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4475A -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4475A
KR20010094475A KR1020000016764A KR20000016764A KR20010094475A KR 20010094475 A KR20010094475 A KR 20010094475A KR 1020000016764 A KR1020000016764 A KR 1020000016764A KR 20000016764 A KR20000016764 A KR 20000016764A KR 20010094475 A KR20010094475 A KR 200100944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haracter
progress
growth
lea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6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7735B1 (ko
Inventor
원창업
Original Assignee
원창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창업 filed Critical 원창업
Priority to KR1020000016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7735B1/ko
Publication of KR20010094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4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7735B1/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에서는 학습회원이 가상의 캐릭터를 교육하는 선생님역할을 맡아 가상의 캐릭터에게 언어학습을 시키는 과정 속에서, 학습회원 자신도 언어학습을 하는 이중의 교육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회원은 외국인과 실제로 회화를 하는 것과 똑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또한, 학습회원이 정확한 표현을 모르는 경우에는, 이미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으로 저장된 방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갖춘 도우미에게 각 상황에 맞는 적합한 표현들을 알아보고, 다시 그것을 가상의 캐릭터에게 교육시킴으로써 듣기와 쓰기 및 말하기를 하는 학습효과를 얻게 된다. 일정한 학습기간이 지난 후, 학습회원은 자신이 교육시킨 내용을 가지고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을 통해 캐릭터와 1:1 대화를 함으로써, 복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습회원이 일정기간 수업을 하지 않으면, 가상의 캐릭터가 학습회원에게 자신이 처한 상황을 알려주고 해결을 요청함으로써, 학습회원의 지속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육과 오락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언어학습과정을 통해 학습회원이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최대한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Learning system using growing characters and employment method of the system}
본 발명은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회원이 가상의 캐릭터를 교육하는 선생님역할을 맡아 가상의 캐릭터에게 언어학습을 시키는 과정 속에서, 학습회원 자신도 언어학습을 하는 이중의 교육효과를 얻게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 에는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회원의 학습을 지도하는 온라인 학습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인터넷망을 통한 온라인 학습시스템은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한 학습회원의 학습을 지도하기 위해 다양한 학습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여 자신의 학습지도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회원을 지도하기 위한 학습지도 운용자 서버(100)와, 그 서버(100)에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하여 그 서버(100)에 제공하는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학습을 수행하고 자신의 학습한 결과에 대하여 지도받는 다수의 학습회원(200)들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학습지도 운용자 서버(100)를 예로 들었지만 굳이 서버의 형태를 지니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웹상에서 자신의 학습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자신의 웹사이트만을 운용할 수 있으면 되기 때문에 자신의 서버를 운용하지 않아도 물론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온라인 학습시스템은 주로 회원제로서 운용되는데, 이러한 온라인 학습시스템을 이용하여 학습회원이 학습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서버(100)에서 제공하는 학습프로그램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학습회원(200)이 컴퓨터 단말기를 통해 인터넷망에 접속하고 그 인터넷망을 통하여 서버(100)의 학습지도 프로그램에 로그인 하게 된다. 서버(100)의 학습지도 프로그램에 로그인한 학습회원(100)은 그 학습프로그램에서 진행하는 학습진도에 따라 주어진 학습과제를 해결해가고, 그 결과에 대하여 평가를 받고 이에 따른 일련의 학습지도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온라인 학습시스템의 경우, 최근 인터넷 환경이 급속히 발전하고 개인용 컴퓨터의 보급과 더불어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인터넷망에 연결할 수 있는 환경만 갖추어지면 저렴한 비용으로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요즘 널리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온라인 학습시스템은 학습회원의 역할이 일방적으로 교육을 받는 수동적인 역할에 한정되어, 학습회원으로부터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없어서 언어교육에 있어 가장 중요한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할 수 없다는 점이 가장 치명적인 문제점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롤 플레잉(Role playing)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함으로써 오락적인 요소를 가미하여 언어학습의 효과를 극대화한 새로운 개념의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 프로그램에 의거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터넷망을 통한 학습시스템의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운용과정의 흐름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운용과정의 다른 흐름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운용과정의 또 다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서버 110 : 캐릭터 제어모듈
120 : 학습진행모듈 130 : 학습 도우미 모듈
140 :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모듈 150 : 회원연락 모듈
160 : 데이터 베이스 170 : 광고제어모듈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학습시스템에서 학습회원은, 기존의 교육방식에서의 수동적인 역할과는 정반대로, 가상의 캐릭터를 교육하는 선생님역할을 맡게 된다. 학습회원은 가상의 캐릭터에게 언어학습을 시키는 과정 속에서, 학습회원 자신도 언어학습을 하는 이중의 교육효과를 얻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회원은 외국인과 실제로 회화를 하는 것과 똑같은 경험을 하게 된다. 날마다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상황에 대한 학습회원의 적응력이 키워지기 때문에, 외국인과의 회화에 대한 두려움이 상당히 감소된다. 또한, 학습회원이 정확한 표현을 모르는 경우에는, 이미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으로 저장된 방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갖춘 도우미에게 각 상황에 맞는 적합한 표현들을 알아보고, 다시 그것을 가상의 캐릭터에게 교육시킴으로써 듣기와 쓰기 및 말하기를 하는 학습효과를 얻게 된다. 일정한 학습기간이 지난 후, 학습회원은 자신이 교육시킨 내용을 가지고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을 통해 캐릭터와 1:1 대화를 함으로써, 복습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학습회원의 출결 상황 및 캐릭터에게 입력된 학습내용에 따라, 일정기간이 지난 후, 학습회원의 학업성취도를 시험을 통해 측정하여 시상을 함으로써, 학습에 대한 흥미를 고조시킬 수 있게 된다. 학습회원에게 고유번호를 부여되기 때문에, 학습한 내용을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여, 학습회원의 성취도를 실시간으로 보여줄 수도 있으며, 학습회원이 이미학습한 내용을 복습할 수도 있다.
