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701A -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 Google Patents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701A
KR20010093701A KR1020010015844A KR20010015844A KR20010093701A KR 20010093701 A KR20010093701 A KR 20010093701A KR 1020010015844 A KR1020010015844 A KR 1020010015844A KR 20010015844 A KR20010015844 A KR 20010015844A KR 20010093701 A KR20010093701 A KR 20010093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ore
permanent magnet
armature
coil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2659B1 (ko
Inventor
노부또끼가즈히로
니시무라가즈아끼
에가시라순스께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89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7384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35923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80058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2001009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01Relays in which the armature is maintained in one position by a permanent magnet and freed by energisation of a coil producing an opposing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 H01H51/2272Polarised relays comprising rockable armature, rocking movement around central axis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arma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 Particle Accelerators (AREA)

Abstract

영구 자석(24)은 U형 철심(20)용 중심편(20c)의 중심 위치에서 벗어난 위치에 직립되어 있다. 아마츄어(50)는 지점(fulcrum)이 영구 자석(24)의 상단면 상에 위치하도록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지점로서의 돌기(54)를 갖고 있다. 또한, 코일(41)은 중심 위치에 가까운 측부 상의 철심(20)의 자극편(20b) 주위에 권취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석 구동 장치 및 전자석 릴레이 {ELECTROMAGNET DRIVING APPARATUS AND ELECTROMAGNETIC RELAY}
본 발명은 영구 자석을 사용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및 전자석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도31a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된 쌍안정 전자석 릴레이에 사용하기 위한 전자석 구동 장치가 있었다. 도31a에는 2a형 또는 2b형 전자석 릴레이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U형 철심(1)은 이의 중심편(1c)의 중심으로부터 수직으로 선 영구 자석(2)을 갖고, 아마츄어(3)는 철심(1)의 양측면 상의 측편들에 의해 형성된 자극편(1a, 1b)용 자극면들에 대향한 양단부들을 갖고, 상기 아마츄어(3)는 영구 자석(2)의 상단면 상의 아마츄어(3)의 하부면 상의 중심에 마련된 돌기의 지점(fulcrum) 주위로의 시소 운동 상태로 자유롭게 운동가능하고, 상기 아마츄어(3)는 이의 양단부를 향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자유단부들로 접점 스프링(4a, 4b)을 반송하고, 상기 접촉 스프링(4a)은 고정 접점(7a, 7b)에 대향하는 이들의 팁부에서 하부면 상에 가동 접점(6a, 6b)을 갖고, 여기서 상기 아마츄어(3)의 시소 운동은 하나의 접점부가 켜지고 다른 접점부가 꺼질 수 있게 해준다. 이 경우에, 여기 코일은 예를 들어 철심(1)의 중심편(1c) 주위에 중심에 권취된다.
아마츄어(3)의 작동 상태는 코일용 여기 전류가 꺼지더라도 영구 자석(2)의 자극들에 의해 유지된다. 반전 작동 시에, 코일은 흡착측 상의 영구 자석(2)의 흡인력을 취소하는 방향으로 여기되고, 아마츄어(3)는 힌지 스프링의 복귀력 및 아마츄어(3)의 대향 단부 상에 작용하는 흡인력에 기인하여 아마츄어(3)의 지주 주위로 반전되게 작동하여서, 온(on) 상태의 접점이 꺼지고 오프(off) 상태의 접점이 켜진다.
이러한 전자석 릴레이에서, 도31b에 도시된 것처럼 스프링 하중(X)은 대칭이고, 여기 없는 시간에서의 영구 자석(2)에 의한 흡인력 특성(I)도 대칭이고, 작동 흡인 특성(II) 및 반전 작동 흡인력 특성(III)도 대칭이다.
이 방식에서, 2a(1a) 형의 전자석 릴레이는 동일한 전자석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되고, 접점 스프링(4a)은 도32a에 도시된 것처럼 일측면 상에만 마련된다.
따라서, 스프링 하중 특성(X)은 도32b에 도시된 것처럼 비대칭이다. 이 경우에, 여기 전류가 코일을 통해서 흘러서 작동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감동 전압이 증가하고, 영구 자석(2)의 자력에 의한 자체 고정 모드 동안에 (작동 상태로 켜지기 위한) 설정 전압이 증가한다.
도32a 및 도32b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일(8)이 도33a에 도시된 것처럼 접점 스프링(4b)의 측부 상의 자극편(1b) 주위에 권취되면, 코일이 권취되어 있는 측부 상에서의 여기 흡인력이 증가하고, 흡인력의 폭이 여기 없는 시간에서의 흡인력에 대하여 넓어지지만 여기 없는 시간에서의 흡인력 특성은 대칭 상태로 남게 된다. 이로써, 비대칭 스프링 하중에 조화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미해결 문제가 있다.
도34는 종래의 전자석 릴레이에서의 2a 및 2b 형의 또 다른 평형 아마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종래예에서, 케이스(17)는 본체 블록 B2에 합체된 아마츄어 블록 B3 상에 덮인다.
도35a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 블록 B2는, U형 철심(101)의 중심편이 삽입 성형에 의해 코일(103)을 권취하기 위한 코일 보빈(102) 안에 내장되고, 영구 자석(104)이 코일 블록 B1을 예비 성형하도록 철심(101)의 양측면 상의 자극편(101a, 101b)들 사이에 걸쳐지는 방식으로 제조되고, 상기 코일 블록 B1이 펀칭에 의해 코일 단자판(105)과 고정 접점(106)을 구비한 고정 단자판(107) 및 공통 단자판(108)을 형성하고 있는 금속 후프 부재의 소정 구역에 합체되고, 상기 코일 단자판(105)은 코일 보빈(102) 외부로 돌출하는 코일 단자(109)에 용접되고, 수지 주형으로 구성된 본체(110)가 코일 블록 B1과 상기 공통 단자판(108)과 고정 단자판(107) 및 코일 단자판(105)을 부분적으로 매립하도록 삽입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각 단자판(108, 107, 105)의 단자부가 상기 본체(110) 외부로 연장되고, 고정 접점(106)에 마련된 공통 단자 고정구(111) 및 공통 단자판(108)이 블록으로서 노출되고, 따라서, 단자부들이 절곡되어 금속 후프 부재로부터 절단되어 분리되고, 본체(110)의 상단부 측부 상에 돌출하는 각 단자부가 절곡되어 본체(110)의 바닥면 측부 상에 배열된다.
아마츄어 블록 B3은 하나의 블록으로서, 자성 재료로 된 아마츄어(112)와, 아마츄어(112)의 중심부가 삽입되는 주형(113)과, 가동 접점(114)을 구비한 접점 스프링(115)과, 이 접점 스프링(115)과 일체로 형성된 힌지 스프링으로서 기능하는 공통 스프링(116)을 포함하며, 접점 스프링(115) 및 공통 스프링(116)을 갖는 상기 주형(113)은 도34에 도시된 것처럼 주형(113) 안에 삽입되어 그 안에 고정된다.
이 방식에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종래의 전자석 릴레이에서, 전체 코일 블록 B1은 밀봉되고 수지 주형(108)으로 성형되어서 코일(103)과 고정 접점(106) 사이에 절연벽을 형성하여 절연 거리를 확보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금속 주형 또는 주형 수지의 온도 등의 온도 조건과 주형 사출 압력 등의 압력 조건 및 주형 수지 등을 사출할 때 주형 수지가 직각 또는 이에 가까운 상태로 코일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한된 사출 위치 등의 성형 조건을 조정하거나 제한할 필요가 있어서, 코일(103)이 일체로 성형되기 때문에 코일(103) 상에 응력을 인가하지 않게 된다.
이 발명은 상기 관점의 견지에서 달성되었고, 비대칭 스프링 하중을 갖는 장비를 위한 구동기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스프링 하중 특성에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전자기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고, 여기 흡인력과 비여기 흡인력 사이의 폭은 여기와 비역기 시의 흡인력을 비대칭적으로 만듦으로써 확장될 수 있고, 전자기 릴레이는 2a(1a)형 릴레이를 구성할 때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안정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작 조건의 조정 또는 제한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생산가능한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고, 여기서 철심의 자극면과 고정 접촉부 사이의 기본 크기는 높은 정밀도로 성취될 수 있다.
