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733A -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733A
KR20010085733A KR1020010010493A KR20010010493A KR20010085733A KR 20010085733 A KR20010085733 A KR 20010085733A KR 1020010010493 A KR1020010010493 A KR 1020010010493A KR 20010010493 A KR20010010493 A KR 20010010493A KR 20010085733 A KR20010085733 A KR 200100857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etting method
displayed
image data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0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1943B1 (ko
Inventor
이시가키준지
Original Assignee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923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83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91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5030A/ja
Application filed by 모리시타 요이찌,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시타 요이찌
Publication of KR20010085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1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1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27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games or graphical anim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화면" 아이콘 화면이 선택된다(S61).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의 결정키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화면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S62). 다음으로 사용자가 한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기 위한 "화면 선택"을 선택하는지 판단한다(S63). 사용자가 "화면 선택"을 선택하면, 등록된 화면들이 카테고리별로 나열된다(S64). 현재 화면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카테고리 화면으로 교체된다(S65). S63에서 사용자가 "화면 선택"을 선택하지 않으면, 현재 화면은 계속 유지된다(S66).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 전화기{Screen setting method in portable telephone and portable telephon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화면 변경을 위하여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임의의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면, 아이모드(i mode))를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복합 화면 설정 방법 및 이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사용자가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선택된 전경 및 배경 화면들을 서로 겹쳐서 복합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하는 온라인 데이터 서비스의 동작 모드를 말한다. 이 모드는 사용자가 센터에 등록된 사이트들(프로그램들)로의 접속 서비스, 인터넷 접속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아이모드 서비스 등을 이용할 수 있게 한다.
지금까지, 표시부에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화면 패턴은 처음부터 정해져(고정되어) 있어, 너무 단조로운 화면 패턴에 사용자가 식상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 변경을 위하여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임의의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선택할 수 있게 하고, 전경 및 배경 화면들을 서로 겹쳐서 복합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화기의 복합 화면 설정 방법 및 이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화기를 구현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기에 대기 모드로 표시된 아이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내지 도 4g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 다른 도면들.
도 6은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수행되는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흐름도.
도 7은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수행되는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 도면들.
도 9는 화면 선택 모드를 설정하고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전경 화면과 배경화면을 표시용 화면으로 복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테나 2 : 착신/충전 램프
3 : 수화기 4 : 액정 표시기
5 : 좌측 소프트키 6 : 통화 개시 버튼
7 : 다이얼 키 8 : 워프키
9 : 송화기 10 : 외부 접속 단자
11 : 음성/매너키 12 : 전원/종료/응답보류키
13 : 우측 소프트키 14 : 네비게이션 키
15 : 이어폰/마이크로폰 단자 16 : 적외선 포트
18 : 무선 통신부 20 : 제어부
22 : 숫자 키패드 조작부 24 : 기능키 조작부
28 : 적외선 입출력부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으로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선택되고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그림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그림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그림이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이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은 GIF 형식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애니메이션 화면이 읽혀지면 휴대용 전화기의 메모리의 부담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은 대기 모드의 화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대기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은 전원이 온(ON)될 때의 웨이크업 화면(wake-up screen)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원이온될 때 사용자가 좋아하는 웨이크업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된 바와 같은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이 설정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가 좋아하는 화면을 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표시될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화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며, 전경 화면 및 배경 화면은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복합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식상해지지 않는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은 사이트나 URL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데이터이고 전경 화면은 이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가 좋아하는 배경 화면을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은 이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이고 전경 화면은 사이트나 URL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데이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가 좋아하는 전경 화면을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는 GIF 형식일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읽혀진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메모리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이미지 데이터의 그라데이션(gradation)은 한 단계 낮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경 화면은 훨씬 용이하게 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경 영역, 중경 영역, 및 근경 영역이 화면에 제공되고, 복합 화면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 영역에 대해 임의의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원경 영역, 중경 영역, 및 근경 영역에 상이한 화면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식상해지지 않는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이 선택될 수 있고 복합 화면으로서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겹쳐질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이한 형식의 화면들이 표시되어 사용자들이 화면을 보는데 있어 식상해지지 않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어, 소위 아이모드라는 정보 모드) 기능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안테나(1), 착신/충전 램프(2), 수화기(3), 액정 표시기(4), 전화번호부 버튼으로 기능하는 좌측 소프트 키(5), 통화 개시 버튼(6), 숫자 키패드 또는 다이얼 키들(7),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스위칭하기 위한 워프키(8), 송화기(9), 외부 접속 단자(10), 음성/매너키(11), 전원/종료/응답보류키(12), 재통화/삭제 버튼으로 기능하는 우측 소프트키(13), 사용자가 표시기에 표시된 내용을 상하 좌우로 선택하고 중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선택을 결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스크롤 기능으로서 기능하는 네비게이션 키(14), 이어폰/마이크로폰 단자(15), 및 적외선 포트(16)를 포함한다.