또한, 학습회원이 일정기간 수업을 하지 않으면, 가상의 캐릭터가 e-mail 이나 Cellular, PCS phone, IMT-2000 등의 문자, 음성 및 동영상서비스 등을 통해 학습회원에게 자신이 처한 상황을 알려주고 해결을 요청함으로써, 학습회원의 지속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아울러, 교육과 오락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의 언어학습과정을 통해 학습회원이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최대한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언어학습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은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인터넷을 통하여 학습시스템에 접속하면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회원의 캐릭터를 표시하여 주는 캐릭터 제어모듈(110)과,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회원에게 학습과제를 제공하여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학습시키게 하는 학습진행모듈(120)과,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것을 돕기 위한 학습도우미 모듈(130)과, 학습회원의 학습상태를 캐릭터의 성장에 반영하여 회원을 관리하고 학습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140)과, 학습회원의 학습출석률 또는 학습진도가 저조한 경우, 학습회원에게 캐릭터의 상황을 통보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참여를 유도하는 회원연락모듈(150)과, 회원정보, 캐릭터 정보, 학습정보, 도우미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160)와, 학습회원의 치우진 학습진도를 교정할 수 있도록 그 인터넷 서비스에 링크되는 광고를 제어하는 광고제어모듈(170)로 구성된다.
캐릭터 제어모듈(110)은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인터넷망을 통하여 학습시스템에 접속하면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른 각 캐릭터의 초기 상태, 진화 또는 퇴화에 의해 성장한 상태에 대한 캐릭터를 표시하여 준다. 이러한 성장형 캐릭터로서 요즘 유행하고 있는 캐릭터의 일예를 들어보면 '다마고찌'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성장형 캐릭터로서 학습회원이 '교육을 받는 자'라는 의미를 지닌 '에디'라고 하는 가상의 캐릭터를 설정하였다.
이때 가상의 캐릭터 '에디'는 초기상태에서는 아무런 언어지식이 없고 또한 외적으로도 아무런 치장을 하고 있지 않다. 학습회원이 설정한 캐릭터는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진 은하에서 온 가상의 외계인 가족 중의 하나로 현재 지구에서 사용되는 언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다. 학습회원은 그 외계인의 친구가 되어 지구에 관한 모든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날마다 학습회원에게는 특정상황 속에서 수행해야할 명령이 주어진다. 명령받은 즉시, 학습회원은 캐릭터에게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표현을 가르쳐주어야 한다. 즉, 그 캐릭터는 지구언어에 대한 지식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학습회원이 적절한 표현을 가르쳐 주어야만 주어진 상황에서 벗어나 여행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다양하게 주어지는 학습과제에 대하여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언어학습을 시키는 동안 학습회원도 언어학습을 하는 이중의 교육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캐릭터의 외모 또는 능력 등이 좀더 진보된 방향으로 변하는 진화를 하게 되든지, 아니면 캐릭터의 외모 또는 능력 등이 떨어지는 방향으로 변하는 퇴화를 하게 되든지의 방향이 결정되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캐릭터는 최초의 상태에서 머무르는 고정형 캐릭터가 아니라 학습회원의 학습진도가 변함에 따라 캐릭터의 특성이 변하는 성장형 캐릭터이다.
이에 따라, 캐릭터 제어모듈(110)은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접속하면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및 학습관련 데이터를 파악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상태에 따라 다양한 상태의 캐릭터를 표시해주어야 한다.
학습진행모듈(120)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회원에게 학습과제를 제공하고, 그 학습과제에 대하여 캐릭터 학습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습회원과 그 학습회원이 선택한 캐릭터간에 학습을 위한 질의와 응답과정이 수행되면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그 학습과제를 학습시킨 것으로 한다.
