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5166A -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이것을사용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이것을사용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5166A
KR20010095166A KR1020010016899A KR20010016899A KR20010095166A KR 20010095166 A KR20010095166 A KR 20010095166A KR 1020010016899 A KR1020010016899 A KR 1020010016899A KR 20010016899 A KR20010016899 A KR 20010016899A KR 20010095166 A KR20010095166 A KR 20010095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voltage
differential amplifier
conductivity type
dif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6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2711B1 (ko
Inventor
추치야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사마 사부로,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구사마 사부로
Publication of KR20010095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5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7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179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MOSFET transistor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 H03F3/45183Long tailed pai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30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 H03F3/3001Single-ended push-pull [SEPP] amplifiers; Phase-splitters therefor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 H03F3/3022CMOS common source output SEPP amplifiers
    • H03F3/3028CMOS common source output SEPP amplifiers with symmetrical driving of the end stage
    • H03F3/303CMOS common source output SEPP amplifiers with symmetrical driving of the end stage using opamps as driving stag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153Feedback used to stabilise the amplifie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454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CSC comprising biasing means controlled by the input signal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covered by H03F3/00
    • H03F2203/45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 H03F2203/45674Indexing scheme relating to differential amplifiers the LC comprising one current mirr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출력 전압을 조기에 안정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차동 증폭 장치는, 제 1, 제 2 차동 증폭 회로를 갖는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는,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1 N 형 트랜지스터와 제 2 의 N 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입력 전압(VIN1)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제 2 차동 증폭 회로는,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1 의 P 형 트랜지스터와 제 2 의 P 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입력 전압(VIN2)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1 신호(S1)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P 형 트랜지스터와, 제 2 차동 증폭 장치로부터의 제 2 신호(S2)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N 형 트랜지스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 3 의 P, N 형 트랜지스터 사이의 전압이 출력 전압(VOUT)이 된다. 제 3 의 P 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3 신호(S3)에 근거하여 조기에 변화시키는 제 4 의 N 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1 전압 제어 회로(60)가 설치되어 있다. 제 3 의 N 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을, 제 1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4 신호(S4)에 근거하여 조기에 변화시키는 제 4 의 P 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제 2 전압 제어 회로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이것을 사용한 전자기기{Differential amplifie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power supply circuit and electronic equipmen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2셋트의 차동 증폭 회로를 갖는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종래의 차동 증폭 장치를 도시하고, 2셋트의 제 1, 제 2 차동 증폭 회로(210, 230)를 갖는다. 제 1, 제 2 차동 증폭 회로(210, 230)에는, 옵셋이 있는 제 1, 제 2 입력 전압(VIN1, VIN2)이 각각 입력된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210)의 후단에는, 제 1 차동 증폭 회로(210)로부터의 제 1 신호(S1)에 의해서 구동되는 P형 MOS 트랜지스터(250)가 설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차동 증폭 회로(230)의 후단에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230)로부터의 제 2 신호(S2)에 의해서 구동되는 N형 MOS 트랜지스터(2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250) 및 N 형 MOS 트랜지스터(252)가 서로 끌어 당기는 것으로, 출력 전압(Vout)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21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 형 MOS 트랜지스터(212)와, P 형 MOS 트랜지스터(212)와 함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P 형 MOS 트랜지스터(214)를 포함한다.
제 2 차동 증폭 회로(230)는, N 형의 MOS 트랜지스터(232)와, N 형 MOS 트랜지스터(232)와 함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N 형 MOS 트랜지스터(234)를 포함한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210)는 또한, 전원 전압(VDD, VSS)의 사이에서, P 형 MOS 트랜지스터(212)에 직렬 접속된 N 형 MOS 트랜지스터(216)와, 전원 전압(VDD, VSS) 사이에서 P 형 MOS 트랜지스터(214)에 직렬 접속된 N 형 MOS 트랜지스터(120)를 통해 전원 전압(VSS)과 접속되어 있다. 이들 N 형 MOS 트랜지스터(216, 218)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동일 능력을 갖기 때문에, 차동 쌍을 구성한다.
