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974A -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 - Google Patents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974A
KR20010077974A KR1020010001709A KR20010001709A KR20010077974A KR 20010077974 A KR20010077974 A KR 20010077974A KR 1020010001709 A KR1020010001709 A KR 1020010001709A KR 20010001709 A KR20010001709 A KR 20010001709A KR 20010077974 A KR20010077974 A KR 20010077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motor
circuit
bed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1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카하마츠네오
Original Assignee
후쿠나가 타카시
주식회사 츠바키모토 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쿠나가 타카시, 주식회사 츠바키모토 체인 filed Critical 후쿠나가 타카시
Publication of KR20010077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9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4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 A47C20/041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with adjust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지트침대(gadget bed)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승강시와 하강시에서 속도 차이가 작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꾀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도시하지 않음)이 상승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M1)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6,220a,200)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 {ELECTRICAL APPARATUS FOR GADGET BED AND ELECTRICALLY OPERATED BED}
본 발명은 개지트침대(gadget bed)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에 관한 것으로써, 침대바닥의 등부분, 무릎부분 등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등부분, 무릎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화된 전동침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도 2와 같이, 침대바닥의 등부분인 등시트(407)를 승강시키는 전동장치인 등올림구동유닛(400), 및 개지트침대바닥의 무릎부분인 무릅시트(408)를 승강시키는 전동장치인 무릎올림구동유닛((401)(또는 침대바닥 전체를 승강시키는 하이 ·로 구동유닛)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구비하고 있고, 개지트침대(402)의 개지트업/개지트다운용의 수동핸들 축이 장착되고, AC코드(405)에 의해 AC100 V의 전원이 주어지고, 핸드스위치(404)에 의해 조작된다.
도 14는,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예를 들면 등올림용이고, AC100 V의 전원 Vac가 트랜스(7)에 주어지고, 트랜스(7)에서 강압된 교류전압은, 다이오드브리지로 구성된 정류회로(8)에 의해 정류되어 직류전압으로 변환되고, 평활콘덴서(41)에 의해 평활된다. 트랜스(7), 정류회로(8) 및 평활콘덴서(41)는 직류전원회로(200)를 구성하고 있다.
평활콘덴서(41)의 정극은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입력단자에, 부극은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제어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출력단자는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입력단자에,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제어단자는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제어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출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를 출력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제어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평활콘덴서(41)의 정극은 릴레이접접(2a,1a) 및 다이오드(63)의 음극에 접속되고, 평활콘덴서(41)의 부극은 저항(10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101)의 다른 쪽 단자는 FET(10)을 통해서 릴레이접점(2b,1b) 및 다이오드 (63)의 음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 접점(1a,1b)에 대응하는 릴레이 접점((1c) 및 릴레이 접점(2a,2b)에 대응하는 릴레이 접점(2c)은 각각 모터(M)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출력단자는 핸드스위치인 조작스위치회로(220)의 하강용 조작스위치(12) 및 상승용 조작스위치(11)의 각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조작스위치(12) 및 조작스위치(11)의 각 다른쪽 단자는, 마이크로스위치로 이루어지는 하한용 리밋스위치(15)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각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리밋스위치(15,16)의 각 다른쪽 단자는 릴레이 여자회로(2,1)의 각 한쪽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2,1)의 각 다른쪽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저항(101)의 다른쪽 단자는 또, 연산증폭기(2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연산증폭기(25)의 반전입력단자는 저항(104)을 통해서 접지되고, 연산증폭기(25)는 저항(103)에 의해 네거티브 피드백이 걸려져 있다.
연산증폭기(25)의 출력단자는 저항(105) 및 콘덴서(44)로 이루어지는 적분회로에 접속되고, 적분회로의 출력은 연산증폭기(24)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진다.저항(101,105), 콘덴서(44) 및 연산증폭기(25)와 그 부속회로는 전류검출회로 (260)를 구성하고 있다.
연산증폭기(24)의 반전입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11) 및 저항(112)에 의한 분압이 주어지고, 직류전원전압Vcc, 저항(111) 및 저항(112)은 모터(M)의 트립레벨를 설정하는 트립레벨 설정회로(240)를 구성하고 있다.
연산증폭기(24)의 출력단자는 저항(125) 및 콘덴서(47)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에 접속되고, 적분회로의 출력은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진다. 연산증폭기(23)의 비반전입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의저항(123) 및 저항(124)에 의한 분압이 주어지고 있다. 연산증폭기(23)의 비반전입력단자는 다이오드(62)의 양극에, 연산증폭기(23)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62)의 음력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3)의 출력단자는 또, 저항(120)을 통해서 FET(10)의 게이트에 접속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는 또, 다이오드(61)의 음극에 접속되고, 다이오드(61)의 양극은 저항(122,121)의 각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 (122)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되고, 저항(121)의 다른쪽 단자는 다이오드(63)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리밋스위치(15,16), 릴레이 여자회로(2,1)와 그 릴레이 접점(2a∼2c),(1a∼1c), FET(10), 다이오드(61,63), 저항(121,122) 및 연산증폭기 (23,24)와 그 부속회로는 모터구동회로(270)를 구성하고 있다.
이하에, 이와 같은 구성을 하고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모터(M)에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 연산증폭기(25)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6b)는 L레벨(Low 레벨)이므로, 연산증폭기(25)의 출력전압E(26c)도 L레벨이고, 저항(105) 및 콘덴서(44)로 이루어 지는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6)도 L레벨이다. 따라서, 연산증폭기(24)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6)는 L레벨이고, 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도 L레벨이고, 저항(125) 및 콘덴서(47)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7b)도 L레벨이다.
이때, 연작증폭기(23)의 출력전압E(27d)는 H레벨(High 레벨)이 되고, 저항(120)을 통해서 FET(10)의 게이트에 주어 지는 출력전압E(27e)도 H레벨이 되며, FET(10)는 도통하고 있다.
릴레이 여자회로(1,2)가 여자하고 있지 않을 때, 모터(M) 양단의 릴레이 접점(1c,2c)은, 구동전압의 부극전압Eg 측의 릴레이 접점(1b, 2b)에 접속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등올림의 상승용 조작스위치(11)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가 여자하고, 릴레이 접점(1c)이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 접점(1a)에 접속되고, 모터(M)이 회전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상승하기 시작한다.
모터(M)의 회전 시동시에는, 트립레벨 설정회로(24)의 설정레벨E(24)를 단시간에 넘는 시동전류가 흐르고, 전류검출회로(260)가 이것을 검출하지만, 저항 (105)와 콘덴서(44)로 이루어진 적분회로 및 저항(125)과 콘덴서(47)로 이루어진적분회로의 시정수를 크게하고 있기 때문에, 연산증폭기(23)의 출력단자의 전압E(27d)는 L레벨로 되지 않고, 모터(M)는 과부하 트립하지 않는다.
모터(M)이 회전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상승하고 있을 때에, 등올림의 상승조작스위치(11)의 조작이 정지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 접점(1c)이 구동전압의 부극전압Eg 측의 릴레이 접점(1b)에 접속되고, 모터(M)이 정지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의 상승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모터(M)가 회전하고, 등올림 상승조작스위치(11)의 조작이 속행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상승한도까지 상승하면, 상한용 리밋스위치(16)가 오프가 되고, 릴레이 여자회로(1)가 무여자가 되어, 릴레이 접점(1c)이 구동전압의 부극전압Eg 측의 릴레이 접점(1b)에 접속되고, 모터(M)이 정지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의 상승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 (2)가 여자하고, 릴레이 접점(2c)가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 (2a)에 접속되고, 모터(M)가 상승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모터(M)의 회전시동시에도, 트립레벨 설정회로(240)의 설정레벨E(24)를 단시간에 넘는 시동전류가 흐르지만, 상승시와 같게 하여, 모터(M)는 과부하 트립하지 않는다.
