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968B1 - 유극 릴레이 - Google Patents

유극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968B1
KR890004968B1 KR1019850005107A KR850005107A KR890004968B1 KR 890004968 B1 KR890004968 B1 KR 890004968B1 KR 1019850005107 A KR1019850005107 A KR 1019850005107A KR 850005107 A KR850005107 A KR 850005107A KR 890004968 B1 KR890004968 B1 KR 890004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yoke
iron core
relay
p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50005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60005402A (ko
Inventor
아쯔시 나까하따
미쯔끼 나가모또
다꾸오 구보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후지이 사다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113906U external-priority patent/JPS6128245U/ja
Priority claimed from JP59275925A external-priority patent/JPS61151941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후지이 사다오 filed Critical 마쯔시다 덴꼬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60005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5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1/00Electromagnetic relays
    • H01H51/22Polarised re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magne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유극 릴레이
제 1 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유극 릴레이의 전개 사시도.
제 2 도는 덮개가 제거된 상기 릴레이의 상면도.
제 3 도는 덮개가 제거된 상기 릴레이의 정면도.
제 4 도는 상기 릴레이의 주요 부분의 수직 배열을 절개한 횡단면의 설명도.
제 5 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음극 릴레이의 전개 사시도.
제 6 도는 제 5 도를 변경한 전개 사시도.
제 7 도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단안정 형태의 극성화된 릴레이의 상면도.
제 8 도는 상기 릴레이내에 사용된 요오크의 사시도.
제 9도는 상기 릴레이의 횡단면도.
제10도는 상기 릴레이의 전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석 블럭 2 : 요오크
3 : 측편 레그 4 : 웹부재
5 : 철심 6 : 코일
7 : 탭 8 : 코일 보빈
9 : 극단부 10 : 립
11 : 앵커(anchor) 13 : 덮개
20 : 아마츄어 블럭 21 : 영구자석
22 : 극판 23 : 주형
24 : 작동자이어(actuator ear) 25 : 스터드
30 : 접촉 조립체 31 : 이동가능한 스프링
32 : 지지 포스트 33 : 이동가능한 접촉점
34 : 단자 포스트 36 : 고정된 접촉점
37 : 단자 러그 38 : 코일단자 러그
40 : 저부판 41 : 홈
42 : 구멍 43 : 슬로트
51 : 전자석 블럭 52 : 요오크
53 : 측편 레그 54 : 웹부재
55 : 철심 56 : 코일
58 : 코일 보빈 59 : 극단부
60 : 아마츄어 블럭 61 : 영구자석
62 : 극판 63 : 주형
64 : 작용자 이어 68 : 접촉바
71 : 전자석 블럭 72 : 요오크
73 : 측편 레브 75 : 철심
79 : 극단부 80 : 잔여판
S : 접촉 개폐부 E : 잔여 갭
본 발명은 유극 전자석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석 블럭의 요오크 평면과 릴레이의 저부판 사이에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석 블럭의 여기에 따라 2개 지점간의 왕복운동을 유도하는 아무츄어에 의해 접촉 개폐를 행하는 소형화된 전자석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전자석 블럭의 요오크 평면과 릴레이의 저부판간의 접촉 조립체를 배열하는 상기 릴레이 구성은 예를들어 미합중국 특허원 제 3,634,793호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좁은 폭을 가진 컴팩트한 릴레이 구조를 얻기 위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요오크와 저부판 사이에 한쌍의 컴팩트한 조립체를 기술하고 있다. 여기서의 코일을 반대편 요오크 레그(leg)의 평면내에 배열된 자체축을 가지며 그 평면위로 돌출하는 자체 윗부분을 갖는데, 이 부분은 릴레이 크기를 증가시키시 때문에 폭과 마찬가지로 더욱 콤팩트한 릴레이 구성을 얻기 위해서는 소거시키는 것이 바랍직하다. 상기의 돌출부의 부작용은 코일이 제한된 길이내로 더 권선수를 크게 할 때 문제는 심각해진다. 