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0028A - 맞춤식 안경테와 이를 위한 형상재현기 - Google Patents

맞춤식 안경테와 이를 위한 형상재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0028A
KR20010090028A KR1020010045275A KR20010045275A KR20010090028A KR 20010090028 A KR20010090028 A KR 20010090028A KR 1020010045275 A KR1020010045275 A KR 1020010045275A KR 20010045275 A KR20010045275 A KR 20010045275A KR 20010090028 A KR20010090028 A KR 200100900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frame
shape
glasses
fram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1313B1 (ko
Inventor
진성식
Original Assignee
진성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성식 filed Critical 진성식
Priority to KR10-2001-004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3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90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0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테를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로 분류하여 생산, 전시하여 안경사와 안경착용자가 공장이 아닌 안경원에서 안경착용자의 시력과 외모에 적합하게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로 분류하여 선택하고 조립하여 안경의 의료용구적 기능과 심미적 기능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기존 안경테의 일반적 형태와 다른 형태의 안경테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안경착용자의 안경착용 부분의 외관과 귀걸이 부분의 외관을 동일하게 형상화 할 수 있는 형상재현기가 보조기로서 사용되며, 안경착용자가 안경을 착용하지 않아도 안경의 피팅(fitting)이 가능하며 맞춤 제작에서 오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맞춤식 안경테와 이를 위한 형상재현기{omitted}
지금의 안경테는 의료용구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국가에서 법적으로 공산품으로 분류되어 있을 만큼 안경테가 안경착용자인 환자의 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간과하여 왔다. 안경의 제작과정은 안경사와 의사 및 검안사가 환자의 시력과 외모를 고려하여 안경렌즈의 최소크기와 최대크기를 결정하면, 안경착용자가 자신의 외관에 어울리는 프레임(frame)과 연결부(bridge) 및 안경다리(temple)를 선택하여안경착용자의 얼굴에 적합하게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완성된 안경테 중에서 안경착용자의 시력과 외모에 적합한 안경테를 안경사와 안경착용자가 선택하여왔다. 이 과정에서 안경테의 의료용구적 기능과 안경착용자의 선택에 의한 심미적 기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자주 발생한다. 지금의 안경테는 제조업체가 안경테의 의료용구적 기능과 심미적 기능을 조합하여 생산하여왔다. 이로 인해서 제조업체는 안경착용대상자의 평균적 치수를 기준으로 제작하면, 이로 인한 오류와 오차는 안경원에서 피팅(fitting)을 통하여 교정하였다. 그러나 이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우선 안경착용자의 코의 형상과 안구의 크기와 시력 및 얼굴의 전면부에서 귀에 이르는 길이가 각기 다르며, 그 차가 안경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 특히 고도근시 환자와 고도원시 환자 및 성장속도가 빠르고 시력의 변화가 큰 유아와 어린이 및 청소년의 경우는 안경테의 잘못된 선택이 안경렌즈와 환자의 시력교정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지대하다 할 것이다.
또한 안경착용자 개개인의 외관과 개성이 고려되지 않은 안경테는 미적만족감에 있어서도 많은 안경테가 유사하게 인식될 정도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해 안경원에서는 가능한 많은 안경테를 구비하여 안경착용자의 심미적인 만족감과 함께 안경원의 중요한 기능인 환자의 적확한 시력교정에 의한 의료용구적 만족감도 충족시켜야 했다. 이로 인해 안경원은 많은 안경테와 이를 전시하기 위한 큰 매장을 필요로 하게 되었으며, 현재에 있어 안경원이 대형화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이는 많은 안경원에 많은 재고상품이 있게 하여 안경착용자인 구매자가 원가에 비해 높은 가격으로 안경테를 구매하게 하는 요인이기도 하다.
