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620A -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브라운관 - Google Patents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브라운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620A
KR20010089620A KR1020017009248A KR20017009248A KR20010089620A KR 20010089620 A KR20010089620 A KR 20010089620A KR 1020017009248 A KR1020017009248 A KR 1020017009248A KR 20017009248 A KR20017009248 A KR 20017009248A KR 20010089620 A KR20010089620 A KR 200100896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lection electrode
color
corner
color selection
corner conn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르놀듀스 아. 엠. 핸드릭스
빌헬무스 엠. 엠. 반데스틴
진 빈터
삐에트 세. 요트. 반렌즈
Original Assignee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트.게.아. 롤페즈,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요트.게.아. 롤페즈
Publication of KR20010089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62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16Mounting arrangements of aperture plate to frame or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칼라 선택 전극(12)을 개선된 방식으로 현가시키는 장치를 구비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가 개시된다. 예를 들어 칼라 순도의 양호한 특성을 갖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안정도가 탁월해야 한다는 사실은 특히 중요하다. 특히, 와이드-스크린 브라운관은 칼라 선택 전극(12)을 쉬프트시켜 변색을 야기하는 충격에 민감한 듯하다.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안정도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코너 연결부품(16)의 견고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에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41)를 도입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코너 연결부품(16)에 관하여 상기 지지 요소(17)의 위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개선을 얻을 수도 있다.

Description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COLOR DISPLAY TUBE WITH IMPROVED SUSPENSION OF THE COLOR SELECTION ELECTRODE}
서두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은 미국 특허(US 5,003,21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에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코너에 현가되며, 네 개의 다이어프램 부와 네 개의 코너 연결부품으로 구성된 프레임을 구비하는 칼라 선택 전극이 제공된다.
미국 특허(US 5,003,218)에 기술된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에는, 브라운관의 넥 부(neck portion)에 장착된 세 개의 전자 총으로부터 나오는 전자 빔이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안쪽에 있는 전자발광(electroluminescent) 물질 중 하나의 칼라만을 여기시키는 것을 확실히 하기 위한, 칼라 선택 전극이 제공된다. 이러한 칼라 선택은 예를 들어 브라운관 내에 섀도우 마스크를 적용시킴으로써 성취된다. 상기 마스크는 일반적으로 슬롯 또는 점 패턴으로 배열된 매우 많은 수의 구멍을 구비한다. 칼라 선택 전극이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 내에서 안정하게 위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칼라 선택 전극의 위치에 약간의 일탈이 생긴다면 화질의 악화를 초래할 것이다. 칼라 선택 전극이 약간만이라도 쉬프트되면, 칼라 선택 전극의 섀도윙 효과는 변화되어, 결과적으로 전자 빔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있는 적절한 전자발광 물질을 맞출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빗맞춤(misregistration)은 해당하는 칼라를 내지 못하게 하며, 더 나쁜 경우에는 다른 칼라의 전자발광 물질을 여기하게 한다. 이러한 빗맞춤은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변색(discoloration)을 야기하며, 결국에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화질 악화를 초래한다. 현장에서는 미국 특허(US 5,003,218)에 기술된 것과 같은 현가 시스템이 제공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은 그 정도가 지나쳐 화질에 관하여 증가하는 요구를 충족시킬 수 없을 정도의 변색을 나타낸다. 특히 와이드-스크린 브라운관(wide-screen tube) 및 리얼 플랫(real flat) 또는 거의 평평한 외면(flat outer surface)을 갖는 브라운관은 이런 문제점에 취약하다. 지나치게 많은 충돌 위치의 편차를 갖는다는 것은 공지된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불이익한 점이다.
본 발명은 주위의(circumferential) 직각 테두리(upright edge)와 코너 영역(corner area)을 갖는 디스플레이 윈도우, 및 강체부(rigid portion)를 갖는 코너 연결부품(corner section)을 포함하는 프레임을 구비하며, 현가 수단(suspension means)이 코너 연결부품에 연결된 채, 코너 영역에 고정된 지지 요소에 현가된(suspended) 칼라 선택 전극을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칼라 선택 전극에 사용되며, 강체부와 현가 수단을 구비하는 코너 연결부품 및 그러한 코너 연결부품이 제공되는 칼라 선택 전극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브라운관에 장착되는 칼라 선택 전극의 정면도.