모터(M)가 회전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하강하고 있을 때에, 등올림하강용 조작스위치(12) 조작이 정지되면, 릴레이 여자회로(2)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 접점(2c)이 구동전압의 부극전압Eg측의 릴레이 접점(2b)에 접속되고, 모터(M)가 정지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의 하강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모터(M)가 회전하고,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의 조작이 속행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하강한도까지 하강하면, 하한용 리밋스위치(15)가 오프가 되고, 릴레이 여자회로(2)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 접점(2c)의 구동전압의 부극전압Eg측의 릴레이 접점(2b)에 접속되고, 모터(M)가 정지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의 하강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모터(M)가 회전하고, 침대바닥의 등올림 부분이 상승 또는 하강하고 있을 때에, 과부하가 걸리고, 모터(M)에 대전류가 흐르면, 연산증폭기(25)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6b)는 H레벨이 되고, 연산증폭기(25)의 출력전압E(26c)도 H레벨이 되고, 저항(105) 및 콘덴서(44)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6)는 H레벨이다. 이때, 연산증폭기(24)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6)가, 트립레벨 설정회로(24)의 설정레벨E(24)를 넘으면, 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는 H레벨이 되고, 저항(125) 및 콘덴서(47)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7b)도 H레벨이다.
이 출력전압E(27b)가, 연산증폭기(23)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7c)를 넘으면, 연산증폭기(23)의 출력전압E(27d)는 L레벨이 되고, 저항(120)을 통해서 FET(10)의 게이트에 주어지는 전압E(27e)도 L레벨이 되어, FET(10)은 비도통이 된다.
FET(10)이 비도통이 되면, 모터(M)으로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고, 모터 (M)는 회전을 정지한다.
이 상태시에, 상승용 조작스위치(11) 또는 하강용 조작스위치(12)가 조작되어 계속되고 있는 동안은,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측에서, 릴레이 접점(1c) 또는 (2c), 릴레이 접점(2c) 또는 (1c), 구동전압의 부극전압Eg측, 저항(121), 저항(122)의 경로로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에 의해 저항(122)에 발생한 전압Ef가, 다이오드(61)를 통해서,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에 가해진다. 이 때문에, 연산증폭기(23)의 출력전압E(27d)는 L레벨이고, FET(10)의 게이트에 주어진 전압E(27e)도 L레벨이고, FET(10)의 비도통상태는 유지된다. 따라서 일단, 모터(M)가 트립하면, 상승용 조작스위치(11) 또는 하강용 조작스위치(12)가 계속해서 조작되어도, 모터(M)는 회전하지 않는다.
도 15는 상술한 바와 같은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2대,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으로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등올림 구동유닛(400)은 100V의 교류전류Vac가 주어지는 상술한 직류전원회로(200)의 정극전압E (20)가, 릴레이 접점(1a,2a)에 주어지고, 직류전원회로(200)의 부극전압은 릴레이 접점(1b,2b)에 주어지고 있다.
릴레이 접점(1a,1b)에 대응하는 릴레이 접점(1c) 및 릴레이 접점(2a,2b)에 대응하는 릴레이 접점(2c)는 각각 모터(M1)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핸드스위치인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 및 상승용 조작스위치(11)의 각 한쪽 단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회로(200)의 출력전압을 강압한 정전압E(21)가 주어지고, 조작스위치(12) 및 조작스위치(11)의 각 다른쪽 단자는 하한용 리밋스위치(15)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각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리밋스위치(15,16)의 각 다른쪽 단자는 릴레이 여자회로(2,1)의 각 한쪽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2,1)의 각 다른쪽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무릎올림 구동유닛(401)도, 등올림 구동유닛(400)과 동일하며, 100V의 교류전원Vac가 주어지는 상술한 직류전원회로(201)의 정극전압E(320)가 릴레이 접점(3a,4a)에 주어지고, 직류전원회로(201)의 부극전압은 릴레이 접점(3b,4b)에 주어지고 있다.
릴레이 접점(3a,3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3c) 및 릴레이접점(4a,4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4c)은 각각 모터(M2)의 단자에 접지되어 있다.
무릎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4) 및 상승용 조작스위치(13)의 각 한쪽 단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등올림 구동유닛(400)의 직류전원회로(200)의 출력을 강압한 정전압이 주어지고, 조작스위치(14) 및 조작스위치(13)의 각 다른쪽 단자는 하한용 리밋스위치(315)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316)의 각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리밋스위치(315,316)의 각 다른쪽 단자는 릴레이 여자회로(4,3)의 각 다른쪽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4,3)의 각 다른쪽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등올림 구동유닛(400)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의,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4) 및 무릎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13)는, 핸드스위치로서 하나의 케이스에수납되어 있지만, 등올림 구동유닛(400)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은 각가 개별 직류전원회로(200,201)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등올림 구동유닛(400)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의 각 동작은 상술한 도 14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도 16의 부하토크 및 모터의 회전속도의 관계에 나타내 듯이, 부하(토크)가 큰 등올림 상승시의 속도와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의 속도와의 차이가 크고, 이 때문에 모터의 용량에 여유를 갖게 하여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속도의 차이가 커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모터의 용량을 크게하면, 모터전류를 공급하는 직류전원회로의 용량도 크게할 필요가 있고, 직류전원회로에 내장하는 트랜스의 용량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모터 및 트랜스의 사이즈 커지고 중량도 무거워 지고,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전체는 대형에다가 중량이 많이 나게게 되어 있어서, 소형화 및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또,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등시트를 수평에서 막 일으켜 세울때의, 등시트와 수평방향의 각도가 작을 때에 부하가 커지고, 등시트와 수평방향의 각도가 커짐에 따라서 점차 부하가 작아 지고, 모터의 회전속도가 빨라진다.
또, 도 17의, 등올림시의 누워 있는 사람의 체중차이에 의한 모터의 회전속도의 변동범위와 같이, 누워 있는 사람의 체중에 의해서도 모터의 회전속도는 크게 변동한다.
