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2051A -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 Google Patents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2051A
KR20010082051A KR1020010005768A KR20010005768A KR20010082051A KR 20010082051 A KR20010082051 A KR 20010082051A KR 1020010005768 A KR1020010005768 A KR 1020010005768A KR 20010005768 A KR20010005768 A KR 20010005768A KR 20010082051 A KR20010082051 A KR 2001008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terminal
plate
moto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5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6119B1 (ko
Inventor
하리타야수히로
사토도시히로
Original Assignee
시가 히로무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가 히로무, 아스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시가 히로무
Publication of KR2001008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61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4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 H02K5/143Means for supporting or protecting brushes or brush holders for cooperation with commutators
    • H02K5/145Fixedly supported brushes or brush holders, e.g. leaf or leaf-mounted brus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6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keeping the brushes in a retracted position during assemb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7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 H02K5/1672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using sliding-contact or spherical cap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모터(10)에 있어, 단부 플레이트(20)는 한 쌍의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및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을 구비한다. 받침대 결합부(22b)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상에 형성된다. 내부전력 공급단자는 유지부(25a), 요홈부(25b), 두 개의 삽입 스트립(25c) 및 브러시 유지돌기(26)를 구비한다. 두 개의 유지 관통공(25f)은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저부에 형성된다. 경사 돌출부(25g)는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각 한 쌍의 삽입 스트립(25c)에 형성된다.

Description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POWER SUPPLY TERMINAL-HOUSING MOTOR}
본 발명은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2000년 7월 28일에 공개된 일본국 특허 제2000-209818A호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를 제안하고 있다. 이 모터에 있어, 판 스프링 기판(내부 전력 공급 단자)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일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암 단자(female terminal)와, 상기 베이스부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며 브러시(brush)를 갖는 판 스프링 부재에 연결되기 위한 평판부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는 유지(holding)부의 고정 돌출부로 삽입되고, 상기 유지부의 상면에 고정된다.
그러나, 상기 판 스프링 기판(내부 전력 공급 단자)의 하단에 배치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고정 돌출부로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판 스프링 기판이 설치된 커버 부재를 모터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판 스프링 기판이 넘어질 가능성이 있다. 상기 판 스프링 기판이 설치된 커버 부재를 모터에 고정함에 있어, 상기 판 스프링 기판이 넘어지게 되면, 상기 판 스프링 기판은 정류자(commutator)와 같은 모터의 내부 부품을 손상시킨다.
또한, 상기 판 스프링 기판을 고정하기 위한 베이스부가 상기 판 스프링 기판에서의 암단자와 평판부 사이에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암단자와 평판부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따라서, 내부전력 공급단자는, 그를 갖는 모터와 동일 출력을 갖는 모터에 비해, 모터의 구조, 특히 그의 직경에 있어 커지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상기 간극은 모터의 직경(구조)을 커지게 하는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모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전력 공급단자가 넘어지는 일 없이 모터의 내부에 확실하게 고정 유지되도록 한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소형의 모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 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의 커버 부재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의 커버 부재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도 2 의 IV-IV 선을 따라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의 커버 부재를 나타낸 단면도.
도 5 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의 내부전력 공급단자를 나타낸 정면도.
도 6 은 내부전력 공급단자를 나타낸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VII-VII선을 따라 내부전력 공급단자를 나타낸 단면도.
