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402A - 전자부품을 하우징 하는데 쓰는 전자장치의 캐비닛 및이를 갖는 전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을 하우징 하는데 쓰는 전자장치의 캐비닛 및이를 갖는 전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402A
KR20010089402A KR1020017005655A KR20017005655A KR20010089402A KR 20010089402 A KR20010089402 A KR 20010089402A KR 1020017005655 A KR1020017005655 A KR 1020017005655A KR 20017005655 A KR20017005655 A KR 20017005655A KR 20010089402 A KR20010089402 A KR 2001008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abinet
chassis
hous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5241B1 (ko
Inventor
오오토리야스히로
고토데이유
Original Assignee
구타라기 켄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타라기 켄, 가부시키가이샤 소니 컴퓨터 엔터테인먼트 filed Critical 구타라기 켄
Publication of KR2001008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2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27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얇게 만들어지더라도 장치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는 전자장치에 쓰이는 캐비닛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비닛(3)은 장치 본체가 형성되는 중앙 섀시(4),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가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 사이에 중앙 섀시(4)를 가지며 장치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는 그러한 캐비닛들의 종래의 부분들보다 더욱 얇게 만들어져 장치를 더욱 작게 만든다. 중앙 섀시(4)는 강화재료로 작용하며 캐비닛(3)의 강성을 증가시켜,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가 더욱 얇게 만들어지더라도 캐비닛(3)에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여 전자장치를 더욱 작게 만들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을 하우징 하는데 쓰는 전자장치의 캐비닛 및 이를 갖는 전자장치{Cabinet of electronic device for hous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abinet}
비디오 게임기들 및 다른 전자 장치들은 이들의 휴대성 및 작동 용이성의 향상을 시키기 위해서 보다 작게 만들고자 하는 수요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그러한 보다 작은 장치 크기를 얻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전자장치의 본체가 하우징되는(이하 상기 캐비닛) 캐비닛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본체를 포함하는 공간을 확보하면서 전자장치를 더욱 작게 하고자 하였다.
장치의 본체를 하우징하는 그러한 캐비닛을 만드는 일반적인 방법은 스퀘어-오프된 C 형태의 단면적을 갖는 한 쌍의 하우징 멤버들의 단부들을 접촉시켜, 이들을 상부 및 하부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캐비닛을 형성하는 하우징 멤버들은 일반적으로, ABS 수지(아크릴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와 같은, 다양한 용도들을 갖는 수지로 형성되기 때문에, 장치를 더욱 작게 만들기 위해서, 두께를 너무 많이 감소시키면, 캐비닛의 충분한 강성이 확보되지 못한다.
따라서, 종래의 캐비닛 구조물에 있어서, 더욱 작은 크기의 장치를 위해 캐비닛은 아주 얇게 만들 수 없었고,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상기 전자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이 어려웠었다.
본 발명은 전자 부품을 하우징하는데 쓰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 및 그러한 캐비닛을 갖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비디오 게임 장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비디오 게임 장치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디오 게임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비디오 게임 장치의 캐비닛을 도시한 전개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비디오 게임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라인 Ⅵ-Ⅵ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전자 장치의 CPU의 열 분산 및 차폐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캐비닛을 구성하는 상부 케이스, 중앙 섀시 및 하부 케이스의 연결 지점들을 도시한 개략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라인 Ⅸ-Ⅸ를 따라 상기 장치의 상부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라인 Ⅹ-Ⅹ를 따라 상기 장치의 하부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라인 ⅩⅠ-ⅩⅠ를 따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얇게 만들어졌을 때에도 충분한 강성을 갖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 및 그러한 캐비닛을 사용함으로써 보다 작은 크기를 갖을 수 있는 전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에 사용되는 캐비닛은 그 내부에 상기 전자 장치를 형성하는 전자 부품을 하우징하고, 전자 부품들이 형성된 섀시(chassis)를 갖는 캐비닛 및 상기 멤버들 사이에 섀시를 갖고 전자 부품을 갖는 한 쌍의 하우징 멤버들을 갖는다.
본 발명으로 인해, 상기 섀시는 강화 재료로서 작용하고, 상기 캐비닛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작은 크기를 얻기 위해서 상기 하우징 멤버들의 두께가 감소될 지라도 상기 캐비닛의 충분한 강성은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한쌍의 하우징 멤버들 중 하나는 다른 하우징 부재에 비하여 작은 체적을 갖으며 상기 캐비닛은 상기 섀시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회로 보드들과 같은, 상대적으로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는 부품들은 보다 작은 체적의 하우징 부재내에 포함되며, 전원 장치들 또는 디스크 드라이브들과 같이,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는 부품들은 보다 큰 체적의 하우징 부재내에 포함되고, 따라서 캐비닛 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빈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한 쌍의 하우징 부재들 및 섀시는 한 쌍의 하우징 멤버들 중 하나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루 구멍내에 삽입된 스크루에 의하여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이리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들 한 쌍 및 섀시는 이들을 하나의 스크루로 연결하여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캐비닛 결합 과정을 수월하게 만든다.
상기 스크루 홀이 상기 하우징 부재들 중 하나에만 형성되면, 상기 스크루 홀이 형성된 표면을 베이스로 하여, 이 스크루 홀 내에 삽입시켜 상기 스크루를 숨길 수 있게 되며, 이로써 상기 캐비닛의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전자 장치에 쓰이는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는 섀시 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리하여, 상기 캐비닛의 후면 위에 노출된 전원 스위치 및 상기 후면위의 뒷면에 인스톨된 배출 팬과 같은, 상기 캐비닛의 후면위에 형성된 전자 장치의 부품들은, 섀시위에 미리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후면의 부품들이 따로 제조된 경우보다 상기 전자 장치가 더욱 쉽게 결합되게 만든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상기 캐비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얇아져도 강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캐비닛을 가지며, 상기 캐비닛 내부의 소정의 체적이 또한 확보되므로, 상기 캐비닛이더욱 얇게 만들어지는 한, 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전자 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전자 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보드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보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원 회로보드 및 제어 보드는 이들 사이의 섀시와 정반대 편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섀시는 상기 전원소스 회로 보드 및 제어 보드 사이에 파티션으로서 기능하며, 보드들 간의 절연 면 거리(전기 절연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상술한 보드들 사이의 전기 방전 현상을 간단하게 예방할 수 있다. 이리하여, 상기 보드들이 상기 섀시들에 근접하게 배열되면, 상기 캐비닛 내부의 공간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전자 장치는 더욱 작아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설명될 것이다.