전술된 문제점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따라서 양측부 상에 평행하게 있는 자극편들을 갖는 실질적으로 U형의 철심과, 상기 철심 주위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의 상부에서 자극면들에 대향하게 있는 아마츄어의 양단부들 사이에 마련된 지점 주위에서 시소 운동 형태로 자유롭게 운동 가능한 아마츄어와, 그리고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서 대응 자극면으로 아마츄어의 일단을 흡인하도록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에 대응하는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서 자극들 통해서 아마츄어의 일단부 및 철심에 의해 형성된 폐쇄 자기 회로를 제공하는 영구 자석을 포함하는 전자기 구동 장치가 마련되고, 상기 아마츄어용 상기 지점 및 상기 영구 자석이 상기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면, 상기 아마츄어는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영구 자석의 자력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여기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역전될 수 있다. 전술된 방법으로 구성되면, 아마츄어용 상기 지점 및 영구 자석은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에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여기 시간의 흡인력과 비여기 시간의 흡인력 사이에 큰 폭을 갖는 전자기 구동 장치가 비여기 시간의 흡인력을 비대칭적으로 만듦으로써 실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이 철심의 측편 상에 위치한 영구 자석의 일단을 이용하여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들을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다른 단부에 위치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이 보다 용이하게 비대칭적으로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철심의 측부편 상에 배열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철심의 양 측부 상에 자극편 사이의 중심을 지나가는 선 상에 위치된다. 전자기 릴레이로 사용될 때, 항상 폐쇄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항상 개방된 측부 상의 흡인력을 변화시키지 않고 증가될 수 있고, 흡인력 특성은 불균형해질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 구동기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태양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철심의 측부편 상에 배열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과 영구 자석의 배열된 위치 사이에 위치된다. 전자기 구동기가 전자기 릴레이 내로 합체될 때 항상 개방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증가하고, 항상 폐쇄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전자기 구동기가 특정 간단한 형태의 설계로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철심의 측부편 상에 배열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영구 자석의 배열된 위치로부터 먼 측부 상의 철심의 자극편과 양 측부 상의 자극편 상의 중심 위치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더 불균형해질 수 있고, 전자기 구동기는 특히 간단한 형태의 설계로 비대칭적인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6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철심의 측부편 상에 배열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영구 자석의 배열된 위치와 배열된 위치의 부근 측부 상의 철심의 자극편 사이에 위치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더욱 불균형해질 수 있고, 코일을 권취하기 위한 큰 공간은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7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철심의 측부편 상에 배열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철심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 위치에서 이격된 일 자극편의 측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더 불균형해질 수 있고, 코일을 권취하기 위한 큰 공간은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8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을 있어서 영구 자석은 동일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종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 중간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서 자화된 위치에 대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이 제공된다. 따라서, 비대칭 흡인력 특성이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서 자화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만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9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을 있어서 영구 자석은 동일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종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 중간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을 통해서 지나가는 선 상에 대응 위치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전자기 구동기가 전자기 릴레이로 사용될 때 항상 폐쇄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항상 개방된 측부 상의 흡인력을 변화시키지 않고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이 불균형해질 수 있고, 전자기 구동기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0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을 있어서 영구 자석은 동일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 중간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서 자화된 위치 사이에 위치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전자기 구동기가 전자기 릴레이를 위해 합체될 때 항상 개방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증가되고 항상 폐쇄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 구동기가 특정한 간단한 형태의 설계로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동일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종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 중간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 상의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서 자화된 위치에서 먼 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더욱 불균형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전자기 구동기는 특히 간단한 형태의 설계로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동일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종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 중간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서 자화된 위치와 자화된 위치에 인접 측부 상에 철심의 자극편 사이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코일을 권취할(감을) 공간에 대한 근심없이 불균형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3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이 동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종방향으로 중심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 위치에서 이격된 하나의 자극편의 측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코일을 권취하기(감기) 위한 공간에 대한 근심없이 불균형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이 아마츄어에 평행하게 일체로 부착되어 철심의 측부 상에 배치되지 않아서 철심 주위에 권취된 코일에 의해서 점유될 수 있는 공간이 증가될 수 있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코일의 회전 수가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5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가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서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아마츄어에 부착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양 측부 상에서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상에 배열되는 전자석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기 구동기가 전자기 릴레이로 사용될 때 항상 폐쇄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항상 개방된 측부 상의 흡인력을 변화시키지 않고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불균형될 수 있어 전자기 구동기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에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6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가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서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아마츄어에 부착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과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 사이의 이동된 위치에 위치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가 제공된다. 전자기 구동기가 전자기 릴레이로 합체될 때 항상 개방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증가될 수 있고 항상 폐쇄된 측부 상의 흡인력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전자기 구동기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7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가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서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아마츄어에 부착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중심 위치로부터 먼 측 상의 철심의 자극편과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 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더욱 불균형해질 수 있고 구동기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에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8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가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에서 이격되어 이동되도록 아마츄어에 부착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에 가까운 측부 상의 철심의 자극편 사이의 대응 위치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코일을 권취하기(감기) 위한 공간에 대한 근심 없이 불균형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19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4 태양에 있어서 영구 자석은 영구 자석의 중심에서 자화된 위치가 철심의 양 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상에 위치되도록 아마츄어에 부착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하나의 자극편의 측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흡인력 특성은 코일을 권취하기(감기) 위한 공간에 대한 근심 없이 불균형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6 태양, 제8 내지 제12 태양 및 제14 내지 제18 태양 중 하나에 있어서, 오직 하나의 코일만이 제공되는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여기 상태에서 비대칭 흡인력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0 태양에 있어서 코일은 아마츄어의 지점이 이동된 지점에서부터 중심 방향으로 있는 자극편을 포함하는 위치까지의 철심 주위에 권취된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코일이 권취되는 측부 상의 흡인력의 폭은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 태양 내지 제19 태양 중 하나에 있어서 코일은 아마츄어의 지점이 이동된 지점에서부터 양 측부들 상의 자극편을 포함하는 위치까지의 철심 주위에 권취된 전자기 구동기가 제공된다. 따라서, 지점의 양 측부들 상의 흡인력의 폭이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3 태양에 따르면, 양 측부들 상에 평행하게 자극편을 갖는 실질적으로 U형인 철심을 갖춘 전자기 블록과, 상기 철심 주위에 감긴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상기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의 상부에서 자극면들에 대향하게 있는 아마츄어의 양단부들 사이에 마련된 지점 주위에서 시소 운동 형태로 자유롭게 운동 가능한 아마츄어와, 그리고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서 대응 자극면으로 아마츄어의 일단을 흡인하도록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에 대응하는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서 자극들 통해서 아마츄어의 일단부 및 철심에 의해 형성된 폐쇄 자기 회로를 제공하는 영구 자석을 구비하는 전자기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전자기 블록은 몸체 상에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아마츄어는 일단부가 상기 아마츄어에 부착되고 상기 아마츄어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접촉 스프링을 갖고, 상기 접촉 스프링의 타단부에서 이동 접촉부는 상기 몸체 상의 고정 접촉부에 대향되도록 상기 아마츄어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접촉 스프링은 상기 이동 접촉부를 상기 아마츄어의 시소 운동에 따라서 상기 고정 접촉부에 접촉되거나 또는 이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을가능하게 하고, 상기 아마츄어는 상기 코일을 통해 상기 영구 자석의 자력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여기 전류를 통과시킴으로써 역전될 수 있고, 상기 아마츄어 및 상기 영구 자석을 위한 지점이 상기 철심의 양 측부들 상의 상기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제공되고 상기 접촉 스프링의 단부 방향으로 대향 방향으로 이동되는 전자기 릴레이가 제공된다. 상기의 방법으로 구성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 및 아마츄어의 지점은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 사이에 중심에서 이격된 접촉 스프링의 단부 방향에 대향 방향으로 이동된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비대칭 흡인력이 제공되는 전자기 릴레이가 실현되는 효과가 있고, 전자기 릴레이는 하나의 측부 상의 접촉 스프링을 갖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4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들을 갖는 영구 자석이 사용되고,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을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하도록 철심의 측편 상에 위치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다른 단부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비대칭의 흡인력 특성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5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들을 갖는 영구 자석이 사용되고, 영구 자석의 일 단부는 영구 자석의 길이 방향을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하도록 철심의 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에서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위치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다른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하여 지나는 라인 상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비대칭의 흡인력 특성이 용이하게 마련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6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영구 자석은 아마츄어에 평행하게 일체로 부착되고, 철심의 측부 상에 배치되지 않아서, 철심 둘레에 권취된 코일에 의해 점유된 공간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코일의 권취 회수가 증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7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내지 제26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단 하나의 코일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여기 상태에서 비대칭 흡인력 특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8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내지 제26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코일은 아마츄어의 지점이 이동된 위치로부터 중심 방향으로 존재하는 자극편을 포함하는 위치로 철심 둘레에 권취된다. 