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1790B1 -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1790B1
KR100281790B1 KR1019930006953A KR930006953A KR100281790B1 KR 100281790 B1 KR100281790 B1 KR 100281790B1 KR 1019930006953 A KR1019930006953 A KR 1019930006953A KR 930006953 A KR930006953 A KR 930006953A KR 100281790 B1 KR100281790 B1 KR 10028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gram
change
key
rom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6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6015A (ko
Inventor
데라다하지메
다께하라미쯔루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40006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6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 G06F9/45537Provision of facilities of other operating environments, e.g. W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Calculators And Similar Devices (AREA)

Abstract

[목적]
응용 프로그램의 사용환경 변경을 간단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소정의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SP 키이(28)가 조작되면, 변경 프로그램을 인터럽트에 의해 개시시킨다. 변경 처리 종료후, 다시 본래의 응용 프로그램으로 복귀한다.

Description

정보처리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정보처리 장치를 응용한 CD-ROM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제1도 실시예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 실시예의 배면도.
제4도는 제1도 실시예의 저면도.
제5도는 제1도 실시예의 외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제6도는 제1도 실시예의 외부 덮개를 180도 개방한 상태의 평면도.
제7도는 제1도 실시예의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실시예의 외부 덮개와 내부 덮개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
제9도는 제1도 실시예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제10도는 제9도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순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순서도 처리에 대해 인터럽트되는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제12도는 제11도 스텝 S17의 보다 상세한 처리를 설명하는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내부 덮개
3 : 외부 덮개 19 : 조작 버튼
28 : SP 키이 31 : 표시부
34 : 방음부 37 : 스피커
52 : YES 키이 53 : NO 키이
61 : 턴테이블 66 : CD-ROM
71 : 광학식 픽업 83 : 코어 칩
84 : CPU 86 : ROM
94 : LCD/CRT 콘트롤러 95 : 인터페이스 LSI
96 : ROM 100 : LCD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예를들어 XA 포맷의 CD-ROM을 재생하는 재생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퍼스널 컴퓨터, 전자수첩 장치 등의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을 설치하므로써 갖가지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응용 프로그램에는 변경 프로그램이 부수되고 있으며 응용에 있어서의 사용환경을 각 사용자에게 대응하는 소정의 것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종래의 장치에서는 응용 환경을 변경할 때 그 응용을 일단 종료시키고 변경 프로그램을 가동시키기 위한 명령이나 명칭을 입력하여 변경 프로그램을 기동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변경 프로그램으로 사용 환경을 변경한 후, 변경 프로그램을 종료시키고 다시 응용 프로그램을 기동하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용환경을 변경하는 조작이 번잡할 뿐만 아니라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상황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며, 간단하고 신속하게 사용환경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정보처리 방법은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응용 프로그램에 관한 소정의 기능을 변경하는 변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있는 도중에 전용(專用)의 소정 키이가 조작되었을 때,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가하여 변경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는 응용 프로그램과 변경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수단으로서의 ROM(86)과, ROM(86)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 수단으로서의 CPU(84)와, 변경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조작되는 전용 입력 수단으로서의 SP(special) 키이(28)와,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SP 키이(28)가 조작되었을 때 변경 프로그램을 인터럽트 처리시키는 인터럽트 수단으로서의 스텝 S11을 갖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상기 구성의 정보 처리 방법 또는 장치에 있어서는 응용 프로그램 동작중에 BM 키이(28)가 조작되었을 때 변경 프로그램이 인터럽트 처리된다. 따라서 간단하고 신속하게 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정보 처리 장치를 응용한 CD-ROM 재생 장치의 일 실시예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재생 장치는 기본적으로 케이스 (1)와, 이 케이스(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내부 덮개(2) 및 외부 덮개(3)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은 어느것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내듯이 폭이 약 180㎜, 높이가 약 48㎜, 안쪽으로의 길이가 약 147㎜가 되고, 노트북타입의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휴대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하듯이, 케이스(1)의 우측면에는 헤드폰(도시하지 않음)을 접속하는 잭(4)과, 이 헤드폰 및 내장 스피커(37)(제 6 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 레벨을 조정하는 볼륨 버튼(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 우측면에는 RS 232C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한 플러그(7)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부 기기와 데이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RS 232C 케이블을 접속하지 않는 상태에서 이 플러그(7)가 설치되어 있는 구멍(6a)은 고무로된 캡(6)으로 폐색되어 먼지등이 진입하지 못하게 되어 있다.
