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3071A - 전기콘택트 - Google Patents

전기콘택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3071A
KR20010093071A KR1020010014776A KR20010014776A KR20010093071A KR 20010093071 A KR20010093071 A KR 20010093071A KR 1020010014776 A KR1020010014776 A KR 1020010014776A KR 20010014776 A KR20010014776 A KR 20010014776A KR 20010093071 A KR20010093071 A KR 20010093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elastic
wall
upper wall
contac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4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타무라히로시
Original Assignee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후제출, 티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케이.케이. filed Critical 추후제출
Publication of KR20010093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307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조립성과 생산성이 양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접촉부에 대한 진동전달을 완화하는 용수철부를 사용하지 않고, 비교적 큰 전류를 흘릴 수 있게 하여 미세 미끄럼 마모를 줄일 수 있게 하는 전기콘택트를 제공한다.
전기콘택트(1)는 상대콘택트(T)와 접촉하는 접촉부(16)를 갖는다. 접촉부(16)는 하부상벽(15)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제1탄성 접촉부(16a)와, 리셉터클부(10)의 후단근방에 위치하고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만곡하는 만곡부(16b)와, 만곡부(16b)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2탄성 접촉부(16c)를 갖는다. 상대콘택트(T)의 삽입완료 후에, 상대콘택트(T)가 더욱 삽입되려고 할 때,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근방은 상부상벽(14)에 접촉한다.

Description

전기콘택트{Electrical Contact}
본 발명은 미세 미끄럼 마모(fine sliding wear)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콘택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전기 커넥터는 그 용도에 따라 진동을 받게된다. 전기커넥터가 진동하면, 그 내부에 설치된 전기콘택트와 이 전기콘택트에 접촉하는 상대콘택트의 사이에 미세 미끄럼(fine sliding)이 발생하고, 이 미세 미끄럼에 의해 콘택트 사이가 마모하여 콘택트 사이의 전기저항이 증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미세 미끄럼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전기콘택트로서,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한 리셉터클 단자(특개평7-296886호 공보 참조), 도 6에 도시한 전기콘택트(특개평10-189102호 공보 참조) 및 도 7에 도시한 전기콘택트(특개평10-149855호 공보 참조)가 알려져 있다.
우선, 도 5에 도시한 리셉터클 단자(100)는 내측본체(110) 및 이 내측본체를 수용하는 외측본체(130)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내측본체(110)는 상대콘택트(미도시)에 접촉하는 탄성접촉편(112)을 갖는 접촉부(111)와, 전선접속부(113)와, 접촉부(111) 및 전선접속부(113)의 사이에 형성된 탄성부(116)를 구비하고 있다. 전선접속부(113)는 와이어 배럴(114; wire barrel) 및 절연 배럴(115; insulation barrel)로 이루어져 있다.
용수철부(116)보다도 전선접속부(113)측의 내측본체(110)의 바닥벽(117)에는 돌기부(125)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25)는 외측본체(130)의 바닥벽에 형성된 개구(미도시)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내측본체(110)와 외측본체(130)가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용수철부(116)는 바닥벽(117) 및 측벽(118)으로 연장하는 복수개의 슬롯(119, 120, 121, 122)에 의해 분리된 복수개의 탄성빔(123; elastic beam)에 의해 단자의 축방향으로 탄성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탄성빔(123)은측벽(118)의 면내에서 변형가능한 연결부(1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리셉터클 단자(100)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외측본체(130)의 측벽에 형성된 탄성랜스(131; elastic lance)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때, 내측본체(110)의 접촉부(111)는 용수철부(116)가 존재하기 때문에 외측본체(130)에 대해 독립하여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리셉터클 단자(100)을 고정시킨 커넥터 하우징이 진동을 받는 경우, 외측본체(130)와 내측본체(110)의 용수철부(116) 보다도 전선접속부(113) 측이 진동하는 것에 대항하여, 그 진동이 용수철부(116)에 의해 흡수되기 위하여 접촉부(111)는 진동하지 않아, 상대콘택트와의 사이의 미세 미끄럼 마모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전기콘택트(200)는 상대콘택트(미도시)를 수용하는 리셉터클부(210)와, 전선을 접속하는 전선접속부(220)로 구성되고, 판금가공 및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리셉터클부(210)는 한쪽 측벽(도시하지 않음)의 상단에서 다른 쪽 측벽(211)을 향해 연장하는 상부벽(212)과, 다른 쪽 측벽(211)에서 한쪽 측벽을 향해 연장하는 연결부(213)과, 연결부(213)의 선단으로부터 연장하는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214)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연결부(213)의 폭은 측벽(211)보다도 훨씬 미세하게 형성되어, 콘택트의 축방향으로 탄성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기콘택트(200)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어 하우징에 형성된 탄성랜스가 리셉터클부(210)의 바닥벽에 있는 개구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전기콘택트(200)는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때, 접촉부(214)는 탄성을 갖는 연결부(213)가 존재하기 때문에 리셉터클부(210) 내에서 독립하여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전기콘택트(200)을 고정시킨 커넥터 하우징이 진동을 받는 경우, 리셉터클부(210)의 외측부분이 진동하는 것에 대항하여, 그 진동이 연결부(213)에 의해 흡수되도록 접촉부(214)는 진동하지 않아, 상대콘택트와의 사이의 미세 미끄럼 마모가 방지되는 것이다.
