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335A -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335A
KR20010093335A KR1020017009980A KR20017009980A KR20010093335A KR 20010093335 A KR20010093335 A KR 20010093335A KR 1020017009980 A KR1020017009980 A KR 1020017009980A KR 20017009980 A KR20017009980 A KR 20017009980A KR 20010093335 A KR20010093335 A KR 20010093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ensor
braking
detected
def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하네스 슈미트
클라우스-페터 마테른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9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33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88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 B60T8/885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ith failure responsive means, i.e. means for detecting and indicating faulty operation of the speed responsive control means using electrical circui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40/00Monitoring, detecting wheel/tire behaviour; counteracting thereof
    • B60T2240/08Spare wheel detection; Adjusting brake control in case of spare wheel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2Back-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16Wheel speed sensor fail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예비 휘일의 장착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결함있는 휘일 회전수 센서의 출력 신호를 대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he Braking and/or Driving Effect on the Wheels of a Motor Vehicle}
그러한 시스템은 예를 들어 ABS, ASC 또는 ESP 시스템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런 시스템의 공통점은 차량 휘일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휘일 회전수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휘일 회전수 또는 휘일 회전 속도는 는 일반적으로 휘일 회전수 센서를 통해 검출된다. 이 경우 하나 이상의 휘일 회전수 센서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대해 비상 조치가 취해져야 한다. DE 34 17 019 A1는 슬립 제어식 차량 제동 장치용 회로를 개시하며, 여기서 후방 휘일 회전수 센서에 고장 또는 장애가 발생하면 장애가 발생한 센서를 갖는 휘일에서의 제동 압력의 제어는 동일측 전방 휘일의 회전 운동에 의존하게 된다. EP 0 814 983 B1에서 후방 휘일 회전수 센서 신호에 결함이 발생하면 결함이 있는 회전수 신호에 대한 대체 신호로서 주행 속도 기준 신호 또는 주행 속도 신호가 설정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자동차 타이어가 손상된 경우에, 종종 소위 비상 휘일 또는 예비 휘일이 제공된다. 이러한 비상 휘일 또는 예비 휘일은 일반 휘일에 비해 훨씬 더 작은 직경을 갖는다. EP 0 449 845 B1에서 그러한 비상 휘일 또는 예비 휘일을 인식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회전수 센서의 기능성을 점검하기 위해 또는 회전수 센서의 결함을 인식하기 위한 많은 조치가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는 EP 0 635 135 B1이 그 예가 된다.
본 발명은 독립항들의 특징을 포함하는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2, 도3,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여러 구성들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갖는 차량 휘일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휘일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는 센서들이 이러한 휘일에 배치되어 있다.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은 적어도 이러한 센서들의 출력 신호에 따라 수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예비 휘일 즉, 일반 휘일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휘일이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가 검출된다. 더욱이, 센서의 결함도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에서 검출된 회전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의 특징은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이 아니라는 것이 결정되는 경우에만 동일측 휘일 회전수 센서에 의한 대체가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장착될 수도 있는 예비 휘일을 고려함으로써, 예비 조치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즉,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이면, 고장난 센서에 대한 대체 신호가 고장난 센서를 갖는 휘일의잘못된 회전 운동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의 센서 신호는 예비 휘일이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그러나, 예비 휘일이 다른 차축 상에서 고장난 센서의 동일측에 장착되면, 본 발명의 유익한 구성에 따라 동일 차축의 다른 휘일 상의 센서 출력 신호가 대체 신호로서 고려된다.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은,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임이 결정되면 상기 하나의 차축의 다른 휘일에서 검출된 회전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동일측 휘일에 예비 휘일이 장착될지라도, 비상 조치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휘일이 구동 유닛을 통해 차량의 구동열을 거쳐 구동된다는 점에 근거한다. 이 경우 구동열 내의 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회전값이 검출된다. 이 회전값은 예를 들어 구동 유닛, 일반적으로 차량 엔진의 출력 회전수, 및/또는 구동열 내에 배치된 변속기의 입력 및/또는 출력 회전수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특징은 적어도 두 개의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들이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회전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두 개의 회전수 센서가 결함을 갖는 경우가 고려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대체값으로서 구동열 내의 회전값이 고려된다. 이런 회전값에 의해 대체되는 경우에, 구동열 내에서 작용하는 적절한 회전수 변환 및/또는 구동열의 효율 및/또는 구동열 내에배치된 클러치의 슬립 및/또는 구동열 내에 배치된 토오크 컨버터의 작동 상태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차량 종가속도를 나타내는 가속도값이 검출된다. 이 경우에도 회전수 센서의 결함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의 특징은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가속도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에 있다. 이 경우 특히 가속도값이 적분되어 적분된 가속도값이 선택적으로 이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가속도를 통해 휘일 회전 운동에 대한 적절한 대체값을 얻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서, 가속도값 및/또는 적분된 가속도값은 차량의 경사각에 따라 종방향으로 수정된다.