또 다른 종래의 유극 릴레이는 상기 릴레이 구성을 사용할 수 있는 미합중국 특허 제 3,518,592호에 기술되어 있다. 이 특허에서는 한쌍의 반대편, 레그와, 코일이 감겨진 철심을 형성하는 중심 레그를 가진 E-형 요오크를 사용한다. 그러나 요오크의 측편 레그(side leg)의 동일 평면내에 배열된 철심 혹은 중심 레그를 가진 이러한 요오크는, 철심 둘레에 감겨진 코일이 측편 레그의 평면에 돌출하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릴레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구성이 될 수 밖에 없다. 또한, 이러한 요오크의 구성은 중심 레그와 측편 레그 사이의 공간적 여유가 적어서 코일의 권선수를 제약한다. 즉, 코일의 권선수는 철심을 연장시킴으로써 크게할 수 있으나, 이는 전체 릴레이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때문에 더욱 컴팩트하거나 소형화된 릴레이를 설계하기 위하여 제거되어야만 한다. 그러므로, 코일의 공간 사용을 최적화 함으로써 릴레이 부분들간의 전기적 절연 손상시킴이 없이 유극 릴레이를 더욱 컴팩트한 구성이 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적된 것으로서, 릴레이의 제한된 공간내로 코일이 수용되도록 공간을 최대한 사용하며, 코일의 전체부피를 최소한 유지하면서 증가된 권선수를 갖도록 하는 구성의 릴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유극 릴레이는 전자석 블럭, 영구자석을 가진 아마츄어 블럭, 최소 1개의 접촉 조립체 및 상기 블럭 및 접촉 조립체를 장착시키는 저부판등을 구비하고 있다. 전자석 블럭은 한쌍의 대향 레그와 외주변에 코일이 권선된 철심을 한정하는 중심 레그를 가진 E-형 요오크를 일반적으로 표현한다. 상기 아마츄어 블럭은 전자석 블럭과 일체하되어 있으며, 전기적 개폐 작용을 수행하는 접촉조립체를 작용시키기 위한 2개의 동작점 사이에 있는 코일의 활성화에 따라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사항은 철심이 저부판을 향하여 요오크의 반대편 레그의 평면과 대향하고 상기 접촉 조립체가 요오크의 인접 레그와 요오크 폭내우의 저부판 사이에 넣도록 철심의 측상에 배치되는데에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측편 레그의 동일 평면내에 놓인 철심을 가진 종래의 릴레이에서 얻어지는 공간보다도 많은 공간이 제공되어, 철심이 권선되는 코일 권선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코일 권선수가 많은 철심은 전자석 블럭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고 공간을 최대한 이용하면서 전자석 블럭과 일체화 된다. 이는 또한 요오크의 측편 레그의 평면과 저부판간의 전체 코일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코일의 주요 부분은 요오크의 반대편 레그 사이의 공간내로 연장하는 작은 부분의 2개 평면 사이에 수용될 수 있어서, 코일은 요오크의 평면을 넘어서 밖으로 돌출되지 않을 것이며 릴레이의 전체 높이를 최소로 유지하도록 해준다.
상기 접촉 조립체는 코일의 측편상에 배치되거나 요오크의 폭내의 저부판과 인접 측편 레그 사이에 위치되도록 코일의 안쪽으로 돌출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릴레이의 폭을 최소로 유지시킨다. 즉, 코일은 접촉 조립체를 안으로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2개의 평면 사이의 공간을 최대로 사용하여서 권선되어 릴레이의 크기와 폭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공간을 초대한 사용하여 코일을 권선수를 크게 하면서 릴레이의 소형화를 기함과 동시에 릴레이의 감도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다.
아마츄어 블럭내에는, 상기 영구자석이 극판(pole plate)을 반대 극성으로 자화시키는데 유지된 단부들 사이에 한쌍의 극판이 포함된다. 아마츄어 블럭은 전자석 블럭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철심의 자유단부는 극편의 반대편 내부 극면들(pole faces)사이에서 연장되며, 극판중 적어도 하나의 극판은 요오크의 인접측 레그의 극단부와 자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관계에 있는 철심으로부터 떨어져 자체 외부 극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아마츄어 블럭의 영구자석의 자속은 근접한 철심을 통하여 극판의 한 내부 극면에도 통과하며, 또한 근접한 인접 극단부를 통하여 다른 극판의 외부 극면에도 통과하여 아마츄어 블럭의 2개의 위치점 혹은 둘중 어느 한 위치점에서 자기회로를 완결하기 때문에, 상기 2개의 위치의 양자 혹은 둘중 어느 한 위치점에서 아마츄어 블럭을 안정하게 유지시켜 준다. 극편의 모두가 각 요오크의 극단부와 자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관계로 개별적인 외부극면을 가질 경우, 유극 릴레이는 쌍안정 형태일 수도 있지만 극편중의 하나만이 요오크의 대응 극단부와 자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관계로 자체 외부 극면을 가질 경우에는 단안정 형태일 수도 있다.
