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228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2281A
KR20010092281A KR1020010012838A KR20010012838A KR20010092281A KR 20010092281 A KR20010092281 A KR 20010092281A KR 1020010012838 A KR1020010012838 A KR 1020010012838A KR 20010012838 A KR20010012838 A KR 20010012838A KR 20010092281 A KR20010092281 A KR 200100922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
sheet
absorbent article
sidewall
free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653B1 (ko
Inventor
미즈타니사토시
다무라다츠야
노다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20010092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2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6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종래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에 경혈이 부착되면, 그곳에 체류하여 옆으로 새는 원인이 되고, 또한 장착자의 피부에 대하여 거부감을 일으키는 결점이 있었다.
생리용 냅킨의 폭 방향의 양측에 누설 방지 측벽(5)이 설치되어 있다. 누설 방지 측벽(5)은 측벽 시트(6)를 자유단(5c)에서 2번 접어 형성되어 있다. 측벽 시트(6)는 요철 주름(7)을 가지며, 기단(5b)과 자유단(5c)의 중간부에 평탄부(8a)가 설치되어 있다. 요철 주름(7)과 평탄부(8a)와의 경계부에 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구멍(11)으로부터 누설 방지 측벽(5)내로 경혈이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누설 방지 측벽(5) 내측의 표면에서 경혈이 체류하기 어렵게 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THE ABSORBENT ARTICLE}
본 발명은 주로 경혈 등의 배설액을 흡수 유지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체 수용측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측에 누설 방지 측벽이 설치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용 냅킨, 소변 흡수 패드,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이 여러 가지 개발되어 있다. 이들 흡수성 물품에서는 착용 중에 있어서 배설액을 액체흡수층에서 확실하게 흡수하고 배설액이 흡수성 물품 밖으로 새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 표면에 있어서 폭 방향의 양측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누설 방지 측벽을 형성한 것이 있다.
종래의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구조는 흡수성 물품의 톱 시트 상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수성 시트가 접합되어 있고, 이 소수성 시트에 흡수성 물품의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 부재가 접합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탄성 부재의 세로 방향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물품에 세로 방향으로 향하는 만곡력이 작용하는 동시에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이 흡수성 물품의 액체 수용측으로 일어서고, 이에 따라 경혈 등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 8-215244호에는 비평면 형상으로 성형한 합성수지 필름에 의해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을 형성한 흡수성 물품이 개시되어 있다. 이 흡수성 물품에서는, 세로 주름형 비평면 가공이 실시된 누설 방지 측벽이 장착자의 피부에 대하여 면에 의해 접촉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의 표면에 경혈 등이 부착되면, 이것을 액체 흡수층측으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상기 누설 방지 측벽에 체류한 경혈에 의해 장착자에게 위화감을 주거나 또는 옆으로 새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상기 일본 공개 공보 평성 제8-215244호에 개시된 것은 세로 주름이 가공된 누설 방치 측벽이 피부에 대하여 면에 의해 접촉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장착자의 피부와 누설 방지 측벽과의 밀착성이 좋지만, 상기 세로 주름 사이에 경혈 등이 체류하기 쉽다. 또한, 경혈이 체류한 누설 방지 측벽이 장착자에게 면에 의해 접촉하기 때문에 장착시의 불쾌감이 커진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부착된 액체를 흡수층측으로 유도하기 쉽게 하여 누설 방치 측벽에서의 경혈 등의 체류를 억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장착 감촉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옆으로 새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II-II선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을 포함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누설 방지 측벽의 확대 사시도.
도 6은 측벽 시트를 형성하는 성형 롤의 사시도.
도 7의 (A), (B)는 도 6에 도시된 성형 롤의 성형면의 전개 평면 사시도.
도 8의 (A), (B)는 도 7의 (B)의 A-A선 및 B-B선 확대 단면도.