처음으로 안경을 착용하는 시기가 낮아짐에 따라 유아와 어린이 및 청소년의 안경착용자가 증가하고 있지만, 안경테의 구매 형태가 완성품을 구매하여야 하는 이유로 성장 속도가 빠르고 시력의 변화 또한 큼에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안경테로 바꾸지 못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안경테를 완성품이 아닌 부분품(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의 형태로 구매한다면 경제적인 부담도 많이 줄 것이다. 일반의 안경테는 도1과 같이 코안경(속칭 무테안경)과 보통안경(프레임이 구비된 안경테와 속칭 반 무테 안경)으로 나누어진다. 코안경의 경우 안경렌즈의 형태를 안경착용자의 얼굴에 적합하게 제작할 수 있고 프레임 부분이 없어서 깔끔한 느낌을 주는 등의 장점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지만, 프레임의 연결부(bridge)및 안경다리(temple)와 안경렌즈의 연결 및 고정부분이 도1의 ( E )와 같이 안경렌즈의 내부에 존재한다. 이로 인해 보통안경 보다 크게 안경렌즈를 가공해야 되기 때문에 고도 근시와 고도원시 환자의 경우 착용 후 외관이 보기에 좋지 않고, 제작에 있어 안경렌즈의 광학적 중심두께와 안경렌즈의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 차로 인한 경사각이 생김으로서 제작이 어렵고 안경테의 변형이 쉽다. 또한 렌즈의 파손이 많으며, 파손이 되는 경우에는 안경렌즈의 파편과 볼트(혹은 나사) 및 너트가 동공의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심각한 안구의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다. 보통안경의 경우 프레임과 연결부(bridge) 및 안경다리(temple)가 용접 및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사와 안경착용자가 안경착용자의시력과 외관에 적합한 안경테를 찾아야하는 번거로움과 안경테의 의료용구적 기능과 심미적 만족감을 동시에 추구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코안경의 가장 큰 장점인 안경렌즈의 형상과 크기에 대한 자유로움과 보통안경테의 변형이 적은 장점을 구비하여 안경테의 의료용구적 기능을 보다 쉽게 만족할 수 있도록 연결부와 안경렌즈를 나사나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거나 프레임으로 연결 및 고정한다. 코안경의 연결 및 고정장치는 안경렌즈의 내부가 아닌 외부로 옮김으로서 코안경의 단점을 극복한다. 안경테의 의료용구적 기능과 심미적 만족감을 동시에 높이기 위하여 안경테를 프레임(frame)과 연결부(bridge) 및 안경다리(temple)로 나누어 생산하고 전시하여, 안경착용자로 하여금 안경테의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를 각각 선택하여 구매하게 한다.
이를 위해 기존과는 다른 형상의 프레임(frame)과 연결부(bridge) 및 안경다리(temple)를 만들어야 한다.
도1은 기존 안경테의 형상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일반적 구성방법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연결부(bridge)와 안경다리(temple)의 형상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프레임(frame)의 형상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도2에 도시된 연결부(bridge)와 프레임(frame) 및 안경다리(temple)의 변형된 형상과 변형된 구성방법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안경착용부분의 얼굴 윤곽 형상재현기와 귀걸이부분의 윤곽 형상재현기
도1의 (A)와 같이 안경테는 프레임(frame)과 연결부(bridge) 및 안경다리(temple)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세 가지의 안경테의 부분품이의 형태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기존의 안경테는 도1의 (B)와 같이 세 가지의 부분품이 용접 및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연결 및 고정되어 있는 보통안경과 도1의 (E)와 같이 안경렌즈의 내부에 연결부와 안경다리를 연결 및 고정하는코안경(속칭 무테안경)으로 대별되어 왔다. 이의 중간형태로 도1의 (C)와 (D)와 같이 연결 및 고정방법은 도1의 (B)와 유사하지만 프레임의 상반부나 하반부를 낚시에 사용되는 nylon 소재의 가는 줄을 이용하여 안경렌즈를 연결 및 고정하는 안경테(속칭 반 무테안경)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상기와 같은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안경테를 도2와 같이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로 분류하여 도3과 도4 및 도5와 같은 형상으로 제작하여, 안경사와 안경착용자가 안경착용자의 시력과 외관에 적합한 안경렌즈의 크기와 모양 및 형태를 결정하고, 가공된 안경렌즈의 형상에 적합한 프레임을 결정한다. 선택된 프레임을 안경착용자의 외관을 고려하여 적합한 연결부와 안경다리를 선택한다. 안경사는 도6과 같은 안경착용자의 안경착용부분의 윤곽과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의 형상을 재현하는 형상재현기를 이용하여 안경착용자의 안경착용부분의 얼굴윤곽과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의 형상을 재현한다. 재현된 얼굴부분의 형상의 위에 선택된 프레임과 연결부를 올려놓는다. 이를 보고 안경사와 안경착용자는 적절한 선택인가를 판단한다.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가 최종 선택되면, 안경사는 각각의 부분품을 안경착용자에게 적합하게 전피팅(pre'fitting)을 한 후에 각각의 부분품과 안경렌즈를 연결 및 고정하여 안경착용자에게 착용하여 안경다리의 귀걸이 부분의 가공부위를 확인한다.
