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711A -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를 함유하는 전기발광디바이스 - Google Patents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를 함유하는 전기발광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711A
KR20010093711A KR1020010015890A KR20010015890A KR20010093711A KR 20010093711 A KR20010093711 A KR 20010093711A KR 1020010015890 A KR1020010015890 A KR 1020010015890A KR 20010015890 A KR20010015890 A KR 20010015890A KR 20010093711 A KR20010093711 A KR 20010093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ver
adhesive
electroluminescent device
vent
porous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5543B1 (ko
Inventor
마시코히로아키
니시이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마이 고로,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마이 고로
Publication of KR20010093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5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55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05B33/04Sealing arrangements, e.g. against humidit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는 전기발광(EL)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를 함유하는 EL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 및 제거제에 고정된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를 함유하는 전기발광 디바이스{MEMBER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 CONTAINING SAME}
본 발명은 전기발광(이후, EL) 디바이스에서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EL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를 함유하는 EL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EL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디스플레이에서 발광기 또는 이동 장치와 같은 여러 장치의 발광 요소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EL 디바이스는 휘도 및 발광 균일성과 같은 발광 성능이 일정 시간 후의 노화 또는 고온 하에서 실질적으로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발광 성능의 저하는 성분 및 구성 물질의 표면에 흡착된 수분 및 외부로부터 도입된 수분, 산소 및 유기 가스에 의해 형성되는 비발광 부분(암점)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발광 성능의 저하(암점의 발생)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해, EL 디바이스가 제 JP-A-97-148066 호에 제안되어 있다(본원에 사용되는 "JP-A"란 용어는 "심사청구되지 않은 공개된 일본 특허원"을 의미한다). EL 디바이스는 수분을 화학적으로 흡착하고 흡착 후에도 고체로 남아있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건조 수단을 포함한다. 건조 수단은 적당한 화합물을 고화시켜 제조되고 이어서 EL 디바이스 내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언급된 EL 디바이스는 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을 고화시키는 방법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고화를 위한 시간 및 장치를 요구한다. 이것은 높은 제조 비용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고안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EL 디바이스 제조의 비용을 감소시키는 EL 디바이스용 부재 및 이를 함유하는 EL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1 양태 및 이를 함유한 EL 디바이스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2는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3은 위에서 본 제조 방법의 다이아그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2 양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3 양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6은 밑에서 본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3 양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4 양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5 양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6 양태를 나타내는 다이아그램이다.
참조 번호의 설명
8 제거제
11 접착 부재
상기 언급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양상은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 및 제거제에 고정된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EL 디바이스용 부재이고, 본 발명의 제 2 양상은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함유하는 EL 디바이스이다.
즉,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 및 제거제에 고정되고 제거제를 EL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 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제거제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이러한 단순한구조로 인해,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그의 제조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조 비용은 감소되고,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가 제거제를 덮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제거제는 시이트 부재와 접착 부재 사이에서 덮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통기부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이후, PTFE)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물질의 우수한 내열성으로 인해 EL 디바이스는 가열 분위기에서도 안정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통기부가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크기를 쉽게 조절하게 하여 EL 디바이스 내에서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조절하게 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통기부가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우수한 가공성으로 인해 통기부를 쉽게 가공하게 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크기를 쉽게 조절하게 하여 EL 디바이스 내에서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조절하게 한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저비용으로 인해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더구나, 이러한 물질은 쉽게 재생가능하고, 따라서 폐기물의 양은 사용 후의 재생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접착 부재가 25℃에서 1 × 103내지 1 × 1010Pa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경우, 그의 충분한 가요성으로 인해 접착력은 또한 EL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온도 범위 내에서 충분하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가 25℃에서 1 MPa 이상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경우,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충분한 강성으로 인해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고정 동안 작업성은 증가하여 EL 디바이스의 자동화된 제조를 허용한다. 특히, 탄성 모듈러스는 작업성의 실질적인 개선을 위해 1 MPa 내지 1 × 106MPa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탄성 모듈러스의 상한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취급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5 mm 이하, 바람직하게는 5 ㎛ 내지 5 m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3 mm의 두께를 갖는다. 그러나, 이러한 두께의 하한은 예시적일 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사용하는 EL 디바이스에서,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제거제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를 갖고, 따라서 EL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 상으로 쉽게 접착될 수 있어서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양태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기술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1 양태 및 이를 함유하는 EL 디바이스를 나타낸다. 이 양태의 EL 디바이스는 유기 EL 디바이스로서, 전면기판(1) 및 배면 기판(2)이 서로 마주하고 있고 밀봉제(3)로 밀봉되어 있다. 전면 기판(1)의 접시형 리세스의 상부 표면에서, 양극(4), 유기 발광층(5) 및 음극(6)은 순차적으로 위에 올려져서 적층체(7)를 형성한다. 배면 기판(2)의 접시형 리세스의 하부 표면(내부 표면)에서,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고정된다.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판형 제거제(8); 및 제거제에 부착되어 고정된 접착 부재(11)를 포함하고, 접착 부재(11)에 의해 배면 기판(2)에 부착된다. 더구나, 접착 부재(11)는 그의 내부에 기판층을 포함하는 3층 적층체이다(즉, 기판층(12)은 두 접착층(13) 사이에 있다).
