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8756A - 다기능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다기능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8756A
KR20010078756A KR1020007014996A KR20007014996A KR20010078756A KR 20010078756 A KR20010078756 A KR 20010078756A KR 1020007014996 A KR1020007014996 A KR 1020007014996A KR 20007014996 A KR20007014996 A KR 20007014996A KR 20010078756 A KR20010078756 A KR 20010078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furnace
sludge
process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4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에지마다카시
Original Assignee
마에지마 후미오
마에지마 다카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에지마 후미오, 마에지마 다카시 filed Critical 마에지마 후미오
Publication of KR2001007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756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06General arrangement of incineration plant, e.g. flow sh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 F23G5/05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drying using dryi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rotating or oscillating dr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2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 F23G5/245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vertical, substantially cylindrical, combustion chamber with perforated bottom or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8Multi-hearth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6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coo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0009Furnace with progressive waste movements in vertical or steeply incline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incinerators
    • F23G2900/53801Multi-hearth furnaces with vertic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공장, 서비스 제공시설, 도매시장, 일반기업, 일반 소매상점 및 일반가정 등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 일반 잡다쓰레기, 발포 폴리스티렌 등의 피처리물을 소각처리, 건조처리, 용융처리, 분해처리, 재용융처리 등을 하기 위한 다기능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건조연소로, 킬룬로, 제1송연부, 제2송연부, 연기연소부, 집진여과부, 제2송연부, 공기가열부, 냉각조부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처리장치에 있어서, 냉각조부로부터 제2송연부의 일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들고, 부압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의 구성으로 했다.

Description

다기능처리장치{MULTIFUNCTIONAL DISPOSAL APPARATUS}
종래부터 제조공장, 서비스 제공시설, 도매시장, 일반기업, 일반소매상점 및 일반가정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 및 일반 잡다쓰레기의 피처리물은 그대로 소각로안에서 소각·건조했었다.
또 오니(汚泥) 등의 피처리물은 건조한 후 소각하여 매립처분함과 동시에 발포폴리스티렌(이른바 발포스티롤)은 전용의 압축분해장치를 갖고 있는 업자에게 모아서 분해처분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소각로는 강제적으로 바람을 보내서 피소각물을 연소시키는 방식이어서 산화연소로 로내온도가 고저온을 반복하기 때문에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연소연기 및 배기가스를 배출하게 되며 또한 연소되어 얻어지는 소각재 등에도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재는 재이용할 수 없었다.
즉 수분을 많이 포함한 오니나 음식물 쓰레기 극히 쉽게 타는 종이류나 목재, 슈퍼마켓의 봉지나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플라스틱성 일반쓰레기, 다이옥신류의 원인의 하나라고 하는 투명랩필름, 펫티병,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일반적인 가연쓰레기를 한데모아 소각로에 투입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수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온도가 저하하여 다이옥신 류 등도 쉽게 발생하게 된다.
각 자치체의 소각로의 구조에 의해서는 펫티병을 소각할 수 없는 소각로도 있다. 그 경우는 펫티병을 분리하여 회수하는 경우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가정 및 회사 등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고분자계의 피처리물을, 그 종류 및 그들 피처리물의 처리후 용도에 따른 기능을 갖는 장치, 즉 (1)미생물 분해처리, (2) 열분해처리, (3) 저온건조처리, (4) 간접온풍 건조처리, (5) 직접온풍 건조처리, (6) 탄화처리, (7) 소각처리, (8) 고분자 용융처리 및 (9) 재용융처리가 가능한 다기능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환언하면 본 발명은 일반 잡다쓰레기와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을 소각처리할 경우,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이 많으면 소각할 수 없지만 다기능 처리장치로 우선 건조시키고 다음에 탄화·소각할 수 있어 수분의 다소에 관계없이 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조공장, 서비스 제공시설, 도매시장, 일반기업, 일반 소매상점 및 일반가정 등에서 발생한 음식물 쓰레기, 일반 잡다쓰레기, 오니, 발포폴리스티렌 등의 피처리물을 소각처리, 건조처리, 용융처리, 분해처리, 재용융처리 등을 하기 위한 다기능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전체단면도.
도2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의 건조연소로 및 용융장치의 확대도.
도3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의 킬룬로, 제1송연부, 연기연소부, 집진여과부 및 제2송연부의 확대도.
도4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의 연기연소부 및 집진여과부의 확대도.
도5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의 공기가열부 및 냉각조부의 확대도.
도6은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킬룬로, 재용융부 및 송연부의 확대도.
도8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미생물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9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소각재를 열분해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0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저온건조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1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가열한 온풍으로 건조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2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가열한 온풍으로 건조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3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환원분위기하에서 탄화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4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환원분위기하에서 연소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5는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발포 폴리스티렌을 용융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6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소각재를 용융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17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로서 건조실에 건조용 통관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18은 도17에 도시한 건조용 통관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19는 건조용 통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20은 건조용 통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21은 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22는 도 21안에 부착된 역지 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폐지한 상태를 도시한도면.
도23은 도 21안에 부착된 역지밸브의 종단면도로서 개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
도25는 도21에 도시한 통기공의 확대도.
본 발명은 건조연소로, 킬룬로, 제1송연부, 제2송연부, 연기연소부, 집진여과부, 제2송연부, 공기가열부, 냉각조부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처리장치에 있어서, 냉각조부로부터 제2송연부의 일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들고, 부압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의 구성으로 했다.
다음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전체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1)는 건조연소로(2), 킬룬로(3), 제1송연부(4), 연기연소부(5), 집진여과부(6), 제2송연부(7), 공기가열부(8), 냉각조부(9), 용융장치(10)(소각재 용융)로 이루어지고, 전체를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를 갖는 틀체(11)에 수납함과 동시에 공기를 받아들이는 입구(11b)로부터 외기를 도입할 수 있도록 전체를 지면(12)밑의 흙안에 매설하는 장치이다.
상기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는 건조연소로(2), 제1송연부(4), 연기 연소부(5), 제2송연부(7) 및 공기가열부(8)에 배치되고 있는 버너, 블로워(blower), 히터, 액체수소 등의 연소가열용 기기에 접속되어, 상기 연소가열용 기기에 필요한 신선한 공기를 한데 모아 받아 들이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는 공기를 받이들이는 입구(11b)가 배치된다. 상기 공기를 받아들이는입구(11b)에는 먼지가 들어가지 않도록 에어필터를 부착해도 좋다.
본 다기능 처리장치(1)는 지면(12)밑의 흙안에 매설하지 않아도 되고 틀체(11)내에 각 장치(2~10)를 설치하지 않고 상기 각 장치(2~10)를 공장등에 바로 설치해도 좋다. 상기 각 장치(2~10)를 공장 등에 직접 설치할 때에는 극히 높은 열을 발산하기 때문에 차열판 등을 적절히 주위에 설치하면 좋다. 또 통기성을 좋게하기 위한 설비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 있어서, 건조연소로(2), 킬룬로(3), 제1송연부(4), 연기 연소부(5), 집진여과부(6), 제2송연부(7), 공기가열부(8), 냉각조부(9), 용융장치(10)(소각재 용융장치)의 각 장치(2~10)를 순서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일부 확대도로서, 도1안의 A-A선에 의해 분단한 다기능 처리장치의 우측에 배치되는 건조연소로 및 용융장치의 확대도이다. 본 다기능 처리장치(1)에서는 혼합한 폐기물(발포스티롤, 고분자, 종이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의 온도를 조절하여 스티롤을 녹이고 음식물 쓰레기, 오니를 건조시키고 나서 소각하는 처리방법이다.
건조연소로(2)는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제1건조실(15), 제2건조실(15b), 제3건조실(15d), 제4건조실(15f), 연소실(건조실)(17)을 배치한 구조이다. 제1건조실(15)의 위쪽에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를 배치함과 동시에 연소실(17) 위쪽에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를 배치한 것이다. 상기 각 건조실(15)(15b)(15d)(15f), 연소실(건조실)(17)을 따로 몇단으로 형성하지 않고 한 실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 각 건조실(15)(15b)(15d(15f), 연소실(건조실)(17)을 따로 몇단으로 형성하면 처리능력이 높아진다.
상기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와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는 각각 누두(漏斗)상으로 개구된 투입구(13a)(14a)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도 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내부에 제1개폐밸브(13b)(14b)와 제2개폐밸브(13c)(14c)를 배치하고 있다. 제1개폐밸브(13b)(14b)는 투입구(13a)(14a)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와 일반 잡다쓰레기를 제2개폐밸브(13c)(14c)에 적당량을 떨어뜨리기 위한 것이다. 제2개폐밸브(13c)(14c)는 제1건조실(15)과 연소실(17)에 음식물 쓰레기, 오니, 일반 잡다쓰레기 등을 투입하기 위한 밸브이다.
물론 투입구(13a)에 투입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수분을 많이 포함하고 건조상태가 되었을 때 가연의 쓰레기 또는 그 외의 처리물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또 투입구(14a)에 투입되는 일반 잡다쓰레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분을 별로 포함하지 않고 건조상태의 가연의 처리물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수분이 많이 함유된 쓰레기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로부터 제1건조실(15)로 투입하고, 제1연소실로부터 제4건조실(15)(15b)(15d)(15f)에서 순서대로 건조시키고나서 연소실(17)에서 연소시킴과 동시에 수분을 함유하지 않은 쓰레기는 건조작업을 하지 않고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로부터 연소실(17)로 투입하여 연소시켜 처리한다.
또 제1건조실(15)의 저면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러장으로 이루어지는 건조접시(15a)가 배치되고 있다. 도2와 같이 길이가 긴 판상의 건조접시(15a)를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모든 건조접시(15a)가 가로방향일 때에는 상기 건조접시(15a)의 윗면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모든 건조접시(15a)가 회전하여 세로방향일 때에는 건조접시(15a)와 건조접시(15a)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을 제2건조실(15b)로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건조접시(15a)위에 올려놓여지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은 제1건조실(15)의 하측에 있는 제2건조실(15b)로부터 올라가는 열기에 의해 건조된다. 물론 건조접시(15a)끼리 혹은 건조접시(15a)(15a)(15a)와 벽면에는 다소의 간극 등을 형성하여 배치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기 건조접시(15a)(15a)(15a)는 180°회전가능한 구조이다. 건조접시(15a)(15a)(15a)의 뒤쪽도 사용할 수 있어 윗면 및 밑면을 건조접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는 번갈아 사용하여 건조접시(15a)(15a)(15a)가 열에 의해 이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 건조접시(15a)(15a)(15a) 및 격자접시(15c)(15e)(15g)가 180°회전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을 균일하게 역 낙하시킬 수 있다.
제2건조실(15b)에도 제1건조실(15)과 마찬가지로 저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여러장으로 이루어지는 격자접시(15c)가 배치되고, 제3건조실(15d)에도 마찬가지 구조의 격자접시(15e), 제4건조실(15f)에도 같은 구조의 격자접시(15g)가 배치되고 있다. 물론 상기 격자접시(15c)(15e)(15g)는 회전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고 또 회전, 회동하지 않고 고정되는 구조로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각 격자접시(15c)(15e)(15g)가 축을 중심으로 회동 또는 회전함으로써 각 건조실(15b)(15d)(15f)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을 밑의 건조실(15d)(15f) 또는 연소실(17)로 낙하시킬 수 있다.
제2건조실, 제4건조실(15b)(15d)(15f), 연소실(17)의 순으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 등을 서서히 낙하시키기 때문에 한장의 판모양으로 하지 않고 여러장으로 이루어지는 건조접시(15a) 또는 여러개의 격자접시(15c)(15e)(15g)로 함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는 오니 등이 낙하할 때 평균적으로 교반되므로 남김없이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격자접시(15c)와 격자접시(15e)와 격자접시(15g)에서는 격자와 격자간의 간격 폭이 다르다. 즉 격자접시(15c)의 격자간의 간격은 가장 좁고, 격자접시(15e)의 격자간의 간격은 상기 격자접시(15c)의 격자간의 간격보다 크며, 격자접시(15g)의 격자간의 간격은 상기 격자접시(15e)의 격자간의 간격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는 제2건조실(15b), 제3건조실(15d), 제4건조실(15e)과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이 낙하함에 따라 아래쪽으로 낙하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은 서서히 건조되어 수분을 함유하지 않는 가는 입자가 되므로 각각의 격자접시(15c)(15e)(15g)의 윗면에서 건조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은 건조접시를 회동시키지 않고 격자 사이를 빠져나와 아래의 건조실로 낙하하기 때문이다.
제1건조실(15)로부터 제4건조실(15f)을 거쳐 건조상태가 된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과,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로부터 투입되는 일반 잡다쓰레기는 제4건조실(15f)의 하부에 배치되는 연소실(17)에 모이게 된다. 연소실(17)의 저면에는 불격자(17b)가 배치되고 상기 불격자(17b)상에 쓰레기가 올려놓여지게 된다.