이 때문에, 등시트가 정지할 때의 충격, 특히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누워 있는 경우의 충격이 커지게 되어, 그 충격의 경감이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모터의 회전시동시의 큰 부하에 맞추어서 모터의 구동전압을 올리면 시동시의 충격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등시트의 중량 차이 및 기구 차이에 의해, 부하의 크기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모터의 구동전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만으로 모터의 구동전압을 조정하려고 하면, 그 때마다 2차전압이 다른 트랜스를 제작할 필요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낮추면, 정전압회로의 출력전압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필요전압까지 낮출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모터의 시동전류에 의한 불필요한 과부하 트립을 방지하기 위해서, 과부하 상태가 소정시간 연속하였을 때에, 과부하 트립하도록 모터의 전류의 검출치를 모터의 시동시간에 비교하여 조금 긴 시정수의 적분회로에 의해 적분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과부하가 발생해도 모터의 시동시간에 비교하여 짧은 시간으로 과부하 트립시킬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모터의 검출치에 의해 과부하상태를 검출하고 있지만, 부하가 큰 등올림 상승시와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서 과부하의 검출레벨을 동일 레벨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는 과부하 상태를 검출하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고, 등시트를 끼워넣을 때에, 확실하게 또는 민속하게 과부하를 검출하여 과부하 트립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으로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 각각 별개로 직류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AC콘센트가 2개 필요하고, 또 부품코스트의 상승을 초래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제 1, 2 발명에서는,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속도의 차이가 작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부하의 대소에 의한 속도 차이가 작고, 등시트가 정지할 때의 충격을 경감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4, 5 발명에서는 과부하가 발생했을 때에, 민속하게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6, 7 발명에서는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부드럽게 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8, 9, 11 발명에서는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의 구동전압을 전환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0, 12 발명에서는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서도, 확실하게 또는 민속하게 과부하를 검출하여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3 발명에서는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 등으로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4 발명에서는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 등으로서 결합시키고, 하나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5 발명에서는 제 1 ∼ 14 발명에 의한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화된 전동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의 실시예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직류전원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전류검출회로 및 승압제어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트립레벨 설정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모터전압 전화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상승시/하강시의 모터부하와 회전속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사용자의 체중과 모터부하와 회전속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모터부하와 직류전원회로의출력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장치의 실시예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 구성의 모터전압 전환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가 서로다른 모터전압 전환회로 별의, 상승시/하강시의 모터부하와 회전속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4 는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5 는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개략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6 는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상승시/하강시의 모터부하와 회전속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17 은 종래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사용자의 체중과 모터부하와 회전속도의 고나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5, 6 : 릴레이 여자회로
1a∼1c, 2a∼2c, 5a∼5c, 6a∼6c : 릴레이접점
7b,7c : 탭 11∼14 : 조작스위치
15, 16, 315, 316 : 리밋스위치 31, 32, 33, 34 : 인버터
23∼26 : 연산증폭기 27∼30 : 비교기
43 : 전해콘덴서 45 : 콘덴서
51∼56, 61∼64 : 다이오드 71 : 드랜스
101, 111∼114, 131∼134, 146 : 저항 200a : 직류전원회로
210,230 : 정전압회로 220 : 조작스위치회로
240a : 트립레벨 설정회로 250 : 시동회로
260a : 전류검출회로 270a : 모터구동회로
275 : 모터전압 전환회로 280 : 승압제어회로
400a : 등올림 구동유닛
401a : 무릎올림 구동유닛 402a : 개지트침대
403 : 코드 404 : 핸드스위치
405 : AC코드 407 : 등시트
408 : 무릎시트 M1,M2 : 모터
제 1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접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전환회로가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한다.
이것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속도 차이가 작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2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 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전환회로가, 상기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타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부하검출회로가 모터의 부하를 검출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동시에,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전환회로는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제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한다.
이것으로,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속도차이가 작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회로와, 이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부하검출회로가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고, 전환회로는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전환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한다.
이것으로, 부하의 대소에 의한 속도 차이가 작고, 등시트가 정지할 때의 충격을 경감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전환회로가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전류검출회로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한다. 정지회로가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고, 금지회로가, 전환회로가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 속도 차이를 작게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전환회로는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한다.
이것으로, 부하가 발생했을 때에 민속하게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삭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전류검출회로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고, 전환회로가,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전환한다. 정지회로가,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고, 금지회로가, 전환회로가 진류전압을 전환하였 때는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를 작게 한다.
이것에 의해, 과부하가 발생했을 때에 민속하게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로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류검출회로는 상기 모터가 시동할 때는 그 동작을 금지되고, 상기 전환회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모터의 시동시의 충격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시킨다. 전환회로가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전류검출회로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한다. 정지회로가,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고, 금지회로가, 전환회로가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한다.그리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전환회로는,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동시에, 전류검출회로는, 모터가 시동할 때는 그 동작을 금지되고, 전환회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작게 한다.
이것으로,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7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전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전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류검출회로는, 상기 모터가 시동할 때는 그 동작을 금지되고, 상기 전환회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작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전류검출회로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고, 전환회로가,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고, 금지회로가, 전환회로가 전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한다. 그리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전류검출회로는, 모터가 시동할 때는 그 동작을 금지되고, 전환회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작게 한다.
이것으로,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승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력강하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전환회로가,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직류전압을 전환한다.
이것으로,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의 구동전압을 전환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9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회로와, 이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킨다. 부하검출회로가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고, 전환회로가,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전환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직류전압을 전환한다.
이것으로,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의 구동전압을전환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0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로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와, 상기 부분의 하강동작 도는 상승동작을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절환회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전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의 차이를 작게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회로는, 상기 판정회로가 하강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로 설정하고, 상기 판정회로가 상승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상기 소정치의 제 1 전류치보다 큰 제 2 전류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시킨다. 전환회로가,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직류전압을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전류검출회로가,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한다. 정지회로가,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모터를 정지시키고, 금지회로가, 전환회로가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고, 판정회로가 상기 부분의 하강동작 및 상승동작을 판정한다. 그리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전환회로는,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동시에, 판정회로가 하강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로 설정하고, 판정회로가 상승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보다 큰 제 2 전류치로 설정한다.
이것으로,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서도, 확실하게 또는 민속하게 과부하를 검출하여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1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상기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직류전압을 전환하므로,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의 구동전압을 전환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2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상기 부분의 하강동작 또는 상승동작을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지회로는, 이 판정회로가 하강동작을 판정하였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로 설정하고, 상기 판정회로가 상승동작을 판정하였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보다 큰 제 2 전류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판정회로가 상기 부분의 하강동작 또는 상승동작을 판정하고, 정지회로는, 이 판정회로가 하강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로 설정하고, 판정회로가 상승동작을 판정하였을 때는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보다 큰 제 2 전류치로 설정한다.
이것으로,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서도, 확실하게 또는 민속하게 과부하를 검출하여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한다.
제 13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상기 부분의 상한 상승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제 1 리밋스위치와, 상기 부분의 하한 하강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제 2 리밋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제 1 리밋스위치가, 상기 부분의 상한 상승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차단하고, 제 2 리밋스위치가 상기 부분의 하한 하강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차단한다.
이것으로,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 등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한 개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4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 개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2개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각각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의 직류전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2개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2개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각각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의 직류전원을 가지고 있으므로,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 등으로 결합시키고, 하나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5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는,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화되어 있다.
이것으로, 제 1 내지 14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화된 전동침대를 실현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의 실시예이고,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유닛 등으로 결합시키고, 한 개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하는 경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는, 등올림 구동유닛(400a)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을 결합시키고, 등올림 구동유닛(400a)에 내장한 직류전원회로에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코드(403)에 의해, 그 양자를 접속하고 있다.
마스터기인 등올림 구동유닛(400a)에는, AC코드(405)와 컬코드(406)에 중계된 핸드스위치(404)가 접속되고, 핸드스위치(404)에서는 서브기인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의 조작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등올림 구동유닛(400a)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은, 도 2에 나타내 듯이 개지트침대(402a)의 개지트업/개지트다운용의 수동핸들의 축에 각각 장착되고, 개지트침대(402a)를 전동침대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등올림 구동유닛(400a)은 침대바닥의 등부분인 등시트(407)를 승강시키고,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은 침대바닥의 무릎부분인 무릎시트(408)를 승강시킨다.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에는 침대바닥 전체를 승강시키는 구동유닛으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예를 들면 등올림 구동유닛이고, AC100V의 전원Vac가 직류전원회로(200a)에 주어지어 정류되고, 정류된 직류전원회로 (200a)의 출력전압E(20)는 역류방지용 다이오드(51)를 경우하여, 평활콘덴서(42)에 의해 평활된다.