그러므로, 전자석 릴레이가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흡인력 특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29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내지 제26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코일은 아마츄어의 지점이 이동된 위치로부터 양측부 상의 자극편을 포함하는 위치로 철심 둘레에 권취된다. 지점의 양측부 상의 흡인력의 폭은 증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석 릴레이가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도록 흡인력 특성이 보장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0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23 내지 제29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힌지 스프링은 일 단부를 갖고, 이 일 단부는 접촉 스프링의 타 단부 방향에 대향 방향으로 아마츄어에 고정되고, 타 단부는 몸체 상에 고정된다. 힌지 스프링의 배치를 위한 공간은 불필요한 공간을 사용함으로써 보장되고 이용된다. 그러므로, 작은 전자석 릴레이가 제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0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힌지 스프링이 사실상 U형을 취하고, 양측편들 상의 적어도 판면이 접점 스프링의 판면과 동일한 방향을 취하고, 하나의 측편의 팁부가 아마츄어에 고정되고, 다른 측편이 이의 팁부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아마츄어에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그러므로, 스프링이 중심편의 이동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2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1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힌지 스프링의 중심편이 중심편의 판면을 양측편들의 판면에 수직하게 하도록 절곡된다. 스프링 조정은 조정기에 의해 위에서부터 중심편을 집어 올려 이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의 조정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3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0 내지 제31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힌지 스프링이 본체 상에 고정된 위치가 아마츄어의 지점 위치 가까이에 있고, 지점의 교란은 최소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안정된 작동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4 태양에 따르면, 아마츄어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석 구동 기구의 철심과, 아마츄어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의 가동 접점을 개폐하는 고정 접점을 갖는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철심 및 접점 단자는 본체를 따라 본체 블록을 이루도록 일체식 성형에 의해 수지 주형으로 제조된 본체에 고정되는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된다. 따라서, 철심의 자극면과 고정 접점 사이의 기본 치수가 금속 주형의 정밀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어서, 높은 정밀도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깨지기 쉬운 코일 블록은 삽입 성형에 의해 본체 블록 내에 일체로 마련된다. 그러므로, 금속 주형의 온도 또는 성형 수지의 온도와 같은 성형 온도와, 성형 삽입 압력과 같은 압력과, 그리고 성형 수지가 대략 직각으로 코일에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한된 삽입 위치를 포함하는 성형 조건을 한정하거나 혹은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제35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4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철심이 스탬핑 철심, 주조 철심 또는 소결 철심이다. 이 경우, 절곡 철심보다 절곡부(코너부)에서 더 높은 정밀도가 얻어지고, 금속 주형의 구조물 상에 절곡을 변형하기 위하여 활주 코어를 마련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많은 본체 블록이 동시에 성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6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4 내지 제35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상기 철심은 사실상 U형을 취하고, 양 측부 상의 자극편들은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일체식 성형에 의해 본체에 고정되고, 영구 자석은 종방향으로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양 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에 배치되고, 아마츄어의 지점은 시소 운동으로 자유롭게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영구 자석의 상부 상에 놓이고, 폐쇄 자기 경로는 자극면을 거쳐 철심과 아마츄어의 임의의 일 단부에 의해 이 일 단부에 대응하는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 구성되고, 아마츄어의 일단부가 영구 자석의 자력으로 인한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서 대응 자극면 상에 흡인되는 동안, 아마츄어는 영구 자석의 자력을 상쇄시키는 방향으로 철심 둘레에 권취된 코일을 통하여 여기 전류를 지나가게 함으로써 역전될 수 있다. 그러므로, 시소 운동 타입의 전자석 릴레이가 제조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7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6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영구 자석은 일체식 성형에 의해 본체 상에 고정된다. 이 경우, 본체 블록 내에 영구 자석을 병합하는 단계가 생략될 수 있고, 영구 자석의 자극면들 사이의 기본 치수뿐만 아니라 자극면과 고정 접점 사이의 기본 치수가 고정밀도로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아마츄어가 행정 내에서 안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8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6 및 제37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코일은 자극편이 중심 관통 구멍을 통해서 지나게 되는 본체 상에 놓이는 코일 보빈의 배럴부의 외주연 주위에 권취되고, 코일 보빈을 따라 코일 블록을 이루고, 상기 코일 보빈이 코일을 덮도록 절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절연 케이스가 바닥부에 개구를 구비한 상자 형상을 취하고 천정 평면 상에 코일 보빈의 중심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자극편의 상부 부분이 외측으로 연장되게 되는 개구창을 갖는다. 이 경우, 코일과 다른 금속 부품 사이의 절연 거리가 보장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전자석 릴레이가 향상된 유전 강도를 갖고 소형화될 수 있고, 절연 케이스가 부품의 취급 또는 운송 동안에 코일에 대한 기계적 보호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39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8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결합 보어를 갖는 탄성 돌기편은 절연 케이스에 대한 한 쌍의 대향 측벽 각각의 적어도 하부 에지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 보어는 절연 케이스가 코일 블록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의 측부 상에 위치한 코일 보빈용 칼라부의 양 측면 중 어느 상에 형성된 결합 돌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절연 케이스가 일 회의 접촉으로 코일 보빈 상에 부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0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8 및 제39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아마츄어의 단부 부분이 면하게 되는 구역을 제외하고는 자극편의 상부 부분이 연장되게 되는 중심 관통 구멍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가 코일 보빈의 상부측 상의 칼라부로부터 연장되는 자극의 상부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리브는 자극편의 상부부분과 함께 절연 케이스의 개구창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된다. 이 경우, 코일과 철심의 자극편 사이의 큰 절연 거리가 보장될 수 있다. 개폐 작동 중에 연마 분말이 생성될 때, 자극편의 자극면 상의 연마 분말이 흩뿌려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개폐 작동시에 접촉부에서 발생하는 소모된 분말이 자극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안정된 작동이 시간에 걸쳐 얻어질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제41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38 내지 제40 태양 중의 어느 일 태양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전자석 릴레이가 마련되어 있는 데, 코일 단자가 본체 상에 놓이는 코일 보빈의 칼라부의 양측면 중 하나 상에 돌출하고, 상기 코일 단자는 본체를 통과하여 본체의 바닥면 측에 노출되는 상부 부분을 갖고, 코일 보빈이 본체 상에 놓일 때 칼라부의 단부 부분이 본체의 외측 에지 상에 위치한 직립벽 상에 형성된 노치 내에 끼워지고 코일 보빈이 본체 상에 놓일 때 본체 상에 부착된 케이스의 내측벽면 상의 돌기와 본체 사이에 고정된다. 그러므로,
소정의 벽 두께가 요구되는 코일 단자를 연장하도록 칼라부의 단부의 벽 두께를 사용함으로써 코일 보빈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개략도.
도1b는 전자석 구동 장치에 대한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2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3은 전자석 구동 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일부가 생략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개략도.
도5는 일부가 생략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개략도.
도7a는 전자석 릴레이의 전개 사시도.
도7b는 릴레이의 아마츄어 블록의 정면도.
도8a는 부분적으로 파단된 전자석 릴레이의 정단면도.
도8b는 전자석 릴레이의 측단면도.
도8c는 다른 위치에서 취해진 전자석 릴레이의 측단면도.
도8d는 전자석 릴레이의 전자 회로 도면.
도9는 전자석 릴레이용 코일 블록의 전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전개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개략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릴레이의 개략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14는 전자석 릴레이에 대한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1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18은 전자석 릴레이에 대한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19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1은 본 발명의 제14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개략도.
도22는 도21에 도시된 전자석 구동 장치에 대한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23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4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5a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5b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다른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6a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6b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변형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7a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7b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다른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8a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8b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변형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29a는 본 발명의 제21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 예의, 일부가생략된, 개략도.
도29b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변형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30a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 구동 장치의 일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30b는 전자석 구동 장치의 다른 예의, 일부가 생략된, 개략도.
도31a는 종래의 쌍안정 전자석 릴레이의 개략도.
도31b는 종래의 쌍안정 전자석 릴레이에 대한 스프링 하중 특성 및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32a는 종래의 전자석 구동 장치를 사용한 2a 타입의 전자석 릴레이의 개략도.
도32b는 2a 타입의 전자석 릴레이에 대한 스프링 하중 특성 및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33a는 도31의 전자석 릴레이로부터 향상된 전자석 릴레이의 개략도.
도33b는 전자석 릴레이에 대한 스프링 하중 특성 및 흡인력 특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34는 종래의 다른 전자석 릴레이의 전개 사시도.
도35a 내지 도35c는 종래의 전자석 릴레이에 대한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
도36a 내지 도36c는 전자석 릴레이의 본체 및 철심의 삽입 성형을 설명하는 도면.
도37a 내지 도37c는 전자석 릴레이의 비교예의 본체 및 철심의 삽입 성형을 설명하는 도면.
도38은 제4 실시예의 전자석 릴레이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철심
20a, 20b : 자극편
20c : 중심편
24 : 영구 자석
41 : 코일
50 : 아마츄어
54 : 돌기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제1 실시예의 전자석 구동 장치는,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상인 철심(20)의 중심편(20c)의 중심 위치보다는 오히려 자극편(20a)에 가깝게 이동된 편심 위치에서 수직으로 직립하는 하단부에서 S극(또는 N극)으로 자화되고 상단부에서 N극(또는 S극)으로 자화된 영구 자석(24)과, 영구 자석(24)의 상단부면에 대응하는 편심 위치에 마련된 시소 운동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으로 작용하는 돌기(54)와, 중심 위치에 가까운 측 상의 자극편(20b) 둘레에 권취된 코일(4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흡인력 특성은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먼저, F1의 흡인력이 도2a의 아마츄어(50)의 일부(a)에 인가되는 경우, 철심(20)의 자극편(20b)으로부터 멀리 아마츄어(50)의 일부(a)를 강제하기 위한 힘(Fα)은 다음과 같이 수식(1)에 의해 주어진다.
F` alpha `=`F`1 (1)
도2b에 도시된 것처럼, 아마츄어(50)의 단부가 자극편(20a)에 부착된 상태에서 자극편(20b)을 유인하는 방향으로 대향 단부를 가압하기 위한 힘(F`beta`)은 아래와 같이 얻는다.
여기서, 아마츄어(50)의 받침점 위치로부터 자극편(20b)의 측면 상의 에지까지의 거리를 l1, 상기 지점 위치와 자극편의 측면 상의 에지 사이의 거리를 l2,유인 측 상의 흡인력을 F2라 할 때, 힘(F`beta`)은 아래의 식(2)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여기서, 철심(20) 및 아마츄어(50) 내의 자기 저항이 갭에서의 자기 저항에 비해 무시할 정도인 경우, 좌우 흡인력(F1, F2)들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한다.
따라서, 상기의 식(1), (2)로부터 l1< l2일 때F alpha`>`F beta`이다. 여기되지 않을 때, 흡인력은 도3에 도시된 것처럼 좌우측 상에서 비대칭이다.