제 2 차동 증폭 회로(230)도 마찬가지로, 전원 전압(VDD, VSS) 사이에서 N형, MOS 트랜지스터(232)에 직렬 접속된 P 형 MOS 트랜지스터(236)와, 전원 전압(VDD, VSS) 사이에서 N 형 MOS 트랜지스터(234)에 직렬 접속된 P 형 MOS 트랜지스터(238)를 갖는다. 또한, P 형 MOS 트랜지스터(236, 238)는 정전류원(240)을 통해 전원 전압(VDD)과 접속되어 있다.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236, 238)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동일 능력을 갖기 때문에, 차동 쌍을 구성한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하는 출력 전압(VOUT)을 어떤 전압에 안정시키기 위해서, 그 안정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부터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키는 경우와, 그 안정 전압보다 높은 전압으로부터 출력 전압(VOUT)을 하강시키는 경우가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도 8의 P 형 MOS 트랜지스터(250)에서 보다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하고, N 형 MOS 트랜지스터(252)에서 보다 적은 전류를 흐르게 할 필요가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그 반대의 동작을 시킬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출력 전압(VOUT)이 안정이 되는 과정에서는, P 형 MOS 트랜지스터(250) 및 N 형 MOS 트랜지스터(252)의 게이트 전압의 상승 또는 하강이 지연되어, P 형 MOS 트랜지스터(250) 및 N 형 MOS 트랜지스터(252)에서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지연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전압이 빠르게 안정 상태로 향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는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 장치의 개략 회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차동 증폭 장치의 상세한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하는 차동 증폭 장치의 출력 전압(VOUT)의 설명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하는 차동 증폭 장치의 VOUT가 안정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의 개략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파형을 도시하는 파형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전원 회로의 회로도.
도 8은, 종래의 차동 증폭 장치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커몬 드라이버 104; 세그먼트 드라이버
106; 전원 회로 108; 구동 제어 회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른 차동 증폭 장치는,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 1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1 차동 증폭 회로와,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 2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제 1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1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2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3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제 1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 사이의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제 1 전압 제어 회로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3 신호에 근거하여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로써,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동작이 빨라져, 출력 전압을 안정 상태를 향하여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 1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차동 증폭 회로의 정전류원과 병렬 접속된 제 4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신호가 상기 제 4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3 신호에 의해 제 4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온함으로써,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3 신호는,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와 같은 신호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발진 방지용의 제 1 용량이 접속되고, 출력 전압의 안정이 지연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상기 제 1 전압 제어 회로를 대신하여,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4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 2 전압 제어 회로를 설치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동작이 빨라져, 출력 전압을 안정 상태를 향하여 빠르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 2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의 정전류원과 병렬 접속된 제 2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 4 신호가 상기 제 4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제 4 신호에 의해 제 4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가 온함으로써,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4 신호는,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와 같은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은,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발진 방지용의 제 2 용량이 접속되고, 출력 전압의 안정이 지연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는, 상술한 제 1, 제 2 전압 제어 회로의 쌍방을 설치한 것이이다. 이렇게 하면,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쌍방의 동작을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양태에 의하면, 상술한 차동 증폭 장치를 적어도 포함하여 칩의 반도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차동 증폭 장치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여 전원 회로를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전원 회로를 포함한 전자기기를 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 장치의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차동 증폭 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동 증폭 장치의 회로도이다. 상기 차동 증폭 장치는 제 1 입력 전압(VIN1)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전압 폴로어형의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와, 제 2 입력 전압(VIN2)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전압 폴로어형의 제 2 의 차동 증폭 회로(30)를 갖는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1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P 형의 MOS 트랜지스터(12)와, P 형 MOS 트랜지스터(12)와 함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P 형 MOS 트랜지스터(14)를 포함한다.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12, 14)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동일 능력을 갖기 때문에,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제 2 차동 증폭 회로(30)는, N 형의 MOS 트랜지스터(32)와, N 형 MOS 트랜지스터(32)와 함께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하는 N 형 MOS 트랜지스터(34)를 포함한다. 이들 N 형 MOS 트랜지스터(32, 34)도, 사이즈가 동일하고 동일 능력을 갖기 때문에, 커런트 미러 회로를 구성한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10)는 또한, 전원 전압(VDD, VSS)의 사이에서, P 형 MOS트랜지스터(12)에 직렬 접속된 제 1 도전형 예를 들면 N 형의 MOS 트랜지스터(16)(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전원 전압(VDD, VSS) 사이에서 P 형 MOS 트랜지스터(14)에 직렬 접속된 N 형 MOS 트랜지스터(18)(제 2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또한, N형 MOS 트랜지스터(16, 18)는 정전류원을 통해 전원 전압(VSS)과 접속되어 있다. 이들 N 형 MOS 트랜지스터(16, 18)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동일 능력을 갖기 때문에, 차동 쌍을 구성한다.