(1) 장치의 전체 구조
도 1 내지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인 비디오 게임 장치(1)의 사시도들이다; 도 1은 위에서 본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앞에서 본 장치(1)의 전면도이며, 도 3은 뒤에서 본 장치(1)의 사시도이며, 도 4는 캐비닛(3)의 전개사시도이며,도 5는 위에서 본 장치(1)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 사시도이다.
예를 들어, 비디오게임 장치(1)는 광 디스크 또는 다른 매체에 기록된 게임 프로그램을 판독하고 유저들(게임 플레이어들)로 부터의 지시사항들에 따라 이를 수행하게 된다. "게임 실행"은 주로 디스플레이 및 음향 외에 게임의 진행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비디오게임 장치(1)는, 전자 부품들을 포함하는, 본체(2)등과 본체(2)를 하우징하는 캐비닛(3)(이하 캐비닛)을 포함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캐비닛(3)은, 본체(2)가 형성된, 중앙 섀시(4)를 포함하며,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 사이에 중앙 섀시(4)를 가지는 하우징 부재인,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3)은 면상으로는 정사각형 모양 및 앞에서 보면 대략 L 형태로 구현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는 일반적인 경우보다 얇게 만들어져 장치를 보다 작은 크기로 구현하지만, 중앙 섀시(4)는 캐비닛(3)이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보장한다.
상부 케이스(5)의 전우측부(앞에서 볼 때 우측)위에는 디스크 장치(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CD-ROM(컴팩트 디스트 판독-전용 기억 장치), DVD-ROM(디지털 비디오 디스크 ROM 또는 디지털 범용 디스크), 또는 다른 광 디스크의 작동을 제어하며, 상기 디스크 장치(11)는 비디오 게임 응용 프로그램들이 기록되고 이 디스크 장치(11)의 디스크 트레이(11B)가 노출되는 저장 매체이다.
디스크 트레이(11B)의 우측부(앞에서 볼 때 우측) 위에, 꼭대기와 아래에, 전원 스위치(16) 및 상부 케이스(5)로부터 디스트 트레이(11B)를 삽입하고 빼내는 작동을 수행하는 트레이 작동 스위치(17)가 배치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5)의 전좌측부(앞에서 볼때 좌측) 위에, 두 개의 슬롯들(18)이 노출되어 있다. 각 슬롯(18)은 꼭대기에 위치한 메모리 카드 삽입 장치(61) 및 바닥에 위치한 제어기 연결 장치(62)를 가지고 있다.
하나의 메모리 카드 또는 다른 외부 보조 기억 장치 장치가 메모리 카드 삽입 장치(61)내에 삽입되고, 그 삽입 홀(61A)은 길이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연결 단자 내에 형성된 연결단자를 보호하는 셔터(61B)가 이 메모리 카드 삽입 장치(61)위에 형성되어 있다.
제어기 연결 장치(62)는 신호들의 입력 및 출력을 실행하기 위한 입력-출력 단자이며, 여기에 작동 수단들로서 작용하는 제어기로부터 확장된 제어기 케이블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 단자가 연결된다. 삽입 홀(62A)은 대략 길이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코너들은 상부 코너들에 비하여 더욱 둥근 형태를 갖는다.
이렇게 삽입 홀(62A)을 형성함으로써, 제어기의 연결 단자는 잘못된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삽입 홀(62A)의 형태는 메모리 카드 삽입장치(61)에 쓰이는 삽입홀(61A)의 형태와 다른 구조를 가지므로, 외부 보조 기억 장치 장치를 삽입홀(62A)에 실수로 삽입하는 위험이 없게 된다.
두 개의 이러한 제어기 연결 장치들(62)을 가짐으로써 두 개의 제어기들을 연결하고, 두 명의 유저들로 하여금 대전 게임 등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제어기 연결 장치(62)에 연결된 제어기를 작동한 결과들은 각각의 위에 위치한 메모리 카드 삽입 장치(61)내에 삽입된 외부 보조 기억 장치 장치에 기록된다.
하부 케이스(6)의 전면 및 우측면(앞에서 보았을 때 우측에 있는 측면)은 하부 케이스(6)의 위에 있는 상부 케이스(5)의 전면 및 우측면에 해당하는 내부에 놓여있다. 즉, 하부 케이스(6)의 폭 및 깊이는 상부 케이스(5)의 폭 및 깊이보다 작게 되며, 하부 케이스(6)의 체적은 상부 케이스(5)의 체적보다 작게된다. 다른 한편, 하부 케이스(6)의 좌측면(앞에서 보았을 때 좌측에 있는 측면)은 상부 케이스(5)의 해당면에 매칭(mztching)된다. 따라서 캐비닛(3)은 중앙 섀시(4)에 대해 비대칭적으로 구현된다(도 2 및 6을 참조).
하부 케이스(6)의 전면 및 측면에 의해서 둘러싸인 면은 바닥면(도시되어 있지 않음)과 접촉된 하부면이다. 즉, 비디오 게임 장치(1)는, 바닥에 닿는 하부 케이스의 낮은 면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방향으로 셋업(set-up)된다.