평활콘덴서(42)의 정극은,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입력단자에 부극은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제어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입력단자는 조작스위치회로(220)에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제어단자는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제어단자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51), 평활콘덴서(42)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21)는 정전압회로(210)를 구성하고 있다.
다이오드(51)의 양극은 모터전압 전환회로(275)에 접속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제어단자는 전류검출회로(260a)를 통해서 모터전압 전환회로(275)에 접속되어 있다. 모터전압 전환회로(275)는 , 또한, 모터(M1)의 양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출력단자는, 핸드스위치인 조작스위치회로(220)의 하강용 조작스위치(12) 및 상승용 조작스위치(11)의 각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조작스위치(12) 및 조작스위치(11)의 각 다른쪽 단자는 릴레이 여자회로 (2,1)의 각 한쪽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2,1)의 다른쪽 단자는, 각각 다이오드(76,75)의 양극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 여자회로(2,1)의 각 한쪽 단자는 각각 트립레벨 설정회로(240a)에 접속되어 있다.
조작스위치(12) 및 조작스위치(11)의 각 다른쪽 단자는 또, 각각 순접속된 다이오드(72,71)를 통해서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출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를 출력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 (22)의 제어단자는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제어단자에 접속되는 동시에 접지되어 있다.
다이오드(72,71) 및 정전압 레귤레이터(22)는 정전압회로(230)을 구성하고 있다.
정전압 레귤레이터(22)의 출력단자는 또한, 다이오드(63)의 음극과 저항 (13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이오드(63)의 양극 및 저항(131)의 다른쪽 단자는 전해콘덴서(43)의 정극에 접속되고, 전해콘덴서(43)의 부극은 접지되어 있다.
전해콘덴서(43)의 정극은 비교기(28)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비교기(28)의 출력단자는 저항(132)을 통해서 승압제어회로(280)와 연산증폭기(24)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승압제어회로(280)에는 비교기(28)의 반전입력단자, 연산증폭기(24)의 출력단자 및 릴레이 여자회로(5)의 한쪽 단자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 여자회로(5)의 다른쪽 단자는 정전압 레귤레이터(21)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28), 저항(132), 다이오드(63), 저항(131) 및 전해 콘덴서(43)는 시동회로(250)를 구성하고 있다.
연산증폭기(24)의 비반전입력단자는 전류검출회로(260a)에도 접속되고, 연산증폭기(24)의 반정입력단자는 트립레벨 설정회로(240a)에 접속되고 있다. 트립레벨설정회로(240a)는 릴레이 여자회로(6)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 (6)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4)의 출력단자는 또한, 저항(125a)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저항(125a)의 다른쪽 단자는 콘덴서(47a)의 한쪽 단자 및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컨덴서(47a)의 다른쪽 단자는 접지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3)의 비반전입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23,124)에 의한 분압E(27c)를 받고, 다이오드(62)의 양극이 접지되어 있다. 연산증폭기(23)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62)의 음극 및 인버터(31)의 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31)의 출력단자는 다이오드(75,76)의 각 음극에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의 저항(121,122)에 의한 분압E(27f)가 다이오드(61)의 양극에 주어지고, 다이오도(61)의 음극은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 여자회로(1,2), 다이오드(75,76), 연산증폭기(23,24), 저항 (121∼ 124,125a), 콘덴서(47a), 다이오드(61,62), 인버터(31) 및 모터전압전환회로(275)는, 모터구동회로(270a)를 구성하고 있다.
도 4는 직류전원회로(200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직류전원회로 (200a)는AC100V의 전원Vac가 트랜스(71)에 주어지고, 트랜스(71)에서 강압된 교류전압은 다이오드브리지로 구성된 정류회로(8)에 의해 정류되어 직류전압E(20)으로 변환되고, 평활콘덴서(41)에 의해 평활된다.
평활콘덴서(41)의 정극은 다이오드(51)(도3)의 양극에, 평활콘덴서(41)의 부극은 평활콘덴서(420(도3)의 접지되어 있는 부극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71)의 일차측 코일은 그 양단자(7a,7d)사이에 탭(7b,7c)가 설치되고, 전원Vac를 받는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a), 단자(7a)로의 경로와,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b,5c,5b), 탭(7b)으로의 경로와,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b,5c,5a), 탭(7c)으로의 경로가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전류검출회로(260a) 및 승압제어회로(28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전류검출회로(260a)는 저항(101)이 모터전압전환회로(275)(도3) 및 정전압레귤레이터(21)(도3)가 접지되어 있는 제어단자사이에 접속되고, 저항(101) 및 모터전압전환회로(275) 사이의 전압E(26b)가 연산증폭기(2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고 있다.
연산증폭기(25)의 반전입력단자는 다른쪽이 접지된 저항(104)에 접속되고, 연산증폭기(25)는 저항(103)에 의해 네거티브 피드백이 걸려져 있다.
연산증폭기(25)의 출력단자는 저항(105a) 및 콘덴서(44a)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에 접속되고, 이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6)은 승압제어회로(280)의 비교기(27)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고 있다. 비교기(27)의 반전입력단자에는 시동회로(250)의 비교기(28)(도3)으로부터의 저항(132)를 통한 출력전압도 주어지고 있다.
승압제어회로(280)는 비교기(27)의 비반전입력단자가 저항(141,142,143)의 접속절점의 전압E(28a)를 받고, 비반전입력단자 및 출력단자 사이에는 저항(143)이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27)의 출력단자는 풀업저항(144)을 통해서 직류전원전압Vcc를 받고, 그 출력전압E(28b)는 비교기(30)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진다.
비교기(30)의 반전입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33,134)에 의한 분압E(1)을 받고, 비반전입력단자는 비교기(27)의 출력전압E(28b)가 주어진다. 비교기(30)의 출력단자는 풀업저항 (147)을 통해서 직류전원전압Vcc를 받고, 그 출력전압E(28c)는 연산증폭기(26)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진다.
연산증폭기(26)의 비반전입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33,134)에 의한 분압E(1)을 받고, 연산증폭기(26)의 출력전압E(28e)는 인버터(32)의 입력단자에 주어진다.
인버터(32)의 출력전압E(28)는 릴레이 여자회로(5)(도3)에 주어진다.
비교기(30)의 출력단자는 또한, 콘덴서(45)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콘덴서 (45)의 다른쪽 단자는 저항(146)을 통해서 직류전원전압Vcc를 받고, 저항(146)에는 병렬로 다이오드(64)가 역접속되어 있다. 콘덴서(45) 다른쪽 단자는 비교기 (29)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접속되고, 비교기(29)의 반전입력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33,134)에 의한 분압E(1)를 받고 있다. 비교기(29)의 출력단자는 저항(145)을 통해서 연산증폭기(24)(도3)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33,134)에 의한 분압E(1)는 또한, 시동회로 (250)의 비교기(28)(도3)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고 있다.