도 9는 요철 주름과 평탄부 및 구멍이 형성된 측벽 시트의 부분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생리용 냅킨(흡수성 물품)
2 : 지지 시트
3 : 액체 흡수층
4 : 액체 투과성 시트
5 : 누설 방지 측벽
5b, 5d : 기단
5c : 자유단
6 : 측벽 시트
7 : 요철 주름
7a : 물결의 정상부
7b : 물결의 저부
8, 8a : 평탄부
9, 9a : 탄성 부재
11 : 구멍
본 발명은 지지 시트와, 액체 흡수층과, 상기 액체 흡수층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수용측 표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 기단이 접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액체 수용측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누설 방지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상기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시트가 자유단에서 되접어 꺾여 상기 기단에 도달함으로써 또는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 시트가 상기 자유단 또는 다른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접합됨으로써 적어도 2장의 측벽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있는 상기 측벽 시트에는 상기 2장의 측벽 시트 내로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을 구성하는 측벽 시트의 표면에 경혈 또는 소변 등이 부착되었을 때에, 이들 액체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2장의 측벽 시트 사이로 파고 들어가서 그대로 측벽 시트 사이에서 기단측으로 유도된다. 따라서, 측벽 시트에 부착된 액체가 측벽 시트에 체류하지 않고, 옆으로 새는 것을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설 방지 측벽으로서 자유단이 폭 방향의 외측을 향해 경사져 있고, 누설 방지 측벽이 장착자의 피부에 면에 의해 접촉하는 것인 경우에는 피부에 접촉하는 측벽 시트의 면에 액체가 체류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장착자에게 불쾌감을 주기 어려운 것으로 된다.
예컨대, 상기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있는 상기 측벽 시트에는 요철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 주름의 적어도 볼록부에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액체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측벽 시트가 겹치는 사이에 들어갔을 때에, 액체가 측벽 시트의 볼록부의 내측에 유지되거나 또는 볼록부의 내측을 따라 기단측으로 유도되기 때문에, 측벽 시트의 표면에 액체가 남기 어렵게 되어 상기 구멍으로부터 측벽 시트 사이에 액체가 쉽게 들어가게 된다.
상기 측벽 시트는 소수성 섬유로 형성되거나 또는 소수 처리된 부직포나 소수성의 수지 시트이고, 요철 가공이 행해져 있지 않은 시트로 형성되어 탄성 부재의 수축력 등으로 자연스런 요철이 형성된 것이어도 좋지만, 다음과 같이 물결형 요철 형상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있는 상기 측벽 시트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정상부와 저부가 상기 기단에서 자유단을 향해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늘어서는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과, 이 물결형 요철 주름을 횡단하는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결의 볼록부와 상기 평탄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정상부와 저부가 기단에서 자유단을 향해 연장되는 물결형의 요철 주름이 형성되고, 이 볼록부의 단부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경혈 등은 이 구멍으로부터 상기 볼록부 안으로 들어가서 이 볼록부의 내면을 따라 기단측으로 유도되게 된다.
또, 상기 평탄부는 상기 요철 주름이 완전히 찌부러진 문자와 같은 평탄부이어도 좋고, 상기 요철 주름보다 낮은 주름이 남아 있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구멍은 물결형 요철 주름과 상기 평탄부가 성형될 때에 상기 시트가 파단됨으로써 형성된다. 파단에 의해 상기 구멍을 형성하면, 측벽 시트의 요철 가공과 같은 공정으로 상기 구멍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탄부가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2장의 측벽 시트 사이에서는 상기 평탄부에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상기 평탄부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자유단에서의 상기 측벽 시트를 되접어 꺾은 부분에 형성되고, 또는 상기 평탄부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상기 기단과 상기 자유단과의 중간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또는, 상기 평탄부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상기 기단과 상기 자유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상기 평탄부에서 구부러지며, 이 구부러진 부분에서 자유단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해지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 또는 기단 근방에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측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면, 측벽시트와 측벽 시트의 사이에 유도된 경혈 등이 기단측의 구멍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시트 나아가서는 액체 흡수층으로 유도되게 된다.