비디오 게임 장치(1)가 수평으로 셋업되면, 하부 케이스(6)의 체적은 상부 케이스(5)의 체적보다 작게 된다, 즉, 비디오 게임 장치(1)의 캐비닛의 하부 절반은 상부 절반에 비하여 작으므로, 전체적으로 비디오 게임 장치(1)는 게임 플레이어들에게 콤팩트해 보이는 효과를 갖는다.
상부 케이스(5)는 하부 케이스(6)로부터 유저(게임 플레이어)를 마주보는 전면을 향해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는 상부 케이스(5)의 앞에 있는 스위치들이 유저가 작동하기에 더욱 편리하도록 만들어준다. 유사하게, 상부 케이스(5)의 앞에 있는 주변 장치들에의 실장부는 주변 장치들을 부착하고 탈착할때 유저들에게는 사용하기 더욱 편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6)의 좌측면은 상부 케이스(5)의 해당면에 매칭된다. 즉, 하부 케이스(6)의 좌측면 및 상부 케이스(5)의 좌측면은 동일면을 형성하는 관계에 있게 된다(즉, 동면상이다). 결과적으로, 비디오 게임 장치(1)는 수직방향으로 또한 셋업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좌측면은 베이스가 된다. 비디오 게임 장치(1)가 유저의 사용 환경에 따라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상기 비디오 게임 장치(1)의 사용 가능 공간을 증가시킨다.
외부 장치들을 연결하기 위해 데이타 전송 단자(19) 및 두 개의 외부 장치연결 단자들(20)이 하부 케이스(6)의 전면 좌측부(앞에서 보았을 때 좌측)위에 노출된다.
데이타 전송 단자(19)는 IEEE 1394 규격에 부합하며, 이 단자에 연결된 케이블을 디지털 카메라 또는 비디오 데크 등에 연결함으로써, 비디오 게임 장치(1)내에 상기 디지털 카메라 또는 비디오 데크로 기록된 영상 및 음향 등을 넣을 수 있다.
두 개의 외부 장치 연결 단자들(20)은 USB(universal serial bus) 규격에 부합하며 키보드 또는 다른 입력 장치,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장치, 프린터 또는 다른 프린팅 장치, 또는 광자기 디스크 또는 다른 자기 매체를 사용하는 외부 기억 장치 장치 등을 연결할 수 있게 해준다.
길이 방향을 따라, 하부 케이스(6)의 앞 부분에 형성된, 슬릿-모양의 개구부들(6A)을 통해 외부로부터 흡수된 공기를 장치(1)를 내부로 들여와 쿨링 공기로 작동하게 한다.
도 3 및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섀시(4)는, 비디오 게임 장치(1)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후면부(41) 및 높이 방향으로 이 후면부(41)의 중앙부에 수직이 되도록 형성되는 보드-모양의 중앙 선반(42)을 포함하고 이들과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후면부(41)는 상후면부(43) 및 하측면부(4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후면부는 캐비닛(3)의 후면을 덮고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케이스(5)의 후면의 일부를 차단하기에 충분히 길며, 상기 후측면은 대략 직사각형 형태로구성되며 상부 케이스(6)의 후면의 일부를 차단하기에 충분히 길다.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 노치(43A)는 도 3의 상후면부(43)의 우측 단부 근처에 형성된다. 이 노치(43A)내에는 AC 인렛(32A) 및 주전원 스위치(32B)가 형성되며, 상기 AC 인렛은 외부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을 장치본체(2)에 공급하는데 사용되는 전원공급장치이며, 상기 주전원스위치(32B)는 외부전원공급으로부터 전원공급작동을 실행한다.
이 노치(43A) 아래에, 비디오, 오디오 및 광 디스크 위에 기록된 다른 신호들을 텔레비젼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기 위한 비디오-오디오 출력 단자(21)가 도 3의 하부 후면의 우측 단부 근처에 노출되어 있다.
외부 장치들과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단자(22)가 비디오-오디오 출력 단자(21) 근처에 노출되어 있다. 이 통신 단자는, 적외선을 사용하는 데이타 통신기준인,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규격에 부합하며, 만일 이 단자가 외부 장치위에 형성되면, 데이타는 장치 1 및 외부 장치 간에 케이블 등을 연결할 필요 없이, 적외선 통신을 통하여 송신 및 수신될 수 있다.
도 3의 하부 후면부(44)의 좌측단부 근처에는 PCMCIA 슬롯(23)이 노출되고, 이 슬롯 내에, 메모리 카드 또는 모뎀 카드와 같은, 다양한 카드-형태의 주변 장치들이 삽입되어, PCMCIA(Personal Computer Memory Card International Association) 규격들에 부합하게 된다. 상기 PCMCIA 슬롯(23) 내에 삽입된 카드-형태의 주변 장치는 배출(eject) 버튼(23A)를 누름으로써 제거될 수 있고, 상기 버튼은 PCMCIA 슬롯(23)의 측면에 노출된다.
후면부(41)의 대략 중앙에 배출 개구부(41A)가 형성되며, 이를 통해서 장치(1)의 공기가 배출된다.
중앙 선반(42)은 상부 케이스(5)와 대략 같은 폭 및 상술한 상부 케이스(5)와 대략 같은 깊이를 갖는 보드의 형태로 만들어지며, 상후면부(43) 및 하후면부(44)의 인터페이스 부분에서 직각으로 형성된다.
배출팬(15)를 함유하는 노치(42A)는 후면부(41)내에 형성된 배출 개구부(41A)에 해당하는 이 중앙 선반(42)의 일부분내에 형성된다.
(2) 장치의 내부 구조
도 5 내지 7은 비디오 게임 장치(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장치(1)의 내부 단면도이자 사시도이고, 도 6은 비디오 게임 장치(1)의 수직 단면도이며, 도 7은 주요 부분들을 나타내는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면들에서, 중앙 섀시(4) 위에 형성된, 본체(2)는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에 형성된다.