도 3은 변위 측정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장착된 칼라 선택 전극의 정면도.
도 4는 칼라 선택 전극의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칼라 선택 전극의 종래 현가장치를 도시하는, 도 1과 같은 브라운관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코너 영역 및 칼라 선택 전극의 코너 연결부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선택 전극의 코너 연결부품을 나타내는, 도 1의 브라운관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선택 전극의 코너 연결부품 및 인접한 다이어프램 부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선택 전극의 코너 연결부품 및 인접한 다이어프램 부의 전개 사시도.
도 10은 직접적인 장착이 용이한 내부 자기 쉴딩.
본 발명의 목적은 서두에서 기술된 형태와 비교할 때 개선된 현가 시스템을 갖는 칼라 선택 전극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윈도우 상에서 맞춤 에러(registration error)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각 강체부에 상기 강체부에 고정되어 코너 연결부품의 견고성(stiffness)을 증가시키는 부품을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에 의하여 실현된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관련한 칼라 선택 전극의 위치 정확도가 개선될 때 맞춤 에러는 최소화된다는 인식에 그 기초를 두고 있다. 이것은 칼라 선택 전극의 현가 시스템의 견고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 경우, 제조 공정 중에 칼라 선택 전극의 변형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또한 최종 생산품에 관하여 본다면, 칼라 선택 전극은 더욱 더 정확하게 위치가 정해진다.
빗맞춤의 두 번째 원인은 제조가 완료된 후에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에 일어날 수도 있는 칼라 선택 전극의 쉬프트(shift)이다. 이러한 쉬프트는 예를 들면 수송 과정 중에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이 직면하게 되는 강한 충격에 기인한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현가 시스템의 더 큰 견고성은 칼라 선택 전극의 더 큰 위치적인 안정도를 보장한다.
이렇게 더 큰 견고성은 강체부에 한 부품을 첨가하고 이를 강체부에 고정시킴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하는 것은 모든 종류의 꼭 영구적이어야할 필요는 없는 견고한, 예를 들면 용접, 아교접착(gluing), 나사결합(screwing)등의 수단에 의한 연결을 포괄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강체부는 메인 플레이트와 경사진 표면을 포함한다는 점 및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부품은 메인 플레이트와 경사진 표면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는 현가 요소의 구부러지는 양을 감소시킨다. 이것은 유리 패널의 코너 영역에서 칼라 선택 전극과 지지 요소 사이의 더 견고한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마스크의 위치적인 정확도는 개선되고 따라서 화질이 개선된다.
두 번째 바람직한 실시예는 지지 요소의 자유 단부(free end portion)를 실질적으로 코너 연결부품의 강체부의 메인 플레이트와 일치하는 평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견고성이 한층 증가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수단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관하여 칼라 선택 전극의 위치적인 안정도를 증가시키는데, 이는 칼라 선택 전극의 가능한 쉬프트가 지지 요소의 평면과 사실상 일치하는 코너 연결부품의 메인 플레이트의 평면에서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조 덕분에, 지지 요소의 자유 단부와 강체부의 메인 플레이트 사이에는 운동량(momentum)이 전혀, 또는 실질적으로 없다. 이것으로 인하여 칼라 선택 전극은 예를 들면 충격에 대해 매우 강인하게(robust) 되는데, 이는 칼라 선택 전극이 지지 요소 주위로 거의 회전을 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코너 연결부품의 강체부에는 직각의 테두리가 제공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코너 연결부품의 견고성은 이러한 수단에 의하여 한층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각 테두리는 메인 플레이트의 테두리를 접음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그 이외에 추가적인 실시예는 지지 요소의 자유 단부를 실질적으로 코너 연결부품의 강체부의 직각 테두리와 일치하는 평면에 위치시킴으로써 견고성이 한층 증가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가 요소의 비틀림은 감소되고 따라서, 위치적인 안정도가 개선된다.