접촉 조립체는 저부판에 고정된 그 한 단부를 가진 인접측 레그와 일반적으로 평행 상태로 연장하며, 또 다른 단부상에서 개폐 접촉부를 한정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된 접촉점과 연동하여 운동가능한 접촉점을 이동시키는 스프링을 구비한다. 접촉 조립체는 저부의 한 세로상으로의 단부상에 위치한 그 개폐 접촉부를 가진 저부판상에 장착된다. 상기 운동가능한 스프링은 아마츄어 블럭상에 형성된 대응 작용자 부분과 연결가능한 관계에 있어서, 이는 접촉 개폐에 대한 2개의 위치 사이에서 왕복운동을 하는 아마츄어 블럭에 의해 작용된다.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저부의 세로상으로 연장하는 요오크의 측편 레그는, 위로부터 접근가능하도록 개폐 접촉부를 요오크의 상향으로 개방시켜두고 사기 개폐 접촉 부분상으로 연장하지 않으면서 상기 개폐 접촉부분의 세로상의 내적으로 향한 점에서 종결한다. 이러한 배열로 하여 저부판상의 부분을 조립한 후에 접촉압력의 조정등은 저부판상에 장착된 요요크에 의해 끼워지게 됨이 없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접촉 압력의 조정이나 그와 유사한 특성을 용이하게 하는 릴레이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이러한 보강책 때문에, 요오크의 극단부들간의 거리는 실제의 동작과 마찬가지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릴레이의 반대편 부분들간은 정확한 공기 갭을 유지시켜서 일정한 흡인력이 아마츄어 블럭에 인가되어지도록 보증하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릴레이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릴레이의 조립 공정이 용이해진다.
이러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제 1 도내지 4도를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의 양호한 실시예인 유극 릴레이가 도시되었다. 릴레이는 전자석 블럭(1), 영구자석(21)을 가진 아마츄어 블럭(20), 한쌍의 접점기구(30) 및 상기 부품들을 그 위에 장착시킨 저부판(40)으로 이루어진다. 전자석 블럭(1)은 한쌍의 측편 레그(3)을 갖는 E-형 요오크(2)를 가지며, 이것은 웹부재(4)와 접속되어 있다. 철심(5)은 코일(6)이 감기기 위해 웹부재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철심(5)은 그들과 함게 일체 접속을 위한 웹부재(4)의 하향으로 돌출한 탭(7)내로 눌려진 한 단부를 가지며 측편 레그(3)와 평행 상태로 연장하지만, 제 4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편 레그(3)의 평면으로부터 하향으로 대치된 평면으로 연장한다. 철심(5)은 코일 보빈(8)을 통하여 연장하며 보빈 둘레에 상기 코일(6)이 동일하게 지탱하기 위해 감겨진다. 측편 레그(3)의 자유단부는 측편 레그(3)의 다른 부분보다 더욱 가깝게 이격된 여러개의 극단부(9)를 한정하도록, 측편 레그(3)의 수평 평면내에서 안쪽으로 만곡된다. 한편, 철심(5)의 자유단부에는, 측편 레그(3)의 상기 안쪽으로 만곡된 극단부(9)를 가진 수평 정렬에 대한 측편 레그(3)의 평면내로 주사하는 상향으로 돌출하는 립(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일 보빈(8)은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하향 돌출 탭(7)과 립(10) 사이의 철심(5)을 보유한다. 이때 주목할 것은 코일(6)의 상부는 측편 레그(3)의 평면내에 수납되고 그 평면을 넘어 윗부분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전자석 블럭(1)은 저부판(40)상에 장착되며, 측편 레그(3)의 평면은 평행으로 되고, 접촉 조립체(30)를 측편 레그 사이에 수용하기 위하여, 저부 플레이트(40)상에 최소 거리로 이격된 관계로 된다. 탭(7)의 하부 단부와 코일 보빈(8)의 플랜지는 저부판(40)의 상부 표면내에 형성된 홈(41)내에 끼워지며 동시에 철심(5)의 자유단부 아래측상의 앵커(anchor)(11)는 전자석 블럭(1)의 견고한 장착을 위하여 저부판내의 대응 구멍(42)내에 끼워진다.