도 2는 상술된 휴대용 전화기를 구현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안테나(1)에서 수신된 전파는 무선 통신부(18)의 수신부(미도시)에서 수신되고, 수신 정보는 제어부(20)로 보내지며, 그리고 나서 발신 상대의 전화 번호 등과 같은 수신 정보가 액정 표시기와 같은 표시부(4)에 표시된다.
제어부(20)는 수신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수신부의 스피커(3, 송화기)를 통해 음성을 출력한다. 사용자의 음성은 송화기(9, 마이크로폰)를 통해 수신되어 제어부(20)로 보내지고, 무선 통신부(18)의 송신부(미도시)와 안테나(1)로부터 통화 상대에게 무선 전송된다. 제어부(20)는 통화 도중 통화 내용의 음성 정보 등을 메모리(26)에 저장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 숫자 키패드(7)가 조작됨에 따라, 숫자 키패드 조작부(22)는 다이얼 신호 등을 제어부(20)으로 입력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키(14)와 같은 임의의 기능키가 조작됨에 따라, 기능키 조작부(24)는 키 조작을 제어부(20)로 입력한다.
화면의 정지 이미지 데이터 또는 동화상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26)에 미리 저장될 수 있고,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를 이용하여 다운로드된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의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26)에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대기 화면의 설정 조작 모드에서 표시부(4)에 표시된 화면 또는 전원이 온(ON)될 때의 웨이크업 화면을 볼 때, 제어부(20)는 사용자가 기능키 조작부(24)의 네비게이션 키(14)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임의의 화면을 선택하고 결정할 수 있게 한다. 적외선 입출력부(28)는 적외선 포트(16)를 통하여 적외선 신호를 전송한다. 회로는 도 1의 캐비넷 내에 수용된다.
도 3은 대기 모드에서 상술된 휴대용 전화의 표시부(4)에 표시된 아이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일 예에서, 아이콘 화면은 십자 형상으로 표시되고, 아이모드 메인 아이콘, 아이모드 메일 아이콘, 전화번호부 아이콘, 및 화면 아이콘은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시계 방향을 따라 표시되어 있으며, 메뉴 아이콘은 중앙에 표시되어 있다. 선택된 아이콘은 확대된 크기로 표시되어 현재 어떤 아이콘 화면이 표시되었는지 지시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다. 전원키(12)가 조작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어, 아이모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는 입력 모드로 들어가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5개의 아이콘들이 표시부(4)에 표시된다.
사용자가 이 모드에서 "화면" 아이콘 화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 상에서 확대된다.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화면 목록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키(14)의 상하 스크롤 키를 조작하여 기능을 선택한다. 도 4b는 반전 표시된 "화면 표시"가 기능으로 선택된 것을 지시하며, 현재 화면으로 선택된 도 4c의 "달력"이 화면으로 표시된다.