제 2 차동 증폭 회로(30)도 마찬가지로, 전원 전압(VDD, VSS) 사이에서 N 형 MOS 트랜지스터(32)에 직렬 접속된 제 2 도전형 예를 들면 P 형의 MOS 트랜지스터(36)(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전원 전압(VDD, VSS) 사이에서 N 형 MOS 트랜지스터(34)에 직렬 접속된 P 형 MOS 트랜지스터(38)(제 2 의 제 2도전형 트랜지스터)를 갖는다. 또한, P 형 MOS 트랜지스터(36, 38)는 정전류원(40)을 통해 전원 전압(VDD)과 접속되어 있다.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36, 38)는, 사이즈가 동일하고 동일 능력을 갖기 때문에, 차동 쌍을 구성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차동 증폭 회로(10)로부터의 제 1 신호(S1)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P 형 MOS 트랜지스터(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50)와, 제 2 의 차동 증폭 회로(30)로부터의 제 2 신호(S2)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N 형 MOS 트랜지스터(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52)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50)와 N 형 MOS 트랜지스터(52)는, 전원전압(VDD, VSS) 사이에서 직렬에 접속되고, P 형 MOS 트랜지스터(50)와 N 형 MOS 트랜지스터(52) 사이의 전압이, 차동 증폭 장치의 출력 전압(VOUT)이 된다. 또한, P 형 트랜지스터(50)는 출력 전압(VOUT)이 내려 간 경우의 부하가 크기 때문에, 큰 사이즈로 형성되고, 게이트 용량은 커지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증폭 회로(10, 30)에는, 발진 방지용 용량(C1, C2)과, 정전기 보호용 저항(R1, R2)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차동 증폭 회로(10)는, 정전류원(20)과 병렬로 설치된 N 형 MOS 트랜지스터(제 4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62)를 포함하는 제 1 전압 제어 회로(60)를 갖는다. 상기 N 형 MOS 트랜지스터(62)의 게이트에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30)로부터의 제 3 신호(S3)가 입력된다. 결과로서, 제 1 전압 제어 회로(60)는, 제 1 신호(S1)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는, 정전류원(40)과 병렬로 설치된 P 형 MOS 트랜지스터(제 4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72)를 포함하는 제 2 전압제어 회로(70)를 갖는다. 상기 P형 MOS 트랜지스터(72)의 게이트에는 제 1 차동 증폭 회로(10)로부터의 제 4 신호(S4)가 입력된다. 결과로서, 제 2 전압 제어 회로(70)는, 제 2 신호(S2)의 전압을 제어함으로써,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N 형 트랜지스터(62) 및 P 형 MOS 트랜지스터(72)는, 차동 증폭 장치 출력 전압(VOUT)의 안정시에 있어서는 오프 상태이고, 거의 전류는 흐르지 않는다.
(차동 증폭 장치의 동작)
제 1, 제 2 입력 전압(VIN1, VIN2)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차동 증폭 장치의 출력 전압(VOUT)은, 안정 상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간 전압(VIN1-VIN2)/2로 안정하거나 또는 그 중간 전압을 경계로 전압(VIN1)과 전압 (VIN2)과의 사이에서 흔들리는 전압이 된다.
본 실시예의 차동 증폭 장치는, 출력 전압(VOUT)을 조기에 안정 상태의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 동작을, 안정 상태의 전압을 향하여 출력 전압(VOUT)을 조기에 상승시키는 경우와, 하강시키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한다.
(1) 안정 상태의 전압을 향하여 출력 전압(VOUT)을 조기에 상승시키는 경우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정 상태의 전압을 V1로 가정한다. 타이밍(t0) 이전에서 1 출력 전압(VOUT)의 출력선은 예를 들면 다른 전압선과 쇼트되고, 전압 V1보다도 낮게 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N 형 MOS 트랜지스터(18)와 P 형 MOS 트랜지스터(38)의 게이트 전압은 원래의 안정 상태의 전압보다 낮게 된다.