더욱, 도 7에 도시한 전기콘택트(300)는 내부체(310)과 외부체(320)의 두 개로 이루어지고, 내부체(310) 및 외부체(320) 각각은 판금가공 및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내부체(310)는 상대콘택트(미도시)와 접촉하는 접촉부(311)와, 접촉부(311)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리드부(312; lead section)를 갖는다. 또한, 외부체(320)는 내부체(310)의 접촉부(311)을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포위체(321)와, 내부체(310)의 리드부(312)를 내측에 위치시켜 전선(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전선접속부(3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기콘택트(300)는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하우징에 삽입되고, 하우징에 형성된 탄성랜스가 포위체(321)의 바닥벽에 있는 개구에 결합하고, 이로 인해 전기콘택트(300)는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된다. 이때, 접촉부(311)는 포위체(321) 내에서 독립하여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고, 리드부(312)는 가요성을 구비하여 축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전기콘택트(300)를 고정한 커넥터 하우징이 진동을 받는 경우, 포위체(321) 및 전선접속부(322)가 진동하는 것에 대항하여 접촉부(311)는 진동하지 않아, 상대콘택트와의 사이의 미세 미끄럼마모가 방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전기콘택트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도 5에 도시한 리셉터클 단자(100)의 경우, 용수철부(116)의 존재에 의해 접촉부(111)로의 진동 전달은 줄어들 망정, 외측본체(130) 및 내측본체(110)의 두개로 이루어져 있지므로 콘택트의 조립성, 생산성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용수철부(116)는 복수의 가느다란 탄성빔(123)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용수철부(116)에 있어서 극히 가느다란 도전경로가 형성되어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데에는 부적합하다.
2. 도 6에 도시한 전기콘택트(200)의 경우, 도 5에 도시한 리셉터클 단자(100)와 마찬가지로, 용수철부로서 작용하는 연결부(213)의 존재에 의해 접촉부(214)로의 진동 전달은 줄어들 망정 연결부(213)에 있어서 가느다란 도전경로가 형성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3. 도 7에 도시한 전기콘택트(300)의 경우도, 도 5에 도시한 리셉터클 단자(100)와 마찬가지로, 리드부(312)에 있어서 가느다란 도전경로가 형성된다는 문제점과, 단일부품이 아니므로 콘택트의 조립성, 생산성에 어려움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립성 및 생산성이 우수하고 외부로부터의 접촉부로의 진동 전달을 완화시키는 용수철부를 사용하지 않아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도록 한 미세 미끄럼 마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전기콘택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콘택트의 실시형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콘택트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좌측면도.
도 3은 도 2(C)의 선 3-3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상대콘택트가 도 1에 도시한 전기콘택트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상대콘택트가 삽입되기 전의 부분단면도, (B)는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상태의 부분 단면도, (C)는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후에 이 콘택트가 더욱 삽입될 때의 부분단면도.
도 5는 종래예의 리셉터클 단자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내측본체의 사시도.