또한, 측벽 시트와 측벽 시트 사이에 들어간 액체를 기단부내에서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 상에 확실하게 놓아주기 위해서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은 상기 액체 흡수층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의 상면, 또는 상기 액체 흡수층 상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벽 시트가 겹치는 쪽의 내면이 발수성이면, 측벽 시트와 측벽 시트 사이에 들어간 액체가 기부측으로 신속하게 유도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1 실시 형태로서 생리용 냅킨을 액체 수용측에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을 포함하는 부분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누설 방지 측벽의 자유단을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1)은 주로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에 대면하는 지지 시트(2)와, 장착자측으로 위치하여 배설액을 흡수하는 액체 흡수층(3)과, 액체 흡수층(3)의 액체 수용측 표면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4)를 갖고 있다.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의 폭 방향(X 방향)으로 향하는 측단부(4a)는 액체 흡수층(3)의 측방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2)의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상기 생리용 냅킨(1)의 폭 방향(X 방향)으로 향하는 양측부에서는,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쌍을 이루는 누설 방지 측벽(5, 5)이 설치되어 있다. 이실시 형태에서는, 각각의 누설 방지 측벽(5)이 1장의 측벽 시트(6)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측벽 시트(6)는 소수성의 부직포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 시트(6)의 일단부(5a)는 지지 시트(2) 상 및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 상에 걸쳐 접합되어 있고, 측벽 시트(6)는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의 상면을 기단(5b)으로 하여 지지 시트(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여 있다. 또한, 지지 시트(2)측으로 되돌아가서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 상에 기단(5d)이 접합된 상태로 측벽 시트(6)의 타단부(5e)는 상기 지지 시트(2)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은 2장의 측벽 시트(6)가 폭 방향(X 방향)으로 겹쳐진 2중 구조이다.
상기 측벽 시트(6)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 주름(7)은 정상부(7a)와 저부(7b)가 세로 방향(Y 방향)으로 반복하는 물결 형상이고, 상기 정상부(7a)와 저부(7b)는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 5d)에서 자유단(5c)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와 도 5에 도시된 것에서는, 상기 요철 주름(7)이 완전히 찌부러지거나 또는 상기 요철 주름(7)보다 요철이 제한된 평탄부(8, 8a)가 형성되고, 이 평탄부(8, 8a)가 상기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여 있다. 그리고, 이 평탄부(8)가 되접어 꺾여 있는 상기 자유단(5c)에는, 내측에 탄성 부재(9)가 접합되어 있다. 또, 탄성 부재(9)는 상기 자유단(5c) 이외의 개소, 예컨대,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 5d)과 자유단(5c)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상기 요철 주름(7)이 형성된 측벽 시트(6)는 그 자체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한다. 또한 상기 탄성 부재(9)에 의해서도 세로 방향(Y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이 발휘된다. 생리용 냅킨(1)의 세로 방향(Y 방향)의 양단부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5)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쓰러 뜨려진 상태로 액체 수용측 표면에 접합되어 있다. 따라서, Y 방향의 탄성 수축력에 의해 생리용 냅킨(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 방향(Y 방향)을 향해 액체 수용측이 오목형이 되도록 만곡하고, 또한, 누설 방지 측벽(5)은 자유단(5c)이 지지 시트(2)로부터 멀어지도록 일어선다. 또,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기단(5b, 5d)에 대하여 자유단(5c)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도록 누설 방지 측벽(5, 5)은 기울어진 방향으로 일어선다.