본 발명은 칼라 선택 전극의 코너 연결부품과 이러한 코너 연결부품이 제공된 칼라 선택 전극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또는 다른 양상은 도면을 참조한 비제한적인 예 및 지금부터 기술될 실시예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며 또한 그러한 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은 디스플레이 윈도우(3), 펀넬-형(funnel-shaped) 부분(4) 및 넥(neck)(5)을 구비한 진공의 유리 엔빌로프(envelope)(2)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칼라(즉, 적색, 녹색 및 청색)로 발광하는 형광체의, 예를 들면, 선이나 점의 패턴을 구비하는 스크린(6)은 디스플레이 윈도우(3)의 안쪽에 배치될 수 있다. 형광체 패턴은 전자 총(10)에 의해 생성된 세 개의 전자 빔(7, 8 및 9)에 의해 여기된다. 전자 빔(7, 8 및 9)은 스크린에 도달하기 전에 편향 유닛(11)에 의하여 편향되어 체계적으로 스크린(6)을 주사하게(scan) 된다. 전자들은 스크린(6)을 맞추기 전에 칼라 선택 전극(12)을 통과한다. 이러한 칼라 선택 전극(12)은 실질적인 칼라-선택 부분인 섀도우마스크(shadow mask)(13)를 포함하는데, 이 섀도우 마스크는 전자 빔을 분리시켜(intersect) 전자들이 적절한 칼라를 내는 형광체를 맞추도록 한다. 마스크(13)는 원형 또는 가늘고 긴(elongate) 구멍을 구비하는 구멍 뚤린 마스크 또는 와이어 마스크일 수 있다. 칼라 선택 전극(12)은 또한 마스크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4)을 포함한다. 프레임(14)에서 다른 것들과 구별되는 부분은 코너 연결부품(16) 및 상기 코너 연결부품(16)를 서로 연결하는 다이어프램 부(diaphragm part)(15)이다. 칼라 선택 전극(12)은 디스플레이 윈도우(3)의 코너 영역(18)의 직각 테두리(upright edge)에 고정되어 있는 지지 요소(17)를 사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윈도우(3)에 현가된다(suspended).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에 칼라 선택 전극(12)을 현가하는 이러한 방식은 앞으로는 코너 현가(corner suspension)로 언급될 것이다.
도 2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정면도이다. 도면에서 코너 연결부품(16)은 두 개의 주요 부분을 포함하는데, 그 두 부분은 다이어프램 부(15)들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강체부(rigid portion)(19)와 칼라 선택 전극(12)을 디스플레이 윈도우(3)에 현가시키기 위한 현가 요소(20)이다. 마스크(13)는 다이어프램 부(1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 표시된 마스크 부분(21)은 예를 들어 표시한 것이다. 제조 공정에서, 특히 매트릭스와 형광체 층을 증착(depositing)하는 공정에서 칼라 선택 전극(12)은 여러 차례 디스플레이 윈도우(3)에 삽입되거나 디스플레이 윈도우(3)로부터 빼어내야만 한다. 매트릭스와 형광체 패턴의 요구되는 정확도에 관한 필요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칼라 선택 전극(12)이 다시 삽입될 때 매우 정확히 그 위치가 재현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에서 칼라 선택 전극(12)의 고도의 위치적인 안정도가 필요하다.
점점 그 중요도가 증가하는 현재의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의 다른 측면은 특히 동쪽/서쪽 방향에서의 수송(transportation) 또는 충격(shock)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안정도이다. 동쪽/서쪽은 보통 세 개의 전자 빔(7, 8 및 9)의 평면에서의 방향을 위해 사용된다. 통상 이것은 수평면 방향이다. 특히 4:3보다 더 비가 큰, 바람직하게는 16:9의 화면 비를 갖는 와이드-스크린(wide-screen)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은 이러한 충격에 매우 민감하다. 100㎛에 까지 이르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변위가 일어날 수 있는데, 이러한 변위는 브라운관(1)의 칼라 순도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 효과는 종종 '스윙 효과(swing effect)'라고 불리어진다.