도 6은 종래 다른 실시예의 전기콘택트의 단면도.
도 7은 종래 다른 실시예의 전기콘택트의 일부 절취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전기콘택트
10 : 리셉터클부
11 : 바닥벽
12, 13 : 측벽
14 : 상부상벽
15 : 하부상벽
16a : 접촉부
16 : 만곡부
16c : 제2탄성 접촉부
16f :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
17 : 보호편
17a : 전방벽부
17b : 상벽부
17c : 관찰구멍
T : 상대콘택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전기콘택트는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삽입되는 상대콘택트를 수용하는 리셉터클부를 갖는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양측에서 직립된 한쌍의 측벽과, 상기 한쌍의 측벽 각각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측벽을 향해 접어서 겹쳐지도록 연장하는 상부상벽 및 하부상벽과, 상기 하부상벽에서 후방으로 연장하고 상기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하부상벽에서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제1탄성 접촉부와, 상기 리셉터클부의 후단 근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만곡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에서 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제2탄성 접촉부를 가지며,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 근방은 상기 상부상벽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전후중간부는 상기 상부상벽으로부터 이격하고, 또한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며, 상기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 근방은 상기 상부상벽으로부터 이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전후중간부는 상기 상부상벽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제2탄성부의 자유단은 상기 바닥벽에 접촉하며 상기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후에 있어서 상기 상대콘택트가 더욱 삽입되려 할 때,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근방은 상기 상부상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콘택트는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서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바닥벽 전단부에 상기 전단부부터 직립하는 전방벽부 및 상기 전방벽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상벽부로 이루어진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된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상기 자유단을 거의 덮는 보호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전기콘택트는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서 상기 보호편의 상기 전방벽부에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과 상기 바닥벽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관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콘택트의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기콘택트의 도면으로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고, (C)는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C)의 선 3-3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상대콘택트가 도 1에 도시한 전기콘택트에 삽입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상대콘택트가 삽입되기전의 부분단면도이고, (B)는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상태의 부분단면도이고, (C)는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후에 이 콘택트가 더욱 삽입되려고 할 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전기콘택트(1)는 판금가공 및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되고, 리셉터클부(10) 및 전선접속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선접속부(30)는 전선(미도시)의 도전선을 압착하는 와이어 배럴(31)과, 전선피복부를 압착하는 절연 배럴(3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리셉터클부(10)는 전방측(도 3에서 좌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터브모양의 수형 상대콘택트(도 4참조; T)를 수용하는 것으로서, 거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리셉터클부(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바닥벽(11)과, 바닥벽(11)의 양측으로부터 직립하는 한쌍의 측벽(12, 13)과, 한쌍의 측벽(12, 13)의 각각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측벽을 향해 접혀서 겹쳐지도록 연장하는 상부상벽(14) 및 하부상벽(15)를 갖는다. 하부상벽(15)의 전단면은 상부상벽(14)의 전단면과 전후방향에 있어서 일치하지만, 하부상벽(15)의 전후방향의 길이는 상부상벽(14)의 동일방향의 길이와 비교하여 짧게 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상벽(15)으로부터는 상대콘택트(T)와의 접촉부(16)가 후방을 향해 연장하고 있다.