본체(2)는 디스크 장치(11), 전원 장치(12), 주 제어 회로 보드인 메인 보드(13), 및 입력-출력 신호 제어 보드(14) 등을 가지고 있다.
디스크 장치(11) 및 전원 장치(12)는 중앙 섀시(4)의 중앙 선반(42) 위에 형성되고, 메인 보드(13) 및 입력-출력 신호 제어 보드(14)는 중앙 선반(42)과 하부 케이스(6)에 의해서 형성된 공간 내에 적층된 형태로 형성된다. 즉, 디스크 장치(11) 및 전원 장치(12), 및 메인 보드(13)와 입력-출력 신호 제어 보드(14)는 중앙 섀시(14)를 가로지른 대향 측면들 위에 형성된다.
전원 장치(12)는 중앙 섀시(4)의 중앙 선반(42)위에 실장된 전원소스 회로 보드(31), 및 전원이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입력되어 들어오는 전원 장치(32)를 갖는다.
전원 장치(32)는 AC 인렛(32A) 및 주 전원 스위치(32B)를 가지고 있으며, 커넥터(31B)를 경유하여 전원회로보드(31)에 연결된다. 즉, 외부 전원 소스로부터의 전력은 주 전원 스위치(32B)를 켬으로써 AC 인렛(32A)을 통하여 전원회로보드(31)에 공급된다.
전원회로보드(31)는 중앙 선반(42)의 대략 절반의 평면의 면적을 점유하고,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은 커패시터들, 코일들, 변압기들, 및 상술한 전원 회로 보드(31)를 구성하는 다른 회로 구성요소들(31A)에 의해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된다. 하부 케이스(6)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6A)를 통해 들어온 냉각 공기를 안내하는 평평한 L형 가이드 판(31C)이 전원 소스 회로 보드(31)위에 형성된다.
이리하여, 전원소스 장치(12)는 전원회로보드(31)에 의해 얻어진 전원을 디스크 장치(11) 및 보드들(13, 14) 등에 공급한다.
전원 장치(12)의 배출구(41A)의 측면위에 부착된 배출팬(15)은 배출구(41A)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다. 상기 배출팬(15)은 전원 장치(12)의 전력에 의해서 또한 작동된다.
전원 장치(12)의 배출구(41A) 및 반대측면위의 개구부(6A)의 근처에는 직사각형 열싱크(54) 및 슬롯들(18)이 형성되어 있다.
CD-ROM, DVD-ROM 또는 다른 광 디스크를 작동하는 디스크 장치(11)는본체(11A)를 포함하고, 이 몸체 내에 광학 픽업(pickup) 장치(도시되어 있지 않음)이 포함되고, 광 디스크가 주 장치 본체(11A) 위에 실장되는 디스크 트레이(11B), 및 전원 장치(12) 옆의 공간에 있는 중앙 선반(42)위에 놓인 디스크 장치(11)를 포함한다.
중앙 처리 장치(CPU)(51) 및 그 주변 장치들, 등을 갖는 제어시스템(도시되지 않음), 그림을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를 포함한 그래픽 시스템(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음악 및 음향 효과를 만드는 음성 처리 장치를 포함한 사운드 시스템(그려져 있지 않음)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13)를 포함한 메인 보드(13)는 중앙 선반(42)의 하부 면의 반대편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은 CPU(51), 직접 기억 데이타 변환기 등의 인터럽 제어(interrupt control)와 제어(control)를 실행하는 주변 기기 제어기, 랜덤 액세스 기억 장치(RAM)로 구성된 주 기억장치, 및 작동 시스템이라 불리는 프로그램에 저장되는 롬(ROM)을 포함하며, 주 기억장치, 그래픽 시스템, 및 사운드 시스템 등을 관리·제어한다. "주 기억장치"는 여기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는 기억장치를 나타낸다.
CPU(51)는 전체적으로 ROM에 저작된 작동 시스템을 실행함으로써 비디오 게임 장치(1)를 제어하며, 상기 ROM은, 예를 들어, 128 비트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CPU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래픽 시스템은 CPU(51)로부터의 드로잉 지시사항에 따라 그림들을 제공하는 영상 처리 장치, 및 저장된 영상 처리 장치에 의해서 제공된 영상들이 저장되는프레임 버퍼(buffer)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 장치는 CPU(51)로부터의 드로잉 명령어들에 따라 프레임 버퍼에 다각형등을 그린다. 이러한 영상 처리 장치는 초당 약 7,500 만개의 폴리곤들까지 그릴 수 있다.
음향 시스템은 CPU(51)로부터의 지시사항에 따라 배경 음악 및 음향 효과를 작동하는 음성 처리 장치, 및 웨이브 형태의 데이타등이 음성 처리 장치에 의해서 저장되는 사운드 버퍼를 갖는다.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열 전도 부재(52)는 접착제(52B)에 의해서 CPU(51)의 꼭대기에 부착되며, 상기 부재는 고-열 전도성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열 전도성 부재(52)의 위에는 다중 T-형태의 핀들(52A)이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CPU(51) 및 열전도성 부재(52)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차폐 부재(53)에 의해서 덮힌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 부재(53)는 상기 열 전도성 부재(52)의 상면과 접촉하는 평평한 차폐 부재(55), 및 평평한 차폐 부재(55)의 양단으로부터 메인 보드(13)의 상면까지 확장된 L형 단면적을 갖는 측면 차폐 부재들(56)을 포함한다.
평평한 차폐 부재(55)위에 형성된 홀들(55B)에 있어서, 이들은 상기 열 전도성 부재(52)의 윗면에 형성된 핀들(52A)에 해당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핀들(52A)을 홀들(55B) 내에 삽입하고 핀들(52A)의 상부를 평평한 차폐 부재(55)의 상면에 대해 돌출 시킴으로써, 상기 평평한 차폐 부재(55)는 핀들(52A)에 의해서맞물리게 되고 상기 열 전도성 부재(52)위에 안정된다.