그리고,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장의 측벽 시트(6) 중의 폭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측벽 시트(6)에서는, 상기 요철 주름(7)과 평탄부(8)와의 경계부에 있어서, 상기 요철 주름(7)의 볼록부의 단부에 구멍(개공: 11)이 형성되어 있다. 경혈은 액체 투과성 시트(4)를 투과하여 액체 흡수층(3)으로 흡수되지만, 누설 방지 측벽(5)의 상기 액체 흡수층(3)측에 닿는 측벽 시트(6)에 경혈이 부여되었을 때, 경혈이 측벽 시트(6)의 표면에서는 요철 주름(7)의 저부(7b)를 걸쳐 액체 투과성 시트(4) 상에 유도된다. 또한 측벽 시트(6)의 표면을 체류하고자 하는 경혈은 상기 구멍(11)으로부터 누설 방지 측벽(5)을 구성하는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로 파고 들어가고,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에 들어간 경혈이 요철 주름(7)의 내면을 따라 기단(5b)측으로 전해져 액체 투과성 시트(4)에 부여된다.
여기서, 액체 흡수층(3)측으로 향해져 있는 폭 방향 내측의 측벽 시트(6)에서는, 기단(5b) 또는 그 근방에 있어서도 요철주름(7)을 횡단하는 평단부가 형성되고, 기단(5)에 있어서도 자유단(5c)측과 동일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혈은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에서 기단(5b)측으로 전해져 기단(5b)으로 개구하고 있는 구멍으로부터 액체 투과성 시트(4)에 부여되고, 액체 투과성 시트(4)를 통해 전해져 액체 흡수층(3)으로 흡수된다.
또,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액체 흡수층(3)의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측단부(4a) 상에 누설 방지 측벽(5)이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에서 기단측으로 전해진 경혈은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에 부여되어 상기 액체 흡수층(3)으로 유도되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이 액체 흡수층(3) 위를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4)의 상면으로부터 일어서는 구조로 하면,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에서 전해진 경혈이 상기 액체 흡수층(3)으로 흡수되기 쉽게 된다.
도 6은 측벽 시트(6)에 요철 주름(7) 및 평탄부(8)를 형성하고, 동시에 요철 주름(7)과 평탄부(8)와의 경계부에 구멍(11)을 형성하기 위한 열 프레스 공정의 설명도이다.
이 열 프레스 공정에서는, 열가소성 섬유로 형성되거나 또는 열가소성 섬유를 포함하는 멜트 블로우 부직포 등의 부직포를 성형 롤(21)과 성형 롤(22)로 끼워열 프레스한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α 방향과 β 방향으로 회전한다.
성형 롤(21)의 표면에는 성형면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A)는 성형 롤(21) 표면의 성형면을 평면으로 전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성형 롤(21)의 성형면은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엠보스형 성형 리브(23)와 홈(24)이 회전 방향(α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성형 롤(21)의 축 방향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성형 리브(23)의 상면으로 연속하면서 회전 방향(α 방향)으로 연속하는 볼록 주위면(25)이 형성되어 있다.
도 7의 (B)는 다른 쪽 성형 롤(22) 표면의 성형면을 전개하여 도시하고 있다. 성형 롤(22) 표면의 성형면에서는 롤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라이프 엠보스형 성형 리브(26)와 홈(27)이 회전 방향(β 방향)으로 일정한 피치로 반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성형 롤(22)의 축 방향의 중앙부에서는, 홈(27)의 저부에 연속하는 오목 주위면(28)이 회전 방향(β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이 맞물리면, 성형 롤(21)의 성형 리브(23)가 성형 롤(22)의 홈(27) 내에, 성형 롤(22)의 성형 리브(26)가 성형 롤(21)의 홈(24)에 파고 들어가도록 성형 리브(23)와 리브(26)가 맞물린다. 이 때, 성형 롤(21)의 볼록 주위면(25)이 성형 롤(22)의 오목 주위면(28)내에 맞물려 들어간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6A)를 성형 롤(21)과 성형 롤(22) 사이에 끼워 롤 회전에 의해 조출(繰出)하면, 성형 롤(21, 22)의 성형면에 의해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과 평단부(8a) 및 구멍(11)이 형성된 측벽 시트(6)를 얻을 수 있다.
측벽 시트(6)는 멜트 블로우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멜트 블로우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등이다. 단, 부직포와 수지 필름과의 라미네이트재이어도 좋고, 저밀도의 플라스틱 시트 등이어도 좋다.