안경사는 두 개의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의 형상재현기를 이용하여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을 피팅(fitting)한다. 안경사는 다른 부분의 피팅(fitting)이 필요한 경우 기존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팅(fitting)한다.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테의 구성방법이다. 안경테는 도2의 (A)와 같이 프레임이 연결부 혹은 안경다리의 안경렌즈와의 접지 면과 반대되는 접지면에 접지 되는 기존의 방식과 다른 연결 및 고정방법을 사용하는 경우와 도2의 (B)와 같이 프레임과 안경렌즈의 접지 면과 반대되는 접지 면에 기존의 방식과 연결방법은 동일하지만 고정방법이 용접 및 이와 유사한 방법과 다른 경우로 대별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혼용되어 사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는 도2의 (A)와 같은 연결 및 고정방법을 사용하고, 안경다리는 도2의 (B)와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도 있다. 물론 이와는 정반대의 방법도 가능하다. 도2의 (C)와 (D)는 연결부가 안경렌즈의 광학적 중심부가 아닌 상반부에 위치하게 함으로서 안경테의 심미적 기능을 높이고, 안경렌즈의 형상을 보다 자유롭게 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에 의하여 안경테의 구성방법이 8가지가 있게된다.
도3의 (A)와 (B)는 안경다리와 연결부의 상면도로서 화살표가 가르치는 곳 혹은 그 반대되는 접지 면에 도3의 (C)와 (D) 같은 프레임과의 연결 및 고정장치가 있다. 도3의 (C)의 1,2,3,4,5는 안경렌즈의 역산각 혹은 구멍에 들어갈 돌출부분이 있는 경우이다. 이것의 돌출부분은 반대의 접지 면에 있도록 제작할 수 도 있다. 이러한 돌출부분을 홈이나 구멍이 되게 할 수도 있다. 도3의 6은 접지 되는 부분에 양쪽으로 1개 혹은 2개의 구멍을 원형의 단면을 가진 프레임이 연결 및 고정되게 하는 것이다. 구멍은 안경원에서 상황에 맞게 기구를 이용하여 만드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다.
도3의 (C)의 7은 접지 면의 단면을 원형이 아닌 사각형 혹은 육각형과 같이다각형으로 제작하여 프레임이 회전하지 않게 하고, 용접된 가는 철사가 프레임의 홈과 안경렌즈의 역산각에 의하여 고정하게 하는 것이다. 도3의 (C)의 8은 도3의 (D)의 1과 같이 연결부의 후면에 볼트나 너트가 있는 것이다. 이때 접지 면의 안에 구멍을 내어 너트와 연결이 되게 할 수 도 있다. 도3의 (C)의 9,10,11은 접지 면의 안쪽과 밖에 구멍 혹은 너트식 홈을 만들어 프레임을 고정하는 것이다. 9는 후면도 이고 10,11은 상면도 이다. 도3의 (C)의 12,13은 연결부와 안경다리에 도4의 (B)가 용접 및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영구히 연결 및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도3의 (C)의 14는 접지 면의 끝에 나사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3의 (C)의 15,16,17은 후면도와 상면도로서 도3의 (A)와(B)의 3,4와 같은 경우, 접지 면의 끝에 나사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3의 (D)의 1,2,3은 도3의 (C)의 19의 한 예로서 나사와 볼트 및 너트를 작고 견고하게 제작하여 기존의 안경테와 외형적 형상을 같게 하면서도, 안경테를 3가지의 부분품으로 분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3의 (C)의 18,19는 상기의 연결 및 고정방법이 적용되는 위치를 표시한 것으로 상기의 방법을 혼용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4의 (A)는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기존의 프레임과는 다르게 모두가(10을 제외하고) 역산각(reverse typed bevel)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역산각을 이용하면 프레임의 두께를 실처럼 가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정면에서 보이기에 평산각(flat typed bevel)과 중산각(v-typed bevel) 및 고산각(high typed bevel or hide typed bevel) 을 이용하는 것보다는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4의 (A) 5,7,12의 경우에는 모든 산각(bevel)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역산각을 이용하는 것이 그렇지 않은 것 보다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이 가능하며 두께도 얇게 제작할 수 있다. 