아마츄어 블럭(20)은 저부판(40)으로부터 측편 레그(3)의 평면 높이 혹은 전자석 블럭(1)과 같은 높이를 가지도록 치수화 되며, 요오크(2)의 폭보다 작게 설계된다. 아마츄어 블럭(20)내에는 한쌍의 U자형 레그인 극판(22)이 포함되며, 이는 U-형 구성을 나타내는 상기 영구자석(21)과 일체화된다. 즉 영구자석(21)은 극판(22)을 반대극성으로 자화하도록 극판(22)의 단부들 사이에 설정된다. 절연물질인 플라스틱 주형(23)은 아마츄어 블럭(20)의 일편의 구성을 제공하면서 개개의 극판(22)의 외부 주면의 상부 반과 반대측 내부 극면을 제외하고 모두 에워싸는 방식으로 극판(22)과 영구자석(21)을 둘러싸도록 주형된다. 주형(23)은 아마츄어 블럭(20)의 어느 한 측면이나 혹은 옆면에 돌출한 작용자 이어(actuator ear)혹은 카드(24)를 형성하도록, 각각의 극판(22)의 외부 극면의 낮은 반부분을 덮는 부분상에서 부풀어오르며, 이는 인접 접촉 조립체(30)가 카드(24)에서 접촉을 형성하거나 분리하도록 작용한다.
형성된 아마츄어 블럭(20)은 저부판(40)의 한 세로의 단부에 장착되어 릴레이 구성에 높이를 크게 하지 않도록 그 상부 표면이 플러쉬(flush)되거나 요오크(2)의 상부 표면으로 배열된다. 아마츄어 블럭(20)의 철심(5)의 자유단부인 립(10)과 측편 레그(3)의 각각의 상기 극단부간의 대응 공간내로 각각의 극판(22)의 자유단부가 돌출하는 식으로 상기 전자석 블럭(1)과 자기적으로 결합되어서, 제한된 크기내로의 저부판(40) 혹은 철심(5)의 세로방향으로 왕복운동을 할 수 있다. 아마츄어 블럭(20)은 2개의 옆으로 이격된 위치들간의 저부판(40)의 횡적으로 왕복운동하도록 코일(6)의 여기에 응답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그들 각각의 위치에서 극판(22)의 하나는 철심(5)의 랩(10)을 향하여 끌리게 되며 동시에 극판(22)은 제 2 도에 도시도된 바와같이, 측편(3)의 극단부(9)중의 하나에 이끌리게 된다. 상기 2개의 동작 위치 각각에 있어서, 영구자석(21)의 폐쇄 자속 경로가 이루어지게 되어 코일(6)의 비여기화 이후에 대응 위치에서 아마츄어 블럭(20)을 유지하거나 래치 시킨다. 즉 영구자석(21)의 자속은 철심(5)을 통하여 흐르고 영구자석(21)의 자석 회로를 완성하도록 측편 레그(3)중의 하나를 통하여 돌아간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유극 릴레이는 쌍안정 형태의 래칭 릴레이이다. 각각의 작용자 이어에 인접한 부분에서 주형(23)의 저부에 형성된 것은 스터드(25)인데 이는 세로상으로 이동을 방지하면서 자체 왕복운동내에서 아마츄어 블럭(20)를 안정하게 안내하기 위하여 저부판(40)내의 측상으로 길다란 슬로트(43)에 끼워진다. 각각의 접촉 조립체(30)는 저부판(40)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이동가능한 스프링(31)과 이동가능한 스프링(31)의 한 단부를 보유하기 위하여 중심부로부터의 길이를 따라 중심부에서 저부판(40)에 앵커된 지지 호스트(32)와, 이동가능한 스프링(31)의 자유단부의 양측상에 수반된 이동가능한 접촉점(33)과, 아마츄어 블럭(20)의 측상의 밖으로의 저부판(40)의 세로상 단부에 장착되고 이동가능한 스프링(31)의 자유단부를 그들간에서 수납되도록 서로들로부터 측상으로 이격된 한쌍의 단자 포스트(34)와, 인접한 이동 가능한 접촉점(33)과 결속될 수 있는 관계로 되어질 단자 포스트(34)의 반대측 내부면상에 수반된 고정된 접촉점(36)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릴레이는 아마츄어 블럭(20)의 양측면상의 한 세로상의 단부에 위치된 한쌍의 전달 접촉 개폐부(S)를 가진다. 환언하면, DPDT(이중-극이중-행정) 접촉 배열은 저부판(40)의 한 세로상의 단부에 위치된 그 접촉 개폐부 S를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다. 이동가능한 접촉점(36)을 수반하는 이동가능한 스프링(31), 고정된 접점(36)을 수반하는 단자 호스트(34)는 제어되어진 외부회로와의 접속을 위하여 저부판(40)의 아래에 돌출하는 대응단자 러그(leg)(3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저부판(40)은 저부판(40)의 아래에 돌출하여 코일(6)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한쌍의 코일단자 러그(38)가 제공된다. 플라스틱 커버(13)는 그 위에 부품을 봉입하기위해 저부판(40)에 고착된다.
