 접속되고 그 덮개를 개방한 상태에서 스캐너판독대(2)상에 차트지(4)가 대지(5)와 함께 얹어 놓여진다. 이미지스캐너(1)로서는 범용의 컬러스캐너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차트지(4)를 고정한 외형 사각형의 차트지접착 대지(3)가 스캐너판독대(2)의 각(2a)에 맞추어 직접 판독대(2)상에 얹어 놓여진다.
도 2에서는 투명한 플라스틱시트(6)의 안쪽(6')에 외형 사각형의 차트지부착대지(5)가 접착 일체화되어 있는 것에 차트지(4)를 끼워 넣고, 이것이 차트지(4)의 운행데이터기록면을 판독대(2)의 판독면에 접하도록 하여 얹어 놓여진다.
차트지를 붙인 대지(3)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는 도 3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5 내지 A4의 용지크기로 중앙에 차트지(4)의 직경 123mm 보다 약간 큰 지름의 차트지세트원(3b 또는 5b)과, 시각표적선(3c 또는 5c)과, 세트시에 차트지(4)의 중앙 구멍(4a)에 상당하는 위치에 그 구멍(4a)보다 약간 큰 흑색의 원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흑색부(3a 또는 5a)가 인쇄되어 있다.
컴퓨터(7)는 범용의 퍼스널컴퓨터로 이루어지고, 디스플레이(7a)를 가지고 미리 기억하는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에 의해 이하의 설명과 같은 이미지스캐너(1)로부터 화상데이터를 도입하는 처리, 그 화상데이터를 극좌표형식으로부터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 그 화상데이터인 운행데이터기록선으로부터 소정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 등을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처리를 행한다. 또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된 소정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 등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차량의 운전자, 운전일을 지정한 운전일보의 표를 작성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표시하고, 도시 생략한 프린터에 데이터를 출력하여 표를 인쇄하는 처리를 행한다.
도 6은 1일분의 운행데이터를 기록하는 26시간 120 km/h 타입의 차트지(4)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24시간 타입, 140 km/h 타입, 엔진회전수를 기록할 수 있는 타입, 3일분 또는 7일분을 기록하는 타입, 택시용의 소형타입 등의 차트지가 있어 컴퓨터(7)에는 각각의 타입에 따른 조건을 입력·설정할 수 있다.
차트지(4)의 한 면(기록측)표면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행속도눈금선(4b) ·주행거리눈금선(4c), 시간축선(4d) 등이 인쇄되어 있고,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차트지(4)의 표면에 기록된 운행데이터속도기록선(4e) 및 운행데이터거리기록선(4g)은 검정에 가까운 회색으로 괘서(罫書)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차량에탑재된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차량의 주행시에 기록된 차트지를 이미지스캐너(1)에 걸어 그 화상을 컴퓨터(7)에 도입한다. 이미지스캐너(1)에 의한 화상의 판독은 판독범위, 화상의 타입(풀칼라), 해상도(400DPI) 등의 판독조건을 컴퓨터 (7)에 설정하여 행한다.
차트지(4)를 이미지스캐너(1)의 판독대(2)에 세트할 때에 먼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행데이터속도기록선(4e) 및 운행데이터거리기록선(49)을 기록한 차트지(4)를 차트지접착 대지(3)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에 인쇄되어 있는 차트지 세트원(3b 또는 5b)내에 주행개시시각의 표적선(3c 또는 5c)과 차트지(4)의 0시의 시간축선(4d')부를 맞추어서 세트한다.
이 세트는 도 3의 차트지접착 대지(3)를 사용하는 경우, 차트지(4)의 운행데이터기록면을 위로 하여 차트지(4)를 양면테이프 또는 풀을 사용하여 대지(3)위에 부착한다. 또 도 5의 부착대지(5)를 사용하는 경우 투명한 2개로 접은 플라스틱시트 (6)를 사용하여 그 한쪽 면의 안쪽에 접착 일체화하고 있는 대지(5)상에 운행데이터기록면을 위로 하여 차트지(4)를 얹어 놓고 플라스틱시트(6)를 운행데이터기록면상에 덮어 차트지(4)를 안쪽에 유지한다.
다음으로 차트지(4)를 유지한 차트지접착 대지(3)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를 접착 일체화한 플라스틱시트(6)를 이미지스캐너(1)의 판독대(2)의 안쪽 프레임의 모서리(2a)에 맞추어 소정위치에 위치결정하고, 차트지(4)의 운행데이터기록선이 기록되어 있는 면이 스캐너판독대(2)에 접하도록, 즉 도 1, 도 2에 있어서 하향이 되 도록 하여 세트하고 이미지스캐너(1)의 덮개를 덮는다.