두께가 얇아진다는 것은 무게가 가벼워진다는 것과 같다. 또한 안경렌즈의 정면에서 보이는 모양이 코안경처럼 자유롭게 된다. 그러나 프레임의 길이와 가공된 안경렌즈의 가장자리의 길이가 같아야한다. 도4의 (A)의 10은 평산각을 이용한 것이다. 이것은 프레임의 중간(연결부 혹은 안경다리와의 접지면)에 구멍을 뚫어 연결부 혹은 안경다리와 연결 및 고정한다. 도4의 (B)는 도4의 (A)의 1,2,6을 단면으로 하는 프레임이다. 도4의 (B)의 1은 양 끝이 연결되어 원형인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다. 끝이 연결된 원형인 경우에는 도4의 (A)의 모든 단면의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4의 (B)의 2,3,4,5는 프레임의 중간 혹은 끝에 너트와 연결되기 위한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4의 (B)의 6,7,8,9,10은 도4의 (B)의 1,2,3,4,5의 중간 혹은 끝에 홈이나 구멍에 걸리도록 걸림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4의 (B)의 11,12,13,14,15,16은 도4의 (B)의 1,2,3,4,5,6,7,8,9,10의 중간 혹은 끝에 나사와 볼트 혹은 너트와 같은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4의 (B)의 17,18은 도3의 (D)의 1과 연결부와 안경다리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는 나사와 볼트 및 너트와 같은 장치가 1개 혹은 2개가 장치되어 있는 것이다.
도4의 (C)는 도4의 (A)의 3,4,5,7,8,9,10과 같이 평평한 단면이 있는 경우에 주로 이용된다.
도4의 (C)의 1은 한쪽은 너트의 역할을 하고 한쪽은 나사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너트의 역할은 하는 부분이 나사와 프레임의 중간에 삽입된다.
도4의 (C)의 2는 프레임의 중간 혹은 끝에 너트와 같은 장치가 있는 것이다.도4의 (C)의 3은 프레임의 중간 혹은 끝에 구멍이 있는 걸림 장치가 있어 다른 프레임과 연결되거나 혹은 나사와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4의 (C)의 4는 도4의 (B)의 프레임에 장식물이 장착된 것이다. 예를 들어 장식물은 브로우라인(brow line)테의 윗덥개(front)와 같은 것이다. 도4의 (C)의 5는 동일한 소재의 프레임이 도4의 (A)와 같은 단면을 2가지를 가지고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4의 (A)의 1과 도4의 (A)의 3과 같은 단면이 한 개의 프레임에 공존하는 것이다. 도4의 (C)의 6은 프레임의 증간 혹은 끝에 나사 혹은 볼트와 같은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4의 (C)의 7은 도4의 (C)의 5와 같은 프레임에 너트 혹은 나사와 볼트와 같은 장치가 있는 것이다. 도4의 (C)의 8은 도4의 (B)의 6,7,8,9,10,13과 같이 걸림 장치가 있는 프레임과 연결하기 위하여 한쪽의 끝이 구멍을 뚫을 수 있게 되어 있거나 뚫어져 있는 것이다.
도4의 (C)의 8은 프레임의 중간 혹은 끝에 상기에 열거된 연결 및 고정장치의 위치를 표시한 것으로서 상기의 열거된 연결 및 고정장치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생산자는 프레임의 소재와 형상을 통하여 프레임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프레임의 소재와 형상을 통하여 프레임의 형상이 고정되게 제작하여 안경렌즈의 형상이 결정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안경착용자와 안경사가 프레임을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중의 하나인) 자유롭게 연결부와 안경다리를 선택하여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도5의 (A)는 상기에 설명한 것과는 다른 형상의 연결부와 안경다리 및 프레임이다. 도5의 (A)와 (B)의 1,2는 도2의 연결부분의 형상이의 형사인 것과는 다르게 ┗와 ┛의 형상과의 형상인 것이다.
이것의 프레임 혹은 안경렌즈와의 접지 면은 도5의 (B)의 3,4와 같이 프레임의 1/4이 될 수도 있다. 또한 도5의 (A)의 9,10과 도5의 (B)의 6,7과 같이 1/2 이 될 수도 있다. 도5의 (A)와 (B)의 8과 같은 와의 형상으로 프레임 혹은 안경렌즈와의 접지 면이 1/2 이 될 수도 있다.