도 8 은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의 전력 공급 브러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요크 12: 아마츄어
14: 회전축 18: 정류자
19: 도전판 20: 단부 플레이트
20a: 평행부 20b: 원호부
20c: 후면 20d: 상면
20e: 관통공 21a: 외부단자 삽입공
21b: 내부단자 유지 슬릿 22: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
22b: 받침대 결합부 22c: 스토퍼 요홈부
22d: 중앙 요홈부 25: 내부전력 공급단자
25a: 유지부 25b: 요홈부
25c: 삽입 스트립 25d: 단자부
25f: 유지 관통공 25g: 경사 돌출부
26: 브러시 유지돌기 27a: 브러시 유지판
27b: 슬라이딩부 27c: 유지 관통공
T: 전력 공급 단자
본 발명의 첫 번째 관점에 의하면, 각 한 쌍의 내부전력 공급단자들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외부 단자 삽입공으로부터 삽입된 전력 공급 단자와 연결되기 위한 단자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각 한 쌍의 내부전력 공급단자들은 브러시 유지판과 연결되도록 연결부를 구비한다. 상기 각 한 쌍의 내부전력 공급단자들은 내부 단자 유지 받침대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의 두 번째 관점에 의하면, 브러시 유지판 및 내부전력 공급단자의 연결부는, 상기 브러시 유지판과 연결부가 방사상으로 순차 적층되게 배치되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내부 단자 유지 받침대에 의해 유지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 특징들 그리고 장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해 보면,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한 모터의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모터(10)의 요크(yoke)(11)는 아마츄어(12)를 수용한 저부(bottom) 평판이 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요크(11)의 내주면에는 상기 아마츄어(12)가 그들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2극 계자(界磁)(13)가 서로 대향되게 제공된다. 상기 요크(11)의 개구부에는 4 개의 결합 요(凹)홈부(11a)가 형성되는데, 도 1 에서는 단지 한 개의 결합 요홈부(11a)가 나타나 있다.
상기 아마츄어(12)는 그의 상하 양단으로 중심축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축(14)을 구비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4)에 있어,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일단(14a)은 상기 요크(11)의 저부에 제공되는 베어링(1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반면, 하방향으로 연장하는 타단(14b)은 상기 요크(11)의 개방부를 덮는 커버 부재(16)상에 제공되는 베어링(17)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정류자(18)는 상기 회전축(14)의 타단(14b)에 설치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커버 부재(16)는 도전판(conductive plate)(19) 및 그 도전판(19)과 일체로 형성되는 단부 플레이트(end plate)(20)를 구비한다. 상기 도전판(19)은 금속판(예를 들면, 철판)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도전판(19)은 한 쌍의 평행부(19a)와 한 쌍의 원호부(19b)를 포함한다. 상기 요크(11)의 결합 요홈부(11a)와 결합하는 두 개의 결합 돌출부(19c)는 각 한 쌍의 원호부(19b)에 형성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평행부(19a)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네 개의 관통공(19d)은 상기 도전판(19)의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 관통공(19e)은 각 원호부(19b) 근처에 형성된다.
상기 단부 플레이트(20)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한 쌍의 평행부(20a)와 한 쌍의 원호부(20b)를 포함한다. 즉,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평편상의 외형은 통상적으로 상기 도전판(19)의 외형과 동일하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원호부(20b)의 부근에 있어, 한 쌍의 커넥터부(21)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후면(20c)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단부 플레이트(20)는 재료를 몰딩함에 의해 형성되어, 한 쌍의 커넥터부(21)가 상기 도전판(19)의 커넥터 관통공(19e)으로 관통되면서 상기 도전판(19)이 단부 플레이트(20)의 후면에 고정된다. 즉, 상기 커넥터부(21)의 형성으로써, 상기 단부 플레이트(20)는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 등에 의해 상기 도전판(19)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부(21)는 외부단자 삽입공(21a)(도 1 내지 4 에 도시됨) 및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sandwiching slit)(21b)(도 3 에 도시됨)을 제공한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한 쌍의 상기 원호부(20b) 근처에서, 상방향으로 연장하는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상면(20d)에 제공된다. 도 1, 2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받침대 결합부(22b)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 결합부(22b)의 전단은 테이퍼(taper)진 돌출부로 형성된다. 상기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도 3 에 도시됨)과 연통하는 스토퍼 요홈부(22c)는 도 1,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저부에 형성된다. 도 1,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단자를 지지하는 중앙 요홈부(22d)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저부에 형성된 양쪽 스토퍼 요홈부(22c)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도 1,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계(13)가 축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동 방지부(23)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측면에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 유지 돌기(24)가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중앙 위치에 형성된다. 베어링(17)은 상기 베어링 유지 돌기(24)에 의해 유지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판(19)에 형성된 상기 관통공(19d)에 대응하여, 단부 플레이트(20)의 평행부(20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네 개의 관통공(20e)이 상기 베어링 유지 돌기의 근처에 형성된다.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상에서 유지된다. 도 5 내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프레스(press) 몰드된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다. 유지부(25a)는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를 굽힘 처리함으로써 그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상단에 형성된다. 내부 단자 결합부로서 제공하는 두 개의 유지 관통공(25f)은 상기 유지부(25a)에 형성된다. 두 개의 삽입 스트립(strip)은 요(凹)홈부(25b)를 잘라 냄으로써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하단에 형성된다. 경사 돌출부(25g)는 유지부 절곡측으로 돌출됨으로써 한 쌍의 상기 삽입 스트립(25c) 각각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대략 중간부 양측에는, 한 쌍의 단자부(25d)가 유지부 절곡측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를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돌출부(25e)는 한 쌍의 단자부(25d)에 대향되는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네 개의 브러시 유지 돌기(26)는 상기유지부(25a)가 절곡되는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일면에 형성된다.