상기 연소실(17)의 하부에는 가열버너(20a)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 모이는 가열실(20)과, 상기 가열실(20)에 접속되는 방열관(20b)이 설치됨과 동시에 신선한 공기를 가열버너(20a)로 보내기 위한 도기관(19)이 가열버너(20a)에 접속되고, 방열관(20b)내의 열기를 건조연소로(2) 밖으로 방출하기 위한 배기관(21)이 방열관(20b)에 접속되며, 로(2)내에 가열한 신선한 공기 또는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송기관(22)이 접속되고 있다.
상기 가열실(20)의 내부에는 세라믹 또는 내열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축열재(20c)가 여러개 배치되고 동 축열재(20c)를 가열버너(20a)로 가열하면 가열버너(20a)의 열이 축열됨과 동시에 축열재(20c)의 용량을 넘으면 적외선 또는 열을 방출하여 가열실(20)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도기관(19)과 배기관(21)은 다기능 처리장치(1)의 틀체(11)에 배치되는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 연통된다. 상기 송기관(22)은 도5와 같이 개폐밸브(22a)가 배치됨과 동시에 공기가열부(8)의 송기관(58)과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에 접속되며, 가열된 신선한 공기 또는 냉각된 신선한 공기 또는 가열된 신선한 공기와 냉각된 신선한 공기와의 혼합기를 건조연소로(2)에 도입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가열한 신선한 공기 또는 신선한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한 송기관(22)이 접속되는 것은 가열버너(20a)에는 신선한 공기가 도입관(19)으로부터 보내지지만 가열버너(20a)에 의해 가열된 공기에는 소각용의 산소가 거의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방열관(20b)은 가열버너(20a)에 의해 가열한 공기를 직접 연소실(17)로 보내는 것이 아니고 방열관(20b)에 의해 방열관(20b) 둘레의 신선한 공기를 열로하여 고열을 연소실(17)로 전달하는 것이다.
그리고 연소실(17)도 간접열에 의해 동시에 건조하면 방열관(20b)에 의해 발산되는 열과 신선한 공기에 의해 연소실(17)내의 쓰레기를 고온으로 건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방열관(20b)으로부터의 열기와 쓰레기의 건조에 의한 열로 제1건조실(15)로부터 제4건조실(15f)의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건조할 수 있는 것이다.
방열관(20b)으로부터의 열기 및 쓰레기의 소각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는 제1건조실(15)의 상부에 접속되고 있는 연기안내관(29)으로 배출된다. 상기 연기안내관(29)은 중간에 개폐밸브(29a)가 배치되고, 연기안내관(29)은 킬룬로(3)에 접속하고 있다. 킬룬로(3)로부터 건조연소로(2)에 접속해도 좋다.
건조연소로(2)는 도3과 같이 상기 연기안내관(29)을 통해 킬룬로(3)에 접속되고, 상기 킬룬로(3)는 제1송연부(4)에 접속된다. 블로어(39)를 구동하여 송기관(39a)의 선단(39b)으로부터 바람을 연도(煙道)의 하단(40a)에서 강제적으로 바람을 보내면 제1송연부(4)의 사이클론로(35)안이 부압이 되면 건조연소로(2)내의 공기 또는 연기안내관(29)으로 흡입된다. 따라서 건조연소로(2)안도 부압상태가 되므로 송기관(22)으로부터 신선한 공기가 흡인된다.
도2와 같이 연소실(17)의 바닥에 배치되는 불격자(17b)에는 진동기(17a)가 부착되고 있고 연소실(17)에서 쓰레기의 소각이 끝난 후 진동기(17a)를 구동시키고 불격자(17b)를 진동시켜 불격자(17b)위에 쌓여있는 소각재를 재받이 접시(17c)로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불격자(17)는 진동기(17a)를 부착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 상기 재받이접시(17c) 대신에 벨트콘베이어를 부착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 도2와 같이 방열관(20b)의 하부에는 쓰레기를 소각했을 때 발생하는 매진(煤塵), 건조연소로(2)를 탄화장치로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매진 등을 모으기 위한 매진받이접시(23)가 배치된다.
도2와 같이 건조연소로(2)에는 잔유물을 제거하는 청소, 메인터넌스, 연소상황 등을 확인하기 위해 점검을 위해 개폐가능한 문(16)(16a)(18)이 제1건조실(15), 제3건조실(15d), 제4건조실(15f), 연소실(17) 등에 배치된다. 또 재받이접시(17c)를 출납하기 위한 재꺼내는 문(18a), 매진받이접시(23)를 출납하기 위한 매진꺼내는 문(24)등이 배치된다.
상기 재받이접시(17c)와 매진받이접시(23)에는 재 또는 매진을 건조연소로(2)밖으로 제거하기 위한 재를 꺼내는 문(18a)과 매진꺼내는 문(24)에서 상기 재받이접시(17c), 매진받이접시(23)를 쉽게 출납하도록 상기 재받이접시(17c), 매진받이접시(23)등의 밑면에 차륜을 부착함과 동시에 레일을 부설해도 좋다.
연소실(17)에는 도2와 같이 쓰레기를 연소시킨 경우에 발생하는 연소열을 이용하기 위한 순환관(30)이 배치된다.
순환관(30)은 냉동기(63)의 순환관(30)에 접속되고 있다.
상기 순환관(30)은 냉각조부(9)에서 사용하는 냉동기(63)의 구동에 사용된다.
즉 물을 거쳐 고온수 또는 증기로 냉동기(63)를 구동시킨다.
도2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와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에는 투입구(13a)(14a)의 개구부에 벨트콘베이어를 배치하고 음식물 쓰레기, 오니, 일반 잡다쓰레기 등을 자동적으로 투입구(13a)(14a)로 운반하여 투입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좋다.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모든 밸브(13b)(13c)(14b)(14c)(22a)(29a) 모든 격자접시(15a)(15c)(15e)(15g), 불격자(17b), 진동기(17a), 가열버너(20a)는 콤퓨터 등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건조실(15)(15b)(15d)(15f), 연소실(17), 가열실(20) 등에 연소온도, 배기온도, 수분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용융장치(10)는 송기관(25), 용융조(26), 배기관(28) 등으로 이루어진다. 용융조(26)의 하부에는 받이접시(26b)가 있음과 동시에 동 받이접시(26)의 위쪽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고분자계의 물질(27) 등을 놓기 위한 격자접시(26a)가 있다.
상기 격자접시(26a)의 윗면에 발포 폴리스티렌(이른바 발포스티롤), 고분자계 물질(27) 등을 올려놓고, 송기관(25)에 배치되는 개폐밸브(25a)를 열어 공기가열부(8)로부터 보내지는 열기를 용융조(26)내로 도입한다.
또 건조소각로(2)의 벽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이용하여 용융하면 가열부(8)로부터의 열기는 적어도 된다.
도입되는 열기는 극히 고온의 열기이기 때문에 용융조(26)내의 발포 폴리스티렌, 고분자물질(27)등을 용융하고, 용융된 액상의 용융물은 받이접시(26b)에 모인다. 상기 받이접시(26b)에 모인 용융물인 폴리스티렌의 덩어리는 고분자계이기 때문에 재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발포 폴리스티렌 및 고분자계 물질(27)을 용융한 열기는 개폐밸브(28a)를 갖는 배기관(28)을 거쳐 제2송연부(7)로 보내져 도3과 같이 버너(50)에서 극고온으로 연소되며, 사이클론로(48)내에서 재연소된 후 급속냉각되어 연돌(53)로부터 제2송연부(7) 밖으로 배출된다.
용융장치(10)에 배치되는 개폐밸브(25a)(28a)의 구동을 콤퓨터 등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용융조(26)에 온도 등의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등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3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일부 확대도이다. 즉 도 1안의 A-A선과 B-B선 사이내에 있는 킬룬로(3), 제1송연부(4), 연기연소부(5), 집진여과부(6) 및 제2송연부(7)의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연기연소부 및 집진여과부의 확대도이다.
도3에는 도2에 도시하는 건조연소로(2)에 접속되는 연기안내관(29)에, 킬룬로(3), 제1송연부(4), 연기연소부(5), 집진여과부(6) 및 제2송연부(7)가 순서대로 연설된다.
상기 킬룬로(3)는 연기안내관(29)의 선단(31a) 및 사이클론로(35)의 일단(31b)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킬룬로(3)의 통체(31)의 외주면에는 여러개의 레일(31c)(31c)이 설치된다. 상기 통체(31)의 레일(31c)(31c)에 접하여회전하는 구동륜(31d)(31d)이 있다. 상기 킬룬로(3)에는 관(33a)을 통해 보관실(33)이 배치되고 있고, 사이클론로(35)와 킬룬로(3)사이에는 개폐밸브(34)가 배치된다. 부호 32는 킬룬로(3)의 통체(31)내에 쓰레기를 투입하기 위한 쓰레기 투입부(32)이다. 상기 쓰레기 투입부(32)와 연소가스의 보관실(33)은 좌우단면의 각각 반대위치에 배치한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 투입부(32)는 누두(漏斗)상으로 개구한 투입구(32a)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도3과 같이 내부에 제1개폐밸브(32b)와 제2개폐밸브(32c)를 배치하고 있다. 제1개폐밸브(32b)는 투입구(32a)에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오니, 일반 잡다쓰레기 등을 제2개폐밸브(32c)에 적당량 낙하시키기 위한 밸브로서, 제2개폐밸브(32c)는 킬룬로(3)안에 음식물 쓰레기, 오니, 일반 잡다쓰레기 등을 투입하기 위한 밸브이다.
상기 킬룬로(3)의 통체(31)는 중공으로 되어있으며, 회전하고 있는 통체(31)로 유입하는 연기안내관(29)으로부터 보내져 오는 열기 및 연기는 킬룬로(3)내의 쓰레기 등의 피연소물을 건조시킴과 동시에 소각한다. 소각시에 발생하는 배기가스, 열기, 연기 및 배기는 제1송연부(4)로 흡인된다.
상기 통체(31)내를 회전시키면서 피연소물을 건조, 소각하여 얻어지는 연소가스는 관(33a)을 거쳐 보관실(33)로 들어간다. 상기 연소가스는 극히 높은 온도에 의해 완전히 연소하기 때문에 비료나 그 외의 것에 재이용할 수 있다.
킬룬로(3)에 배치되는 모든 밸브(29a)(32b)(32c)(34)의 개폐 및 구동륜(31d)(31d)에 의한 통체(31)의 회전은 콤퓨터 등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배치해도 좋다. 통체(31)내, 연기안내관(29) 등에 연소온도, 배기온도, 수분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 등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제1송연부(4)는 사이클론로(35), 도기관(36), 버너(37), 통기관(38), 블로어(39), 송기관(39a) 및 연도(煙道)(40)로 이루어진다. 사이클론로(35)내부는 블로어(39)에 부착되는 송기관(39a)의 선단이 연도(40)의 관단(40a)내로 약간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블로어(39)에 접속되는 송기관(39a)의 관단(39b)에서 내 보내는 공기가 연도(40)의 하단(40a)에서 불어넣고, 이젝트(eject)효과에 의해 사이클론(35)내부의 연기, 열기 등을 받아들이면서 연도(49)로 배출되므로 사이클론로(35)내부는 상시 부압상태가 된다.
킬룬로(3)에서 불어넣는 열기, 연기 등은 사이클론로(35)의 상부의 중심에서 약간 어긋난 위치로 불어넣고, 사이클론로(35)내를 나선상으로 회전하면서 열기, 연기 등에 포함되는 매진을 사이클론로(35)내의 하부로 서서히 낙하시킨다. 이 때 열기, 연기 등의 나선상의 회전을 가속하도록 부착된 버너(37)에 의해 열기, 연기내에 포함되는 매진을 다시 태워 완전 연소시켜 무독화한다.
사이클론로(35)내의 와류에 의해 버너(37)의 화염은 극히 길게 뻗어 열기, 연기 등이 화염에 긴 기간 접촉하게 되고(1997년 1월에 공포된 폐기물 처리법 제2차 가이드라인에서는 신설 로에 대해 체류시간 2sec이상의 체류시간이 요청되고 있다), 사이클론로(35)내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에 세라믹 보온재를 배치하여 축열효과에 의해 고온으로 할 수 있다(동 가이드라인에서는 소각온도 850℃이상, 바람직하게는 900℃이상을 요구하고 있다. PCB류의 소각에서는 1100℃이상이 지정된다).
