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5382A -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 - Google Patents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5382A
KR20010085382A KR1020010007238A KR20010007238A KR20010085382A KR 20010085382 A KR20010085382 A KR 20010085382A KR 1020010007238 A KR1020010007238 A KR 1020010007238A KR 20010007238 A KR20010007238 A KR 20010007238A KR 20010085382 A KR20010085382 A KR 200100853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uter
software
volume
value
se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7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리히데토시
나카오다케노부
사사키켄
우노순야
후지이가즈오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100853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538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하게 제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출력 음성의 음량치 등이 변경된 경우, 변경 후의 음량치 등을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클래스명과 대응시켜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한다(170∼182). 또,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윈도우의 포커스가 전환할 때에, 새롭게 포커스를 얻는 윈도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의 클래스명을 취득하여(156∼162),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음량치 등이 등록되어 있으면(164가 긍정), 출력 음성의 음량 등을 변경한다(166, 168).

Description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COMPUTER, CONTROLLING METHOD THEREFOR, RECORDING MEDIUM AND TRANSMITTING MEDIUM}
본 발명은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 이 제어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컴퓨터, 컴퓨터에 의해서 상기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컴퓨터에 의해서 상기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에 관한 것이다.
퍼스널 컴퓨터(PC)로 실행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중에는 실행시에, 컴퓨터의 음성 출력 장치에 의해서 효과음 등의 음성을 출력시키는 것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예컨대 오퍼레이팅 시스템(OS) 중에는 시스템의 기동이나 종료, 혹은 폴더를 여는 등의 특정한 처리를 행했을 때에 효과음을 출력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 있다. 또, 예컨대 게임 소프트에서는 현장감을 높이기 위해서 효과음을 출력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OS에 의한 효과음과 게임 소프트에 의한 효과음은 목적이 다르기 때문에, 쌍방의 효과음의 적정한 음량은 반드시 동일하지는 않다. 또한, 모뎀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통신음에 관해서도,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음량을 조금 크게 설정하고 싶은 사용자가 있는 한편, 통신음을 듣고 싶지 않다고 느끼고 있는 사용자도 존재하고 있어, 통신음의 음량의 적정치도 사용자에 따라서 다르다. 따라서, 단일 PC에서 실행되는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중에도 실행시에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의 적정치가 원래는 다른 소프트웨어가 혼재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PC가 구비하고 있는 음량 조정 기구 및 일부의 OS가 구비하고 있는 음량 조정 기능은 모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PC의 스피커에서 발생되는 음성의 음량을 일률적으로 조정할 뿐인 것으로, 음량의 자동 조정 등의 기능은 구비하지 않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어떤 소프트웨어를 기동할 때마다, 그 때의 음량의 설정치가 기동한 소프트웨어에 알맞은 값으로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음량의 설정치가 부적당한 경우에는 수동으로 음량을 조정한다고 하는 번잡한 작업을 할 필요가 있었다.
전술한 바와 관련하여 일본국 특허 공개 평6-131149호 공보에는 디스플레이 상에 가상의 음량 조정, 좌우 밸런스의 제어 기구를 설치하여, 화상 윈도우의 디스플레이 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좌우 밸런스를 제어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서는 디스플레이 상에서의 화상 윈도우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좌우 밸런스를 변경할 수 있지만, 원래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는 화상 윈도우의 위치를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좌우 밸런스와 관련지어 있기 때문에, 음량이나 좌우 밸런스를 변경하지 않고서 화상 윈도우의 위치만을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결점이 있다.
또, 출력 음성의 음질이나 PC의 표시 장치의 밝기, CPU의 동작 속도 등과 같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규정하는 다른 매개 변수의 제어에 있어서도, 전술한 음량 등의 제어와 마찬가지로, PC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를 단위로서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할 수 있는 컴퓨터, 컴퓨터의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노트북형 PC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음성의 출력, 출력 음성의 음량 등의 조정에 따른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4의 (A)는 음량 조정 윈도우의 일례, (B) 및 (C)는 윈도우 포커스의 전환의 일례를 각각 나타내는 이미지도.
