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6502A - 단말 어댑터,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단말어댑터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말 어댑터,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단말어댑터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6502A
KR20010096502A KR1020000069176A KR20000069176A KR20010096502A KR 20010096502 A KR20010096502 A KR 20010096502A KR 1020000069176 A KR1020000069176 A KR 1020000069176A KR 20000069176 A KR20000069176 A KR 20000069176A KR 20010096502 A KR20010096502 A KR 20010096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line connection
terminal adapter
connection information
n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9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657B1 (ko
Inventor
기노시따겐또꾸
Original Assignee
기노시따 겐또꾸
소피아 인터내셔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노시따 겐또꾸, 소피아 인터내셔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노시따 겐또꾸
Publication of KR20010096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6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 H04Q3/66Traffic distribu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85Appending a prefix to or inserting a pause into a dial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53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 H04M1/275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providing data content by data transmission, e.g.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091CLI, identification of calling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3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6Microprocessor, CPU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09Initializing, personal pro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38Least cost routing, LC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141Hunting for free outlet, circuit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02Network termination [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2PB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1325Priority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단말 어댑터 (10, 10A) 에 통신망 (1, 2A∼2N) 을 통하여 접속되는 서비스 센터 (3) 를 구비하고, 이 서비스 센터는 각 단말 어댑터 (10, 10A) 의 메모리 (19) 에 미리 저장되는 상대방 전화번호, 사업자 식별번호, 교환기 전화번호 및 요금 테이블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을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한다. 각 단말 어댑터는, 그 어댑터에 접속된 사용자 전화기 (20) 의 오프 후크 또는 사용자 전화기를 통한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에 따라 상대방 전화번호, 사업자 식별번호 또는 교환기 전화번호를 송출하여,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또는 루팅 기능을 선택적으로 하게 한다.

Description

단말 어댑터,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TERMINAL ADAPTER,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ADAPTER MANAGEMENT SYSTEM}
본 발명은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및 루팅 기능이 있어 전화기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화망에 접속하기 위한 단말 어댑터에 관한 것으로, 또한 컴퓨터가 상기 타입의 단말 어댑터의 통신제어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출이 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개개의 단말 어댑터에 저장되어 상기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이용되는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초기설정 및 갱신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센터에 의해 실시할 수 있게 한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화통신업자 (이하, CC 라 한다), 예를 들어 NTT 가 제공하는 공중통신망에 더하여 새로운 전화통신사업자 (이하, NCC 라 한다) 에 의해 수많은 통신망 (이하, NCC 통신망이라 한다) 이 부설되어, 각종 사용자가 이용하고 있다. 각 사용자가 그 사용자가 계약한 특정 NCC 가 제공하는 NCC 통신망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NCC 를 특정하는 사업자 식별번호 [00XX] (이하, NCC 식별번호라 한다) 에 이어서 상대방 전화번호를 사용자 단말기기, 예를 들어 전화기에서 수동입력한다. 이 수동입력에 따라 전화기로부터 공중통신망으로 MCC 식별번호가 송출되어 전화기가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NCC 교류기에 접속된다. 다음으로,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되어 공중통신망 및 NCC 통신망을 통하여 전화기와 상대방 단말기기 간의 회전접속이 개시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기가 DSU 기능이 있는 단말 어댑터를 통하여 디지털 통신망 (예를 들어 ISDN 망) 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 단말 어댑터가 NCC 통신망을 이용할 때 전화기에서 수동입력된 NCC 식별번호 및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이처럼, NCC 통신망을 이용할 때 일반적으로는 MCC 식별부호의 입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번잡한 입력조작을 없애기 위해 단말 어댑터에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수동입력되었을 때에 NCC 식별번호를 필요에 따라 자동적으로 송출하는 자동 다이얼 기능 (부가정보 송출 기능) 을 구비한 것이 있는데, 이러한 단말 어댑터는 NCC 하나에만 적합한 것이다. 따라서, 복수의 NCC 통신망 중 임의의 것을 자동 다이얼로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단말 어댑터와 전환기를 사용자 단말기기와 가입자선 사이에 설치해서 전환기를 전환조작하여 소정 단말 어댑터를 선택한 다음, 선택한 단말 어댑터와 전환기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기를 가입자선에 접속해야 한다. 따라서, 각 사용자는 NCC 통신망 중 임의의 하나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없다.
또한, 각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CC 교환기에 등록된 NCC 식별번호를 사용자가 통화할 때에 CC 교환기가 자동송출하는 이른바 우선접속 서비스의 실용화가 일본국에서 예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 우선접속 서비스에서는 하나의 NCC 식별정보만을 CC 교환기에 등록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사용자가 등록 NCC 이외의 NCC 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등록되지 않은 NCC 의 식별번호를 입력해야 한다. 즉, 우선접속 서비스는 임의의 NCC 를 간편하게 선택이용 가능한 것이 아니다.
또한, 통화할 때마다 동일한 상대방 전화를 불러내는 직통 다이얼 기능 (고정접속기능, 즉 피호출자 지정기능) 이 있는 직통 전화, 그리고 이용요금이 저렴한 통신망이나 임의의 통신망을 선택하는 LCR (최저요금 선택) 기능 및 ACR (사업자 자동 선택) 기능이 있는 어댑터가 알려져 있다. 각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을 간단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 편리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및 루팅 기능을 구비하여, 각 사용자가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기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단말 어댑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컴퓨터가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및 루팅 기능을 가진 단말 어댑터의 통신제어부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독출이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및 루팅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단말 어댑터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초기설정 및 갱신을 통신망을 통하여 서비스 센터에 의해 실행가능하게 하여 그것으로 사용자간에서 다르며 동시에 사용자의 기호, 가족구성 등의 환경 변화에 의해 변화하는 통신망 이용형태에 적합한 최적 통신환경을 개개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에 의한 단말 어댑터는 단말 어댑터의 메모리에 미리 기억해 둔 제 1 회선접속정보로서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단말 어댑터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기가 오프 후크되었을 때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제 1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제 2 회선접속정보를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송출하는 제 2 기능과,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특정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통신망과의 회선접속에 제공되는 제 3 회선접속정보를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송출하는 제 3 기능 중 어느 임의의 한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통신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단말 어댑터에 의하면, 통신제어부가 제 1 기능을 실행하도록 단말 어댑터를 세트해 두면, 사용자 단말기기, 예를 들어 전화기가 오프 후크될 때마다 동일한 상대방 전화번호가 호출된다. 즉, 직통 다이얼 (상대방 지정) 기능이 실현된다.
제 2 기능이 실행되도록 단말 어댑터를 세트해 두면, 통신망과의 회선접속시에 요구되는 발신자 ID 나 패스워드 등의 부가정보 (제 2 회선접속정보) 가 자동송출되어 사용자에 의한 부가정보 입력을 위한 조작이 불필요해져, 사용자에게 편리하다. 특히, 제 2 회선접속정보로서 NCC 식별번호를 메모리에 저장한 경우, 수동입력된 통화 상대방 전화번호가 NCC 통신망을 이용하려고 한 것이라면, NCC 식별번호가 단말 어댑터로부터 자동송출된다. 즉, 자동 다이얼 기능이 진행된다. 또한, 요금 테이블이 있어 통신시간대나 상대방의 통신지역 등에 따라 통신비용이 가장 저렴해지는 NCC 통신망을 선택하는 최저요금경로 선택기능을 단말 어댑터가 구비하는 경우, 최저요금경로 선택기능에 의해 제 2 회선접속정보, 예를 들어 NCC 식별번호가 결정되어 최저요금으로 이용가능한 NCC 통신망에 관한 NCC 식별번호가 자동송출된다.
제 3 기능이 실행되도록 단말 어댑터를 세트해 두면, NCC 통신망의 이용시에 필요한 제 3 회선접속정보가 자동송출된다. 즉, 루팅 기능이 달성된다. 특히, 제 3 회선접속정보로서 복수의 NCC 교환기 식별번호, 예를 들어 복수의 NCC 교환기 전화번호를 저장해 두면, 사용자 단말기기의 오프 후크에 따라 첫번째 NCC 교환기 전화번호의 자동송출이 행해지고, 가입자선 교환기에 의한 통상적인 루팅에 의하지 않고 NCC 교환기로 루팅되어, NCC 통신망과의 회선접속이 시도된다. 그리고, 회선접속이 확립될 때까지 필요에 따라 두번째 이후의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된다. 또, 최저요금경로 선택기능과 조합함으로써 이용요금이 저렴한 순서대로 회선접속을 시도할 수도 있다.
NCC 식별번호 송출에 따라 작동하는 가입자선 교환기에 의해 통상의 루팅을수행하는 통신시스템의 경우, 각 NCC 는 NCC 망의 운용개시에 앞서 정부기관에서 NCC 식별번호의 인가를 받음과 동시에 CC 에 대하여 대단히 많은 수의 CC 교환기에 대한 NCC 식별번호의 등록을 의뢰해야 하여, 그 때문에 막대한 비용과 시간을 요한다. 또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기를 NCC 망에 접속하는 CC 의 서비스에 대하여 고액의 요금을 지불하게 된다. 이에 반하여, 단말 어댑터로부터 NCC 교환기 식별번호, 예를 들어 NCC 교환기 전화번호를 자동송출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가입자선 교환기에 의한 루팅에 의존하는 일없이 단말 어댑터 (즉, 사용자 단말기기) 와 NCC 교환기가 회선접속된다.