이 상태에서 이미지스캐너(1) 또는 컴퓨터(7)를 조작하여 스캐닝동작을 개시하여 차트지(4)에 기록된 운행데이터기록선(4e)을 주행속도눈금선(4b), 주행거리눈금선(4c), 시간축선(4d)과 함께 화상데이터로서 컴퓨터(7)에 도입된다.
이때 차트지접착 대지(3)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에 인쇄되어 있는 차트지 (4)의 중심부의 구멍보다 약간 큰 흑색으로 칠해진 원 등의 흑색부(3a 또는 5a)에 의해 차트지의 중심구멍(4a)이 흑색로 판독되어 차트지(4)의 중심검출에 사용된다. 이미지스캐너(1), 컴퓨터(7)에 의한 화상데이터의 판독조건은, 예를 들면 해상도가 400DPI로 설정되고, 1 인치(25.4mm)당 400 도트의 화상데이터로서 컴퓨터(7)에 도입된다. 컴퓨터(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로부터 판독한 차트지(4)의 화상을 디스플레이(7a)에 표시한다. 이 차트지(4)의 화상은 도 6과 같은 상태로 컬러표시되어 주행속도눈금선(4b), 주행거리눈금선(4c), 시간축선(4d)은 예를 들면 녹색으로, 운행데이터기록선(4e)은 흑색 또는 흑색에 가까운 회색으로 표시된다.
다음으로 오퍼레이터는 디스플레이(7a)상에서 그 차트지의 화상을 보면서 운행데이터의 판독해석의 범위, 즉 운행개시위치와 운행종료위치를 지정·입력한다. 구체적으로는 화면상에 표시하고 있는 차트지(4)의 운행개시위치와 운행종료위치에 컴퓨터(7)의 포인터를 맞추고 마우스로 클릭하여 지정한다. 이에 의하여 극좌표형식을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는 화상의 범위가 부채꼴형으로 디스플레이(7a) 상에 표시된다. 부채꼴형의 범위를 시계주위로 변환하기 때문에 변환 후의 직교좌표형식의 화상에서는 운행개시위치가 항상 왼쪽 끝, 운행종료위치가 오른쪽 끝이 된다.
다음에 오퍼레이터는 컴퓨터(7)에 변환지시를 입력하여 극좌표형식의 차트지의 화상데이터를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시한다. 극좌표형식의 차트지의 화상데이터를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차트지(4)의 중심위치로부터 운행데이터기록선까지의 길이(도트수)를 단위시간별로 판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차트지의 중심위치는 차트지의 화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산출된다.
즉 차트지(4)는 반드시 소정의 크기, 예를 들면 A5 내지 A4 크기의 차트지접착 대지(3)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에 세트되어 있기 때문에 도입한 화상데이터중의 검은 중심의 둥근 구멍은 매회 대략 동일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다소의 어긋남을 고려하여 지름 15mm의 둥근 구멍(4a)보다 약간 큰 20 mm를 직경으로 하는 검은 구멍 검출용 가상원(4f)내의 도트에 대하여 컴퓨터(7)는 흑색의 판정처리를 행한다.
화상데이터중의 차트지(4)의 가상의 중심좌표를 (Xa, Ya)라 하면 가상원(4f)의 반경은 20 ÷25.4 ×400 ÷2 = 157 도트이므로 이 원의 Y 좌표는 모두(Ya-157) 내지 (Ya + 157)의 사이이고, 이 가상원(4f)중에 실제 중심의 둥근 구멍(4a)은 존재한다.
여기서 컴퓨터(7)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흑색판정 기준값에 의거하여 색의 판정처리를 상기 Y 좌표의 최소값인 (Ya-157) 도트의 위치로부터 행한다.
X 좌표의 범위에 대해서는 Y 좌표별로 3평방의 정리에 의해
{158의 2승 - ( Y 좌표 - Ya)의 2승}의 평방근(임시로 A라 한다)
를 계산하여 (Xa-A) 내지 (Xa+A) 사이의 범위에 대하여 판정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출된 범위내의 도트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흑색판정 기준값이 검출되면 그 수를 카운트하고, 다시 그 좌표를 XY 각각 가산하여 간다. 제일 마지막에 가산된 XY 좌표 각각을 합계 카운트수로 나누면 둥근구멍부분의 중심이 산출되고, 이것이 구하는 차트지의 중심점이 된다.
중심부분의 둥근구멍이 완전한 원이 아닌 경우(노치 등이 있는 경우)는 컴퓨터(7)는 색의 판정처리를 상기 가상원의 중심으로부터 행하여 흑색판정 기준값으로 판단되는 둥근 구멍의 원호부분 경계눈금의 좌표를 구한다. 구한 경계눈금의 좌표는 둥근 구멍의 중심으로부터 등거리에 존재하므로 경계눈금의 좌표로부터 둥근 원의 중심좌표와 반경을 최소 이승법 등을 사용하여 산출한다.