학습회원은 날마다 특정상황 속에서 수행해야할 학습과제를 받고, 이에 따라 캐릭터에게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언어표현을 가르쳐주게 된다. 하나의 주어진 상황이 해결되었으면, 학습진행모듈(120)은 데이터 베이스를 조회하여 학습회원의 다음 학습과정을 알아내어, 학습회원에게 그 다음의 학습내용을 전송하게 되는데, 중급이후의 과정 학습회원에게는 자신이 직접 상황을 선택할 수 있게된다.
학습회원은 화면에 부여된 학습과제를 인지하고, 해결 방법을 찾는다. 학습회원은 캐릭터에게 주어진 각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가르치면서, 동시에 자신도 새로운 표현들을 익히게 된다.
학습진행모듈(120)에서는 학습회원이 캐릭터를 학습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하나의 부여받은 상황에 대하여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질의를 한다. 캐릭터는 예전에 자신이 학습회원으로부터 학습받은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적절한 대답을 하게 되고, 만약, 해당하는 학습 데이타 없는 경우에는 학습회원이 음성이나 문자로 직접 상황에 맞는 대답을 입력하여 준다. 만약, 학습회원이 입력한 학습데이터가 적절하다면, 캐릭터는 학습회원이 입력한 학습데이터를 따라하고 자신의 학습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게 된다.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다른 방법으로는 하나의 부여된 상황에 대하여 그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캐릭터가 학습회원에게 질의를 한다. 학습회원은 자신의 캐릭터가 질의한 사항에 대하여 음성이나 문자로서 적절한 표현을 입력한다. 만약, 학습회원이 입력한 표현이 적절하다면 캐릭터는 학습회원이 입력한 표현을 따라 발음하고, 자신의 학습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한다. 학습회원이 입력한 표현이 적절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학습진도 프로그램에 의해 판단되어지는데 이 학습진도 프로그램에서는 학습회원에게 각 상황을 제시할 뿐 아니라 각 상황에 맞는 정답표현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학습회원이 입력한 대답을 그 정답 데이터가 비교하여 학습회원의 대답이 적절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회원은 외국인과 실제로 회화를 하는 것과 똑같은 경험을 하게 되고 각 상황에 맞는 적합한 표현들에 대한 듣기, 쓰기, 말하기를 하는 학습효과를 얻게 된다. 즉, 학습회원은 날마다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게 되기 때문에, 회화에 대한 두려움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학습도우미 모듈(130)은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것을 돕도록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적절한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도우미를 통한 학습을 실행한다. 학습회원이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에 그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게 된다. 즉, 학습회원이 적절한 표현이 생각나지 않을 경우, 화면에 항상 떠 있는 도우미를 이용하여, 자신이 처한 상황에 가장 적합한 표현을 찾아 클릭을 하면 된다. 학습회원이 도우미를 클릭하면, 도우미는 미리 준비한 가장 적합한 표현을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으로 알려준다. 이때, 학습회원은 도우미가 가르쳐준 표현을 음성이나 텍스트로 캐릭터에게 입력시킨다. 정확한 표현이 입력되었을 때, 캐릭터는 그 표현을 음성으로 다시 들려준다. 또한, 캐릭터는 학습한 내용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된다.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140)은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학습관련정보, 신상정보를 기록하고 학습진도가 적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이면 캐릭터의 진화 또는 퇴화를 결정하여 캐릭터 제어모듈을 통해 이에 따른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상태를 캐릭터의 성장에 반영하여 회원을 관리하고 학습정보를 관리한다.
즉, 접속하는 학습회원마다 자기의 고유회원번호(ID)를 부여하여, 그 ID에 따라 회원들을 관리하게 된다. 회원으로 등록할 때 각 회원의 신상정보를 입력받아 데이터 베이스에 회원DB를 구축하고, 그 학습회원이 인터넷망을 통하여 접속할 때마다 그 접속시각, 일회 접속시의 접속시간, 학습분량, 학습한 데이터, 최종적으로 접속한 시각등의 접속정보를 회원DB에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각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평가하여 그에 따라 캐릭터에 대한 진화 또는 퇴화 등을 결정하여 캐릭터를성장시키게 된다. 학습회원이 꾸준히 학습에 참여한 경우라면 캐릭터가 그만큼 진화되는 쪽으로 성장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조금씩 퇴화하게 될 것이다.
회원연락모듈(150)은 학습회원의 학습출석률 또는 학습진도가 저조한 경우, 학습회원에게 그 학습회원이 설정하여 놓은 이메일이나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문자, 음성 서비스 또는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캐릭터의 상황을 통보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참여를 유도한다.