본 발명의 단말 어댑터는 여러 가지로 구성가능하며, 그 구체예는 아래와 같다.
단말 어댑터의 제 2 및 제 3 기능에 관련하여, 공중통신망을 이용해야 할 전화번호 또는 사용자 단말기기의 자국 시내국번을 포함하는 시외국번 또는 사업자 식별번호를 열거한 폰 테이블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수동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 또는 그 상위수 자리수(디지트)가 폰 테이블에 열거된 전화번호 또는 시외국번 또는 사업자 식별번호 중 어느 하나에 일치한 경우, 통신제어부는 시외국번 또는 사업자 식별번호를 송출하지 않고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예를 들어 공중통신망을 이용해야 할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공중통신망을 통한 회선접속이 즉시 시작된다. 또, 사용자가 이용계약하지 않고 있는 전화통신사업자에 관한 사업자 식별번호가 송출될 우려가 없다.
단말 어댑터의 제 2 기능에 관한 별도의 구체예에서는, 복수의 사업자 식별번호를 열거한 어디션폰 테이블과, 통신망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이용조건 및 사업자명 또는 사업자 식별번호 또는 교환기 식별번호에 대응시켜 열거한 요금 테이블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대방 전화번호의 수동입력에 따라 작동하는 통신제어부에 의해, 교환기에서 발신음이 복귀될 때까지, 예를 들어 사업자 식별번호가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여 결정된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송출되어, 발신음이 복귀되었을 때에는 수동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그리고, 어디션폰 테이블에 기초하여 마지막으로 결정된 사업자 식별번호를 송출하였을 때에 발신음이 복귀되지 않으면 수동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이용요금이 가장 낮은 통신망을 통한 회선접속이 시도되며, 교환기로부터 발신음이 복귀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용요금이 다음으로 낮은 통신망을 통한 회선접속이 시도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결정된 교환기 식별번호의 송출에 대하여 발신음이 복귀되지 않는 경우 공중통신망을 통한 회선접속이 시작된다.
단말 어댑터의 제 3 기능에 관한 별도의 구체예에서는, 복수의 교환기 식별번호, 예를 들어 교환기 전화번호를 열거한 루팅폰 테이블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상대방 전화번호의 수동입력에 따라 움직이는 통신제어부에 의해, 교환기로부터 전화번호 입력대기상태를 나타내는 발신음이 복귀될 때까지 루팅폰 테이블에서의 열거순서로 교환기 전화번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되며, 발신음이 복귀되었을 때에는 상기 수동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그리고, 루팅폰 테이블의 마지막에 기입되어 있는 교환기 전화번호를 송출하였을 때 발신음이 복귀되지 않으면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이 구체예에서는, 사용자의 이용우선도가 높은 통신망과의 회선접속이 시도되고, 교환기로부터 발신음이 복귀되지 않은 경우에는 우선도가 다음으로 높은 통신망과의 회선접속이 시도되며, 루팅폰 테이블에 열거된 교환기 전화번호 전부를 순차적으로 송출하더라도 발신음이 복귀될 때에는 공중통신망을 통한 회선접속이 시작된다. 루팅폰 테이블은, 예를 들어 시외국번 또는 국제전화에 관한 국가번호나 상대방 지불 전화번호 (프리다이얼 번호) 각각과 소요수의 교환기 식별번호를 대응시킨 것이면 된다. 이 경우, 시외 전화, 국제전화나 프리다이얼 전화에 있어서 시외국번, 국가번호 및 프리다이얼 번호의 수동입력에 따라 적절한 통신망을 이용우선순으로 선택하면서 회선접속이 시도되게 된다.
별도의 구체예에 관한 단말 어댑터에서는,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나 서비스 센터로부터 이용요금체계 정보의 송출을 위한 액세스가 있었을 때, 통신제어부는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상기 메모리의 다운 로드 영역에 저장한다. 그리고, 통신제어부는 다운 로드된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요금 테이블 형식으로 변환하고, 이 요금 테이블 형식으로 변환된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복수의 특정 전화통신사업자의 각 통신망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이용조건 및 사업자명 또는 사업자 식별번호에 대응시킨 요금 테이블을 작성 또는 갱신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특정 전화통신사업자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개개인에게 고유한 요금 테이블이 작성 또는 갱신된다.
별도의 구체예에 의한 단말 어댑터는, 서비스 센터에 형성된 서버로부터 테이블의 초기 설정 또는 갱신을 위한 액세스가 있었을 때, 서버에 의해 메모리에 대한 액세스를 허용하는 취지의 응답신호를 통신제어부를 통하여 어댑터관리부에서 송출한다. 이 구체예에 의하면, 테이블의 초기 설정 또는 갱신에 있어서, 서비스 센터의 서버가 마스터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 어댑터가 슬레이브로서 기능한다. 전형적으로는 서버의 디스플레이 화면상에 단말 어댑터 내의 적어도 한 테이블 또는 이것과 등가인 테이블이 표시된다. 그리고, 서비스 센터의 오퍼레이터에 의한 서버 입력장치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화면표시된 테이블내의 각종 설정란에 대한 데이터입력이 순차적으로 행해진다. 이 때, 각 데이터가 수동입력될 때 단말 어댑터의 메모리내에서 적어도 한 테이블의 대응부분에 데이터가 기입되고,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가 서버의 메모리내에서 등가인 테이블의 동일 부분에 기입된다. 즉, 테이블 데이터의 기입에 있어서, 단말 어댑터와 서버에 의해 미러링이 행해진다.
본 발명의 별도의 태양에 관한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제 1, 제 2 및 제 3 기능을 구비한 단말 어댑터의 통신 제어부로서의 역할을 달성가능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록매체에 의하면, 단말 어댑터에 설치됨과 동시에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로드한 컴퓨터는 단말 어댑터의 통신제어부로서의 역할을 하여,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또는 루팅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단말 어댑터의 컴퓨터에 프로그램을 로드할 때에는, 적절한 매체형식으로 제공되는 기억매체를, 전형적으로는 단말 어댑터에 접속한 퍼스널 컴퓨터의 CD-ROM 드라이브나 그 밖의 외부기억장치에 세트하여 이 기록매체내의 프로그램을 퍼스널컴퓨터를 통하여 단말 어댑터의 컴퓨터의 메모리내에 로드한다.
바람직하게는, 기록매체의 프로그램에는 단말 어댑터에서의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초기 설정·갱신을 하기 위한 설정·갱신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다. 이 설정·갱신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면 단말 어댑터에 접속된 퍼스널 컴퓨터의 표시화면상에 초기 설정·갱신 화면이 나타나, 이 화면상에서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을 초기 설정·갱신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통신망 이용형태나 그 변화에 적합한 통신환경이 구축된다.
상술한 로드 작업이나 초기 설정·갱신 작업은 사용자 집에서 서비스 센터 직원이나 전문가, 또는 사용자에 의해 실시가능하다. 단말 어댑터의 컴퓨터는, 상기 초기 설정·갱신 처리에서 참조해야 할 회선접속정보나 요금정보를 기록매체에 저장한 데이터 베이스 또는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된 서비스 센터 등의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검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집에서의 로드 작업 및 초기 설정·갱신 작업 대신에, 그러한 작업을 통신망을 통해 단말 어댑터에 접속되는 서비스 센터로부터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기록매체의 설정·갱신 프로그램은 그 기동 후에 서비스 센터를 호출하여 초기 설정·갱신 처리를 서비스 센터에 의뢰하는 순서를 실행하도록 작성된다. 또한, 통신망을 통한 작업실행자로서 사용자의 지인 등을 사용자가 지정하여 연락할 수 있도록 설정·갱신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 3 자에 의한 부정한 설정·갱신 처리를 방지하는 프로그램 루틴을 설정·갱신 프로그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집에서의, 또는 통신망을 통한 초기 설정·갱신 처리의 종료 후, 단말 어댑터의 컴퓨터는 단말 어댑터의 통신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바꾸어 말하면 초기 설정 또는 갱신된 회선접속정보에 기초하여 통신제어를 하는 회선접속엔진으로서 기능한다.
본 발명의 별도의 태양에 의한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은, 통신망에 각각 접속가능한 복수의 단말 어댑터 및 서비스 센터를 구비하고, 각 단말 어댑터는 제 1 내지 제 3 회선접속정보를 독출하는 상기 제 1 내지 제 3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며, 서비스 센터는 각 단말 어댑터의 메모리에 저장된 제 1, 제 2 및 제 3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을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수의 단말 어댑터 각각은,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및 루팅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하고, 개개의 사용자의 통신망 이용형태에 적합하여 편리하다. 한편, 특히 다수의 NCC 와 이용계약하는 사용자에게는, 단말 어댑터의 메모리에 저장해야 할 제 1 내지 제 3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정보의 초기 설정이나 갱신을 적절히 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개개의 사용자는 단말 어댑터의 제조업자나 판매업자에 문의하고 있지만, 이것은 사용자에게는 번잡할 뿐만 아니라 업자에게도 그러한 그러한 문의에 대하여 지원하는 것은 부담이 된다. 본 발명의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에 의하면, 개개의 사용자가 소유하는 단말 어댑터에서의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초기 설정이나 갱신이 서비스 센터로부터 통신망을 통하여실시되어, 회선접속정보 등의 설정·갱신에 따른 사용자 및 업자 양쪽의 부담이 경감된다.