이 접촉부(16)는, 도 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상벽(15)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대콘택트(T)의 상면에 접촉하는 제1탄성 접촉부(16a)를 갖는다. 이 제1탄성 접촉부(16a)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부에는 상대콘택트(T)의 상면에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6d)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1탄성 접촉부(16a)는 하부상벽(15)에서 접촉돌기부(16d)를 향하여 약간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고, 접촉돌기부(16d)를 경계로 하여 후단부를 향해 약간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한,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부는 리셉터클부(10)의 후단 근방에 위치해 있고, 그 후단부에 있어서 하방으로 만곡하는 만곡부(16b)가 형성되어 있다.그리고, 만곡부(16b)의 선단으로부터는 상대콘택트(T)의 하면에 접촉하는 제2탄성 접촉부(16c)가 전방을 향해 연장하고 있다. 이 제2탄성 접촉부(16c)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부에는 상대콘택트(T)의 하면에 접촉하는 접촉돌기부(16e)가 돌출형성되어 있다. 제2탄성 접촉부(16c)는 만곡부(16b) 선단으로부터 접촉돌기부(16e)를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하고, 접촉돌기부(16e)를 경계로 하여 자유단(16f)을 향해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하고 있다.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의 하면은 만곡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 및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콘택트(T)가 리셉터클부(10) 내에 삽입되기 전의 자유상태에 있어서는,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 근방이 상부상벽(14)의 하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1탄성 접촉부(16a)의 전후방향의 중간부는 상부상벽(14)의 하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간격(2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자유상태에 있어서는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은 바닥벽(11)으로부터 이격하여 간격(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셉터클부(10)의 바닥벽(11)의 전단부에는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을 거의 덮는 보호편(1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호편(17)은 바닥벽(11)의 전단부로부터 직립하는 전방벽부(17a) 및 전방벽부(17a)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벽부(17b)로 이루어지는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호편(17)은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을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고 상대콘택트(T)가 자유단(16f)에 접촉하는 것 등에 의한 제2탄성 접촉부(16c)의 손상을 방지한다. 또, 어떤 요인에 의해 자유단(16f)이 상방으로 편향되었을 때, 자유단(16f)의 선단부를 보호편(17)의 상벽부(17b)의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만곡부(16b)에 과응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더욱이, 상대콘택트(T)가 리셉터클부(10) 내에 삽입될 때 보호편(17)의 상벽부(17b)는 상대콘택트(T)의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대콘택트(T)가 제2탄성 접촉부(16c)의 경사부에 접촉하여 접촉부(16)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보호편(17)의 전방벽부(17a)에는 바닥벽(11)의 전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하는 관찰구멍(17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찰구멍(17c)은 상대콘택트(T)가 삽입되기 전의 자유상태에서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과 바닥벽(11)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23)을 외부로부터 CCD카메라 등의 측정수단으로 측정하고 치수관리를 위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에 있어서, 부호 18은 과응력 방지편으로서, 제2탄성 접촉부(16c)가 과도하게 하방으로 구부러질 때 제2탄성 접촉부(16c)의 하면에 접촉하여 접촉부(16)에 과응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전기콘택트(1)는 미도시한 커넥터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통로에 삽입되고, 이 수용통로에 형성된 탄성랜스가 바닥벽(11)에 형성된 개구부(21)에 결합하고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에 고정되어 수용된다. 이때, 전기콘택트(1)의 역삽입은 측벽(12, 13)으로부터 늘어져 나오는 한쌍의 역삽입 방지편(19) 및 상부상벽(15)에서 돌출하는 역삽입 방지돌기(20)와 커넥터 하우징의 콘택트 수용통로와의 공동작용에 의해 회피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나는 전기콘택트(1)에 상대콘택트(T)가 삽입될 때의 작용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상대콘택트(T)가 리셉터클부(10) 내로 삽입되기 전의 자유상태에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접촉탄성부(16a)의 후단 근방은 상부상벽(14)의 하면에 접촉함과 동시에 제1탄성 접촉부(16a)의 전후방향의 중간부는 상부상벽(14)의 하면으로부터 이격하여 간격(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는 바닥벽(11)으로부터 이격하여 간격(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대콘택트(T)가 전방에서 리셉터클부(10) 내로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때에는 상대콘택트(T)의 선단 경사부가 제1탄성 접촉부(16a)의 접촉돌기부(16d) 및 제2탄성 접촉부(16c)의 접촉돌기부(16e)에 접촉하여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의 하면은 바닥벽(11)에 접촉한다. 상대콘택트(T)의 삽입 전에 있어서는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은 바닥벽(11)으로부터 이격하고, 제2탄성 접촉부(16c)는 바닥벽(11)으로부터 반력을 받지 않으므로, 상대콘택트(T)의 삽입초기에서의 삽입력의 정점을 비교적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대콘택트(T)를 더욱 삽입하면, 도 4(B)에 도시한 상대콘택트(T)의 삽입완료상태가 된다. 이때, 제1탄성 접촉부(16a) 및 제2탄성 접촉부(16c)의 접촉돌기부(16d, 16e) 사이가 상대콘택트(T)의 판두께에 의해 눌러 넓혀지고,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에서 접촉돌기부(16e)를 연결하는 직선과, 접촉돌기부(16e)에서 만곡부(16b)의 하단을 연결하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커진다. 이로 인해, 만곡부(16b)보다 전방측의 제2탄성 접촉부(16c)를 직선화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접촉부(16)의 반력[만곡부(16b)보다 전방측의 제2탄성 접촉부(16c)가 직선화되려는 것에 저항하는 힘] 및 자유단(16f)가 바닥벽(11)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만곡부(16b)가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로 인해,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근방은 상부상벽(14)으로부터 이격하여 간격(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대콘택트(T)의 삽입 완료상태에서는 제1탄성 접촉부(16a)의 전후중간부는 자유상태와 마찬가지로 상부상벽(14)으로부터 이격하여 간격(2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탄성 접촉부(16c)의 자유단(16f)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바닥벽(11)에 접촉하고 있다.