이들은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것으로, 부직포의 경우에는 PE, PP, PET 섬유, 또는 PE/PP, PE/PET 등의 심초형(芯硝型)이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합성 섬유가 사용된다.
도 8의 (A)는 성형 롤(22)의 성형면을 도시한 도 7의 (B)의 A-A선 단면도, 도 8의 (B)는 도 7의 (B)의 B-B선 단면도이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의 성형면은 예컨대 상기 시트를 형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의 융점에서 10℃에서 50℃ 낮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A)에서는, 성형 리브(26)의 회전 방향(β 방향)에서의 배열 피치를 β1, 상기 배열 피치(β1) 사이에 있어서 성형 리브(26)와 홈(27)을 통과하는 연장 치수를 β2로 표시하고 있다.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에 의해 부직포(6A)가 끼워져 조출될 때에, 부직포(6A)에는 성형 왜곡{(β2-β1)/β1}이 부여된다. 이 때의 성형 왜곡은 부직포의 조출 방향으로의 파단 신도(파단 왜곡)보다 작게 설정된다. 이에 따라 부직포(6A)에는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이 파단되는 일없이 형성된다.
도 8의 (B)에 있어서, 상기 오목 주위면(28)의 개구단의 롤 축 방향의 거리를 O1, 상기 오목 주위면(28)의 폭 방향의 요철을 가미한 연장 치수를 O2라고 하면, 부직포(6A)에는 롤 축 방향(부직포(6A)의 폭 방향)으로 성형 왜곡{(O2-01)/O1}이 부여된다. 이 성형 왜곡을 부직포(6A)의 폭 방향으로의 파단 신도(파단 왜곡)보다 크게 설정해 두면,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에 의해 부직포(6A)의 폭 방향의 중앙부에 조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면(8)이 형성되는 동시에 요철 주름(7)과 평탄면(8)과의 경계부, 즉, 요철 주름(7)의 볼록부의 단부에 부직포의 파단에 의한 구멍(1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도 6에 도시된 성형 롤(21)과 성형 롤(22)을 이용함으로써, 요철 주름(7)과 평탄면(8) 및 구멍(11)을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상기 부직포 파단에 의해 형성된 구멍(11)이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또, 부직포에 파단을 일으키지 않고 상기 구멍(11)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오목 주위면(28)의 폭 방향 양 측부가 일어서는 각도(θ)가 90°이상이고 13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7)에서는, 물결의 정상부(7a)와 저부(7b)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높게 되어 있고, 물결의 측벽(7c)에 있어서 섬유 밀도가 낮게 되어 있다. 따라서, 요철 주름(7)은 쿠션성을 갖고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설 방지 측벽(5)을 형성하는 측벽 시트(6)에서는, 상기 정상부(7a)와 저부(7b)가 기단(5b, 5d)으로부터 자유단(5c)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11)으로부터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로 들어간 경혈은 상기 정상부(7a)와 저부(7b)의 고밀도 부분을 따라 기단으로 유도된다.
상기 정상부(7a)와 저부(7b)의 고밀도 부분의 밀도는 0.1 g/cm3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하나의 구멍(11)의 개구 면적은 0.0012 cm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멍(11)의 개구 면적이 상기 값 이상이면, 경혈이 구멍(11)으로부터 누설 방지 측벽(5) 내부로 들어가기 쉽게 된다.
또, 도 2에 있어서 누설 방지 측벽(5)을 형성하고 있는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와의 대향 내면에 발수 처리가 행해져 있으면, 측벽 시트(6)와 측벽 시트(6) 사이에 들어간 경혈이 기단측으로 신속하게 유도되게 된다. 발수 처리로서는 상기 측벽 시트(6)의 내면에 발수성 핫 멜트제를 도포하여도 좋거나 또는 측벽 시트(6)의 내면에 발수성 필름을 라미네이트하여도 좋다.