도 5는 음량 제어 처리의 내용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을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하는 형태, (B)는 본 발명을 OS에 의해서 실현하는 형태, (C)는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의 일부를 BIOS가 제공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실현하는 형태를 각각 나타내는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컴퓨터 시스템
14 : CPU
62 : 오디오 H/W
64L, 64R : 스피커
86 :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는,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갖추고 있다. 또, 설정 수단에 의해서 적정치가 설정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로서는, 예컨대 컴퓨터의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의 음성 출력시의 음량을 규정하는 음량 제어 매개 변수, 상기 음성 출력시의 음량 밸런스(예컨대 우측 채널과 좌측 채널의 음량 밸런스나, 앞쪽 채널과 뒤쪽 채널의 음량 밸런스)를 규정하는 음량 밸런스 제어 매개 변수, 출력 음성의 음질을 규정하는 음질 제어 매개 변수(예컨대 복수의 주파수 대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음량을 제어하기 위한 매개 변수나, 디지탈의 음성 데이터에서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의 변환에 이용하는 매개 변수), 컴퓨터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명도를 규정하는 명도 제어 매개 변수 및 컴퓨터의 CPU의 동작 속도를 규정하는 동작 속도 제한 매개 변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검출 수단은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고, 제어 수단은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컴퓨터가 특정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는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이 상기 특정한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되고(예컨대 출력 음성의 음량, 음량 밸런스, 음질, 표시 화면의 명도, CPU의 동작 속도의 적어도 하나가 적정치로 제어되어), 컴퓨터가 다른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는,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이 상기 다른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가 복수 종류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기동할 수 있는 구성인 경우,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검출은, 예컨대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고 있는 대응하는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전경에 표시되어 있는, 혹은 포커스를 얻고 있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의 검출,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수단에 의한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의 설정은, 예컨대 컴퓨터가 특정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스템 매개 변수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후의 시스템 매개 변수의 값을 특정한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로서 보존하고, 이어서 그 소프트웨어가 실행되었을 때에 자동적으로 설정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로서,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한 값을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상기한 형태에 있어서의 적정치의 자동 설정은, 예컨대 시스템 매개 변수의 변경을 지시한 사용자에 대하여, 자동 설정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 후에 행하 도록 하더라도 좋고, 사용자에 의한 시스템 매개 변수의 변경의 지시가 특정한 정보 입력 조작을 수반하여 행해진 경우(예컨대 키보드의 특정한 키가 눌리는 등)에만 자동 설정을 행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설정 수단에 의한 시스템 매개 변수의 설정은, 예컨대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한 소프트웨어가 선택되어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가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적정치를 특정한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로서 설정함으로써 행하 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로서,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한 값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한 설정 테이블을 복수 종류 등록 가능하게 하고, 설정 테이블이 복수 종류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복수 종류의 설정 테이블 중 지정된 설정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에 따라,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사용자가 복수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개개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설정 테이블을 각각 생성하여, 현재의 사용자에 대응하는 설정 테이블을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하면, 현재의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한 실행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를 사용자가 이용하는 장면(예컨대 직장, 자택, 통근시 등)마다 설정 테이블을 각각 생성하여, 현재의 이용 장면에 대응하는 설정 테이블을 사용자가 지정하도록 하면, 현재의 이용 장면에 알맞은 실행 환경에서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여,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고,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는,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제1 단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및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제3 단계,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가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제어 방법과 마찬가지로,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송 매체는,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제1 단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제2 단계, 및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제3 단계, 즉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의해서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전송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상기 전송 매체에 의해서 전송된 프로그램을 기억 수단에 일시 기억한 후에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독출하여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과 마찬가지로,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을 실현하는 데에 알맞은 전형적인 퍼스널 컴퓨터(PC)로 이루어지는 컴퓨터 시스템(10)의 하드웨어 구성이 서브 시스템마다 모식적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본 발명을 실현하는 PC의 일례는 OADG(PC Open Architecture Developer's Group) 사양에 준거하여, 오퍼레이팅 시스템(OS)으로서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Windows 98 또는 NT"또는 미국 IBM사의 "OS/2"룰 탑재한 PC(12)(도 2 참조)이다. 또, 도 2에는 일례로서 노트북형의 PC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은 데스크탑형의 PC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컴퓨터 시스템(10)의 각 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컴퓨터 시스템(10) 전체의 두뇌인 CPU(14)는 OS의 제어하에서,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CPU(14)는 예컨대, 미국 Intel사 제조의 CPU 칩 "Pentium", "MMX 테크놀로지 Pentium", "Pentium Pro"나, AMD사 등의 타사 제조의 CPU라도 좋고, IBM사 제조의 "Power PC"라도 좋다.
CPU(14)는 자신의 외부 핀에 직결된 프로세서 직결 버스로서의 FSB(18), 고속의 I/O 장치용 버스로서의 PCI(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버스(20), 및 저속의 I/O 장치용 버스로서의 ISA(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버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I/O 버스(22)라는 3계층의 버스를 통해, 후술하는 각 하드웨어 구성 요소와 상호 접속되어 있다.
FSB(18)와 PCI 버스(20)는 일반적으로 메모리/PCI 제어칩(24)이라 불리는 브릿지 회로(호스트-PCI 브릿지)에 의해서 연락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메모리/PCI 제어 칩(24)은 메인 메모리(16)에의 액세스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메모리 컨트롤러 기능이나, FSB(18)와 PCI 버스(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속도의 차를 흡수하기 위한 데이터 버퍼 등을 포함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예컨대 Intel사 제조의 440EX나 440GX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메인 메모리(16)는 CPU(14)의 실행 프로그램의 판독 영역으로서, 혹은 실행 프로그램의 처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되는 기록 가능 메모리이다.
또, 여기서 말하는 실행 프로그램에는, Windows98 등의 OS, 주변 기기류를 하드웨어 조작하기 위한 각종 디바이스 드라이버, 특정 업무용의 응용 프로그램이나, 플래시 ROM(56)(상세한 것은 후술)에 저장된 BIOS(Basic Input/Output System:키보드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각 하드웨어의 입출력 조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의 펌웨어가 포함된다.
비디오 서브 시스템(26)은 비디오에 관련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서브 시스템이며, CPU(14)로부터의 도화(drawing) 명령을 실제로 처리하여, 처리한 도화 정보를 비디오 메모리(VRAM)에 일단 기록하는 동시에, VRAM으로부터 도화 정보를 독출하여 액정 모니터(LCD)(28)(도 2 참조)에 도화 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비디오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 PCI 버스(20)에는 카드 버스 컨트롤러(30), 모뎀 서브 시스템(32) 및 오디오 컨트롤러(34)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모뎀 서브 시스템(32)에는 LAN이나 전화 회선 등의 통신 회선이 접속된다. 또한, 오디오 컨트롤러(34)에는 오디오 하드웨어 회로(62)(이하, 오디오 H/W(62)라 함)가 접속되어 있고, 오디오 H/W(62)에는 한쌍의 스피커(64L, 64R)가 접속되어 있다. 오디오 H/W(62)는 D/A 변환기 및 증폭기(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내장하고 있어, 오디오 컨트롤러(34)로부터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 변환 증폭하여 스피커(64L, 64R)에 출력한다.