한편, 상기 설명하고 도15a에 도시된 것처럼 영구 자석(24)이 철심(20)의 하나의 자극편(20b) 주의에 권취된 코일에 의해 중심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여기되지 않을 때의 [영구 자석(24)의] 흡인력 지표는 도6b의 (Ⅰ)로 도시된 것처럼 권취된 코일에 상관없이 강철 코일의 양 측 상에서 대칭이지만, 유인 작동 중에 흡인력 및 코일(41)의 여기에 의한 복귀 유인은 커브(Ⅱ, Ⅲ)로부터 알 수 있듯이 코일의 권취된 측면 상의 폭이 점차로 변한다.
따라서, 영구 자석(24)의 위치가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변위되는 경우, 영구 자석(24)으로 인한 흡인력 지표는 도3에 도시된 것처럼 비대칭이 된다. 결국, 상기 흡인력 지표는 도1b에 도시된 것처럼 얻을 수 있다. (Ⅰ)는 여기되지 않을 때 흡인력 지표를 나타낸 것이고, (Ⅱ, Ⅲ)는 각각 작동 유인 및 복귀 유인 중에서의 흡인력 지표를 각각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구성으로, 흡인력 지표는 여기되지 않을 때와 여기될 때 비대칭이다. 따라서, 불균형적인 하중이 인가될 때, 전자석 구동 장치를 생산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2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직립된 영구 자석(24)이 사용되지 않고, 도4에 도시된 것처럼 동일한 자극에서 자화되고 상이한 자극에서 자화된 오프-중심 위치(off-center position)된 양 단부를 갖는 영구 자석(24)이 사용되고, 이 영구 자석(24)은 철심(20)의 양 측 상의 자극편(20a, 20b)의 단부에서 내측면과 접촉하는 양 단부에서 브릿징되고, 아마츄어(50)의 지점으로써의 돌출부(54)는 중심으로부터 변위된 자극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흡인력 지표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예
제3 실시예에서, 예로써, 상이한 자극에서 자화된 양 단부를 갖는 영구 자석(24)은 아마츄어(50)의 측면 상에 구비되고,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는 도5에 도시된 것처럼 받침대의 위치와 조화하도록 변위된다.
제4 실시예
제4 실시예에서, 2a형 전자 릴레이는 제1 실시예에 도시된 것처럼 전자 구동 장치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도6a에 도시된 것처럼, 접촉 스프링(52)은 스프링(52)이 지점과 전기자의 타단부 사이에 형성된 거리보다 종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 받침대와 아마츄어(50)의 단부 사이의 거리를 갖는 측면에 배열되는 방식으로 아마츄어(50)의 영역에 평행하게 유지되고 이러한 접촉 스프링(52a)의 팁에서 하부면 상에 가동 접점(52a)을 갖고, 상기 가동 접점(52a)은 고정 접점(21)에 대향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하중은 비대칭이다. 도6b는 본 실시예의 흡인력 지표를 도시한 것으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원리는 동일하다. 도6b에서, 곡선(Ⅰ)은 여기되지 않을 때 흡인력 지표이고, 곡선(Ⅱ)은 유인 작동 시 흡인력 지표이고, 곡선(Ⅲ)은 복귀 작동 시의 유인 지표이다. 따라서, 비대칭적인 흡인력 지표로 인해, 전자 릴레이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다.
도7 내지 도9에서, 제4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것처럼, 제4 실시예의 전자 릴레이는 철심(20) 및 고정 접점(21)과 함께 단자판(22)을 삽입 성형시킴으로써 합성 수지 성형물로 구성된 본체(23)를 갖는 본체 블록(Ba), 아마츄어 블록(Bb) 상에 구비된 힌지 스프링(26)의 일단부가 고정된 합성면(27a)을 갖춘 단자판(27), 아마츄어 블록(Bb), 코일 블록(Bc) 및 영구 자석(24)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아마츄어 블록(Bb), 코일 블록(Bc) 및 영구 자석(24)과 함께 조립되고, 상기 바닥 상의 개구와 함께 합성 수지로 형성된 박스 케이스(25)는 상기 본체 블록(Ba) 상에 부착된다.
철심(20)은 U형과 같은 자석 강철판을 스탬핑함으로써 형성되고, 본체(23)를 본체(23)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측면 상에서 자극편(20a)과 함께 본체를 성형할 때, 본체(23) 안으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철심(20)의 삽입 위치는 폭 방향으로 본체(23)의 중심을 통과하는 라인 상에 있게 되어 본체(23)의 중심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변위한다. 하나의 자극편(20a)은 본체(23)의 하나의 에지측에 더 근접하고, 다른 자극편(20b)은 본체(23)의 다른 에지로부터 이격되어 중심측에 더 근접한다. 그리고, 장방형 배럴(28)은 하나의 자극편(20a)의 내부측을 따라 본체(23) 상에 일체로 돌출된다. 장방형 배럴(28)은 바닥부를 갖춘 철심의 중심편(20c)의 상부면이 상기 철심의 양 측상의 자극(20a, 20b) 사이에 형성된 중심 위치보다 자극(20a)에 근접한 위치에서 본체(23) 내에 삽입되게 배열된 중심적으로 장방형 긴 단면을 갖는 구멍(29)을 갖는다.
구멍(29)은 상향으로부터 그 안으로 가압 고정되거나 또는 삽입된 단면의 형상이 사실상 동일한 각주형(prismatic) 영구 자석(24)을 갖는다. 영구 자석(24)은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상이한 자극으로 자화되고, 하단부에서의 자극면은 철심(20) 내의 중심편(20c)의 상부면 상에 유인되고, 상단부에서의 자극면은 각주형 배럴(28)의 상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강철 코터(20)의 자극편(20a, 20b)의 자극면과 사실상 동일한 높이로 된다. 영구 자석(24)은 미리 자화될 수 있지만, 자화되지 않고 본체(23) 안으로 합체된 뒤 자화된다.
측벽(30, 30)은 철심(20)과 평행하게 본체(23)의 양 측면 상에 상향 연장되고, 단자판(22, 27)의 상부에서 단자(33, 34)를 안내하여 부분적으로 측벽(30)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홈(31, 32)을 형성한다. 단자판(22)의 일단부에 구비된 고정 접점(21)은 자극편(20b)과 평행하게 측벽(30)의 일부의 상부면 상에 노출되고, 단자판(27)의 일단부에 구비된 합성면(27a)은 중심부 근처에서 측벽(30)의 상부면 상에 노출된다.
자극편(20b)의 측면 상의 본체(23)의 에지에서, 하부 격벽(35)은 측벽(30, 30)의 단부면으로 안내하는 일단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아래에 설명하는 것처럼 상기 격벽(35)의 중심부 내의 아마츄어 블록(Bb) 내의 코일통(37)용 칼라(38)의 단부(38a)를 고정하기 위한 노치(36)가 형성된다.
코일 블록(Bc)은 자극편(20b)에서와 같은 사실상 동일한 횡단면을 갖고 자극편(20b)을 통과하는 코일통(37)과 상기 코일통(37)의 양 단부 상의 칼라부(38, 40)들 사이의 배럴부 주위에 권취된 코일(41)을 포함하고, 상기 코일(41)에 연결된 코일 단자(42, 42)는 도9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부에 칼라(38)의 단부(38a)에 근접한 측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이러한 코일 단자(42, 42)는 역 L자와 같이 만곡되어 하향 연장된다. 코일 블록(Bc) 상에 부착된 절연 케이스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돌출부(43, 43)는 칼라(38)의 양 측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 칼라부(40)용 구멍(39)을 통해 중심의 개구는 아마츄어 블록(Bb) 내 아마츄어(50)의 단부가 인접하는 측면을 제외하고 리브(48)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리브(48)는 중심 관통 구멍(39)의 개구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자극편(20b)의 상부 위치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절연 케이스(44)는 바닥면 상의 개구를 갖춘 박스처럼, 합성 수지 성형으로 구성된다. 자극편(20b)의 상단부는 코일통(37)의 중심 관통 구멍(39)으로부터 연장되고, 리브(48)를 외향으로 돌출시키기 위한 개구창(45)은 절연 케이스(44)의 천장면 상에 구비된다. 한 쌍의 대향 측벽의 하부 에지에서, 결합 보어(46)를 갖는 탄성 돌출편(47)은 일체로 돌출되고, 결합 보어(46)의 하단부는 코일통(37)용 칼라부(38)의 측면 상에 형성되고 코일 블록(Bc)에 부착된 상태로 결합 돌출부(43)와 내부적으로 결합된 결합 돌출부(43)의 테이퍼진 면 상에 놓여진다. 결합 돌출부(43) 및 결합 보어(46)로 인해, 절연 케이스(44)는 원터치로 코일 블록(Bb)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런데, 기부 블록(Ba)에 부착된 절연 케이스(44)를 갖는 코일 블록(Bb)을 조립할 때, 자극편(20b)의 팁은 코일통(37)용 중심 관통 구멍(39)의 바닥 개구를 통해 삽입됨과 동시에 각각의 코일 단자(42)의 팁은 측벽(30, 30)의 에지 근처의본체(23)의 어느 하나의 측면 상의 상부면 상에 개방된 코일 단자 보어(49) 위로부터 그를 통화한다. 이후, 코일통(37)의 칼라부(38)는 본체(23) 상에 배치되고, 칼라부(38)의 단부(38a)는 도7a에 도시된 것처럼 격벽(35)의 노치(36) 안으로 끼워진다. 이때, 단부(38a)의 단부면은 격벽(35)의 외측면과 사실상 동일한 높이이다.