여기서,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에서는, 정전류원(20)에서 정전류가 흐르는 한편으로, N 형 MOS 트랜지스터(18)의 게이트 전압이 저하하는 것으로 인해, N 형MOS 트랜지스터(18)에 흐르는 전류(I18)는 감소하고, 그 만큼 전류(I16)는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에서는, 전류(I16)가 증가하는 결과로서,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게이트 전압(S1)이 내려 가고, P 형 MOS 트랜지스터(50)에서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도록 변화한다.
한편,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서는, 정전류원(40)으로 정전류가 흘르고, 더구나 P 형 MOS 트랜지스터(36, 38)는 차동 쌍을 구성하기 때문에, P 형 MOS 트랜지스터(36, 38)를 흐르는 전류(I36, I38)는, I36+I38=일정하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P 형 MOS 트랜지스터(38)의 게이트 전압이 저하하기 때문에, P 형 MOS 트랜지스터(38)에 흐르는 전류(I38)는 증가하고, 그 만큼 전류(I38)는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서는, 전류(I36)가 인가되는 결과로서,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위가 내려 가서, N 형 MOS 트랜지스터(52)에 의해 적은 전류가 흐르도록 변화한다.
이와 같이, P 형 MOS 트랜지스터(50)에서 보다 많은 전류가 흐르고, N 형 MOS 트랜지스터(52)에 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는 결과,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50), N 형 MOS 트랜지스터(52)가 서로 당기면서, 푸시-풀 형태의 차동 증폭 장치의 출력 전압(VOUT)이 도 4의 안정 전압(V1)을 향하여 상승한다.
상기의 설명에 의한 출력 전압(VOUT)의 상승 과정은, 도 4에서 세선(80)으로 도시하는 변화이고, 시간(t3-t0)의 비교적 긴 시간을 요한다.
상기 이유는, 상기의 동작만으로는, P 형 MOS 트랜지스터(50) 및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압의 상승 또는 하강이 지연되고, P 형 MOS 트랜지스터(50) 및 N 형 MOS 트랜지스터(52)에서 흐르는 전류의 변화가 지연되기 때문이다.
즉,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게이트 전압은, 도 2에 도시하는 발진 방지용 용량(C1)과,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게이트 용량과, 게이트선(L1)의 배선 기생 용량에 챠지되는 전압이다. 그 챠지 시간은, 게이트선(L1)의 배선 용량과 정전류원(20)의 능력으로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압도, 도 2에 도시하는 발진 방지용 용량(C2)과,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용량과, 게이트선(L2)의 배선 기생 용량에 챠지되는 전압이다. 그 챠지되는 시간은, 게이트선(L2)의 배선 용량과 정전류원(40)의 능력으로 결정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제 2 전압 제어 회로(60, 70)에 의해, P 형 MOS 트랜지스터(50) 및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압을 빠르게 변화시키고 있다.
즉,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서는, 전류(I36)는 감소하는 결과로서, 제 3 신호(S3)의 전압(이것은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선(L2)의 전압과 같다)이 낮아진다. 이 결과,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에 설치된 N 형 MOS 트랜지스터(62)의 게이트 전압이 낮게 되어, N 형 MOS 트랜지스터(62)를 흐르는 전류(I62)는 감소한다. 이 때는,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동작은, 정전류원(20)에 흐르는 의해서 결정되어지게 된다.
한편,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에서는, 게이트선(L1)의 전압이 보다 낮게 되기 때문에, 상기의 게이트선(L1)의 전압과 같은 제 4 신호(S4)의 전압이 낮게 된다. 이 결과,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 설치된 P 형 MOS 트랜지스터(72)의 게이트 전압이 낮게 되어, P 형 M0S 트랜지스터(72)를 흐르는 전류(I72)가 증가한다.
이로 인해,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의 차동 쌍 및 커런트 미러에 흐르는 전류가 많아진다. 이 때, 게이트선(L2)에 기생하는 토탈 용량은 변하지 않지만, P 형 MOS 트랜지스터(72)의 전류(I72)가 정전류원(40)에 인가되기 때문에,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동작을 빠르게 하게 된다.