제 3 도에 나타내듯이 케이스(1)의 배면에는 잭(8)이 설치되고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회로(제 9 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에 직류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잭(8) 옆에는 비디오 출력단자(9)가 설치되어, 케이스(1)에 장착한 CD-ROM(66)(제 7 도를 참조하여 후술한다)에서 재생한 비디오 신호를 외부의 기기에 출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4 도에 도시하듯이, 케이스(1) 저면에는 배터리(11)를 수용하는 구멍(1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10)은 배터리(11)를 수용했을 때 배터리(11)에 의해 폐쇄된다. 이 배터리(11)는 슬라이드 버튼(12)을 제 4 도에서 좌측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떼어낼 수 있다.
제 5 도와 제 6 도는 외부 덮개(3)를 케이스(1)에 대하여 개방한 상태의 외관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제 5 도에 나타내듯이 외부 덮개(3)를 케이스(1)에 대해 회전시키면 내부 덮개(2)가 노출한다. 내부 덮개(2)의 상면에는 여러가지 조작 버튼(19)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버튼(19)에 관하여는 제 6 도에 상세히 명시되어 있다. 내부 덮개(2)의 좌상에는 전원을 온 또는 오프할 때 조작되는 전원 버튼(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원 버튼(20)을 조작하여 전원은 온하면 케이스(1)의 평면좌상에 설치되어 있는 전원램프(21)가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전원 램프(21)는 전원을 오프했을 때 소등된다. 또 잭(8)으로부터 직류전원을 공급하지 않고 배터리(11)로 동작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배터리(11)의 전압이 소정의 기준치 보다 저하했을 때 이 전원 램프(21)가 점멸한다. 이 전원램프(21)는 외부 덮개(3)를 개방한 상태는 물론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도 그 점등 상태를 관찰 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전원 버튼(20)의 우측에는 5개의 기능 키이(F1 내지 F5)(22)가 설치되며, 그 각각은 조작시 할당되어 있는 동작이 실행된다. 내부 덮개(2)의 중앙좌측에는 알파벳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 키이(23)가 배치되어 있다. 또 그 아래쪽에는 시프트 (SHIFT) 키이(24), 캐릭터(CHARACTER) 키이(25), 스페이스(SPACE)(26), 백스페이스 키이(BACKSPACE) 키이(27)가 설치되어 있다. 시프트 키이(24)는 예를들어 대문자의 알파벳문자를 입력할 때 문자키이(23)와 동시에 조작된다. 스페이스 키이(26)는 스페이스를 삽입할 때 조작된다. 백스페이스 키이(27)는 후술하는 표시부(31)에서 커서 왼쪽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를 지워버릴 때 조작된다. 캐릭터 키이(25)는 예를 들어 독일어등에서 움라우트를 가지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문자 키이(23)와 동시에 조작된다.
문자키이(23) 오른쪽에는 숫자를 입력할 때 조작되는 텐 키이(2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텐 키이(29) 윗쪽에는 스페셜 키이(SP 키이)(28)가 설치되어 있다. 이 SP 키이(28)는 입력 모드를 영어 입력모드, 독일어 입력모드, 프랑스어 입력모드등의 어느것으로 선택 변경하거나 오토 파워오프의 시간을 선택 변경하는 경우 등 변경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조작된다.