도 8의 (A)에 도시된 피치 β1 즉 요철 주름(7)의 피치는 0.5∼1 mm 정도인 것이 장착자의 피부에의 접촉 감촉을 양호하게 하기 위해 바람직하다. 또한, 누설 방지 측벽(5)의 기단(5b)에서 자유단(5c)까지 일어서는 높이 치수는 5∼25 mm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누설 방지 측벽(5)의 자유단(5c)에 부착되는 상기 탄성 부재(9)는 천연 고무, 합성 고무, 폴리우레탄,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로 형성할 수 있고, 그 형상으로는 실형, 필라멘트형, 필름형, 띠형(벨트형) 등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는 엘라스틱 스펀 본드 부직포나 엘라스틱 멜트 블로우 부직포 등의 신축성 부직포로부터 절단한 것 등도 사용 가능하다.
탄성 부재(9)가 설치된 한 쌍의 측벽 시트(6)는 1.2∼1.8배 정도 신장시킨 상태로 생리용 냅킨(1)에 접합되어 있다.
지지 시트(2)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지지시트(2)는 통기성 수지 필름, 발수 처리된 스펀 본드 또는 스펀 레이스 등의 부직포, 혹은 부직포의 이면에 통기성의 수지 필름이 접합된 것이다. 또, 지지 시트(2)의 이면에는 속옷 등의 외부 장착체 등에 걸리게 하기 위한 점착층이 설치되고, 생리용 냅킨의 사용시까지 점착층을 보호하기 위한 이형지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4)는 친수 처리된 PE 섬유, PP 섬유, PET 섬유, 또는 이들 복합 섬유 등으로 형성된 부직포로서,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이다. 혹은 개공 처리가 실시된 수지 시트이다.
액체 흡수층(3)은 분쇄 펄프 혹은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의 혼합물 등에 의해 형성되고, 분쇄 펄프 혹은 분쇄 펄프와 고흡수성 폴리머와의 혼합물이 티슈 등의 흡수성 시트로 둘러싸인 것이다.
도 3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이다.
도 3에 도시된 것에서는, 누설 방지 측벽(5)의 액체 흡수층(3)측의 측벽 시트(6)에 있어서, 상기 기단(5b)과 자유단(5c)과의 중간에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8a)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탄부(8a)와 그 상하로 위치하는 요철 주름(7)과의 경계부에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기단(5b)에도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자유단(5c) 부분에 있어서 도 2와 마찬가지로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생리용 냅킨의 변형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변형예에서는, 도 3과 마찬가지로 기단(5b)과 자유단(5c)과의 중간에 평탄부(8a)가 형성되고,이 평탄부(8a)와 그 상하의 요철 주름(7)과의 경계부에 구멍(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탄부(8a)의 내측에는 탄성 부재(a)가 접합되어 있고, 누설 방지 측벽(5)은 평탄부(8a)의 부분을 경계로 하여 く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절곡부가 되는 평탄부(8a)로부터 자유단(5c)으로 향하는 부분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해지고 있다. 이 경우도, 기단(5b) 및/또는 자유단(5c)에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3과 도 4에서는 내측의 측벽 시트(6)의 표면에 경혈이 부착되었을 때에, 이 경혈이 중턱부로 개구하는 구멍(11)으로부터 누설 방지 측벽(5)의 내부로 침투하기 쉽게 된다.