또 블로어(39)에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관(38)은 냉각조부(9)를 통과해 오는 도기관(60)에 접속되고 있기 때문에 블로어(38)로 도입되는 공기는 극히 찬 공기가 되고 사이클론로(35)내의 고온의 열기를 한번에 냉각할 수 있다(300℃부근에서 다이옥신류를 재합성하지 않도록 연소가스를 200℃이하로 급속냉각(약 1sec에서 200℃이하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따라서 열기, 연기 등에 포함되는 다이옥신, NOx, SOx, HCl등의 독해물을 사이클론로(35)에서 열분해하여 연기 및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버너(37) 및 블로어(39)에 접속되는 도기관(36), 통기관(38)은 한쪽 단을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 연통하여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도록 하고 있다. 또 제1송연부(4)의 사이클론로(35)에 부착된 연도(40)는 연기연소부(5)에 접속되고 있다.
상기 제1송연부(4)에 배치되는 버너(37) 및 블로어(39)의 구동을 콤퓨터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해도 좋다. 또 사이클론로(35)내 등에 연소온도, 배기온도, 수분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또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에서는 킬룬로(3)를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상기 킬룬로(3)는 건조연소로(2) 앞에 설치한 구조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1)에서는 건조연소로(3) 그 자체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다음 도4에 도시한 연기연소부(5)와 집진여과부(6)를 설명한다. 도4와 같이 연기연소부(5)는 제1송연부(4)에 의해 나오는 거의 무해한 열기, 연기 및 기체를다시 고온연소시켜 더욱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연기연소부(5)는 연도(40), 촉매버너(41), 보조촉매버너(42), 도기관(43),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43a), 가열버너(43b)로 이루어진다. 상기 촉매버너(41)는 연도(40)와 연도(44) 사이에 배치한 통상체이다. 다이옥신류 및 유독가스가 고온에서 연소되기 위한 온도를 만드는 데 필요한 예비열을 보조촉매버너(42)로부터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 촉매버너(41)에 보조촉매버너(42)가 부착된다.
상기 촉매버너(41) 및 보조촉매버너(42)에는 보내져 오는 기체를 극히 높은 온도로 연소시키기 위해 등유, 중유 또는 가스 등을 분무하는 노즐(41a)(42a)과, 혼합가스를 연소하는 믹서(41b)(42b)와, 촉매연소하는 열촉매(41c)(42c), 세라믹(41d)(42d)이 있다. 상기 등유, 중유 또는 가스 등을 분무하는 노즐(41a)(42a)은 곤로, 히터라도 좋다. 등유, 중유 또는 가스 등 다른 액체수소를 분무해도 좋다. 이하 동일하다.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 접속되고 있는 도기관(43)에서 신선한 공기를 가열버너(43b)와 보조촉매버너(42)에 넣고, 상기 가열버너(43b)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보온하고 있는 가열실(42e)에 있어 보조촉매버너(42)에 들어가있는 신선한 공기를 가열함과 동시에 그 가열한 신선한 공기에 노즐(42a)로 등유, 중유, 가스 등을 분무하고 가열한 신선한 공기와 분무가스의 혼합가스를 형성시킨다.
상기 가열실(42e)의 내부에는 세라믹, 내열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축열재(42f)가 여러개 배치되고 있고, 동 축열재(42f)를 가열버너(43b)로 가열하면 가열버너(43b)의 열이 축열됨과 동시에 축열재(42f)의 용량을 넘으면 적외선 또는열을 방출하여 가열실(42e)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가열한 신선한 공기와 분무가스로 이루어지는 상기 혼합가스는 인화점(약 200℃ ~ 250℃)까지 온도가 상승하여 연소가 개시됨과 동시에 믹서(42b)를 통과하면서 더욱 잘 혼합된다. 연소상태의 혼합가스는 열촉매(42c)를 통과함으로써 약 400℃에서 촉매연소되고, 열촉매를 통과한후 약 800℃~1300℃이상의 열촉매 고온가스가 된다. 그리고 상기 열촉매 고온가스가 벌집구조의 세라믹(42d)을 통과하여 촉매버너(41)로 보내진다.
촉매버너(41)안에서는 제1송연부(4)를 통과하여 연도(40)를 거쳐 오는 기체와 열촉매 고온가스를 혼합한 후 노즐(41a)로 등유, 중유, 가스 등 액체수소를 분무 또는 연소시켜 혼합가스를 형성시킨다.
상기 혼합가스는 인화점(약 200℃ ~ 250℃)까지 온도가 상승하여 연소가 개시됨과 동시에 믹서(41b)를 통과하면서 더욱 잘 혼합된다. 연소상태의 혼합가스는 열촉매(41c)를 통과하는 것에 의해 약 400℃에서 촉매연소되고 열촉매를 통과한 후 약 800℃ ~ 1300℃이상의 열촉매 고온가스가 된다. 그리고 상기 열촉매 고온가스가 벌집구조의 세라믹(41d)을 통과하여 연도(40)로 보내진다.
따라서 촉매버너(41)를 통과하는 기체는 열촉매 고온가스로서 완전 소성되고, 연도(44)로 배출된 배기가스는 미소한 먼지를 함유하는 완전연소기체가 된다. 상기 완전연소기체는 다이옥신류나 유독가스, NOx, SOx, HCl등의 유해물질이 완전히 분해제거된다.
상기 배기가스 안에 함유하는 먼지는 연도(44)와 연도(47)사이에 배치되는집진여과부(6)에서 여과된다. 상기 집진여과부(6)에는 집진여과장치(46)를 통과하는 것과, 여과장치(46)를 통과하지 않는 연도(45)로 나뉜다. 이는 연기연소부(5)를 통과하여 생긴 완전연소기체에 먼지가 포함되지 않은 경우 또는 집진여과장치(46)를 배치하지 않거나 가동시키지 않을 경우에, 개폐밸브(44a)(45a)를 제어하여 연도(45)를 통과시키기 위해 배치한 것이다. 본 집진여과장치(46)를 다기능 처리장치(1)에 배치하지 않아도 좋다.
배기가스 냉각시에 있어 다이옥신류의 합성은 배기가스 안의 매진을 촉매로서 진행하는 특성이 있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연기연소부(5)의 촉매버너(41)에 의해 연소연기를 고온으로 체류시키고 다이옥신류를 완전 산화분해한 후 제2송연부(7)의 사이클론로(48)로 급속히 냉각하기 전에 배기가스안의 매진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유효한 수단이다.
상기 집진여과장치(46)는 여과기, 버그필터, 전기집진기, 습식집진장치, 스프레이탑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과기, 버그필터, 전기집진기, 습식집진장치, 스프레이탑 등의 몇개를 조합하거나 또는 전부를 조합한 구성으로 한다. 어느것을 조합한 집진여과장치(46)로 할 지는 처리되는 쓰레기 등의 피소각물의 성분 등을 고려하여 그 조합을 바꾸어 사용한다.
상기 여과기는 생석탄, 소(消)석탄 및 활성탄의 각각을 분말상 혹은 입자상 또는 스폰지상으로 성형하고 나서 한장의 판상으로 성형한 것을 측상으로 겹친 것을 이루어지고, 상기 판상층상의 생석탄, 소석탄 및 활성탄에 배기가스를 투과시켜 매진 및 유독가스를 제거하는 여과기이다.
버그필터는 여포봉지 등에 의해 가는 분을 포집하는 집진장치로서 미입자까지도 포집하는 능력을 갖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전기청소기 등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이다. 배기가스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여포봉지의 재질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여포에 대해 온도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노즐로부터 물을 분무하거나 물을 분사, 액적하는 등으로 하여 배기가스의 온도를 내릴 필요가 있다.
전기집진기는 정전기력에 의해 미입자를 전극판 상에 포집하는 장치로서 공장의 연돌 등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다. 기계내에서 코로나방전을 일으켜 매진을 마이너스로 인가시키고 플러스극에서 포집하는 기계이다.
습식집진장치는 먼지를 함유하는 배기가스에 물을 분무 또는 분사함으로써 온도를 급속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것으로 이른바 스크러버(scrubber)라고 한다. 배기가스안에 소량 존재하는 물에 가용인 성분을 씻어내는 데 이용된다. 원통안을 선회상승하는 먼지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원통중심에서 반경방향으로 분무되는 액적에 충돌시켜 매진을 포집하는 사이크론 스크러버나 탁구알과 같은 중공의 합성수지를 충전물로서 배기가스류로 부동시키면서 위쪽노즐로부터 액적하여 매진을 포집하는 유동층 스크러버를 이용하면 된다.
스프레이탑은 먼지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류를 향해 흐르는 다수의 노즐로부터 세정액을 액적 혹은 액막 또는 기포를 분산시켜 매진을 제거하는 스크러버를 응용한 것으로서 이른바 냉각탑이라고 하는 것이다. 액적과 배기가스의 접촉시간이 긴 만큼 유해가스나 매진의 제거율이 높아 소형의 소각로에 자주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집진여과장치(46)에 접속되는 연도(47)에는 개폐밸브(47a)가 배치됨과동시에 상기 개폐밸브(47a)의 뒤쪽위치에 용융장치(10)의 배기관(28)이 접속된다. 상기 용융장치(10)가 가동했을 때에는 발포 폴리스티렌 및 고분자계 물질을 고온으로 용융시킨 열기가 연도(47)로 보내진다.
제2송연부(7)에 있어 집진여과부(6)를 거친 기체만을 재연소시킬 경우는 배기관(28)의 개폐밸브(28a)를 닫고, 연도(7)의 개폐밸브(47a)를 열어 둔다. 용융장치(10)를 거친 열기도 한번에 제2송연부(7)로 재연소시킬 경우에는 개페밸브(28a)와 개폐밸브(47a)를 양쪽 열어 둔다.
연기연소부(5) 및 집진여과부(6)에 배치된 모든 밸브(44a)(45a)(47a), 가열버너(43b), 노즐(41a)(42a)은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가능한 구조로 해도 좋다. 또 연도(40)(44), 촉매버너(41), 보조촉매버너(42), 집진여과장치(46)등에 연소온도, 배기온도, 수분 등의 센서를 각종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좋다.
도3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집진여과부(6)의 연도(47)는 제2송연부(7)의 사이클론로(48)에 접속된다. 상기 제2송연부(7)는 사이클론로(48), 공기를 받아들이는 도기관(49), 버너(50), 통기관(51), 블로어(52), 송기관(52a) 및 연돌(53)로 이루어진다. 사이클론로(48)내부는 블로어(52)에 부착된 송기관(52a)의 선단이 연돌(53)의 하단(53a)내로 약간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블로어(52)에 접속되는 송기관(52a)의 선단(52b)으로부터 내보내진 공기가 연돌(53)의 하단(53a)으로 들어와 이젝트효과에 의해 사이클론로(48)내부의 연기나 열기 등을 받아들이면서 연돌(53)로 배출되므로 사이클론로(48)내부는 상시 부압상태가 된다. 또한 연도안에 직접파이프를 넣고, 블로어바람을 보내어 로내의 공기를 부압으로 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또는 투인(透引)팬이라도 좋다.
또 도 3과 같이 집진여과부(6) 또는 용융장치(10)로부터 불어넣는 열기 또는 연기 등의 기체는 사이클론로(48)의 상부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로 불어넣고, 사이클론로(48)내를 회전하면서 열기나 연기에 포함되는 매진을 아래쪽으로 서서히 침강시켜 내려분다. 이 때 열기나 연기의 회전방향을 가속하도록 부착된 버너(50)에 의해 기체를 다시 태워 완전연소시켜 무독화한다.
사이클론로(48)내의 와류에 의해 버너(50)의 화염은 극히 길게 뻗어 열기 또는 연기가 화염에 긴 시간 접촉하게 되어 사이클론로(48)내를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블로어(52)에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는 통기관(51)은 냉각조부(9)를 통과해 오는 도기관(60)에 접속되기 때문에 블로어(52)로 도입되는 공기는 극히 찬 공기가 되어 사이클론로(48)내의 고온으로 유지된 열기를 한번에 냉각할 수 있다.
따라서 열기나 연기에 포함되는 다이옥신, NOx, SOx, HCl등의 유독물을 사이클론로(48)에서 완전히 열분해함과 동시에 최종적으로 연기 및 먼지 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버너(50) 및 블로어(52)에 접속되는 도기관(49), 통기관(51)은 한쪽의 단을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 연통되며 신선한 공기가 들어오게 된다. 또 연돌(40)은 사이클론로(48)로부터 다기능 처리장치(1) 밖으로 관통되고 장치(1)밖으로 무독무해화한 기체를 방출한다.
제2송연부(7)에 배치되는 버너(50) 및 블로어(52)의 구동은 콤퓨터에 의해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사이클론로(48)내 등에 연소온도, 배기온도, 수분, 부압상태, 연기 등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해도 좋다.
도5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일부 확대도로서 도 1안의 B-B선에 의해 분단된 다기능 처리장치의 좌측에 배치된 공기가열부 및 냉각조부의 확대도이다.
공기가열부(8)는 도기관(54), 가열버너(55), 공기관(56), 가열실(57), 송기관(58)으로 이루어진다. 일단이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 삽통된 도기관(54)으로부터 도입되는 신선한 공기는 상기 도기관(54)의 타단에 접속된 가열버너(55)의 연소용에 공통된다.