차트지(4)중, 1매가 둘레방향으로 24등분되어 있는 것에서는 360 ÷ 24 = 15°가 1시간을 표시하고, 노치부가 있는 등, 26등분되어 있는 것에서는 360 ÷26 = 13.846°가 1시간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차트지의 중심점과 운행데이터기록선의 각 점을 연결한 선과, 주행개시 시각선과의 각도에 의해 그 운행데이터가 나타내는 시각을 해석연산할 수 있고, 또 중심점과 각 점 사이의 길이에 의해 속도 및 거리를 해석연산할 수 있다.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로 운행데이터를 기록하는 차트지(4)에는 1일용, 3일용, 7일용이 있고, 360도의 원형도형에 대하여 1일용은 24등분 또는 26등분, 3일용과 7일용은 26등분되어 있다. 26등분되어 있는 최고속도 120 km/h에서 엔진회전기록부착 차트지를 400DPI의 해상도로 판독하였을 때, 차트지의 외경은 123 mm ÷ 25.4 ×400 = 1937 도트이고, 분해능은 360°÷(π×1937) = 0.059159°, 초단위환산으로 15.381354초가 된다.
1분해능(0.059159°)씩 어긋나게 하면서 원래의 화상을 각 각도마다 중심점으로부터의 반경(r)이 r1 = 18.5mm ÷25.4 ×400 = 291도트 [차트지 주행거리눈금선(4c)의 내경]로부터 시작하여 r2 = 61.5mm ÷25.4 ×400 = 968도트 (차트지의 외경)까지의 화소를 1점씩 판독한다. 그리고 변환화상에 X 방향으로 1 도트씩 어긋나게 하면서 Y 방향으로 0 으로부터 시작하여 968 - 291 = 677 도트까지의 화소로 기록함으로써 도너츠형의 원형도형 즉 극좌표형식의 운행그래프를 주행개시시각의 화면 왼쪽 끝으로부터 주행종료시각의 화면 오른쪽 끝으로 연장되는 직교좌표형식의 운행그래프로 변환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극좌표형식의 운행그래프의 직교좌표형식으로의 변환이 종료한다. 디스플레이(7a)에는 도 7과 같은 직교좌표의 보기 쉬운 운행그래프가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상에 표시되는 직교좌표의 운행그래프는 컴퓨터(7)의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상에서 지정한 개소를 확대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마우스를 사용하여 화면상에 표시된 15시 20분 내지 17시 00분의 범위를 포인터로 체크하고, 그 개소를 확대묘화영역으로서 지정하고, 편집메뉴에서 배율을 선택하여 확대표시조작을 하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행그래프의 일부를 디스플레이(7a)에 확대표시할 수 있어 임의의 시간의 속도데이터 등을 간단하게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그 직교좌표형식이 보기쉬운 운행그래프의 표시화면은 프린터로 인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운전상황해석시스템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컬러의 이미지스캐너를 사용하면 차트지(4)의 주행눈금선(4b) 등이 녹색 등의 임의의 색으로 인쇄되어 있는 경우에도 판독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이 차트지 (4)의 주행속도눈금선(4b), 주행거리눈금선(4c), 시간축선(4d) 등을 적색계로 인쇄하여 이미지스캐너(1)의 위에 적색 필터(8)를 얹어 놓고 사용하면 운행데이터기록선만을 화상데이터로서 도입할 수 있어 이에 의하여 그 화상상의 운행데이터기록선으로부터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나 최고속도 등의 운행데이터를 수치로서 산출할 수 있다.
즉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의 위에 적색 필터(8)를 얹어 놓고 적색계로 시간축선, 눈금선, 문자 등을 인쇄한 차트지(4)를 사용하여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로 운행데이터를 기록한 차트지(4)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 4와 같은 방법으로 차트지접착 대지(3)에 접착하고,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를 접착한 플라스틱시트(6)의 안쪽에 유지시킨다.
다음으로 이 차트지접착 대지(3) 또는 플라스틱시트(6)를 도 9와 같이 스캐너판독대(2)상에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얹어 놓는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컴퓨터(7)와 이미지스캐너(1)를 동작시켜 차트지(4)상의 화상의 판독을 행한다. 이미지스캐너(1)에 의한 화상의 판독은 판독범위 판독화상의 색 타입(여기서는 흑백), 해상도(400DPI) 등의 판독조건을 컴퓨터(7)에 설정하여 행한다.