각 측면 차폐 부재(56)는 수직 부재(56A)를 가지며, 이 수직 부재는 평평한 차폐 부재(55)의 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확장되며, 수직 부재(56A)의 단부로부터 바깥쪽으로 수평하게 확장되며 이 낮은 면은 메인 보드(13)의 상면과 접촉한다.
차폐 부재(53)의 형성은 입력-출력 신호 제어 보드(14) 또는 전원창치(12)에서 발생한 잡음과 같은 외부의 방해가 CPU(51) 내로 침투해 가지 않게 하며, CPU(51)의 안정한 작동을 안전하게 유지시켜 준다.
직사각형 형태의 직사각형 히트 싱크(54)는 열 전도성 부재(52)의 단부 위면 위에 형성된다. 직사각형 형태의 히트 싱크(54)는 열 전도성 부재(52)의 상면으로부터 상부 케이스(5)의 꼭대기 근처까지 연장된다. 도 4 및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들(42B, 55A)은 중앙 선반(42) 및 직사각형 형태의 히트 싱크(54)가 형성된 곳에 해당하는 위치의 평평한 차폐부(55) 내에 형성된다.
따라서, CPU(51)에 의해서 발생된 열을 열 전도 부재(52) 및 직사각형 형태의 히트 싱크(54)를 따라 보내고 장치(1) 내에서 발산시킴으로써, 상기 CPU(51)는 간단하게 냉각될 수 있다. 더욱이, 개구부(6A)를 통해서 냉각 공기를 흡수하고 전자 장치(1) 내에서 빌드업된 열을 배출 팬(15)을 통해 전자 장치(1)의 바깥으로 배출함으로써, CPU(51)위에서의 냉각 효과를 더욱 증진하는 것이 쉬워진다.
메인 보드(13)아래에 형성된, 입력-출력 신호 제어 보드(14)(도 6)는 유저들로부터의 지시사항들이 입력되는 제어기로 부터의 신호들, 제어기에 출력되는 신호들, 및 비디오 게임 세팅들, 등을 저장하는 외부 보조 기억 장치 장치들로부터의데이타 들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기(도시되어 있지 않음) 외에 응용 프로그램들이 기록되는 광 디스크의 제어를 실행하는 광 디스크 제어기(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광 디스크 제어기는, 예를 들어, 첨부된 에러 정정 코드(ECC), 및 디스크 장치(11)로부터의 데이타를 임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광 디스크로부터 데이타를 판독하는 속도를 높여주는 버퍼를 가지고 기록되는 프로그램들 및 데이타 등을 해독하는 디코더를 가지고 있다.
각 슬롯(18)의 일단(one end)은 통신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슬롯은 제어기 연결 장치(62) 및 메모리 카드 삽입 장치(61)(도 6)를 포함하며, 각 슬롯은 제어기 연결 장치(62) 및 유저들로부터의 지시사항들이 입력되는 제어기로 부터의 신호들의 입력 및 출력, 제어기에 출력되는 신호들, 및 비디오 게임 세팅들 등을 저장하는 외부 보조 기억 장치들로부터의 데이타를 제어하는 메모리 카드 삽입 장치(61)(도 6)를 포함한다. 또한, 슬롯들(18) 외에, 데이타 전송 단자(19), 외부 장치 연결 단자(20), 통신 단자(22) 및 PCMCIA 슬롯(23) 등이 이 통신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통신 제어기는 또한 이들 단자들의 내에 삽입되고 연결된 외부 장치들 등으로서 신호들의 입력 및 출력을 제어한다.
상술한 내부 구조를 갖는 비디오 게임 장치(1)에 있어서, 메인 전원 스위치(32B)가 켜지고 전원 스위치(16)를 누르면, 제어 시스템의 CPU(51)는 ROM에 기록된 작동 시스템을 작동시켜 장치(1)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CPU(51)는 상술한 그래픽 시스템, 음향 시스템 등을 제어한다.
상기 작동 시스템이 작동되면, CPU(51)는 작동 등을 확보하면서 비디오 게임 장치(1)를 전체적으로 초기화시키고, 디스크 장치(11)를 제어하며 광 디스크에 기록된 게임 또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 게임 또는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CPU(51)는 유저들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그래픽 시스템 및 음향 시스템등을 제어하며 영상들의 디스플레이 및 음향 효과들과 배경 음악의 생성을 제어한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CPU(51)에 의해서 생성된 열은 열 전도성 부재(52) 및 직사각형 형태의 히트 싱크(54)를 따라 전달되며 장치(1) 내부에서 발산된다. 방출된 열은, 전원 장치(12)에서 생성된 열 및 디스크 장치(11)에서 생성된 열과 함께, 배출 팬(15)에 의해서 비디오 게임 장치(1) 바깥으로 방출된다.
직사각형 형태의 싱트(54), CPU(51) 및 전원 장치(12) 등은 개구부(6A)를 통해서 장치(1)로 빨아들인 냉각 공기에 의해서 냉각된다. 이는 장치(1) 내부에서의 냉각 효과를 증진시킨다. 상기 냉각 공기가 장치(1)의 내부를 냉각 시킨후, 이것은 가이드 플레이트(31C)등에 의해서 안내되고 배출팬(15)에 의해 배출 개구부(41A)를 통해서 장치의 후면으로 배출된다.