다음은 단부 플레이트(20)상에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를 유지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한 쌍의 삽입 스트립(25c)은 단부 플레이트(20)의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삽입된다. 이 때, 유지 관통공(25f)은 받침대 결합부(22b)로 관통되고, 유지부(25a)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상면(22a)에 접촉되며, 관통공(25f)과 받침대 결합부(22b)는 서로 일치하고, 요홈부(25b)의 저면은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중앙 요홈부(22d)와 접촉되며, 경사 돌출부(25g)는 스토퍼 요홈부(22c)로 일치된다.
따라서,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경사 돌출부(25g)가 스토퍼 요홈부(22c)로 일치됨으로써,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되어 상방향으로 이동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요홈부(25b)의 저면이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중앙 요홈부(22d)와 접촉되거나, 유지부(25a)가 상기 내부전력 유지 받침대(22)의 상면으로 접촉된다. 그러므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되어 하방향으로 이동 할 수 없게 된다. 도 1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관통공(25f)은 받침대 결합부(22b)로 삽입되고,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스트립(25c)은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삽입된다. 그러므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상기 단부 플레이트(20)로 유지되어 좌우 및 전후방향으로 이동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단자부(25d) 및 돌출부(25e)는 외부단자 삽입공(21a)으로부터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가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되고, 전력 공급 브러시(27)의 브러시 유지판(27a)이 상기 내부전력 공급 단자(25)와 단부 플레이트(20)의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사이에 고정적으로 끼워 넣어진다. 즉,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브러시 유지 돌기(26)에 일치되게 연결되기 위한 네 개의 유지 관통공(27c)은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후단(rear end)의 상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가 그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브러시 유지돌기(26)에 일치되게 연결된 브러시 유지판(27a)의 유지 관통공(27c)을 갖는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될 시,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후단은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와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사이에 고정되게 끼워 넣어진다. 정류자(18)와 경사지게 접촉하는 브러시 슬라이딩부(27b)는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전단에 형성된다.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가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될 시,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전단은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평행부(20a)와 거의 팽행하게 연장된다.
설명 초기 도 2 및 도 3 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요크(11)에서 상기한 구조를 갖는 커버 부재(16)의 설치에 관하여 설명하면, 도전판(19)의 저면으로부터 제1분리핀(28)은 보이는 일측 대각선상에 위치된 양측 전력 공급 브러시(27)에서 관통공(19d)(20e)으로 삽입된다.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제1 분리핀(28)으로, 양측 전력 공급 브러시(27)는 브러시 유지판(27a)의 탄성력에 대하여 서로 분리된다. 양측 전력 공급 브러시(27)는 도 2 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다른 대각선상에 위치된 관통공(19d)(20e)로부터 보이는 위치까지 서로 분리될 시, 상기 양측 전력 공급 브러시(27)는 제2 분리핀(29)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분리된다. 그 후, 이동 방지부(23)는 서로 분리된 양측 공급 전력 브러시(27)와 함께 자계(13)를 향하게 되고, 커버 부재(16)는 회전축(14)의 타단(14b)이 베어링 유지돌기(24)의 베어링(17)으로 삽입되도록 요크(11)에 장착된다. 이 때, 상기 커버 부재(16)는 결합 돌출부(19c)가 요크(11)의 결합 요홈부(11a)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요크(11)에 장착된다. 상기 분리핀(28)(29)이 관통공(19d)(20e)로부터 제거되면, 각 전력 공급 브러시(27)의 브러시 슬라이딩부(27b)는 정류자(18)와 경사지게 접촉된다.