상세하게는, 접착 부재(11)를 구성하는 접착층(13)의 접착제는 특정 접착제로 제한되지 않고, 감압성 접착제, 고온용융 접착제, 자외선 경화 접착제, 복사 경화 접착제, 열 경화 접착제, 수분 경화 접착제, 2-부분 접착제, 저온-경화성 접착제 등일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가 사용되면, 실리콘 물질, 아크릴 물질 및 고무 물질이 바람직하다.
기판층(12)은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 열경화성 플라스틱 필름, 금속 호일, 네트, 부직 패브릭 등의 기판으로 이루어진다.
제거제(8)는 특정 제거제로 제한되지 않고, 일반적으로 흡착제, 탈수제(건조제), 탈산소제(산소 흡착제) 등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특히, 제거제의 화합물은 수분, 산소 및 유기 증기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성분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제는 수분을 물리적으로 흡착하는 화합물 또는 수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실리카 겔, 분자체(제올라이트 등), 활성 알루미나, 알칼리 금속 산화물, 알킬리 토 금속 산화물, 설페이트, 금속 할라이드, 과염소산, 유기 화합물, 카보네이트, 오산화 이인, 수산화 칼슘, 알루미늄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및 활성 금속을 포함한다. 특히, 코발트 이온을 흡착하는 실리카 겔은 무수 상태에서 청색을 나타내고 수분 흡착 후에는 분홍색을 나타내어서 수분 흡착 상태를 쉽게 측정하게 한다. 탈산소제는 활성탄, 실리카 겔, 분자체, 산화 마그네슘, 산화 철 등일 수 있다. 유기 가스 흡착제는 활성탄, 실리카 겔, 분자체 등일 수 있다. 또한, 제거제(8)는 상기 나타낸 화합물 중 다수의 혼합된 조합물일 수 있다.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다음과 같이 제조되고 이어서 EL 디바이스 내에 고정된다. 즉, 도 2 및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11)는 긴 분리기(14) 상에 예비결정된 형태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형성된 후, 상기 제거제(8)는 접착 부재(11) 상으로 부착되고 고정된다. 자체로,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분리기(14)에서 제조된다. 이어서, 자동 조립기는 분리기(14)로부터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집고, 이어서 이것을 배면 기판(2) 상으로 부착시켜 이것을 EL 디바이스에 고정시킨다.
자체로, 본 발명의 양태에 따라,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제거제(8) 및 접착 부재(11)을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를 가져서 이것을 쉽게 제조하게 한다. 따라서,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조 비용은 감소된다. 더구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단순한 부착 작업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은 또한 감소된다.