도 6은, 트립레벨 설정회로(240a)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트립레벨 설정회로(240a)는 다이오드(81)의 양극이, 조작스위치회로(220)의 하강용 조작스위치(12)(도3)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이오드(81)의 음극은 인버터(3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인버터(34)의 출력단자는 저항(114)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81)의 음극은, 릴레이 여자회로(6)(도3)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다이오드(79)의 양극이 조작스위치회로(220)의 상승용 조작스위치 (11)(도3)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이오드(79)의 음극은 인버터(33)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인버터(33)의 출력단자는 저항(113)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저항(113,114)의 각 다른쪽 단자는 직류전원전압Vcc를 분압하는 저항(111,112)의 접속절점에 접속되고, 이 접속절점의 전압E(24)는 모터구동회로 (270a)의 연산증폭기(24)(도3)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고 있다.
도 7은 모터전압 전환회로(27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모터전압 전환회로(275)는 릴레이접점(1a,2a)가 직류전원회로(200a)(도3)의 정극측의 출력전압E(20)을 받고, 릴레이접점(1b,2b)이 전류검출회로(260a)의 저항(101)(도5)의 비접지측의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접점(1a,1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1c)은 다이오드(55)의 양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5)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이오드(55)의 음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5)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릴레이접점(2a,2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2c)는, 다이오드(56)의 양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다이오드(56)의 음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1)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의 동작을 설명한다.
조작스위치(11,12)(도3)가 조작(눌러짐)되어 있지 않을 때, 모터(M1)에 전류는 흐르지 않기 때문에, 연산증폭기(25)(도5)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6b)는 L레벨(Low 레벨)이고, 연산증폭기(25)의 출력전압E(26c)도 L레벨이고, 저항 (105a) 및 콘덴서(44a)로 이루어지는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6)도 L레벨이다. 따라서 연산증폭기(24)(도3)의 비반전입력단자의 전압E(26)은 L레벨이고, 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도 L레벨이고, 저항(125a) 및 콘덴서(47a)로 이루어지는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7b)도 L레벨이다.
이때, 연산증폭기(23)의 출력전압E(27d)는 H레벨(High 레벨)이 되고, 인버터(31)(오픈컬렉터출력)의 출력전압E(27e)는 L레벨, 인버터(31)의 출력전압E (27e)의 저항(121,122)에 의한 분압E(27f)도 L레벨이 되어 있다.
한편, 저항(105a) 및 콘덴서(44a)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6)가 L레벨이기 때문에, 승압제어회로(280)의 비교기(27)(오픈컬렉터출력)(도5)의 출력전압E(28b)는 H레벨, 비교기(30)이 출력전압E(28c)는 H레벨, 연산증폭기(26)의출력전압E(28e)는 L레벨이 되고, 인버터(32)(오픈컬렉터출력)의 출력전압E(28)는 H레벨이 되어, 릴레이 여자회로(5)(도3)는 양 단자가 H레벨이 되어 여자하지 않는다.
또, 조작스위치(11,12)(도3)가 조작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릴레이 여자회로 (1,2,6)도 여자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직류전원회로(200a)의 트랜스(71)(도4)의 일차측은,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b,5c,5b), 탭(7b)으로의 경로가 형성되고, 직류전원회로(290a)의 출력전압E(20)(정극전압E(20))는 중간적인 전압이 되어 있다.
(등올림 상승시)
이 상태에서, 등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11)(도3)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1c)(도7)이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측의 릴레리접점(1a)에 접속되고, 모터(M1)이 회전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하한용 리밋스위치(15)(도7)가 오프라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5)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전압은 다이오드(55)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고, 리밋스위치(15)가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리밋스위치(15)를 경유해서 흐른다.
상한용 리밋스위치(16)가 오프라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1)은 회전시동하지 않는다.
(트립레벨의 설정)
또, 조작스위치(11)(도3)(판정회로)가 조작되면, 다이오드(79)(도6)의 출력전압E(24a)는 H레벨이 되기 때문에, 인버터(33)의 출력전압E(24b)는 L레벨이 된다. 여기서 저항(111)의 저항치를 R(111), 저항(113) 및 저항(112)의 병렬접속한 합성저항치를 R(24a)로 하면, 등올림 상승시의 트립레벨설정치E(24u)는, E(24u)= Vcc×(R(24a)/(R(111)+R(24a))) 가 된다.
(부하검출회로의 동작금지)
모터(M1)(도3)의 회전 시동시에는, 트립레벨설정회로(240a)의 설정레벨E (24u)를 단시간에 넘는 시동전류가 흐르지만, 시동회로(250)의 비교기(28)의 출력전압E(25b)가 부전압(L 레벨)이 되어 있기 때문에, 전류검출회로(260a)의 출력전압E(26)를 억제한다.
정전압 레귤레이터(22)가 조작스위치(11)의 조작에 의해 온이 되면, 정전압 레귤레이터(22)가 출력하는 직류전원전압Vcc에 의해 저항(131)을 통해서 콘덴서 (43)이 충전되기 시작한다.
비교기(28)의 출력전압E(25b)는 콘덴서(43)의 충전전압인 비반전입력단자의 입력전압E(25a)가 직류전원전압Vcc의 저항(133,134)에 의한 분압E(1)를 넘을 때 까지의 시간을, 모터(M1)의 시동시간보다 조금 길어 지도록 저항(131) 및 콘덴서(43)의 시정수를 설정해 두면, 시동회로(250)는 시동전류에 의한 과부하 트립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시동시간이 경과한 후는 과부하트립을 방해하지 않는다.
(전환회로)
등올림 상승시에 부하가 크고, 모터(M1)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고, 전류검출회로(260a)(도5)의 출력전압E(26)가, 비교기(27)(오픈컬렉터출력)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 지는 전압E(28a)보다 커지게 되면, 비교기(27)의 출력전압E(28b)가 L레벨이 되고, 비교기(30)의 출력전압E(28c)는 L레벨, 연산증폭기(26)의 출력전압E(28e)는 H레벨이 되고, 인버터(32)(오픈컬렉터출력)의 출력전압E(28)은 L레벨이 되어, 릴레이 여자회로(5)(도3)은 여자한다.
릴레이 여자회로(5)(도3)이 여자하면, 직류전원회로(200a)의 트랜스 (71) (도4)의 일차측은,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b,5c,5a), 탭(7c)로의 경로가 형성되고,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E(20)(정극전압E(20))는 중간적인 전압보다 높아 진다.
이것으로, 등시트(407)(도2)의 상승에서 부하(토크)가 크고, 모터(M1)의 회전속도가 낮고, 등시트(407)의 상승속도가 늦을 때라도, 도 8과 같이 모터(M1)의 회전속도를 높이고, 등시트(407)의 상승속도를 올릴 수 있다.
또, 누워 있는 사람의 체중이 무겁고, 모터(M1)의 회전속도가 낮고, 등시트(407)의 상승속도가 늦을 때라도, 도 9와 같이 모터(M1)의 회전속도를 올리고, 등시트(407)의 상승속도를 올릴 수 있다.
(금지회로)
여기서, 비교기(30)의 출력전압E(28c)가 H레벨에서 L레벨이 되면, 저항 (146) 및 콘덴서(45)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8d)는 일단, L레벨이 된 후, 상승하기 시작한다.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8d)가 L레벨이 되면, 비교기 (29)(오픈컬렉터출력)의 출력전압E(28f)가 L레벨이 되고, 연산증폭기(24)(도3)의 출력전압E(27a)를 끌어 내린다.
따라서,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E(20)가 고전압으로 전환되고, 모터전류가 일시적으로 증대하고, 전류검출회로(260a)의 출력전압E(26)이 일시적으로 높아지더라도 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를 억제하므로 과부하트립을 회피할 수 있다.