텐 키이(29) 아랫쪽에는 화살표 42 내지 45가 상하 좌우로 표시된 조작판 (41)이 설치되어 있다. 이 조작판(41)의 화살표(42 내지 45)가 표시되어 있는 부분을 누르므로써 커서의 표시위치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조작판(41)의 왼쪽에는 거의 직선형상의 돌기(51)가 형성되어 있고, 돌기(51)의 윗쪽에는 NO 키이 (53)가, 그 아랫쪽에는 YES 키이(5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돌기(51)에 예를 들어 인지 손가락을, YES 키이(52)에 엄지손가락을, 그리고 NO 키이(53)에 가운데 손가락을 각각 배치하므로써 이들 키이를 보지 않고 확실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손가락 끝이 닿는 것만으로 YES 키이(52)와 NO 키이(53)를 식별할 수 있도록, YES 키이 (52)는 그 표면이 볼록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반하여 NO 키이(53)는 그 표면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YES 키이(52)와 NO 키이(53)는 각각 긍정적인 응답 또는 부정적인 응답을 하는 경우에 조작된다. 이들은 각각 퍼스날 컴퓨터에서의 엔터 키이(ENTER)와 이스케이프 키이(ESC)(어디에도 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하고 있으며, 그들과 동일한 키이 코드(ODH 또는 IBH)가 할당되어 있다.
외부 덮개(3) 내면에는 320×200 도트의 LCD(100)(제 9 도 참조)로 된 표시부 (31)가 거의 중앙에 형성되고, 여기에 CD-ROM(66)에서 재생된 화상이나 문자키이 (23), 텐키이(29)를 조작하므로써 입력된 문자, 숫자등이 표시된다. 표시부(31) 오른쪽에는 손잡이(32)가 설치되고 표시부(31)의 콘트라스트를 조정할 때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된다. 손잡이(32) 아랫쪽에는 슬라이드 버튼(33)이 형성되어 있고, 표시부(31) 내부 [LCD(100)의 뒷쪽]에 배치되어 있는 백라이트(도시하지 않음)를 온 또는 오프할 때 제 6 도에서 윗쪽 또는 아래쪽으로 슬라이드 된다. 외부 덮개(3)의 케이스(1)와의 결합부(35)(표시부 (31)의 아랫쪽)에는, 케이스(1)[내부 덮개(2)]와 대향하는 면에 방음부(34)가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스피커(37)가 배치되어 있다. 스피커(37)[방음부(34)]는 표시부(31)와 동일면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부(31)와 동일 방향을 지향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들어 외부 덮개(3)의 측면등에 스피커(37)를 배치한 경우에 비해, 표시부(31)를 보면서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스피커(37)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보다 듣기 쉬워진다.
또한 외부 덮개(3)내면의 선단(제 6 도 윗쪽)에는 후크(36)가 형성되고 외부 덮개(3)를 닫았을 때 케이스(1)의 로크부(55)에 로크되도록 되어 있다.
제 7 도 및 제 8 도는 내부 덮개(2)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제 7 도는 내부 덮개(2)를 개방한 상태를, 제 8 도는 외부 덮개(3)와 내부 덮개(2)를 케이스(1)에서 떼어낸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 7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부 덮개(3)를 케이스(1)에 대해 회전시키고, 또 내부 덮개(2)도 케이스(1)에 대해 회전시켜 어느것이나 개방하면 케이스(1)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CD-ROM(66)의 장착부(60)가 노출된다. 이 장착부(60)의 중앙에는 턴테이블(61)이 배치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척부(chuck)(62)가 형성되어 있다. CD-ROM(66)을 재생할 때 이 턴테이블(61)위에 CD-ROM(66)을 얹어 놓으면 척부(62)에 의해 CD-ROM(66)이 척킹된다. 이에 따라 턴테이블(61)이 고속으로 회전하더라도 CD-ROM(66)이 턴테이블(61)에서 이탈하는 것과 같은 일이 방지된다. 턴테이블(61)의 바깥 둘레에는 CD-ROM(66)에 거의 대응한 크기의 오목부(65)가 형성되어 있어 CD-ROM(66)이 케이스(1)와 접촉하지 않고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부(65)에 연통하고 동시에 그 바깥쪽으로 연장되도록 오목부(63,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63,64)에 손가락을 통하게 하므로써 턴테이블(61)에 대한 CD-ROM(66)의 착탈 조작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8 도에 도시하듯이 케이스(1)의 내부에는 광학식 픽업(71)이 화살표 A방향[CD-ROM(66)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광학식 픽업(71)을 CD-ROM(66)의 반지름 방향으로 이송하는 나사모터(도시하지 않음)가 케이스(1)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또한 이 광학식 픽업(71)은 포커스 작동기(ac-tuator) 및 트랙킹 작동기(어느것도 표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포커스 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서어보가 걸쳐지도록 되어 있다.