즉, 학습회원이 일정기간 수업을 하지 않으면, 캐릭터가 e-mail이나 이동통신(Cellular, PCS phone, IMT-2000 등) 문자, 음성서비스 및 동영상 서비스 등을 통해 캐릭터가 처한 상황에 대해 통지를 하여 해결을 요청함으로써, 학습회원의 지속적인 학습참여를 유도하게 된다. 통신을 통한 캐릭터의 접속요구에도 불구하고, 일정기간 이상 접속이 되지 않을 때에는 캐릭터에게 심각한 상황이 발생된다. 즉, 질병에 걸려 응급실에 실려가 있거나 아사상태로 되어 캐릭터의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캐릭터가 한번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학습을 시작해야 한다.
데이터 베이스(160)는 캐릭터의 초기상태 및 진화 또는 퇴화상태에 따른 캐릭터 정보와,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데이터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및 학습관련정보 및 신상정보와, 학습회원의 학습을 돕기 위한 학습 도우미 정보를 저장한다. 학습회원의 연령 또는 성별, 직업에 따라 선호하는 캐릭터가 다양할 수 있고, 학습진도가 다양함에 따라 캐릭터의 상태가 이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캐릭터의 진화 또는 퇴화상태가 세부화되어 여러 수준의 상태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캐릭터 데이터가 필요하다.
광고제어모듈(170)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판단하여 기준 이상으로 치중한 항목 또는 기준이하로 저조한 항목에 대하여 외부 인터넷 서비스에서 일정시간동안 교정활동을 수행하여 이를 교정할 수 있도록 그 인터넷 서비스에 링크되는 광고를 제어한다. 학습회원이 하나의 언어학습을 하는데 있어서도 여러 항목이 있을 수 있다. 크게 나눌 수 있는 것이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가 있을 것이다. 또한 관련 장르들도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예술, 무역, 국내외 시사문제 등 다양할 것이다. 따라서, 학습회원이 학습하는 내용이 한 항목에 치우침이 없이 다양한 항목에 고루 학습할 수 있게 하거나, 소정의 항목에 대하여 좀더 집중적인 학습을 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다른 인터넷 서비스업체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인터넷 웹사이트에 링크해 줌으로써 학습회원이 치우친 항목에 대하여 교정활동을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광고제어모듈(170)에서는 학습회원이 교정해야할 항목과 관련된 인터넷 웹사이트에 링크되는 광고들을 선별하여 화면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 학습회원은 화면에 표시된 광고를 보고 맘에 드는 광고를 클릭하면 그 광고에 링크된 인터넷 웹사이트로 이동하여 치우친 항목에 대한 교정활동을 하게 된다.
도 3 에는 이러한 언어학습 시스템 운용방법의 일실시예가 도시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언어학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따라 학습회원이 언어학습을 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우선, 학습회원이 인터넷망을 통하여 온라인 언어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언어학습을 지속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회원으로 가입해야한다(S1). 회원으로 가입할 때는 회원의 나이, 주소, 주민등록번호, 전화번호, 이메일 어드레스, 휴대폰 전화번호, 요금결재방법 등을 기록하게 된다.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140)에서는 회원으로 가입하고자 하는 학습회원에게 ID를 부여하고, 그 ID 및 회원신상정보를 데이터 베이스(160)에 그 학습회원의 회원DB를 구축한다.
일단, 학습회원으로 등록되면, 캐릭터 제어모듈(110)에서는 각 캐릭터에 대응하는 캐릭터 초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160)내의 캐릭터 DB에서 초기 상태의 다양한 캐릭터를 화면에 표시하여 준다. 학습회원은 화면에 표시된 캐릭터 중에서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자신의 캐릭터를 선택한다(S2). 학습회원이 선택한 캐릭터 정보는 그 학습회원의 회원DB에 저장된다. 따라서, 다시 이미 캐릭터를 선택한 학습회원이 접속할 때는 학습회원이 선택한 캐릭터를 자동적으로 표시하여 준다. 이렇게 캐릭터가 선택되면, 학습진행모듈(120)에서는 학습회원이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학습진행단계를 수행한다(S3). 학습회원은 비로소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에게 학습을 시킬 수 있게 된다.
학습회원은 학습진행모듈(120)에 의해 자신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과제를 부여받게 되고, 그 학습과제에 대하여 캐릭터 학습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습회원 자신과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간에 학습을 위한 질의와 응답과정이 수행함으로써 자신의 캐릭터에게 그 학습과제를 학습시키게 된다.