또, 개개의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센터에 대하여 미리 연락한 사용자 단말기기, 나아가서는 단말 어댑터의 이용형태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가 각 단말 어댑터에서의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을 설정·갱신하도록 하면,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설정·갱신이 각 사용자의 승인하에 이루어져 각 단말 어댑터에 설정되는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은 각 사용자의 이용형태에 적합한 것으로 되며, 더구나 제 3 자에 의한 부정한 설정이나 갱신이 방지된다. 그리고, 각 사용자와 서비스 센터의 오퍼레이터가 통신망을 통하여 회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단말 어댑터 이용형태를 확인하면서 오퍼레이터가 회선접속정보나 요금 테이블의 설정·갱신을 할 수도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단말 어댑터를, 이 단말 어댑터, 별도의 단말 어댑터, 서비스 센터 및 요금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 접속되는 통신망과 함께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단말 어댑터의 내부구성을 나타낸 개략블록도,
도 3 은 도 2 에 나타낸 메모리내에 저장되는 동작모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메모리내에 저장되는 어디션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5 는 다이렉트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6 은 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7 은 루팅폰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8 은 부가정보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9 는 요금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
도 10 은 단말 어댑터를 사용자 집에 설치하였을 때 단말 어댑터의 송수신제어부에 의해 자국 시내국번 검출을 위해 실시되는 스타트 업 프로그램을 나타낸흐름도.
도 11 은 도 10 의 스타트 업 프로그램에 의한 자국 시내국번 검출의 구체예를 나타낸 도면.
도 12 는 다이렉트폰 모드에 있어서 송수신제어부가 실행하는 전화번호 송출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13 은 어디션폰 모드에서의 전화번호 송출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14 는 루팅 모드에서의 전화번호 송출 프로그램의 흐름도.
도 15 는 어디션폰 모드에서의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는 전화번호 송출 프로그램의 일부를 나타내는 흐름도.
도 16 은 단말 어댑터의 어댑터관리부의 제어하에서 행해지는 이용요금체계 정보의 다운 로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17 은 본 발명에 관한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에서의 단말 어댑터 관리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공중 통신망
2A ∼ 2N : NCC 통신망(특정 통신망)
3 : 서비스 센터
3C : 서버
4 : 요금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10, 10A : 단말 어댑터
17 : 송수신 제어부
18 : 어댑터 관리부
19 : 메모리
20 : 전화기(사용자 단말기기)
IGS : 관문 교환기
LS : 가입자선 교환기
TLS : 중계 교환기(특정 교환기)
TS : 시외 중계 교환기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의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의 일부를 구성하는 단말 어댑터 (10) 는 회선종단장치 (DSU) 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 가입자선 (SL) 에 접속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가입자선 (SL) 은, 가입자선교환기 (LS) 를 통하여 전화통신업자 (이하, CC 라 한다) 가 제공하는 공중통신망 (1), 예를 들어 종합디지털통신망 (ISDN) 에 접속된다. 가입자선교환기 (LS) 는 공중통신망 (1) 이 구비하는 시외중계교환기 (TS) 및 관문교환기 (IGS) 를 통하여 복수의 새로운 전화통신사업자 (이하, NCC 라 한다) 가 각각 제공하는 복수의 통신망 (이하, NCC 통신망이라 한다 ; 2A∼2N) 중 임의의 하나에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기호 TLS 및 POI 는 중계교환기 및 상호접속점을 나타낸다. 도 1 에는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 필요한 통신망의 일부분만을 나타낸다.
공중통신망 (1) 에는 다수의 교환기를 통하여 다수의 가입자단말이 접속되고, 이들 가입자단말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수의 단말 어댑터 (그 중 하나를 부호 10A 로 나타낸다) 를 포함한다. 이들 단말 어댑터의 셋 업에 관련하여, 단말 어댑터의 제조업자 또는 판매업자는 공중통신망 (1) 에 접속된 서비스 센터 (3) 를 갖고 있다. 부호 3A, 3B 및 3C 는 회선종단장치, 구내교환기, 단말장치로 기능하는 컴퓨터 (서버) 를 각각 나타낸다. 서비스 센터 (3) 는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의 주된 구성요소이다.
또, 공중통신망 (1) 이나 NCC 통신망 (2A∼2N) 에 구비된 주된 교환기에는 공중통신망이나 NCC 망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각각 축적한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그 중 하나를 부호 4 로 나타낸다) 이 접속되어 있다.
도 2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단말 어댑터 (10) 는 가입자선 (SL) 이 접속되는 접속포트 (11) 와, 이 접속포트 (11) 에 접속되어 회선종단장치 (DSU) 의 기능을 갖는 DSU 부 (12) 와, 이 DSU 부 (12) 에 접속되어 데이터전송에서의 동기취득 및 데이터전송속도 변환을 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 (13)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인터페이스부 (13) 는 실렉터 스위치 (14) 및 코덱 (15) 을 통하여, 전화기 (20) 를 접속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포트 (21, 22)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 1 인터페이스부 (13) 는 실렉터 스위치 (14) 및 제 2 인터페이스부 (16) 를 통하여 디지털단말을 접속할 수 있는 디지털포트 (23) 와 퍼스널 컴퓨터를 접속할 수 있는 시리얼포트 (24)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단말 어댑터 (10) 는, 제 1, 제 2 인터페이스부 (13, 16) 및 실렉터 스위치 (14) 에 접속된 송수신제어부 (17) 를 내장하며, 이 송수신제어부 (17) 는 단말 어댑터 (10) 에 접속된 전화기 (20) 나 디지털단말과 단말 어댑터 (10) 에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되는 상대방 단말기기 (예를 들어 단말 어댑터 (10A)) 사이에서 행해지는 송수신을 제어한다. 또한, 단말 어댑터 (10) 는 실렉터 스위치 (14) 에 접속된 어댑터 관리부 (18) 를 내장하며, 또한, 송수신제어부 (17) 및 어댑터 관리부 (18) 양쪽에서 액세스할 수 있는 메모리 (19) 를 내장하고 있다. 송수신제어부 (17) 및 어댑터 관리부 (18) 양쪽을 일괄적으로 통신제어부라 칭하는 경우가 있으며, 이 통신제어부는 전형적으로는 컴퓨터에 의해 구성된다. 이 컴퓨터는 메모리 (19) 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후술하는 직통 다이얼 기능, 자동 다이얼 기능 또는 우선 접속 기능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단말 어댑터 (10) 는, 그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포트 (21, 22) 에 접속된 전화기 (20) 각각을 「다이렉트폰」, 「어디션폰」, 「루팅폰」이라는 3 가지 모드에서 선택된 하나의 모드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모드 선택 기능에 관련하여, 메모리 (19) 에는 각 전화기 (20) 의 선택완료 동작 모드를 기억하는 동작모드 테이블 (도 3) 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단말 어댑터 (10) 에는 어댑터 관리부 (18) 에 접속되어 사용자가 수동조작할 수 있는동작 모드 선택 스위치 (도시생략) 가 형성된다.
다이렉트폰 모드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아날로그 포트 (21 또는 22) 에 접속된 전화기 (20) 가 오프 후크되면,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메모리 (19) 내의 다이렉트 테이블 (도 5) 에 미리 설정된 상대방 전화번호 (제 1 회선접속정보) 를 송출한다. 이로써 시내, 시외, 국외에 대한 통신 또는 공중통신망인지 NCC 망을 통한 통신인지 등에 상관없이 상대방 전화기 (더 일반적으로는 단말기기) 를 호출할 수 있다. 즉, 이 다이렉트폰 모드에 의하면, 항상 동일한 상대방 전화기를 호출하는 직통 다이얼 기능 (제 1 기능) 이 있다. 이 직통 다이얼 기능이 있는 사용자 전화기는, 예를 들어 보호 센터 등에 긴급연락을 하는 전화기나, 은행의 ATM 가까이에 설치되어 ATM 이 고장났을 때 ATM 이용자가 은행 직원에게 문의할 때 이용되는 전화기나, 또는 인터넷공급자의 액세스포인트에 접속되는 전화기로 사용된다.
어디션폰 모드에서는,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전화기 (20) 의 다이얼 버튼 등을 통하여 수동입력된 전화번호를 같은 제어부에 내장된 버퍼 메모리 (도시생략) 에 저장하고, 다음에 수동입력된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메모리 (19) 내의 폰 테이블 (도 6) 을 참조하면서 메모리내의 어디션 테이블 (도 4) 에 미리 설정된 번호 (제 2 회선접속정보) 를 필요에 따라 송출한다. 이로써, 시외나 국외로의, 또는 NCC 망을 통한 통신에서의 전화번호입력에 요하는 노동력을 경감시킨다. 전형적으로는, 어디션폰 모드에 의하면 NCC 통신망을 이용할 때 NCC 식별번호를 상대방 전화번호에 앞서 송출하는 자동 다이얼 기능 (제 2 기능)이 있다.
