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1443B1 -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1443B1
KR100871443B1 KR1020070023518A KR20070023518A KR100871443B1 KR 100871443 B1 KR100871443 B1 KR 100871443B1 KR 1020070023518 A KR1020070023518 A KR 1020070023518A KR 20070023518 A KR20070023518 A KR 20070023518A KR 100871443 B1 KR100871443 B1 KR 1008714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ab
receptacle terminal
ov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2784A (ko
Inventor
배해성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3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1443B1/ko
Publication of KR20080082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14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넬(PANEL)을 가공하여 와이어 수용부(10)와, 탭(TAB)단자 수용부(20)와, 탄성부(21)와, 과변형방지부(22)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낫칭(NOTCHING)된 상기 판넬을 밴딩(BENDING)하여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공정(M1); 상기 제1 공정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에서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포밍(FORMMING)하는 제2 공정(M2);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과변형방지부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제3 공정(M3); 상기 절단된 과변형방지부의 단부를 단조가공(FORGING)하여 늘려서 과변형방지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4 공정(M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리셉터클단자, 4접점, 과변형방지턱.

Description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리셉터클 단자{A METHOED FOR MANUFACTURING RECEPTACLE TERMINAL AND A RECEPTACLE TERMINAL MADE BY THE METHOED}
도 1은 종래의 리셉터클단자의 전개도.
도 2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단자의 전개도.
도 3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단자의 측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단자의 측면 단면도.
본 발명은 판넬(PANEL)을 가공하여 와이어 수용부와, 탭(TAB)단자 수용부와, 탄성부와, 과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리셉터클 단자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 전자부품들은 전원부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전원 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부품들과 와이어들은 연결시 배선작업의 편리성 등을 기하기 위하여 커넥터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커넥터는 부품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숫커넥터와 상기 숫커넥터에 결합되며 전원부의 전원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와 접속되는 암커넥터로 나뉘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숫커넥터와 암커넥터에는 각기 다른 종류의 단자들을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숫커넥터에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탭단자와, 상기 암커넥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리셉터클단자로 나뉘어진다. 즉, 숫커넥터와 암커넥터의 결합시에 상기 숫커넥터에 내장된 탭단자가 상기 암커넥터에 내장된 리셉터클단자에 삽입됨으로써 전기적으로 결합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탭단자의 전방에는 가늘고 긴 길이를 가지는 탭이 연장 형성되고, 리셉터클단자의 전방에는 상기 탭단자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내부에는 삽입된 탭단자에 압력으로 지지하는 탄성부가 있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하지만, 탭단자는 삽입된 후에는 결합을 위해 고접압력을 요하게 되는데 상기 고접압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것은 구조적으로도 어려운 문제이다. 고접압력을 위해서는 리셉터클과 탭단자 사이의 접점의 갯수를 증가시켜야 하는데, 구조적 문제 때문에 제작 단가의 증가를 야기시켰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접점에서 탭단자와 접촉하도록 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 구조도 복잡해 지고, 제작 방법도 복잡해 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복잡한 형상을 위해 초기에 리셉터클 단자의 형상이 있는 판넬의 구조도 복잡해지고, 원재료도 많이 요구되어 스크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 단자의 제작 공정을 개선하여 초기 판넬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생산성 및 재료절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리셉터클 단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작된 리셉터클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판넬(PANEL)을 가공하여 와이어 수용부(10)와, 탭(TAB)단자 수용부(20)와, 탄성부(21)와, 과변형방지부(22)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낫칭(NOTCHING)된 상기 판넬을 밴딩(BENDING)하여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1 공정(M1);
상기 제1 공정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에서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포밍(FORMMING)하는 제2 공정(M2);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과변형방지부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제3 공정(M3);
상기 절단된 과변형방지부의 단부를 단조가공(FORGING)하여 늘려서 과변형방지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4 공정(M4)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셉터클 단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와이어 수용부(10)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서 연장된 탭(TAB)단자 수용부(20)와,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탄성부(21)와,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일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과 접촉가능하도록 교차된 과변형방지부(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본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리셉터클 단자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의 리셉터클 단자는 와이어 수용부와, 탭(TAB)단자 수용부와, 탄성부와, 과변형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수용부(10)는 탭단자를 수용하는 도전성 금속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수용부의 형상은 일반적인 리셉터클단자의 형상을 따른다. 하지만, 상기 탭단자수용부와 탄성부와 과변형방지부는 공지의 암단자와는 차이가 있다.