칼라 선택 전극(12)의 스윙 효과는 히스테리시스(hysteresis) 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도는 도 3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은 측정 장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칼라 선택 전극(12)은 디스플레이 윈도우(3) 내에 위치하고 지지 요소(17) 상에 현가된다. 중립 상황에서 시작하여, 힘(F)이 칼라 선택 전극(12)에 동쪽/서쪽 방향으로 인가된다. 인가된 힘의 범위에 대해(영에서 임의의 최대치까지, 다시 영을 거쳐, 임의의 최소치까지 그리고 다시 영까지), 칼라 선택 전극의 결과적인 변위(S)가 측정된다. 이러한 측정의 결과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은 힘이 다시 영으로 복귀되더라도 일정한 양의 변위가 남아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이것이 소위 히스테리시스 효과이다. 이러한 히스테리시스의 결과로서, 브라운관이 어떤 외부적인 힘에 노출되었다면(그리고 이 힘은 다시 영으로 감소된다), Smin과 Smax사이의 전체 범위에 존재할 수 있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어떤 변위가 후에도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체 범위는 지금부터 칼라 선택 전극(12)의 전체 위치 부정확도인 총히스테리시스(H){미터(m) 단위임}로 명명된다. 이러한 범위 내에서, 시스템은 중립적인 위치로 칼라 선택 전극(12)을 다시 되돌릴 수 있는 충분한 내부적인 힘이 없다. 이러한 총히스테리시스(H)는 두 가지 인자에 의해 결정되는데, 그 두 가지 인자는 지지 요소(17)에 대한 현가 요소(20)의 마찰력(W)과 칼라 선택 전극(12)의 견고성(stiffness)(C)이다. 마찰력(W){뉴우튼(N) 단위로}은 변위가 영일 때 힘의 범위로서 정의된다. 견고성(C)(N/m 단위로)은 큰 힘에 대한 히스테리시스 곡선의 기울기이다(도4 참조). 히스테리시스(H), 마찰력(W) 및 견고성(C)의 관계는로 근사될 수 있다. 이러한 관계로부터 견고성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하여 또는 시스템의 마찰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칼라 선택 전극의 위치적인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즉 히스테리시스를 더 작게 할 수 있다.
이 개시에서, 마찰력이 이미 최적화된, 칼라 선택 전극(12)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이 칼라 선택 전극(12)에 대하여 논의된다.
도 5 및 도 6(각각 단면도 및 사시도로서)은 디스플레이 윈도우(3)에 있는 지지 요소(22)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에 따른 칼라 선택 전극(12)의 코너 연결부품(16)을 나타낸다. 코너 연결부품(16)은 다이어프램 부(15)와 현가 요소(20)가 연결되는 강체부(19)를 포함한다. 이러한 현가 요소(20)는 다른 것 중에서도 특히 다음의 부분을 포함한다. 탄성 요소(resilient element)(30)는 강체부(19)에 연결되고 슬롯형(slotted) 구멍(34)을 구비한다. 이러한 홈이 파인 구멍(34) 뒤로, 예를 들면, 탄성 요소(30)에 있는 구멍(33)들을 통해 돌출한 밴트 태그(bent tag)(32)에 의하여 슬라이드 플레이트(slide plate)(31)가 장착된다. 슬라이드 플레이트(31)는 지지 요소(17)의 대략 구형의 자유 단부(22)와 맞물리기 위한 원추형 연결부품(35)을 포함한다. 칼라 선택 전극(12)이 처음으로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삽입된 후에 슬라이드 플레이트(31)는 견고하게 탄성 요소(30)에 고정되는데, 이러한 고정은 지지 부재(36)를 탄성 요소(30)에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 실시예에서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41)는 현가 요소(20)의 견고성을 증가시킨다. 도 8과 도 9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선택 전극(12)의 코너 연결부품(16)의 사시도 및 분해조립도이다. 강체부(19)의 메인(main) 플레이트(45) 이외에, 메인 플레이트(45)는 두 개의 직각 테두리(47)(견고성을 더 증가시키기 위하여) 및 하나의 경사진 표면(46)을 구비한다. 그리고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41)는 메인 플레이트(45)와 경사진 표면(46)의 사이에서 강체부(19)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에 의하여 현가 요소(20)의 견고성이 증가된다. 지지 플레이트(41)는, 예를 들면, 각각 44 및 43으로 표시된 지점에서 메인 플레이트(45) 및 경사진 표면(46)에 용접함으로써 장착될 수 있다. 견고성은 이런 방식에 의해 증가될 수 있는데, 이것은 힘이 강체부(19)의 메인 플레이트(45)와 평행하게 작용할 때 코너 연결부품(16)이 쉽게 변형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7에서 탄성 요소(30)에는 와이어 스프링(wire-wound spring)(40)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칼라 선택 전극(12)과 지지 요소(17) 사이의 신뢰할 만한 연결을 보증할 수 있는 힘으로 칼라 선택 전극(12)이 디스플레이 윈도우(3)에 장착되는 것을 확신시키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의 일 단부(48)는 추가적인 지지 요소(41)에 형성된 러그(lug)(42)에 지탱되어 있고, 타 단부(49)는 슬라이드 플레이트(31)를 동시에 지탱하기 위하여 탄성 요소(30)에 있는 구멍(50)을 통해 돌출한다. 이것은 도 9의 분해조립되에서 가장 잘 보여진다.