상기 가열버너(55)는 가열실(57)에 설치되고 있고,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에 접속되고 있는 공기관(56)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신선한 공기를 가열하여 송기관(58)으로 열기가 부압상태이기 때문에 흡입된다.
상기 가열실(57)의 내부에는 세라믹, 내열금속 등의 축열재(57a)가 여러개 배치되고, 상기 축열재(57a)를 가열버너(55)로 가열하면 가열버너(55)의 열이 축적됨과 동시에 축열재(57a)의 용량을 넘으면 적외석 또는 열을 방출하여 가열실(57)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송기관(58)은 냉각조부(9)의 냉기관(61)과,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과, 용융장치(10)의 송기관(25)에 접속된다. 그리고 가열실(57)로부터 송기관(58)으로 보내지는 열기는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 또는 용융장치(10)의 송기관(25)으로 흡입된다.
또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으로 열기를 보낼 때 열기뿐 아니라 냉기 또는 열기와 냉기를 혼합한 중온도의 기체를 보내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의 개방정도를 조절하여 송기관(22)에 보내는 기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공기가열부(8)의 가열버너(55)의 가열량의 조절이나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를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가열실(57), 송기관(22) 등의 내부에 연소온도, 온도, 수분, 부압상태, 연기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냉각조부(9)는 수조(59), 도기관(60), 냉기관(61), 흡열관(62), 순환관(30), 냉동기(63), 순환관(64)으로 이루어진다. 수조(59)의 상부에는 수조(59)내에 물, 빗물, 눈, 얼음 등을 투입할 수 있도록 투입구(59a)가 배치됨과 동시에 개폐밸브(59b)가 배치되어 수조(59)로 투입가능한 물 또는 얼음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조(59)에는 도기관(60) 및 냉기관(61)이 안쪽을 지나고 있다. 상기 도기관(60)은 제1송연부(4) 및 제2송연부(7)의 이젝트효과를 나타내는 블로어(39)(52)에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수조(59)에 안쪽을 지나고 있는 부분에는 파상으로 배치되는 냉각부(60a)가 배치되어 블로어(39)(52)로 도입하는 신선한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상기 냉기관(61)은 건조연소로(2)에 신선한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가열부(8)에서 가열된 열기의 온도를 내려 건조연소로(2)에 도입하거나 건조연소로(2)에 건조한 냉기를 흡인하기 위해 배치한 것이다. 냉기관(61)은 수조에 안쪽으로 지나고 있는 부분에 파상으로 배치되는 냉각부(61a)를 배치함과 동시에 개폐밸브(61b)를 배치하여 건조연소로(2)에 도입하는 신선한 냉기를 그 양을 조절하면서 보낼 수 있다. 로내를 부압상태로 함으로써 냉기를 흡입하므로 남김없이 로내로 공기가 널리퍼지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 수조(59)내에 저류되는 물 또는 액체를 냉각하기 위해 냉동기(63)에 배치되는 흡열관(62)이 수조(59)내에 안쪽으로 배치된다. 흡열관(62)내에는 냉동기(63)로 냉각되는 응고점이 낮은 냉각액이 순환되고, 흡열관(62)을 통해 수조(59)내의 물 또는 액체로부터 열을 뺏아아 물 또는 액체를 냉각하고 있다.
상기 냉동기(63)에는 건조연소로(2)의 연소실(17)에 접속되고 있는 순환관(30)이 접속되고, 연소실(17)로부터 얻어지는 연소열을 순환관(30)내의 온수, 증기 등에 의해 냉동기(63)로 전달하고 냉동기(63)내에서 그 연소열을 이용하여 냉각액을 냉각하는 것이다.
상기 냉동기(63)로 도입되는 순환관(30)은 냉동기 또는 터빈발전기에 접속하고, 순환관(30)에 순환하는 온수, 증기를 이용하여 전기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다기능 처리장치(1)에 사용되는 버너, 블로어, 킬룬로, 건조접시, 격자접시, 냉동기의 구동, 밸브의 개폐 그 외 쓰레기를 투입할 때 벨트콘베이어나 시설에 공통되는 냉방 등의 전원에 이용해도 좋다. 또 야간전력과 소각열을 이용함과 동시에 냉동기를 이용하여 빙(氷)축열로 시설의 냉방 등에 이용한다.
물론 발전기는 터빈발전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터빈발전기 대신에 풍력발전기, 태양광 발전기, 액체수소 발전기, 태양전지 및 축전지 등의 화석연료와 병행해도 좋다. 또 원자력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는 발전방법을 취해도 좋다.
상기 냉각조부(9)의 수조(59)에는 수조(59)의 냉열을 이용하여 시설 또는 실내의 냉방용 냉각수를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관(64)이 삽통되고 있다.
냉각조부(9)의 수조(59)의 개폐밸브(59b) 및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의 개폐정도, 냉동기(63)의 구동 등을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수조(59), 냉기관(61) 등의 내부에 온도, 습도, 수위, 부압상태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를 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6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전체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다기능 처리장치(1)의 건조연소로(2), 연기연소부(5), 공기가열부(8)에 배치되는 가열버너(20a)(43b)(55) 대신에 히트파이프(67)에 접속되는 방열기(68)(68)(68)로 한 구조이다.
상기 히트파이프(67)는 다기능 처리장치(1a) 밖에 설치된 파라볼라 집광기(66)에 의해 모여지는 태양광 에너지열을 건조연소로(2), 연기연소부(5), 공기가열부(8)의 가열실(20)(42e)(57)에 배치되는 방열기(68)(69)(68)에 전달하는 구조로 했다.
상기 히트파이프(67)의 일단을 파라볼라 집광기(66)에 접속하여 분기하는 히트파이프(67a)(67b)(67c)를 배치하고, 상기 히트파이프(67a)(67b)(67c)의 타단은 방열기(68)(69)(68)에 접속하여 집광기(66)의 열을 전달하는 구조로 했다. 상기히트파이프(67a)(67b)(67c)의 소재로서는 열전달금속을 소재로 하는 파이프, 세라믹 소재로 하는 파이프라도 좋다.
상기 파라볼라 집광기(66)를 렌즈집광기로 함으로써 태양광 에너지열을 각 방열기(68)(68)(68)로 전달하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는 전기로 변환하여 히터열을 전달하는 방법이라도 좋다.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a)에서는 도1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에 배치한 제1송연부(4), 집진여과부(6)를 도시하지 않지만 이들 제1송연부(4), 여과집진부(6)를 배치하거나 그렇지 않아도 좋다.
다기능 처리장치(1a)의 건조연소로(2)에 있어서 재받이 접시(17c)에 축적되는 소각재를 건조연소로(2)밖으로 꺼내기 위해 재를 꺼내는 문(18a)이 배치되지만 재받이 접시(17c)를 쉽게 꺼내도록 재를 꺼내는 문(18a)의 내외로 레일(17d)을 배치함과 동시에 재받이 접시(17c)에 차륜 등을 배치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해도 좋다. 또 레일(17d) 대신에 스크류 콘베이어, 벨트 콘베이어를 부착해도 좋다.
다기능 처리장치(1a)의 건조연소로(2)에 있어서 매진받이접시(23)에 축적되는 매진을 건조연소로(2) 밖으로 꺼내기 위해 매진꺼내는 문(24)이 배치되지만 매진받이접시(23)를 용이하게 꺼내도록 매진꺼내는 문(24)의 내외에 레일(23a)을 배치함과 동시에 매진받이접시(23)에 차륜 등을 배치하여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레일(23a)대신에 스크류 콘베이어, 벨트 콘베이어를 부착해도 좋다. 진동하는 벨트 콘베이어로 해도 좋다.
또 재꺼내는 문(18a)을 열어 재받이접시(17c)를 꺼내고, 재받이접시(17c)에 축적된 소각재를 킬룬로(3)로 옮기기 위한 스크류 콘베이어(65)가 배치된다. 스크류 콘베이어(65)는 벨트 콘베이어, 진동벨트 콘베이어 등이라도 좋다.
물론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a)에 배치되는 개폐밸브, 버너, 블로어, 콘베이어, 파라볼라 집광기 등의 구동을 컴퓨터 등으로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온도, 습도, 수위, 부압상태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7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는 도 1 또는 도 6에 도시한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킬룬로(3)의 뒤쪽에 배치되는 제1송연부(4)를 재용융부(71) 및 송연부(77)로서 배치한 구조로 한 것이다. 건조연소로(2)의 뒤쪽에 재용융부(71) 및 송연부(77)를 배치한 구조로 해도 좋다.
킬룬로(3)에는 킬룬로(3)의 일단(31b)의 중심부터 연도(70)가 배치되고, 상기 연도(70)의 타단에 재용융부(71)와, 연도(75)와, 송연부(77)가 연설된다.
재용융부(71)는 덮개(72a)를 갖는 용융로(72)와, 가열버너(73)와, 덮개(74a)를 갖는 도가니(74)와, 내화연와(74b)로 이루어진다. 내벽면에 캐스터블 내화재 등을 안으로 배치시킨 용융로(72)의 윗면에 개폐가능하도록 배치한 덮개(72a)를 부착하고, 측면에 약간 경사지게 위쪽을 향하도록 한 가열버너(73)를 배치하고 있다.
상기 용융로(72)의 안쪽 바닥에 내화연와(74b)를 쌓아올리거나 혹은 캐스터블 내화재로 토대를 구축하여 그 위에 도가니(74)를 올려놓아 형성하고 있다. 상기 도가니(74)는 원통형상으로 저면에서 여러개의 다리를 아래쪽으로 뻗어 배치함과 동시에 윗면은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윗면에는 구멍을 갖는 덮개(74a)가 피복되고, 도가니(74)안에는 건조연소로(2) 혹은 킬룬로(3)에서 얻어지는 소각재가 충전된다.
킬룬로(3) 또는 건조연소로(2)로부터 보내지는 연기를 포함한 열기는 약간 남는 미연가스나 연기, 매진, COx, SOx, NOx등의 유독가스, 다이옥신류 등을 재용융로(71)에 배치되는 큰 가열버너(73)에 의해 약 1300℃ ~1800℃의 고온으로 완전 연소된다. 가열버너(73)의 가열에 의해 얻어지는 고열에 의해 도가니(74)를 가열하고 도가니(74)내에 수납되는 소각재를 용융할 수 있다.
도가니(74)를 휘감는 화염은 킬룬로(3) 또는 건조연소로(2)에서 나오는 열기, 혼합가스연소의 세기와, 가열버너(73)가 기울기 위쪽으로 배치됨으로써 도가니(74)둘레에서 나선상이 되어 도가니(74) 전체에 균일하게 되도록 가열할 수 있다.
상기 도가니(74) 둘레에 내화연화(74b)를 배치하면, 축열, 보온효과에 의해 재용융로(72)내를 안정된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내화연화(74b) 혹은 캐스터블 내화재 등을 도가니(74)의 주위에 간극을 배치하여 충전시키면 더욱 도가니(74)안을 고온으로 안정되게 할 수 있다.
통상의 소각재에 포함되는 종이나 목재, 음식물 쓰레기, 수지 등을 소각하여 얻어지는 소각재는 연소에 의해 완전히 탄화함과 동시에 극히 높은 온도에서 탄소, 산소, 질소 등의 성분을 기화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연의 소각물 그 외의 성분에는 약간이지만 금속, 중금속, 유리 등의 불연성분이 섞여있다.
소각재에는 중금속이 포함되고 있어 그대로 소각재를 매립하게 되면 생물이나 인간, 자연계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소각재를 재용융로(72)에서 용융하고 냉각하여 딱딱하게 하고나서 처분할 수 있다. 그 후 덮개(72a)를 열어 덮개(74a)를 분리하여 도가니(74)안의 덩어리를 꺼내고 나서 차게하여 딱딱하게 한다.
재를 용융, 고화하여 얻어지는 덩어리는 중금속 등을 함유하는 유리구슬모양의 반투명한 덩어리가 된다. 이렇게 얻어지는 소각재의 용융물은 건재나 콘크리트 등의 활재를 형성하는 자갈과 마찬가지로 세멘트에 혼입시켜 처분할 수 있다.
재용융부(71)와 송연부(77)를 연설하는 연도(75)의 내부에는 필터(76)가 배치된다. 상기 필터(76)는 열촉매 필터, 세라믹 필터 등을 이용하면 집진·여과효과가 높다. 필터의 막힘은 앞단의 연소열로 완전소각되므로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버너 등을 부치면 막힘을 연소할 수 있다. 상기 필터(76)는 공기, 수증기 등을 통과하는 것이면 된다. 필터의 기공은 50옹그스트롱 ~ 500옹그스트롱의 기공으로 제작하고, 공기의 분자가 통과함으로써 건조연소실(2)내, 킬룬로(3)내가 부압상태가 된다. 필터(76)를 세라믹 필터로서 그 기공을 50옹그스트롱 ~ 500옹그스트롱의 기공으로 하면 연기 등은 분자레벨에서 통기하지 않는다. 또한 공기의 분자는 몇 옹그스트롱 ~50옹그스트롱이므로 세라믹 필터가 없어도 좋다.