미도시의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력 공급 단자(T)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단자 삽입공(21a)으로 삽입될 시, 상기 전원 공급 단자(T)는 도 2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부(25d)와 돌출부(25e) 사이에 끼워 넣어진 내부전력 공급단자(2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전력 공급 단자(T)는 내부전력 공급단자(25) 및 전력 공급 브러시(27)를 통해 정류자(18)로 전력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터(10)는 다음의 장점들을 제공한다.
(1)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와 접촉되면서 전력 공급 브러시(27)와 연결된 그의 한 쌍의 삽입 스트립(25c)을 단부 플레이트(20)의 내부 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삽입함으로써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된다. 또한, 유지부(25a)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상면(22a)과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되어 수직적으로 이동 할 수 없게 된다. 더욱이, 유지 관통공(25f)이 받침대 결합부(22b)로 삽입되고, 삽입 스트립(25c)이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이동 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넘어짐없이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된다.
(2) 전력 공급 브러시(27)와 연결된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한 쌍의 삽입 스트립(25c)은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가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와 접촉되면서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삽입될 시, 경사 돌출부(25g)는 스토퍼 요홈부(22c)에 일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되어 상방향으로 이동 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내부 단자 유지 받침대(22)로부터 상방향으로의 이동 및 경사지게 벗어남 없이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에 의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3)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가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와 접촉하면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삽입 스트립(25c)이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삽입될 시, 요홈부(25b)의 저면은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중앙 요홈부(22d)와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단부 플레이트(20)에 의해 유지되어 하방향으로의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넘어짐 없이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4) 브러시 유지판(27a)은 길게 형성되고 전력 공급 브러시(27)의 정류자(18)로 가해지는 작용압력은 일정하게 지속될 수 있다. 그 결과, 오랜 시간동안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며, 그 사용수명을 향상시킨다.
(5) 요크(11)상에 커버 부재(16)를 장착함에 있어, 상기 커버 부재(16)는 관통공(19d)(20e)으로 삽입된 제1 및 제2 분리핀(28)(29)과 함께, 전력 공급 브러시(27) 및 정류가(18)가 서로 간섭되지 않는 위치로 브러시 유지판(27a)을 연장함으로써 상기 요크(11)에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커버 부재(16)는 상기 요크(11)로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모터(10)의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도전판(19)의 차폐 동작으로 인해, 전력 공급 브러시(27)와 정류자(18)가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될 시 발생하는 전기적 소음을 요크(11)의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7) 상기 전력 공급 브러시(27)의 브러시 유지판(27a)이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후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브러시 유지판 및 암(female) 단자로 연결되는 평판부 사이에 발생되는 간극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모터(1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도 소형화되기 때문에,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다.
(8) 브러시 유지판(27a)은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와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사이에 끼워 넣어지며,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의 브러시 유지돌기(26)는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유지 관통공(27c)에 일치되게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은 , 별도의 구성 부품의 사용없이 상기 브러시 유지돌기(26)에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은 유지 관통공(27c)과 브러시 유지돌기(26) 사이에 결합되기 때문에 브러시 유지돌기(26)로 확실하고 움직일 수 없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과 같이 변경될 수 있다.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는 도 2 및 도 4 의 형태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 결합부(22b)의 개수는 하나 또는 셋 또는 그 이상으로 될 수 있다.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도 5 내지 도 7 로부터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사 돌출부(25g)의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경사 돌출부(25g)에 의해 결합되는 스토퍼 요홈부(22c)의 구성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전력 공급 브러시(27)는 도 8 로부터 다르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지 관통공(27c)의 개수, 위치,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에 형성되는 브러시 유지돌기(26) 또한 상기 유지 관통공(27c)과 상응하여 변경된다.