아마츄어 블록(Bb)은 자기 재료로 형성된 아마츄어(50)와, 삽입된 아마츄어(50)의 중심부를 갖고 아마츄어(50)의 중심부로부터 변위된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로부터 아마츄어(50)의 양 방향으로 연장되는 아암(51, 51)을 갖는 T형 합성 수지 성형물(53)과, 아마츄어(50)의 중심측을 향해 각각의 아암(51)의 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합성 수지 성형물(53)의 각각의 아암(51) 안으로 삽입된 접촉 스프링(52, 52)과, 접촉 스프링(52, 52)의 각각의 근처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대향 측 상의 각각의 아암(51)으로부터 접촉 스프링(52)의 각각의 돌출면까지 후방으로 연장되는 U형 힌지 스프링(26, 26)을 포함한다.
도7b에 도시된 것처럼, 힌지 스프링(26)은 합성 수지 성형물(53)로부터 평행하게 연장되는 아마츄어(50)의 일부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아암(51)으로부터 연장되는 일측편(26a)의 길이를 갖고, 다른 측편(26b)은 중심편에서 만곡되어 세로로 아마츄어(50)의 중심에 사실상 도달할 때까지 아마츄어(50)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각각의 접촉 스프링(52)의 팁 단부는 각각의 하부면 사에 구비된 가동 접점과 함께 분기되어 소위 쌍둥이 접점을 형성한다.
철심(20) 상에 배치될 때, 아마츄어(50)는 세로 방향으로 철심(20)의 크기보다 약간 큰 세로 방향의 크기를 가지므로, 아마츄어(50)의 양 단부 상의 하부면은자극편(20a, 20b)의 자극면에 대향될 수 있고, 자극편(50a, 50b) 사이에 끼워진 영구 자석(24)의 상단면에 대향인 아마츄어(50)의 하부면 상에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서 형성된 돌출부(54)를 갖고, 돌출부(54)는 동요 이동의 지점으로써 작동하도록 영구 자석(24)의 상단부면 상에서 자유롭게 동요 이동 가능하게 놓여진다.
상기의 방식으로 구성된 아마츄어 블록(Bb)은 코일 블록(Bc)이 상기의 방식으로 합체된 후 기부 블록(Ba) 안으로 합체되고, 이러한 때 돌출부(54)는 영구 자석(24)의 상단부면 상에 놓여지고, 어느 한 측 상의 힌지 스프링(26, 26)의 외측편의 팁은 측벽(30, 30)의 사실상 중심 상부면 상에 노출된 단자판(27)의 합성면(27a) 상에 용접된다.
따라서, 각 접점 스프링(52)의 팁에 있는 하부면 상의 이동 접점은 해당 고정 접점(21)의 반대편에 배치되고, 아마츄어(50)의 어느 한쪽 단부의 하부면은 철심(20) 안에 있는 자극편(20a, 20b)의 자극면의 반대편에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만약 케이스(25)가 본체 블록(Ba) 상에 부착되면, 코일 블록(Bc) 및 아마츄어 블록(Bb)을 본체 블록(Ba)에 결합한 후에, 도8d에 도시된 바와 같은 2a형 전자기 릴레이가 얻어질 수 있다. 만약 케이스(25)가 본체 블록(Ba) 상에 부착되면, 코일 블록(Bc) 측면 상의 내부 벽면에 제공된 돌기인 다운 스텝(25a)은,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3)를 가진 코일 보빈(37) 내의 칼라부(38)의 단부(38a)를 지지하고, 이로써 코일 보빈(37)을 포함하는 코일 블록(Bc)은 본체 블록(Ba)에 고정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다운 스텝(25b)은 자극편(20a) 측면 상의 케이스(25) 내부 벽면에 제공되고, 자극편(20a)의 노출된 기부에 인접한본체(23)의 상부면 상에 놓여진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철심(220)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스템핑에 의해 형성된다. 도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편(220a, 220b)과 중심편(220c) 사이의 기부에 형성된 코너부(260)는 고정밀도를 갖는다. 따라서, 도3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220)이 삽입 성형에 의해 본체(223) 내에 박혀질 때, 자극편(220a, 220b)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262)은 금형(261) 내에 형성된다. 도3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성형에 있어서, 자극편(220a, 220b)은 삽입 성형되도록 삽입된다.
즉, 철심(220')이 도37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절곡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코너부(260')의 정밀도는 뛰어나지 못하여 자극편(220a', 220b')이 개방된다. 이러한 개방 상태로 인하여, 자극편(220a', 220b')을 금형(261) 내로 삽입하기 위한 구멍(262)이 제공될 때, 도3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금형(61)이 채용될 때, 수지는 구멍(262)으로 들어가고, 정밀하지 못한 성형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절곡에 의해 형성된 철심(220')이 삽입 성형을 필요로 할 때, 자극편(220a', 220b')은 활주 코어(263)의 클램핑으로, 개방 상태가 수정되도록 강제적으로 압박되고, 이어서 철심은 도3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성형된다. 그러므로, 활주 코어(263)가 필요하게 되고, 본체 블록이 삽입 성형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다수의 철심은 한번에 성형될 수 없다. 반대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템핑 또는 주조에 의해 형성된 철심(20)을 채용할 때는, 활주 코어가 제공될 필요가 없고, 다수의 철심이 한번에 성형될 수 있다. 철심(20)은 천공된 철심 이외에, 본 실시예에서와 같은 동일한 성형의 장점을 얻을 수 있는 주물 철심 또는 소결 철심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실시예의 전자기 릴레이는 자극편(20a)의 자극면 상에 흡인되어 고정된 아마츄어(50)의 지점 위치에 근접한 단부를 갖고, 보통 상태에서, 힌지 스프링(26)의 스프링 가압력 및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으로 인하여, 접점 스프링(52)의 이동 접점은 고정 접점(21)으로부터 떨어져 놓이게 된다. 이 경우에, 폐쇄된 자기 경로는 작동 상태에서 아마츄어(50)를 보호하도록 영구 자석(24), 아마츄어(50) 및 자극편(20a)을 포함하는 철심으로 만들어진다.
이 상태에서, 만약 여자전류가 코일 단자(42)를 경유하여 코일(41)을 통해 철심(20)의 자극편(20a) 측면에 있는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통과된다면, 이로써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을 따라 힌지 스프링(26)의 스프링 하중을 초과하는 흡인력이 자극편(20a)의 측면 상에 발생되고, 아마츄어(50)는 도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54)의 지점 주위에서 시계반대 방향으로 시소 같은 운동으로 움직이며, 접점 스프링(52)의 단부 부품이 자극편(20b)의 자극면 상으로 흡인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때에, 접점 스프링(52)의 팁에 있는 이동 접점은 단자판(22, 27)의 단자(33, 34) 상에서 회전되도록 고정 접점(21)에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이 상태는 계속해서 여자전류를 통과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도8b 및 도8c는 작동의 중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만약 여자전류가 꺼지면, 힌지 스프링(26)의 복원력 및 접점 스프링(52)이 자극편(20b) 측면 상의 영구 자석(24)의 흡인력보다 커지기 때문에,아마츄어(50)는 시계방향으로 돌기(54)의 지점 주위를 회전한다. 또한, 자극편(20a)의 측면에 발생하는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으로 인한 흡인력이 부가적으로 작용됨으로써, 위의 보통 상태는 회복된다. 이로써, 접점 스프링(52)의 이동 접점은 고정 접점(21)으로부터 떨어져 놓이게 되어 오프된 상태로 된다. 여기에서, 스프링 가압력으로 인한 복원력이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으로 인한 흡인력보다 작은 경우에, 비록 여자전류는 턴오프될지라도, 아마츄어(50)의 작동 상태는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으로 인하여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오프된 상태가 회복된 경우에, 여자 전류는 코일(41)을 통하여 영구 자석(24)의 자기력을 상쇄하는 방향으로 통과된다.
본 제4 실시예에서, 전자기 릴레이가 자체 고정형이건 통과에 의한 온(on) 상태 유지형이건 간에 여자 전류는 스프링 하중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다.
도38은 본 발명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한다. 곡선(Ⅰ)은 여자가 없을 때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하고, 곡선(Ⅱ)은 흡인 작동시의 흡인력 특성을 도시하며, 곡선(Ⅲ)은 복귀 작동시의 흡인 특성을 도시한다.
따라서, 접점이 위의 방식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접점 재료의 마멸 분말은 접점 구역에 걸쳐 제공되거나, 마멸 분말은 아마츄어(40)가 흡인되는 철심(20)의 자극편(20a, 20b)으로부터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코일 보빈(37)의 리브(48)는 마멸 분말이 흩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멸 분말이 자극편(20a, 20b)의 자극면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절연은 코일(41)과 철심(20)의자극편(20b) 사이에 거리를 증가시킴으로써 확보된다.
위의 제4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24)은 각주형 배럴부(28)의 구멍(29) 내에 삽입되나, 철심(20)처럼 삽입 성형에 의해 본체(23)와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영구 자석(24)을 본체 블록(Ba)에 결합하는 단계는 생략될 수 있고, 자극면과 영구 자석(24) 사이의 기본 크기뿐만 아니라 자극편(20a, 20b)의 자극면과 고정 접점(21) 사이의 기본 크기도 고정밀도로 얻어질 수 있음으로써, 아마츄어(50)는 행정에 있어 안정될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예에서, 스프링이 조정될 때, 힌지 스프링(26)의 중심편은 지그에 의해 이동될 수도 있다.