송연부(77)는 덮개(78a)를 갖는 사이클론 로(78), 버너(79), 블로어(80), 송기관(80a) 및 연도(81)로 이루어진다. 사이클론로(78)내부는 블로어(80)에 부착되어 있는 송기관(80a)의 선단이 연도(81)의 관단(81a)안으로 약간 삽입되고 있기 때문에 블로어(80)에 접속되는 송기관(80a)의 선단(80b)에서 내 보내진 공기가연도(81)의 하단(81a)으로 불어넣고, 이젝트효과에 의해 사이클론로(78)내부의 연기, 열기 등을 받아들이면서 연도(81)로 배출되므로 사이클론로(78)내부는 상시 부압상태가 된다.
재용융부(71)로부터 불어넣는 열기, 연기 등은 사이클론로(78)의 상부로부터 불어넣고, 사이클론로(78)내를 회전하면서 열기나 연기에 포함되는 매진을 아래쪽으로 서서히 침강한다. 이 때 열기나 연기의 회전방향을 가속하도록 부착된 버너(79)에 의해 열기, 연기 등을 재연소시킴으로써 완전 연소시켜 무독화한다.
사이클론로(78)내의 와류에 의해 버너(79)의 화염은 극히 길게 뻗고 열기 또는 연기가 화염에 긴 시간 접촉하게 되어 사이클론로(78)안을 고온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사이클론로(78)의 중심에 배치되는 연도(81)의 외주면에는 재를 용융, 고화시키기 위한 도가니(82)가 배치된다. 상기 도가니(82)는 도7과 같이 2중의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외통과 내통 사이에 바닥을 형성시킨 형상으로서 윗면에는 구멍을 갖는 덮개(82a)를 갖고 있다. 이와같이 용융과 방열, 축열 작용이 동시에 가능하다.
그리고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버너의 화염이 도가니(82)를 고온으로 유지하고, 도가니(82)에 수납되는 재를 용융시킨다. 도가니(82)의 덮개(78a)를 열고 덮개(82a)를 분리하여 도가니(82)에서 꺼내고 나서 냉각고화한 용융물을 꺼낸다.
블로어(80)로부터 송기관(80a)에 의해 보내져 오는 공기는 사이클론로(78)내의 고온으로 유지된 열기를 한번에 냉각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이클론로(78)내의공기를 연도(81)로 내 보낼 수 있기 때문에 열기나 연기에 포함되는 다이옥신, Nox, SOx, HCl 등의 독해물(毒害物)의 사이클론로(35)에서 열분해하고 연기 및 먼지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송연부(77)에 배치되는 버너(79) 및 블로어(80)의 구동은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사이클론로(78)내에 연소온도, 배기온도, 수분, 부압상태 등을 검지하는 센서를 설치하여 콤퓨터에 의해 자동제어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다음 도 8 내지 도 16에 있어서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1)(1a)를 사용하여 피처리물을 처리하는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도1 내지 도5에 도시한 다기능 처리장치(1), 도6에 도시한 다기능 처리장치(1a) 및 도7에 도시하는 재용융부 및 송연부를 이용하고, 음식물 쓰레기, 오니, 일반 잡다쓰레기, 발포 폴리스티렌, 고분자계 물질 등을 처리하는 방법과 그 공정을 나타낸다. 도 8에서는 미생물 분해처리 방법을 나타내고, 도9에서는 열분해 처리방법을 나타내며, 도10에서는 저온건조 처리방법을 나타내고, 도11에서는 간접식 온풍 건조처리방법을 나타내며, 도12에서는 직접식 온풍 건조처리방법을 나타내고, 도13에서는 탄화처리방법을 나타내며, 도14에서는 소각처리방법을 나타내고, 도15에서는 발포 폴리스티렌 및 고분자계 물질 용융처리방법을 나타낸다.
여기서 간접식 온풍건조에는 2가지 방법이 있다.
도8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미생물 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또는 오니 등을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여 미생물 혹은 세균체에 의한 발효 또는 분해하는 방법이다.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공정 101」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의 투입구(13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한다.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에 음식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투입되는 오니는 활성오니법에 의해 분해처리되어 얻어지는 활성오니쪽이 더욱 미생물 분해가 진행된다. 물론 건조연소로(2)의 문(16)(16a)에서 각 건조실(15)(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고,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 또는 문(18)에서 연소실(17)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실(17)에 있어서 연소소각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도3, 도6 또는 도7에 도시하는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 투입부(32)의 투입구(32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킬룬로(3)안에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킬룬로(3)에 있어 건조연소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열공정 102」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건조소각로(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버너(20a)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도3, 도5 또는도6에 도시하는 공기가열부(8)의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를 닫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연다.
신선한 공기를 냉기관(61)으로부터 받아들이고 송기관(22)에서 건조연소로(2)로 도입한다. 냉각조부(9)는 가동하거나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다. 건조연소로(2)안으로 들어간 신선한 공기를 방열관(20b)으로부터 방열되는 가열버너(20a)의 열에 의해 가열한다. 방열관(20b)안을 통과하는 가열버너(20a)에 의한 열기는 방열한 후 배기관(21)을 거쳐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로 배기된다.
「흡인공정 103」
도3,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내 및 킬룬로(3)안을 약한 부압상태로 한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떤 1기 또는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 좋다. 블로어(39)(52)(80)를 구동시킬 때에는 전체적으로 로(2)(3)안이 약한 부압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건조연소로(2)안을 약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로 도입되어 가열된 신선한 공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순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통과함과 동시에 동 실(15)(15b)(15d)(15f)(17)안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가열한다. 또 건조연소로(2)를 통과한 열기는 연기안내관(29)을 거쳐 킬룬로(3)로 도입되고 킬룬로(3)안에 수납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가열한다. 킬룬로(3)는 통체(31)를 회전시킴으로써 발효시킨다.
「보온발효 분해공정 104」
건조연소로(2)의 가열버너(20a)를 연속적으로 적절히 구동시킴과 동시에 블로어(39)(52)(80)를 연속적으로 적절히 구동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및 오니를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 서식하는 미생물 또는 세균체가 활동하는 데 적절한 온도로 유지하고 미생물 또는 세균체를 번식시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발효·분해시킨다. 물론, 발효·분해를 촉진하는 미생물 또는 세균체를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에 투입해도 좋다. 부압상태로 하여 공기를 흡인하고 통풍하면 피소각물인 음식물 쓰레기, 오니 등에 모조리 공기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발효,분해 등을 촉진할 수 있다.
「탈취공정 105」
도3, 도4,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또는 연기연소부(5)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내 및 킬룬로(3)안에서 얻어지는 발효악취 및 분해악취를 연소처리한다. 탈취처리된 기체는 제2송연부(7)의 연돌(53)로부터 다기능 처리장치(1)(1a)밖으로 배기된다. 이 때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는 사용하지 않는다.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닫음과 동시에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열어 배기하는 기체를 연기연소부(5)로부터 제2송연부(7)로 바이패스해 둔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06」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미생물 또는 세균체에 의한 발효·분해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보관실(33)에 긁어 내어 수납 또는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이나 보관실(33)에서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으로 처리할 수도 있고 물론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서 얻어지는 피처리물은 전답이나 과수원, 정원등에 비료로서 또는 돼지 등의 가축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연소로(2)에 그 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소각재를 열분해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및 오니를 포함한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소각재 등에 함유되는 NOx, COx, SOx등의 유독가스 및 다이옥신 류 등의 유해물질을 극히 높은 온도로 분해하여 무해화 하기 위한 방법이다.
「쓰레기 투입공정 111」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의 투입구(13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함과 동시에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로부터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소각재를 투입한다.
상기 소각재는 문(6)(6a)(18)에서 각 건조실(15)(15d)(15f)이나 연소실(17)에 투입해도 좋고, 재받이 접시(17c)에 남은 대로 소각재도 분해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받이접시(17c)에 남긴 상태로 해도 좋다. 또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가열공정 112」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건조소각로(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버너(20a)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공기가열부(8)의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를 닫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연다.
신선한 공기를 냉기관(61)에서 받아들이고 송기관(22)에서 건조연소로(2)로 도입한다. 냉각조부(9)는 가동하거나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다. 건조연소로(2)안으로 들어간 신선한 공기를 방열관(20b)으로부터 방열되는 가열버너(20a)의 열로 가열한다. 방열관(20b)안을 통과하는 가열버너(20a)에 의한 열기는 방열한 후 배기관(21)을 거쳐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로 배기된다.
「흡인공정 113」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 부압을 건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떤 1기 또는 그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좋다.
건조연소로(2)안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로 도입되어 가열된 신선한 공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통과함과 동시에 각 건조실(15)(15b)(15d)(15f)안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와, 연소실(17)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소각재를 가열한다. 이 때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는 사용하지 않는다.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닫음과 동시에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열어 배기하는 기체를 연기연소부(5)로부터 제2송연부(7)로 바이패스 해 둔다.
「밀폐공정 114」
건조연소로(2)가 균일하게 데워진 상태(약 300℃ 내지 500℃ 정도)가 되면 각 블로어(39)(52)(8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도2,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연기안내관(29)의 개폐밸브(29a)와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닫아 건조연소로(2)안 즉 각 건조실(15)(15b)(15d)(15f)과 연소실(17)을 완전 밀폐한다.
「열분해공정 115」
완전밀봉하면 건조연소로(2)안은 고온에서 발생한 미연가스와 미연카본을 많이 포함함과 동시에 산소가 부족한 상태가 되어 환원분위기하가 된다. 환원분위기하에서는 일산화탄소와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 환원분위기하의 상태에서는 극히 산소가 엷다. 더욱 가열하여 450℃이상에서 열분해시키면 다이옥신류 등은 무해화함과 동시에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염화수소가 열분해되므로 열분해에 의해 발생하는 기체에는 다이옥신류, NOx, SOx, HCl등의 유해물질이 매우 적어진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16」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를 포함한 일반 잡다쓰레기 또는 소각재의 피처리물은 환원분위기하에서 열분해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에서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처리할 수도 있고, 물론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서 얻어지는 피처리물은 전답이나 과수원, 정원등에 비료로서 또는 돼지 등 가축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연소로(2)에 그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저온건조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악취가 발생하지 않도록 낮은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냉각조부 가동공정 121」
우선 도4에 도시하는 냉각조부(9)의 수조(59)에, 상기 수조(59)에 배치되는 투입구(59a)에 물 또는 빗물 등을 투입하고, 개폐밸브(59b)에서 투입량을 조절하면서 저수한다. 강설이 많은 지방에서는 눈, 얼음 등을 탱크에 저장하고 그 저장된 눈, 얼음 등을 투입구(59a)에 투입해도 좋다.
야간전력을 이용하여 또는 풍력발전, 터빈발전, 태양광 발전등에서 얻어지는 전력을 이용하여 냉동기(63)를 구동시키고 흡열관(62)에서 상빙(霜氷)(62a)을 수조(59)안에 제조한다. 상기 수조(59)안을 차게함으로써 도기관(60) 및냉기관(61)을 지나는 신선한 공기는 냉각되어 건조된다. 특히 냉기관(61)을 지나는 신선한 건조냉각공기는 송기관(22)을 거쳐 건조연소로(2)안으로 도입된다. 야간전력을 사용하여 냉동기를 구동시키고 빙축열을 이용하면 주간에 냉풍을 사용할 수 있다.
「쓰레기 투입공정 122」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투입부(13)의 투입구(13a)에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한다.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 또는 회전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건조연소로(2)의 문(16)(16a)에서 각 건조실(15)(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고,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 또는 문(18)에서 연소실(17)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실(17)에서 연소소각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도3, 도6 또는 도7에 도시하는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 투입부(32)의 투입구(32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킬룬로(3)안에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킬룬로(3)에 있어 건조연소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통기공정 123」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공기가열부(8)의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를 닫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연다. 그리고 냉기관(61)을 지나는 신선한 건조냉각공기는 송기관(22)을 거쳐 건조연소로(2)안으로 도입한다. 건조연소로(2)안으로 도입할 때는 송기관(22)을 지나는 신선한 건조냉각공기를 약 5℃이하가 되도록 냉각조부(9)에서 냉각하여 로내로 흡입시킨다.
「흡인건조공정 124」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 부압을 건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떤 1기 또는 그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 좋다.
건조연소로(2)안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 신선한 건조냉각공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순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통과함과 동시에 동 실(15)(15b)(15d)(15f)(17)안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건조냉각한다. 또 건조연소로(2)를 통과한 건조냉각기는 연기안내관(29)을 거쳐 킬룬로(3)로 도입되고, 킬룬로(3)내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건조냉각한다. 킬룬로(3)는 통체(31)를 회전시켜 건조를 촉진시킨다.