제 9 도는 케이스(1)에 내장되어 있는 회로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키이 매트릭스(81)는 내부 덮개(2)의 조작버튼(19)의 조작을 검출하고 그 검출 신호를 1칩 마이크로컴퓨터로 구성되는 키이보드 콘트롤러(82)로 출력하고 있다. 이 키이보드 콘트롤러(82)는 6MHz의 클럭 속도로 동작하고 조작버튼(19)의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코어칩(83)에 출력한다. 코어칩(83)는 CD-ROM(66)에서 공급되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타를 IBM사의 퍼스날 컴퓨터 PC/XT(IBM사의 상표)와 호환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 코어칩(83)은 각 부분을 제어하는 메인 CPU[NEC사 제품 V20HL(NEC사의 상표)](84)와 접속된다. 9,54545 MHz의 클럭 속도로 동작하는 CPU(84)는, 28,63636 MHz의 클럭속도로 동작하는 인터페이스 LSI(85)를 거쳐서, ROM(86), EEPROM(87) 및 드라이브 콘트롤러(88)에 접속된다.
ROM(86)은 CPU(84)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중에는 시스템 프로그램외에, SP 키이(28)가 조작되었을 때 실행되는 변경 프로그램이나 다른 버젼의 재생장치(프로그램) 사이에서 프로그램 또는 데이타의 호환성을 확보하기 위한 프로그램 등도 포함되어 있다. EEPROM(87)은 전원 오프후에도 유지할 필요가 있는 데이타를 수시로 기억한다. 드라이브 콘트롤러(88)는 픽업 드라이브 유니트(89)와 접속되어 있고 픽업 드라이브 유니트(89)에서 공급되는 CD-ROM(66)으로부터의 재생 데이타를 복조하며 그중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37)와 잭(4)(제 2 도)으로 출력하고, 비디오 데이타를 인터페이스 LSI(85)에 출력한다.
인터페이스 LSI(85)는 코어칩(83), 메인메모리로서의 D-RAM(91), UART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92), LCD/CRT 콘트롤러(94)와 버스를 거쳐서 상호 접속되고 이들과 데이타의 주고받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D-RAM(91)은 코어칩(83), 인터페이스 LSI(85), UART(92), LCD/CRT 콘트롤러(94)등으로 공급되는 데이타를 필요에 따라 기억한다.
UART(92)는 RS232C의 규격에 따른 데이타를 만드는데 필요한 처리를 하여 드라이버, 리시버(93)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리시버(93)의 출력은 플러그(7)(제 2 도)에 출력된다. 또 플러그(7)에서 입력된 RS232C의 데이타는 드라이버, 리시버(93)에서 전압 변환되어 UART(92)에 입력된다. UART(92)는 입력된 데이타를 CPU(84)가 처리가능한 데이타로 변환한다.