제5 실시예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는 힌지 스프링(26)의 중심편이 측편의 판 표면에 직각으로 만곡되는 것을 제외하고 제4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며, 이로써 스프링 조정은 조정 시 중심편을 위로부터 집어 올림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고, 판 표면에 대하여 중심편을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른 부품들은 도7의 것들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도면 부호에 의해 표시되고, 설명되지는 않는다.
제6 실시예
상기 제4 및 제5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24)은 수직으로 일어서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24)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단부에서 동일한 자기 자극으로 자화되고, 다른 자기 자극으로 자화된 중심을 벗어난 위치를 가진 체, 영구 자석(24)은 양 단부를 철심(20) 양 측면 상의 자극편의 팁에 있는 내부 측면과 접촉하게 만들도록 브릿지되며, 아마츄어(50)의 지점은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을 벗어난 자극 위치에 자리잡힌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에서,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24)은 아마츄어(50)의 측면에 제공되고, 중심의 자화된 위치는 지점의 위치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전자기 구동 기구 및 전자기 릴레이 모두는 하나의 코일(41)과 함께 제공되나, 코일은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각각에 감겨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아마츄어(50)의 지점의 양 측면 상의 흡인력은 폭 방향으로 넓혀질 수 있다.
제8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24)의 위치는 아마츄어(50)의 지점(54)의 위치와 일치되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제8 실시예에서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츄어(50)의 지점(54)이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상에 배치된다. 하나의 코일이 철심(20) 주위로 감겨질 때, 코일(41)의 위치는 자유 공간을 구비한 자극편(20b)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극편(20b)과 영구 자석(24) 사이의 측편(20c)에 있을 수도 있다.
본 제8 실시예의 구조를 가지면, 도14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흡인력 곡선이 얻어진다. 도13에서, 자극편(20b, 코일이 감겨있음) 측면 상의 흡인력은 제1 실시예와 동일하나, 자극편(20a) 측면 상의 흡인력은 제1 실시예(파선으로 표시됨)에서 것 보다 클 수 있다. 즉,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기 릴레이는본 실시예에서 구성될 수 있고,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 20b) 상의 흡인력이 변화되지 않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를 수용하며, 항상 폐쇄된 측면(자극편 20a) 상의 흡인력은 증가되고, 자기 회로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쉽게 어울리게 된다.
제9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24)은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조로 배열되고, 제8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인력이 증가된다.
즉,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24)은 동일한 자기 자극(도면에서 S 자극)에서 자화된 양 단부와, 다른 자기 자극(N 자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 사이의 중심에서 떨어진 중간 부품을 갖는다. 영구 자석(24)은 양 단부가 철심(20)의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의 팁에 있는 내부 측면과 접촉하게 만들도록 브릿지되고,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철심(20)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Ⅹ) 상에 배치된다. 하나의 코일이 철심(20) 주위로 감길 때, 이는 자극편(20b) 또는 측면(20c)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9 실시예에서는, 제8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흡인 커브가 얻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점 구조를 수용하고, 전자기 릴레이는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 20b) 상의 흡인력이 변화되지 않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으며, 항상 폐쇄된 측면(자극편 20a) 상의 흡인력은 증가되고, 자기 회로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쉽게 어울리게 된다.
제10 실시예
제10 실시예는, 제3 실시예에서처럼, 아마츄어(50)에 부착된 영구 자석(24)을 갖춘 구조를 가지며, 흡인력은 제8 실시예에서와 같이 증가된다.
즉,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구 자석(24)은 양 단부에서 다른 자기 자극으로 자화된다. 이 영구 자석(24)은 아마츄어(50)에 부착됨으로써, 영구 자석(24)의 길이 방향은,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가 철심(20)의 양 단부에 있는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상의 위치로부터 이동되면서, 전기자의 길이 방향에 평행하게 될 수도 있고,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철심(20)의 양 단부에 있는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상에 배치된다. 하나의 코일이 철심(20) 주위로 감겨질 때, 이것은 자극편(20b) 또는 측편(20c) 상에 부착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제10 실시예에서, 제9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흡인력 곡선이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접점 구조를 수용하면서, 전자기 릴레이는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 20b) 상의 흡인력이 변하지 않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으며, 항상 폐쇄된 측면(자극편 20a) 상의 흡인력은 증가되고, 자기 회로는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쉽게 어울리게 될 수 있다.
제11 실시예
제8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제11 실시예에서는,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점(54)이 중심선(X)에서 떨어진 영구 자석(24)의 측면 상에 위치하고, 영구 자석(24)의 위치보다 중심선(X)에 가깝게 위치한다.
즉, 제8 실시예에서, 자기 회로는 자극편(20a)의 측면 상의 흡인력이 제1 실시예에서보다 더 커지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1 실시예에서는, 자극편(20b, 코일이 감겨짐)의 측면 상의 흡인력이 제1 실시예(파선으로 표시됨)에서보다 더 작아지며, 도18에 실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자극편(20a)의 측면 상의 흡인력은 더욱 증가된다.
도6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접점 구조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지연은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20b)) 상에서 흡인력이 감소되고, 항상 폐쇄 측면(자극편(20a)) 상에서 흡인력이 증가되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으며, 자기 회로는 특히 단일 형태의 전자기 지연(전류 보유 형태) 설계시 비대칭 스프링 하중으로 쉽게 매칭되어질 것이다.
제12 실시예
제9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12 실시예에서, 지점(54)의 위치는 중심선(X)으로부터 벗어난 영구 자석(24)의 중간 부분 내의 자화 위치(N극)의 측면 상에 놓여져 있으며, 도19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자화 위치보다 중심선(X)에 보다 근접하다.
즉, 제9 실시예에서, 자기 회로는 자극편(20a)의 측면 상에서 흡인력이 제1 실시예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2 실시예에서, 제11실시예에서와 같이, 자극편(20b)의 측면 상의 흡인력은 제1 실시예보다 적으며, 자극편(20a)의 측면 상의 흡인력은 보다 증가된다.
도6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접점 구조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지연은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20b)) 상에 흡인력이 감소되고, 항상 폐쇄 측면(자극편(20a)) 상에 흡인력이 증가되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어, 자기 회로가 특히 단일 형태(전류 보유 형태)의 전자기 지연의 설계시 비대칭 스프링 하중으로 매칭되어질 것이다.
제13 실시예
제10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상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13 실시예에서, 지점(54)의 위치는 중심선(X)으로부터 벗어난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의 측면 상에 놓여져 있으며, 도20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 보다 중심선(X)에 보다 근접하다.
즉, 제10 실시예에서, 자기 회로는 자극편(20a)의 측면 상에서 흡인력이 제1 실시예보다 더 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13 실시예에서, 제11실시예에서와 같이, 자극편(20b)의 측면 상의 흡인력은 제1 실시예보다 적으며, 자극편(20a)의 측면 상의 흡인력은 보다 증가된다.
도6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접점 구조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지연은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20b)) 상에 흡인력이 감소되고, 항상 폐쇄 측면(자극편(20a)) 상에 흡인력이 증가되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어, 자기 회로가 특히 단일 형태(전류 보유 형태)의 전자기 지연의 설계시 비대칭 스프링 하중으로 쉽게 매칭되어질 것이다.
제14 실시예
제11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영구 자석(24)의 위치를 향해 변경되어질 것이다. 그러나, 제14 실시예에서, 지점(54)의 위치는 도21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을 벗어난 영구 자석(24)의 반대 측면으로 변경된다.
즉, 제14 실시예에서, 도22에 점선으로 지시되어진 바와 같이 흡인 특성은 (점선에 의해 지시되어진) 제1 실시예보다 불균형을 이룬다.
도6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접점 구조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지연은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20b)) 상에 흡인력이 감소되고, 항상 폐쇄 측면(자극편(20a)) 상에 흡인력이 증가되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어, 자기 회로가 특히 단일 형태(전류 보유 형태)의 전자기 지연의 설계시 비대칭 스프링 하중으로 쉽게 매칭되어질 것이다.
제15 실시예
제12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영구 자석(24)의 중간 부분 내의 자극(N극)을 향해 변경된다. 그러나, 제15실시예에서, 지점(54)의 위치는 도23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을 벗어난 영구 자석(24)의 중간 부분 내의 자화 위치의 반대 측면으로 변경된다.
즉, 제15 실시예에서, 자극편(20a)의 측면 상의 흡인력은 제12 실시예보다 더 크며, 제14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인력 특성은 제12 실시예보다 불균형을 이룬다.
도6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접점 구조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지연은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20b)) 상에 흡인력이 감소되고, 항상 폐쇄 측면(자극편(20a)) 상에 흡인력이 증가되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어, 자기 회로가 특히 단일 형태(전류 보유 형태)의 전자기 지연의 설계시 비대칭 스프링 하중으로 쉽게 매칭되어질 것이다.
제16 실시예
제16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를 향해 변경된다. 그러나, 제16실시예에서, 지점(54)의 위치는 도24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철심(20)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을 벗어난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의 반대 측면으로 변경된다.
즉, 제16 실시예에서, 제14 실시예에서와 같이, 흡인력 특성은 제12 실시예보다 불균형을 이룬다.
도6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접점 구조를 이용한 실시예에서, 전자기 지연은 항상 개방된 측면(자극편(20b)) 상에 흡인력이 감소되고, 항상 폐쇄 측면(자극편(20a)) 상에 흡인력이 증가되는 불균형 흡인 특성을 갖는 자기 회로로 실현될 수 있어, 자기 회로가 특히 단일 형태(전류 보유 형태)의 전자기 지연의 설계시 비대칭 스프링 하중으로 쉽게 매칭되어질 것이다.