그리고, 도 4(B)에 도시한 상대콘택트(T)의 삽입완료상태로부터 상대콘택트(T)가 더욱 삽입되도록 할 때에는,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곡부(16b)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근방은 상부상벽(14)에 또다시 접촉한다. 이 이유를 설명하면, 상대콘택트(T)의 삽입완료후에 있어서는, 상대콘택트(T)와 접촉부(16) 사이의 마찰계수는 상대콘택트(T)의 삽입초기와는 달리 정마찰계수로 된다. 이 때문에, 상대콘택트(T)와 접촉부(16) 사이의 마찰력은 삽입초기의 마찰력보다도 커지므로, 상대콘택트(T)의 진행에 따라 접촉부(16)가 당겨져서 만곡부(16d)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근방이 상부상벽(14)에 접촉함으로써, 제1탄성 접촉부(16a) 및 제2탄성 접촉부(16b)의 접촉돌기부(16d, 16e)와 상대콘택트(T) 사이의 접촉압력이 증가하여 상대콘택트(T)가 더욱 진행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전기콘택트(1)을 고정시킨 커넥터 하우징이 진동을 받는 경우, 상대콘택트(T)는 삽입완료 상태에서 더욱 삽입되도록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탄성 접촉부(16a)의 후단근방이 상부상벽(14)에 접촉하여 상대콘택트(T)가 더욱 진행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16)로의 진동전달을 완화하는 용수철부를 사용하지 않고, 제1탄성 접촉부(16a) 및 제2탄성 접촉부(16b)의 접촉돌기부(16d, 16e)와 상대콘택트(T) 사이의 미세 미끄럼 마모가 줄어든다.
또한, 전기콘택트(1)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16)로의 진동전달을 완화하는 용수철부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를 통해서 국부적으로 미세해지는 부분이 없고, 극히 미세한 도전경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데에 적합한 장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전기콘택트(1)는 판금가공 및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되어, 단일부품으로 구성되므로 콘택트의 조립성 및 생산성은 양호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른 전기콘택트에 의하면,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 삽입되는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후에 있어서, 상기 상대콘택트가 더욱 삽입되려고 할 때, 접촉부를 구성하는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근방은 상부상벽에 접촉하므로, 접촉부와 상대콘택트 사이의 접촉압력이 커져, 상대콘택트가 더욱 진행하는 것이 저지된다. 따라서, 전기콘택트를 고정시킨 커넥터 하우징이 진동을 받는 경우 상대콘택트는 삽입완료 상태에서 더욱 삽입되려고 하지만, 상대콘택트가 더욱 진행하는 것이 저지되므로,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로의 진동전달을 완화하는 용수철부를 사용할 필요없이 접촉부와 상대콘택트 사이의 미세 미끄럼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전기콘택트는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 접촉부로의 진동전달을 완화하는 용수철부를 사용하지 않고 전체를 통해서 국부적으로 미세해지는 부분이 없어, 극히 미세한 도전경로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비교적 큰 전류를 흐르게 하는 데에 적합한 장치가 가능하다. 더욱이, 전기콘택트는 판금가공 및 굽힘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어, 콘택트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우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른 전기콘택트에 의하면, 청구항 1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리셉터클부의 바닥벽 전단부에 상기 전단부로부터 직립하는 전방벽부 및 상기 전방벽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벽부로 이루어진 대략 L자형으로 구성되고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을 거의 덮는 보호편을 설치하였으므로, 상대콘택트가 자유단에 접촉하는 것 등에 의해 제2탄성 접촉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어떤 요인에 의해 자유단이 상방으로 편향될 때, 자유단의 선단부를 보호편의 상부벽부의 하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만곡부에 과응력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상대콘택트가 리셉터클부 내에 삽입될 때, 보호편의 상부벽부는 상대콘택트의 하방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여, 상대콘택트가 제2탄성 접촉부의 경사부에 접촉하여 접촉부가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른 전기콘택트에 의하면,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호편의 상기 전방벽부에서, 자유상태에 있어서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관찰구멍을 형성하였으므로, 이러한 간격을 외부로부터 관찰구멍을 개재하여 측정하고, 그 치수관리를 할 수 있다.