현재 표시되고 선택된 화면, 예를 들어 상술된 "달력"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기를 사용자가 원하면, 사용자는 도 4b와 동일한 도 4d의 화면에서 "화면 선택" 기능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화면 선택" 기능을 선택할 때, 등록된 화면들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고리 별로 나열된다. 여기서는 반전 표시된 "그림"이 선택되어 있다. 사용자는 기능키 조작부(24)의 네비게이션 키(14)를 이용하여 화면 목록 화면을 스크롤하여 반전 표시된 위치를 "시계", "그림+시계", 또는 "달력"으로 움직여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등록 번호가 "그림"에 설정된다. 사용자가 도 4e의 상단으로부터 2번째와 같은 등록번호 2로 "그림"을 선택하고, 이를 화면으로 선택하면, 카테고리 내의 "그림"의 등록 번호 2가 대기 모드에서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그림"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기능키 조작부(24)의 네비게이션 키(14)를 조작할 때, 도 4f의 "그림" 표시 상태는 도 4g의 "그림+시계" 화면으로 변경되고, 다음으로 도 4c의 "달력" 화면으로 변경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도 4e에서 보이지 않는 화면들이 순차적으로 스크롤될 수 있으며, 좋아하는 화면이 나타나면 이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 화면은 선택되고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된 사이트 또는 화면 메모에 미리 저장된 화면에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형식의 이미지가 있을 때 이 이미지는 그림 화면으로 등록될 수 있고, 또한 표시된 사이트에 GIF 형식의 애니메이션이 나타나면, 이 애니메이션 또한 화면으로 설정되고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사이트가 표시되었을 때 사용자가 좌측 소프트 키(5)를 누르면, 도 5a와 같은 서브메뉴 화면이 표시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반전 표시된 "화면 설정"을 선택한다. "화면 메모"로부터 설정하도록, 사용자는 설정될 화면 메모를 표시하고 좌측 소프트 키(5)를 눌러 "화면 설정"을 선택한다.
"화면 설정"의 선택을 확인하도록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를 누르면, 이미지 등록 화면이 나타난다. 이미 등록된 이미지가 있으면, 등록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도 5b는 이미 등록된 이미지가 표시된 일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키(14)의 좌방 또는 우방 스크롤 키를 눌러 등록 화면으로 변경하고, 도 5c와 같이 덮어써질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선택하여, 등록될 새로운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으로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을 덮어쓴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를 누를 때, 도 5d와 같이 설정 완료 화면이 나타난다. 이후, 새로 설정된 그림 또는 애니메이션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수행되는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1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도 6에 있어서, "화면" 아이콘 화면이 선택된다(S61). 다음으로, 네비게이션키(14)의 결정키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화면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S62).
다음으로,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기 위한 "화면 선택"을 선택하는지 판단한다(S63). "화면 선택"이 선택되면, 등록된 화면들이 카테고리별로 나열된다(S64). 화면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카테고리 화면으로 교체된다(S65). S63에서 "화면 선택"이 선택되지 않으면, 현재 화면이 계속 유지된다(S66).
도 7은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것으로 변경하기를 원할 때 수행되는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 2 실시예의 흐름도이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가 "화면 선택"을 선택할 때, 도 6의 S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된 화면들을 나열하는 작업이 수행되지 않고, 등록된 화면들의 목록이 표시되는 대신 현재 설정된 화면이 표시된다.
즉, 도 7의 흐름도에 있어서, "화면" 아이콘 화면이 선택된다(S71).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화면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S72).
다음으로, 사용자가 화면을 다른 화면으로 변경하기 위한 "화면 선택"을 선택하는지 판단한다(S73). "화면 선택"이 선택되면, 현재 설정된 화면이 표시된다(S74). 그리고 나서, 네비게이션 키(14)의 스크롤 키가 눌러져 스크롤 조작이 이루어지면(S75), 스크롤 키가 조작됨에 따라 다른 화면이 표시된다(S76).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화면은 사용자가 좋아하는 화면으로 교체될 수 있다(S77). S73에서 "화면 선택이 선택되지 않으면, 도 6의 흐름도에서와 같이 현재 화면이 계속 유지된다(S78).
표시부(4)에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동작 모드들은 대기 모드와 웨이크업 모드를 포함하기 때문에, 각 표시 동작을 위하여 표시되는 화면 또한 임의로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미리 등록된 화면 데이터 또는 사이트나 URL로부터 이미지 데이터는 메모리(26)에 저장된다. 화면 선택 모드에서 기능키 조작부(24) 또는 숫자 키패드 조작부(2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선택하면, 제어부(20)는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복합 화면으로 표시할 수 있다. 회로는 도 1의 캐비넷에 수용된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다. 전원키(12)가 조작되어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어, 아이모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는 대기 모드로 놓인다. 사용자가 대기 모드의 아이콘 화면 중에서 "화면"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대되어 표시된다. 사용자가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를 누르면, 도 8b와 같은 화면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는 네비게이션 키(14)의 상방 또는 하방 스크롤 키를 눌러 "화면 선택"을 선택하고,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를 눌러 "화면 선택"의 기능 선택을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선택될 수 있는 화면들은 도 8c와 같이 카테고리 별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카테고리에서 "그림"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림" 화면이 화면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카테고리에서 "그림+시계"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면, 예를 들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림+시계" 화면이 화면으로 표시된다.