상기 추가의 동작에 근거한 출력 전압(VOUT)의 상승 과정을, 도 4에서 실선(82)으로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N 형 MOS 트랜지스터(62)가 온하는 타이밍(t1)에서 출력 전압(VOUT)의 상승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정에 달하기까지의 시간을 (t2-t0)로 단축할 수 있고, 출력 전압(VOUT)을 빠르게 안정시킬 수 있다.
(2) 안정 상태의 전압을 향하여 출력 전압(VOUT)을 조기에 하강시키는 경우
이 경우, N 형 MOS 트랜지스터(18)와 P 형 MOS 트랜지스터(38)의 게이트 전압은, 원래의 안정 상태의 전압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N 형 MOS 트랜지스터(18)에 흐르는 전류(I18)는, 그 게이트 전압이증가하기 때문에 증가하고, 그 만큼 N 형 MOS 트랜지스터(16)에 흐르는 전류(I16)는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에서는, 전류(I16)가 감소하는 결과로서,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게이트 전위가 올라가서, P 형 MOS 트랜지스터(50)에서 적은 전류가 흐른다.
한편,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서는, P 형 MOS 트랜지스터(38)에 흐르는 전류(I38)는, 그 게이트 전압이 높아지기 때문에 감소하고, 그 만큼 P 형 MOS 트랜지스터(36)에 흐르는 전류(I36)는 증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서는, 전류(I36)가 증가하는 결과로서,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위가 올라가서, N 형 MOS 트랜지스터(52)에 많은 전류가 흐른다.
또한,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에서는, 전류(I16)가 인가되는 결과로서, 게이트선(L1)의 전압과 같은 제 4 신호(S4)의 전압이 높아진다. 이 결과, 제 2 차동 증폭 회로(10)에 설치된 P 형 MOS 트랜지스터(72)의 게이트 전압이 높게 되어, P 형 MOS 트랜지스터(72)를 흐르는 전류(I72)가 감소한다.
이 때,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동작은 정전류원(40)의 전류에 의해 결정되어지게 된다.
한편, 제 2 차동 증폭 회로(30)에서는,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선 (L2)의 전압이 보다 높아지게 되는 결과로서, 제 3 신호(S3)의 전압(이것은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선(L2)의 전압과 같다)이 높아진다. 이 결과, 제 1 차동 증가 회로(10)에 설치된 N 형 MOS 트랜지스터(62)의 게이트 전압이 높게 되어, NMOS 트랜지스터(62)를 흐르는 전류(I62)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제 1 차동 증폭 회로(10)의 차동 쌍, 커런트 미러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많아진다. 게이트선(L1)에 기생하는 토탈 용량은 변하지 않지만, N 형 MOS 트랜지스터(62)를 흐르는 전류(I62)가 정전류원(20)의 전류에 인가되기 때문에,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동작을 빠르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P 형 MOS 트랜지스터(50)에서 보다 적은 전류가 흐르고, N 형 MOS 트랜지스터(52)에 의해 많은 전류가 흐르는 결과, 이들 P 형 MOS 트랜지스터(50), N 형 MOS 트랜지스터(52)가 서로 당기면서, 출력 전압(VOUT)이 안정 전압을 향하여 조기에 하강하게 된다.
또한, 출력 전압(VOUT)의 안정이 지연되는 이유의 하나로, 도 2에 도시하는 발진 방지용 용량(C1, C2)의 존재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용량을 부가한 차동 증폭 회로에 상술의 대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제 2 차동 증폭 회로(10, 30) 중의 어느 한쪽에, 발진 방지용 용량 등이 부가된 용량이나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러한 종류의 용량이 없는 측의 한쪽의 차동 증폭 회로에서 상술의 대책을 실시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제 1, 제 2 전압 제어 회로(60, 70)의 한쪽만을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가능한 경우가 있다.
<제 2 실시예>
도 7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액정 표시 장치의 구성 및 동작)
도 5는, 액정 표시 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있어서, 액정 표시부 예를 들면, 단순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부(100)는, 커먼 전극(C0 내지 Cm)이 형성된 제 1 기판과, 세그먼트 전극(S0 내지 Sn)이 형성된 제 2 기판과의 사이에, 액정을 밀봉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커먼 전극의 한 개와 세그먼트 전극의 한개가 교차하는 교점이 표시 화소가 되고, 액정 표시부(100)에는 (m+1)x(n+1)의 표시 화소가 존재한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 표시 장치는, 단순 매트릭스 액정 표시부(10)를 대신하여,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 표시 장치 등, 다른 액정 표시부를 사용할 수 있다.