단말 어댑터 (10) 는,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복수의 NCC 통신망 중, 통신시간대나 상대방의 통신지역 등에 따라 다른 통신비용이 가장 저렴해지는 NCC 통신망을 자동선택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최저요금경로 (LCR) 선택기능에 관련하여, 메모리 (19) 에는 계약완료된 NCC 망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사용자 고유의 요금 데이터 베이스로서 저장하기 위해 요금 테이블 (도 9)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최저요금경로 선택기능에 의해 제 2 회선접속정보를 결정하여, 최저요금으로 이용할 수 있는 NCC 통신망에 관한 NCC 식별번호를 자동송출한다. 요금 테이블에서의 항목구분이나 NCC 식별번호 설정가능수는 도 9 에 도시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루팅폰 모드에서는, 전화번호의 수동입력에 따라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폰 테이블을 참조하면서 메모리 (19) 내의 루팅 테이블 (도 7) 에 미리 설정된 복수의 전화번호 (제 3 회선접속정보) 를 미리 정해진 순서로 회선접속이 허용될 때까지 소정시간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송출한다. 송수신제어부 (17) 에서 송출되는 전화번호는 전형적으로는 NCC 교환기 전화를 포함한다. 루팅폰 모드에 의하면, 가입자선 교환기에 의한 통상적인 루팅에 의하지 않고서 NCC 교환기에 루팅하는 우선접속기능 (제 3 기능) 을 나타낸다.
루팅 테이블은, 예를 들어 합계 5 페이지의 테이블로 이루어지며, 1 페이지당 200 건의 검색번호가 설정되어 검색번호마다 최대 10 개의 NCC 교환기 전화번호를 등록할 수 있게 형성된다. 검색번호는, 예를 들어 일본국내에서의 시외국번이나 국제전화에서의 국가번호나 프리다이얼 번호이다.
다이렉트폰 모드, 어디션폰 모드 또는 루팅폰 모드 어떤 것에서도, NCC 망을 이용하는 경우 단말 어댑터 (10) 는 메모리 (19) 내의 부가정보 테이블 (도 8) 을 참조하여 필요한 부가정보를 송출한다.
이하, 단말 어댑터 (10) 에 의한 전화번호송출에 이용되는 자국 시외번호의 취득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 집에 설치된 단말 어댑터 (10) 를 가입자선 (SL) 에 접속함과 동시에 단말 어댑터 (10) 의 제 1 아날로그 포트 (21) 및/또는 제 2 아날로그 포트 (22) 에 전화기 (20) 를 접속한 후에 사용자가 전화기 (20) 를 오프 후크하면,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내장된 스타트 업 프로그램 (도 10) 을 기동시켜 가입자선 교환기 (LS) 에서 송출된 자국전화번호로부터 시내번호를 검출하여 도 6 에 도시한 폰 테이블의 전화번호 리스트 중 대응란에 체크한다.
자세하게는, 도 10 의 스타트 업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 송수신제어부 ((17) 또는 어댑터 관리부 (18)) 는 전화기를 오프 후크하였을 때 가입자선 교환기 (LS) 에서 송출된 자국전화번호 (도 11 의 경우, 0473585886) 를 취득한다 (단계 S11). 다음으로, 메모리 (19) 내의 전국 시외국번 테이블을 참조하여 제어부 (17) 는 그 테이블에 리스트 업된 시외국번 각각이 자국전화번호와 상위 2 자리수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순서대로 판별하여, 자국전화번호와 상위 2 자리수가 일치하는 시외국번을 보유한다 (단계 S12). 이어서, 복수의 시외국번이 보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단계 S13), 이 판별결과가 긍정이면 시외국번의 제 3자리수가 자국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순서대로 판별하여, 제 3 자리수가 일치하는 시외국번을 보유한다 (단계 S14). 그리고, 복수의 시외국번이 보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하여 (단계 S15), 이 판별결과가 긍정이면 시외국번의 제 4 자리수가 자국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순서대로 판별하여, 제 4 자리수가 일치하는 시외국번을 보유한다 (단계 S16). 다시, 복수의 시외국번이 보유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17). 이 설명예에서는 시외국번이 4 자리수 이하의 자리수로 구성되기 때문에, 단계 S17 의 판별결과가 긍정이면 상위 3 자리수 모두가 자국전화번호와 합치된 시외국번을 보유한다 (단계 S18). 상기 단계 S13, S15, S17 또는 S18 중 어느 한 단계에서 하나의 시외국번이 검출되기 때문에, 이러한 하나의 시외국번이 자국 시내국번으로서 검출되어 폰 테이블 중의 동일번호에 체크되어 (단계 S19), 본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도 11 의 경우, 시내국번 047 이 자국 시내국번으로서 검출되어 도 6 의 폰 테이블에서 이 번호에 체크된다.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단말 어댑터 (10) 가 사용자 집에 설치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서비스 센터 (3) 를 호출하는 자동발신통지기능을 가지며, 단말 어댑터 관리정보, 예를 들어 단말 어댑터의 제조번호와 사용자 전화번호를 서비스 센터 (3) 에 통지하게 되어 있다. 서비스 센터 (3) 는 단말 어댑터 (10) 로부터 통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어댑터 (10) 의 사용자를 등록한다.
이하, 도 17 을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의 단말 어댑터 관리순서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구입한 단말 어댑터 (10) 가 사용자 집에 설치된다 (단계 S101, S102). 즉, 단말 어댑터 (10) 에 전화기 (20) 및 가입자선 (SL) 을 접속하여 단말 어댑터 (10) 의 전원을 온으로 한다. 이것에 대응하여 어댑터 관리부 (18) 에 내장된 타이머 (도시생략) 가 초기 설정된다. 또한, 단말 어댑터 (10) 에 모드선택스위치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단말 어댑터 (10) 의 제 1 및 제 2 아날로그 포트 (21, 22) 에 접속한 전화기 각각을 다이렉트폰, 어디션폰, 루팅폰 중 어느 모드로 사용할 것인지를 모드선택스위치를 이용하여 선택한다.
단말 어댑터 (10) 를 설치하고 나서 예를 들어 1 시간이 경과하면 (단계 S103), 단말 어댑터 (10) 의 자동발신통지기능이 기동하여 서비스 센터 (3) 를 호출, 단말 어댑터의 제조번호 및 1 개 또는 2 개의 사용자 전화번호 (이하, 사용자 전화번호라 한다) 를 서비스 센터 (3) 에 통지한다 (단계 S104). 이 자동발신통지는 사용자가 단말 어댑터 (10) 를 통신에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것을 조건으로 하여 행해진다. 또한, 자동발신통지에 프리다이얼 회선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통화요금 부담이 회피된다. 그리고, 프리다이얼 회선을 매개로 한 서비스 센터 (3) 와의 회선접속이 확립되지 않으면, 회선접속이 확립될 때까지 소정의 대기시간마다 재다이얼을 반복한다.
서비스 센터 (3) 는, 단말 어댑터 (10) 의 제조번호 및 사용자 전화번호를 취득하면 (단계 S105), 사용자 전화번호에 따라 단말 어댑터 (10) 가 접속되어 있는 가입자선 (SL5) 을 관리하는 통신사업자의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에 액세스하여 (단계 S106),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사용자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전화가입자의 성명, 주소 등의 사용자정보를 취득한다 (단계 S107). 단, 통신사업자와 전화가입자 간의 계약에 의해 사용자정보가 비공개이면,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사용자정보는 얻을 수 없다.
다음으로, 서비스 센터 (3) 는 사용자의 소재가 확인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108). 전화번호부 데이터 베이스의 검색에 의해 사용자의 주소·성명을 찾았다면 사용자의 소재가 확인되었다고 판별하여, 이 경우 단말 어댑터의 제조번호 및 사용자 전화번호와 함께 사용자의 성명 및 주소를 포함한 가입자정보 (사용자 정보) 를 서비스 센터 (3) 의 사용자관리용 장치, 예를 들어 호스트 컴퓨터에 등록하여 (단계 S109), 단말 어댑터 (10) 의 관리서비스를 실행한다 (단계 S110).
한편, 단계 S108 에서 사용자의 소재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에는, 서비스 센터 (3) 의 오퍼레이터는 단말 어댑터 (10) 로부터 통지된 사용자 전화번호를 다이얼한다 (단계 S111). 그리고, 전화를 받은 사람이나 사용자에게 단말 어댑터 (10) 의 보증을 하기 위하여 필요한 수속을 밟는다는 사정을 설명하여, 전화를 받은 사람이나 사용자의 동의하에 직접 사용자의 성명과 주소를 포함한 사용자정보를 얻는다 (단계 S112).
서비스 센터 (3) 에서는, 이렇게 하여 얻은 사용자정보를 제조번호 및 사용자 전화번호와 함께 사용자관리용 장치에 등록하여 (단계 S109), 단말 어댑터 관리서비스를 한다 (단계 S110).