LCD/CRT 콘트롤러(94)는 표시에 관한 동작을 제어한다. 즉 콘트롤러(94)는 LCD(100) 또는 비디오 출력단자(9)에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를 인터페이스 LSI(95)를 사이에 두고 D-RAM(97)에 써넣게 한다. 이 D-RAM(97)은 비디오 RAM이며 표시화면에 대응하는 비트 맵 데이타가 전개된다. 인터페이스 LSI(95)는 ROM(96)을 가지며, 표시화상의 계조(階調)를 변환할 때 사용되는 테이블을 기억한다. 컨버터(98)는 인터페이스 LSI(95)에서 출력된 컴퓨터용 디지탈 RGB 데이타를 NTSC 방식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비디오 출력단자(9)에 출력한다. 또한 드라이버(99)는 인터페이스 LSI(96)에서 출력된 흑백 비디오 데이타 신호를 LCD(100)로 공급하여 표시시킨다. 드라이버(9)는 손잡이(32)나 슬라이드 버튼(33)(제 5 도 및 제 6 도)의 조작에 대응하여 LCD(100)의 콘트라스트나 백라이트(EL light)의 온.오프도 제어한다. LCD (100)는 백라이트와 더불어 상술한 표시부(31)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다음에 제 9 도 실시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 버튼(19)(제 6 도)이 조작되면 그 조작한 키이가 키이 매트릭스(81)에 의해 검출되며, 그 검출 신호가 CPU (82), 코어 칩(83)을 거쳐 CPU(84)에 입력된다. CPU(84)는 ROM(86) 또는 D-RAM(9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조작된 키이로부터의 지령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예컨대 지금 CD-ROM(66)(제 7 도)의 재생이 지령되었다고 하면 CPU(84)는 인터페이스 LSI(85)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88)를 제어하여 픽업 드라이브 유니트(89)를 구동한다. 픽업 드라이브 유니트(89)는 광학식 픽업(71)(제 8 도)을 구동하여 CD-ROM(86)에 기입되어 있는 정보를 재생시킨다. 드라이브 콘트롤러(88)는 픽업 드라이브 유니트(89)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복조하여, 오디오 신호를 잭(4) 및 스피커(37)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37) 또는 잭(4)에 접속된 헤드폰에 의해 CD-ROM(66)에서 재생한 오디오 신호를 들을 수 있다. 이때의 음량은 볼륨 버튼(5)(제 2 도 및 제 5 도)을 조작하므로써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잭(4)에 헤드폰을 접속했을 때 스피커(37)에 대한 오디오 신호 공급은 중지되고, 헤드폰에만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스피커(37)에 의해 오디오 신호가 재생되면 스피커(37)정면[외부 덮개(3)의 외부]의 공기가 진동할 뿐만 아니라, 외부 덮개(3)의 내부 공기도 진동한다. 외부 덮개(3)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외부 덮개(3)의 외부에 발생한 공기 진동은 개방공간으로 발산되므로 케이스(1)내부의 공기 진동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 외부 덮개(3)는 케이스(1)와는 독립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덮개(3) 내부의 공기 진동이 케이스(1)내부의 공기 진동으로서 전달될 우려가 적다. 따라서 케이스(1)에 수용되어 있는 광학식 픽업(71)을 구동하는 포커스 작동기, 트랙킹 작동기 및 나사 모터등으로 인한 서어보가 스피커(37)로부터의 공기 진동에 의해 오동작 할만한 우려가 억제된다.
한편, CD-ROM(66)에서 재생된 비디오 데이타는 드라이브 콘트롤러(88)에서 출력되고, 인터페이스 LSI(85)를 거쳐서 D-RAM(91)에 일단 기록된다. 이 데이타는 코어칩(83)에 의해 IBM사의 퍼스날컴퓨터 PC/XT의 데이타와 호환성이 유지되도록 필요에 따라 처리된다. CPU(84)는 비디오 데이타를 LCD/CRT콘트롤러(94), 인터페이스 LSI(96)를 거쳐서 D-RAM(97)에 공급하여 기억시킨다. D-RAM(97)에 전개된 비디오 데이타는 콘트롤러(94)에 의해 인터페이스 LSI(95)를 거쳐 판독되고 드라이버(99)를 통해 LCD(100)(표시부 31)에 출력되어 표시된다. 이 경우 콘트롤러(94)는 계조 변경이 지시되었을 때 인터페이스 LSI(95)를 제어하고 ROM(96)에 기억되어 있는 테이블을 따라 화소 데이타의 계조를 변환하여 출력시킨다. 이 계조 제어는 LCD(100)의 단위 시간당의 각 화소마다 투광(차광) 회수를 제어하므로써 행해진다.