사용자가 카테고리에서 "그림+시계" 이미지 데이터를 화면으로 선택하면, "화면" 이미지 데이터는 배경 화면이 되고 "시계" 이미지 데이터는 전경 화면이 되어, 도 8f와 같이 다수의 화면들이 서로 겹쳐져, 즉 복합 화면이 표시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전경 화면 이미지 데이터가 뚜렷하게 보이도록, 배경 화면 이미지 데이터는 그라데이션이 한 단계 낮아지고,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은 서로 겹쳐져 표시된다. 또한, 전경 화면 이미지 데이터와 배경 화면 이미지 데이터는 상이한 형식의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미지 데이터의 획득은 위에서 설명되지 않았으나, 미리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될 수 있으며, 사이트나 URL(Uniform Resource Locator)로부터 다운로드된 이미지 데이터가 사용될 수도 있다.
사이트 또는 URL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로서 GIF 형식의 이미지가 사용되며, 이는 휴대용 전화기와 같은 소형 경량의 정보 단말기의 이미지 메모리로서 대용량의 메모리가 사용될 수 없기 때문이다.
도 9는 상술된 복합 화면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있어서, "화면" 아이콘 화면이 선택된다(S51). 다음으로,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가 눌러지는 것에 의해 화면 목록 화면이 표시된다(S52).
다음으로, 사용자가 화면을 복합 화면으로 변경하기 위한 "화면 선택"을 선택하는지 판단한다(S53). "화면 선택"이 선택되면, 복합 화면, 예를 들어 "시계+그림" 이미지 데이터가 등록된 화면들의 목록으로부터 선택된다(S54). 복합 화면을 설정하기 위하여 "그림" 이미지 데이터는 배경 화면용으로 선택되고 시계 이미지 데이터는 전경 화면용으로 선택된다(S55). S53에서 "화면 선택"이 선택되지 않으면 현재 화면이 계속 유지된다(S56).
상술된 실시예에 있어서, 전경과 배경으로서 서로 겹쳐지는 다수의 이미지들로 복합 화면을 설정하는 일 예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표시부(4)의 표시 영역은 예를 들어 원경 영역, 중경 영역, 및 근경 영역으로 미리 구획될 수도 있으며, 임의의 이미지가 각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따라,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으로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면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으로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선택되고 표시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그림이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그림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그림이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된 애니메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애니메이션이 화면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은 GIF 형식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애니메이션 화면이 읽혀지면 휴대용 전화기의 메모리의 부담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은 대기 모드의 화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좋아하는 대기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은 전원이 온될 때의 웨이크업 화면일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원이 온될 때 사용자가 좋아하는 웨이크업 화면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상술된 바와 같은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이 설정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가 그 또는 그녀가 좋아하는 화면을 설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따라, 대기 모드에서 표시될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화면 선택 모드가 설정되며, 전경 화면 및 배경 화면은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선택될 수 있고 복합 화면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겹쳐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식상해지지 않는 화면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은 사이트나 URL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데이터이고 전경 화면은 이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가 좋아하는 배경 화면을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은 이전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이고 전경 화면은 사이트나 URL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데이터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그 또는 그녀가 좋아하는 전경 화면을 화면으로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는 GIF 형식일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읽혀진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메모리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화면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이미지 데이터의 그라데이션(gradation)은 한 단계 낮아질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전경 화면은 훨씬 용이하게 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에 있어서, 배경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경 영역, 중경 영역, 및 근경 영역이화면에 제공되고, 복합 화면을 설정하기 위하여 각 영역에 대해 임의의 이미지가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원경 영역, 중경 영역, 및 근경 영역에 상이한 화면들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식상해지지 않는 화면을 설정할 수 있다.