(3) 캐비닛 결합 구조
도 8 내지 11은 캐비닛(3)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은 상부 케이스(5), 중앙 섀시(4) 및 하부 케이스(6) 간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및 10은 우전단부에서 보여진 단면이며, 도 11은 좌전단부에서 보여진 단면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섀시(4)를 향해 있는 막대(rod) 형태의 돌기들(protrusions)(5A)이 상부 케이스(5)의 내부 면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돌기들(5A)의 팁들(tips)은, 중앙 섀시(4)의 상면(도 8에서 원 D로 표시된 영역)들에 고정된, 소켓들(42C)에 적합하게 들어 맞는다.
나사들(10D)이 삽입되는 다중 나사 홀들(42E)은 중앙 섀시(4)의 하부면 내에 형성된다. 이들 나사 홀들(42E)위에는 상부 케이스의 내부 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스페이서들(5C)이 형성된다. 나사산(threading)이 이들 스페이서들(5C)(도 8에서 원 A로 나타낸 영역에서) 내부에 형성된다.
즉, 상부 케이스(5) 및 중앙 섀시(4)는 돌기들(5A) 및 소켓들(42C)을 함께 일치시키고, 나사들(10D)을 나사 홀들(42E)를 통해 삽입하고, 상기 나사들(10D)을 스페이서들(5C)의 스레딩 내에 고정함으로써 일체형으로 만들어진다.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들(10A, 10B)을 삽입하기 위한 다중 스크루 홀들(6B)이 하부 케이스(6)의 하부면위에 형성된다. 중앙 섀시(4)의 하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스페이서들(42D)이 나사 홀들(6B)위에 형성되어 있다. 나사산은 이들 스페이서들(42D)내부에 형성된다. 따라서 하부 케이스(6) 및 중앙 섀시(4)는, 나사들(10A, 10B)을 나사 홀들(6B)을 통해 삽입하고 상기 나사들(10A, 10B)을 스페이서들(42D)(도 8에서 원들 B로 나타낸 영역들에서)의 나사산 내로 고정하여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나사 홀들(6B)의 몇몇 위에는, 소위 나사 홀(6C)위에는, 상부 스페이서(5)의 내부면으로부터 중앙 섀시(4)를 통해 스크루 홀(6C)까지 돌출된 하나의 관통 스페이서(5B)가 형성되어 있다. 즉, 하부 케이스(6), 중앙 섀시(4), 및 상부 케이스(5)는 나사(10C)를 이 나사 홀(6C)을 통해 넣고 상기 나사(10C)를 관통 스페이서(5B)(도 8에서 원 C로 나타난 영역에서)의 나사산 내로 고정하여 일체형으로 구현된다.
캐비닛의 상술한 구조는 다음의 효과들을 가진다:
즉, 캐비닛(3)은 중앙 섀시(4),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에 의해서 형성되며 캐비닛(3)의 강성은 섀시(4)를 강화재료로 사용함으로써 증가되며, 따라서 장치의 더욱 작은 크기를 구현하기 위해 상부 케이스(5) 및 하부 케이스(6)의 두께를 감소하여도 캐비닛(3)의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캐비닛(3)은 중앙 섀시(4) 근방에서 비대칭적으로 구현되며, 메인 보드(13) 및 입력-출력 제어 보드(14)와 같은, 상대적으로 공간을 거의 차지하지 않는 부분들은 하부 케이스(6) 내에 포함되며, 이 케이스는 작은 체적을 가지며, 전원 장치(12) 및 디스크 장치(11)같은 동시에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부분들은, 상부 케이스(5)내에 형성되며, 이 케이스는 큰 체적을 가지고, 따라서 캐비닛(3) 내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빈 공간을 최소화한다.
추가로, 하부 케이스(6), 중앙 섀시(4), 및 상부 케이스(5)는 하부 케이스(6) 내에 형성된 스크루 홀들(6C) 내에 삽입된 나사들(10C)에 의해서 동시에 일체형으로 만들어지며, 따라서 캐비닛(3)의 결합과정을 수월하게 한다. 또한 나사 홀들(6C)은 하부 케이스(6) 내에만 형성되며 나사 홀들(6C)이 형성된 면은 베이스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들 나사 홀들(6C)내에 삽입된 나사 홀들(6C) 및 나사들(10C)등은 숨겨지며, 캐비닛(3)의 외관을 향상시킨다.
또한, 캐비닛(3)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41)는 중앙 섀시(4)위에 형성되므로, 캐비닛(3)의 후면위에 형성된, 주 전원스위치(32B) 및 후면의 뒷면위에 인스톨된 배출팬(15)과 같은, 캐비닛(3)의 후면부위에 형성된 부분들은 중앙 섀시(4)위에 미리 형성될 수 있으므로, 따라서 후면부들을 따로 제조한 경우보다 비디오 게임 장치(1)가 쉽게 결합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비디오 게임 장치(1)에 있어, 얇아도 강성이 보장되는 캐비닛(3)을 갖으며, 캐비닛(3) 내부의 공간의 소정의 체적이 확보되고 더욱 작은 크기의 비디오 게임 장치(1)가 얻어질 수 있다.
한쪽 위에 있는 전원회로보드(31), 메인 보드(13) 및 다른쪽 위에 있는 입력-출력 제어 보드(14)는 이들 사이의 중앙 섀시(4)와 반대편들 위에 형성되므로, 한쪽 위에 있는 전원회로보드(31) 및 메인보드(13) 및 다른쪽 위에 있는 입력-출력 제어 보드(14) 사이의 절연 면 거리(전기적인 절연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따라서 간단히 이들 간의 전기 방전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리하여, 전원회로보드(31) 및 메인 보드(13) 및 중앙 섀시(4)의 중앙 선반(42) 근방의 입력-출력 제어 보드(14)를 배열함으로써, 캐비닛 내의 공간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비디오 게임 장치(1)는 더욱 작아지게 된다.