최초로 접속한 학습회원에게는 캐릭터가 초기상태이기 때문에 초보단계의 학습상황을 부여된다. 상황이 설정된 후에, 학습회원은 주어진 상황에 적합한 표현을입력하게 되는데 이 때 입력한 표현이 맞았을 경우에 맞은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데이터 베이스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제를 부여한다. 다시 부여받은 또 다른 상황에 적합한 표현을 입력하면 계속 같은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틀렸을 경우에는 학습회원은 화면에 항상 떠있는 도우미를 클릭하여 도움을 청한다. 이때 도우미는 학습회원에게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 등을 통해 제공한다. 학습회원은 도우미로부터 제공받은 내용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하면, 그 상황을 통과하여 계속 여행을 하게 된다.
학습한 내용은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교육이 시작될 때마다 그 다음 새로운 교육과제를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근거자료가 된다. 따라서,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데이터 또는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및 학습관련정보는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140)에 의해 데이터 베이스(160)에 저장되어지고 이에 따라 학습회원의 학습진도가 관리되어진다(S5).
이렇게 각 학습회원의 학습상태에 대하여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140)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가 적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이면 캐릭터의 진화 또는 퇴화를 결정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상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을 관리한다(S6).
그리고, 캐릭터의 진화가 일정수준이상일 때 캐릭터에 장신구 및 생활용품을 부가하는 보상한다(S6). 이렇게 되면 캐릭터는 새로운 외양 또는 능력을 가지게 되고, 캐릭터는 더 성장된 상태로 화면에 표시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하나의 학습과정을 마치게 된다.
학습진행단계(S3)에서는,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것을 돕도록 적절한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도우미를 통한 학습을 실행할 수 도 있다. 또한,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내용에 대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및 동영상을 통하여 캐릭터와 1:1 대화를 하여 학습내용을 복습하는 복습단계를 더 수행할 있다. 아울러, 학습회원이 자신이 학습시킨 자신의 캐릭터에 대하여 동종 또는 비슷한 수준의 캐릭터와 서로 링크하여 자신이 학습시킨 학습내용을 복습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학습회원의 학습참여를 유발하기 위해 각 학습회원이 자신이 학습시킨 자신의 캐릭터와 다른 학습회원이 학습시킨 다른 캐릭터들과 학습능력 테스트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학습진도관리단계(S4)에서는,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판단하여 기준 이상으로 치중한 항목 또는 기준이하로 저조한 항목에 대하여 이를 교정해주기 위한 활동으로 외부 교육 프로그램 인터넷 서비스에 링크시켜 주어 학습회원이 그 링크된 인터넷 서비스에서 일정시간동안 교정활동을 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학습과정의 변형예가 도시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예전에 접속한 기록이 있는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접속하는 경우,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140)에서는 학습회원의 DB를 검색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검색하게 된다(S11). 그리고 그 학습진도에 따라 각 캐릭터의 초기 상태, 진화 또는 퇴화에 의해 성장한 상태에 대한 캐릭터를 표시하여 준다(S12). 이하의 학습진행 과정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도 5 에는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에 의해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을 전체적으로 도시된 또 다른 흐름도가 도시된다. 도 5 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에 의해 학습을 진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1. ID 확인단계
먼저 학습회원이 인터넷 환경을 통하여 학습시스템에 접속하면, ID 확인단계를 거치게 된다. 기존 사용자는 접속을 한 후에 ID를 입력하여 학습회원임이 확인되면 캐릭터 확인단계로 넘어간다. 이때, 신규 사용자는 ID발급과정을 거쳐서 캐릭터 설정단계로 넘어간다. 이 경우에 학습회원의 ID는 데이터 베이스의 회원 DB에 저장이 되어 매 접속시 마다 학습회원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2. 캐릭터 설정 및 확인단계
ID확인이 끝난 후, 기존 사용자는 미리 자신이 설정한 캐릭터를 전송 받아 교육을 시작하게 된다. 신규 사용자의 경우에는 캐릭터 DB에서 자신의 취향에 맞는 캐릭터를 검색한 후, 캐릭터를 설정하게 된다.
학습회원의 언어학습능력과 나이에 따라서 캐릭터를 설정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단계로 캐릭터의 수준을 세분화한다. 즉, 유아용, 초등학생용, 중학생용, 고등학생용, 대학생, 일반인 및 언어를 학습하려고 하는 외국인용 등 다양한 종류의 캐릭터를 학습수준에 맞게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초기 상태의 캐릭터는 아무런 치장이 없는 모습이지만, 학습회원의 출석률과 학업성취도에 따라 옷, 신발 등 갖가지 장신구 및 생활용품을 갖추면서 외적인 모습으로도 성장을 하게된다. 또한, 화면의 특정지역에 캐릭터의 교육상태를 표시함으로서 학습회원의 지속적인 학습을 유도한다.
3. 상황부여단계
이 단계에서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회원의 기존 학습내용을 검색 한 후에, 새로운 과제를 부여한다. 중급과정 이후는 회원이 원하는 교육내용을 찾아 스스로 상황을 부여할 수도 있다.