도 15의 플로우차트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가 우선 단계 (100)에서 스캐닝동작을 행하면 도입된 화소, 즉 화상데이터가 순서대로 컴퓨터(7)에 보내지고, 컴퓨터(7)는 그 화상데이터를 판독(단계 110)하여 기억한다. 이때 컴퓨터(7)는 흑백의 화상데이터를 도입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적색 필터를 통과시킴으로써 적색계로 인쇄된 선은 적색 필터를 통과한 면의 바탕색(적색)에 녹아 들어 검정에 가까운 회색으로 기록된 운행데이터기록선만이 화상데이터로서 컴퓨터(7)에 판독된다(단계 120).
이와 같이 적색계로 인쇄되어 있는 차트지(4)상의 문자, 눈금선, 시간축 등의 상은 적색 필터에 의해 소거되고, 차트지(4)의 중심부분과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로 검정에 가까운 회색으로 기록된 운행데이터만이 화상데이터로서 도입되어 기억된다. 차트지의 중심구멍(4a)의 검은 원부를 흑색도트의 집합으로서 검출하고 그 흑색 도트부에 대하여 3평방의 정리 등에 의해 차트지(4)의 중심점의 좌표가 상기와 동일한 연산처리에 의해 산출된다.
운행데이터의 기록개시위치인 0시 선의 산출에 대하여 차트지(4)는 차트지접착대지(3) 또는 차트지부착 대지(5)에 인쇄된 시각표적선(3c 또는 5c)과 차트지(4)의 0시의 시간축선(4d')부를 맞추어 접착되어 있으므로 0시 위치와 중심점을 연결한 각도는 삼각함수에서 말하는 90°의 위치에 있고, 문제가 될 수 있는 각도의 어긋남은 없다. 그러나 더욱 더 정밀도가 높은 디지털데이터를 얻기 위하여 예를 들면 0.2°피치 등으로 미소의 각도보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두면 좋다.
1일용 차트지(4)로 1일의 시각이 24등분되어 있는 것에서는 360 ÷24 = 15° 가 1시간을 표시하고, 3일용, 7일용에서 1일째의 24시간분과 2일째의 2시간분의 운행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차트지(4)는 26등분되어 있으므로 360 ÷26 = 13.846°가 1시간을 표시한다. 따라서 차트지의 중심점과 운행데이터기록선의 각 점을 연결한 선과, 0시의 시간축선(4d')과의 각도로부터 그 운행데이터의 각 점이 나타내는 시각을 연산할 수 있고, 또 중심점과 운행데이터기록선의 각 점의 길이로부터 주행속도 및 주행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고방식으로부터 이미지스캐너(1)에 의해 판독한 차트지(4)의 중심점과 주행속도기록선(4e), 주행거리기록선(4g)의 화상데이터(도 14)로부터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등의 운행데이터가 아래와 같이 산출된다.
즉, 도 4의 차트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심점으로부터 시속 0 Km/h를 표시하는 가상원(9)의 반경을 rl(도트수)로 하고, 최고속도선(10)을 나타내는 원의 반지름을 r2(도트수)로 하면,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로 기록된 운행데이터중, 속도 데이터는 이 2개의 원 사이에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먼저 해석을 하고자 하는 운행데이터에 대하여 오퍼레이터는 대강의 주행개시시각과 주행종료시각을 육안으로 결정하고, 도 10과 같이 컴퓨터(7)의 화면상에 주행개시시각과 주행종료시각을 시·분으로 입력하여 해석하는 주행개시위치(시각)와 주행종료위치(시각)를 지정한다 (도 15의 단계 130).
이때 컴퓨터(7)는 입력한 시각을 각도로 환산하여 0시의 각도(기본적으로는 90°)로부터 주행개시시와 종료시의 각도를 산출하고, 이 2개의 각도 범위내에서 단위각도[26등분되어 있는 최고속도 120 km/h의 차트지(4)를 400DPI의 해상도로 판독하였을 때 속도기록범위의 최대지름(최고속도선을 나타내는 것 원의 지름)]는 118 mm이고 분해능은 360°÷(π×118mm ÷25.4 ×400) = 0.061665°, 초단위 환산으로 16.032887초가 된다.
그리고 1분해능(약 0.061665°)씩 어긋나게 하면서 각 각도별로 중심점으로부터의 길이가 반경(rl)(도트수)으로부터 시작하여 반경(r2)(도트수)까지의 도트에 대하여 1 도트씩 색의 판정처리를 행하여, 제일 처음에 흑색판정 기준값이 검출된 도트의 반지름(H)으로부터의 도트수(최소값)를 해당 각도내에서의 최저속도의 값으로 한다. 한편 연속하여 흑색판정 기준값이 검출된 제일 마지막의 도트의 반경 (r1)으로부터의 도트수(최대값)를 해당 각도내에서의 최고속도의 값으로 하여 각도 (시각)·최소값(최저속도)·최대값(최고속도)의 3항목을 메모리의 워크영역에 속도데이터로서 각 각도별로 차례로 기록하여 간다.