더욱이, 상술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이 선택될 수 있고 복합 화면으로서 표시하기 위하여 서로 겹쳐질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이한 형식의 화면들이 표시되어 사용자들이 화면을 보는데 있어 식상해지지 않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5)

  1. 표시부에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으로서,
    표시부에 임의의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및
    표시부에 표시된 화면을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으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순차적으로 표시되는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선택되고 표시되는 화면인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그림인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표시부에 표시된 임의의 화면은 사이트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애니메이션인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애니메이션은 그래픽 교환 형식(GIF)의 이미지인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은 대기 모드의 화면인 휴대용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은 전원이 온될 때의 웨이크업 화면인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8. 제 1 항에서 청구된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표시 모드의 화면이 설정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
  9. 대기 모드에서 표시될 화면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복합 화면 설정 방법으로,
    화면 선택 모드로의 작동을 설정하는 단계;
    다수의 화면들 중에서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선택하는 단계; 및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을 서로 겹쳐서 복합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화면 설정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경 화면은 사이트나 URL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이미지 데이터이고, 전경 화면은 미리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인 복합 화면 설정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배경 화면은 미리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이고, 전경 화면은 사이트나 URL로부터 다운로드되는 이미지 데이터인 복합 화면 설정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이미지 데이터는 그래픽 교환 형식(GIF)인 복합 화면 설정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배경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이미지 데이터의 그라데이션은 한 단계 낮아지는 복합 화면 설정 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배경 화면의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경 영역, 중경 영역, 및 근경 영역이 화면에 제공되고, 복합 화면을 설정하기 위해 임의의 이미지가 각 영역에 대해 선택되는 복합 화면 설정 방법.
  15. 제 9 항에서 청구된 복합 화면 설정 방법을 이용하여 전경 화면과 배경 화면이 선택되어 서로 겹쳐져 복합 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
KR1020010010493A 2000-02-29 2001-02-28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전화기 KR1007719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4923 2000-02-29
JP2000-054919 2000-02-29
JP2000054923A JP4208375B2 (ja) 2000-02-29 2000-02-29 携帯電話機における複合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及び該複合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を用いる携帯電話機
JP2000054919A JP2001245030A (ja) 2000-02-29 2000-02-29 携帯電話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及び該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733A true KR20010085733A (ko) 2001-09-07
KR100771943B1 KR100771943B1 (ko) 2007-10-31

Family

ID=26586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93A KR100771943B1 (ko) 2000-02-29 2001-02-28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10029193A1 (ko)
EP (1) EP1130886A3 (ko)
KR (1) KR100771943B1 (ko)
CN (1) CN1148088C (ko)
AU (1) AU774322B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02A (ko) * 2001-03-09 2002-09-14 (주) 버추얼다임 레이어처리부를 갖는 무선인터넷 단말장치 및 레이어시현방법
KR100861510B1 (ko) * 2002-07-13 2008-10-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시동-신호의 설정을 위한 플레시 메모리를 가진 디지털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6800B1 (ko) * 2007-06-28 2012-0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서의 표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996B1 (ko) * 1998-12-17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GB2365676B (en) * 2000-02-18 2004-06-23 Sensei Ltd 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machine interface
GB2365675B (en) * 2000-02-18 2004-06-23 Sensei Ltd Mobile telephone with improved man-machine interface
US20060270457A1 (en) * 2001-05-03 2006-11-30 Lord Frank H Multi media broadcasting, broadcast services for cell phone and other users and modified SIM card and related means for enabling such broadcast reception
JP2002261918A (ja) * 2001-03-02 2002-09-13 Hitachi Ltd 携帯電話機
KR100405048B1 (ko) * 2001-09-10 2003-11-0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조 변경 시스템 및 방법
JP4147016B2 (ja) * 2001-10-16 2008-09-10 富士通株式会社 携帯端末
US20030200278A1 (en) * 2002-04-01 2003-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generating and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use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7245945B2 (en) * 2002-11-05 2007-07-17 Intel Corporation Portable computing device adapted to update display information while in a low power mode
KR20050032818A (ko) * 2003-10-02 2005-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대기 화면 표시 방법
US20060040081A1 (en) * 2004-08-23 2006-02-23 Hodsdon Jerry 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personaliz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914869B2 (en) 2005-04-18 2011-03-29 Avery Dennison Corporation Mobile device label with negative image feature