본 발명의 제3 변형예에서, 구동열 내의 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회전값 역시 검출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센서의 결함이 결정된다. 이러한 변형예의 특징은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회전수값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된다는 점에 있다.
다른 유익한 구성들은 종속항에서 파악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여러 구성들이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다.
도1은 휘일(101ij)을 구비한 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자 i는 차량의 후방 차축(i = h) 또는 전방 차축(i = v)에 대한 대응 변수를 의미한다. 첨자 j는 차량의 우측(j = r) 또는 좌측(j = l)에 대한 대응 변수를 나타낸다. 휘일(101ij)에 회전수 센서(105ij)와 휘일 제동 유닛(106ij)이 설치되어 있다. 휘일 회전수 센서(105ij)는 출력 신호(Nij)를 제어 유닛(104)에 공급한다. 적어도 휘일 회전수값(Nij)에 따라서 휘일 제동 유닛(106ij)을 위한 제어 신호(Bij)가 제어 유닛(104) 내에서 형성된다. 이는 보통 예를 들어 휘일 회전수(Nij)로부터 개별 휘일(101ij)에 대한 슬립값이 형성되고 개별 휘일에서의 제동 효과는 신호(Bij)를 통해 조정되어 일정한 제동 슬립 및/또는 드라이브 슬립이 초과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1에는 차량의 구동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104)에 의하여 제어 신호(A)를 통해 출력, 출력 토오크 또는 출력 회전수가 제어되는 차량 엔진이 도면 부호 103으로 표시되어 있다. 엔진(103)의 출력 회전수(Nmot)는 회전수 센서(107)를 통해 검출되어 제어 장치(104)에 공급된다.
차량 엔진(103)이 클러치(103a)를 통해 변속기(105)와 연결되어 있다. 클러치의 매 순간마다의 작동 상태, 특히 클러치 슬립이 신호(K)를 통해 제어 유닛(104)에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변속기(105)의 매 순간마다의 변속비가 제어 유닛(104)의 신호(G)에 의해 전송된다. 또한, 변속기(105)는 차동 기어(102)에 의해 후방 차축 상의 구동 휘일과 연결된다.
차량 종가속도를 검출하여 대응 가속도 신호(al)를 제어 유닛(104)에 전송하는 가속도 센서가 도면 부호 108로 표시되어 있다.
도2에는 제어 장치(104)에 의하여 휘일(101ij)에서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시작 단계(201) 후에 다음 단계(202)에서 휘일 회전수 신호(Nij) 및/또는 다른 신호가 검출된다. 단계(203)에서, 적어도 검출된 휘일 회전수 신호(Nij)에 따라서 휘일 브레이크(106ij)에 대한 제어 신호(제어 신호(Bij))와 차량 엔진(103)에 대한 제어 신호(A)가 형성된다. 이는 단계(203)에서 함수 관계(F, G)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종료 단계(204) 후에 도2에 도시된 흐름도가 다시 시작된다.
제어 신호(Bij, A)의 형성은 종래 기술에서 다양하게 설명되어 본원에서는 더 상술되지 않는다.
도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시작 단계(301) 후에 단계(302)에서 휘일 회전수(Nij), 엔진 회전수(Nmot) 및 다른 값이 검출된다. 단계(303)에서, 휘일 회전수 센서(105ij)의 결함이 검출된다. 이러한 검출이 종래 기술에서 다양하게 설명되어 본원에서는 더 상술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개별 휘일 회전수값(Nij)이 타당하지 않은 값인지 검사될 수 있다.
단계(304)에서, 휘일들 중 하나에 예비 휘일 또는 비상 휘일이 장착되었는 지가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 역시 종래 기술에서 설명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개별 휘일 속도값이 차량 속도와 비교된다. 휘일들 중 하나가 더 오랜 시간에 걸쳐 증가된 속도값을 가지면, 이 휘일이 예비 휘일 또는 비상 휘일이라는 것이 추론된다.