이때 입력한 시각은 육안에 의한 것으로 정확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하나라도 흑색판정 기준값이 하나도 검출되지 않은 각도가 주행개시시각을 나타내는 각도로부터 연속하여 계속되면 주행개시 이전의 데이터라고 판단하여 기록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기준값이 하나도 검출되지 않은 각도가 주행종료시각을 나타내는 각도까지 계속 연속되면 주행종료 이후의 각도라고 판단하여 기록하지 않는다. 단 주행개시 이후에 종료이전이라고 판단되는 도중의 각도에서 기준값이 하나도 검출되지 않을 때는 그 각도는 정지라고 판단하여 정지를 나타내는 도트수를 최소값과 최대값에 대입하여 기록한다.
또 실제의 주행개시시각은 제일 먼저 속도데이터로서 기록된 데이터의 각도를 시각으로 환산한 것이고, 주행종료시각은 제일 마지막에 속도데이터로서 기록된 데이터의 각도를 시각으로 환산한 것이다.
여기서 사용한 단위각도는 최고속도를 120 km/h로 하는 26등분된 차트지(4)를 예로 하여 생각하면 최고속도(120 km/h)선의 원의 지름이 118 mm 이기 때문에 원주는 118 ×3.1416 (π)×400 ÷25.4 = 5838 도트가 된다. 이 용지는 26등분되어 있기 때문에 1주분은 26 ×60 ×60 = 93600초가 되고, 1 도트는 93600 ÷5838 = 16.032887초를 표시하고, 이때의 각도는 360 ÷5838 = 0.061665°가 된다.
색의 판정처리를 행하는 단위각도마다의 반경(r1) 내지 반경(r2)의 범위의 각 도트의 좌표위치는 중심점과의 각도를 θ로 하고, 중심점으로부터의 길이를 r 도트로 하여 화상의 왼쪽 위의 좌표를 (0, 0)으로 하면 삼각함수로부터
X 좌표 = 중심점의 X 좌표 + r ×cos θ
Y 좌표 = 중심점의 Y 좌표 - r ×sin θ
가 되고, 이 좌표위치가 흑색판정 기준값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여 극좌표방식의 운행데이터를 직교좌표방식으로 변환한다(도 15의 단계 140).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메모리의 워크영역에 기록된 X의 값, Y의 최저 도트수와 최고 도트수로 표시되는 속도데이터에 대하여 주행개시시각의 각도로부터 주행종료의 각도까지를 도 1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리 작성된 30분 피치의 시간축선을 X축상에 취하여 10 Km 간격의 주행속도눈금선을 Y축상에 취한 그래프상에 X축의 왼쪽 끝을 주행개시시각으로 하여 주행종료시각까지 X의 값을 1 도트씩 진행시키면서 기록된 X의 값에 대응하는 최저속도(Y의 최저 도트수)와 최고속도(Y의 최고 도트수) 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하여 직교좌표형식의 주행그래프를 그린다(단계 150).
또 주행개시시각으로부터 주행종료시각까지 각 각도별로 주행속도가 어느 속도대(10 km/h∼20 km/h, 20 km/h∼30 km/h 등)에 속하는지를 검출하여,
검출회수 ×단위초수(약 16초) = 그 속도대에서의 주행시간(초)
1 ÷최저속도로부터 최고속도까지가 속하는 속도대의 수 = 비율
의 식으로부터 복수의 속도대에 걸쳐 주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최저속도가 속하는 속도대로부터 최고속도가 속하는 속도대까지의 각 속도대의 주행초수(상기한 초 ×비율)를 산출하여 각 속도대마다의 주행시간(초) 및 모든 주행시간과의 비율(%)을 산출한다.
또 각도별로 검출한 최고속도를 그 때마다 비교하여 모든 주행시간중의 최고속도(최대치)와 그 때의 시각(각도)을 갱신기록하고(도 15의 단계 160), 다시 그 시점에서의 주행개시로부터의 누적주행거리를 아래와 같이 산출한다.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서 기록된 주행거리데이터는 차트지(4)의 거리데이터를 기록하는 영역인 2개의 원(11, 12) 사이에 기록된다. 따라서 안쪽 원(11)의 반경(r3), 바깥쪽 원(12)의 반경(r4)까지의 도트에 대하여 상기 주행속도의 검출시와 동일한 각 각도마다에 1 도트씩 색의 판정처리를 행하여 흑색판정 기준값이 검출된 각 각도마다 최저도트수와 최고도트수를 해당 각도내에서의 거리데이터로 하여 최저값·최고값 2항목을 메모리의 워크영역에 거리데이터로서 각 각도별로 하기의 방법으로 순차 기록하여 간다.