제17 실시예
제11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영구 자석(24)의 변경된 위치 및 철심(20)의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17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24)의 위치는 중심선(X)에 근접하여 변경되며,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도25a, 25b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영구 자석(24)에 보다 근접한 철심(20)의 자극편(20a)과 영구 자석(24)의 위치 사이에 배치된다. 흡인력 특성은 도11에서와 같이 불균형을 이룬다. 코일(41)을 감기 위한 대형 공간은 영구 자석(24)을 변경함으로써 체결될 수 있으며, 코일(41)은 철심(20)의 자극편(20b) 또는 도25a에 도시되어진 것처럼 자극편(20b)과 영구 자석(24) 사이의 중심편(20c) 상에 감겨질 수 있다. 도25a 및 도25b에 도시되어진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되어진 접점 구조는 전자기 지연을 구성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제18 실시예
제12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영구 자석의 중간 부분 내의 중심을 벗어난 자화 위치와 철심(20)의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 사이의 중심선(X) 사이에 위치된다. 그러나, 제18 실시예에서, 영구 자석은 중심선(X)이 통과되는 중심에서 중심부 내의 자화 위치를 가지며, 지점(54)은 도26a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중심선(X)과 자극편(20a) 사이에 위치된다. 흡인력 특성은 제12 실시예에서와 같이 불균형을 이룬다. 이러한 경우, 코일(41)은 철심(20)의 중심편(20c)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영구 자석(24)의 중간부 내의 자화 위치가 지점(54)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코일(41)은 도26b에 도시된 것처럼, 철심(20)의 자극편(20a)에 부착될 수 있다. 도26a 및 도26b에 도시되어진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되어진 접점 구조는 전자기 지연을 구성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제19 실시예
제13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에 일체식으로 부착된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는 철심(20)의 양 측면 상에 자극편(20a, 20b) 사이를 통과하는 중심선(X)을 벗어난 자극편(20a)의 측면으로 변경되며,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중심선(X)과 중심 위치(Y) 사이에서 변경된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에서, 아마츄어(50)의 지점(54)의 위치는 중심 위치(Y)와 자극편(20a) 사이에서 변경되어, 도27a 및 도27b에서 도시되어진 바와 같이 흡인력 특성이 불균형을 이룬다. 코일(41)은 도27a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철심(20)의 중심편(20c) 상에 부착될 수 있으며, 도27b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철심(20)의 자극편(20a)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도27a 및 도27b에 도시되어진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되어진 접점 구조는 전자기 지연을 구성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제20 실시예
영구 자석(24)이 철심(20)의 중심편(20c) 상에 직립되는 구조물의 전자기 구동 장치에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 코일이 철심(20)의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 둘레에 감겨질 때, 영구 자석(24)은 철심(20)의 중심편(20c)의 중심 위치 또는 중심선(Y) 상에 직립되며,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도28a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중심선(Y)과 자극편(20a) 사이에서 변경된다. 즉, 지점(54)은 조립체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동안 중심을 벗어나면, 흡인력 특성이 불균형을 이룬다.
영구 자석(24)의 위치가 도2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변경된 경우에, 자극편(20a) 둘레로 감겨진 코일(41)은 보다 작은 선회수를 가지며, 자극편(20b) 둘레로 감겨진 코일(41)은 보다 많은 선회수를 가지고 있어, 좌우코일(41, 41)의 특성이 도28a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불균형한 흡인력을 작동시키기에 비대칭일 수 있다.
도28a 및 도28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되어진 접점 구조는 전자기 지연을 구성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제21 실시예
제21 실시예에서, 코일은 도26a 및 도26b에 도시되어진 구성에서 자극편(20a, 20b)의 각각의 둘레로 감겨진다. 영구 자석(24)이 중심 부분이 중심 위치인 자화 위치에 이용되는 도26a의 경우에 있어서, 도29a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자극편(20a, 20b) 둘레로 감겨진 동일한 특성을 갖는 코일(41, 41)이 이용된다.
중간 부분 내의 자화 위치가 중심 위치에서 벗어나 변경되는 영구 자석(24)이 이용되는 도26b의 경우에 있어서, 자극편(20a) 둘레로 감겨진 코일(41)은 보다 작은 선회수를 가지며, 자극편(20b) 둘레로 감겨진 코일(41)은 보다 많은 선회수를 가지고 있어, 좌우 코일(41, 41)의 특성이 도29b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불균형한 흡인력을 작동시키기에 비대칭일 수 있다.
도29a 및 도29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되어진 접점 구조는 전자기 지연을 구성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제22 실시예
아마츄어(50)에 일체식으로 부착된 영구 자석(24)을 구비한 전자석 구동 장치에서, 동일한 특성을 갖는 코일이 철심(20)의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둘레에 감겨질 때, 철심(30)의 양 측면 상의 자극편(20a, 20b) 사이를 통과하는 중심선(X)은 영구 자석(24)의 중심 위치(Y)와 일치하며, 아마츄어(50)의 지점(54)은 도30a에 도시된 제22 실시예에서, 중심 위치(Y)와 자극편(20a) 사이에서 변경된다. 즉, 지점(54)은 중심에서 벗어나 불균형한 흡인력 특성을 초래한다.
영구 자석(24)의 위치가 도27에 도시되어진 자극편(20a)의 측면으로 변경되는 경우에, 자극편(20a) 둘레로 감겨진 코일(41)은 보다 작은 선회수를 가지며, 자극편(20b) 둘레로 감겨진 코일(41)은 보다 많은 선회수를 가지고 있어, 좌우 코일(41, 41)의 특성이 도30b에 도시되어진 것과 같이 불균형한 흡인력을 작동시키기에 비대칭일 수 있다.
도30a 및 도30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도6에 도시되어진 접점 구조는 전자기 지연을 구성하는데 채택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해, 비대칭 스프링 하중을 갖는 장비를 위한 구동기로 사용되는 경우에 스프링 하중 특성에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전자기 구동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 흡인력과 비여기 흡인력 사이의 폭은 여기와 비역기 시의 흡인력을 비대칭적으로 만듦으로써 확장될 수 있고, 전자기 릴레이는 2a(1a)형 릴레이를 구성할 때 비대칭 스프링 하중과 용이하게 조화될 수 있는 안정한 성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작 조건의 조정 또는 제한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생산 가능한 전자기 릴레이를 제공하고, 여기서 철심의 자극면과 고정 접촉부 사이의 기본 크기는 높은 정밀도로 성취될 수 있다.

Claims (36)

  1. 전자석 구동 장치에 있어서,
    양측부 상에 평행하게 있는 자극편들을 갖는 U형의 철심과,
    상기 철심 주위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의 상부에서 자극면들에 대향하게 있는 아마츄어의 양단부들 사이에 마련된 지점 주위에서 시소 운동 형태로 자유롭게 운동 가능한 아마츄어와,
    철심의 자극편의 상부에서 대응 자극면으로 아마츄어의 일단을 흡인하도록 상기 아마츄어의 일단에 대응하는 철심의 자극편의 팁단부에서 자극들 통해서 아마츄어의 일단부 및 철심에 의해 형성된 폐쇄 자기 회로를 제공하는 영구 자석과,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위치에 마련된 영구 자석과 아마츄어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지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 자석이 철심의 측편 상에 위치한 영구 자석의 일단을 이용하여 상이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 단부들을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열되고, 상기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다른 단부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점 및 영구 자석이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으로부터 이동된 공통축 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에 의해 형성된 위치 사이의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배열 위치 사이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배열 위치로부터 먼 측 상의 철심의 자극편과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 위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배열 위치와 이 배열 위치에 가까운 측 상의 철심의 자극편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 위치 밖으로 하나의 자극편의 측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이 동일한 자기극으로 자화된 양단부들과 상이한 자기극으로 종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벗어나게 이동된 중간부를 갖고, 상기 영구 자석은 이의 양단부들이 철심의 자극편의 팁부에서 내측면들에 접촉하게 되는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서 자화된 위치에 대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 있는 자화된 위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 있는 자화된 위치로부터 먼 측 상의 자극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 있는 자화된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간부에 있는 자화된 위치에 가까운 측 상의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 위치로부터 벗어난 하나의 자극편의 측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이 아마츄어에 평행하게 일체로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 상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양측부 상의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을 통과하는 선과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 사이의 형성된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로부터 먼 측 상의 철심의 자극편과 자극편들 사이의 중심 위치 사이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와 영구 자석의 중심 위치에 가까운 측 상의 철심의 자극편 사이에 형성된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지점이 철심의 한 자극편의 측부로 이동된 위치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코일이 아마츄어의 대응 지점으로부터 지점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멀리 배열된 하나의 자극편의 팁 단부에 이르기까지 형성된 위치에서 철심 주위에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코일이 아마츄어의 지점으로부터 자극편에 이르기까지의 위치에서 철심 주위에 권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구동 장치가,
    본체와,
    아마츄어에 부착되는 일단부를 갖고 아마츄어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접점 스프링과,
    접점 스프링의 다른 단부에 배열되고 본체 상에 배열된 고정 접점에 대향한 가동 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아마츄어 및 영구 자석의 지점이 철심의 자극편들 사이에 형성된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접점 스프링의 다른 단부 방향에 대향한 방향으로 아마츄어에 고정된 일단부를 갖는 힌지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다른 단부는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힌지 스프링이 U형을 취하고, 양측편들 상의 적어도 판면이 접점 스프링의 판면과 동일한 방향을 취하고, 하나의 측편의 팁부가 아마츄어에 고정되고, 다른 측편이 이의 팁부가 본체에 고정될 수 있도록 아마츄어에 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힌지 스프링의 중심편이 중심편의 판면을 양측편들의 판면에 수직하게 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힌지 스프링이 아마츄어의 지점 위치 가까이에서 본체 상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구동 장치.