도5의 (A)의 3,4,5는 도2의 (C)와 (D)가 변형된 것이다. 이는 안경테의 소재와 디자인의 통일성과 동질성을 통하여 심미적 기능을 높이고자 하는데 있다. 또한 연결 및 고정 장치가 단순 간결해짐으로서 조합 및 조립을 손쉽게 하고자 하는데 있다.
코받침(clings)은 프레임 혹은 연결부에 장착되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프레임을 코받침이 없는 것을 택하였다면 연결부는 코받침이 있는 것을 택하여야 할 것이다. 코받침은 도면에서 그 표현을 생략하였다.
도6은 맞춤식 안경테를 제작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인 많은 시간이 소비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안경착용자가 안경을 완성품이 아닌 부분품으로 구입을 하게 되는 경우에는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로 나누어 선택을 하게 됨으로서 특정의 안경다리만을 구매하는 경우에는 매우 적은 시간이 소비되지만, 프레임과 안경다리 및 연결부를 모두 구매하게 되는 경우에는 기존의 방식에 비하여 많은 시간이 소비되며, 선택된 부분품을 조합하여 일일이 착용하여 볼 수 도 없다. 또한 안경사가 안경렌즈의 가공을 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는 있지만, 형태가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경착용자가 원하는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가공 및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6의 (A)와 같이 무수히 많은 구멍이 뚫린 도6의 (B)를 이용하여 고정이 가능한 틀에 끝이 볼록한형의 매우 가는 30cm 정도의 봉을 도6의 (A)의 구멍에 삽입하여 도6의 (C)와 같이 얼굴에 대어 얼굴의 형상을 만든다. 이를 도6의 (B)와 같은 2가지 중의 1가지 방법으로 봉을 도6의 (A)의 형상재현기예 고정시켜 재현된 안경착용자의 얼굴의 형상을 유지한다. 도6의 (B)의 첫 번째의 것은 끝에 손으로 조일 수 있는 볼트식으로 된 고정장치를 한다. 두 번째의 경우는 봉의 가운데 삽입된 고정장치의 끝에 손으로 조일 수 있는 볼트식으로 된 고정장치를 한다.
안경착용자의 얼굴 윤곽을 형상화한 형상재현기에 연결부와 안경다리를 올려놓고, 프레임의 형상을 조정하여 안경착용자가 원하는 형상으로 만들어 형상재현기의 봉과 봉 사이의 틈에 끼워 넣는다. 끼워진 프레임에 맞추어 안경렌즈의 가공을 위한 형판을 대고 형판 위에 밑그림을 그린다. 밑그림에 맞추어 형판을 제작한다. 형판을 이용하여 기존의 방법으로 안경렌즈를 가공하고 조합 및 조립된 안경테에 맞추어 안경을 조제한다.
조제된 안경을 안경착용자에게 착용시켜 안경다리의 귀걸이 부분의 위치를확인한다. 도6의 (D)와 같은 귀걸이 부분의 윤곽을 형상화하는 안경귀걸이 형상재현기를 이용하여 안경귀걸이 부분의 형상에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을 밀착시켜 재현된 형상에 맞도록 피팅(fitting)을 한다. 귀걸이부분의 형상재현기는 얼굴의 형상재현기의 봉과는 다르게, 한쪽 끝은 볼록하고 다른 한쪽은 오목하다. 볼록한 끝은 귀걸이 부분에 대고 오목한 부분은 안경다리의 귀걸이부분을 댄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안경사와 안경착용자가 함께 안경테의 가장 중요한 두가지 기능인 의료용구적 기능과 심미적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안경테를 공장이 아닌 안경원에서 안경착용자의 시력과 외모에 적합하게 안경테의 부분품을 조합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즉 생산자 중심의 생산방식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안경테시장이 변화되는 것이다. 기존의 생산방식에 있어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의 접합은 용접 혹은 이와 유사한 형태의 가공으로 인해 수공적인 생산라인이 많이 필요했다. 그러나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를 접합하지 않게 됨으로서 생산라인의 많은 부분을 자동화 할 수 있고, 불량률과 재고율을 낮출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될 것이다. 기존의 안경테는 100장의 안경테로 100개의 안경테 디자인을 구현하였지만, 동일한 100장의 안경테를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로 분류하여 본 발명에 의하여 생산한다면 안경원은 1000000장의 안경테의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안경사와 안경착용자는 안경테를 완성품이 아닌 부분품으로 구입함으로서 안경테 구입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이 줄며, 소비형태도 다양화 될 것이다. 상기에 열거된 기존 안경테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Claims (5)