Claims (3)

  1.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하여 삽입되는 상대콘택트를 수용하는 리셉터클부를 갖는 전기콘택트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가 전후방향으로 뻗어지는 바닥벽과, 상기 바닥벽의 양측으로부터 직립하는 한쌍의 측벽과, 상기 한쌍의 측벽 각각으로부터 서로 대향하는 측벽을 향해 접혀 겹쳐지도록 연장하는 상부상벽 및 하부상벽과, 상기 하부상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상기 상대콘택트와의 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하부상벽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제1탄성 접촉부와, 상기 리셉터클부의 후단 근방에 위치하고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에서 하방으로 만곡하는 만곡부와, 상기 만곡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상대콘택트에 접촉하는 제2탄성 접촉부를 갖고,
    자유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 근방은 상기 상부상벽에 접촉함과 동시에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전후중간부는 상기 상부상벽으로부터 이격하고 또한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은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이격하여 있고,
    상기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 상태에서는,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 근방은 상기 상부상벽으로부터 이격함과 동시에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전후중간부는 상기 상부상벽으로부터 이격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은 상기 바닥벽에 접촉하여 있고,
    상기 상대콘택트의 삽입완료후에 있어서, 상기 상대콘택트가 더욱 삽입되려고 할 때, 상기 제1탄성 접촉부의 후단근방은 상기 상부상벽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택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부의 상기 바닥벽 전단부에, 상기 전단부로부터 직립하는 전방벽부 및 상기 전방벽부의 상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연장하는 상벽부로 이루어진 거의 L자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상기 자유단을 거의 덮는 보호편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택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편의 상기 전방벽부에, 자유상태에서 상기 제2탄성 접촉부의 자유단과 상기 바닥벽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측정하기 위한 관찰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콘택트.
KR1020010014776A 2000-03-23 2001-03-22 전기콘택트 KR200100930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82858 2000-03-23
JP2000082858A JP2001266989A (ja) 2000-03-23 2000-03-23 電気コンタク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3071A true KR20010093071A (ko) 2001-10-27

Family

ID=1859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4776A KR20010093071A (ko) 2000-03-23 2001-03-22 전기콘택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386928B2 (ko)
EP (1) EP1137108A1 (ko)
JP (1) JP2001266989A (ko)
KR (1) KR20010093071A (ko)
CN (1) CN13419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43B1 (ko) * 2007-03-09 2008-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01580B2 (ja) * 2001-02-15 2010-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の端子構造
JP2003338334A (ja) * 2002-05-20 2003-11-28 Yazaki Corp 雌端子およびその接続構造ならびにワイヤハーネス
US7175487B2 (en) * 2004-06-28 2007-02-13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terminal element
US7387550B2 (en) * 2005-07-21 2008-06-1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Dual beam receptacle contact
JP2007149504A (ja) * 2005-11-28 2007-06-14 Yazaki Corp 雌端子及びコネクタ
JP2008123720A (ja) * 2006-11-08 2008-05-29 Tyco Electronics Amp Kk 雌型コンタクト
EP1981125B1 (en) * 2007-04-12 2011-06-08 MTA S.p.A. Electrical connector with vibration damping means
JP4858293B2 (ja) * 2007-05-08 2012-01-18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7530859B2 (en) * 2007-05-08 2009-05-1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US7503813B1 (en) 2007-05-17 2009-03-17 Yazaki North America, Inc. Electrical terminal with contoured contact element
DE102008017043B3 (de) 2008-04-03 2009-09-03 Lear Corp., Southfiel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uchsenanschlussstückes
US8104173B2 (en) * 2008-04-08 2012-01-31 Delphi Technologies,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ries of electric terminals