저항(146) 및 콘덴서(45)로 이루어진 적분회로의 출력전압E(28d)가, L레벨이 된 후, 상승하고, 비교기(29)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전압E(1)에 의해 커지게 되면, 비교기(29)의 출력전압E(28f)는 H레벨로 복귀하고, 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를 억제하지 않는다.
(과부하트립)
이 상태에서, 등시트(407)(도2)이 무엇인가에 걸리고, 부하가 더욱 커지고, 모터(M1)에 흐르는 전류가 더욱 커지고, 전류검출회로(260a)(도3)의 출력전압E (26)가 연산증폭기(24)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전압E(24u)(트립레벨 설정치)보다 커지게 되면, 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가 H레벨이 되고, 저항 (125a)를 통한 전압E(27b)가 연산증폭기(2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전압E (27c)보다 커지게 되면, 연산증폭기(23)의 출력전압E(27d)는 L레벨이 되고,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는 H레벨이 된다.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가 H레벨이 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접점(1c)(도7)이 릴레이접점(1b)에 접속되고, 모터(M1)는 정지하고, 등시트(407)(도2)는 정지한다.
이때,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의 저항(121,122)의 분압E(27f)도 H레벨이고, 다이오드(61)를 통해서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기 때문에, 모터(M1)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더라도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는 H레벨로 유지되고, 조작스위치(11)가 조작되어 있어도 릴레이 여자회로(1)는 여자하지 않는다.
(전환회로)
등올림 상승시에서 부하가 크고,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E(20)이 고전압인 상태일 때에, 부하가 작아 지면, 모터(M1)에 흐르는 전류가 작아지게 되고, 전류검출회로(260a)(도5)의 출력전압E(26)가 비교기(27)(오픈컬렉터출력)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전압E(28a)보다 작아지게 되면, 비교기(27)의 출력전압E (28b)가 H레벨이 되고, 비교기(30)의 출력전압E(28c)는 H레벨, 연산증폭기(26)의 출력전압E(28e)는 L레벨이 되고, 인버터(32)(오픈컬렉터출력)의 출력전압E (28)은 H레벨이 되어, 릴레이 여자회로(5)(도3)는 무여자가 된다.
따라서, 직류전원회로(200a)의 트랜스(71)(도4)의 일차측은,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b,5c,5b), 탭(7b)으로의 경로가 형성되고,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E(20)는 중간적인 전압으로 복귀한다.
이것으로, 도 10과 같이, 부하(토크)가 커지게 되고, T2를 넘으면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E(20)을 E(20c)로 높이고, 부하(토크)가 T1까지 내려가면, 출력전압E(20)를 E(20b)로 낮출 수 있다.
정전압회로(210)의 다이오드(51) 및 콘덴서(42)는 모터전류가 커지게 되고, 정전압호로(210)의 입력전압E(20)가 저하했을 때에, 정전압회로(210)의 출력전압E (21)가 저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등올림 상승시)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고 있을 때에, 상승용 조작스위치(11)의 조작이 정지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도3)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접점(1c)(도7)이 릴레이접점(7b)에 접속되고, 모터(M1)가 정지하고, 등시트(407)(도2)이 상승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고, 상한용 리밋스위치(16)(도7)가 오프가 되면, 모터전류는 차단되고, 모터(M1)는 정지하고, 등시트(407)의 상승은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등올림 하강시)
(전환회로)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도3)가 조작되면, 다이오드(81)(도6)의 출력전압E(24c)는 H레벨이 되므로 릴레이 여자회로(6)(도3)가 여자한다.
따라서, 직류전원회로(200a)의 트랜스(71)(도4)의 일차측은 릴레이접점(6c)에서 릴레이접점(6a), 단자(7a)로의 경로가 형성되고,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E(20)(정극전압E(20))는 중간적인 전압보다 낮아 진다.
이것으로, 부하(토크)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서도, 도 8과 같이 등시트 (407)(도2)의 하강속도가 너무 빨라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도3)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2)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2c)(도7)이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측의 릴레이접점(2a)에 접속되고, 모터(M1)가 회전 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 하한용 리밋스위치(16)(도7)이 오프라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6) 경유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전압은 다이오드(56)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고, 리밋스위치(16)가 오프가 되면, 모터전류는 리밋스위치(16) 경유로 흐른다.
하한용 리밋스위치(15)가 오프라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1)는 회전시동하지 않는다.
(트립레벨의 설정)
또, 조작스위치(12)(도3, 판정회로)가 조작되면, 다이오드(81)(도6)의 출력전압E(24c)는 H레벨이 되므로, 인버터(34)의 출력전압E(24d)는 L레벨이 된다. 여기서, 저항(111)의 저항치를 R(111), 저항(114) 및 저항(112)의 병렬접속한 합성저항치를 R(24b)로 한다면, 등올림 하강시의 트립레벨 설정치E(24l)(엘)는, E(24l) = Vcc×(R(24b)/(R(111)+R(24b)))가 된다.
저항(113,114)의 각 저항치를 R(113), R(114)로 한다면, R(113)>R(114)의 관계라면, R(24a)>R(24b)이고, E(24u)>E(24l)가 된다. R(113)>R(114)의 관계로 해 두면,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의 트립레벨 설정치E(241)를 부하가 큰 등올림 상승시의 트립레벨 설정치E(24u)보다 낮게 설정할 수 있다.
또, 등올림 하강시의 트립레벨 설정치E(241)는 승압제어회로(280)의 비교기 (27)(도5)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승압레벨설정치E(28a)보다 낮게 설정한다.
(과부하 검출회로의 동작금지)
모터(M1)(도3)의 회전 시동시에는, 트립레벨 설정회로(240a)의 설정레벨E (24l)(엘)를 단시간에 넘는 시동 전류가 흐르지만, 시동회로(250)의 비교기(28)의 출력전압E(25b)가 부전압(L 레벨)이 되어 있으므로, 전류검출회로(260a)의 출력전압E(26)를 억제한다.
시동회로(250)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등올림 상승시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과부하 트립)
이 상태에서, 등시트(407)가 무엇인가에 걸리고, 부하가 커지고, 모터(M1)에 흐르는 전류가 커지고, 전류검출회로(260a)(도3)의 출력전압E(26)가 연산증폭기 (24)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전압E(24l)(트립레벨 설정치)보다 커지게 되면,연산증폭기(24)의 출력전압E(27a)가 H레벨이 되고, 저항(125a)를 통한 전압E (27b)가 연산증폭기(23)의 비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는 전압E(27c)보다 커지게 되면, 연산증폭기(23)의 출력전압E(27d)는 L레벨이 되고, 인버터(31)의 출력전압E (27e)는 H레벨이 된다.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가 H레벨이 되면, 릴레이 여자회로(2)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접점(2c)(도7)이 릴레이접점(2b)에 접속되고, 모터(M1)는 정지하고, 등시트(407)(도2)는 정지한다.
이때,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의 저항(121,122)의 분압E(27f)도 H레벨이고, 다이오드(61)를 통해서 연산증폭기(23)의 반전입력단자에 주어지기 때문에, 모터(M1)에 흐르는 전류가 0이 되어도, 인버터(31)의 출력전압E(27e)는 H레벨로 유지되고, 조작스위치(12)가 조작되어 있어도, 릴레이 여자회로(2)는 여자하지 않는다.