비디오 게임 장치(1)의 캐비닛에 관해서, 중앙 섀시(4)를 갖는 배열, 즉, 상대적으로 강한 강성을 가지며, 베이스 플레이트로서의 중앙 섀시와 함께 중앙 섀시 위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5) 및 상부 플레이트로서의 중앙 섀시와 함께 중앙 섀시 아래에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6)를 갖는 중앙 섀시(4)를 갖는 배열이 설명되어 왔다. 케이스들(5, 6)의 쌍이 다른 크기들을 가지므로, 이들은 이들 사이에 일부분이 돌출된 중앙 섀시를 가져 중앙 섀시(4)의 일부분이 돌출된다. 따라서 케이스들(5, 6) 사이의 상대 위치 관계를 바꿈으로써, 전체로서의 캐비닛(3)의 형태는 다양한 방식들로, 예를 들어, 중앙의 케이스들의 쌍을 정렬함으로써, 이들의 좌측면들을 동면상으로 만들거나, 또는 이들의 길이 방향을 수직으로 교차시켜 바꿀 수 있다. 즉, 비디오 게임 장치(1)의 캐비닛(3)은 전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고 자유도를 갖는 배열을 채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국한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은 변경사항들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배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전원회로보드(31) 및 메인 보드(13) 및 입력-출력 신호 제어 보드(14) 사이에 중앙 섀시(4)가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만일 이들이 충분히 떨어져 배열되어 플레이트들 간의 전기 방전을 예방할 수 있게 되면, 실시형태는 중앙 섀시(4)를 형성하지 않고 적절히 소정의 형태가 될 것이다.
상기 섀시는 후면부를 갖는 것으로 한정되지도 않는다; 예를 들어, 장치 본체를 구성하는 부분들이 중앙 선반위에 모두 형성된다면 후면부는 없앨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6), 중앙 섀시(4), 및 상부 케이스(5)는 하나의 스크루를 통해 일체형으로 만들어졌지만,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부 케이스(6) 및 중앙 섀시(4)를 하나의 스크루를 통해 연결하고 중앙 섀시(4) 및 상부 케이스(5)를 또 다른 스크루를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캐비닛은 중앙 섀시 근방에서 비대칭적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적을 가진 중앙 섀시 근방에서 대칭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자 장치 캐비닛을 가지고, 얇을지라도 충분한 강성이 보장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장치 캐비닛을 가지고, 더욱 작은 크기의 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9)

  1. 전자 장치의 전자 부품들을 내부에 하우징하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cabinet)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들이 그 위에 형성되는 섀시(chassis); 및
    하우징 부재들 사이에 상기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을 하우징하는 한 쌍의 하우징 부재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
  2. 전자 부품들을 내부에 하우징하는 캐비닛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부품들이 그 위에 형성되는 섀시; 및
    상기 전자 부품들 사이의 상기 섀시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부품들을 하우징하는 한 쌍의 하우징 부재들;을 포함하는 상기 캐비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전자 장치의 전자 부품들을 내부에 하우징하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에 있어서,
    비교적 강한 강성을 갖는 중앙 섀시;
    상기 중앙 섀시가 베이스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 섀시 위에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중앙 섀시; 및
    상기 중앙 섀시가 상부 플에이트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 섀시 아래에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캐비닛.
  4. 전자 장치의 전자 부품들을 내부에 하우징하는 캐비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비교적 강한 강성을 갖는 중앙 섀시;
    상기 중앙 섀시위에 형성된 상부 케이스, 상기 상부 케이스의 베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중앙 섀시; 및
    상기 중앙 섀시 아래에 형성된 하부 케이스,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부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상기 중앙 섀시;를 포함하는 상기 캐비닛을 포함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부재의 하나는 다른 하우징 부재보다 작은 체적을 가지며, 상기 캐비닛은 상기 섀시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부재와 쌍과 섀시는 상기 하우징 부재들 중의 하나의 내부에 형성된 스크루 홀 내에 스크루를 삽입시켜 서로 일체형으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섀시는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덮는 후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회로보드; 및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회로보드 및 상기 제어보드는 이들 사이에 위치한 상기 섀시와 반대편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브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상기 중앙 섀시에 대해서 비대칭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비교적 얇은 부재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는 결합 부재에 의해서 상기 중앙 섀시에 각각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셋업되고,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상기 섀시는 바닥에 대해 수평이며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부재는 다른 부재의 꼭대기(top) 위에 놓이며, 상기 꼭대기에 위치한 상기 한 쌍의 하우징 부재의 하우징 부재는 바닥에 놓인 하우징 부재보다 큰 체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 위에 위에 놓인 상기 하우징 부재는, 유저를 바라보는 전면부위에서, 바닥에 놓인 상기 하우징 부재보다 전방으로 보다 더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 위에 놓인 상기 하우징 부재의 상기 전면부 위에 형성되는 스위치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꼭대기 위에 놓인 상기 하우징 부재의 전면부 위에 형성된 주변 장치들을 실장하기 위한 실장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들의 쌍 각각은 대략 직사각 평행육면체의 형태를 갖고;
    상기 하우징 부재들의 쌍은 상기 하우징 부재들 쌍의 소정의 면들이 서로 동평면이 되도록 구성되고, 따라서 전자장치는 베이스(base)를 형성하는 상기 동평면 표면들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셋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후면을 대략 덮는 후면부를 갖는 상기 캐비닛; 및
    상기 하우징 부재들의 상기 후면부 및 전면부에 대해 각각 대략 수직인 동평면들;을 내부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8.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들의 쌍은 이들의 소정의 표면들이 서로 동평면이고, 따라서 상기 전자장치는 베이스를 형성하는 상기 동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셋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1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재들의 쌍은 이들 사이에 상기 섀시를 가지고 있어 상기 섀시의 일부분이 노출되고, 상기 캐비닛의 형태의 자유도는 하우징 부재들의 상기 쌍의 상대 위치들을 바꿈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장치.