4. 학습 및 평가단계
이러한 상황이 설정된 후에, 학습회원은 주어진 상황에 적합한 표현을 입력하게 되는데 이 때 입력한 표현이 맞았을 경우에 맞은 내용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데이터 베이스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제를 부여한다. 다시 부여받은 또 다른 상황에 적합한 표현을 입력하면 계속 같은 방식으로 학습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틀렸을 경우에는 학습회원은 화면에 항상 떠있는 도우미를 클릭하여 도움을 청한다. 이때 도우미는 학습회원에게 상황에 맞는 적절한 표현을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 등을 통해 제공한다. 학습회원은 도우미로부터 제공받은 내용을 음성 또는 텍스트로 입력하면, 그 상황을 통과하여 계속 여행을 하게된다.
학습한 내용은 회원 DB에 저장되어 교육이 시작될 때마다 그 다음 새로운 교육과제를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근거자료가 된다. 또한 일정기간의 학습과정을 거친 사용자는 음성과 텍스트 및 동영상을 통해, 회원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내용을, 캐릭터와 1:1 대화로, 복습을 할 수 있게 된다. 일정기간의 학습과정을 거친 사용자의 출결사항 및 학습성적을 평가하여 그 성취도에 따라 시상을 할 수 있는 자료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게 된다.
5. 출석체크단계
회원 데이터베이스를 시간별로 체크하여 일정시간 동안 접속을 하지 않은 학습회원에게는 e-mail, 이동통신(Cellular, PCS phone, IMT-2000 등)의 문자, 음성서비스 및 동영상 서비스 등을 통해 캐릭터가 처한 상황에 대해 통지를 하여 해결을 요청한다.
통신을 통한 캐릭터의 접속요구에도 불구하고, 일정기간 이상 접속이 되지 않을 때에는 캐릭터에게 심각한 상황이 발생된다. 즉, 질병에 걸려 응급실에 실려가 있거나 아사상태가 되어 캐릭터의 사망을 초래하게 된다. 캐릭터가 한번 죽으면, 처음부터 다시 학습을 시작해야 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언어학습에 대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학습시스템은 비단 언어학습뿐만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학, 과학, 예술, 무역, 국내외 시사문제 등의 여러 분야의 학습을 하는데 적용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라 할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에디'라는 가상의 캐릭터를 설정하였으나, 이는 수 많은 가상의 캐릭터중의 일예를 든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을 것임은 자명한 사실일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회원은 외국인과 실제로 회화를 하는 것과 똑같은 경험을 하게 되고 각 상황에 맞는 적합한 표현들에 대한 듣기, 쓰기, 말하기를 하는학습효과를 얻게 된다. 즉, 학습회원은 날마다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해결책을 찾는 과정 속에서 다양한 상황에 대한 적응력을 키우게 되기 때문에, 회화에 대한 두려움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하여 학습함으로써 교육과 오락을 결합한 새로운 개념으로 학습하게 됨으로 학습회원이 흥미를 잃지 않고 꾸준히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최대한의 학습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3)

  1. 서버내에 학습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그 서버에 접속한 학습회원에 대하여 웹상에서의 학습을 지도하는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학습시스템에 접속하면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른 각 캐릭터의 초기 상태, 진화 또는 퇴화에 의해 성장한 상태에 대한 캐릭터를 표시하여 주는 캐릭터 제어모듈과,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회원에게 학습과제를 제공하고, 그 학습과제에 대하여 캐릭터 학습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습회원과 그 학습회원이 선택한 캐릭터간에 학습을 위한 질의와 응답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그 학습과제를 학습시킨 것으로 저장되는 상기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학습진행모듈과,
    상기 캐릭터의 초기상태 및 진화 또는 퇴화상태에 따른 캐릭터 정보와,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데이터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및 학습관련정보 및 신상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와,
    학습에 참여하는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학습관련정보, 신상정보를 기록하고 상기 학습진도가 적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이면 상기 캐릭터의 진화 또는 퇴화를 결정하여 상기 캐릭터 제어모듈을 통해 이에 따른 캐릭터를 표시하도록 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상태를 캐릭터의 성장에 반영하여 회원을 관리하고 학습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및 학습정보 관리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학습회원의 학습을 돕기 위한 학습 도우미 정보를 더 저장하여 구성되고,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것을 돕도록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적절한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도우미를 통한 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학습도우미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판단하여 기준 이상으로 치중한 항목 또는 기준이하로 저조한 항목에 대하여 외부 인터넷 서비스에서 일정시간동안 교정활동을 수행하여 이를 교정할 수 있도록 그 인터넷 서비스에 링크되는 광고를 제어하는 광고제어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회원의 학습출석률 또는 학습진도가 저조한 경우, 학습회원에게 그 학습회원이 설정하여 놓은 이메일이나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문자, 음성 서비스 또는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캐릭터의 상황을 통보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참여를 유도하는 회원연락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5. 