질의(305)에서, 단계(303)의 결과가 질의된다. 센서 결함이 없으면, 종료 단계(311)로 바로 진행된다. 그러나, 단계(305)에서 센서 결함이 있음이 확인되면, 단계(306)에서 하나 이상의 센서가 결함을 갖는 지가 질의된다. 그렇지 않다면, 즉 단지 하나의 센서에 결함이 있으면, 단계(307)에서 다른 차축에서 결함있는 센서와 동일한 차량 측면에 비상 휘일이 장착되어 있는지가 질의된다. 동일측 휘일이 비상 휘일이 아니면, 단계(308)에서 결함있는 센서의 휘일 회전수가 동일측 센서의 출력 신호에 의해 대체된다.
그러나, 단계(307)에서 동일측 휘일이 비상 휘일 또는 예비 휘일임이 확인되면, 단계(309)에서 결함있는 센서의 출력 신호가 동일한 차축의 센서의 출력 신호에 의해 대체된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센서에 결함이 있는 지가 질의(306)에서 이루어지면, 결함있는 센서의 출력 신호가 단계(310)에서 그에 상응하게 처리된 엔진 회전수(Nmot)에 의해 대체된다. 엔진 회전수를 처리할 때 구동열의 전체 변속비(Iges) 및 구동열의 효율(η)이 고려된다. 이 실시예에서, 후방 차축의 휘일이 구동되는 차량이 다루어진다. 엔진(103)과 후방 차축(101h, 101hr) 사이의 전체 변속비가 변속기(105)의 변속비(Igang, 도1의 신호(G))에 의해, 차동 기어(102)의 변속비(Idiff)에 의해 그리고 효율(η)에 의해 주어진다.
Iges = Igang*Idiff*η
한편으로 전체 변속비(Iges)[(1/min)/(km/h)]는 다음과 같다.
이로부터 다음의 경우에 대해 회전수 센서가 측면(j = x)에서 고장났음이 밝혀진다.
a) 클러치가 폐쇄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b) 클러치(103a)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에 대해:
Nhx = Nhy
a)와 b)의 경우 사이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회전수 점프가 적절한 타임 필터링을 통해 제거된다.
c) 클러치 또는 토오크 컨버터에 슬립이 발생하면, 클러치 슬립 또는 컨버터 슬립이 단계(310)에서 고려되어야 한다(도1의 신호(K)).
도4에서, 본 발명의 제2 구성이 실시예에 따라 설명된다. 시작 단계(401) 후에 단계(402)에서 휘일 회전수(Nij) 및 종가속도 센서(108)의 출력 신호(al)가 검출된다. 다음 단계(403)에서, 차량 종가속도(al)가 적분되어 차량 종속도(V)가 된다.
또한, 종가속도(al) 및/또는 검출된 차량 종속도(V)가 차량의 경사각에 따라서 종방향(오르막 주행/내리막 주행)으로 수정된다.
단계(404)에서 센서 결함이 검출되며, 단계(405)에서 센서 결함이 있는지가 질의된다. 센서 결함이 없으면, 즉시 종료 단계(407)로 진행한다. 그러나, 센서 결함이 있으면, 결함있는 센서의 출력 신호가 차량 종가속도로부터 검출된 차량 종속도(V)에 의해 대체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이 도5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도 시작 단계(501) 후에 단계(502)에서 휘일 회전수(Nij) 및 엔진 회전수(Nmot)가 검출된다. 단계(503)에서, 다시 센서 결함이 결정되고 단계(504)에서 센서 결함이 있는 지가 질의된다. 센서 결함이 없으면, 종료 단계(506)로 진행한다. 그러나, 단계(504)에서 센서 결함이 있음이 확인되면, 결함있는 센서의 출력 신호가 그에 상응하게 처리된 엔진 회전수(Nmot)에 의해 대체된다. 엔진 회전수의 처리를 위하여, 블록(310, 도3)이 참조된다.
엔진 회전수(Nmot) 대신에 단계(310 또는 505)에서 당연히 변속기 입력 회전수 또는 변속기 출력 회전수가 고려될 수도 있다.
도2, 도3, 도4 및 도5에 도시된 흐름도는 종료 단계 후에 다시 시작 단계에서 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전수 센서가 고장나는 경우 ABS, ASC, 전자식 제동력 분배 장치 또는 다른 제어 시스템을 위한 대체 시스템에 대한 다양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회전수 문제 발생 시에 본 발명에 따른 예비 조치를 형성함으로써, 실행되고 있던 제어가 타당한 휘일 속도에 의해 종료하거나 제어 성능이 저하된 상태로 실시될 수 있어서, 더 짧아진 제동 거리와 더 안정된 주행 상태의 조정이 이루어진다.