이 단말 어댑터 관리 서비스는 각 사용자에 의한 단말 어댑터 (10) 의 이용형태에 적합한 제 1 내지 제 3 회선접속정보를 초기 설정하거나 갱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회선정보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은 각 사용자로부터 통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실시된다. 또는, 서비스 센터 (3) 의 오퍼레이터가 ISDN 망의 음성채널을 통해 사용자와 통화하면서 ISDN 망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단말 어댑터 (10) 에 회선접속정보의 초기 설정이나 갱신을 위한 제어·설정명령을 입력하도록 해도 된다.
발호자로부터 독출이 있으면, 피호출측 장치로서 기능하는 송수신제어부 (17) 는 ISDN 망의 D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발호자 전화번호나 이것과 함께 필요에 따라 전송되는 부가신호를 검출한다. 송수신제어부 (17) 는 발호자 전화번호 및 부가신호에 기초하여 단말 어댑터 (10) 의 메모리 (19) 내 각종 테이블의 초기 설정이나 갱신을 위한 서비스 센터 (3) 로부터의 호출을 판별하면, 실렉터 스위치 (14) 를 어댑터 관리부 (18) 에 접속한다. 어댑터 관리부 (18) 는, 서비스 센터 (3) 에 의한 메모리 (19) 에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취지의 응답신호를 송수신제어부 (17) 를 통하여 서비스 센터 (3) 에 송출한다. 그 결과, 서비스 센터 (3) 의 서버 (3C) 가 마스터로서 기능함과 동시에 단말 어댑터 (10) 가 슬레이브로서 기능하게 되어, 서비스 센터 (3)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하여 메모리 (19) 내의 각종 테이블을 초기 설정 또는 갱신한다.
서비스 센터 (3) 에 의한 회선접속정보의 초기 설정이나 갱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아래의 사항을 우편이나 전화연락 등으로 서비스 센터 (3) 에통지한다.
(ⅰ) 단말 어댑터 (10) 에 접속한 전화기 각각의 사용모드를 다이렉트폰, 어디션폰, 루팅폰 중 어떤 것으로 설정하였는지 또는 어떤 모드에서 사용할 것을 희망하는지를 알린다.
(ⅱ) 다이렉트폰 모드의 경우, 이 모드에서 지정해야 할 상대방 (피호출자) 전화번호를 알린다. 다이렉트폰 모드는 전화기를 오프 후크하기만 하면 예를 들어 긴급연락처를 사용자가 호출할 수 있도록 하여 형성되며, 상대방 전화번호는 국제전화에 관련되는 국가번호, 시외국번, NCC 식별번호 및 NCC 교환기 전화번호 중 하나 이상을 필요에 따라 포함한다. NCC 식별번호나 NCC 교환기 전화번호에 관해서는, 사용자가 모르면 NCC 명을 서비스 센터 (3) 에 통지하면 된다. 이하 동일.
(ⅲ) 어디션폰 모드의 경우, 국제전화에 관련되는 국가번호, 시외국번, NCC 식별번호 (예를 들어 일본국의 KDD 등의 국제전화통신사업자의 식별번호) 중 하나 이상을 알린다.
(ⅳ) 루팅폰 모드의 경우, 복수의 교환기 전화번호 또는 시외국번을 알린다.
(ⅴ) 각 계약 NCC 의 이용에 사용되는 발신자 ID, 및 필요하다면 패스워드를 알린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의 자국전화번호가 복수의 특정 NCC 에 공통된 발신자 ID 로서 사용된다. 이 사용자 전화번호는 전화기 (20) 가 오프 후크되었을 때 공중통신망 (1) 의 교환기 (이하, CC 교환기라 한다) 에서 NCC 교환기에 송출된다. 또한, CC 교환기로부터의 사용자 전화번호의 송출 대신에, 또는이 송출과 함께 단말 어댑터 (10) 의 메모리 (19) 의 소정영역에 기억시켜 둔 사용자 전화번호를 발신자 ID 송출요구에 따라 송수신제어부 (17) 가 독출하여 송출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서비스 센터 (3) 는 이하의 순서로 원격제어 액세스에 의한 단말 어댑터 (10) 내 각종 테이블의 초기 설정 또는 갱신을 한다.
(ⅰ) 서비스 센터 (3) 의 오퍼레이터는, 단말 어댑터 보수유지용 컴퓨터 (서버 ; 3C) 중 어느 하나의 입력장치를 조작하여,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센터 (3) 에 고유한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망을 통하여 단말 어댑터 (10) 를 호출한다. 그리고, 서버 (3C) 에 의한 단말 어댑터 (10) 의 메모리 (19) 로의 액세스를 허용하는 취지의 응답신호가 어댑터관리부 (18) 로부터 송출되면, 서버 (3C) 의 디스플레이화면상에 응답신호의 수신이 표시된다. 그래서 오퍼레이터는 서버 (3C) 의 입력장치를 수동조작하여 아래 작업을 실시한다.
(ⅱ) 오퍼레이터는, 단말 어댑터 (10) 의 동작모드 테이블 (도 3) 을 컴퓨터 (3C) 의 디스플레이에 표시시키는 조작을 하고, 사용자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단말 어댑터 (10) 에 접속된 전화기 (20) 각각을 다이렉트폰, 어디션폰 또는 루팅폰 중 어느 동작모드로 사용하여야 할지를 지정하기 위해 디스플레이표시된 동작모드 테이블 중 대응란에 체크한다.
(ⅲ) 전화기 (20) 가 다이렉트폰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서버 (3C) 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표시된 다이렉트 테이블 (도 5) 에 사용자로부터의 통지에 기초하여 상대방 전화번호를 기입한다.
(ⅳ) 전화기 (20) 가 어디션폰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오퍼레이터는 서버 (3C) 를 조작하여 디스플레이표시된 어디션 테이블 (도 4) 및 폰 테이블 (도 6) 에 사용자로부터 통지된 국가번호, 시외국번 또는 통지된 NCC 명에 대응하는 NCC 식별번호, 예를 들어 NCC 교환기 전화번호를 기입한다.
(ⅴ) 전화기 (20) 가 루팅폰 모드로 사용되는 경우, 루팅 폰 테이블 (도 7) 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여, 사용자로부터 통지된 복수의 NCC 명에 기초하여 복수의 NCC 교환기 전화번호를 루팅 폰 테이블에 기입한다.
NCC 교환기 전화번호의 구체예는 예를 들어 「0123456789」이며, NCC 식별번호 [00XX] 와는 다르다. NCC 교환기번호는 프리다이얼 서비스나 착신자부담 서비스에 대응하는 것일 수도 있다.
(ⅵ) 디스플레이표시된 부가정보 테이블 (도 8) 에, 사용자의 통지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계약한 NCC 의 식별번호 각각에 대응시켜 발신자 ID 및 또는 패스워드를 기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전화번호를 부가정보 (발신자 ID) 로서 이용하기 때문에, 부가정보 테이블에는 복수의 NCC 에 공통된 사용자 전화번호가 기입된다.
단말 어댑터 (10) 로부터의 응답신호를 수신한 시점 이후 서비스 센터 (3) 의 서버 (3C) 는 마스터로서 기능하는 한편, 단말 어댑터 (10) 는 슬레이브로서 기능한다. 바람직하게는 서버 (3C) 는 ISDN 망의 B 채널을 통하여 단말 어댑터 (10) 에 접속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마스터인 서버 (3C) 의 입력장치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화면표시된 테이블 내의 각종 설정란에 대한 데이터입력이순차적으로 행해진다. 개개의 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슬레이브인 단말 어댑터 (10) 의 메모리 (19) 내 테이블의 대응부분에 데이터가 기입되고, 이와 동시에 동일한 데이터가 서버 (3C) 의 메모리내의 등가 테이블의 동일 부분에 기입된다. 즉, 단말 어댑터 (10) 및 서버 (3C) 에 대한 테이블 데이터 기입에서는 미러링이 행해진다.
서비스 센터 (3) 는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등의 전화번호가 변경된 경우에 새로운 전화번호를 단말 어댑터 (10) 에 원격으로 통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이 기능은 전국적으로 국번변경이 행해진 경우 등에 특히 유용하다.
이하, 상술한 자국 시외번호 취득 및 테이블 초기 설정을 포함하는 셋 업이 완료된 단말 어댑터 (10) 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말 어댑터 (10) 의 제 1 또는 제 2 아날로그 포트에 접속된 전화기 (20) 가 오프 후크되면,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도 3 의 동작모드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 전화기의 동작모드를 판별한다.
동작모드로서 다이렉트폰 모드가 설정되어 있다고 판별한 경우,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송수신제어부 (17) 는 도 5 의 다이렉트 테이블로부터 상대방 전화번호를 독출하여 버퍼 메모리에 일시 유지한다 (단계 S21). 상대방 전화번호에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부가되어 있는 경우, 이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먼저 송출된다 (단계 S22, S23). 그 결과, NCC 교환기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NCC 교환기와 단말 어댑터 (10) 를 접속하는 통신경로가 공중통신망 (1) 에서 빠르게 확립된다. 그리고, 이 NCC 교환기에 대하여 CC 교환기로부터 사용자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NCC 교환기는 이 사용자 전화번호를 발신자 ID (부가정보) 로서 수신하여, 이 사용자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NCC 망에 대한 전화기 (20) 의 회선접속을 허용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회선접속을 허용하는 경우에는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에 대기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발신음을 송출한다.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NCC 교환기로부터 발신음이 복귀되면 버퍼 메모리에 일시 유지한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하여 (단계 S24, S25), 다이렉트폰 모드 판별시의 전화번호송출을 종료한다. 전화번호 송출후의 통신순서는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의 동작모드에 관해서도 동일).