칼라 선택 전극(12)의 견고성을 개선하기 위한 두 번재 방법은, 지지 요소(17)의 자유 단부(22)가 강체부(19)의 메인 플레이트(45)와 일치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있을 때 유리하다는 사실에 기초를 둔다. 도 7에서 이 평면은 참조숫자(60)으로 표시된다. 예를 들면, 칼라 선택 전극(12)의 쉬프트를 야기할 수도 있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상의 충격이 있는 경우에, 평면(60)의 방향으로 칼라 선택 전극(12)을 쉬프트시키기가 더 힘들 것이다. 도 5에 보여진 종래 기술에서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에 가해지는, 특히 동/서 방향으로의 충격은 칼라 선택 전극(12)의 프레임(14)에서의 탄성적인 변형을 야기할 것이다. 이런 변형은 지지 요소(17) 상에서 탄성 요소(30)의 비틀림을 허용하여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정확도를 악화시킨다. 충격 후에 칼라 선택 전극(12)은 쉬프트된 위치에 그대로 있기가 쉽다. 자유 단부(22)의 중심이 코너 연결부품(16)의 강체부(19)를 통해 지나는 평면에 있으면, 따라서 견고성은 증가된다.
견고성의 한층 더한 개선은, 코너 연결부품(16)에 직각 테두리(47)가 제공되고 자유 단부(22)가 직각 테두리(47)와 일치하는 평면에 위치할 때, 성취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칼라 선택 전극(12)은 충격의 결과 좀처럼 변형되지 않는데, 이것은 탄성 요소(30)와 지지 요소(17) 사이의 비틀림이 감소하기 때문이다.
자유 단부(22)가 실질적으로 메인 플레이트(45)와 같은 평면과 직각 테두리(47)와 같은 평면의 교차점에 있도록 코너 연결부품(16)을 디자인함으로써 가장 좋은 상황이 성취될 수 있다.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안정도에 관해 개선된 특성을 갖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을 제조하는 옵션으로부터 표 1의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 표에서 슈퍼 플랫 디스플레이 윈도우(super flat display window)를 갖는 종래의 32″와이드 스크린 브라운관에 관한 측정치는 개선된 히스테리시스와 리얼 플랫 디스플레이 윈도우(real flat display window)를 갖는 32″와이드 스크린 브라운관과 비교된다.