브러시 유지판(27a)은 다르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을 움직일 수 없게 연결하기 위한 수단은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 내부전력 공급단자(25) 및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을 내부전력 공급단자(25)와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사이에 끼워 넣는 대신에,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은 다른 고정 수단으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에 고정될 수 있다.
재료를 몰딩하여 단부 플레이트를 형성한 후, 도전판(19)이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의 후면(20c)을 덮도록 하는 방식으로, 상기 도전판(19)은 다른 고정 수단으로 상기 단부 플레이트(20)에 고정될 수 있다.
원호부(19b)에는 하나 또는 셋 또는 그 이상의 결합 돌출부(19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10)는 그에 형성되는 셋 또는 그 이상의 자계(13)을 갖는 멀티-폴(multi-pole) 모터로 될 수 있다.
이동 방지부(23)의 개수는 바뀔 수 있다. 둘 또는 그 이상의 상기 이동 방지부(23)는 각 자계(13)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터(10)의 편평한 단면의 구조는 원형 구조로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변형 및 변경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의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전력 공급단자가 넘어짐 없이 모터 내부에 확실하게 장착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하고, 오랜 시간동안 안정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여 그 사용수명을 향상시키며,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7)

  1. 정류자(18)가 장착된 회전축(14)을 갖는 아마츄어(12)를 수용하는 요크(11);
    상기 요크(11)의 개구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전축(14)이 그들 사이에 끼워 넣어지도록 그 내측면(20d)으로부터 돌출된 한 쌍의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및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근처에 제공되는 외부 단자 삽입공(21a)을 구비하는 플레이트(20);
    상기 정류자(18)에 브러시(27b)를 접촉하게 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형태의 브러시 유지판(27a);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부단자 삽입공(21a)으로부터 삽입된 전력 공급 단자(T)에 연결되기 위한 단자부(25d) 및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6)를 각각 구비하며, 각각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에 의해 지지된 한 쌍의 내부전력 공급단자(25)를 포함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는 일측면에 상기 단자부(25d), 타측면에 상기 연결부(26)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은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와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사이에 끼워 넣어지며,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 및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이 움직일 수 없도록 브러시 유지판(27a)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 수단(26)(27c)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상면에 형성되는 받침대 결합부(22b) 및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 근처에 제공되는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그 일단에 상기 받침대 결합부(22b)와 결합하는 내부단자 결합부(25f)를 갖는 유지부(25a) 및 그 타단에 상기 내부 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일치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삽입 스트립(25c)을 구비한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토퍼 요홈부(22c)를 구비하며;
    각 한 쌍의 상기 삽입 스트립(25c)는 상기 스토퍼 요홈부(22c)와 결합하는 경사 돌출부(25g)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6. 제 4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삽입 스트립(25c) 사이의 요홈부(25d)에 일치하는 내부단자를 지지하는 중앙 요홈부(22d)가 상기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에 형성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그에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부(20a)와 한 쌍의 원호부(20b)를 구비하며;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은 상기 평행부(20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0e)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그의 외측면(20c)이 덮어지도록 그에 일체로 형성된 도전판(19)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0. 정류자(18)를 갖는 아마츄어(12);
    그 사이에 방사방향으로 상기 정류자(18)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모터(10)의 내측면(20d)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를 구비하는 플레이트(20);