PCI 버스(20)와 I/O 버스(22)는 다기능 PCI 디바이스(38)에 의해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다기능 PCI 디바이스(38)는 PCI 버스(20)와 I/O 버스(22)와의 브릿지 기능, DMA 컨트롤러 기능, 프로그래머블 인터럽트 컨트롤러(PIC) 기능 및 프로그래머블 인터벌 타이머(PIT) 기능, IDE(Integrated Drive Electronics) 인터페이스 기능, USB(Universal Serial Bus) 기능, SMB(System Management Bus)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추고 있고, 예컨대 Intel사 제조의 PIIX4라는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IDE 인터페이스 기능에 의해서 실현되는 IDE 인터페이스에는 IDE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DD)(40)가 접속되는 것 외에, IDE CD-ROM 드라이브(42)가 ATAPI(AT Attachment Packet Interface) 접속된다. 또, 다기능 PCI 디바이스(38)에는 USB 포트가 설치되어 있고, 이 USB 포트는 예컨대, PC 본체의 벽면 등에 설치된 USB 커넥터(44)와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다기능 PCI 디바이스(38)에는 SM 버스를 통해 EEPROM(50)이 접속되어 있다. EEPROM은 사용자에 의해서 등록된 패스워드나 슈퍼바이저 패스워드, 제품 일련 번호 등의 정보를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이며, 불휘발성으로 기억 내용을 전기적으로 고쳐 쓸 수 있게 되어 있다.
I/O 버스(22)는 PCI 버스(20)보다도 데이터 전송 속도가 낮은 버스이며(예컨대 버스 폭 16 비트, 최대 데이터 전송 속도 4 MBps), Super I/O 컨트롤러(46), 전원 컨트롤러(48), EEPROM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래시 ROM(56), CMOS(58)에 더하여, 리얼 타임 클록(RTC)이나, 키보드/마우스 컨트롤러와 같은 비교적 저속으로 동작하는 주변 기기류(모두 도시하지 않음)를 접속하는 데 이용된다.
Super I/O 컨트롤러(46)에는 I/O 포트(52)가 접속되어 있으며,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FDD)의 구동, 병렬 포트를 통한 병렬 데이터의 입출력(PIO), 직렬 포트를 통한 직렬 데이터의 입출력(SIO)을 제어하기 위한 주변 컨트롤러이다. 전원 컨트롤러(48)는 주로 컴퓨터 시스템(10)의 파워 매니지먼트나 서멀 매니지먼트를 행하는 것으로, MPU, RAM, ROM 및 타이머 등을 갖춘 싱글 칩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할 수 있다.
플래시 ROM(56)은 BIOS나 부팅 스트랩 코드 등의 펌웨어의 프로그램을 유지하기 위한 메모리이며, 불휘발성으로 기억 내용을 전기적으로 고쳐 쓸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CMOS(58)은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가 백업 전원에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고, 불휘발성이며 또 고속의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컴퓨터 시스템(10)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나타낸 것 이외에도 많은 전기 회로가 필요하다. 단, 이들은 당업자에게는 주지이며, 또, 본 발명의 요지를 구성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의 착종(錯綜)을 피하기 위해서, 도면 중의 각 하드웨어 블록 사이의 접속도 일부밖에 나타내지 않음을 부기해 둔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 시스템(10)의 스피커(64L, 64R)에서 발생되는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좌우의 음량 밸런스의 제어에 적용한 경우를 예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음량 제어 프로그램이, 그 밖의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당초에는 정보 기록 매체(70)(도 1 참조)에 기억되어 있다. 또, 도 1에서는 정보 기억 매체(70)를 플로피 디스크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CD-ROM 등의 다른 정보 기억 매체라도 좋다. 정보 기억 매체(70)가 대응하는 드라이브(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나 CD-ROM 드라이브)에 장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의 설치가 지시되면, 정보 기억 매체가 장전되어 있는 드라이브에 의해서 정보 기억 매체로부터 음량 제어 프로그램 등이 독출되어, HDD(40)에 기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음량 제어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이 투입되어 OS가 기동되면,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 투입시에 기동되는 다른 응용 프로그램과 함께 HDD(40)로부터 자동적으로 독출되어 메인 메모리(16)에 로드되어, 음량 제어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로드된 각 프로그램이 CPU(14)에 의해서 순차로 실행된다. 이에 따라, PC(12)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음량 제어 프로그램 등을 기억하고 있는 정보 기억 매체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에 대응하고 있다.
이어서, 음량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되는 처리의 설명에 앞서서, 우선 스피커(64L, 64R)로부터의 음성의 출력 및 출력 음성의 음량 등의 변경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에는 컴퓨터 시스템(10)에 인스톨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응용 프로그램 A」「응용 프로그램 B」로서 나타내고 있다. 예컨대 「응용 프로그램 A」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되는 처리가, 스피커(64L, 64R)로부터의 음성 출력을 수반하는 처리였던 경우, CPU(14)에 의한 「응용 프로그램 A」의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스피커(64L, 64R)로부터 출력해야 할 음성을 나타내는 음성 데이터가 출력된다.
이 음성 데이터는 OS 및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86)를 통해 오디오 H/W(62)에 전송된다. 또 OS는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좌우의 음량 밸런스의 현재의 설정치에 기초하여,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86)에 대하여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음량 밸런스를 지시한다. 또, 상기한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음량 밸런스의 설정치는 OS가 관리하고 있는 설정치이며, 당초에는 디폴트치가 설정되어 있다.
오디오 H/W(62)는 음성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력된 음성 데이터를 지시된 음량 또 음량 밸런스의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D/A 변환)하여 스피커(64L, 64R)에 각각 출력하고,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86)는 출력 음성이 지시된 음량 및 음량 밸런스가 되도록 오디오 H/W(62)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A」의 프로그램에 의해서 출력된 음성 데이터가, 스피커(64L, 64R)에 의해, 현재의 설정치에 따른 음량 및 음량 밸런스의 실음성으로서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청취된다.