(등올림 하강시)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고 있을 때에, 하강용 조작스위치(12)의 조작이 정지되면, 릴레이 여자회로(2)(도3)가 무여자가 되고, 릴레이접점(2c)(도7)이 릴레이접점(2b)에 접속되고, 모터(M1)가 정지하고, 등시트(407)(도2)의 하강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고, 하한용 리밋스위치(15)(도7)가 오프가 되면, 모터전류는 차단되고, 모터(M1)는 정지하고, 등시트(407)의 하강이 멈추고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실시예 2)
도 11은 상술한 바와 같은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2대, 도 1,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등올림 유닛 및 무릎올림 유닛으로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등올림 유닛(400a)은 100V의 교류전원Vac를 받는, 상술한 직류전원회로 (200a)의 정극전압E(20)가 릴레이접점(1a,2a)에 주어지고, 직류전원회로(200a)의 부극전압E(26b)는 릴레이접점(1b,2b)에 주어지고 있다.
릴레이접점(1a,1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1c)은, 다이오드(52)의 양극에 접속되고, 다이오드(52)의 음극은, 다이오드(55)의 양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5)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55)의 음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5)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또, 다이오드(52)와 역방향의, 다이오드(53,54)의 직렬회로가 다이오드(52)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접점(2a,2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2c)은 다이오드(56)의 양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56)의 음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6)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1)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공통의 직류전원)
무릎올림 유닛(401a)도, 등올림 구동유닛(400a)과 동일하며, 상술한 직류전원회로(200a)의 정극전압E(20)가 릴레이접점(3a,4a)에 주어지고, 직류전원회로 (200a)의 부극전압E(26b)는 릴레이접점(3b,4b)에 주어지고 있다.
릴레이접점(3a,3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3c)은 다이오드(355)의 양극 및상한용 리밋스위치(316)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355)의 음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316)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2)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접점(4a,4b)에 대응하는 릴에이접점(4c)은, 다이오드(356)의 양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316)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356)의 음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315)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2)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핸드스위치(404)(도1)인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 및 상승용 조작스위치(11)의 각 한쪽 단자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을 강압한 정전압이 주어지고, 조작스위치(12) 및 조작스위치(11)의 각 다른쪽 단자는 릴레이 여자회로(2,1)의 각 한쪽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2,1)의 다른쪽 단자는, 실시예 1에서 설명했듯이 등올림 구동유닛(400a)의 모터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소정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의, 무릎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4) 및 무릎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13)의 각 한쪽 단자는 등올림 구동유닛(400a)과 마찬가지로, 직류전원회로(200a)의 출력전압을 강압한 정전압이 주어지고, 조작스위치(14) 및 조작스위치(13)의 각 다른쪽 단자는, 릴레이 여자회로(4,3)의 각 한쪽 단자에 각각 접속되고, 릴레이 여자회로(4,3)의 각 다른쪽 단자는 등올림 구동유닛(400a)과 마찬가지로,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의 모터구동회로(도시하지 않음)의 소정 개소에 접속되어 있다.
등올림 구동유닛(400a)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의,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 등올림 상승용 조작용스위치(11), 무릎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4) 및 무릎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13)는, 핸드스위치(404)(도1)로서,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등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 (11)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1c)가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1a)에 접속되고, 모터(M1)가 회전 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시트(407)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하한용 리밋스위치(15)가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2,55) 및 리밋스위치(16)를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2,55)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진다.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고, 리밋스위치(15)가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2), 리밋스위치(15) 및 리밋스위치(16)을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2)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이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1)은 회전시동하지 않는다.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2)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2c)이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2a)에 접속되어, 모터(M1)이 회전 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이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6), 리밋스위치(15) 및 다이오드(54,53)를 경우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6,54,53)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고, 리밋스위치(16)가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리밋스위치(16), 리밋스위치(15) 및 다이오드(54,53)를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4,53)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하한용 리밋스위치(15)가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1)은 회전시동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직류전원회로(200a)의 트랜스의 2차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M1)의 회전속도를 바꿀 수 있다.
무릎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13)가 조작되면, 릴레 여자회로(3)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3c)가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3a)로 접속되고, 모터(M2)가 회전 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무릎시트(408)(도2)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하한용 리밋스위치(315)가 오프라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355) 및 리밋스위치(316)를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2)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355)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무릎시트(408)가 하강하고, 리밋스위치(316)가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리밋스위치(316) 및 리밋스위치(315)를 경우해서 흐른다.
상한용 리밋스위치(316)이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2)는 회전 시동하지 않는다.
무릎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4)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4)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4c)가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4a)에 접속되고, 모터(M2)가 회전 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무릎시트(408)(도2)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한용 리밋스위치(316)가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356), 리밋스위치(315) 경유로 흐르고, 모터(M2)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356)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무릎시트(408)(도2)가 하강하고, 리밋스위치(316)기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리밋스위치(316) 및 리밋스위치(315) 경유로 흐른다.
하한용 리밋스위치(315)가 오프라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2)는 회전시동하지 않는다. 기타 등올림 구동유닛(400a)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401a)의 각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1에서 설명했듯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3)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의 구성인 모터전압전환회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고, 모터전압전환회로를 제외하는 구성은 도 3에 나타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모터전압전환회로는 100V의 교류전류Vac를 받는 직류전원회로(200a)(도3)의 정극전압E(20)가 릴레이접점(1a,2a)에 주어지고, 직류전원회로(200a)의 부극전압E(26b)는 릴레이접점(1b,2b)에 주어지고 있다.
릴레이접점(1a,1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1c)는 다이오드(52)의 양극에 접속되고, 다이오드(52)의 음극은 다이오드(55)의 양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5)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55)의 음극 및 하한용 리밋스위치(15)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1)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고 있다. 또 다이오드(52)와 역방향의 다이오드(53)가 다이오드(52)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릴레이접점(2a,2b)에 대응하는 릴레이접점(2c)는 다이오드(56)의 양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한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다이오드(56)의 음극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의 다른쪽 단자는 모터(M1)의 다른쪽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서는, 등올림 상승용 조작스위치(11)(도3)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1)(도3)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1c)이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1a)에 접속되고, 모터(M1)이 회전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기 시작한다.
이때, 하한용 리밋스위치(15)가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2,55) 및 리밋스위치(16)를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2,55)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진다. 등시트(407)(도2)가 상승하고, 리밋스위치(15)가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2), 리밋스위치(15) 및 리밋스위치(16)를 경유해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2)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진다.
상한용 리밋스위치(16)이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1)은 회전 시동하지 않는다.
등올림 하강용 조작스위치(12)(도3)가 조작되면, 릴레이 여자회로(2)(도3)가 여자하고, 릴레이접점(2c)이 구동전압의 정극전압E(20) 측의 릴레이접점(2a)에 접속되고, 모터(M1)가 회전 시동하고, 침대바닥의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때, 상한용 리밋스위치(16)가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다이오드(56), 리밋스위치(15) 및 다이오드(53) 경유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전압은 다이오드(56,53)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진다. 등시트(407)(도2)가 하강하고, 리밋스위치 (16)이 온이 되면, 모터전류는 리밋스위치(16), 리밋스위치(15) 및 다이오드(53) 경유로 흐르고,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다이오드(53)의 순방향의 전압강하분 만큼 낮아 진다.
하한용 리밋스위치(15)가 오프이면, 모터전류는 흐르지 않고, 모터(M1)은 회전 시동하지 않는다.