커먼 전극(C0 내지 Cm)에는 커먼 드라이버(102)가 접속되고, 세그먼트 전극 (S 내지 Sn)에는 세그먼트 드라이버(104)가 접속되어 있다. 이들 커먼 드라이버(102), 세그먼트 드라이버(104)는, 전원 회로(106)로부터 소정의 전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구동 제어 회로(108)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그의 소정 전압을 커먼 전극(CO 내지 Cm) 또는 세그먼트 전극(S0 내지 Sn)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것이다.
여기서, 도 5에 도시하는 액정 표시부(100)의 커먼 전극(C3)을 선택하는 프레임 기간 구동 파형의 일례를 도 6에 도시한다.
도 6에 있어서, 굵은 선은 커먼 드라이버(102)로부터 각 커먼 전극(C0 내지 Cm)에 공급되는 구동 파형이고, 가늘선은 세그먼트 드라이버(104)로부터 각 세그먼트 전극(S0 내지 Sn)에 공급되는 구동 파형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먼 드라이버(102)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파형은, 전압(V0, V1, V4, V5)의 사이에서 변화한다. 한편, 세그먼트 드라이버(104)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파형은, 전압(VO, V2, V3, V5)의 사이에서 변화한다.
(전원 회로의 구성)
도 7은, 도 5에 도시하는 전원 회로(106)의 상세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SW1 내지 SW6) 중 어느 하나가 2개를 온함으로써, 커먼 드라이버(1O2)에 공급되는 전압(V0, V2, V3, V5)의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V5)에는 전원 전압(VDD)을, 전압(V0)에는 전원 전압(VSS)을 각각 사용하고, 전압(V4 내지 V1)은, 전압(V5-V0)을 저항 분할함으로써 생성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원 회로(106)는, 저항 분할 회로(110)와, 4개의 차동 증폭 장치(120, 122, 124, 126)를 갖는다. 4개의 차동 증폭 장치(120 내지 126)는, 저항분할 회로(110)를 통해, 각각 제 1, 제 2 입력 전압(VIN1, VIN2)이 입력되고, 그 출력 전압으로서 V4, V3, V2, V1을 각각 출력한다. 그리고, 이들 4개의 차동 증폭장치(120 내지 126)는, 각각 도 2의 구성을 갖는다. 또한, 도 7에 도시하는 전원 회로(106)는 단독이거나, 혹은 도 5에 도시하는 커먼 드라이버(102) 및 세그먼트 드라이버(104)와 함께 1칩 IC로 구성할 수 있다.
(전원 회로의 동작)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차동 증폭 장치의 동작은, 전압(V1)을 출력 전압(VOUT)으로 하는 도 7에 도시하는 차동 증폭 장치(126)의 동작에 그대로 적합하고, 도 6에 도시하는 A부 파형의 개선이 된다.
즉, 도 7의 스위치(SW3)가 온하면, 차동 증폭 장치(126)의 출력선은 커먼 드라이버(102)를 통해, 액정 표시부(100)의 커먼 전극(C3)과 쇼트된다. 이 때, 커먼 전극의 전압은, 극성 반전 구동을 위해 도 6에 도시와 같이 전압(V5)이었기 때문에, 쇼트에 의해서 차동 증폭 장치(126)의 출력 전압(V0UT)은 전압(V1)보다 하강한다. 상기 출력 전압(VOUT)을 도 4의 굵은 선(182)의 상승 과정을 찾아가도록 빠르게 전압(V1)에서 안정시키기 위해서, 도 2의 제 1, 제 2 전압 제어 회로(60, 70)가 동작하게 된다.
여기서, 도 6의 A부의 파형은, 커먼 전극의 기생 용량에도 영향을 주어 둔해진다. 상기 A의 파형이 둔해짐은, 도 6의 선택 기간(TSEC)이 짧아질수록, 액정 표시부(100)에서의 컨트라스트의 저하, 선이 그어지는 현상 등을 현저하게 한다. 선택 기간(TSEC)은, 표시 화소수가 증가할수록 짧아지고, 고세밀 고정밀인 화면일수록 화질의 열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본 실시예와 같이, 도 6에 도시하는 A 부 등의 전압 변화점의 파형의 둔해짐을 저감함으로써, 화질이 개선된다.