또, 스피커(64L, 64R)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이나 좌우의 음량 밸런스가 적정하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 PC(12)의 사용자는 음량 조정용의 윈도우의 표시를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다. 이에 따라 OS는 예로서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량 조정 윈도우(90)를 LCD(28)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킨다. 이 음량 조정 윈도우(90)에는 출력 음성의 음량을 변경하기 위한 도형 90A 및 좌우의 음량 밸런스를 변경하기 위한 도형 90B가 각각 표시되어 있다.
음량 조정 윈도우(90) 내의 도형 90A의 표시 위치는 출력 음성의 음량의 현재의 설정치를 나타내고 있어, 사용자가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나 키보드를 조작하여 도형 90A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출력 음성의 음량의 변경을 지시하면, OS는 출력 음성의 음량이 이동후의 도형 90A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이 되도록,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86)에 대하여 음량의 변경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64L, 64R)로부터의 출력 음성의 음량이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변경된다.
또, 음량 조정 윈도우(90) 내의 도형 90B의 표시 위치는 출력 음성의 좌우의 음량 밸런스의 현재의 설정치를 나타내고 있어, 사용자가 도형 90B의 표시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출력 음성의 음량 밸런스의 변경을 지시하면, OS는 출력 음성의 좌우의 음량 밸런스가 이동후의 도형 90B의 표시 위치에 대응하는 값이 되도록,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86)에 대하여 음량 밸런스의 변경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64L, 64R)로부터의 출력 음성의 좌우의 음량 밸런스가 사용자의 지시에 따라서 변경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력 음성의 음량 또는 음량 밸런스의 변경이 지시되면, OS는 OS 자신이 관리하고 있는 출력 음성의 음량 설정치 또는 출력 음성의 음량 밸런스 설정치를 변경 설정한다. 이들 설정치는, 다음에 음량 또는 음량 밸런스의 적어도 한쪽의 변경이 지시될 때까지 유지되고, 다음에 음량 또는 음량 밸런스의 적어도 한쪽 변경이 지시될 때까지의 동안에는, CPU(14)가 실행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종류에 상관없이, 설정치에 따른 음량 및 음량 밸런스로 음성이 출력된다.
다음에, CPU(14)가 음량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현되는 음량 제어 처리에 관해서,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음량 제어 프로그램은 OS의 기동시에 기동하도록 프로그램되고, 또한 메인 메모리(16) 상에 상주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있다. 단계 150으로는, OS가 발행하는 이벤트의 발생에 따라 제어가 옮겨가(제어 천이한다)도록 프로그램되어 있고, 단계 150, 152에서 음량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초기 설정(음량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 환경의 셋업)이 행해진다.
즉 단계 150에서는, LCD(28)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윈도우의 포커스가 전환될(전경에 표시하는 윈도우가 전환될) 때에(예로서 도 4(B) 및 (C) 참조),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 천이하도록 처리한다. Windows98나 NT 등의 OS가 제공하는 API(Application Program Interface)에서는, 윈도우의 포커스를 전환할 때에, 새롭게 포커스를 얻는(전경 표시로 전환하는) 윈도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대하여, 대응하는 윈도우가 새롭게 포커스를 얻었음을 메시지(예컨대 WM#SETFOCUS 등의 윈도우 메시지)에 의해서 통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계 150의 처리는, 윈도우의 포커스의 전환시에 OS로부터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에 통지되는 메시지가 후크되도록 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에 따라, OS가 윈도우의 포커스가 전환할 때마다, 윈도우의 포커스의 전환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OS에서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송신될 때마다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천이하게 된다.
다음 단계 152에서는 스피커(64L, 64R)로부터의 출력 음성의 음량이 변경된 경우에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 천이하도록 처리한다. Windows98나 NT 등의 OS의 API에서는, 음량 조정 윈도우(90)에 의해서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의 설정이 변경된 경우에 제어 천이하여야 할 프로그램을 등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고(상기 프로그램의 등록은 구체적으로는 「mixerOpen()」을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단계 152의 처리는 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함으로써 실현된다. 이에 따라, 음량 조정 윈도우(90)에 의해서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의 설정이 변경될 때마다,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천이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계 150, 152에서 음량 제어 프로그램에 관한 초기 설정 처리(음량 제어 프로그램의 동작 환경의 셋업)를 완료하면, 음량 제어 처리에의 제어 천이를 대기하는 상태(단계 153)로 옮겨간다.
또,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이 기동되거나, 혹은 LCD(28)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윈도우 중 백그라운드에 표시되어 있는 윈도우가 클릭되거나 하여, OS가 윈도우의 포커스의 전환을 행하는 경우에는, OS로부터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에의 윈도우의 포커스의 전환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후크되어, 윈도우의 포커스의 전환을 통지하는 메시지가 OS에서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송신됨으로써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 천이한다. 이 경우에는, 단계 153에서 단계 154로 이행하여, 이번에,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천이한 요인을 판정하여, 제어 천이 요인의 판정 결과에 따라서 분기된다.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천이한 요인이, 윈도우 포커스의 전환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156으로 이행하여, 단계 156 이후에 있어서, 새롭게 포커스를 얻는 윈도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특정하는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즉, 우선 단계 156에서는 새롭게 포커스를 얻는 윈도우의 윈도우 핸들(개개의 윈도우를 식별하기 위한 ID)을 취득한다.