「탈취공정 125」
도3, 도4, 도5 또는 도6과 같이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또는 연기연소부(5)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버너(79)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내 및 킬룬로(3)안에서 얻어지는 악취를 연소처리한다. 탈취처리된 기체는 제2송연부(7)의 연돌(53)에서 다기능 처리장치(1)(1a)밖으로 배기된다. 이 때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는 사용하지 않는다.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닫음과 동시에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열어 배기하는 기체를 연기연소부(5)로부터 제2송연부(7)로 바이패스 해 둔다.
본 예의 저온건조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그다지 악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연기연소부(5) 및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키지 않고 탈취공정 125를 생략해도 좋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26」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냉각공기에 의한 건조처리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보관실(33)에서 긁어내어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이나 보관실(33)에서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처리할 수도 있고, 물론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서 얻어지는 피처리물은 전답이나 과수원, 정원등에 비료로서 또는 돼지 등의 가축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연소로(2)에 그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가열한 온풍에서 건조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간접식 온풍건조 처리방법은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악취가 나지 않도록 중온도(약 40℃~400℃)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쓰레기 투입공정 131」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투입부(13)의 투입구(13a)에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함과 동시에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로부터 일반 잡다쓰레기를 투입한다.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건조연소로(2)의 문(16)(16a)에서 각 건조실(15)(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고,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 또는 문(18)에서 연소실(17)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실(17)에 있어 연소소각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도3, 도6 또는 도7에 도시하는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 투입부(32)의 투입구(32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킬룬로(3)내에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킬룬로(3)에서 건조연소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열공정 132」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건조소각로(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버너(20a)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건조연소로(2)의 가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를 열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연다. 공기가열부(8)의 가열버너(55)는 구동하지 않는다.
신선한 건조냉각공기를 냉기관(61) 및 송기관(58)에서 받아들이고, 송기관(22)에서 건조연소로(2)로 도입한다. 냉각조부(9)를 가동시켜 될 수 있으면 냉기관(61)내의 공기를 냉각건조시킨다. 건조연소로(2)안에는 받아들인 신선한 건조냉각공기를 방열관(20b)에서 방열되는 가열버너(20a)의 열에 의해 약 70℃~400℃정도까지 가열한다. 방열관(20b)안을 통과하는 가열버너(20a)에 의한 열기는 방열한 후 배기관(21)을 거쳐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로 배기된다. 또 방열관을 프라이팬모양으로 해도 좋다.
「흡인건조공정 133」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2)내에 부압을 건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떤 1기 또는 그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 좋다.
건조연소로(2)안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 신선한 건조냉각공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순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통과함과 동시에 동 실(15)(15b)(15d)(15f)(17)안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건조냉각한다. 또 건조연소로(2)를 통과한 건조냉기는 연기안내관(29)을 거쳐 킬룬로(2)로 도입되고, 킬룬로(3)내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건조냉각한다. 킬룬로(3)는 통체(31)를 회전시켜 건조시킨다.
「탈취공정 134」
도3, 도4,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또는 연기연소부(5)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서 얻어지는 악취를 연소처리한다. 탈취처리된 기체는 제2송연부(7)의 연돌(53)에서 다기능 처리장치(1)(1a)밖으로 배기된다. 이 때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는 사용하지 않는다.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닫음과 동시에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열어 배기하는 기체를 연기연소부(5)로부터 제2송연부(7)에 바이패스 해 둔다.
본 예의 간접식 온풍건조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그다지 악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연기연소부(5) 및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키지 않고 탈취공정 134을 생략해도 좋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35」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건조온풍에 의한 건조처리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보관실(33)에 긁어 내어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이나 보관실(33)에서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처리할 수도 있고, 물론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서 얻어지는 피처리물은 전답이나과수원, 정원등에 비료로서 또는 돼지 등의 가축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연소로(2)에 그 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본 예의 간접식 온풍 건조처리방법은 공기가열부(8)를 구동시키지 않기 때문에 건조공기에 연소가스의 악취가 나지 않는 다는 이점이 있지만 열효율이 좋지 않아 중온도(약 70℃~400℃정도)밖에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건조된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는 중금속이나 유독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것으로 재이용가능한 것을 선택하고, 건조연소로(2) 또는 킬룬로(3)에 투입할 필요가 있다.
도12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가열한 온풍에서 건조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직접식 온풍건조 처리방법은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악취가 나지 않고 고온도(약 400℃~700℃정도)에서 건조시키는 방법이다.
「쓰레기 투입공정 141」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의 투입구(13a)에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함과 동시에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에서 일반 잡다쓰레기를 투입한다.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건조연소로(2)의 문(16)(16a)에서 각 건조실(15)(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고,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 또는문(18)에서 연소실(17)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연소실(17)에서 연소소각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 도3,도 6 또는 도7에 도시하는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 투입부(32)의 투입구(32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킬룬로(3)안에 투입해도 좋다. 본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킬룬로(3)에서 건조연소처분을 행하지 않기 때문이다.
「가열공정 142」
도5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가열버너(55)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를 열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닫는다. 건조연소로(2)의 가열버너(20a)는 구동하지 않는다.
신선한 공기를 공기관(56)에서 받아들이고 가열실(57)에 있어 가열버너(55)로 신선한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한 공기는 열기가 되어 송기관(58) 및 송기관(22)을 거쳐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다. 건조연소로(2)에 도입되는 열기는 건조연소로(2)로 도입될 때 약 400℃~700℃정도의 고온도로 열을 내고 있다.
「흡인건조공정 143」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 부압을 건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떠한 1기 또는 그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 좋다.
건조연소로(2)안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 열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순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통과함과 동시에 동 실(15)(15b)(15d)(15f)(17)안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온풍건조한다. 또 건조연소로(2)를 통과한 열기는 연기안내관(29)을 거쳐 킬룬로(3)로 도입되고, 킬룬로(3)내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온풍건조한다. 킬룬로(3)는 통체(31)를 회전시켜 건조시킨다.
「탈취공정 144」
도3, 도4, 도5 또는 도6과 같이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또는 연기연소부(5)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내 및 킬룬로(3)안에서 얻어지는 악취를 연소처리한다. 탈취처리된 기체는 제2송연부(7)의 연돌(53)에서 다기능 처리장치(1)(1a)밖으로 배기된다. 이 때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는 사용하지 않는다.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닫음과 동시에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열어 배기하는 기체를 연기연소부(5)로부터 제2송연부(7)로 바이패스 해 둔다.
본 예의 직접식 온풍건조 처리방법에 있어서는 그다지 악취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연기연소부(5) 및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키지 않고 탈취공정 134를 생략해도 좋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45」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건조온풍에 의한 건조처리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보관실(33)에 긁어내어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이나 보관실(33)로부터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처리할 수도 있고, 건조연소로(2)에 그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본 예의 직접식 온풍 건조처리방법은 공기가열부(8)를 구동시키기 때문에 건조공기에 연소가스의 악취가 붙게 되지만 열효율이 좋아 고온도(약 200℃ ~ 500℃정도)가 얻어진다. 따라서 처리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는 극히 높은 온도의 공기로 완전히 건조할 수있다.
도13은 본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환원분위기하에서 탄화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 최소한의 산소를 공급하면서 완전히 탄화할 때까지 연소시켜 소각하는 방법이다.
「쓰레기 투입공정 151」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 투입부(13)의 투입구(13a)로부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함과 동시에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에서 일반 잡다쓰레기를 투입한다.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시켜 각 건조접시(15)(15b)(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또 도3, 도6 또는 도7에 도시하는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투입부(32)의 투입구(32a)에서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킬룬로(3)내에 투입해도 좋다.
「가열공정 152」
도5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가열버너(55)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를 열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 통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닫는다.
신선한 공기를 공기관(56)에서 받아들이고 가열실(57)에 있어 가열버너(55)로 신선한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한 공기는 열기가 되어 송기관(58) 및 송기관(22)을 거쳐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다. 건조연소로(2)에 도입되는 열기는 극히 높은 온도로 열을 내고 있음과 동시에 가열버너(55)에 의해 산소를 그다지 포함하지 않는 공기가 된다.
또 도2 및 도 3에 도시하는 건조소각로(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버너(20a)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건조연소로(2)안으로 들어간 극히 높은 온도의 열기를, 방열관(20b)에서 방열되는 가열버너(20a)의 열에 의해 가열한다. 방열관(20b)내를 통과하는 가열버너(20a)에 의한 열기는 방열한 후 배기관(21)을 거쳐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로 배기된다. 또 방열관은 프라이팬모양으로 해도 좋다.
「연기연소공정 153」
도3, 도4,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또는 연기연소부(5)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서 얻어지는 악취, 배연 및 배연에 함유되는 유독물질을 연소처리한다. 연기연소처리된 기체는 제2송연부(7)의 연돌(53)로부터 다기능 처리장치(1)(1a)밖으로 배기된다. 이 때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는 사용하거나 그렇지 않아도 좋다. 집진여과장치(46)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닫음과 동시에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열어 배기하는 기체를 연기연소부(5)로부터 제2송연부(7)로 바이패스해 둔다.
「흡인공정 154」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 부압을 건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떤 1기 또는 그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 좋다.
건조연소로(2)안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 열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순환을 반복하면서 천천히 통과함과 동시에 동 실(15)(15b)(15d)(15f)(17)안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온풍건조한다. 또 건조연소로(2)를 통과한 열기는 연기안내관(29)을 거쳐 킬룬로(3)로 도입되고 킬룬로(3)안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온풍건조한다. 킬룬로(3)는 통체(31)를 회전시켜 건조시킨다.
상기 블로어(39)(52)(80)를 구동시킴으로써 각 송연부(4)(7)(77)의 사이클론로(35)(48)(78)에 배기의 와류와 길게 형성되는 화염이 발생하여 악취, 배연 및 배연에 함유되는 유독물질을 연소처리할 수 있다.
「탄화공정 155」
도5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가열버너(55)의 구동 혹은 도6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방열기(68)의 구동을 계속시켜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의 구동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의 구동을 계속시킴과 동시에 도2 및 도3에 도시하는 건조소각로(2)의 가열버너(20a)의 구동 혹은 도6에 도시하는 방열기(68)의 구동을 계속하도록 하여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을 극히 높은 온도로 유지한다.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발화 또는 융해하는 온도까지 로내가 환원분위기하에서 약 300℃~ 약 500℃의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으면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완전히 닫음과 동시에 연기안내관(29)의 개폐밸브(29a)를 다소 간극을 배치하여 닫는다.
그러면 원래 산소가 희박한 고열기로 한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는 환원분위기하에서 탄화를 일으킨다. 부압에 의한 배기만을 일으키는 각 건조실(15)(15b)(15d)(15f), 연소실(17), 킬룬(3)안에서는 찌고 타는 상태가 된다. 즉 처음에 300℃~500℃의 중온풍에서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 등을 건조한 후 일부에 점화하여 산호를 약간 흡입하여 전체의 미연가스가 다 채워질 쯤 공기를 차단한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56」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탄화처리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보관실(33)에 긁어내어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이나 보관실(33)에서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처리할 수도 있고, 건조연소로(2)에 그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환원분위기하에서 소각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유독가스 또는 유독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연소처리하는 방법이다.
「쓰레기 투입공정 161」
도2 또는 도6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1a)의 건조연소로(2)에 배치되는 음식물 쓰레기 오니투입부(13)의 투입구(13a)에서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제1건조실(15)에 투입함과 동시에 일반 잡다쓰레기 투입부(14)의 투입구(14a)로부터 일반 잡다쓰레기를 투입한다. 건조접시(15a), 각 격자접시(15c)(15e)(15g)를 회동시켜 각 건조실(15)(15b)(15d)(15f)에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가 균등하게 수납되도록 한다. 또 도3, 도6 또는 도7에 도시하는 킬룬로(3)에 배치되는 쓰레기 투입부(32)의 투입구(32a)에서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킬룬로(3)안에 투입해도 좋다.
「가열공정 162」
도5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가열버너(55)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송기관(58)의 개폐밸브(58a)와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열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를 닫는다..
신선한 공기를 공기관(56)에서 받아들이고 가열실(57)에 있어 가열버너(55)로 신선한 공기를 가열한다. 가열한 공기는 열기가 되어 송기관(58) 및 송기관(22)을 거쳐 건조연소로(2)로 도입된다.
또 도2 및 도 3에 도시하는 건조소각로(2)의 하부에 배치되는 가열버너(20a)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건조연소로(2)안으로 들어간 극히 높은 온도의 열기를, 방열관(20b)에서 방열되는 가열버너(20a)의 열에 의해 가열한다. 방열관(20b)안을 통과하는 가열버너(20a)에 의한 열기는 방열한 후 배기관(21)을 거쳐 공기를 받아들이는 상자(11a)로 배기된다. 또 방열관은 프라이팬모양으로 해도 좋다.