    상기 정류자(18)에 브러시(27b)를 접촉하게 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 지지하는 한 쌍의 판 스프링 형태의 브러시 유지판(27a); 및
    외부로부터 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로 삽입되는 전력 공급 단자(T)로 연결되는 단자부(25d) 및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에 연결되기 위한 연결부(26)을 구비하는 한 쌍의 내부전력 공급단자(25)를 포함하며;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 및 연결부(26)는 방사 방향으로 순차 적층되게 배치되어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에 의해 유지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26)는 상기 단자부(25d)의 후면에 형성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상면에 형성된 받침대 결합부(22b) 및 상기 내부단자 유지 받침대(22)의 근처에 제공되는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을 구비하며;
    상기 내부전력 공급단자(25)는 그 일단에 상기 받침대 결합부(22b)와 결합하는 내부단자 결합부(25f)를 갖는 유지부(25a) 및 그 타단에 상기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으로 일치되게 결합되기 위한 한 쌍의 삽입 스트립(25c)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과 함께 연속적으로 형성된 스토퍼 요홈부(22c)를 구비하고;
    각 한 쌍의 상기 삽입 스트립(25c)은 상기 스토퍼 요홈부(22c)와 결합하는 경사 돌출부(25g)를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삽입 스트립(25c) 사이의 요홈부(25b)에 일치하는 내부 단자를 지지하는 중앙 요홈부(22d)가 상기 내부단자 샌드위칭 슬릿(21b)에 형성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그에 형성되는 한 쌍의 평행부(20a)와 한 쌍의원호부(20b)를 구비하며;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은 상기 평행부(20a)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상기 브러시 유지판(27a)의 위치에 상응하는 위치에 관통공(20e)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17.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20)는 그의 외측면(20c)이 덮어지도록 그에 일체로 형성된 도전판(19)을 구비하는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KR10-2001-0005768A 2000-02-10 2001-02-07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KR1004561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27/2000 2000-02-10
JP2000033427 2000-02-10
JP2000339108A JP3699644B2 (ja) 2000-02-10 2000-11-07 給電端子内蔵モータ
JP339108/2000 2000-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2051A true KR20010082051A (ko) 2001-08-29
KR100456119B1 KR100456119B1 (ko) 2004-11-08

Family

ID=26585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5768A KR100456119B1 (ko) 2000-02-10 2001-02-07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65920B2 (ko)
JP (1) JP3699644B2 (ko)
KR (1) KR100456119B1 (ko)
CN (1) CN1170352C (ko)
AU (1) AU762140B2 (ko)
DE (1) DE10106003A1 (ko)
SE (1) SE51948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546B2 (ja) * 1999-11-02 2004-04-26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FR2810168B1 (fr) * 2000-06-08 2005-06-17 Meritor Light Vehicle Sys Ltd Moteur electrique notamment motoreducteur pour l'activation d'equipements fonctionnels de vehicules
JP2002262507A (ja) * 2001-02-28 2002-09-13 Mitsuba Corp 電動モータの外部接続構造
US6891456B2 (en) * 2002-06-10 2005-05-10 Delphi Technologies, Inc. Multi-pole electromagnetic motor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KR100484624B1 (ko) * 2002-12-12 2005-04-22 주식회사 캄코 직부식 커넥터가 장착된 콘덴서용 쿨링팬 모터
US6924577B2 (en) * 2003-01-13 2005-08-02 Energy Conversion Systems Holdings, Llc Brush box assembly
JP2005130583A (ja) * 2003-10-23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雌型端子金具,ブラシ組立体及びブラシ付きモータ
US7874818B2 (en) * 2004-10-27 2011-01-25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Electric motor fuel pump having a reduced length
DE102005057398A1 (de) * 2005-11-30 2007-05-31 Robert Bosch Gmbh Bürstenträger-Bauteil mit Masse-Kontaktblech
JP5118548B2 (ja) * 2007-05-14 2013-01-16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
DE102011075476B4 (de) * 2011-05-09 2014-07-24 Eberspächer Climate Control Systems GmbH & Co. KG Luftfördergebläse,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heizgerät
CN102882303B (zh) * 2011-07-12 2017-10-24 德昌电机(深圳)有限公司 电机端盖组件
EP3021469B1 (en) * 2013-07-11 2020-10-07 Mitsuba Corporation Electric motor