Windows98나 NT 등의 OS가 제공하는 API에서는, 어떤 응용 프로그램이 표시 화면에 윈도우를 표시시키고 싶은 경우, 우선 응용 프로그램은 OS에 대하여, 클래스명(상세한 것은 후술)을 지정하여 윈도우의 생성을 의뢰한다. OS는 상기 의뢰에 따라서 윈도우를 생성하는(표시 화면 상에 윈도우를 표시하기 위한 영역의 확보 등의 전처리를 행하는) 동시에, 생성한 윈도우에 임의의 ID(윈도우 핸들)을 부여하고, 부여한 윈도우 핸들을 응용 프로그램에 통지한다. 그리고, 생성된 윈도우에 관해서 어떠한 처리(예컨대 윈도우 내에 표시하여야 할 문자나 배경색 등의 지정)를 행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과 OS와의 메시지의 교환에 있어서는 윈도우 핸들을 이용하여 처리 대상의 윈도우가 식별된다.
이 때문에, 단계 156에서는 OS로부터 수신한 메시지(윈도우의 포커스의 전환을 통지하는 메시지)의 이송처를 참조함으로써, 새롭게 포커스를 지닌 윈도우의 윈도우 핸들을 취득할 수 있다. 다음 단계 158에서는, 취득한 윈도우 핸들에 대응하는 윈도우가 톱 레벨 윈도우인지의 여부를, OS에 조회함으로써 판정한다.
응용 프로그램이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여 관리하는 경우, 윈도우 사이에 부자(父子) 관계가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나의 예는, 복수의 윈도우를 표시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에서, 어떤 하나의 윈도우를 마우스로 클릭하면, 복수의 윈도우가 동시에 전면 표시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윈도우 사이의 부자 관계를 이용한 OS에 의한 행동이다. 다른 예는, 응용 프로그램의 워크 스페이스 상에 존재하는 스크롤 바나 버튼 등이다. 이들은 윈도우의 하나의 표시 형태이며, 그 윈도우는 워크 스페이스 전체를 표시하고 있는 윈도우의 자손이다. 이와 같이, 일반적으로, 응용 프로그램의 윈도우에는 계층 구조가 존재한다.
또 모든 윈도우에는, OS에 의해서 윈도우 핸들이 각각 부여됨과 동시에,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서 클래스명이 각각 지정되어, OS는 모든 윈도우의 윈도우 핸들 및 클래스명을, 각 윈도우의 관계(상하 관계)와 함께 관리하고 있다. 그리고, 각윈도우에 대해서는 임의의 클래스명을 지정할 수 있지만, 톱 레벨 윈도우에 대해서는 개개의 응용 프로그램 고유의 명칭이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개의 응용 프로그램의 식별을 클래스명에 기초하여 행하기 때문에, 앞의 단계 158에서는, 개개의 응용 프로그램 고유의 클래스명을 취득하기 위해서 톱 레벨 윈도우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있다. 단계 158의 판정이 부정된 경우에는 단계 160으로 이행하여, 현재 취득하고 있는 윈도우 핸들에 대응하는 윈도우의 부모에 해당하는 윈도우(상기 윈도우와 관련지어진 보다 상위의 윈도우)의 윈도우 핸들을 취득한 후에 단계 158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단계 158, 160은 단계 158의 판정이 긍정될 때까지 반복된다.
톱 레벨 윈도우의 윈도우 핸들을 취득하면, 단계 158의 판정이 긍정되어 단계 162로 이행하고, 톱 레벨 윈도우의 윈도우 핸들에 기초하여, OS에 조회함으로써 상기 톱 레벨 윈도우에 부여되어 있는 클래스명을 취득함과 동시에, 취득한 클래스명을 현재 포커스를 얻고 있는 윈도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식별하는 정보(이하, 단순히 응용 식별 정보라 함)로서 메인 메모리(16)에 기억한다. 또, 전술한 단계 156∼162는 본 발명의 검출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다음 단계 164에서는,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설정 테이블)에 대하여 응용 식별 정보를 키로서 검색함으로써, 대응하는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관하여는 후술한다. 단계 164의 판정이 부정된 경우에는 OS에 제어를 되돌려,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다시 제어 천이할 때까지 대기하기(단계 153) 때문에,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음량 밸런스는 변경되지 않는다. 상기한 처리에 의해, 윈도우 포커스의 전환이 발생할 때마다, 메인 메모리(16)에 기억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갱신되는 동시에,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대응하는 음량치가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가 체크되게 된다.
또, CPU(14)이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예컨대 스피커(64L, 64R)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의 음량이나 좌우의 음량 밸런스가 적정이 아니라고 판단한 등의 이유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서 음량 조정 윈도우(90)의 표시가 지시되어, 스피커(64L, 64R)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적정한 음량으로 또 적정한 음량 밸런스가 되도록 도형 90A 또는 도형 90B의 표시 위치가 이동됨으로써,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의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된 경우에는, 전술한 단계 152의 처리 결과에 의해, OS에 의해서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천이한다. 이 경우는 제어 천이의 요인이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의 변경이기 때문에, 단계 154에서 단계 170으로 이행한다.
단계 170에서는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를,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의 적정한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로서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는 메시지를 LCD(28)의 표시 화면에 표시시켜, 변경후의 음량치(또는 음량 밸런스치)를 등록할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선택시킨다. 단계 172에서는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의 등록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판정이 부정된 경우에는,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고 OS로 제어를 되돌려, 음량 제어 프로그램으로 다시 제어 천이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 153).