「연기연소공정 163」
도3, 도4,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버너(37), 제2송연부(7)의 버너(50) 또는 연기연소부(5)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버너(79)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서 발생하는 악취, 배연 및 배연에 함유되는 유독물질을 연소처리한다. 연기연소처리된 기체는 제2송연부(7)의 연돌(53)로부터 다기능 처리장치(1)(1a)밖으로 배기된다.
연기연소부(5)에서는 건조연소로(2)로부터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연기가 촉매연소되고, 무해화되어 제2송연부(7)로 보내진다.
「흡인여과공정 164」
도3, 도5 또는 도6에 도시하는 제1송연부(4)의 블로어(39) 또는 제2송연부(7)의 블로어(52)를 구동시키거나 혹은 도7에 도시하는 송연부(77)의 블로어(80)를 구동시켜 건조연소로(2)안 및 킬룬로(3)안에 부압을 건다. 상기 각 블로어(39)(52)(80)는 어떤 1기 또는 그 일부를 구동시켜도 좋고, 전부를 구동시켜도 좋다.
또 본 처리방법은 통상의 연소공정을 밟기 때문에 유독가스 및 유해물질 등을 연기안에 포함하여 집진여과부(6)의 집진여과장치(46)를 사용한다. 집진여과장치(46)를 사용할 때에는 연도(44)의 개폐밸브(44a)를 열고 또한 연도(45)의 개폐밸브(45a)를 닫아 건조연소로(2) 및 킬룬로(3)가 배기하는 기체를 집진여과장치(46)에 도입해 둔다. 배기중의 다이옥신류, 질소산화물, 유황산화물, 염화수소, 매진 등을 처리할 때에는 집진여과장치(버그필터, 전기집진기, 열촉매, 소석탄, 활성탄 등, 생석탄)(46)에 통과시킴과 동시에 배기중의 악취는 버너(37)(50)와 열촉매장치(39)를 가동시킴으로써 연소처리된다.
「연소공정 165」
건조연소로(2)의 연소실(17) 및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 점화한다. 건조연소로(2)안을 부압으로 함으로써 건조연소로(2)에 도입된 열기가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을 순환을반복하면서 천천히 통과함과 동시에 동 실(15)(15b)(15d)(15f)(17)안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연소시킨다. 또 건조연소로(2)를 통과한 열기는 연기안내관(29)을 거쳐 킬룬로(3)로 도입되고, 킬룬로(3)안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를 연소시킨다. 킬룬로(3)는 통체(31)를 회전시켜 건조연소를 진행시킨다.
상기 블로어(39)(52)(80)를 구동시킴으로써 각 송연부(4)(7)(77)의 사이클론 로(35)(48)(78)에 배기의 와류와 길게 형성되는 화염이 발생하여 악취, 배연 및 배연에 포함되는 유독물질을 연소처리할 수 있다.
「피처리물 꺼내는 공정 166」
건조연소로(2)에 수납되는 일반 잡다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건조온풍에 의한 건조처리가 끝나면 문(16)(16a)(18)에서 꺼낼 수 있다. 킬룬로(3)에 수납되는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의 피처리물은 보관실(33)에 긁어내어 수납하거나 또는 꺼낼 수 있다.
문(16)(16a)(18)이나 보관실(33)에서 꺼낸 피처리물은 다른 처리공정에서 처리할 수도 있고 물론 음식물 쓰레기 또는 오니에서 얻어지는 피처리물은 전답이나 과수원, 정원등에 비료로서 또는 돼지 등의 가축사료로서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건조연소로(2)에 그 대로 수납해 두어 가연쓰레기로서 소각처분할 수 있다.
「냉각공정 167」
건조연소로(2)의 연소실(17)에서 얻어지는 여열(余熱)을 순환관(30)을 거쳐 냉각조부(9)의 냉동기(63)로 보내고, 냉동기(63)를 구동시켜 수조(59)에 저수되는액체를 흡열관(62)에서 차갑게한다.
수조(59)를 냉각함으로써 수조(59)에 삽통되는 도기관(60)의 내부를 지나는 신선한 공기가 냉각되고, 각 송연부(4)(7)(77)의 블로어(39)(52)(80)에서 연도(40)(81) 또는 연돌(53)의 관단(40a)(53a)(81a)에 상기 냉기가 뿜어질 때에는 이젝트효과와 함께 사이클론로(35)(48)(78)내의 고온인 배기를 극히 빨리 냉각하는 효과가 있다.
또 수조(59)의 냉각수를 이용하여 냉방 등에 삽통되는 순환관(64)을 냉각하고, 그 냉기 또는 냉수를 본 다기능 처리장치(1)(1a)이외의 냉방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적설이 많은 지방에서는 저빙조 또는 탱크 등에 눈이나 얼음, 냉수를 모아 두고 필요에 따라 수조(59)의 투입구(59a)에 적당량을 투입하면 된다.
도15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발포 폴리스티렌, 고분자계 물질 등을 용융처리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발포 폴리스티렌, 고분자계 물질 등을 유독가스 또는 유독물질을 발생시키지 않고 고형물로 변화시켜 재이용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방법이다.
「발포 폴리스티렌 투입공정 171」
도 2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의 용융장치(10)의 용융조(26)에 발포 폴리스티렌/고분자계 물질(27)을 수납한다.
「가열공정 172」
도5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가열버너(55)를 점화하거나 혹은 도6에 도시하는 공기건조부(8)의 방열기(68)를 구동시킨다. 동시에 송기관(58)의개폐밸브(58a)를 열고, 냉각조부(9)의 냉기관(61)의 개폐밸브(61b)와 건조연소로(2)의 송기관(22)의 개폐밸브(22a)를 닫는다.
「용융공정 173」
용융장치(10)의 상하로 접속되는 송기관(25)과 배기관(28)에 배치되는 개폐밸브(25a)(28a)를 각각 열고, 송기관(25)에서 가열버너(55)의 열기를 도입한다. 용융조(26)내에 수납되는 발포 폴리스티렌(27)은 열기에 의해 용융되고 액상화한 폴리스티렌, 고분자계 물질은 격자접시(26a)의 격자를 빠져나와 침투하여 받이접시(26b)로 떨어진다.
「꺼내는 공정 174」
용융조(26)에 수납되는 받이접시(26b)를 용융조(26)로부터 꺼낸다. 용융된 액상 폴리스티렌, 고분자계 물질 등은 재이용이 가능하다. 발포 폴리스티렌(27), 고분자계 물질 등을 용융한 열기는 연도(28)를 거쳐 연도(47)로 도입되어 제2송연부(7)에서 무해화되어 연돌(53)로부터 다기능 처리장치(1) 밖으로 방출된다.
도16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소각재를 용융처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예의 처리방법은 소각재를 고형물로 변화시켜 재이용가능하도록 처리하는 방법이다.
「소각재 투입공정 175」
도2에 도시하는 다기능 처리장치(1)의 재용융부(71)의 재용융로(72)안에 내화연화(74b)위에 설치되는 도가니(74)에 소각재를 투입한다.
「가열공정 176」
도7의 재용융부(72)에 설치되는 가열버너(73)를 점화하여 가열하고 1300℃~1800℃까지 고온으로 한다. 도가니(74)와 상기 도가니(74)의 내벽에 축열되는 열에 의해 고온이 된다. 즉 도가니(74)의 둘레에 브릭등을 놓으면 축열효과로 고온으로 높일 수 있게 된다. 도가니(74)의 둘레에 브릭, 캐스터 등을 설치함으로써 고온이 되는 것이다. 또 버너(73)의 선단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나선상으로 불꽃이 도가니(74)의 외주면을 모조리 가열하므로 고온으로 가열된다. 또한 가열버너(73)와 킬룬로(3)안에서 흡인되어 유입하는 배기가스와 소각재를 동시에 소각하는 것으로 고온으로 가열된다.
이 때 킬룬로(3) 또는 건조소각재(2)안에서 흡인되어 유입하는 배기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배기가스가 감소함과 동시에 미연가스가 동시에 연소됨으로써 혼합연소에 의해 고온소각이 가능해져 배기가스 대책이 된다는 이점이 있다.
「용융공정 177」
도가니(74)안에 투입되어 1300℃~1800℃까지 고온이 된 소각재는 용융되어 질척하게 된다. 즉 유리, 용암 등이 녹아 있는 상태가 된다.
「꺼내는 공정 178」
도가니(74)안에서 유리, 용암 등이 녹아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을 덮개(72a)를 열어 꺼낸다.
「냉각공정 179」
도가니(74)에서 꺼낸 소각재를 냉각수 또는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한다.
「고화공정 180」
용해하고 있는 냉각수를 걸거나 또는 공기로 고화시키면 비틀어진 유리구슬과 같은 형상으로 고화한다. 이와같이 고화한 소각재는 건재용의 자갈, 또는 세멘트에 섞어 재이용할 수 있다.
도17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로서, 건조실에 건조용 통관을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17과 같이 제2건조실(15b)에 건조장치(2a)를 배치한 구조이다. 이 건조장치(2a)안에 음식물 쓰레기, 일반 잡다쓰레기, 오니 등을 통과시켜 연소실(17)로부터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해 간접적으로 건조시키는 장치이다. 본 건조장치(2a)를 설치하는 위치는 각 건조실(15)(15b)(15d)중 어디라도 좋다.
도18은 도17에 도시한 건조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18과 같이 본 건조장치(2a)는 투입구(2e)가 형성된 건조용 통관(2b)안에 회전가능하게 스크류 콘베이어(2c)가 설치되고 있어 투입구(2e)로부터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일반 잡다쓰레기, 오니 등(2f)이 이 스크류 콘베이어(2c)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에 연소실(17)의 고열에 의해 데워져 건조한다.
도19는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예의 건조장치(2a)에서는 건조용 통관(2b)안에 스크류 콘베이어를 대신하여 투입구(2e)에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일반 잡다쓰레기, 오니 등(2f)을 벨트 콘베이어(2g)에 의해 건조용 통관(2b)안을 이송시키는 구조로 했다. 상기 벨트 콘베이어(2g)의 표면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이 요철에 의해 피건조물(2d)의 이송을 쉽게한다.
도20은 건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예의건조장치(2a)에서는 건조용 통관(2b)의 좌우방향으로 맞물림 벨트(2j)(2k)가 부착되고 있고 상기 맞물림 벨트(2j)(2k)에 맞물리는 위치에 구동륜(2h)(2i)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륜(2h)(2i)이 회전하면 건조용 통관(2b)이 회전하고 건조용 통관(2b)안의 피건조물(2d)이 좌우의 구동륜(2h)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건조용 통관(2b) 내주면에는 나선상으로 요철홈이 형성되어 피건조물(2d)이 이동하는 것이다.
도21은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예의 다기능 처리장치에서는 각 건조실(15)(15b)(15d)(15f) 및 연소실(17)의 내면에 여러개의 통기공(15h)(15h)(15h)…을 배치함과 동시에 송기관(22)내에 역지밸브(22a)를 배치하고 진동기(17a)의 샤프트에는 밀착부재(17e)를 부착한 구조이다. 밀착부재(17e)를 부착함으로써 연소실(17)의 열이 날아가지 않는 것이다. 도25와 같이 상기 통기공(15h)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된 것이다.
도22는 도21안에 부착된 역지밸브의 종단면도로서, 폐지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2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역지밸브(22a)는 밸브(22b)와 스토퍼(22c)로 이루어진다. 즉 송기관(22)내에는 화살표로 나타낸 것과 같이 회동가능하게 밸브(22b)가 부착되고 밸브(22b) 하부의 왼쪽위치에 스토퍼(22c)가 고정된다. 이와같은 상태로 밸브(22b)가 있으면 송기관(22)안에서는 송기가 정지한다.
도23은 도21안에 부착된 역지밸브의 종단면도로서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23과 같이 밸브(22b)가 송기관(22)의 내면에 밀착되고 있는 상태일 때는 스토퍼(22c)방향에서 송기된 상태가 된다.
도24는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 단면도이다.
본 예의 다기능 처리장치에서는 킬룬로(3)에 버너(31e)를 부착한 장치이다. 이와같이 버너(31e)를 킬룬로(3)에 부착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구조이기 때문에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로 소각후의 용도 혹은 소각시간 등을 고려하면서 적절한 처리를 선택하여 유해물질을 나오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2로 이젝트 급냉효과나 냉풍건조를 이용함으로써 악취 및 다이옥신류를 최대한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3으로 연소실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에 의한 여열로 온수 또는 증기를 데우고 그 여열을 이용하여 냉동기 및 보일러를 가동시키며 다른 시설 등의 냉온방에 이용할 수 있다.