이동가능한 2개의 스프링(31)은 그들간의 전지적 절연을 이해 코일로부터 밖으로 약간 이격되어, 아마츄어 블럭(20)이 없을 때에 고정된 각 접촉점의 세트의 안쪽으로 고정된 접촉점(36)과 함께 이동 가능한 각 접촉점(33)과 접촉되게 하도록 통상 안쪽으로 압착한다. 아마츄어 블럭(20)은 2개의 동작 위치중의 어느 하나에서, 작용자 이어(24)중의 하나가 내부의 고정된 접촉점(36)으로부터 이동가능한 접촉점(33)을 이탈되게 하도록 인접한 이동가능 스프링(31)을 밖으로 밀어내어, 상기 이동가능한 접촉점(33)을 외부의 고정 접촉점(36)과 결속시키며, 반면 다른 작용자 이어(34)는 이동가능한 스프링(31)의 자체의 탄성에 의해 내부의 고정된 접촉점(36)과 이동가능한 접촉점(33)의 결속을 위하여 내부로 압축되도록 인접한 이동가능한 스프링(31)에 힘을 가하지 않는다.
코일(6)이 직류 전압의 주어진 극성에 의해 활성화되어 특정한 극성(예를들어, 북극)이 철심(5)의 자유단부의 립(10)에서 나타나고 반대의 극(남극)이 요오크(2)의 측편 레그(3)의 각각의 극단부(9)에서 나타날 경우, 아마츄어 블럭(20)은 그 2개의 위치중의 하나내로 측상으로 이동하게 구동되어지도록 응답하는데 그 한 극판(남극으로 자화된)(22)은 립(10)(북극)으로 이끌리게 되고 다른 극판(북극으로 자화된)(22)은 다른 한극의 단부(남극)(9)로 이끌리게 되어, 아마츄어 블럭(20)의 양측상의 작용자 이어(24)는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개폐 기능을 일으키도록 접촉 조립체(30)를 작용시킨다. 코일(6)의 여기상태가 끝난 후의 아마츄어 블럭(20)은 전술한 바아 같이 자기회로를 완성하도록 요오크(2)의 부분을 통하여 통과하거나, 영구자석으로부터 연장하는 자속에 의해 제위치에 유지 또는 래치된다. 한편 코일(6)이 상기와 반대 극성의 직류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 아마츄어 블럭(20)은 극판(22)과 요오크(2)의 반대편 극단부(9)간에 발생된 인럭과 반발력에 의해 다른 위치내로 측상으로 움직이도록 구동되기 때문에 접촉접을 역전시키기 위한 접촉 조립체(30)를 작용시키며, 이 조건은 또한 코일(6)의 비활성화 이후에도 요오크(2)의 부분과 영구자석(21)간에 성립된 자석회로에 의해 유지되며 코일(6) 양단에 반대극성의 전압을 다시 인가함에 의해서만 오직 역전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아마츄어 블럭(20)은 코일(6)에 인가되어진 전압을 역전시킬때마다 개폐 가능을 위해 왕복운동을 하도록 구동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접촉 조립체(30)의 이동가능한 스프링(31)은 그들로부터의 극단부(9)를 지나는점까지 요오크(2)의 인접한 측편 레그(3)를 따라 연장하여, 저부판(40)의 한 세로상의 단부에 상기 접촉 개폐부 S가 위치되도록 하며, 이는 측편 레그(3)에 의해 차단되어짐이 없이 상향으로 개방되어진 극단부(9)를 향하여 위치된다. 즉 각각의 측편 레그(3)는 전자석 블럭(1), 아마츄어 블럭(20) 및 접촉 조립체(30)를 장착한 이후에 접촉 압력 혹은 접촉갭의 조정을 위항 상기로부터 부분 S이 바로 접근할 수 있게 허용하도록 인접한 접촉 조립체(30)의 접촉 개폐부 S상으로 연장하지 않는다.이러한 조정은 고정되고 이동 가능한 각 접촉점 세트내의 접촉점들간의 치수의 관계가 변화하도록 단자 포스트를 만곡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사실상 사용된 이동가능한 스프링의 탄성 변화때문에 그러한 조정은 릴레이의 소정의 로드 특성을 얻기 위하여 종종 필요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철심 혹은 중심 레그(25)는 측편 레그(3)보다 길이가 짧게 설계되어, 아마츄어 블럭(20)이, 저부판(40)의 세로축을 따라 철심(5)의 고정 단부점에 근접하게 위치시켜서, 아마츄어의 길이를 작게하고, 아마츄어 블럭(20)상의 작용자 이어(24)가 인접한 이동가능 스프링(31)과 최적으로 계합되어서 아마츄어 블럭(20)의 수평 운동량을 제약하여 개폐 동작의 정확성을 보증한다.