또,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후의 음량치(또는 음량 밸런스치)를 등록하는지 여부의 확인을, 음량 또는 음량 밸런스가 변경된 후에 표시 화면에 메시지를 표시함으로써 행하는 대신에, 예컨대 음량 조정 윈도우(90)를,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치의 변경에 더하여, 및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의 등록을 사용자가 지시할 수 있게 구성하여, 음량 조정 윈도우(90) 상에서 상기 등록이 지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한편,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의 등록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172의 판정이 긍정되어 단계 174로 이행하여, 메인 메모리(16)에 기억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클래스명: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는 윈도우 포커스의 전환이 발생할 때마다 전술한 단계 162에 의해서 갱신된다)를 받아들인다. 다음 단계 176에서는, 받아들인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가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음량 제어 프로그램에 있어서,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설정 테이블)는 불휘발성 정보로서 취급된다.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시스템에 기억시키기 위해서, HDD(40)에 저장하더라도 좋고, CMOS(58)를 이용하더라도 상관없으며, 외부 기억 매체(70)를 이용하더라도 상관없다. 혹은 정보의 성질이나 내용에 따라서 저장 장소를 각각 나누더라도 상관없다.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는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와, 이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의 적정한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를 대응시켜 다수 기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당초에는 아무런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단계 176의 판정이 부정되어 단계178로 이행하여,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와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를 기억하기 위한 영역(엔트리)을 작성한 후에 단계 180으로 이행한다.
단계 180에서는 현재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사용자에 의해서 적정이라고 판단된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를 취득하고, 다음 단계 182에서는,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 중 단계 178에서 작성한 엔트리에, 취득한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를, 단계 174에서 받아들인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와 대응시켜 등록한다. 단계 182의 처리를 행하면, 음량 제어 처리를 종료하여 OS로 제어를 되돌린다. 또, 전술한 단계 170∼182는 본 발명의 설정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가 등록된 응용 프로그램에 대응하는 윈도우가, 일단 포커스를 잃은 후에 재차 포커스를 얻은 경우, 혹은 컴퓨터 시스템(10)의 전원이 절단된 후에 재차 투입되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이 기동된 경우에는, 단계 164의 판정이 긍정되어 단계 166으로 이행한다.
단계 166에서는, 응용 프로그램 식별 정보와 대응되어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를 취득하고, 다음 단계 168에서는, 취득한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에 기초하여, OS에 대하여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좌우의 음량 밸런스의 설정의 변경을 지시한다. 이에 따라, OS, 오디오 디바이스 드라이버(86) 및 오디오 H/W(62)를 통하여, 스피커(64L, 64R)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이, 새롭게 포커스를 얻은 윈도우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에 알맞은 음량 및 음량 밸런스에 자동적으로 제어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단계 164∼168은 본 발명의 제어 수단에 대응하고 있다.
또,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 중에, 출력 음성의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의 설정이 사용자에 의해서 변경되고, 또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의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의 등록이 지시된 경우에는, 단계 176의 판정이 긍정됨으로써,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 현재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가, 변경후의 음량치 및 음량 밸런스치로 덧쓰기되어 갱신되게 된다.
또, 상기에서는 특정한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 중에 출력 음성의 음량치나 음량 밸런스치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후의 음량치나 음량 밸런스치를 등록하는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한 후에, 등록이 지시된 경우에만 변경후의 음량치나 음량 밸런스치를 등록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사용자에 의한 음량치나 음량 밸런스치의 변경의 지시가 특정한 정보 입력 조작을 수반하여 행해진 경우(예컨대 키보드의 ctrl 키 등의 특정한 키가 눌리면서 행해진 등)에, 변경후의 음량치나 음량 밸런스치를 자동적으로 등록하도록 하더라도 좋고, 컴퓨터 시스템(10)에 인스톨되어 있는 각 응용 프로그램의 명칭을 일람 표시하여, 개개의 응용 프로그램에 관해서 음량이나 음량 밸런스의 적정치를 사용자에게 각각 지정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응용 프로그램마다의 음량 및 음량 밸런스의 적정치를 등록한 단일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출력 음성의 음량 및 음량 밸런스를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컴퓨터 시스템(10)을 사용하는 개개의 사용자마다, 혹은 컴퓨터 시스템(10)을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면(예컨대 직장, 자택, 통근시 등)마다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각각 작성하여, 음량 제어 처리에 사용하는 음량 설정 데이터 베이스를, 컴퓨터 시스템(10)을 현재 사용중인 사용자, 혹은 현재의 사용 장면에 따라서 전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에서는 컴퓨터 시스템(10)에 인스톨되어 있는 응용 프로그램을, 시스템 매개 변수의 변경 제어의 대상으로 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OS, BIOS,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의 소프트웨어도 시스템 매개 변수의 변경, 제어의 대상으로 하더라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상기에서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각종 기능, 즉 응용 프로그램의 전환을 검지하는 기능(기능 A), 변경된 음량 등의 음량 데이터 베이스에의 등록/비등록을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기능(기능 B), 음량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는 기능(기능 C), 음량 등이 변경된 것을 검지하는 기능(기능 D) 및 출력 음성의 음량 등의 변경을 지시하는 기능(기능 E)을, 응용 프로그램 계층의 프로그램(음량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서 실현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OS 프로그램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현하기 위한 기능 A∼기능 E를 전부 OS에 매립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PC에는 OS가 구비하고 있는 음량 조정 기능과 별도로 음량 조절 기구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이 음량 조절 기구는, 예컨대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특정한키(예컨대 「Ctrl」키와 「Page Up」키 또는「Page Down」키)가 눌리면 BIOS가 기동되어, 키 조작에 따라서 OS를 경유하지 않고서 음량을 변경하는 동시에, 변경후의 음량치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것이다. 