서버내에 학습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그 서버에 접속한 학습회원에 대하여 웹상에서의 학습을 지도하는 학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학습시스템에 접속하면 상기 학습회원이 각 캐릭터에 대응하는 캐릭터 초기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캐릭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제공되는 하나 이상의 캐릭터 중에서 자신의 캐릭터를 선택하는 캐릭터 선택단계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회원에게 학습과제를 제공하고, 그 학습과제에 대하여 캐릭터 학습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습회원과 그 학습회원이 선택한 캐릭터간에 학습을 위한 질의와 응답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그 학습과제를 학습시킨 것으로 저장되어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이 선택한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학습진행단계와,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데이터 또는 학습회원의학습진도 및 학습관련정보를 저장하고 설정된 학습진도 프로그램에 따라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관리하는 학습진도 관리단계와,
    상기 학습진도가 적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이면 상기 캐릭터의 진화 또는 퇴화를 결정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상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을 관리하는 캐릭터 진화/퇴화관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진행단계는,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것을 돕도록 적절한 학습 데이터를 검색하여 제공하는 도우미를 통한 학습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진행단계는,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내용에 대하여 음성 또는 텍스트 및 동영상을 통하여 캐릭터와 1:1 대화를 하여 학습내용을 복습하는 복습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진행단계는,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이 학습시킨 자신의 캐릭터에 대하여 동종 또는 비슷한 수준의 캐릭터와 서로 링크하여 자신이 학습시킨 학습내용을 복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진행단계는,
    상기 각 학습회원이 자신이 학습시킨 자신의 캐릭터와 다른 학습회원이 학습시킨 다른 캐릭터들과 학습능력 테스트를 수행하게 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참여를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학습진도관리단계는,
    학습회원의 학습진도를 판단하여 기준 이상으로 치중한 항목 또는 기준이하로 저조한 항목에 대하여 이를 교정해주기 위한 활동으로 외부 교육 프로그램 인터넷 서비스에 링크시켜 주어 학습회원이 그 링크된 인터넷 서비스에서 일정시간동안 교정활동을 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의 진화가 일정수준이상일 때 캐릭터에 장신구 및 생활용품을 부가하는 보상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12.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회원의 학습출석률 또는 학습진도가 저조한 경우, 학습회원에게 그 학습회원이 설정하여 놓은 이메일이나 이동통신기기를 통해 문자, 음성 서비스 또는 동영상 서비스를 통해 캐릭터의 상황을 통보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참여를 유도하는 캐릭터 상황통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13. 서버내에 학습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하고,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그 서버에 접속한 학습회원에 대하여 웹상에서의 학습을 지도하는 학습 시스템의 운용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회원이 학습을 위해 학습시스템에 접속하면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른 각 캐릭터의 초기 상태, 진화 또는 퇴화에 의해 성장한 상태에 대한 캐릭터를표시하여 주는 캐릭터 표시단계와,
    학습회원의 학습진도에 따라 학습회원에게 학습과제를 제공하고, 그 학습과제에 대하여 캐릭터 학습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학습회원과 그 학습회원이 선택한 캐릭터간에 학습을 위한 질의와 응답과정이 수행되면 상기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그 학습과제를 학습시킨 것으로 저장되는 상기 학습회원이 캐릭터에게 학습시키는 학습진행단계와,
    상기 학습회원이 자신의 캐릭터에게 학습시킨 학습데이터 또는 학습회원의 학습진도, 학습관련정보, 신상정보를 기록하고, 학습회원의 학습상태를 캐릭터의 성장에 반영하여 회원을 관리하고 학습정보를 관리하는 회원관리 및 학습정보 관리 단계와,
    상기 학습진도가 적정수준 이상 또는 이하이면 상기 캐릭터의 진화 또는 퇴화를 결정하여 학습회원의 학습상태에 따라 캐릭터의 성장을 관리하는 캐릭터 진화/퇴화관리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의 운용방법.