CC 교환기로부터 송출된 사용자 전화번호가 NCC 교환기에 발신자 ID 로서 등록되어 있는 다수의 사용자 전화번호 중 어느 하나와도 합치되지 않으면, NCC 교환기에 의해 회선접속이 거절되어 NCC 교환기로부터 단말 어댑터 (10) 에 불통음이 복귀된다.
또한, CC 교환기 및 단말 어댑터 (10) 의 양쪽으로부터 사용자 전화번호를 발신자 ID 로서 NCC 교환기에 송출하는 경우, 송출된 사용자 전화번호들이 합치되지 않거나 또는 CC 교환기 및 단말 어댑터로부터 송출된 동일한 사용자 전화번호가 NCC 교환기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면, 회선접속이 거절된다.
전화기 (20) 의 오프 후크시에 전화기의 동작모드가 어디션폰 모드라고 판별한 경우,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전화기 (20) 의 다이얼버튼 조작에 의한 상대방 전화번호의 입력 종료를 기다려,전화번호의 입력이 완료하면 (단계 S31) 전화번호의 최상자리수가 0 인지 아닌지, 전화번호 또는 그 상위수 자리수 (예를 들어 4 자리수) 가 도 6 의 폰 테이블에 없는지 있는지, 폰 테이블에서 체크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단계 S32∼S34). 판별결과 중 어느 하나가 긍정이면 전화기 (20) 로부터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단계 S36). 이 경우, 공중통신망 (1) 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회선접속된다. 어디션 테이블 내에 NCC 식별번호가 설정되는 경우에는 폰 테이블내의 대응하는 번호가 체크되고, 이에 따라 어디션 테이블 내에서 설정된 번호와 같은 NCC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사용자가 수동입력하였을 때 생길 수 있는 NCC 식별번호를 2 회 송출한다는 원하지 않는 동작을 방지한다.
한편, 단계 S32∼S34 에서의 판별결과가 모두 부정이고, 따라서 전화번호의 최상자리수가 0 이거나 또는 전화번호 또는 그 상위수 자리수가 폰 테이블에 있음과 동시에 체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4 의 어디션 테이블 내의 번호가 송출되고 이어서 전화기 (20) 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단계 S35). 즉, 전화번호의 선두에 어디션 테이블 내의 번호를 부가한 것이 송출된다. 전형적으로는 어디션 테이블 내의 번호는 시외국번이나 NCC 식별번호를 나타낸다.
또한, 어디션 테이블의 번호가 NCC 교환기 전화번호이면, 도 12 의 다이렉트폰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먼저 송출되고, NCC 교환기로부터 발신음이 복귀되었을 때 상대방 전화번호 (전화기 (20) 로부터 입력된 전화번호) 를 송출한다.
어디션 모드에서는 상대방 전화번호가 수동입력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되고, 이로 인하여 전화번호를 다시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전화기 (20) 를 수동조작을 할 우려를 없앨 수 있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어디션폰 모드에서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송출되는 번호, 예를 들어 NCC 식별번호를 어디션 테이블에 저장해 두었지만,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번호, 예를 들어 NCC 식별번호는 후술하는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는 LCR 기능이나 ACR 기능에 따라 결정된다.
LCR 선택기능에 의한 NCC 식별번호의 결정에 관하여 설명하기 전에, 먼저 요금 테이블의 작성 및 이것에 관련되는 단말 어댑터 (10) 의 구성을 설명한다.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어느 한 NCC 나 CC 의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으로부터의 이용요금체계 정보송신을 위한 호출을 판별하면, 실렉터 스위치 (14) 를 어댑터 관리부 (18) 에 접속하게 되어 있다. 또한, 서비스 센터 (3) 는 다수의 NCC 나 CC 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저장해 두어, 각 사용자가 이용계약하고 있는 NCC 나 CC 의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각 사용자의 단말 어댑터에 송신하는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 송수신제어부 (17) 는 서비스 센터 (3) 로부터의 호출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어댑터 관리부 (18) 는 서비스 센터 (3) 나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에서 송신된 이용요금체계 정보에 기초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서술하는 것처럼 도 9 의 요금 테이블 또는 그 일부를 새롭게 작성하거나 또는 적어도 일부를 작성완료된 요금 테이블에서 갱신한다.
도 16 은 어댑터 관리부 (18) 에 의한 요금 테이블의 작성·갱신순서를 나타낸다.
도 16 에 있어서, 어댑터 관리부 (18) 는 사용자 집에서 단말 어댑터 (10) 를 설치할 때, 내장된 타이머 (도시생략) 를 초기 설정한다 (단계 S61). 이 타이머에 의해 계측되는 시간은 통신망 선택의 기준이 되는 사용조건 중 하나인 현재 일시의 판정에 이용된다. 사용자 집에 설치된 단말 어댑터 (10) 의 어댑터관리부 (18) 는 단말 어댑터에 대한 액세스 유무를 송수신제어부 (17) 를 통하여 항상 감시하고 있다 (단계 S62). 그리고, 단말 어댑터에 대한 액세스가 있는 경우에는 이 액세스를 허가하여야 할지의 여부를 송수신제어부 (17) 에 의해 검출된 발호자 전화번호, 부가신호 및 사업자 식별번호의 대응하는 것에 기초하여 판별한다 (단계 S63).
이 판별에 있어서, 어댑터 관리부 (18) 는 서비스 센터 (3) 나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NCC 또는 CC 의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으로부터, 그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단말 어댑터 (10) 로 다운 로드하기 위한 액세스가 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이 판별결과가 긍정이면, 어댑터 관리부 (18) 는 단말 어댑터 (10) 에 대한 액세스를 허가하는 취지의 응답신호를 송수신제어부 (17) 를 통하여 발호자에게 송출하고, 이로써 서비스 센터 (3) 나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에 단말 어댑터 (10) 로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다운 로드할 것을 허가한다.
다음으로, 어댑터 관리부 (18) 는 서비스 센터 (3) 또는 이용계약한 통신사업자의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메모리 (19) 의 다운 로드 영역에 저장한다 (단계 S64). 바람직하게는 서비스 센터 (3) 나 각 NCC 또는 CC 의 요금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 (4) 으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사업자표시정보, 예를 들어 NCC 식별번호와 함께 메모리 (19) 의 다운 로드 영역에 기입한다. 이러한 이용요금체계 정보의 기입에 있어서, 동일 NCC 또는 CC 의 이용요금체계 정보가 메모리 (19) 의 다운 로드 영역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등록완료 정보를 새롭게 다운 로드된 정보로 치환한다. 또한, 이용요금체계 정보의 다운 로드를 허가하는 시간대를 예를 들어 전화의 이용빈도가 적은 심야 등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어서, 어댑터 관리부 (18) 는 다운 로드된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도 9 에 예시하는 요금 테이블의 형식으로 변환한다 (단계 S65). 그리고, 이 요금 테이블 형식으로 변환된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이용하여, 어댑터 관리부 (18) 는 복수의 전화통신사업자의 각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이용조건 및 사업자명 또는 사업자 식별번호 또는 교환기 식별번호 (예를 들어 교환기 전화번호) 에 대응시킨 요금 테이블을 작성 또는 갱신한다 (단계 S66).
이 요금 테이블의 작성·갱신에 있어서, 어댑터 관리부 (18) 는, 다운 로드되어 요금 테이블 형식으로 변환된 어떤 NCC 또는 CC 에 관련된 이용요금체계 정보와, 메모리 (19) 내에 저장된 요금 테이블 (도 9) 에 설정되어 있는 다른 NCC 또는 CC 에 관련된 이용요금체계 정보 각각과 비교하여 이용요금체계 정보를 통합정리한다. 즉, 도 9 에 요금 테이블로서 예시한 바와 같이, 각 통신망의 이용요금이 통신망 및 그 이용조건 (예를 들어 요일이나 시간대 등의 시간적 구분 및 시내·시외·국제·인터넷 등의 통신종별) 에 대응된다.
각 NCC 나 CC 에 관련된 이용요금체계 정보의 다운 로드는, 각 NCC 나 CC 가그 이용요금을 개정하거나 신규 서비스를 시작하는 등의 경우, 가입자에 대하여 그 이용을 권하기 위해 각 NCC 나 CC 의 책임하에서 자발적으로 실시된다. 그리고, 각 NCC 망 (2A∼2N) 이나 공중통신망 (1) 의 이용에 수반되는 과금처리를 메모리 (19) 내의 요금 테이블에 등록된 최신 이용요금체계 정보에 따라서 실시한다는 제약을 부과시키면, 각 NCC 나 CC 에서의 청구액에 관한 불필요한 문제를 피할 수 있다.