접착 부재(11)는 그의 내부에 기판층(12)를 가져서 접착 부재(11)의 탄성 모듈러스가 높아진다. 따라서,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분리기(14)로부터 쉽게 집어질 수 있어서 자동 조립기를 사용하여 집어서 후속적으로 배면 기판(2) 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자체로,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사용하여, EL 디바이스의 제조는 자동화되고 생산 속도를 올릴 수 있어서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2 양태를 나타낸다. 본 양태에서, 제 1 양태 외에, 가스 투과성을 갖는 통기부(10a)를 포함하는 시이트 부재(10)는 제거제(8)를 덮고, 그의 둘레에서 접착 부재(11)에 부착된다. 다른 점에서, 본 양태는 제 1 양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상세하게는, 시이트 부재(10)의 통기부(10a)는 금속이 가스 투과성(수분 투과성을 포함한다)을 갖는 한 특정 물질로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바람직한 물질은 PTFE의 다공성 물질,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다공성 물질,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성 물질 등이다. 낮은 가스 투과성으로도 충분한 경우, 이들 물질의 비-다공성 물질이 통기부(10a)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기부(10a)는 상기 나타낸 다수의 다공성 물질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층 구조를 갖는 적층체 또는 상기 나타낸 다공성 물질의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기부(10a)의 두께 및 다공성은 일반적으로 각각 1 내지 5,000 ㎛ 및 2 내지 98 %, 바람직하게는 각각 3 내지 4,000 ㎛ 및 10 내지 95 %이나 제한되지 않는다. 통기부(10a)의 공극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0 ㎛, 특히 바람직하게는 0.03 내지 50 ㎛이나, 공극 크기가 제거제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충분하게 작다면 제한되지 않는다. 특히, 시이트 부재(10)가 EL 디바이스의 음극(6)에 접촉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 시이트 부재(10)는 쿠션으로서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기부(10a)가 PTFE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 그의 두께는 탄성 모듈러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000 ㎛이다.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 및 열가소성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수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4-메틸펜텐-1 및 폴리-1-부텐 또는 폴리플루오로비닐리덴이다. 이들 폴리올레핀 수지는 단일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기부(10a)는 이들 물질의 적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다음과 같이 제조되고, 이어서 EL 디바이스 내에 고정된다. 즉, 제 1 양태와 동일하게는, 접착 부재(11)는 긴 분리기(14) 상에 예비결정된 형태로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제거제(8)는 접착 부재(11) 상으로 부착되고 고정된다. 이후, 시이트 부재(10)는 접착 부재 상에 위치하여 제거제를 덮고, 이어서 둘레에서 부착된다. 자체로, 다수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분리기(14)에서 제조된다. 이후, 자동 조립기는 분리기(14)로부터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집고, 이어서 이것을 배면 기판(2)의 리세스에서 부착시켜 이것을 EL 디바이스에 고정시킨다.
또한 제 2 양태에서, 제 1 양태와 유사한 조작 및 효과가 이루어진다.
제 2 양태에서, 가스 투과성을 갖는 통기부(10a)를 포함하는 시이트 부재(10)는 접착 부재(11) 상으로 부착되어 제거제(8)를 덮는다. 따라서, 고화되지 않은 제거제(8)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고화되지 않은 제거제(8)의 분산은 시이트 부재(10)에 의한 덮힘으로 인해 방지되어 제거제(8)의 EL 디바이스 상으로의 악영향이 억제된다.
특히, 통기부(10a)가 PTFE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이 물질의 우수한 내열성으로 인해 EL 디바이스는 가열 분위기에서도 안정하게 사용될 수 있다.
통기부(10a)가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크기를 쉽게 조절하게 하여 EL 디바이스 내에서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조절하게 한다.
통기부(10a)가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우수한 가공성은 통기부(10a)의 용이한 가공성을 허용한다. 특히,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크기를 쉽게 조절하게 하여 EL 디바이스 내에서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조절하게 한다. 또한, 폴리올레핀 수지의 저비용은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더구나, 이러한 물질은 쉽게 재생가능하고, 따라서 폐기물의 양은 사용 후의 재생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도 5 및 6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3 양태를 나타낸다. 본 양태에서, 제 1 양태의 제거제(8)의 형태는 직사각형 고리로 변화된다. 다른 점에서, 본 양태는 제 1 양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또한 제 3 양태에서, 제 1 양태와 유사한 조작 및 효과가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4 양태를 나타낸다. 본 양태의 접착 부재(21)에서, 제 2 양태의 접착 부재(11)에서 시이트 부재(10)를 부착시키는 하나의 접착층(13)에 상응하는 접착층(22)은 기판층(12)의 둘레에서 형성된다. 이어서, 제거제(8)는 시이트 부재(10)와 기판층(12) 사이에서 잡아지고 고정된다. 다른 점에서, 본 양태는 제 2 양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또한 제 4 양태에서, 제 1 양태와 유사한 조작 및 효과가 이루어진다.