WO2015074050A1 (en) 2013-11-18 2015-05-21 Nanopharmaceuticals Llc Methods for screening patients for resistance to angioinhibition, treatment and prophylaxis thereof
US10807248B2 (en) 2014-01-31 2020-10-20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Direct drive brushless motor for robotic finger
JP6127308B2 (ja) * 2015-05-01 2017-05-17 株式会社明電舎 回転機
US10205355B2 (en) * 2017-01-03 2019-02-12 Systems, Machines, Automation Components Corporation High-torque, low-current brushless motor
JP7051305B2 (ja) * 2017-04-27 2022-04-11 ミネベアミツミ株式会社 外付けユニット及び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58991A (en) * 1946-04-26 1949-01-11 Lloyd L Grosshart Posthole digger
ES291075Y (es) * 1985-12-17 1988-04-16 Braun Espanola,S.A. Dispositivo puente escobillas para utilizacion en motores electricos de colector
GB2226709B (en) * 1988-12-30 1993-05-26 Johnson Electric Ind Mfg Terminal arrangement for an electric motor
GB2244178B (en) * 1990-05-14 1994-06-29 Johnson Electric Sa Brush protection in an electric motor
GB2244603B (en) * 1990-05-21 1994-07-27 Johnson Electric Sa An electric motor
GB2248348B (en) * 1990-09-28 1994-04-27 Johnson Electric Sa A brush holder for an electric motor
GB2248975B (en) * 1990-10-19 1994-10-12 Johnson Electric Sa Electric motor
JP3051222B2 (ja) * 1991-10-25 2000-06-12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JP3421421B2 (ja) * 1993-06-15 2003-06-30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GB9316643D0 (en) * 1993-08-11 1993-09-29 Johnson Electric Sa Two-part end cap assembly
GB9321784D0 (en) * 1993-10-22 1993-12-15 Johnson Electric Sa Brush assembly
GB9509869D0 (en) * 1995-05-16 1995-07-12 Johnson Electric Sa Brush assembly for an electric motor
JPH11168866A (ja) * 1997-09-30 1999-06-22 Mitsumi Electric Co Ltd 小型直流モータ
GB9826912D0 (en) * 1998-12-09 1999-01-27 Johnson Electric Sa Miniature electric motor
JP2000209818A (ja) 1999-01-12 2000-07-28 Asmo Co Ltd モ―タにおけるブラシ保持構造及びモ―タ
JP3345365B2 (ja) * 1999-01-29 2002-11-18 マブチモーター株式会社 小型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62140B2 (en) 2003-06-19
SE0100265D0 (sv) 2001-01-30
JP2001298896A (ja) 2001-10-26
AU1825001A (en) 2001-08-16
CN1308404A (zh) 2001-08-15
JP3699644B2 (ja) 2005-09-28
SE0100265L (sv) 2001-08-11
CN1170352C (zh) 2004-10-06
SE519480C2 (sv) 2003-03-04
US20010013728A1 (en) 2001-08-16
KR100456119B1 (ko) 2004-11-08
US6465920B2 (en) 2002-10-15
DE10106003A1 (de) 2001-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6119B1 (ko) 전력 공급 단자를 수용하는 모터
US5280210A (en) Universal electric motor with a switch ring mounted adjacent the brushes
EP1578004B1 (en)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US5287028A (en) Miniature motor
US20020047471A1 (en) End cap assembly
US6011341A (en) DC motor having a brush holder provided with a terminal projection portion
US11329523B2 (en) Permanent magnet brush micromotor and assembly method thereof
JPH05122881A (ja) 小型モータ
US5598045A (en) Miniature motor
US6603235B1 (en) Small-sized motor having a brush unit with an improved brush arm and terminal connections
US5216305A (en) Electric motor with wall support of u-shaped terminals
CN210517181U (zh) 第一磁性连接器、第二磁性连接器及磁性连接器组合
JP3773853B2 (ja) ブラシホルダ及び電動モータ
KR100384341B1 (ko) 전자기계식 컨택터
JP3945025B2 (ja) 電動機
JP2501469B2 (ja) 電動機
JP3548734B2 (ja) 電気コネクタ
JP2823449B2 (ja) 電動機
GB2359421A (en) Mounting motor; Casing parts forming motor terminals
CN110581620B (zh) 电刷组件、包含该电刷组件的电机和电动助力转向系统
GB2173648A (en) Electric motors and their assembly
CN112582209A (zh) 继电器
JP2004031087A (ja) スイッチ付同軸コネクタ
US20020121836A1 (en) End shield for a commutator mach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end shield
KR102140894B1 (ko) 모터의 코일 결선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