상기 탭(TAB)단자 수용부(20)는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서 연장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탭단자 수용부는 저벽(23)과, 상기 저벽의 양측에 구비된 두개의 측벽(24)과, 상기 두개의 측벽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저벽과 마주하는 상 벽(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21)와 상기 과변형방지부(22)는 상기 상벽(25)에 제공된다. 상기 과변형방지부(22)는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일측면에 제공된다. 다만, 상기 탄성부(21)와 상기 과변형방지부(22)는 서로 분리되어 서로 마주보는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과변형방지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측과 접촉가능하도록 교차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상벽에서 상기 탭단자가 진입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과변형방지부(22)가 상기 와이어 수용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벽에서 상기 와이어수용부측 단부에서 상기 탄성부(21)가 상기 탭단자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과변형방지부는 단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측과 접촉가능하도록 교차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의 과변형시 상기 탄성부의 단부가 상기 과변형방지부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저벽(23)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두개의 만곡 돌출부(26)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21)는 한쌍의 나란하게 연장된 접촉편으로,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탭단자의 진입시 네 지점에 의해 상기 탭단자와의 접촉이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리셉터클 단자에 의한 경우 다점에서 탭단자와 접촉하게 되어 단자간의 접속을 한층 안정적으로 보장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이하 공정은 도 4와 도 5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제1 공정(M1)은 판넬에 낫칭(NOTCHING)을 하여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의 전개면을 밴딩(BENDING)하여 리셉터클 단자의 형상을 대략적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본 공정은 일반적인 낫칭(NOTCHING)과 밴딩(BENDING)이 사용되기 때문에 별다른 설명을 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의 단자의 전개도는 종래의 4접점 리셉터클 단자와는 다르게 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기존의 4접점 리셉터클 단자의 전개도에서는 A와 같이 과변형방지부와 탄성부로 형성될 부분이 분리되어 있다. 그래서 과변형방지부가 될 부분이 크게 밖으로 나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밴딩을 하게 되면 구조가 복잡해서 밴딩을 하는 공정이 늘어나게 된다.
하지만 도 2와 같은 본 발명의 4접점 리셉터클 단자의 전개도에서는 과변형방지부가 탄성부와 붙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경우 그냥 일체로 밴딩을 하면 되기 때문에 밴딩 공정이 획기적으로 간단해진다.
제2 공정(M2)은 상기 제1 공정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에서 상기 탄성부(21)의 형상을 포밍(FORMMING)하는 작업공정이다. 이 공정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3 공정(M3)은 상기 탄성부(21)와 상기 과변형방지부(22)의 연결부분을 절단하는 공정이다. 앞서 제1 공정에서 보았듯이 본 발명의 단자는 과변형방지부와 탄성부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과변형방지부의 기능을 가지도록 할려면 도 5의 C와 같이 서로 단절시켜줘야 한다.
제4 공정(M4)은 상기 절단된 과변형방지부(22)의 단부를 단조가공(FORGING) 하여 늘려서 과변형방지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3 공정에서 단절된 과변형방지부는 절단된 부분이 탄성부와 같은 수직한 면에 위치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의 변형시에 과변형방지부의 기능을 하려면 상기 과변형방지부를 늘려줘야 한다.
특히 상기 제4 공정은 도 5의 D와 같이 상기 과변형방지부의 형상을 상기 리셉터클단자의 외측이 더 돌출된 단턱의 형상을 가지도록 단조가공을 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단턱에 의해 탄성부에 보다 안정적으로 방지 기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제조 방법에 의해 제작되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단자는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재료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종래에는 도 1과 같은 전개도를 사용하였으나, 이는 과변형방지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별도의 구조를 두어 성형해야 했다. 그래서 밴딩공정이 복잡해지고, 다시 과변형방지부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재료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탄성부와 일체로 형성된 과변형방지부를 사용하여, 밴딩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간단하게 절단하고 단조하는 공정에 의해 완성된다. 따라서, 다시 연결시키는 복잡한 공정이 필요없고 탄성부의 제작공정에 일체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기 때문에 원재료도 작게든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원재료도 획기적으로 절감시켰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해 간단한 판넬 구조에 의해서도 리셉터클 단자를 생산할 수 있게 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스크랩을 줄이게 되어 원재료를 절감하는 개선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생산된 리셉터클 단자는 원가가 절감되고 다점에서 탭단자와 접촉하게 되어 단자간의 접속을 한층 안정적으로 보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판넬(PANEL)을 가공하여 와이어 수용부와, 탭(TAB)단자 수용부와, 탄성부와, 과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변형방지부와 탄성부가 직접 이어지도록 판넬(PANEL)을 가공하는 제1 공정