도 8은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5 양태를 나타낸다. 본 양태에서, 접착 부재(25)는 기판층이 내부에 없는, 제 2 양태의 하나의 접착층(13)으로 이루어진다. 다른 점에서, 본 양태는 제 2 양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 6 양태를 나타낸다. 본 양태에서, 시이트 부재(31)의 중심부는 제 2 양태와 유사한 통기부(10a)로 이루어지고, 통기부(10a)의 외부는 비-다공성 물질(32)로 이루어진다. 비-다공성 물질(32)은 플라스틱, 금속 필름 등으로 이루어진다. 통기부(10a) 및 비-다공성 물질(32)은 접착제와 연결될 수 있다. 비-다공성 물질(32)이 열가소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 융합 결합이 연결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점에서, 본 양태는 제 2 양태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칭한다.
이러한 EL 디바이스용 부재에서, 통기부(10a)와 비-다공성 물질(32) 사이의 면적비는 변화될 수 있어서 시이트 부재의 강도 및 가스 성분의 투과성은 단지 통기부(10a)를 변화시켜 조절되는 것보다 더 넓은 범위로 조절될 수 있다. 시이트 부재(31)의 강도는 분리기(14)로부터 픽업비(pick-up ratio)의 개선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가스 성분의 투과성의 조절은 가스 성분의 공정 속도의 조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제 2 양태와 유사한 조작 및 효과가 이루어진다.
각각의 상기 언급된 양태에서, 전면 기판(1)의 접시형 리세스의 상부 표면에서, 양극(4), 유기 발광층(5) 및 음극(6)은 순차적으로 위에 올려져서 적층체(7)를 형성한다. 그러나, 이들 층 외에, 전자 전달층, 정공 전달층, 정공 주입층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이들 층이 형성될 수 있다.
EL 디바이스의 내부 공간은 밀봉된 가스를 함유할 수 있고, 진공일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성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정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고, 압출 필름이 연신되는 방법, 우수한 용매에 용해된 수지가 열악한 용매에 침착되는 방법, 과립상 수지를 가압하여 성형된 다공성 생성물이 가공되어 필름 등을 형성하는 방법 등일 수 있다.
자체로,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 및 제거제에 고정되고 제거제를 EL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 상으로 부착시키기 위한 접착 부재를 포함한다. 제거제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이 단순한 구조로 인해,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그의 용이한 제조를 허용한다. 따라서,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제조 비용은 감소되고,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도 감소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가 제거제를 덮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경우, 제거제는 시이트 부재와 접착 부재 사이에서 덮여질 수 있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통기부가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크기를 쉽게 조절하게 하여 EL 디바이스 내에서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성능을 쉽게 조절하게 한다. 더구나, 통기부가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우수한 가공성은 통기부의 용이한 가공을 허용한다. 또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경우, 폴리올레핀 수지는 다공성 물질의 공극 크기를 쉽게 조절하게 한다. 더구나, 폴리올레핀의 저비용은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또한, 이러한 물질은 쉽게 재생가능하고, 따라서 폐기물의 양은 사용 후의 재생에 의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접착 부재가 25℃에서 1 × 103내지 1 × 1010Pa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경우, 충분한 가요성으로 인해 충분한 접착력은 EL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가 25℃에서 1 MPa 이상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경우, EL 디바이스용 부재의 충분한 강성으로 인해, 다수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긴 분리기 상에서 제조될 수 있고,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변형 없이 분리기로부터 쉽게 집어질 수 있다. 이것은 EL 디바이스의 자동화된 제조를 허용한다. 따라서, EL 디바이스의 시간 및 제조 비용의 감소가 달성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가 5 mm 이하의 두께를 갖는 경우,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쉽게 취급된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를 사용하는 EL 디바이스에서,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제거제 및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단순한 구조를 갖고, 따라서 EL 디바이스의 내부 표면 상으로 쉽게 부착되어서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이 그의 특정 양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지만,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여러 변형 및 개질을 이룰 수 있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EL 디바이스용 부재는 EL 디바이스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Claims (10)

  1.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 및 제거제에 고정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제거제를 덮는 통기부를 갖는 시이트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3. 제 2 항에 있어서,
    통기부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4. 제 2 항에 있어서,
    통기부가 결정 구조를 갖는 중합체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5. 제 2 항에 있어서,
    통기부가 열가소성 수지의 다공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가 25℃에서 1 × 103내지 1 × 1010Pa의 탄성 모듈러스를 갖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8. 제 7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의 탄성 모듈러스가 25℃에서 1 MPa 이상인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9.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 부재의 두께가 5 mm 이하인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
  10. 예비결정된 가스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제 및 제거제에 고정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발광 디바이스용 부재를 함유하는 전기발광 디바이스.