상기한 음량 조절 기구는, 예컨대 상기 특정한 키가 눌렸는지 여부의 감시 및 검지를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의해서 행하고, BIOS가 제공하는 특수한(통상은 비공개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BIOS 경유로 음량을 변경하는 구성에 의해서 실현되지만, 이 형태에 있어서, 예로서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 D 및 기능 E를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매립하여, 상기 특수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OS의 프로그램 자체를 수정하는 것이 가능하면, 도 6(C)에 나타낸 기능 D 및 기능 E와 동등한 기능을, 도 6(B)와 같이 다른 기능 A∼기능 C와 함께 OS에 매립하여, 상기 특수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상기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로서, 스피커(64L, 64R)로부터의 출력 음성의 음량치(음량 제어 매개 변수) 및 좌우의 음량 밸런스치(음량 밸런스 제어 매개 변수)를 이용하고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복수의 음성 주파수 대역의 각각에 있어서의 음량이나,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에서 아날로그 음성 신호로의 변환에 이용하는 매개 변수 등과 같이, 출력 음성의 음질에 관련하는 매개 변수(음질 제어 매개 변수)나 LCD(28)의 표시 화면의 밝기를 규정하는 매개 변수(명도 제어 매개 변수), CPU(14)의 동작 속도를 규정하는 매개 변수(동작 속도 제한 매개 변수) 등을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매개 변수로서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의 제어 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음량 제어 프로그램이, 당초에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로서의 정보 기억 매체(70)에 기억되어 있고, 정보 기억 매체(70)로부터 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10)에 상기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실행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10)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서 기능하는 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상기 프로그램을, 당초에는 공중 전화 회선이나 컴퓨터 네트워크(예컨대 LAN, 인터넷, 무선 통신 네트워크 등)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매체(광 파이버나 무선 회선)를 통해 컴퓨터 시스템(10)과 접속되는 다른 정보 처리 기기(예컨대 네트워크 서버)의 기억 장치에 기억해 두고, 컴퓨터 시스템(10)이 상기 정보 처리 기기와 통신함으로써, 상기 정보 처리 기기로부터 상기 통신 매체(본 발명에 따른 전송 매체)에 의해서 상기 프로그램이 컴퓨터 시스템(10)에 전송되고, 전송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10)이 HDD(40) 등의 기억 수단에 인스톨하여 실행함으로써, 컴퓨터 시스템(10)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서 기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고,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여,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기 때문에,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을,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서 적정히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9)

  1. 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설정 수단과,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해서 검출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컴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는 컴퓨터의 음성 출력 장치로부터의 음성 출력시의 음량을 규정하는 음량 제어 매개 변수, 상기 음성 출력시의 음량 밸런스를 규정하는 음량 밸런스 제어 매개 변수, 출력 음성의 음질을 규정하는 음질 제어 매개 변수, 컴퓨터의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명도를 규정하는 명도 제어 매개 변수 및 컴퓨터의 CPU의 동작 속도를 규정하는 동작 속도 제한 매개 변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로서, 상기 컴퓨터의 표시 장치에 표시되어 있는 대응하는 윈도우가 활성화되어 있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컴퓨터가 특정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시스템 매개 변수가 변경된 경우에, 변경후의 시스템 매개 변수의 값을 상기 특정한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로서 자동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사용자에 의해서 특정한 소프트웨어가 선택되어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가 지정된 경우에, 지정된 적정치를 상기 특정한 소프트웨어의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수단은 상기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상기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한 설정 테이블을 복수 종류 등록 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설정 테이블이 복수 종류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 종류의 설정 테이블 중 지정된 설정 테이블에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7. (a)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단계와,
    (b)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단계와,
    (c)상기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의 제어 방법.
  8. (a)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제1 단계와,
    (b)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제2 단계와,
    (c)상기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9. (a)컴퓨터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때의 실행 환경에 관련하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 적정치를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되는 개개의 소프트웨어마다 설정하는 제1 단계와,
    (b)컴퓨터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를 검출하는 제2 단계와,
    (c)상기 검출한 소프트웨어에 대응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스템 매개 변수의적정치에 기초하여 소프트웨어의 실행 환경을 제어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처리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전송 매체.
KR1020010007238A 2000-02-29 2001-02-14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 KR200100853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4740 2000-02-29
JP2000054740A JP4005293B2 (ja) 2000-02-29 2000-02-29 コンピュータ、その制御方法、記録媒体及び伝送媒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5382A true KR20010085382A (ko) 2001-09-07

Family

ID=18575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7238A KR20010085382A (ko) 2000-02-29 2001-02-14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10018738A1 (ko)
JP (1) JP4005293B2 (ko)
KR (1) KR20010085382A (ko)
CA (1) CA2334330A1 (ko)
GB (1) GB2361821B (ko)
TW (1) TW50715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10B1 (ko) * 2005-11-17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된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6618B2 (ja) * 2001-07-31 2011-07-06 シャープ株式会社 音量調節機能付き情報処理装置
JP2003058198A (ja) * 2001-08-21 2003-02-28 Canon Inc 音声出力装置、音声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746224B2 (ja) * 2001-11-06 2006-02-15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及び再生処理制御方法
US20030177893A1 (en) * 2002-03-07 2003-09-25 Toshinobu Takeuchi Audio parameter managing method for application software, application software program thereof and audio reproduction apparatus thereof
KR20040046483A (ko) * 2002-11-27 2004-06-05 삼성전자주식회사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7605829B2 (en) 2003-07-26 2009-10-2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ightness level of display
JP2005070898A (ja) * 2003-08-20 2005-03-17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TWI237793B (en) * 2004-03-12 2005-08-11 Abit Comp Corp Method for automatically changing configured values of hardware in computer system in accordance with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US20060017656A1 (en) * 2004-07-26 2006-01-2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Image intensity control in overland night vision systems
JP2006157611A (ja) * 2004-11-30 2006-06-15 Toshiba Corp 端末装置及びこの端末装置の制御方法
US7616750B2 (en) 2005-02-25 2009-11-1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forwarding telephone calls based on presence information
US7620166B2 (en) 2005-02-25 2009-11-17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uting audio based on a call event
JP4653561B2 (ja) * 2005-05-31 2011-03-16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US20060285701A1 (en) * 2005-06-16 2006-12-21 Chumbley Robert B System and method for OS control of application access to audio hardware