  29. 전자석 릴레이에 있어서,
    아마츄어를 구동하기 위한 철심과,
    아마츄어의 작동에 의해 이동 가능한 접점 스프링의 가동 접점을 개폐하는 고정 접점을 갖는 접점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철심 및 접점 단자가 일체식 성형에 의해 수지 주형으로 제조된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0. 제29항에 있어서, 철심이 스탬핑 철심, 주조 철심 또는 소결 철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철심이 U형을 취하고,
    본체로부터 노출되는 일체식 성형에 의해 본체에 고정된 철심의 자극편들과,
    종방향으로 철심의 자극편들에 평행하게 배치된 영구 자석과,
    철심 상에 권취된 적어도 하나의 코일과,
    시소 운동으로 자유롭게 운동 가능하도록 상기 영구 자석의 팁 단부 상에 놓인 아마츄어의 지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2. 제31항에 있어서, 영구 자석이 일체식 성형에 의해 본체 상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3. 제32항에 있어서, 코일이 중심 관통 구멍을 통해서 자극 부재를 통과함으로써 본체 상에 놓이는 코일 보빈의 배럴부의 외주연 주위에 권취되고, 상기 코일 보빈이 코일을 덮도록 절연 케이스 내에 수용되고, 절연 케이스가 바닥부에 개구를 구비한 상자 형상을 취하고 천정 평면 상에 코일 보빈의 중심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자극편의 상부 부분이 외측으로 연장되게 되는 개구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4. 제33항에 있어서, 절연 케이스가 이를 위한 한 쌍의 대향 측벽 각각의 적어도 하부 에지 상에 일체로 형성된 결합 돌기를 갖는 탄성 돌기편을 갖고, 상기 결합 돌기는 절연 케이스가 코일 블록 상에 부착되었을 때 본체의 측부 상에 위치한 코일 보빈용 칼라부의 양 측면 중 어느 상에 형성된 결합 돌출부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5. 제33항에 있어서, 아마츄어의 단부 부분이 면하게 되는 구역을 제외하고는 자극편의 상부 부분이 연장되게 되는 중심 관통 구멍을 둘러싸도록 마련된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가 코일 보빈의 상부측 상의 칼라부로부터 연장되는 자극의 상부 위치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리브는 자극편의 상부 부분과 함께 절연 케이스의 개구창을 통해서 외부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36. 제33항에 있어서, 코일 단자가 본체 상에 놓이는 코일 보빈의 칼라부의 양측면 중 하나 상에 돌출하고, 상기 코일 단자는 본체를 통과하여 본체의 바닥면 측에 노출되는 상부 부분을 갖고, 코일 보빈이 본체 상에 놓일 때 칼라부의 단부 부분이 본체의 외측 에지 상에 위치한 직립벽 상에 형성된 노치 내에 끼워지고 코일 보빈이 본체 상에 놓일 때 본체 상에 부착된 케이스의 내측벽면 상의 돌기와 본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 릴레이.

KR10-2001-0015844A 2000-03-28 2001-03-27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KR100452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9923A JP2001273846A (ja) 2000-03-28 2000-03-28 電磁リレー
JP2000-89923 2000-03-28
JP2000-89924 2000-03-28
JP2000089924 2000-03-28
JP2000359232A JP4380058B2 (ja) 2000-03-28 2000-11-27 電磁石駆動装置及び電磁リレー
JP2000-359232 2000-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701A true KR20010093701A (ko) 2001-10-29
KR100452659B1 KR100452659B1 (ko) 2004-10-14

Family

ID=2734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5844A KR100452659B1 (ko) 2000-03-28 2001-03-27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08539B2 (ko)
EP (1) EP1139370A3 (ko)
KR (1) KR100452659B1 (ko)
CN (1) CN1320935A (ko)
CA (1) CA2342427A1 (ko)
MY (1) MY120649A (ko)
TW (1) TW5047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659B1 (ko) * 2000-03-28 2004-10-14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US7403089B2 (en) * 2003-12-23 2008-07-22 Aviza Technology Limited Magnet assemblies
US7671712B2 (en) * 2005-03-25 2010-03-02 Ellihay Corp Levitation of objects using magnetic force
US20080045777A1 (en) * 2005-06-09 2008-02-21 Jal Jassawalla Electromagnetic drive for a ventricular assist device
US20060287568A1 (en) * 2005-06-09 2006-12-21 Jal Jassawalla Single sac ventricular assist device
US8668671B2 (en) * 2010-08-26 2014-03-11 Carefusion 303, Inc. Automatic loading of IV pump cassette
US8523816B2 (en) * 2010-08-26 2013-09-03 Carefusion 303, Inc. Automatic release of IV pump cassette
FR2987493B1 (fr) * 2012-02-29 2014-03-21 Hager Electro Sas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a grande force de deverrouillage
CN103295847B (zh) * 2012-03-01 2016-12-07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驱动装置及具有该驱动装置的继电器
WO2013186854A1 (ja) * 2012-06-12 2013-12-19 富士通株式会社 電流センサ
DE102012210457B4 (de) * 2012-06-21 2015-08-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Anordnung zur partiellen Markierung und anschließenden Quantifizierung von Zellen einer Zellsuspension
SG2012068896A (en) * 2012-09-17 2014-04-28 Schneider Electric South East Asia Hq Pte Ltd Tool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ctromagnetic relay
DE102016107410A1 (de) * 2016-04-21 2017-10-26 Johnson Electric Germany GmbH & Co. KG Bistabiler Aktuator für ein polarisier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CN105830944B (zh) * 2016-05-27 2022-10-04 上海睿通机器人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圆形耳标自动组装机
CN109920701A (zh) 2019-01-18 2019-06-21 厦门宏发信号电子有限公司 一种高绝缘小型拍合式电磁继电器
US11501938B2 (en) * 2019-07-09 2022-11-15 Xiamen Hongfa Electroacoustic Co., Ltd. Magnetic latching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59562A (en) * 1933-08-19 1934-05-22 Union Switch & Signal Co Electrical relay
NL93817C (ko) * 1952-05-20
US3317871A (en) * 1965-09-20 1967-05-02 Leach Corp Magnetically operated actuator
DE2148377B2 (de) * 1971-09-28 1973-09-20 Siemens Ag, 1000 Berlin U. 8000 Muenchen Gepoltes Miniaturrelais
DE2503159C3 (de) * 1975-01-27 1981-05-07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olarisier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3303665A1 (de) * 1983-02-03 1984-08-09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Polarisiertes elektromagnetisches relais
JPS61218035A (ja) * 1985-03-25 1986-09-27 松下電工株式会社 有極電磁石
EP0355817A3 (en) * 1988-08-25 1990-12-19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Electromagnetic relay
JPH052970A (ja) * 1991-02-06 1993-01-08 Anritsu Corp 有極リレー
JPH052971A (ja) * 1991-02-06 1993-01-08 Anritsu Corp 有極リレー
JPH05298997A (ja) * 1992-04-23 1993-11-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有極リレー
KR0182806B1 (ko) * 1993-09-17 1999-05-15 다테이시 요시오 전자 계전기 및 그 제조방법
JP2606096B2 (ja) * 1993-09-21 1997-04-30 日本電気株式会社 電磁リレー
JP2602412B2 (ja) * 1994-06-07 1997-04-23 光樹 永本 有極電磁石
KR100452659B1 (ko) * 2000-03-28 2004-10-14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04722B (en) 2002-10-01
CA2342427A1 (en) 2001-09-28
EP1139370A2 (en) 2001-10-04
EP1139370A3 (en) 2004-06-16
US6608539B2 (en) 2003-08-19
MY120649A (en) 2005-11-30
US20010028291A1 (en) 2001-10-11
CN1320935A (zh) 2001-11-07
KR100452659B1 (ko) 200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2659B1 (ko) 전자기 구동 장치 및 전자기 릴레이
EP0313385B1 (en) Electromagnetic relay
US5015978A (en) Electromagnetic relay
JPS6243295B2 (ko)
KR920008837B1 (ko) 유극전자 릴레이
JPS6216486B2 (ko)
US5150090A (en) Electromagnetic polar relay
JP2022139817A (ja) 電磁継電器
KR950003275B1 (ko) 슬림형 분극 전자석 릴레이
JP4380058B2 (ja) 電磁石駆動装置及び電磁リレー
JPH0516128B2 (ko)
US4630016A (en) Electromagnetic relay
JPH11260231A (ja) 有極電磁継電器における有極磁気回路
JP2566387B2 (ja) 有極リレー
JPH0112369Y2 (ko)
KR890004968B1 (ko) 유극 릴레이
JPH0731971B2 (ja) 電気機器の基台
JPH0225206Y2 (ko)
JPH0422527Y2 (ko)
JP2533476Y2 (ja) 電磁継電器
JPH0447924Y2 (ko)
JPH0561739B2 (ko)
JPH0750124A (ja) 有極リレー
JPH05242787A (ja) リレー
JPH047236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