KR1020017005655A 1999-09-06 2000-09-01 전자부품을 하우징 하는데 쓰는 전자장치의 캐비닛 및이를 갖는 전자장치 KR1006752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251655 1999-09-06
JP25165599 1999-09-06
JP2000260711A JP2001148578A (ja) 1999-09-06 2000-08-30 電子機器用筐体および電子機器
JP2000/260711 2000-08-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402A true KR20010089402A (ko) 2001-10-06
KR100675241B1 KR100675241B1 (ko) 2007-01-26

Family

ID=26540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655A KR100675241B1 (ko) 1999-09-06 2000-09-01 전자부품을 하우징 하는데 쓰는 전자장치의 캐비닛 및이를 갖는 전자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650545B1 (ko)
EP (1) EP1127480B1 (ko)
JP (1) JP2001148578A (ko)
KR (1) KR100675241B1 (ko)
CN (1) CN1225156C (ko)
AT (1) ATE282942T1 (ko)
AU (1) AU6868500A (ko)
BR (1) BR0007074A (ko)
CA (1) CA2350103A1 (ko)
DE (1) DE60015918T2 (ko)
ES (1) ES2233432T3 (ko)
RU (1) RU2001114573A (ko)
TW (1) TWI241208B (ko)
WO (1) WO20010191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75716C (en) * 2000-02-29 2005-08-25 Intel Corporation Providing a viewer incentive with video content
JP2005183651A (ja) 2003-12-19 2005-07-07 Fujitsu Ltd 筐体および付加装置
US7298607B2 (en) * 2005-09-29 2007-11-20 Dell Products L.P.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a chassis
US20070147010A1 (en) * 2005-12-22 2007-06-28 Roxanne Arnel Drive slot shutters for drive enclosures
US20080158805A1 (en) * 2006-12-27 2008-07-03 Mazen Waheeb El Bteddini Small portable multipurpose pc unit insertable into a multitude of operating stations
JP4940964B2 (ja) * 2007-01-26 2012-05-30 船井電機株式会社 電子機器の筐体及び液晶テレビジョン受像器
TWM351389U (en) * 2008-09-01 2009-02-21 Aopen Inc Computer enclosure and computer
US20110028008A1 (en) * 2009-08-03 2011-02-03 Array Converter, Inc. Programmable structure for passing parameters to a controller
JP5449939B2 (ja) * 2009-09-16 2014-03-19 株式会社タイトー ゲーム機
JP5204278B2 (ja) * 2011-09-01 2013-06-05 株式会社東芝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および電子機器
CN102762066B (zh) * 2012-07-10 2015-06-10 北京长城电子装备有限责任公司 一种通信指挥主控装置
CN105229559B (zh) * 2013-05-17 2019-06-14 索尼电脑娱乐公司 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CN110083212B (zh) 2013-05-17 2023-07-14 索尼电脑娱乐公司 电子设备
JP1535174S (ko) * 2015-01-20 2015-10-19
KR102597998B1 (ko) * 2022-01-06 2023-11-02 엘에스일렉트릭(주) 전력 변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4055A (en) * 1981-08-13 1983-07-19 Smith Richard D Cabinet for video game consoles, cartridges, accessories, and instruction booklets
US5111362A (en) * 1990-09-18 1992-05-05 Intel Corporation Enclosure assembly with two identical covers having modifiable supports for asymmetrically housing a printed circuit board or the like
EP0501456A3 (en) * 1991-02-26 1992-09-09 Sony Corporation Video game computer provided with an optical disc drive
US5206796A (en) * 1991-03-11 1993-04-27 John Fluke Mfg. Co. Inc. Electronic instrument with emi/esd shielding system
US5936842A (en) * 1993-12-17 1999-08-10 Robert Bosch Gmbh Housing for electric-drive units
JP2750823B2 (ja) * 1994-11-08 1998-05-13 株式会社三社電機製作所 可搬型電源装置及びその筐体の製造方法
US5828546A (en) * 1995-03-20 1998-10-27 Emc Corporation Device cover and ejection apparatus and method
US5717575A (en) * 1995-08-09 1998-02-10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Board mounting system with self guiding interengagement
TW443717U (en) * 1996-06-28 2001-06-23 Sharp Kk Tuner structure and cable modem tuner using the same
US5749457A (en) * 1996-12-23 1998-05-12 Motorola Inc. Electronic device with switch and pivotable actuat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1114573A (ru) 2003-07-10
KR100675241B1 (ko) 2007-01-26
US6650545B1 (en) 2003-11-18
ATE282942T1 (de) 2004-12-15
CN1321412A (zh) 2001-11-07
DE60015918D1 (de) 2004-12-23
CA2350103A1 (en) 2001-03-15
CN1225156C (zh) 2005-10-26
ES2233432T3 (es) 2005-06-16
BR0007074A (pt) 2001-07-10
WO2001019152A1 (en) 2001-03-15
EP1127480B1 (en) 2004-11-17
EP1127480A1 (en) 2001-08-29
DE60015918T2 (de) 2005-11-10
JP2001148578A (ja) 2001-05-29
AU6868500A (en) 2001-04-10
TWI241208B (en) 2005-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5241B1 (ko) 전자부품을 하우징 하는데 쓰는 전자장치의 캐비닛 및이를 갖는 전자장치
JP4388174B2 (ja) 電子機器
KR20010080968A (ko) 온도 감지기가 장착된 전자 장치
TW490892B (en)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CA2370716A1 (en) Electronic device and shield
EP1509073B1 (e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used in either horizontal or vertical orientation
JP3604364B2 (ja) 電子機器
MXPA01004581A (en) Cabinet of electronic device for housing electronic components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abinet
JP2001291562A (ja) 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1004570A (en) Electronic device that can be used in either horizontal or vertical orientation
JP2002253855A (ja) 電子機器
JP2001291561A (ja) コネクタ
JP2001320192A (ja) 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