그리고 NCC 나 CC 에서는 이용요금체계 정보가 단말 어댑터 (10) 에 다운 로드된 시점에서 그 가입자에 대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시작하게 되므로, 새로운 서비스에 의하여 영업상 우위의 입장을 차지하기 위해 이용요금체계 정보의 다운 로드를 지체없이 행하게 된다.
이하, 요금 테이블에 기초한 최저요금경로 선택기능에 의한 어디션폰 모드에서의 NCC 식별번호의 결정·송출순서에 관해 설명한다.
어디션폰 모드에 관련된 전화번호 송출처리를 나타내는 도 13 의 단계 S32∼S34 에서의 판별결과가 모두 부정이면,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전화기 (20) 로부터 수동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에 포함되는 시외국번이나 국가번호 및 현재시간 등에 따라 도 9 의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여 최저요금의 통신망을 선택하고 (도 15 의 단계 S35A), 이 단계 S35A 에서 선택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NCC 식별번호를 결정한다. 도 9 에 도시한 요금 테이블의 경우, 최저요금의 통신망 선택 및 NCC 식별번호의 결정이 실질적으로는 동시에 수행된다. 그리고, 이 NCC 식별번호를 어디션 테이블에 기입함과 동시에 가입자선을 향해 송출하여 (단계 S35B), 교환기로부터 입력 대기를 나타내는 발신음이 복귀되어 오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35C). 발신음이 있으면 제어 플로우는 도 13 의 단계 S36 으로 진행하여, 전화기 (20) 에서 입력된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즉,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먼저 송출되어 NCC 교환기로부터 발신음이 복귀되면 상대방 전화번호 (전화기 (20) 에서 입력된 전화번호) 가 송출된다.
단계 S35C 에서 교환기로부터의 발신음이 없다고 판별하면,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여 통신요금이 다음으로 저렴한 통신망에 대응하는 NCC 식별번호의 결정을 시도하여 (단계 S35D), NCC 식별번호가 결정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35 E). NCC 식별번호가 결정되면 단계 S35B 으로 진행하여 이 NCC 식별번호를 송출한다. 한편, NCC 식별번호의 결정이 나지 않으면 도 13 의 단계 S36 으로 진행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된다. 이 경우,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기와 회선접속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어디션폰 모드에서는 통신요금이 저렴한 순서대로 NCC 망과의 회선접속이 시도되고, NCC 망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회선접속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공중통신망을 통하여 회선접속된다.
그리고, 전화기 (20) 의 오프 후크시에 전화기의 동작모드가 루팅 폰 모드라고 판별된 경우,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3 의 단계 S31∼S34 에 대응하는 단계 S41∼S44 를 실시하여, 전화기 (20) 를 통하여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의 최상 자리수가 0 이 아닌지, 또는 전화번호 또는 그 상위수 자리수 (예를 들어 4 자리수) 가 도 6 의 폰 테이블에 없거나, 또는 폰 테이블에서 체크되어 있으면, 전화기 (20) 에서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하여 (단계 S45) 본 프로그램의 실행을 종료한다. 이 경우, 공중통신망 (1) 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기에 회선접속된다.
한편, 전화번호의 최상자리수가 0 이거나 또는 전화번호 또는 그 상위수 자리수가 폰 테이블에 있으며 동시에 체크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본 프로그램에서의 변수 (N) 를 값 1 에 세트하고 (단계 S46), 상대방 전화번호에 포함되는 시외국번이나 국가번호인 검색번호에 따라서 루팅폰 테이블의 소요 페이지를 선택하여, 이 페이지에서 검색번호에 대응하는 1 군의 NCC 교환기 전화번호 중 N 번째 (여기서는 첫번째) 의 번호를 송출하고 (단계 S47), 교환기로부터 입력대기를 나타내는 발신음이 복귀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단계 S48). 발신음이 있으면, 송수신제어부 (17) 는 전화기 (20) 에서 입력된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단계 S45). 따라서, 루팅폰 테이블 내의 번호가 시외국번이면 단계 S47 에서의 시외국번의 자동송출에 이어 상대방 전화번호가 송출되게 된다. 그러나, 루팅폰 테이블내의 번호는 전형적으로는 NCC 교환기 전화번호이기 때문에, 단계 S45 에서는 도 12 의 다이렉트폰 모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먼저 송출되고, NCC 교환기로부터 발신음이 복귀되면 상대방 전화번호 (전화기 (20) 에서 입력된 전화번호) 를 송출한다.
단계 S48 에 있어서 교환기로부터의 발신음이 없는 것을 판별하면, 변수 (N) 가 값 1 만큼 증가되어 갱신되며, 갱신후의 변수 (N) 는 이용가능한 통신망수의 최대치 10 를 상회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49, S50). 갱신후의 변수(N) 가 값 10 이하이면 단계 47 로 되돌아가 루팅폰 테이블 내의 다음 번호가 송출되며, 그 후 이미 설명한 처리가 실시된다. 갱신후의 변수 (N) 가 값 10 을 넘으면 입력된 전화번호를 송출하여 (단계 S45), 공중통신망 (1) 을 통한 회선접속이 시작된다.
또, 갱신후의 변수 (N) 가 값 10 을 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 그러한 판정이 소정 회수를 넘지 않을 동안에는 변수 (N) 를 값 1 로 리셋하여 루팅폰 테이블 내의 번호를 소정 회수에 걸쳐 송출가능하게 해도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루팅폰 모드에서는 이용우선순으로 NCC 교환기 전화번호가 순차적으로 송출되어, 어느 한 NCC 교환기와의 회선접속이 확립되면 상대방 전화번호가 NCC 교환기에 발신되어, NCC 교환기의 교환서비스에 의해 NCC 망을 통하여 상대방 전화기와의 통신회선이 확립된다.
이하, 상대방 전화번호가 시외국번 [03] 을 포함하는 경우에 NCC 망 (2A) 을 이용하기 위해, 루팅 테이블에 NCC 망 (2A) 의 중계교환기 (TLS) 의 전화번호가 시외국번 [03] 에 관련된 첫번째 NCC 교환기 전화번호로서 등록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 전화기 (20) 로부터 예를 들어 상대방 전화번호 [03-5957-3001] 가 수동입력되면, 단말 어댑터 (10) 의 송수신제어부 (17) 는 상대방 전화번호를 버퍼 메모리에 축적함과 동시에 이 상대방 전화번호에 포함되는 시외국번 [03] 을 검색번호로 하여 루팅 테이블을 검색한 다음, 루팅 테이블로부터 독출한 첫번째 NCC 교환기 전화번호를 발신한다. 그 결과, NCC 교환기 (TLS) 가 호출된다. 즉,단말 어댑터 (10) 에 의한 루팅이 행해진다. 그리고, 단말 어댑터 (10) 와 NCC 교환기 (TLS) 가 회선접속되면, NCC 교환기 (TLS) 는 다이얼 대기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발신음을 단말 어댑터 (10) 로 복귀시킨다. 이에 따라, 송수신제어부 (17) 가 그 버퍼 메모리에 축적시킨 상대방 전화번호 [03-5957-3001] 를 발신하면 이 상대방 전화번호로 특정되는 상대방 전화기가 호출된다.
이상과 같이 루팅폰 모드에서는, 단말 어댑터 (10) 의 루팅 기능에 의한 회선접속이 행해진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나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의 어디션폰 테이블이나 도 5 의 다이렉트폰 테이블에 있어서 전화기 한 대에 번호 하나를 설정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어디션폰 테이블이나 다이렉트폰 테이블에 소요수의 번호를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다이렉트폰 테이블에 복수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이용우선도가 높은 순으로 설정해 두고, 첫번째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하였을 때 통화중이라는 등의 이유로 회선접속이 불가능할 때 두번째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복수 연락처의 호출을 순차적으로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긴급연락처인 부모님 집이 호출되지 않으면 제 2 긴급연락처인 형제 집을 호출하거나, 또한 어느 한 택시회사가 호출되지 않으면 다른 택시회사를 호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도 8 에 나타내는 부가정보 테이블에 있어서, 부가정보 (발신자 ID 및 패드워드) 와 NCC 식별번호를 대응시키도록 하였지만, 부가정보와 NCC 명을 대응시켜도 된다. 이 경우, NCC 명과 NCC 식별번호를 대응시킨 테이블을 메모리 (19) 에 저장해 두고, 송수신제어부는 이 테이블을 참조하여 NCC 명에 대응하는 NCC 식별번호를 찾아내고 이어서 NCC 식별번호에 대응하는 부가정보를 찾아낸다.
도 3 내지 도 9 에 나타내는 각종 테이블에서의 설정항목이나 NCC 식별번호 설정란의 수는 예시이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로 변경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9 에 나타내는 요금 테이블에서는 요일 등의 시간적구분 및 시내 등의 통신종별을 이용조건으로 하여 요금 테이블을 구분하였지만, 그 밖의 이용조건에 따라 요금 테이블을 구분할 수 있다.