제 5 도는 제 1 의 실시예의 구조에서 전자석 블럭(51)과 아마츄어 블럭(60)의 정확한 구성을 제외하면 제 1 의 실시예의 구조와 유사한 본 발명의 양호한 제 2 의 실시예로서의 유극 전자석 릴레이가 기술되어 있다. 제 1 의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의 부호는 제 2 실시예에서도 이와 동일한 부호로 표기한다. 전자석 블럭(51)내의 일반적인 E-형 요오크(52)는 L형 부재와 U형 부재를 한쌍의 반대편측 레그(53)를 한정하는 방식으로 하여 형성한다. 즉, 짧은 L형 레그는 용접 또는 그와 비슷한 접속 방법에 의해 U-형 부재인 웹부재(54)에 고정 되어서 중심 레그 혹은 철심(55)은 제 1 의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측편 레그(53)의 평면으로부터 하향하여 교체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철심(55)은 둘레에 여자코일(56)을 권선하기 위하여수용하는 코일 보빈(58)을 통하여 연장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각 측편 레그(53)는 각각의 접촉 조립체(30)의 접촉 개폐부 (S)상으로 연장하며, 철심(55)은 측편 레그(53)의 극편단부보다 짧게 연장한다. 아마츄어 블럭(60)의 영구자석(61)은 U형 레그를 형성하는 극판(62)을 가진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된 반전 U-형을 구성하도록 한쌍의 반대편측 극판(62)과 일체화된다. 플라스틱 주형(63)은 극판(62)간의 사이에 철심(55)의 자유단부가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전.후 단부 양자에서 개방되는 식으로 그들간에 영구자석(61)을 유지하도록 극판(62)을 일체적으로 에워싼다. 주형(63)은 그들 양단측상에 형성되며 접촉 조립체(30)의 인접한 이동가능한 스프링(31)과 연결할 수 있는 측상의 돌출 부분인 작용자 이어(64)를 가진다. 아마츄어 블럭(60)은 극판(62)들간의 갭을 통하여 철심(55)의 자유단부를 연장하도록 전자석 블럭(51)과 일체화되어 극판(62)의 각각은 철심(55)의 자유단부와 측편 레그(53)의 자유단부에서의 각각의 극단부(59)간에 삽입되며, 블럭 사이의 자기적 접속을 제공한다. 이러한 결속 조립체에 있어서, 영구자석(61)은 철심(55)의 자유단부 위에 위치되지만 측편 레그(53)의 평면내에 수납되어 릴레이 구성에 추가의 높이를 부가시키지 않는다.
제 6 도는 접속바(68)가 요오크(52)를 보강할 목적으로 측편 레그(53)의 극단부간에 브리지되는 점을 제외하면, 제 2 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다. 따라서 요오크(52)의 극단부(59)는 조립시와 릴레이 동작시에 철심(55)의 자유단부가 배열이 어긋나지 않고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되어, 전자석 블럭(51)과 아마츄어 블럭(60)간의 일정한 자기적 관계를 보증해주어 릴레이의 동작 신뢰성을 높혀준다. 접속바(68)는 요오크(52)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분리 접속바는 용접이나 그와 유사한 결합 방법과 같은 수단에 의하여 측편 레그 극단부간의 확고한 접속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우기, 접속바(68)는 자기적 물질가 다른 물질로 재조될 수 있지만, 자기적 물질로 제조된 경우의 접속바(68)는 요오크로부터 자기적 누손을 방지하는 자기적 차폐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예에 의한 유극 릴레이는 제 7 도 내지 제10도내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의 릴레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단안정 형태의 것이며,요오크(72)의 구성과 철심(75)의 자유단부 양측상의 잔여판(80)의 도입을 제외하면 제 1 의 실시예의 구성과 비슷하다. 