여기서, 차동 증폭 장치(120 내지 126)는 그의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킨 후에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제 1 전압 제어 회로(60)의 N 형 MOS 트랜지스터(62)를 온시켜, P 형 MOS 트랜지스터(50)의 게이트 전압을 빠르게 높게 하여 그의 동작을 빠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대로, 차동 증폭 장치(120 내지 126)는, 그 출력 전압(VOUT)을 하강시킨 후에 안정시키는 경우에는, 제 2 전압 제어 회로(70)의 P형 MOS 트랜지스터(72)의 전류(I72)를 보다 적게 하여, N 형 MOS 트랜지스터(52)의 게이트 전압을 높게 하여 그 동작을 빠르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런데, 도 6을 참조하면, 전압(V1)에 달하기 위해서는 전압(V4 또는 V5)으로부터 상승하는 경우만이고, 전압(V4)에 달하기 위해서는, 전압(V0 또는 V1)으로부터 하강하는 장소만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압(V2)에 달하기 위해서는 전압(V0)으로부터 하강하는 경우 빈도가 많고, 전압(V3)에 달하기 위해서는, 전압(V5)으로부터 상승하는 경우의 빈도가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압(V4, V2)을 출력하는 도 7의 차동 증폭 회로(120, 124)는, 제 1 전압 제어 회로(60)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제 2 전압 제어 회로(70)만을 갖더라도 가능하다. 한편, 전압(V3, V1)을 출력하는 도 7의 차동 증폭 장치(122, 126)는, 제 2 전압 제어 회로(70)는 반드시 필요로 하지 않고, 제 1 전압 제어 회로(60)만을 가져도 된다.
또한, 상술한 차동 증폭 장치 또는 전원 회로는, 액정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예를 들면, 휴대전화, 게임 장치, 퍼스널 컴퓨터 등의 각종 전자기기 이외의 안정한 전압의 공급을 받아서 동작하는 다른 여러가지의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출력 전압이 빠르게 안정 상태로 향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는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그것을 사용한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Claims (12)

  1.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1 차동 증폭 회로와,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제 1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1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2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3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 사이의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차동 증폭 회로의 정전류원과 병렬 접속된 제 4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신호가 상기 제 4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신호는,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와 동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의 발진을 방지하는 제 1 용량이,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5.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1 차동 증폭 회로와,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의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제 1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1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2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4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 2 전압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의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의 정전류원과 병렬 접속된 제 4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 4 신호가 상기 제 4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신호는,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공급되는 신호와 동일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전압의 발진을 방지하는 제 2 용량이,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9.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1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1 차동 증폭 회로와,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함께 차동 쌍을 구성하는 제 2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제 2 입력 전압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2 차동 증폭 회로와,
    상기 제 1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1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2 신호에 근거하여 동작하는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3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 1 전압 제어 회로와,
    상기 제 2 차동 증폭 회로로부터의 제 4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 2 전압 제어 회로를 갖고,
    상기 제 3 의 제 2 도전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3 의 제 1 도전형 트랜지스터와의 사이의 전압을 출력 전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동 증폭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동 증폭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차동 증폭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회로.