비디오 출력단자(9)에 CRT 등이 접속되었을 때, 콘트롤러(94)는 인터페이스 LSI(95)를 거쳐서 드라이버(99)를 제어하여 LCD(100)의 백라이트를 소등시켜 그 화상표시를 중지시킨다. 그리고 D-RAM(97)에서 독출된 비디오 데이타는 컨버터(98)에 의해 NTSC 방식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비디오 출력단자(9)에 출력된다. 그 결과 CD-ROM(66)에서 읽어낸 비디오 데이타에 의한 화상을 NTSC 방식의 CRT로 모니터할 수 있다. 또 이때 잭(4) 또는 스피커(37)로 부터의 오디오 신호 출력은 그대로 계속된다.
오디오 데이타, 비디오 데이타 혹은 텍스트 데이타 등은 UART(92)에 의해 RS232C의 데이타로 변환되어 드라이버, 리시버(93)를 거쳐서 플러그(7)로부터 필요에 따라 출력된다.
제 10 도는 ROM(86)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나타내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전원 버튼(20)을 온 했을 때 처리가 개시된다. 즉, CPU(84)는 최초에 스텝(S1)에서 기동처리를 실행하고, 다음에 스텝(S2)에서 초기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초기화 처리로 인하여 프로그램의 각 스텝 처리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변수등에 소정의 초기치가 설정된다. 또한 스텝(S3)으로 전진하여 CD-ROM(66)이 장치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장치에 CD-ROM(66)이 장착되어 있을 때 CPU(84)는 스텝(94)로 나아가 CD-ROM(66)의 루트 디렉토리에서 파일 "EXEME.EXE"를 검색한다. 그리고 스텝(95)에서 "EXEME.EXE"의 존재 여부를 판정한다. CD-ROM(66)에는 이 "EXEME.EXE"를 기억해 두는 것이 규격상 규정되어 있다. 다음에 스텝(S6)으로 나아가 파일 "EXEME.EXE"를 읽어내어 그 내용을 실행한다. 이 파일 "EXEME.EXE"에는 CD-ROM(66)의 재생 데이타 처리를 개시하는데 필요한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이에 따라 CD-ROM(66)의 재생 데이타 처리가 개시된다.
스텝(S3)에서 CD-ROM이 장착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 스텝(S7)로 전진하여 종료처리가 실행된다. 즉 이경우 CPU(84)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소정 시간이 경과했을 때 전원을 자동적으로 오프하여 동작을 종료시킨다. 또한 스텝(S8)에서 "EXEME.EXE"가 없다고 판정되었을 때 스텝(S8)으로 나아가 에러 처리가 실행된다. 즉 이 경우 장착된 디스크가 본 장치로 처리할 수 없는 것임이 LCD(100)에 표시된다. 그리하여 그후 스텝(S7)로 복귀하여 처리가 종료된다.
이상과 같이 해서 CD-ROM(66)의 재생 처리 프로그램이 개시된 후 소정의 사용환경을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SP 키이(28)를 조작한다. 이때 제 11 도의 순서도에 나타내는 처리가 인터럽트에 의해 개시된다. 최초로 스텝(S11)에서 키이보드 콘트롤러(82)는 키이 매트릭스(81)의 출력으로부터 SP 키이(28)의 조작을 검출했을 때 CPU(84)에 대하여 인터럽트를 가한다. 이 인터럽트가 가해지면 CPU(84)는 스텝 (S12)로 나아가 키이보드 처리 루우틴을 실행시킨다. 그리하여 스텝(S13)으로 전진하여 SP 키이(28)가 조작된 것을 확인한다.