주행거리데이터는 거리데이터를 기록하는 안쪽 원(11)의 반경인 중심점으로부터의 최소 도트수(r3)와, 바깥쪽 원(12)의 반경인 최대 도트수(r4 = 504) 사이에기록되어 있고, 주행거리데이터는 누적주행거리에 따라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가 r3 내지 r4 까지의 사이를 거리데이터 최소값선(11)과 거리데이터 최대값선(12)에 접한 시점에서 반전하면서 도 11(a)와 같이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도트수만으로 그 시점의 누적주행거리를 산출할 수는 없다.
따라서 먼저 워크영역에 기억되어 있는 거리데이터에 대하여 시간축(X)의 값이 주행개시시각으로 되어있는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데이터의 최저값(r3') 및 최고값 (r4')은 대략 동일한 값이고, 주행개시후 시간축(X)의 값이 1 도트 증가할 때마다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데이터가 작아져 최소도트수(r3)에 접근하여 가는 경우는 (r3'-r3)의 도트수에 비례한 주행거리가 된다. 한편 시간축(X)의 값이 1 도트 증가할 때마다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데이터가 커져 최대도트수(r4)에 접근하여 가는 경우는 (r4-r4')의 도트수에 비례한 주행거리(r4-r4') ×5/(r4-r3)가 시각내에서의 주행거리가 된다.
따라서 도 11(b)와 같이 주행거리기록선(x)상에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데이터가 가장 접근한 시각에 대응한 위치상에 수직으로 굵은 단선을 표시하고, 그 밑에 주행거리의 수치를 표시한다. 도 11(b)의 주행거리그래프는 최저값(r3')이 최소도트수(r3)와 같고, (r3' - r3) ×5/(r4 - r3) ≒ 0인 경우, 또는 최고값(r4')이 최대도트수(r4)와 같고, (r4-r4') ×5/(r4-r3) ≒ 0인 경우이다.
다음으로 시간축(X)의 값을 차례차례 진행하여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데이터가 최소도트수(r3)에 접근한 후는 최소도트수(r3)에 가장 접근할 때마다 중심점으로부터의 거리데이터가 최대도트수(r4)에 접근한 후는 최대도트수(r4)에 가장 접근할 때마다 적산주행거리값에 + 5 km를 가산하여 10 km마다의 가장 접근위치에 대응한 위치에 굵은 단선을 수직으로 표시하고, 다시 50 km 마다 적산주행거리의 수치를 도 11(b)와 같이 표시한다. 제일 마지막으로 주행종료시의 (r3' -r3) ×5/(r4-r3) 또는 (r4-r4') ×5/(r4-r3)의 값을 적산주행거리값에 가산하여 그 모든 행정의 주행거리를 표시한다(도 15의 단계 170).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산출된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대속도, 단위시간마다의 주행거리, 정차시간, 모든 행정의 주행거리 등의 운행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단계 180).
이와 같이 이미지스캐너(1)에 의해 컴퓨터(7)에 도입되는 차트지(4)의 화상 데이터는 적색 필터에 의해 차트지(4)에 적색계로 인쇄되어 있는 시간축선(4d), 주행거리 및 주행속도눈금선(4b), 인쇄문자 등이 사라져 도 14와 같이 주행속도기록선(4e), 주행거리기록선(4g) 및 중심구멍(4a)만이 판독된다. 따라서 차트지(4)의 중심부의 둥근 구멍(4a) 및 시각표적선(3c 또는 5c)을 기준으로 하여 정확하게 주행속도기록선(4e), 주행거리기록선(4g)이 나타내는 수치를 정확하게 판독하여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 등의 운행데이터를 디지털데이터로서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컴퓨터(7)에 내장한 표작성 프로그램과 상기 데이터베이스의 운행데이터를 사용하여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차량의 운전자와 운전일을 지정한 운전일보의 표를 작성할 수 있다. 이 운전일보에는 소정의 운전시간(또는 단위시간)마다의 주행거리, 최고속도, 정차시간 등을 기입하여 화면표시, 또는 인쇄출력하여 운전자의 평가나 교육, 시동 등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차트지로부터의 운행데이터의 판독을 차량이 운행되는 날마다 실시하여 모든 운전자의 모든 운전일에 대하여 운행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판독할 수 있으면 모든 운전자의 각 운전일마다의 운행데이터가 이용 가능하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운전자와 운전일(예를 들면 11월 7일 내지 11월17일)과 같이 복수의 운전일을 지정하여 그 동안의 운전자의 운전상황평가표를 작성하고 그것을 화면표시하여 인쇄출력할 수도 있다. 이 운전상황평가표에는 각 주행거리마다의 주행시간, 최고속도 및 그 시각, 정차시간, 각 주행속도대마다의 주행시간 및 그 비율·모든 주행거리 등을 필요가 있으면 인쇄하는 것도 가능하고, 소속별 운전자의 운전상황비교일보, 각 운전자별 운전상황비교월보 등의 표시·인쇄도 가능해져 안전관리·노무관리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차트지에는 상기한 주행속도기록선, 주행거리기록선 외에 엔진의 회전수기록선이 시간축을 따라 기록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에는 회전수기록선으로부터 상기한 주행속도기록선이나 주행거리기록선과 마찬가지로 그 회전수 데이터가 판독되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단위시간마다의 최소회전수, 최대회전수 등을 상기한 운전일보나 운행상황평가표내에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에 의하면 현재 차량의 운행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로 기록된 차트지의 운행데이터를 이미지스캐너로 판독하여 주행속도기록선이나 주행거리기록선을 컴퓨터의 디스플레이상에 직교좌표방식의 그래프상에서 보기 쉽게 표시할 수 있어 운전상황을 적확하게 관찰할 수 있고, 안전관리·노무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차트지의 화상데이터로부터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정확하게 산출함으로써 차트지의 이미지스캐너에 대한 세트위치가 다소 어긋난 경우라도 정밀도가 높은 직교좌표방식의 기록선을 얻을 수 있다.