CN102082340B (zh) * 2009-12-01 2013-07-31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器中的端子结构
JP2012028076A (ja) * 2010-07-21 2012-02-09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電線付き端子金具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729648B2 (ja) * 2011-10-13 2015-06-03 ホシデン株式会社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端子ボックス
JP5247902B1 (ja) * 2012-02-24 2013-07-2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8974256B2 (en) * 2012-04-26 2015-03-1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fitting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6536898B2 (ja) * 2015-12-11 2019-07-03 住友電装株式会社 端子金具
US11264754B2 (en) * 2017-03-01 2022-03-01 Molex, Llc Electrical terminal and connector assembly
US11152730B2 (en) * 2017-12-05 2021-10-1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Terminal with leaf spring extending rearward from support at both side walls
JP7133513B2 (ja) * 2019-06-12 2022-09-0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CN112350092B (zh) * 2019-08-08 2023-07-18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连接器及端子
JP7092812B2 (ja) * 2020-03-16 2022-06-28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9535A1 (de) * 1982-10-26 1984-04-26 Heraeus-Elektroden Gmbh, 6450 Hanau Bipolare elektrode
FR2559624B1 (fr) 1984-02-14 1986-05-23 Labinal Organe de contact electrique
FR2711853B1 (fr) * 1993-10-26 1995-12-01 Cinch Connecteurs Sa Organe de contact électrique femelle.
FR2719163A1 (fr) 1994-04-22 1995-10-27 Amp France Borne anti-corrosion par usure, destinée à recevoir une borne complémentaire.
JP3533536B2 (ja) * 1994-07-11 2004-05-31 住友電装株式会社 雌端子金具
US5630738A (en) * 1994-07-21 1997-05-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Female terminal, metal fixture
JPH10149855A (ja) 1996-11-15 1998-06-02 Amp Japan Ltd 電気コンタクト
JPH10189102A (ja) 1996-12-27 1998-07-21 Amp Japan Ltd 電気コンタクト
US6042433A (en) 1997-05-29 2000-03-28 The Whitaker Corporation Electrical contact
US6024612A (en) * 1997-09-23 2000-02-15 The Whitaker Corporation Receptacle contact
US6042453A (en) * 1998-10-09 2000-03-28 Varni; Walter Frame holding bee feeder
JP2000311738A (ja) * 1999-04-27 2000-11-07 Yazaki Corp 電気コンタク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1443B1 (ko) * 2007-03-09 2008-12-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266989A (ja) 2001-09-28
EP1137108A1 (en) 2001-09-26
US20010024913A1 (en) 2001-09-27
US6386928B2 (en) 2002-05-14
CN1341981A (zh) 2002-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93071A (ko) 전기콘택트
JP3351999B2 (ja) 電気コネクタ
US6394858B1 (en) Socket contact for electrical connectors
US7273397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KR100883950B1 (ko) 메이팅 커넥터에 축적된 정전하에 대한 보호부를 구비한커넥터
JP5051688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815456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H07296886A (ja) リセプタクル端子
KR100579653B1 (ko)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US6338638B2 (en) Electric connector and terminal
KR100279193B1 (ko) 고접촉력핀수용전기단자
US20190252828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910916B2 (en) Connector
WO1998029924A1 (en) Electrical contact
JP7298461B2 (ja) 雌端子及び雌コネクタ
US5690517A (en) Receptacle contact
KR100747612B1 (ko) 커넥터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JP2004139826A (ja) 端子構造
JP7435362B2 (ja) 端子金具および連鎖端子
EP141864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3246894B2 (ja) コネクタ
JP3307877B2 (ja) 電気コンタクト
KR200437688Y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3601773B2 (ja) 端子
KR20090073779A (ko) 리셉터클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