제 1 실시예와 동일 부분의 부호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요오크(72)는 반대측편 레그(73)를 갖도록 구성되며 그둘중의 하나는 다른 것보다 길어서 더 긴 측편 레그(73)만이 아마츄어 블럭(20)의 인접한 극판(22)과 자기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관계로 그 자유단부에서 극단부(7)를 한정한다. 요오크(72)의 다른 구성은 제 1 의 실시예의 것과 같다. 즉, 본 실시예의 요오크(72)는 제 8 도의 가상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 1 의 실시예내에서 사용된 요오크의 한 측편 레그의 자유단부를 제거함으로써 구하여진다. 더 긴 측편 레그(73)의 자유단부에서의 한 극단부(79)만을 가지는요오크(72)의 이러한 구성으로 영구자석(21)으로부터의 자속은 아마츄어 블럭(20)이 그 위치중의 하나 혹은 제 7 도에 도시된 위치로 가정될 시에만 자석회로를 요오크(72)로 완성할 수 있는데, 제 7 도에는 한 극판(72)로 완성할 수 있는데, 제 7 도에는 한 극판(22)이 철심(5)의 자유단부에 대하여 잔여판(80)을 통하여 끌리게 되는 한편 다른 극판(22)이 더 긴 레그(73)의 극단부(79)를 향하여 잔여갭 E를 통하여 이끌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아마츄어 블럭(20)은 코일(6)이 비여기 경우에 이 위치내에 래치되고, 코일이 직류 전의 특정 극성에 의해 활성화 되는 경우 다른 위치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코일(6)이 철심(75)의 자유단부에서, 이 철심과 접속된 극판의 극성과 동일한 극성을 발생할때에만, 아마츄어 블럭(20)은 접촉 조립체(30)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른 위치로 이동된다. 결론적으로 릴레이는 코일이 상기에 반대의 극성인 전압에 의해 활성화되는 경우에 다른 위치내로 이동될 수 없다. 결국, 본 실시예의 릴레이는 직류 전압의 주어진 극성에 응답하게 될 것이며 이와 다른 직류 전압의 극성 혹은 반대 극성에 의해 작용하지 않는다.
상기 잔여판(80) 및 갭 (E)은 아마츄어 동작을 개량하기 위하여 철심(75)내의 잔여 자성으로 인한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배제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 비록 본 발명은 철심(75)의 양측상에 잔여판(80)을 부착한 열을 채택하더라도, 이는 철심(75)의 한편의 측에 잔여판을 부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릴레이는 요오크의 자유 단부중의 하나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하여 제 1 실시예를 변형시킴으로써 단안정 형태를 제조될 수 있으며, 그밖의 다른 변경도 다른 위치에서보다 아마츄어 블럭의 2개의 위치중의 하나에서 영구자석의 자석회로의 자속 저항값이 더 크게 주어지도록 설계될시에 제1 혹은 제 2 의 실시예로부터의 단안정 형태의 릴레이를 이용할 수 있으며 나중 위치에서 아마츄어 블럭은 안정된다. 그러한 변경은 아마츄어 블럭의 한 위치에서 자석회로의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의 횡단면을 다른 위치에서 그러한 경로를 형성하는 부분의 것과 구별시키시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면영역, 다른 측편 레그의 것에 대한 한 축편 레그의 극단부의 두께 혹은 철심의 자유단부의 다른 측상의 것에 대한 코너의 자유단부의 한 측상의 면 영역을 변화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더우기 상기 잔여판은 제1 및 제 2 실시예의 릴레이를 철심의 양측상의 잔여판간의 두께를 변환시킴으로서 단안정 릴레이내로 변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홈 등을 설치하여 아마츄어 블럭 한편에서의 영구자석과 다른 한편에서의 영구자석과의 자계 저항치를 구별하는 것과 같이, 자석회로의 경로 형송부가 자계 저항을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이 상기의 목적에 효과적일 수 있다.