Claims (12)

  1.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가지며 휘일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는 휘일에 배치된 센서(105ij)를 갖는 차량 휘일(101ij)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적어도 센서의 출력 신호(Nij)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 일반 휘일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예비 휘일이 장착되었는 지가 결정되고,
    - 센서(105ij)의 결함이 결정되고,
    -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이 아니라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에서 검출된 회전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임을 검출하면 상기 하나의 차축의 다른 휘일에서 검출된 회전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휘일이 차량의 구동열에 의해 구동 유닛(103)을 통해 구동되고,
    - 구동열 내의 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회전값(Nmot)이 검출되고,
    - 적어도 두 개의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들이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회전값(Nmot)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값(Nmot)은 구동 유닛(103)의 출력 회전수 및/또는, 구동열 내에 배열된 변속기(105)의 입력 및/또는 출력 회전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들이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회전값(Nmot)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며,
    상기 구동열 내에 작용하는 적절한 회전수 변속비 및/또는 구동열의 효율 및/또는 구동열 내에 배열된 클러치(104)의 슬립 및/또는 구동열 내에 배열된 토오크 컨버터의 작동 상태가 고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가지며 휘일의 회전운동을 검출하는 휘일에 배치된 센서(105ij)를 갖는 차량 휘일(101ij)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적어도 센서의 출력 신호(Nij)에 따라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 차량 종가속도를 나타내는 가속도값(al)이 검출되고,
    - 센서(105ij)의 결함이 결정되고,
    -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가속도값(al)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고, 가속도값이 적분되어 적분된 가속도값이 선택적으로 이용되며, 가속도값 및/또는 적분된 가속도값이 차량의 경사각에 따라 수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가지며 휘일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는 휘일에 배치된 센서(105ij)를 갖는 차량 휘일(101ij)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적어도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수행되고, 적어도 하나의 휘일이 차량의 구동열에 의해 구동 유닛(103)을 통해 구동되는 방법에 있어서,
    - 구동열 내의 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회전값(Nmot)이 검출되고,
    - 센서(105ij)의 결함이 검출되고,
    - 센서의 결함이 검출되면,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회전값(Nmot)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가지며 휘일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는 휘일에 배치된 센서(105ij)를 갖는 차량 휘일(101ij)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적어도 센서의 출력 신호(Nij)에 따라 수행되는 장치에 있어서,
    - 일반 휘일보다 더 작은 직경을 갖는 예비 휘일이 장착되었는 지를 결정하고,
    - 센서(105ij)의 결함을 결정하고,
    -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을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이 아니라는 것이 검출된 경우에만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에서 검출된 회전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수단(104)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을 다른 차축의 동일측 휘일이 예비 휘일임이 검출되면 상기 하나의 차축의 다른 휘일에서 검출된 회전 운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휘일이 차량의 구동열에 의해 구동 유닛(103)을 통해 구동되고,
    - 구동열 내의 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회전값(Nmot)이 검출되고,
    - 적어도 두 개의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검출된 회전값(Nmot)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가지며 휘일의 회전 운동을 검출하는 휘일에 배치된 센서(105ij)를 갖는 차량 휘일(101ij)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적어도 센서의 출력 신호(Nij)에 따라 수행되는 장치에 있어서,
    - 차량 종가속도를 나타내는 가속도값(al)을 검출하고,
    - 센서(105ij)의 결함을 결정하고,
    -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하나의 차축의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을 검출된 가속도값(al)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되고, 가속도값이 적분하여 적분된 가속도값을 선택적으로 이용하며, 가속도값 및/또는 적분된 가속도값을 차량의 경사각에 따라 수정하는 수단(104)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적어도 두 개의 차축에 배열된 적어도 네 개의 휘일을 가지며 휘일의 회전운동을 검출하는 휘일에 배치된 센서(105ij)를 갖는 차량 휘일(101ij)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하여 상기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이 적어도 센서의 출력 신호에 따라 수행되며, 적어도 하나의 휘일이 차량의 구동열에 의해 구동 유닛(103)을 통해 구동되는 장치에 있어서,
    - 구동열 내의 회전 운동을 나타내는 회전값(Nmot)을 검출하고,
    - 센서(105ij)의 결함을 결정하고,