32″와이드 스크린 슈퍼 플랫(종래 기술) 32″와이드 스크린 리얼 플랫(본 발명)
히스테리시스 H(㎛) 95 9
마찰력 W(N) 7.5 2.5
견고성 C(N/mm) 66 208
이 표로부터 이 명세서에서 기술된 수단이 칼라 선댁 전극의 견고성을 약 3배 정도 개선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마찰력이 개선된 점을 고려한다면 히스테리시스는 약 10배 정도 개선되었다. 이 표에서 언급된 히스테리시스 숫자는, 사실상, 통상의 제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칼라 선택 전극의 실제적인 쉬프트이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여기에 주어진 예들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칼라 선택 전극(12)과 특히 코너 연결부품(16)의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다른 방식의 수단은 같은 목적을 성취할 것이다. 예를 들면, 강체부(19)와 지지 플레이트(41)를 포함하는 일체형 부품(one-part piece)을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코너 연결부품(16)과 다이어프램 부(15)를 포함하는 코너 현가 시스템을 구비하는 칼라 선택 전극(12)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프레임에 연결된 현가 요소를 구비하는 링 모양의 프레임을 포함하는 코너 현가 시스템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이 명세서에서 기술된 증가된 견고성을 갖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추가적인 장점은 내부 자기 쉴딩(internal magnetic shielding)이 칼라 선택 전극(12)에 장착될 수 있는 방식에서 발견된다.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에서 자기 쉴딩의 질은 칼라 선택 전극(12)의 다이어프램 부(15)에 가능한 한, 바람직하게는 그것들 사이에 틈이 없이 근접해 있는 내부 자기 쉴딩을 구비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개선은, 네덜란드 특허 출원(NL 8800424)에 개시된 구조(construction)를 사용함으로써, 증가된 견고성을 갖는 칼라 선택 전극(12)에서 성취될 수 있다. 이 출원에서 다수의 클램핑 스프링(clamping spring)에 의해 칼라 선택 전극의 코너 연결부품에 연결된 자기 쉴딩이 기술된다. 도 10은 그러한 자기 쉴딩(53)의 예를 보여준다. 상기 자기 쉴딩에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코너 연결부품(16)의 구멍(51)과 맞는 구멍(54)이 제공된다. 클램핑 스프링(52)(도 7 참조)을 사용함으로써 내부 자기 쉴딩은 칼라 선택 전극(12)에 쉽게 장착될 수 있다.
요약하면, 칼라 선택 전극(12)을 개선된 방법으로 현가시킨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가 개시되었다. 예를 들어 칼라 순도의 좋은 특성을 갖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안정도가 탁월해야 한다는 것은 극히 중요하다. 특히 와이드 스크린 브라운관은 칼라 선택 전극(12)을 쉬프트시켜 변색(discoloration)을 야기하는 충격에 더 민감하다. 칼라 선택 전극(12)의 위치적인 안정도는 칼라 선택 전극(12)의 코너 연결부품(16)의 견고성을 증가시킴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이것은 코너 연결부품(16)에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41)를 도입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코너 연결부품(6)에 관하여 지지 요소(17)의 위치를 최적화시킴으로써 개선을 성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 장치를 구비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 및 그 칼라 선택 전극 등에 이용된다.

Claims (11)

  1. 주위의(circumferential) 직각 테두리(upright edge)와 코너 영역(corner areas)(18)을 갖는 디스플레이 윈도우(3), 및 강체부(rigid portion)(19)를 갖는 코너 연결부품(corner section)(16)을 포함하는 프레임(14)을 구비하며, 현가 수단(suspension means)(20)이 코너 연결부품(16)에 연결된 채, 코너 영역(18)에 고정된 지지 요소(17)에 현가된(suspended) 칼라 선택 전극(color selection electrode)(12)을 포함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으로서,
    상기 각각의 강체부(19)에는 상기 강체부(19)에 고정되어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견고성(stiffness)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부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19)는 메인 플레이트(45) 및 경사진 표면(oblique surface)(46)을 포함하고,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부품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45)와 상기 경사진 표면(46)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견고성은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상기 강체부(19)의 상기 메인 플레이트(45)와 일치하는 평면(60)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지 요소(17)의 자유 단부(free end portion)(22)를 구비함으로써 한층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상기 강체부(19)에는 직각 테두리(upright edge)(4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견고성은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상기 강체부(19)의 상기 직각 테두리(47)와 일치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지지 요소(17)의 자유 단부(free end portion)(22)을 구비함으로써 한층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
  6. 칼라 디스플레이 브라운관(1)의 칼라 선택 전극(12)에 사용되는, 강체부(19) 및 현가 수단(20)을 구비하는 코너 연결부품(16)으로서,
    상기 강체부(19)에는 상기 강체부(19)에 고정되어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견고성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부품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부품(16).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19)는 메인 플레이트(45) 및 경사진 표면(oblique surface)(46)을 포함하고, 상기 견고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상기 부품은 상기 메인 플레이트(45)와 상기 경사진 표면(46)을 서로 연결하는 추가적인 지지 플레이트(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부품(16).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수단(20)은 상기 현가 수단을 디스플레이 윈도우(3)의 코너 영역(18)에 고정된 지지 요소(17)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31,35)을 포함하고, 상기 강체부(19)는 메인 플레이트(45)를 포함하여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상기 강체부(19)의 상기 메인 플레이트(45)와 일치하는 평면(60)에 실질적으로 위치한 상기 수단(31,3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견고성이 한층 증가되는 코너 연결부품(16).