  12. 제 11 항에 따른 전원 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KR10-2001-0016899A 2000-03-31 2001-03-30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이것을사용한 전자기기 KR100522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98917A JP3440917B2 (ja) 2000-03-31 2000-03-31 差動増幅装置、半導体装置、電源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0-098917 2000-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5166A true KR20010095166A (ko) 2001-11-03
KR100522711B1 KR100522711B1 (ko) 2005-10-19

Family

ID=1861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6899A KR100522711B1 (ko) 2000-03-31 2001-03-30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이것을사용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30863B2 (ko)
EP (1) EP1150424B1 (ko)
JP (1) JP3440917B2 (ko)
KR (1) KR100522711B1 (ko)
DE (1) DE6011030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08013B2 (ja) * 2001-11-19 2007-04-25 Nec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表示制御回路及び表示装置
US6975169B2 (en) * 2004-01-21 2005-1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Low-voltage differential amplifier
US7795977B2 (en) * 2008-07-01 2010-09-14 Teledyne Scientific & Imaging, Llc Bootstrapped class AB CMOS output stage
US8058924B1 (en) * 2009-01-29 2011-11-15 Xilin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variation tolerant semiconductor device
US8222954B1 (en) 2009-01-29 2012-07-17 Xilinx,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process, voltage, and temperature variation tolerant semiconductor device
JP2010226592A (ja) * 2009-03-25 2010-10-07 Renesas Electronics Corp 演算増幅器
GB2488124B (en) * 2011-02-15 2014-01-08 Nujira Ltd Control of cross-over point for a push-pull amplifier
US20230378916A1 (en) * 2022-05-18 2023-11-23 Hangzhou Geo-Chip Technology Co., Ltd. Operational amplifier and electronic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4958A (en) 1979-11-13 1981-08-18 Rca Corporation Folded-cascode amplifier arrangement with current mirror amplifier
US5266887A (en) * 1988-05-24 1993-11-30 Dallas Semiconductor Corp. Bidirectional voltage to current converter
JPH0567932A (ja) * 1990-12-27 1993-03-19 Pioneer Electron Corp 増幅器
EP0684698B1 (en) * 1994-05-23 1999-11-17 STMicroelectronics S.r.l. Class AB output amplifier stage
JP2885120B2 (ja) * 1995-01-27 1999-04-19 日本電気株式会社 演算増幅器
JP3392271B2 (ja) * 1995-11-02 2003-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演算増幅回路
JP3532365B2 (ja) * 1996-11-15 2004-05-31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増幅回路
JPH10233636A (ja) 1997-02-18 1998-09-02 Fujitsu Ltd 増幅器及び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3338771B2 (ja) * 1997-09-04 2002-10-28 山形日本電気株式会社 演算増幅器
KR20000004448A (ko) 1998-06-30 2000-01-25 윤종용 오프셋 감소 기능을 갖는 차동 증폭장치 및 그의 오프셋 감소방법
US6259322B1 (en) * 1999-10-28 2001-07-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Current efficient, ultra low noise differential gain amplifier architecture
US6359512B1 (en) * 2001-01-18 2002-03-19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Slew rate boost circuitry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0424A3 (en) 2002-07-03
US20010030578A1 (en) 2001-10-18
EP1150424B1 (en) 2005-04-27
JP2001284987A (ja) 2001-10-12
US6630863B2 (en) 2003-10-07
DE60110304T2 (de) 2006-03-09
DE60110304D1 (de) 2005-06-02
KR100522711B1 (ko) 2005-10-19
EP1150424A2 (en) 2001-10-31
JP3440917B2 (ja) 200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2485B1 (en) High slew rate differential amplifier circuit
KR100375259B1 (ko) 출력 회로
US9892703B2 (en) Output circuit,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US6567327B2 (en) Driving circuit, charge/discharge circuit and the like
JP4103468B2 (ja) 差動回路と増幅回路及び該増幅回路を用いた表示装置
JP4515821B2 (ja) 駆動回路、動作状態検出回路及び表示装置
EP0631269A2 (en) Liquid crystal driving power supply circuit
JP3776890B2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JP2002189454A (ja) 電源回路、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US6426744B2 (en) Display driving apparatus having variable driving ability
US6970152B1 (en) Stacked amplifier arrangement for graphics displays
KR100385028B1 (ko) 액정 구동용 전원 장치 및 이를 사용한 액정 장치 및전자기기
EP1056070A2 (en) Drive circuit and drive circuit system for capacitive load
KR100522711B1 (ko)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 회로 및 이것을사용한 전자기기
CN100454362C (zh) 显示装置的驱动电路
KR100395831B1 (ko) 차동 증폭 장치, 반도체 장치, 전원회로 및 이를 이용한전자기기
US20100128018A1 (en) Display panel driving voltage output circuit
US5835999A (en) Low power regenerative feedback device and method
JP2004248497A (ja) 電源回路、液晶装置及び電子機器
JPH10177367A (ja) 液晶駆動回路
JP2008141302A (ja) 増幅回路、液晶駆動装置、半導体装置、表示装置
US20240144853A1 (en) Output buffer circuit, display driver, data driver, and display device
JPH0258417A (ja) 駆動回路
KR100427039B1 (ko) 캐패시터 부하 구동 앰프
JPH11109922A (ja) 液晶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719

Effective date: 20050629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