또 차트지에 있어서 운행데이터를 도입하는 범위로서, 주행개시위치(시각) 와 주행종료위치(시각)를 자유롭게 지정할 수 있어, 변환 후의 직교좌표방식의 주행그래프에서는 운행데이터기록선의 개시위치가 왼쪽 끝이 되도록 표시하고, 운행데이터개시위치를 왼쪽 끝에 가지런히 정돈된 보기 쉬운 직교좌표형식의 운행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또 시간축선, 주행거리 및 주행속도눈금선, 인쇄문자 등을 적색계의 색으로 인쇄한 차트지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스캐너에 의해 그 화상을 도입할 때 적색 필터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판독모드를 흑백으로 설정하여 화상을 판독함으로써 적색계로 인쇄되고 있는 시간축선, 주행거리 및 주행속도눈금선, 인쇄문자 등을 소거하여 차트지상의 운행데이터기록선과 중심위치산출용의 중심구멍만을 판독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운행데이터를 판독한 컴퓨터는 이들 운행데이터로부터 간단하고도 정확하게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구간거리, 최저회전수, 최고회전수 등의 데이터를 산출하고, 그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보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이에 의하여 차트지에 기록되어 있는 운행데이터를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거나 인쇄하고, 또한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및 그 시각, 정차시간, 각 주행속도대마다의 주행시간 및 그 비율, 모든 주행거리 등의 수치를 표화하여 그것들의 표를 포함하는 운전일보나 운전상황평가표를 작성할 수 있고, 이 평가표 등을 우량운전자의 평가나, 악질운전자의 지도, 교육 등의 노무관리나 안전관리에 도움이 될 수 있다.

Claims (7)

  1. 아날로그식 운행기록계에 의해 기록된 원반형상의 차트지로부터 이 차트지상에 기록된 적어도 주행속도, 주행거리를 포함하는 운행데이터를 판독하여 차량의 운행상황을 해석하는 차량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으로서,
    상기 차트지상에 극좌표형식으로 기록된 적어도 운행데이터기록선의 화상을 판독하는 화상판독수단과, 이 화상판독수단이 판독한 극좌표형식의 적어도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는 변환수단과, 이 변환수단으로 변환된 직교좌표형식의 적어도 운행데이터기록선의 데이터를 표시 또는 인쇄용으로 출력하는 운행데이터출력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판독수단은 상기 차트지에 미리 인쇄된 시간축선, 주행속도눈금 선, 주행거리눈금선을 상기 운행데이터기록선과 함께 판독하고, 상기 변환수단은 상기 시간축선, 주행속도눈금선, 주행거리눈금선을 상기 운행데이터기록선과 함께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고, 상기 운행데이터출력수단이 상기 시간축선, 주행속도눈금선, 주행거리눈금선과 함께 운행데이터기록선의 데이터를 표시 또는 인쇄용으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변환수단은 차트지의 중심구멍에 의거하여 상기 차트지의 중심위치를 산출하고, 그 중심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단위 각도마다 상기 중심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하는 선상의 화소데이터를 상기 중심위치부터의 반경거리와 함께 판독하고, 상기 단위각도를 X축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면서 상기 화소데이터를 X·Y 평면상의 대응위치에 나란히 바꾸어 극좌표형식을 직교좌표형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차트지를 유지하는 대지를 설치하고, 이 대지에는 각각 차트지의 세트위치를 나타내는 이 차트지의 바깥 원보다 조금 큰 차트지 세트원과 이 원의 중심부에 차트지의 중심구멍보다 조금 큰 흑색부를 인쇄하고, 이 대지의 차트지 세트원내에 상기 차트지를 유지시키고, 상기 대지를 거쳐 상기 차트지를 상기 화상판독수단의 판독대의 정위치에 얹어 놓고 화상을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대지상에는 차트지 세트원의 중심위치로부터 대지의 끝을 향하여 상기 차트지 세트원의 반경보다 약간 긴 시각표적선이 인쇄되고, 상기 차트지가 상기 대지에 대하여 상기 차트지에 인쇄된 특정한 시간축선을 상기 시각표적선에 맞추어 세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운전상황해석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트지에는 시간축선, 주행속도눈금선, 주행거리눈금선이 적색계의 색으로 인쇄되고, 상기 운행데이터기록선이 흑색에 가까운 회색으로 상기 차트지상에 기록되고, 이 차트지의 화상을 적색 필터를 통하여 상기 화상판독수단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상기 시간축선, 주행속도눈금선, 주행거리눈금선을 소거하여 상기 운행데이터기록선을 상기 화상판독수단이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다 운전상황해석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주행속도, 주행거리를 포함하는 운행데이터기록선으로부터 적어도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를 산출하고, 이 산출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데이터연산저장수단과, 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적어도 단위시간마다의 최저속도, 최고속도, 주행거리의 수치를 표화하여 출력하는 표작성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상황해석시스템.