Claims (6)

  1. 전자석 블럭(1)과 두 위치점 사이를 왕복운동하기 위해, 상기 전자석 블럭의 여기에 응답하는 영구자석(21)을 가지는 아마츄어 블럭(20)과, 접촉 개폐를 위해 왕복 아마츄어 블럭(20)에 의해서 작동되는 최소 1개의 접촉 조립체와, 상기 전자석 블럭(1), 아마츄어 블럭(20) 및 접촉 조립체(30)가 탑재된 저부판(40)을 구비하여, 상기 전자석 블럭(1)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측편 레그(3)와, 웹부재(4)에서 돌출한 철심(5)을 갖는 E형 요오크(2)를 구비하며, 상기 철심(5)은 그 둘레에 여기 코일(6)이 권선되는 구성의 유극 릴레이에 있어서, 상기 철심(5)은 요오크(2)의 한쌍의 대향 측편 레그(3)의 평면으로부터 상기 저부판(40)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접촉 조립체(30)는 요오크(2)의 측편 레그(3)와 저부판(40) 사이에 간격에 수납되도록 철심(5)의 측편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극 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 블럭(20)과 철심(5)에 권선된 코일(6)은 한쌍의 대향 측편 레그(3)의 평면과 저부판(40) 사이의 공간내에 전체가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극 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조립체(30)는 저부판(40)의 한 단부상에 개폐 접촉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 조립체(30)의 측면과 동일한 철심(5) 측면상의 측편 레그(3)는 상기 개폐 접촉부를 초과 연장하지 않으면서,개폐 접촉부 안쪽으로 수직 연장되며, 접촉 조립체(30)의 개폐 접촉부는 요오크(2)의 상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극 릴레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 블럭(20)은, 한쌍의 극판(22) 극성과 반대의 극성인 영구자석(21)의 단부점 사이에 한쌍의 극판(22)을 포함하며, 상기 아마츄어 블럭(20)은 철심(5)의 자유단면이 극판(22)의 대향내부 극면 사이에 연장되는 방식으로 전자석 블럭(1)과 일체화되고, 최소 1개의 극판은 요오크(2)의 인접측편 레그(3)의 자유단부에서 극단부와 자기적인 접속 관계인 철심과 이격된 외부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극 릴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블럭(1)의 요오크(2)는 요오크(52)를 보강하기 위해 측편 레그(53)의 극단부를 견고히 접속시키는 접속바(68)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극 릴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마츄어 블럭(20)은, 한쌍의 극판(22)의 극성과 반대의 극성으로 자화시키는 영구자석(21)의 단부 사이에 극판(22)를 구비하며, 아마츄어 블럭(20)의 자유단부가 극판(22)의 대향 내부 극면들 사이에 연장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자석 블럭(71)과 일체적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측편 레그(73) 중의 한 레그는 다른 하나의 측편 레그(73)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서, 이 연장된 측편 레그(73)만이 자유단부에서 아마츄어 블럭(20)의 극판(22)중의한 극판과 자기적인 접속 관계에 있으며, 아마츄어 블럭(20)은 영구자석(21)의 자속이 철심(75)과 요오크(72)의 연장된 상기 측편 레그(73)를 통과하는 자기회로 경로를 완성하는 아마츄어 블럭의 두 위치점중의 한 위치점에서만 안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극 릴레이.
KR1019850005107A 1984-07-25 1985-07-18 유극 릴레이 KR8900049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906 1984-07-25
JP1984113906U JPS6128245U (ja) 1984-07-25 1984-07-25 有極リレ−
JP275925 1984-12-25
JP59275925A JPS61151941A (ja) 1984-12-25 1984-12-25 有極リ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402A KR860005402A (ko) 1986-07-21
KR890004968B1 true KR890004968B1 (ko) 1989-12-02

Family

ID=26452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50005107A KR890004968B1 (ko) 1984-07-25 1985-07-18 유극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96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60005402A (ko) 198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1594Y1 (ko) 전자 릴레이
KR890003641B1 (ko) 유극 릴레이
US4727344A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US5608366A (en) Electronmagnetic device
KR940009305B1 (ko) 전자 계전기
US4730176A (en) Electromagnet having a pivoted polarized armature
US6879229B2 (en) Electromagnetic relay
KR860000545B1 (ko) 전자계전기(電磁繼電器)
US4366459A (en) Miniature magnetic latch relay
KR890004968B1 (ko) 유극 릴레이
US4621246A (en) Polarized electromagnet relay
KR930024041A (ko) 2조의 전자계전기부를 갖는 소형, 경제적이고 안정한 유극전자계산기
GB2137813A (en) Polarised Electromagnetic Relay
US4482875A (en) Polarized electromagnetic midget relay
EP0157029A1 (en) Electromagnetic drive and polarized relay
KR960005888Y1 (ko) 릴레이의 구조
US4673908A (en) Polarized relay
JPS6245009A (ja) 並行移動直流電磁石
JP3391810B2 (ja) 有極リレー
JP3937483B2 (ja) 電磁継電器
JPS5854765Y2 (ja) 電磁継電器
JPH088046B2 (ja) 有極リレ−
JP3133802B2 (ja) 有極リレー
JPH0225206Y2 (ko)
JPH0731971B2 (ja) 電気機器の基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