KR101104611B1 (ko) * 2005-04-29 2012-0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설정 방법
KR100959572B1 (ko) 2005-06-10 2010-05-27 노키아 코포레이션 전자 장치의 대기 화면 재구성
KR100630190B1 (ko) 2005-07-22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의 기본화면 설정 방법
US8712476B2 (en) * 2006-06-15 2014-04-29 Sk Telecom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pin-home func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3307B1 (ko) * 2006-09-25 2008-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대기 화면 제공 방법
US7657281B2 (en) * 2007-01-04 2010-02-02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s of dynamically changing information provided on a display of a cellular telephone and related cellular telephones
WO2009100233A2 (en) * 2008-02-08 2009-08-13 Novarra, Inc. User interface with multiple simultaneous focus area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32110T2 (de) * 1992-09-21 2002-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inblenden von graphischen Daten mit Speicherung der graphischen Parameter
WO1997019429A1 (en) * 1995-11-20 1997-05-29 Motorola Inc. Displaying graphic messages in a radio receiver
DE19619090A1 (de) * 1996-04-30 1997-11-13 Cfb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Erzeugung eines Kompositbildes
US6317593B1 (en) * 1996-08-12 2001-11-13 Gateway, Inc. Intelligent cellular telephone function
US5870683A (en) * 1996-09-18 1999-02-09 Nokia Mobile Phones Limited Mobile station h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user-selectable animation sequence
EP0855694A1 (fr) * 1997-01-28 1998-07-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ispositif d'affichage permettant de superposer des graphismes sur des caractères alphanumériques
US6084951A (en) * 1997-04-23 2000-07-0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Iconized name list
JPH11298572A (ja) * 1998-04-07 1999-10-29 Nec Shizuoka Ltd 受信装置及び受信情報表示方法
KR100593996B1 (ko) * 1998-12-17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에서의 배경화면 디스플레이방법
EP1052598A3 (en) * 1999-05-13 2001-01-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formation terminal device with a resizing unit for images and selection unit for a background image
KR100324168B1 (ko) * 1999-12-28 2002-02-16 박원배 무선 이동 단말에서의 사용자 화면 서비스 방법
US6704027B2 (en) * 2000-08-24 2004-03-09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Portab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102A (ko) * 2001-03-09 2002-09-14 (주) 버추얼다임 레이어처리부를 갖는 무선인터넷 단말장치 및 레이어시현방법
KR100861510B1 (ko) * 2002-07-13 2008-10-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시동-신호의 설정을 위한 플레시 메모리를 가진 디지털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101106800B1 (ko) * 2007-06-28 2012-0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에서의 표시 방법
US8730262B2 (en) 2007-06-28 2014-05-20 Kyocer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in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088C (zh) 2004-04-28
CN1311596A (zh) 2001-09-05
AU774322B2 (en) 2004-06-24
EP1130886A2 (en) 2001-09-05
KR100771943B1 (ko) 2007-10-31
US20010029193A1 (en) 2001-10-11
AU2325101A (en) 2001-08-30
EP1130886A3 (en) 200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1943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전화기
KR100754704B1 (ko) 위치에 따라 설정 변경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KR100749834B1 (ko) 북마크 소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북마크 리스트 표시 방법
KR100771944B1 (ko) 휴대 전화기용 전자 메일 취급 방법 및 이 취급 방법을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US20010022839A1 (en) Method for changing scroll mode in portable telephone and portable telephone using said method
KR100773847B1 (ko)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100334796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JP2001245037A (ja) 携帯電話機
JP4208375B2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複合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及び該複合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を用いる携帯電話機
JP2002101181A (ja) 情報処理装置
KR20040048496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가동방법
JP3439183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電話番号表示方法
KR100476008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이동통신단말기
JP2001245030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及び該スクリーン画面設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4517557B2 (ja) 表示方法
JP3524858B2 (ja) 通信端末装置および設定値表示方法
JP3459587B2 (ja) 電話装置
JP3524859B2 (ja) 折畳式通信端末装置および発光色選択方法
KR101075717B1 (ko) 메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20011194A (ko) 이동 통신 단말의 메뉴 선택 방법
KR20040051855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통한 기능별 메뉴 검색방법
JP2001243146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ホームページ接続方法及び該接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1245350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1245349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H10161829A (ja) 機能設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