KR1020010015890A 2000-03-28 2001-03-27 전기 발광 소자용 부재 및 이를 내장한 전기 발광 소자 KR1006855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89705 2000-03-28
JP2000089705 2000-03-28
JP2000332499A JP4526682B2 (ja) 2000-03-28 2000-10-31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0-332499 2000-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711A true KR20010093711A (ko) 2001-10-29
KR100685543B1 KR100685543B1 (ko) 2007-02-22

Family

ID=26588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890A KR100685543B1 (ko) 2000-03-28 2001-03-27 전기 발광 소자용 부재 및 이를 내장한 전기 발광 소자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836071B2 (ko)
EP (1) EP1139698B1 (ko)
JP (1) JP4526682B2 (ko)
KR (1) KR100685543B1 (ko)
CN (1) CN1199295C (ko)
AT (1) ATE477595T1 (ko)
DE (1) DE60142759D1 (ko)
TW (1) TWI24487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7438B2 (en) 2002-03-08 2005-11-22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with desiccant coat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87396B (en) 2000-03-31 2004-05-11 Nitto Denko Corp Gas component treated sheet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 containing the same
US7178927B2 (en) * 2000-11-14 2007-02-2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drying agent
JP4272819B2 (ja) * 2001-01-10 2009-06-03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US7372069B2 (en) * 2003-01-14 2008-05-1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Interface for UV-curable adhesives
KR100496286B1 (ko) * 2003-04-12 2005-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TWI255153B (en) * 2003-10-20 2006-05-11 Hitachi Displays Ltd Organic EL display device
US20050238803A1 (en) * 2003-11-12 2005-10-27 Tremel James D Method for adhering getter material to a surface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US20060283546A1 (en) * 2003-11-12 2006-12-21 Tremel James D Method for encapsulating electronic devices and a sealing assembly for the electronic devices
US20060284556A1 (en) * 2003-11-12 2006-12-21 Tremel James D Electronic devices and a method for encapsulating electronic devices
KR100552973B1 (ko) * 2003-11-17 2006-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KR100683674B1 (ko) * 2004-06-29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및 이의 제조 방법
US8173995B2 (en) 2005-12-23 2012-05-08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rganic active layer and process for forming the electronic device
KR100826011B1 (ko) * 2006-10-24 2008-04-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소자
EA200970443A1 (ru) * 2006-11-02 2009-12-30 Рко2 Ас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диоксида углерода и метана по каталитической газовой реакции
JP5231774B2 (ja) * 2007-09-07 2013-07-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両面粘着シート
US8362698B2 (en) * 2008-02-26 2013-01-29 Tohoku Pioneer Corporation Organic EL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586077B1 (en) * 2010-06-22 2016-12-14 Koninklijke Philips N.V.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with separating foil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7557A (en) * 1979-03-16 1982-11-02 Sharp Kabushiki Kaisha Glass sealed thin-film electroluminescent display panel free of moisture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S63252391A (ja) * 1987-04-08 1988-10-19 沖電気工業株式会社 Elパネル
JP2742057B2 (ja) * 1988-07-14 1998-04-22 シャープ株式会社 薄膜elパネル
JPH0329291A (ja) * 1989-06-27 1991-02-07 Sumitomo Bakelite Co Ltd 有機分散型elランプ用捕水フィルム
JPH03203193A (ja) * 1989-12-29 1991-09-04 Sharp Corp 薄膜elパネル
JP2595482Y2 (ja) * 1991-10-05 1999-05-31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封入用パウチフィルム
EP0607960B2 (en) * 1993-01-20 2001-05-16 Ushiodenki Kabushiki Kaisha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lamp
JPH07179825A (ja) * 1993-12-24 1995-07-18 Nitto Denko Corp 脱酸素剤パッケージ用シート基材
JP3614910B2 (ja) * 1995-01-09 2005-01-26 株式会社きもと 耐候性防湿フィルム