  1. 안경테를 프레임과 연결부 및 안경다리로 분류하여 도 2와 같이 조합하고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2. 청구항 1과 같은 안경테를 실현하기 위한 도3과 같은 형상을 갖는 안경용 연결부와 안경다리
  3. 청구항 1과 같은 안경테를 실현하기 위한 도4와 같은 형상을 갖는 안경용 프레임
  4. 청구항 1과 같은 안경테를 실현하기 위한 도5와 같은 형상을 갖는 안경용 부분품
  5. 청구항 1과 같은 안경테를 실현하기 위한 도6과 같은 형상을 갖는 안경착용자의 얼굴 윤곽과 귀걸이부분의 윤곽을 입체적으로 형상화하는 형상재현기
KR10-2001-0045275A 2001-07-26 2001-07-26 맞춤식 안경테 KR100491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75A KR100491313B1 (ko) 2001-07-26 2001-07-26 맞춤식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5275A KR100491313B1 (ko) 2001-07-26 2001-07-26 맞춤식 안경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0028A true KR20010090028A (ko) 2001-10-18
KR100491313B1 KR100491313B1 (ko) 2005-05-25

Family

ID=19712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275A KR100491313B1 (ko) 2001-07-26 2001-07-26 맞춤식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3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1004A (ja) * 1991-08-30 1993-03-12 Hoya Corp 眼鏡フレームの鼻当ての決定方法
KR200192155Y1 (ko) * 1997-04-23 2000-09-01 박수안 물 안경
JP3537831B2 (ja) * 1997-05-16 2004-06-14 Hoya株式会社 眼鏡のオーダーメイドシステム
JP3611972B2 (ja) * 1998-10-12 2005-01-19 Hoya株式会社 眼鏡装用シミュレ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
JP2002014305A (ja) * 2000-06-28 2002-01-18 Megasaachi:Kk 眼鏡選択支援システム、サーバ、眼鏡選択支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1313B1 (ko)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1211B2 (ja) 眼鏡アセンブリ
US2537047A (en) Ophthalmic lens for spectacles affording increased field of vision
JP3110736B1 (ja) リムレス眼鏡フレームおよびリムレス眼鏡
US6183081B1 (en) Kit providing independent right and left eyeglass lenses with side frames and method for assembly thereof
WO2006065072A1 (en) Glasses formed of sections
JP4949967B2 (ja) 左右一体形の一対の眼鏡レンズ及び左右一体形眼鏡
KR100491313B1 (ko) 맞춤식 안경테
JP3030301B1 (ja) メガネフレ―ム用連結部材
CN216118251U (zh) 一种新型眼镜
JP5046333B2 (ja) 眼鏡のレンズ歪防止構造、眼鏡のレンズの切削加工方法
JP3238292U (ja) レンズの外側部にヨロイを係合して取付けたサングラス及び眼鏡
CN204155015U (zh) 一种镜腿结构
KR101832140B1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JP6560066B2 (ja) 眼鏡フレームのテンプル角度調節構造、及び眼鏡フレーム用エンドピース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KR20200000886U (ko) 안경테 스타일 및 브릿지 길이에 적합하게 동공간거리를 결정할 수 있는 안경
JP4620883B2 (ja) 眼鏡
CN213544974U (zh) 眼镜
JP3232996U (ja) 眼鏡のフロント部分とテンプル部分をつなぐ蝶番の形状、材質を工夫することで、容易に蝶番を付け替えることができ、かつ顔幅に適したかけ心地を実現する眼鏡。
JP2022099388A (ja) ナイロール式メガネ
JP3100890U (ja) 検眼用フレーム
JP3008949U (ja) サングラス及びサングラス用レンズ
US2952187A (en) Spectacle frame
JP2502834B2 (ja) 眼鏡用レンズ及び眼鏡
JPH07122700B2 (ja) 眼 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