제4로 다이옥신류 등의 유해물질을 함유하는 오염물과 연소물 또는 가스를 분사하여 혼합하고, 또는 그 혼합물을 분쇄하고나서 건조연소로에서 소각처리함으로써 산화연소와 훈연(燻煙)을 동시에 촉진시키며 유해물질을 열분해하여 무해화한다.
제5로 PCB등은 연소물이 고온연소가 되는 고분자계 등 또는 가스를 분사하여 섞고, 온도영역이 수천 ℃가 되도록 함으로써 환원분위기하에서 열분해하여 무해화할 수 있다.
제6으로 청구범위의 연소물의 투입물을 혼합하여 소각함으로써 무해화할 수 있다. 이 연소시스템은 환원분위기하 450℃에서의 연소에 의해 소각재에 미연물을 남기지 않고 다이옥신등을 열분해하면서 소각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소각물안에 다이옥신 류 등이 매우 많이 포함되고 있는 잔유물을 폐기물과 종래의 소각재, 토양오염물(다이억신이 포함된 물질)을 혼합하여 소각함으로써 산화연소와 훈연을 동시에 진행시킴으로써 다이옥신 등을 열분해할 수 있다. 본 소각시스템은 연소과정에서 다이옥신을 열분해하여 만들지 않고 소각재안에도 환원분위기하에서 열분해시키고 있기 때문에 만들지 않는 방법이다.
제7로 다기능 처리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오니, 발포폴리스티렌, 고분자, 일반 잡다쓰레기가 혼합되어 있어도 잘 타지 않는 것은 건조시키거나 중온에서 고분자나 폴리스티렌 등을 탄화시키면서 중간에 멈출 수도 있고 최종적으로 건조, 탄화, 소각이 자유롭게 행해진다.
본 발명인 다기능 처리장치를 병렬로 설치하거나 직렬로 설치함으로써 연속플랜트로서 운전이 가능하다.

Claims (7)

  1. 건조연소로, 킬룬로, 제1송연부, 제2송연부, 연기연소부, 집진여과부, 제2송연부, 공기가열부, 냉각조부로 이루어지는 다기능 처리장치에 있어서, 냉각조부로부터 제2송연부의 일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을 만들고 부압상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건조연소실의 건조실에 간접적으로 건조시키기 위해 건조용 통관을 갖는 건조장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건조연소부, 연기연소부 및 공기가열부의 가열실에 일단에 파라볼라 집광기를 접속하는 히트파이프 등의 타단에 배치되는 방열기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히트파이프에 렌즈집광기 및 파라볼라형 집열기를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블로어, 버너, 냉동기 및 콘베이어의 구동, 진동기, 건조접시 및 격자접시의회동, 개폐밸브의 개폐, 냉방의 구동을 하기 위한 구동원을 풍력발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6.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구동원을 태양광 발전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킬룬로 및 건조연소부의 뒤에 재용융로를 배치하고, 상기 재용융로에 사이클론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처리장치.
KR1020007014996A 1999-08-06 2000-06-16 다기능처리장치 KR20010078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9-223970 1999-08-06
JP11223970A JP2001050521A (ja) 1999-08-06 1999-08-06 多機能処理装置
PCT/JP2000/003934 WO2001011289A1 (fr) 1999-08-06 2000-06-16 Dispositif de traitement multifon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756A true KR20010078756A (ko) 2001-08-21

Family

ID=16806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996A KR20010078756A (ko) 1999-08-06 2000-06-16 다기능처리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715431B1 (ko)
EP (1) EP1120605A1 (ko)
JP (1) JP2001050521A (ko)
KR (1) KR20010078756A (ko)
CN (1) CN1163689C (ko)
AU (1) AU779577B2 (ko)
BR (1) BR0005113A (ko)
CA (1) CA2326599A1 (ko)
HK (1) HK1038055A1 (ko)
ID (1) ID26733A (ko)
IL (1) IL142199A0 (ko)
NZ (1) NZ508295A (ko)
TW (1) TW548384B (ko)
WO (1) WO200101128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59B1 (ko) * 2010-04-15 2012-03-28 주식회사 소냐테크 음식물쓰레기 보관 장치 및 수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4622B2 (en) * 2003-04-08 2008-03-18 Grispin Charles W Pyrolytic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enhanced amounts of aromatic compounds
MX2007004519A (es) * 2004-10-13 2007-08-20 Charlie Holding Intellectual P Proceso y aparato pirolitico para producir cantidades mejoradas de compuestos aromaticos.
CN1312064C (zh) * 2005-07-14 2007-04-25 浙江大学 利用垃圾发电厂烟气余热干化污泥与污泥发电一体化系统
DE102005056857B4 (de) * 2005-11-28 2008-01-31 Pollmeier Sen., Gregor Arbeitsverfahren einer Verbrennungsanlage für feuchte Brennstoffe und deren Brennstoffbunker
JP4949748B2 (ja) * 2006-06-20 2012-06-13 龍夫 大山 焼却炉
JP4949749B2 (ja) * 2006-06-20 2012-06-13 龍夫 大山 焼却炉
KR100768485B1 (ko) * 2007-01-24 2007-10-18 정암환경(주) 미처리된 폐기물의 건조 탄화 방법 및 장치
DE102008025412A1 (de) * 2008-05-27 2009-12-03 Schott Ag Isolierglaselement
CN104089293A (zh) * 2014-06-16 2014-10-08 吴义贵 净化烟尘尾气毒气清洁排放器
CN104266211A (zh) * 2014-09-02 2015-01-07 吴义贵 可净化殡仪馆柴油化尸焚烧炉烟尘尾气清洁器
CN104266206A (zh) * 2014-09-02 2015-01-07 吴义贵 可燃煤炉燃油炉燃气炉排放温室气体二氧化碳减排器
CN104266244A (zh) * 2014-09-16 2015-01-07 吴义贵 可吸收净化餐饮餐厨灶油烟颗粒蒸气白烟清洁器
CN104266207A (zh) * 2014-09-16 2015-01-07 吴义贵 可控制净化可燃医疗废弃物焚烧炉排放二噁英毒气清洁器
US10000339B2 (en) * 2015-07-02 2018-06-19 Lockheed Martin Corporation Gravity-fed housing for gasification system
CN105836334A (zh) * 2016-04-05 2016-08-10 烟台南山学院 一种垃圾箱
CN106152147B (zh) * 2016-06-23 2018-07-27 贵州清风科技环保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生活垃圾焚烧装置
CN106623352A (zh) * 2016-11-14 2017-05-10 新疆科立机械设备有限公司 生活垃圾碳化剥离气化炉
CN106833689A (zh) * 2017-03-31 2017-06-13 北京神雾电力科技有限公司 蓄热式移动床热解反应器
EP3655718A4 (en) 2017-07-17 2021-03-17 Alexander Poltorak SYSTEM AND PROCESS FOR MULTI-FRACTAL HEAT SINK
CN111116006B (zh) * 2019-12-26 2022-04-01 广州境薪环保服务有限公司 一种循环回热式污泥处理系统、处理方法
CN112484044A (zh) * 2020-11-24 2021-03-12 合肥工业大学 一种旋转窑式垃圾焚烧炉
CN113028430B (zh) * 2021-02-27 2024-03-19 南京博森科技有限公司 一种可高效消毒的生物安全实验环境控制系统及其控制方法
CN115419899B (zh) * 2022-08-19 2023-04-11 安徽紫朔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污泥热干化与垃圾发电用恶臭处理装置
CN116357994A (zh) * 2023-04-12 2023-06-30 施龙平 一种火力发电余热利用方法
CN116576701B (zh) * 2023-07-14 2023-09-22 德阳劲达节能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高温废水的余热回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1033Y1 (ko) * 1968-08-26 1969-09-06
DE2242012C3 (de) * 1972-08-23 1975-10-16 Mannesmann Ag, 4000 Duesseldorf Verfahren zur gemeinsamen Entsorgung von aus Industriemüll und Haushaltsmüll bestehenden Abfällen sowie Klärschlamm
NL7400717A (ko) * 1973-01-23 1974-07-25
JPS58132337U (ja) * 1982-03-02 1983-09-06 株式会社クボタ 汚泥焼却装置
US4465022A (en) * 1982-07-19 1984-08-14 Virr Michael J Fluidized bed retrofit boiler
JPS5955233U (ja) * 1982-09-27 1984-04-11 株式会社クボタ 溶融装置
US4958578A (en) * 1987-01-30 1990-09-25 Phillips Petroleum Company Drummed waste incineration
US4751887A (en) * 1987-09-15 1988-06-21 Environmental Pyrogenics Services, Inc. Treatment of oil field wastes
US4948362A (en) * 1988-11-14 1990-08-14 Georgia Kaolin Company, Inc. Energy conserving process for calcining clay
JPH0634092B2 (ja) * 1989-03-02 1994-05-02 動力炉・核燃料開発事業団 排ガス冷却装置の制御方法及びその装置
DE4016468A1 (de) * 1990-05-22 1991-11-28 Passavant Werke Verfahren und anlage zur thermischen entsorgung von klaerschlaemmen
JP3273189B2 (ja) * 1991-07-04 2002-04-08 清水建設株式会社 エネルギー供給・利用設備
JPH05288327A (ja) * 1992-04-07 1993-11-02 Kumagai Gumi Co Ltd エネルギのリサイクル装置
US5337684A (en) * 1992-10-27 1994-08-16 Summers Burg W Material deconta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JPH0640623U (ja) * 1992-10-29 1994-05-31 一彦 谷崎 焼却炉
SE502607C2 (sv) * 1993-07-06 1995-11-20 Flaekt Ab Förfarande för rening av att fuktigt gasflöde innehållande föroreningar såsom flyktiga lösningsmedel
US5535687A (en) * 1994-08-25 1996-07-16 Raytheon Engineers & Constructors Circulating fluidized bed repowering to reduce Sox and Nox emissions from industrial and utility boilers
EP0730123B1 (en) * 1994-09-26 2003-02-19 Maejima, Fumio Vibrator-carrying incinerator and drying chamber-carrying incinerator
US5797332A (en) * 1995-08-11 1998-08-25 Callidus Technologies, Inc. Closed loop gasification drying system
JPH10160138A (ja) * 1996-11-27 1998-06-19 Kiyoshi Kogei Kk 太陽熱を利用した焼却炉
JPH10232008A (ja) * 1997-02-20 1998-09-02 Hitachi Zosen Corp 廃棄物焼却装置
US6182584B1 (en) * 1999-11-23 2001-02-06 Environmental Solutions & Technology, Inc. Integrated control and 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wast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159B1 (ko) * 2010-04-15 2012-03-28 주식회사 소냐테크 음식물쓰레기 보관 장치 및 수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6733A (id) 2001-02-08
EP1120605A1 (en) 2001-08-01
CN1310792A (zh) 2001-08-29
WO2001011289A1 (fr) 2001-02-15
CA2326599A1 (en) 2001-02-06
HK1038055A1 (en) 2002-03-01
NZ508295A (en) 2002-10-25
AU5249100A (en) 2001-03-05
BR0005113A (pt) 2002-04-30
IL142199A0 (en) 2002-12-01
TW548384B (en) 2003-08-21
CN1163689C (zh) 2004-08-25
JP2001050521A (ja) 2001-02-23
AU779577B2 (en) 2005-01-27
US6715431B1 (en) 2004-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78756A (ko) 다기능처리장치
CN207081009U (zh) 一种农村生活垃圾热解气化系统
US6938562B2 (en) Apparatus for waste gasification
CA2482557C (en) Improved apparatus for waste gasification
JP2012531296A (ja) 廃棄物の管理システム
JP4008414B2 (ja) 無煙式多孔質炭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N105937763A (zh) 城市厨余垃圾无害化处理系统
JP2000097416A (ja) 上り窯型乾燥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炉
KR200380974Y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CN206073082U (zh) 城市厨余垃圾无害化处理装置
JPH11286684A (ja) 連続炭化炉
CN110440265A (zh) 一种有热流组织的废物燃烧炉
KR100520347B1 (ko) 축열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하수 슬러지탄화설비
KR100414397B1 (ko) 폐기물 소각열의 재활용 시스템
JP4295942B2 (ja) 畜糞を原料とする乾燥肥料の製造設備
RU2798552C1 (ru) Комплекс термического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и утилизации органосодержащих отходов
JP3479628B2 (ja) 炭化装置
RU2089787C1 (ru) Способ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и уничтожения твердых отходов, преимущественно больничных,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MXPA01003580A (en) Multi-function treating device
CN211424399U (zh) 环保型生活垃圾自洁净自焚化处理装置
KR100499418B1 (ko) 브라운가스소각로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건조·소각시스템
JP2005211719A (ja) 有機物処理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
RU2775844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гневой утилизации отходов
RU2745945C1 (ru) Установка обезвреживания твёрдых биоорганических отходов
CN2476731Y (zh) 多级炉箅式焚化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