JPH09148066A (ja) 1995-11-24 1997-06-06 Pioneer Electron Corp 有機el素子
US5990615A (en) * 1997-02-03 1999-11-23 Nec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with protective layer on cathode and an inert medium
US5952778A (en) * 1997-03-18 1999-09-1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capsulate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2314546Y (zh) 1997-10-08 1999-04-14 张志林 平板型电致发光元件
JP2845239B1 (ja) * 1997-12-17 1999-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薄膜el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29719A (ja) * 1998-04-08 1999-11-30 Lg Electronics Inc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0003783A (ja) * 1998-06-12 2000-01-07 Tdk Corp 有機el表示装置
JP2000068046A (ja) * 1998-08-17 2000-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場発光デバイス
JP2000294369A (ja) * 1999-04-05 2000-10-20 Chisso Corp 有機el素子
JP2001035659A (ja) * 1999-07-15 2001-02-09 Nec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ト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385053A (zh) * 1999-09-03 2002-12-11 优尼爱克斯公司 有机电子器件的封装
JP4252167B2 (ja) * 1999-09-10 2009-04-08 日東電工株式会社 フッ素樹脂複合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409764B2 (ja) * 1999-12-28 2003-05-26 日本電気株式会社 有機el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
JP2001198429A (ja) * 2000-01-17 2001-07-24 Nitto Denko Corp 剥離可能な非透湿性フィルムで覆われたフッ素樹脂複合部材
JP2001267063A (ja) * 2000-03-16 2001-09-28 Nitto Denko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3558578B2 (ja) * 2000-03-23 2004-08-25 日東電工株式会社 固定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ならびにその背面基板
JP2001277395A (ja) * 2000-03-31 2001-10-09 Nitto Denko Corp 気体成分処理シート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US6624568B2 (en) * 2001-03-28 2003-09-23 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Multilayer barrier region containing moisture- and oxygen-absorbing material for optoelectronic devices
TWI236862B (en) * 2002-09-03 2005-07-21 Au Optronics Corp Package for OLED device
JP2004311177A (ja) * 2003-04-04 2004-11-04 Nitto Denko Corp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およびこの部材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67438B2 (en) 2002-03-08 2005-11-22 Sanyo Electric Co., Ltd. Display device with desiccant coat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39698A2 (en) 2001-10-04
EP1139698A3 (en) 2003-04-23
CN1199295C (zh) 2005-04-27
JP2001345173A (ja) 2001-12-14
ATE477595T1 (de) 2010-08-15
DE60142759D1 (de) 2010-09-23
CN1316870A (zh) 2001-10-10
US6836071B2 (en) 2004-12-28
EP1139698B1 (en) 2010-08-11
US20010028218A1 (en) 2001-10-11
JP4526682B2 (ja) 2010-08-18
KR100685543B1 (ko) 2007-02-22
TWI244875B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5543B1 (ko) 전기 발광 소자용 부재 및 이를 내장한 전기 발광 소자
KR100986539B1 (ko) 흡착 로드식 접착제를 사용한 유기 전자 장치의 캡슐화
KR100697909B1 (ko) 고정 부재, 상기 부재를 사용하는 전기발광 소자 및 상기소자용 배면 기판
JP2002280166A (ja) 有機el素子
KR100682618B1 (ko)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EP1407818B1 (en) Sheet for treating gaseous ingredient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 employing the same
KR100707565B1 (ko) 전기발광 소자용 부재 및 이를 내장한 전기발광 소자
US7732060B2 (en) Sheet for treating gaseous ingredient and electroluminescent element employing the same
JP2001277395A (ja) 気体成分処理シート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934213B2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
JP2002043055A (ja) 有機el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78999A (ja) 気体成分処理シート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1267063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部材およびそれを内蔵し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10109401A (ko) 흡착 필름 및 유기 발광 디바이스
WO2012091221A1 (ko) 유기발광소자용 흡습충전재,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JP2004319245A (ja) 有機el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