    낫칭(NOTCHING)된 상기 판넬을 밴딩(BENDING)하여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을 형성하는 제2 공정;
    상기 제2 공정에 의해 형성된 리셉터클 단자의 외형에서 상기 탄성부의 형상을 포밍(FORMMING)하는 제3 공정;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과변형방지부의 연결부를 절단하는 제4 공정;
    상기 절단된 과변형방지부의 단부를 단조가공(FORGING)하여 늘려서 과변형방지부의 형상을 형성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공정은 상기 과변형방지부의 형상을 상기 리셉터클단자의 외측이 더 돌출된 단턱의 형상을 가지도록 단조가공을 하는,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3. 청구항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리셉터클 단자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는 와이어수용부와, 상기 와이어 수용부에서 연장된 탭(TAB)단자 수용부와,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일측면에 제공되는 탄성부와,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상기 탄성부와 동일한 일측면에 제공되며 상기 탄성부의 외측과 접촉가능하도록 교차된 과변형방지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단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단자의 탭단자 수용부는 저벽과, 상기 저벽의 양측에 구비된 두개의 측벽과, 상기 두개의 측벽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저벽과 마주하는 상벽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과변형방지부는 상기 상벽에 제공되고,
    상기 상벽의 상기 탭단자가 진입하는 방향의 단부에서 상기 과변형방지부가 상기 와이어 수용부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상벽의 상기 와이어수용부측 단부에서 상기 탄성부가 상기 탭단자가 진입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과변형방지부는 단부는, 상기 탄성부의 외측과 접촉가능하도록 교차적으로 위치하여, 상기 탄성부의 과변형시 상기 탄성부의 단부가 상기 과변형방지부에 접촉되는, 리셉터클 단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저벽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두개의 만곡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부는 한쌍의 나란하게 연장된 접촉편으로, 상기 탭단자 수용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상기 탭단자의 진입시 네 지점에 의해 상기 탭단자와의 접촉이 지지되는, 리셉터클 단자.
KR1020070023518A 2007-03-09 2007-03-09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KR1008714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18A KR100871443B1 (ko) 2007-03-09 2007-03-09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3518A KR100871443B1 (ko) 2007-03-09 2007-03-09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84A KR20080082784A (ko) 2008-09-12
KR100871443B1 true KR100871443B1 (ko) 2008-12-03

Family

ID=40021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518A KR100871443B1 (ko) 2007-03-09 2007-03-09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14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71A (ko) * 2000-03-23 2001-10-27 추후제출 전기콘택트
JP2002298964A (ja) * 2001-03-30 2002-10-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ーク低減端子構造
JP2003100372A (ja) * 2001-09-21 2003-04-04 Tyco Electronics Amp Kk 雌型コンタクト
JP2003142191A (ja) * 2001-10-31 2003-05-16 Kyocera Elco Corp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071A (ko) * 2000-03-23 2001-10-27 추후제출 전기콘택트
JP2002298964A (ja) * 2001-03-30 2002-10-11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アーク低減端子構造
JP2003100372A (ja) * 2001-09-21 2003-04-04 Tyco Electronics Amp Kk 雌型コンタクト
JP2003142191A (ja) * 2001-10-31 2003-05-16 Kyocera Elco Corp リセプタクルコンタク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784A (ko) 200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406241B (zh) 电连接器制造方法
CN208571041U (zh) 电连接器
CN102460840B (zh) 电连接器
US7985099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housin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CN104752901B (zh) 插座连接器及移动设备
CN105009386A (zh) 连接结构体的制造方法、连接结构体、线束、压接部件和压接装置
CN102195223A (zh) 电连接器及其组合
CN201075426Y (zh) 电连接器
US7393246B2 (en) Transfer card structure
CN204118348U (zh) 连接器组合件
CN111129807A (zh) 电连接器
US6755664B2 (en) Joint receiving connector
US7479047B2 (en) Assembly for connecting the stator windings of an electric motor to the respective power supply
TWM524585U (zh) 序列連接器
CN108565583A (zh) 正反插usb插头及其制造方法
KR100871443B1 (ko) 리셉터클 단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리셉터클 단자
CN101373880B (zh) 电连接器的制造方法
CN103081228A (zh) 压接端子
CN202025890U (zh) 电连接器的端子结构
JPH09115612A (ja) 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5582643B2 (ja) 端子及びジョイントコネクタ
CN205051032U (zh) 一种组合转换端子及汽车继电器
TWI426669B (zh) 線纜連接器組合及其製造方法、導電端子及其料帶
CN214378971U (zh) 一种连接器
CN209104435U (zh) 耳机插座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