SP 키이(28)의 조작이 확인되었을 때 스텝(S14)으로 나아가 변경 프로그램이 기동되고 스텝(S15)에서 현재 LCD(100)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데이타[D-RAM(9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를 포함한 화면정보가 D-RAM(91)에 일단 보존된다. 그리고 스텝(S16)으로 나아가 사용환경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가 LCD(100)에 예컨대 다음과 같이 표시된다.
1 오토파워 오프 시간의 변경 또는 확인
2 EEPROM(87)의 기억내용 변경 또는 확인
3 국(國) 정보의 변경 또는 확인
4 종료
사용자는 스텝(S17)에서 이 메뉴에 따라 소정의 변경사항(번호)을 선택하여 그 사용환경을 변경한다. 이 변경 처리가 종료하면 스텝(S18)으로 나아가 스텝 (S15)에서 보존한 화면 정보를 본디상태로 되돌려 인터럽트 처리가 종료된다. 이에 따라 SP 키이(28)를 조작할 직전의 화면에 복귀하여 전의 응용 프로그램이 계속해서 처리된다.
제 12 도는 제 11 도에서의 스텝(S17)의 보다 상세한 처리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스텝(S21 내지 S23)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이 오토 파워오프 시간의 변경, EEPROM(87)의 기억내용 변경, 또는 국정보의 변경중의 어느것인지가 판정된다. 사용자는 예를들어 텐키이(29)를 조작하여 상기 소정의 번호를 입력하고 표시메뉴중에서 소정의 변경사항을 선택한다.
번호 1,2 또는 3이 선택되었을 때 각각 스텝(S25, S26 또는 S27)으로 나아가 각각의 처리가 실행된다. 예를 들어 번호 1이 선택되었을 때 오토파워 오프(최후에 키이등으로 입력이 행해진후, 입력되지 않는 시간이 소정시간에 도달한 때 장치의 전원을 자동적으로 오프하는 기능)의 현재 설정시간이 LCD(100)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표시를 보고 현재의 설정시간을 확인하여 이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는 새로운 시간(오토파워 오프를 중지하는 경우도 포함)을 입력한다. 새로운 시간이 입력되었을 때, CPU(84)는 오토파워 오프의 설정시간을 갱신한다.
또한 번호 2가 선택된 경우 LCD(100)에는 EEPROM(87)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가 표시된다. 이 데이타에는 예를 들어 CD-ROM(66)의 독출(재생)위치, 혹은 그 CD-ROM이 게임소프트인 경우 그 게임에 관한 하이스코어가 포함된다.
전자에 의해 이른바 안내서 기능(동작을 일단 종료시키는 경우, 지금까지 재생하고 있던 위치를 기억해두고 나중에 동작을 재개할 때 그 기억한 위치에서 재생을 개시하는 기능)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후자에 의해 그 게임의 노력목표(그 하이스코어를 상회하는 스코어를 내도록 노력하는 목표)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번호 3이 선택된 경우에는, 입력 모드로서 현재 설정되어 있는 언어와 변경가능한 언어가 표시된다. 예를들어 입력 모드의 언어로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를 선택할 수 있을 때 현재 선택되어 있는 것이 영어이면 설정언어로서 영어가 표시되고 그밖의 선택가능한 언어로서 프랑스어와 독일어가 표시된다. 사용자는 이 표시로 설정언어와 선택가능한 언어를 확인하여 필요에 따라 설정언어를 변경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해서 데이타가 변경되었을 때 그 변경후의 데이타가 EEPROM (87)에 기억된다. 변경 처리가 종료되었을 때 다른 사항의 변경을 위해 스텝(S21)으로 복귀한다. 번호 1, 2 또는 3의 어느것도 선택되지 않는 경우, 스텝(S24)으로 나아가 번호 4(변경 프로그램의 종료)가 선택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번호 4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는 스텝(S21)으로 복귀하지만 번호 4가 선택된 경우에는 변경 프로그램 처리가 종료되어 제 11 도의 스텝(S17)으로 복귀하게 된다.