KR1020010019170A 2000-04-13 2001-04-11 차량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 KR200100985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1529A JP2001297391A (ja) 2000-04-13 2000-04-13 車輌の運転状況解析システム
JP2000-111529 2000-04-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8500A true KR20010098500A (ko) 2001-11-08

Family

ID=18623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9170A KR20010098500A (ko) 2000-04-13 2001-04-11 차량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1146486A3 (ko)
JP (1) JP2001297391A (ko)
KR (1) KR2001009850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64712B2 (ja) * 2002-06-21 2006-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運行管理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車載通信装置
EP2385502A1 (en) * 2010-05-04 2011-11-09 Guretruck, S.L. Digitisation method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analogue tachographs
JP5697242B2 (ja) * 2011-02-04 2015-04-08 矢崎エナジーシステム株式会社 車両速度検出方法および車両用データ記録装置
CN103745507B (zh) * 2013-12-31 2016-05-04 商泰软件(上海)有限公司 行车状态分析方法及装置
CN114004034A (zh) * 2021-11-26 2022-02-01 安徽江淮安驰汽车有限公司 一种车身精度的三角函数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92207A (en) * 1971-11-19 1976-06-29 Hermann Ruhl Pen chart analyser
GB2099194A (en) * 1981-05-26 1982-12-01 Comet Group Plc Device for checking tachograph discs
GB9121970D0 (en) * 1991-10-16 1991-11-27 Trutac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tachograph charts
CH696897A5 (it) * 1997-01-17 2008-01-15 Ing Mauro Balestra Procedimento per la lettura microscopica dei dischi odocronografici dei tachigrafi.
DE19807479A1 (de) * 1998-02-24 1999-08-26 Tridens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Lesen, Erfassen und Auswerten einer Diagrammscheibe eines Fahrtenschreib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46486A2 (en) 2001-10-17
EP1146486A3 (en) 2004-12-15
JP2001297391A (ja) 200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86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pdating maps based on telematics data
US5954773A (en) Vehicle state mileage determination system
Travis VIEWIT: computation of seen areas, slope, and aspect for land-use planning
US8669986B2 (en) Method for visualizing data extracted from a population of data
JPS61502912A (ja) ナビゲイシヨンデ−タの検出方法
KR20010098500A (ko) 차량의 운전상황 해석시스템
US6351695B1 (en) Verified common carrier truck operation log
JPH04328420A (ja) 車両用表示装置
EP060829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ding tachograph charts
CA2035891C (en) Digital data reader of digital data recording sheet
JPS62207948A (ja) 鉄筋コンクリ−ト構造物における腐食の永久的換算表示体およびその作成方法
JP4081190B2 (ja) ディジタル運行管理装置における運行データの表示方法およびディジタル運行管理装置
JP2003294482A (ja) ディジタル式運行記録システム
AU593930B2 (en) Tachograph including means for recording engine speed
JPH0830819A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を利用した実走行記録方法
JPS61228486A (ja) 車両の現在走行位置教示システム
JPS61166581A (ja) 断面図の作成方法
JP3012368U (ja) プリペイドカード
JP2598999B2 (ja) 車輌の運行記録方式
JPH0718715B2 (ja) 円弧ひずみを有する軌跡の測定器
DE29823802U1 (de) Kombi-Maus
JPH08160155A (ja) 現在位置測定装置を利用した大気に含有する各種物質の測定装置
JP2002024488A (ja) 自動車運転者の運行手当解析集計管理システム。
GB2143642A (en) Tachograph with multifunction recording stylus
JPH078791U (ja) 工事現場等用の情報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