KR1020000016764A 2000-03-31 2000-03-31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KR10035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764A KR100357735B1 (ko) 2000-03-31 2000-03-31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6764A KR100357735B1 (ko) 2000-03-31 2000-03-31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4475A true KR20010094475A (ko) 2001-11-01
KR100357735B1 KR100357735B1 (ko) 2002-10-25

Family

ID=1966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6764A KR100357735B1 (ko) 2000-03-31 2000-03-31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7735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988A (ko) * 2000-06-07 2000-12-05 엄주천 인터넷상의 캐릭터를 이용한 교육시스템 및 교육방법
KR20020014928A (ko) * 2000-08-19 2002-02-27 황석규 양육 게임을 통한 학습에서의 복습 시스템
KR20020082568A (ko) * 2001-04-24 2002-10-31 주식회사 부룩소 네트워크 기반의 게임용 학습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0377119B1 (ko) * 2000-04-26 2003-03-26 주식회사대교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넷 학습 효과 증진방법
KR20040001701A (ko) * 2002-06-28 2004-01-07 김문수 아바타를 이용한 사이버상의 학습시스템
KR100496435B1 (ko) * 2000-11-28 2005-06-1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교육 방법
KR100758181B1 (ko) * 2005-06-13 2007-09-12 신효선 독서력 육성 시스템 및 육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0915681B1 (ko) * 2007-06-26 2009-09-04 옥종석 컴퓨터 주도형 대화 장치 및 방법
KR100914502B1 (ko) * 2002-04-15 2009-09-30 윤춘호 네트웍 기반 대화형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WO2016039552A1 (ko) * 2014-09-10 2016-03-17 (주)지디아이코리아 육성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7661A (ko) * 2000-08-31 2002-03-07 황석규 양육 게임을 통한 인터넷 학습 시스템에서의 학습 심화 방법
KR20210091945A (ko) * 2020-01-15 2021-07-23 주식회사 더플랜지 언어 학습 콘텐츠의 캐릭터를 교육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4160A (ko) * 2000-01-26 2000-05-06 김경오 게임과 연동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7119B1 (ko) * 2000-04-26 2003-03-26 주식회사대교 가상 캐릭터를 이용한 인터넷 학습 효과 증진방법
KR20000071988A (ko) * 2000-06-07 2000-12-05 엄주천 인터넷상의 캐릭터를 이용한 교육시스템 및 교육방법
KR20020014928A (ko) * 2000-08-19 2002-02-27 황석규 양육 게임을 통한 학습에서의 복습 시스템
KR100496435B1 (ko) * 2000-11-28 2005-06-17 삼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인터넷을 통한 온라인 교육 방법
KR20020082568A (ko) * 2001-04-24 2002-10-31 주식회사 부룩소 네트워크 기반의 게임용 학습 데이터 제공 시스템
KR100914502B1 (ko) * 2002-04-15 2009-09-30 윤춘호 네트웍 기반 대화형 멀티미디어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01701A (ko) * 2002-06-28 2004-01-07 김문수 아바타를 이용한 사이버상의 학습시스템
KR100758181B1 (ko) * 2005-06-13 2007-09-12 신효선 독서력 육성 시스템 및 육성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 매체
KR100915681B1 (ko) * 2007-06-26 2009-09-04 옥종석 컴퓨터 주도형 대화 장치 및 방법
WO2016039552A1 (ko) * 2014-09-10 2016-03-17 (주)지디아이코리아 육성 시뮬레이션을 통한 교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7735B1 (ko) 200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87454B2 (en) Context-aware adaptive data processing application
King Technology and innovation in adult learning
Dennen et al.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in online courses: The relative perceived importance of particular instructor actions on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urner et al. Fifteen pupils’ positive approach to primary school science: When does it decline?
KR100504640B1 (ko) 학습 지원 시스템
US2016003523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personalized educational platform
Knoester et al. Influence of siblings on out‐of‐school reading practices
KR100357735B1 (ko) 성장형 캐릭터를 이용한 학습시스템 및 그 시스템의운용방법
JP4823509B2 (ja) 教育受講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20140066568A (ko) 온라인 반응퀴즈 게임 시스템 및 방법
Lane et al. Instructional choice: An effective, efficient, low-intensity strategy to support student success
Rudick et al. Comparing Hispanic-to-White co-cultural communication at four-year, public Hispanic serving and predominately White institutions
Vakayil et al. An undergraduate surgery interest group: introducing premedical students to the practice of surgery
Greathouse et al. Preparing teacher candidates to be “effective” in the classroom: Lessons learned from national teachers of the year
Kuhnley et al. Creatively increasing empathy: The impacts of an online empathy workshop
Yin et al. JAPELAS: Supporting Japanese polite expressions learning using PDA (s) towards ubiquitous learning
Agu et al. Drivers of religious entrepreneurial behaviour among Pentecostal pastors: push-pull-mooring theory and theory of planned behaviour
Aiken et al. The impact of collaboration, empowerment, and choi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collaborative course development method
Benedetti et al. Flipped science fair: Engaging middle-school students in STEM while training researchers in science communication
Burtt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vertical and horizontal faith maturity at a Christian university
KR20050004740A (ko) 학생 생활 관리 시스템
Meyer Globalization and social work education: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in a macro practice class
Carroll Foundations built of sand: historical reflections on contemporary concerns in Australi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Beaumont et al. Introductory essay: Beyond civics 101: Rethinking what we mean by civic education
JP6564925B1 (ja) 学校業務支援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