US7706903B2 (en) * 2006-04-13 2010-04-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 muting of applications
US7488685B2 (en) * 2006-04-25 2009-02-10 Micron Technology, Inc. Process for improving critical dimension uniformity of integrated circuit arrays
CN101491000B (zh) * 2006-07-12 2011-12-28 耶德托公司 用于混淆密码函数的方法和系统
JP5082327B2 (ja) * 2006-08-09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8239674B2 (en) 2006-11-21 2012-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 and method of protecting files from unauthorized modification or deletion
US20080120423A1 (en) * 2006-11-21 2008-05-22 Hall David N System and method of actively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network communications for one or more applications
US20090013055A1 (en) * 2007-07-03 2009-01-08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erminal services availability remotely
US7707513B2 (en) * 2008-02-06 2010-04-27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 for streaming data from server to multiple slave browser windows in client computer through a master browser window
CN101923554A (zh) * 2009-06-11 2010-12-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网页查找方法
JP5411880B2 (ja) 2011-01-14 2014-02-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情報処理装置、その音声設定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8774955B2 (en) * 2011-04-13 2014-07-08 Google Inc. Audio control of multimedia objects
US20130238888A1 (en) * 2012-03-08 2013-09-12 Bright House Networks, Llc Automatic device reconfiguration
CN102750154A (zh) * 2012-07-04 2012-10-2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应用程序音量控制器及应用程序音量控制方法
KR20140102902A (ko) * 2013-02-15 2014-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구동 환경 설정 장치 및 방법
KR101578061B1 (ko) * 2015-04-03 2015-12-16 김창구 히터 내장형 부자식 수위측정장치
JP2017010370A (ja) * 2015-06-24 2017-01-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制御装置、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CN107233734B (zh) * 2017-06-07 2020-08-11 珠海金山网络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游戏应用与其他应用声音播放的方法和装置
CN109885275B (zh) * 2019-02-13 2022-08-19 杭州新资源电子有限公司 一种音频调控方法、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106A (ja) * 1993-10-01 1995-04-21 Hitachi Ltd 多地点電子会議装置
US5872974A (en) * 1995-04-19 1999-02-16 Mezick; Daniel J. Property setting manager for objects and controls of a graphical user interface software development system
US5758154A (en) * 1996-06-05 1998-05-2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toring configuration data into a common registry
US6178443B1 (en) * 1996-12-20 2001-01-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pagating user preferences across multiple computer environments
JP3606348B2 (ja) * 1997-03-18 2005-0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
US6014141A (en) * 1997-03-25 2000-01-11 Micron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displaying a parameter in a separate status panel
US5832505A (en) * 1997-04-02 1998-11-03 Sun Microsystems, Inc. Computer system for managing and configuring application properties and enabling system administrator to override certain user-set or host properties
US6401134B1 (en) * 1997-07-25 2002-06-04 Sun Microsystems, Inc. Detachable java applets
US6059842A (en) * 1998-04-14 2000-05-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US6530083B1 (en) * 1998-06-19 2003-03-04 Gateway, Inc System for personalized settings
US6538668B1 (en) * 1999-04-09 2003-03-25 Sun Microsystems, Inc. Distributed settings control protocol
WO2002021245A1 (fr) * 2000-09-08 2002-03-14 Fujitsu Limited Procede, dispositif et environnement de commande d'horloge
US20020152255A1 (en) * 2001-02-08 2002-10-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ccessibility on deman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6010B1 (ko) * 2005-11-17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신된 음성 신호의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61821A (en) 2001-10-31
GB2361821B (en) 2004-05-12
GB0104779D0 (en) 2001-04-18
CA2334330A1 (en) 2001-08-29
US20010018738A1 (en) 2001-08-30
TW507159B (en) 2002-10-21
JP4005293B2 (ja) 2007-11-07
JP2001256041A (ja) 200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5382A (ko)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
US7434165B2 (en) Programmed apparatus and system of dynamic display of presentation files
EP2645685A1 (en) Method and cell phone for capturing audio file or video file
US200602857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OS control of application access to audio hardware
JP2000132494A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におけるオーディオ出力制御方法
JP201006683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013232B2 (en) Music session system, music session system serve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of controlling the server
JPH0322160A (ja) 計算機システムにおけるアダプタ制御プログラムの組込方式
JP2001222853A (ja) ディスク装置の回転速度変更方法、入力装置及びディスク装置
JP5149336B2 (ja)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この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キーボード
US5839095A (en) Multimedia control center for controlling peripheral devices of a personal computer
JP2002158732A (ja) 通信装置の切り換え制御システム及び切り換え制御方法
US20040252075A1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switching method
US78956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of a user interface device under the control of a digital audio playback device
KR100417491B1 (ko) 메뉴에 따른 가변적 메뉴엑시트타임을 갖는 휴대용 기기및 그 제어방법
JP2002251289A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切替え制御機能を有するプログラム
KR20070070858A (ko) 회전 가능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휴대 게임 장치 및 그제어 방법
KR100488531B1 (ko) 컴퓨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6569953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操作表示方法
JP2002258825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選択方法
JPH07114453A (ja) 文書作成装置
JPH11296635A (ja) Pcカード
KR100281790B1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02268888A (ja) ソフトウェアのインストール方法
JP2007140980A (ja) インプットメソッド切替システム及びインプットメソッド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30924

Effective date: 200506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