SP 키이(28)는 제 10 도에 나타낸 프로그램 외에 그밖의 응용 프로그램에 있어서도 그 사용환경을 변경할 변경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공용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프로그램 종류에 관계없이 SP 키이(28)를 변경 프로그램을 동작시킬 경우의 전용 키이(공용키이)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그램마다 다른 키이를 조작하지 않으면 안되는 경우에 비해 잘못 조작할 우려가 억제되고 조작성이 개선된다.
또 변경 프로그램을 예를 들어 전자식 탁상 계산기 기능 프로그램으로 하면 사용할 응용 프로그램에 관계없이, 전자식 탁상 계산기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CD-ROM 재생 장치에 응용한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밖의 정보처리 장치에 있어서도 응용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정보처리 방법 또는 장치에 의하면 응용 프로그램이 동작중에 입력수단에 조작되었을 때 변경 프로그램을 인터럽트 처리를 하게하도록 했으므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사용환경을 변경할 수 있다.

Claims (5)

  1. 소정의 기능을 실행하는 응용 프로그램과 상기 응용에 관한 소정의 기능을 변경하는 변경 프로그램을 준비하고,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도중에 전용의 소정 키이가 조작되었을 때, 상기 응용 프로그램 처리에 대해 인터럽트를 가하여 상기 변경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 방법.
  2. 응용 프로그램과 변경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소정의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수단과, 상기 변경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조작되는 전용 입력 수단 및,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중에 상기 입력 수단이 조작되었을 때 상기 변경 프로그램을 인터럽트 처리시키는 인터럽트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 프로그램의 처리 종료를 지령하는 종료 수단을 부가로 구비하고, 상기 종료수단에 의해 상기 변경 프로그램의 처리 종료가 지령되었을 때 상기 처리 수단은 인터럽트 직전의 상기 응용 프로그램 처리를 재개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정보 기록 매체로부터 여기에 기록되어 있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광학적으로 재생하는 재생 수단을 부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기록 매체는 CD-RO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처리 장치.
KR1019930006953A 1992-04-27 1993-04-26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0281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134123A JPH05313914A (ja) 1992-04-27 1992-04-27 情報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92-134123 1992-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6015A KR940006015A (ko) 1994-03-22
KR100281790B1 true KR100281790B1 (ko) 2001-02-15

Family

ID=15121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6953A KR100281790B1 (ko) 1992-04-27 1993-04-26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313914A (ko)
KR (1) KR10028179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13914A (ja) 1993-11-26
KR940006015A (ko) 1994-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9203B1 (ko) 정보처리장치
JP3138453U (ja) 携帯型電子装置
JP4343051B2 (ja) 情報処理装置、操作画面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10085382A (ko) 컴퓨터, 그 제어 방법, 기록 매체 및 전송 매체
JP2007260409A (ja) 携帯型電子装置
US821789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ith double-sided operable keyboard
JP20031224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6353533B1 (en) Ergonomic controls for a personal computer CPU
US8433307B2 (en) Method of controlling a PDA phone and PDA phone using the same
KR100281790B1 (ko) 정보 처리 방법 및 장치
EP0567971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ssuring compatibility between different models
JP2007094910A (ja) 情報処理装置
KR20010073673A (ko) 휴대용 컴퓨터에서의 기능별 선택 구동장치 및 방법
US6486863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and method for gradation conversion
JP2002268776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H06139228A (ja) 情報処理装置
JP3751974B2 (ja) 両面操作可能なキーボードを有する情報処理装置
KR20050037624A (ko) 자리수 키를 이용한 영상/음성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5313805A (ja) 情報処理装置
JP3144592B2 (ja) 情報再生装置
KR19980085573A (ko) 자가진단형 다기능 확장키보드
KR100316672B1 (ko) 정보처리시스템및그장치
JPH0816285A (ja) 小型電子機器
US7148818B2 (en) Method of command entry for an electronic device
JP2002251289A (ja) 情報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切替え制御機能を有する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