Claims (10)

  1. 사용자 단말기기 (20) 가 접속됨과 동시에 가입자선 (SL) 에 접속되는 단말 어댑터 (10) 로서,
    제 1 회선접속정보와, 제 2 회선접속정보와,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특정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통신망 (2A-2N) 과의 회선접속에 제공되는 제 3 회선접속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19); 및
    상기 메모리에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제 1 회선접속정보로서의 상대방 전화번호를상기 사용자 단말기기가 오프 후크되었을 때에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제 2 회선접속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 3 회선접속정보를 해당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제 3 기능 중 임의의 한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통신제어부 (17, 18)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19) 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기능 중 어느 것을 실행하여야 하는지를 지정하기 위한 테이블 (FIG. 3) 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제어부 (17, 18) 는 상기 테이블에 지정된 상기 제 1, 제 2 또는 제 3 기능을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 (20) 를 통하여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통신망을 이용해야 한다고 판별한 경우, 그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제 2 회선접속정보로서의 통신사업자 식별번호를 상기 메모리 (19) 에서 독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특정 통신망을 이용해야 한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특정 통신망에 형성된 교환기 (TLS) 를 나타내는 교환기 식별번호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상기 제 3 회선접속정보로서 독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4. 제 3 항에 있어서, 복수의 특정 통신망 (2A-2N) 과의 회선접속에 각각 제공되는 복수의 교환기 전화번호가 상기 제 3 회선접속정보로서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입력된 상대방 전화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특정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고 판별한 경우, 상기 복수의 특정 통신망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교환기 (TLS) 중 어느 하나와 회선접속될 때까지 상기 복수의 교환기에 각각 대응하는 교환기 전화번호를 상기 복수의 특정 통신망의 이용 우선 순서에 따라 상기 메모리로부터 순차적으로 독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통신망 이용요금과 통신망 이용조건 및 통신사업자 표시정보를 대응시켜 완성되는 요금 테이블 (FIG. 9) 이 상기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용 우선도가 높은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사업자 식별번호를 상기 제 2 회선접속정보로서 결정하여, 상기 통신사업자 식별번호를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6.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단말 어댑터 (10) 의 컴퓨터 (17-19) 에 전송가능한 프로그램 (FIG. 10, 12-16) 을 구비하되,
    여기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프로그램 및 제 1, 제 2 및 제 3 회선접속정보를 저장한 상기 컴퓨터에 제 1, 제 2 및 제 3 기능 중 임의의 한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가능하게 하고,
    상기 제 3 회선접속정보는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특정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통신망 (2A-2N) 과의 회선접속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기능은, 상기 컴퓨터의 메모리 (19) 에 제 1 회선접속정보로서 기억해 둔 상대방 전화번호를 상기 단말 어댑터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기기 (20) 가 오프 후크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단말 어댑터에 접속된 가입자선 (SL) 에 송출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제 2 회선접속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기능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 3 회선접속정보를 해당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회선접속정보의 초기 설정·갱신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 (S11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컴퓨터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됨과 동시에 통신망 이용요금과 통신망 이용조건 및 통신사업자 표시정보를 대응시켜 완성되는 요금 테이블의 초기 설정·갱신을 하기 위한 프로그램 (FIG. 16)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9.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으로서,
    통신망 (1, 2A-2N) 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단말 어댑터 (10, 10A); 및
    상기 통신망에 접속되고 각 상기 단말 어댑터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회선접속정보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을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하는 서비스 센터 (3) 를 구비하되,
    여기서 각 단말 어댑터에는 사용자 단말기기 (20) 및 가입자선 (SL) 이 접속되고, 각 단말 어댑터는 통신제어부 (17, 18) 와, 제 1 회선접속정보, 제 2 회선접속정보, 및 사용자가 이용계약한 특정 통신사업자에 의해 제공되는 특정 통신망 (2A-2N) 과의 회선접속에 제공되는 제 3 회선접속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19)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미리 기억해 둔 상기 제 1 회선접속정보로서의 상대방 전화번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 (20) 가 오프 후크되었을 때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 (SL) 에 송출하는 제 1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제 2 회선접속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제 2 기능과, 상기 사용자 단말기기를 통하여 상대방 전화번호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제 3 회선접속정보를 해당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상기 가입자선에 송출하는 제 3 기능 중 임의의 한 가지 기능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말 어댑터의 각 상기 메모리 (19) 에는 통신망 이용요금과 통신망 이용조건 및 통신사업자 표시정보를 대응시켜 완성되는 요금 테이블 (FIG. 9) 이 미리 저장되고,
    상기 제 2 기능은, 상기 요금 테이블에 기초하여 이용 우선도가 높은 통신망에 대응하는 통신사업자 식별번호를 상기 제 2 회선접속정보로서 결정하여, 이 통신사업자 식별번호를 상기 상대방 전화번호의 송출에 앞서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센터 (3) 는, 각 상기 단말 어댑터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는 상기 요금 테이블의 초기 설정 및 갱신을 상기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어댑터 관리 시스템.
KR1020000069176A 2000-04-06 2000-11-21 단말 어댑터,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단말어댑터 관리 시스템 KR100676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04948A JP3674836B2 (ja) 2000-04-06 2000-04-06 端末アダプタおよび端末アダプタ管理システム
JP2000-104948 2000-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6502A true KR20010096502A (ko) 2001-11-07
KR100676657B1 KR100676657B1 (ko) 2007-01-31

Family

ID=18618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9176A KR100676657B1 (ko) 2000-04-06 2000-11-21 단말 어댑터,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단말어댑터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154620B1 (ko)
JP (1) JP3674836B2 (ko)
KR (1) KR100676657B1 (ko)
CN (1) CN1316846A (ko)
AT (1) ATE288653T1 (ko)
CA (1) CA2326787A1 (ko)
DE (1) DE60017874D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886A (ko) * 2001-04-04 2001-07-13 이동환 후크(hook)상태를 감지하고 선/후불카드의 입력번호를자동 송출하는 ACR 단말기
KR20210038276A (ko) * 2019-09-30 2021-04-07 최수아 단말기 어댑터를 포함하는 재난 감지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8481B1 (ko) * 2002-02-21 2004-04-28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액정표시장치가 장착된 자동 접속 다이얼 전화기의 선로설정 방법
JP2006311177A (ja) * 2005-04-28 2006-11-09 Nec Corp ネットワーク装置の設定及びファームウェアの更新方法、ネットワーク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701347B1 (ko) * 2006-06-22 2007-03-29 (주) 우리텔 유선전화망에 자동으로 접속시키는 통신모듈이 내장된휴대전화
JP4992541B2 (ja) * 2007-05-15 2012-08-08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ハンズフリー通話システム、および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における国際電話の発信方法
KR101853408B1 (ko) * 2010-04-01 2018-04-30 톰슨 라이센싱 대량의 범용 디지털 터미널 어댑터 제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45750A (ja) * 1990-10-06 1992-05-19 Canon Inc 通信端末アダプタ
CA2111634C (en) * 1992-12-17 1999-02-16 Toshio Nishida Private branch exchange
JP2836573B2 (ja) * 1996-04-12 1998-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Lcr収容ターミナルアダプタ
IL120045A0 (en) * 1997-01-21 1997-04-15 Call Manage Ltd Telecommunications call management system
US6167130A (en) * 1997-10-31 2000-12-26 Rosen; Howard B. Conditional autodial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7886A (ko) * 2001-04-04 2001-07-13 이동환 후크(hook)상태를 감지하고 선/후불카드의 입력번호를자동 송출하는 ACR 단말기
KR20210038276A (ko) * 2019-09-30 2021-04-07 최수아 단말기 어댑터를 포함하는 재난 감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326787A1 (en) 2001-10-06
EP1154620B1 (en) 2005-02-02
DE60017874D1 (de) 2005-03-10
ATE288653T1 (de) 2005-02-15
KR100676657B1 (ko) 2007-01-31
CN1316846A (zh) 2001-10-10
JP2001292246A (ja) 2001-10-19
JP3674836B2 (ja) 2005-07-27
EP1154620A1 (en)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56941B2 (ja) 構内電子交換機
US6542733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personal telephone number dialing lists and dialing capabilities
JPH05207149A (ja) 高機能uptサービス制御方法
KR100676657B1 (ko) 단말 어댑터, 컴퓨터 독출 가능한 기록매체 및 단말어댑터 관리 시스템
US5675638A (en) Communications device entry method and apparatus
CN1092237A (zh) 对漫游蜂窝电话用户完成呼叫的系统
KR100371486B1 (ko)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04126B1 (ko) 단말기 어댑터
EP11709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terminal adapter management
JP3536282B2 (ja) サービス制御装置
JP2001168960A (ja) 端末アダプタ
JP3508417B2 (ja) データ通信方法
JP2000078282A (ja) 接続確立方法、サ―ビス制御点、および通信網
JP2002199133A (ja) プリペイド式携帯端末の加入者番号取得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7327096A (ja) 移動電話課金システム
JPH077554A (ja) 回線自動選択装置
JPH10271221A (ja) グループサービスシステム
JP2001127921A (ja) 構内交換装置
JPH11331348A (ja) 自動ダイヤル付加機能付き電話機
JPH089432A (ja) Pbx−コンピュータ連携システム
JPH11150758A (ja) Phs端末
JPH11215236A (ja) 交換機システム及び加入者接続方法
SE517325C2 (sv) Intelligent nod i telekommunikationssystem
JPH06326777A (ja) 電子交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