또, 도 2에서 도 4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1장의 측벽 시트(6)가 자유단(5c)에서 되접어 꺾여 누설 방지 측벽(5)이 2장의 측벽 시트(6)로 형성되어 있지만, 기단(5b)으로부터 일어서는 측벽 시트와, 기단(5d)으로부터 일어서는 측벽 시트가 자유단(5c) 또는 다른 영역에 있어서 세로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합부에 의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누설 방지 측벽(5)에 있어서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하는 측벽 시트는 내측의 측벽 시트(6)와 마찬가지로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도 좋고, 요철 주름(7)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외측으로 향하는 측벽 시트에는 구멍(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멍(11)은 부직포의 파단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핀 프레스 등으로 개구 가공된 것이어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이 생리용 냅킨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 소변 수거 패드나 다른 흡수성 물품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설 방지 측벽에 부착된 액체가 누설 방지 측벽 내로 유도되기 때문에, 누설 방지 측벽 표면에 액체가 남는 일이 없고,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누설 방지 측벽과 피부와의 접촉 감촉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Claims (11)

  1. 지지 시트와, 액체 흡수층과, 상기 액체 흡수층을 덮는 액체 투과성 시트와, 액체 수용측 표면의 폭 방향의 양측에 기단이 접합되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액체 수용측으로부터 떨어져 위치하는 누설 방지 측벽이 설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상기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 시트가 자유단에서 되접어 꺾여 상기 기단에 도달함으로써 또는 기단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측벽 시트가 상기 자유단 또는 다른 영역에서 세로 방향으로 접합됨으로써 적어도 2장의 측벽 시트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있는 상기 측벽 시트에는 상기 2장의 상기 측벽 시트 내로 연결되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있는 상기 측벽 시트에는 요철 주름이 형성되어 있고, 이 요철 주름의 적어도 볼록부에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 내측을 향해 있는 상기 측벽 시트의 적어도 일부분에는 정상부와 저부가 상기 기단에서 자유단을 향해 연장되고 세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늘어서는 물결 형상의 요철 주름과, 이 물결형 요철 주름을 횡단하는 평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결의 볼록부와 상기 평탄부와의 경계부에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은 물결형 요철 주름과 상기 평탄부가 성형될 때에 상기 시트가 파단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가 세로 방향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2장의 측벽 시트 사이에는 상기 평탄부에 세로 방향으로 탄성 수축력을 발휘하는 탄성 부재가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자유단에서의 상기 측벽 시트를 되접어 꺾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상기 기단과 상기 자유단의 중간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8.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는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상기 기단과 상기 자유단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은 상기 평탄부에서 구부러지며, 이 구부러진 부분에서 자유단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 향해지고 있는 흡수성 물품.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 또는 기단 근방에 상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방지 측벽의 기단은 상기 액체 흡수층의 측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의 상면, 또는 상기 액체 흡수층 상에 위치하는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의 상면에 접합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시트가 겹치는 쪽의 내면은 발수성인 흡수성 물품.
KR1020010012838A 2000-03-13 2001-03-13 흡수성 물품 KR1007106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8297A JP3862469B2 (ja) 2000-03-13 2000-03-13 吸収性物品
JP2000-68297 2000-03-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2281A true KR20010092281A (ko) 2001-10-24
KR100710653B1 KR100710653B1 (ko) 2007-04-24

Family

ID=18587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838A KR100710653B1 (ko) 2000-03-13 2001-03-13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92563B2 (ko)
EP (1) EP1133963B1 (ko)
JP (1) JP3862469B2 (ko)
KR (1) KR100710653B1 (ko)
CN (1) CN1195470C (ko)
AU (1) AU775124B2 (ko)
BR (1) BR0100962B1 (ko)
CA (1) CA2340561C (ko)
ID (1) ID29648A (ko)
MY (1) MY127134A (ko)
SG (1) SG165143A1 (ko)
TW (1) TW481982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2877B2 (ja) * 2000-11-27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6837879B2 (en) * 2001-10-31 2005-01-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ontainment flaps for absorbent article
JP4749284B2 (ja) * 2006-09-04 2011-08-1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290705B2 (ja) * 2008-11-07 2013-09-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9024108B2 (en) * 2009-11-30 2015-05-05 Marcia McManus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feminine sanitary retention and absorption
JP5977928B2 (ja) * 2011-06-06 2016-08-2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性物品
US9220641B2 (en) 2011-12-22 2015-12-29 Sca Hygiene Products Ab Disposable absorbent product with bonded lateral regions and related methods
US9259362B2 (en) 2013-05-22 2016-0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containment flaps
US9629757B2 (en) 2013-05-22 2017-04-2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including containment flaps
US9168181B2 (en) 2013-05-22 2015-10-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forming a containment system for an absorbent article
CN108697547A (zh) * 2016-02-29 2018-10-23 山田菊夫 一次性物品以及一次性物品制造方法
CN109199703A (zh) * 2018-09-05 2019-01-15 露乐健康科技(广州)有限公司 一种智能超湿报警纸尿裤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654A (en) * 1982-11-15 1992-02-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garment with breathable leg cuffs
US4695278A (en) * 1985-10-11 1987-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dual cuffs
JP2757931B2 (ja) * 1993-05-26 1998-05-25 株式会社日本吸収体技術研究所 テープレス形吸収体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909877B2 (ja) * 1995-02-02 1999-06-23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JPH08322877A (ja) * 1995-05-30 1996-12-10 Uni Charm Corp 使い捨て体液吸収性着用物品
CN1200020A (zh) * 1995-09-01 1998-11-25 麦克尼尔-Ppc公司 吸收制品
ES2170267T3 (es) * 1995-10-06 2002-08-01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con alitas con articulacion deformada y zonas de extensibilidad.