    - 센서의 결함이 결정되면, 이러한 센서가 배치된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의 조정을 검출된 회전값(Nmot)에 따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수단(104)이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17009980A 1999-12-08 2000-12-06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KR20010093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59039 1999-12-08
DE19959039.7 1999-12-08
PCT/DE2000/004342 WO2001042070A1 (de) 1999-12-08 2000-12-06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r brems- und/oder antriebswirkung an den rädern eines kraftfahrzeug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335A true KR20010093335A (ko) 2001-10-27

Family

ID=7931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980A KR20010093335A (ko) 1999-12-08 2000-12-06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54376B2 (ko)
EP (1) EP1152938A1 (ko)
JP (1) JP2003516272A (ko)
KR (1) KR20010093335A (ko)
DE (1) DE10060568A1 (ko)
WO (1) WO2001042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29074B2 (en) 2007-05-21 2011-10-04 Goodrich Corporation Fault tolerant aircraft braking control using alternate wheel speed information
DE102007046692B4 (de) * 2007-09-28 2021-04-29 Volkswagen Ag Antiblockier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8170755B2 (en) 2008-09-16 2012-05-01 Robert Bosch Gmbh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ed detection of minispare tires
US9165450B1 (en) * 2014-06-02 2015-10-20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Vehicle with movement sensor
US10472054B2 (en) * 2017-02-21 2019-11-12 Goodrich Corporation Antiskid operation during degraded operation
GB2624035A (en) * 2022-11-07 2024-05-08 Jaguar Land Rover Ltd Wheel type based vehicle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417019A1 (de) * 1984-05-09 1985-11-14 Alfred Teves Gmbh, 6000 Frankfurt Schaltungsanordnung fuer eine schlupfgeregelte fahrzeugbremsanlage
DE3841958C2 (de) * 1988-12-14 2001-12-13 Bosch Gmbh Robert Antiblockierregelsystem
JPH0794207B2 (ja) * 1989-04-19 1995-10-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四輪駆動車の駆動力配分制御装置
DE4211622A1 (de) * 1992-04-07 1993-10-14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Überwachung von Drehzahlfühlern
DE19511162A1 (de) 1995-03-27 1996-10-02 Bosch Gmbh Robert Brems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H0999829A (ja) * 1995-10-04 1997-04-15 Nisshinbo Ind Inc 車輪速補正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16272A (ja) 2003-05-13
EP1152938A1 (de) 2001-11-14
WO2001042070A1 (de) 2001-06-14
US20020163246A1 (en) 2002-11-07
US6554376B2 (en) 2003-04-29
DE10060568A1 (de) 2001-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7022B2 (en) Vehicle trac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traction control
US6428118B1 (en) Arrangement and methods for avoiding rollovers when braking or accelerating motor vehicles
JP5146608B2 (ja) 前後加速度センサの異常判定装置及び方法
US8565974B2 (en) Control system for vehicles for decreasing controlling amount by judging abnormality
CN101142112B (zh) 用于控制汽车的制动设备的方法和装置
US7668636B2 (en) Control system of vehicle
JPH08258684A (ja) 自動車用abs制御装置およびまたはasc制御装置
US8204663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US6695416B1 (en) Service brake and retarder method for controlling the brake system of a vehicle in a mutually coordinated manner
EP3231657B1 (en) Braking/drive power control device and braking/drive power control method
JP2009113712A (ja) 車両用制動力制御装置
AU7699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adjusting the braking and/or drive effects on wheels of motor vehicles
KR20010093335A (ko) 차량 휘일에서의 제동 및/또는 구동 효과를 조정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EP0992411B1 (en) Estimation of vehicle speed for regulating the ABS function
JP3653192B2 (ja) 車両用トラクション制御装置
JPH05503057A (ja) 駆動滑り制御装置
JP2008230513A (ja) 車輪速度補正装置
JP4305039B2 (ja) 車輪速センサ異常判定装置
JP4953507B2 (ja) エンジンブレーキ作用を維持する方法
JP2000344087A (ja) 車輪速異常検出装置
JPH1029519A (ja) 四輪駆動車のアンチスキッド制御装置
JP2635686B2 (ja) 自動車の車体速測定装置
JP2774134B2 (ja) 自動車のスリップ制御装置
JPH04154466A (ja) アンチスキッドブレーキ装置の異常検出方法
JP2840013B2 (ja) トラクションコントロール装置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