  9. 제 6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체부(19)에는 직각 테두리(47)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부품(16).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현가 수단(20)은 상기 현가 수단을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3)의 코너 영역(18)에 고정된 지지 요소(17)에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31,35)을 포함하여,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의 상기 강체부(19)의 상기 직각 테두리(47)와 일치하는 평면에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상기 수단(31,35)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견고성이 한층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 연결부품(16).
  11. 제 6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코너 연결부품(16)이 제공되는 칼라 선택 전극(12).
KR1020017009248A 1999-11-26 2000-11-06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브라운관 KR200100896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9203976 1999-11-26
EP99203976.8 1999-11-26
PCT/EP2000/010978 WO2001039241A2 (en) 1999-11-26 2000-11-06 Color display tube with improved suspension of the color selection electro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620A true KR20010089620A (ko) 2001-10-06

Family

ID=8240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9248A KR20010089620A (ko) 1999-11-26 2000-11-06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브라운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16870B1 (ko)
EP (1) EP1151460A2 (ko)
JP (1) JP2003515883A (ko)
KR (1) KR20010089620A (ko)
CN (1) CN1344422A (ko)
TW (1) TW490702B (ko)
WO (1) WO200103924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9873A (ko) * 2000-05-02 2002-04-20 요트.게.아. 롤페즈 컬러 선택 전극의 개량된 서스펜션을 갖춘 컬러디스플레이 튜브
JP2004531039A (ja) * 2001-06-21 2004-10-0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色選択電極が設けられたカラー表示管
US7943270B2 (en) * 2003-06-10 2011-05-17 Celltech Power Llc Electrochemical device configu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06469A1 (de) * 1986-02-28 1987-09-03 Standard Elektrik Lorenz Ag Farbbildroehre
NL8600832A (nl) * 1986-04-02 1987-11-02 Philips Nv Kleurenbeeldbuis.
NL8800424A (nl) 1988-02-19 1988-04-05 Philips Nv Kleurenbeeldbuis.
NL8800883A (nl) * 1988-04-07 1988-06-01 Philips Nv Kleurenbeeldbuis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zulk een kleurenbeeldbuis.
US5982085A (en) * 1997-12-23 1999-11-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improved shadow mask mount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151460A2 (en) 2001-11-07
WO2001039241A3 (en) 2001-07-05
JP2003515883A (ja) 2003-05-07
CN1344422A (zh) 2002-04-10
TW490702B (en) 2002-06-11
WO2001039241A2 (en) 2001-05-31
US6316870B1 (en) 2001-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31693B1 (en) Colour display tube
KR100395200B1 (ko) 칼라 음극선관
EP0724282B1 (en) Color cathode-ray tube
EP0895271B1 (en) Color cathode ray tube
KR20010089620A (ko)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브라운관
US49637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shadow mask
US6271624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 fag with spring holder
KR20010055078A (ko) 평면형 음극선관의 텐션 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US5834887A (en) Color cathode ray tube comprising an in-line electron gun with extended outer apertures
KR0135043B1 (ko) 칼라음극선관
US7064478B2 (en) Color cathode-ray tube having internal magnetic screening
KR20010089621A (ko) 칼라 선택 전극의 개선된 현가장치를 구비하는 칼라디스플레이 브라운관
JP4022378B2 (ja) 陰極線管
JPH0467539A (ja) カラー受像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4195B2 (ja) カラ−受像管
US20040080254A1 (en) Inner shield and cathode ray tube including the same
JP2005527086A (ja) Crt用の内部磁気シールド
JP2001143630A (ja) 陰極線管
EP1220275A2 (en) Shadow mask and color cathode ray tube
JP2001332183A (ja) シャドウマスク構体及び受像管
JPH08264136A (ja) カラー受像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794108A (ja) カラー受像管
JPH11329283A (ja) カラーブラウン管
JP2000323069A (ja) カラー用電子銃とカラー陰極線管
JP2000090858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