US5674213A (en) * 1995-10-30 1997-10-07 Kimberly 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containment flaps with receiving reservoirs
IN189366B (ko) * 1996-02-12 2003-02-15 Mcneil Ppc Inc
US6358233B1 (en) * 1996-03-13 2002-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cuate absorbent article with laterally extending flaps having longitudinal stretch
US5810800A (en) * 1996-06-27 1998-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flexure resistant elasticized cuffs
US6328723B1 (en) * 1998-03-10 2001-12-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microporous film
JP3859419B2 (ja) * 2000-03-07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933839B2 (ja) * 2000-03-07 2007-06-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59420B2 (ja) * 2000-03-13 2006-12-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10021837A1 (en) 2001-09-13
MY127134A (en) 2006-11-30
AU2645601A (en) 2001-09-20
JP3862469B2 (ja) 2006-12-27
EP1133963B1 (en) 2012-12-12
SG165143A1 (en) 2010-10-28
BR0100962B1 (pt) 2011-02-22
BR0100962A (pt) 2001-10-30
CA2340561C (en) 2007-02-27
TW481982U (en) 2002-04-01
JP2001252305A (ja) 2001-09-18
US6592563B2 (en) 2003-07-15
EP1133963A2 (en) 2001-09-19
KR100710653B1 (ko) 2007-04-24
AU775124B2 (en) 2004-07-15
EP1133963A3 (en) 2002-01-16
CN1318353A (zh) 2001-10-24
ID29648A (id) 2001-09-13
CN1195470C (zh) 2005-04-06
CA2340561A1 (en)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8429B1 (ko) 흡수성 물품
KR100706044B1 (ko) 흡수성 물품
KR100673913B1 (ko) 일회용 체액 흡수성 착용 물품
KR100473037B1 (ko) 남성용소변처리대
KR100784776B1 (ko) 팬츠형 일회용 착용 물품
KR100589464B1 (ko) 흡수성물품
KR100648156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투액성 표면 시트
JP3859419B2 (ja) 吸収性物品
WO2009107791A1 (ja) 吸収性物品
KR20020034933A (ko) 일회용 착용 물품의 부직포제 표면 시트
KR20100135809A (ko) 흡수성 물품
KR20020011087A (ko) 일회용 착용 물품
KR20030033993A (ko) 일회용 기저귀
KR19990087998A (ko) 생리대
KR20000053514A (ko) 체액 흡수성 물품
KR20040079433A (ko) 팬츠형의 일회용 착용 물품
JP2002000656A (ja) 吸収性物品
KR20010082740A (ko) 트렁크형 일회용 팬츠
WO2008056675A1 (fr) Article absorbant
KR100792194B1 (ko) 흡수성 물품
CN101677881A (zh) 吸收性物品
JP2963289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KR100710653B1 (ko) 흡수성 물품
JP4124314B2 (ja) 吸収性物品
JP6942499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