이상으로, 직류전원회로(200a)의 트랜스의 2차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M1)의 회전속도를 바꿀 수 있다. 기타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구성 및 동작은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전환회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의 실시예 1, 2, 3에서는 각각 서로 다른 회로구성의 모터전압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모터(M1)가 회전하고 있고, 하한용 리밋스위치(15) 및 상한용 리밋스위치 (16)이 온일 때, 실시예 1의 모터전압 전환회로(도7)의, 상승시의 모터(M1)의 양단 전압Ema는 직류전원회로(200a)의 등올림 상승시의 중간적인 출력전압을 E(20b)로 하면,
Ema = E(20b) - E(26b)
(E(26b)는 저항(101) 및 모터전압 전환회로(275) 사이의 전압) 가 되고, 이때의 모터(M1)의 회전속도를 Na로 한다.
실시예 2의 모터전압 전환회로(도11)의, 상승시의 모터(M1)의 양단 전압Emb는 다이오드(52)의 순방향 전압을 Vf라고 하면,
Emb = E(20b) - E(26b) - Vf
가 되고, 이때의 모터(M1)의 회전속도를 Nb라고 하면, 수학식 1, 2 에의해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Ema>Emb 가 되고, 모터(M1)의 회전속도는 Na>Nb이고, 같은 부하(토크)라면 도 13과 같이 된다.
실시예 1의 모터전압 전환회로(도7)의, 하강시의 모터(M1)의 양단 전압Emd는, 직류전원회로(200a)의 등올림 하강시의 낮은 출력전압E(20a)로 하면,
Emd = E(20a) - E(26b)
가 되고, 이때의 모터(M1)의 회전속도를 Nd로 한다.
실시예 2의 모터(M1)의, 하강시의 모터(M1)의 양단 전압Emf는 다이오드(53,54)의 각 순방향 전압을 Vf로 하면,
Emf = E(20a) - E(26b) - 2Vf
가 되고, 이때의 모터(M1)의 회전속도를 Nf로 한다.
실시예 3의 모터전압 전환회로(도12)의, 하강시의 모터(M1)의 양단 전압Eme는 다이오드(53)의 순방향 전압을 Vf로 하면,
Eme = E(20a) - E(26b) - Vf
가 되고, 이때의 모터(M1)의 회전속도를 Ne로 하면, 수학식 3, 4, 5 에 의해 모터(M1)의 양단 전압은 Emd>Eme>Emf가 되고, 모터(M1)의 회전속도는 Nd>Ne>Nf이고, 같은 부하(토크)이면 도 13과 같이 된다.
이상으로, 직류전원(200a)의 트랜스 2차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M1)의 회전속도를 바꿀 수 있다.
제 1, 2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상승시와 하강시에서 속도 차이가 작고,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3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부하의 대소에 의한 속도차이가 작고, 등시트가 정지할 때의 충격을 경감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4,5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과부하가 발생했을 때에, 민속하게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6, 7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모터 시동시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8, 9, 11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직류전원회로의 출력전압을 바꾸는 일 없이, 모터의 구동전압을 전환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0, 12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부하가 작은 등올림 하강시에서도, 확실하게 또는 민속하게 과부하를 검출하여 과부하 트립시킬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3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하면,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 구동유닛 등으로 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하나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할 수 있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4 발명에 따르면, 2대를 등올림 구동유닛 및 무릎올림 구동유닛 등으로 결합시켜고, 하나의 직류전원회로를 공용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 15 발명에 따른 전동침대에 의하면, 제 1 ∼ 14 발명에 따른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화된 전동침대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15)

  1.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2.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상승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3.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상승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회로와, 이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4.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상승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상승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작동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를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5.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전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6.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전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류검출회로는, 상기 모터가 시동할 때는 그 동작을 금지되고, 상기 전환회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모터의 시동시의 충격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7.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류검출회로는 상기 모터사 시동할 때는, 그 동작을 금지되고, 상기 전환회로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모터의시동시의 충격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8.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승강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류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전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9.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상승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규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부하를 검출하는 부하검출회로와, 이 부하검출회로가 검출한 부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전환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부분의 동작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동시에, 상기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10. 침대바닥의 한 곳 또는 복수의 부분이 상승 가능한 개지트침대의 상기 부분을, 직규전압에 의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승강시키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분을 하강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제 1 전압으로,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직류전압을 상기 제 1 전압보다 높은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는 전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이 모터의 부하로서 검출하는 전류검출회로와, 이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가 소정치를 넘었을 때에, 상기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회로와, 상기 전환회로가 상기 직류전류전압을 전환하였을 때는, 상기 정지회로의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회로와, 상기 부분의 하강동작 또는 상승동작을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부분의 하강속도 및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 하고, 상기 부분을 상승시킬 때는,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전류검출회로가 검출한 전류치의 대소에 따라서, 상기 직류전압을 복수 종류의 상기 제 2 전압으로 각각 전환하고, 상기 부하의 대소에 의한 상기 상승속도 차이를 작게하는 동시에, 상기 정지회로는, 상기 판정회로가 하강동작을 판정하였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로 설정하고, 상기 판정회로가 상승동작을 판정하였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보다 큰 제 2 전류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11. 청구항 2,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7,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회로는 1 또는 복수의 다이오드를 구비하고, 이 다이오드가 가지는 순방향의 전압강하에 의해, 상기 직류전압을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12. 청구항 5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의 하강동작 또는 상승동작을 판정하는 판정회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정지회로는 이 판정회로가 하강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로 설정하고, 상기 판정회로가 상승동작을 판정했을 때는 상기 소정치를 제 1 전류치보다 큰 제 2 전류치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의 상한상승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제 1 리밋스위치와, 상기 부분의 하한하강위치를 검출했을 때에, 상기 모터에 흐르는 전류를 직접적으로 차단하는 제 2 리밋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 개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2 개의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는 각각에 직류전압을 공급하는 공통의 직류전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1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를 구비하고, 이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침대.
KR1020010001709A 2000-01-14 2001-01-12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 KR200100779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7198A JP3357984B2 (ja) 2000-01-14 2000-01-14 ギャッヂベッドの電動装置及び電動ベッド
JP2000-7198 2000-01-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74A true KR20010077974A (ko) 2001-08-20

Family

ID=1853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09A KR20010077974A (ko) 2000-01-14 2001-01-12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357984B2 (ko)
KR (1) KR20010077974A (ko)
TW (1) TW491698B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463A (en) * 1980-03-28 1984-08-0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djustable bed
JPH06190008A (ja) * 1992-12-22 1994-07-12 Paramount Bed Co Ltd 床部支持状態修正手段を有する昇降式脚部を備えたベッド
JPH07255567A (ja) * 1994-03-25 1995-10-09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電動式床部起伏機構
JPH08182710A (ja) * 1994-12-28 1996-07-16 Mitsuba Electric Mfg Co Ltd 電動ベッド用駆動モータの制御回路
JPH105286A (ja) * 1996-06-21 1998-01-13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463A (en) * 1980-03-28 1984-08-07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Adjustable bed
JPH06190008A (ja) * 1992-12-22 1994-07-12 Paramount Bed Co Ltd 床部支持状態修正手段を有する昇降式脚部を備えたベッド
JPH07255567A (ja) * 1994-03-25 1995-10-09 Paramount Bed Co Ltd ベッドにおける電動式床部起伏機構
JPH08182710A (ja) * 1994-12-28 1996-07-16 Mitsuba Electric Mfg Co Ltd 電動ベッド用駆動モータの制御回路
JPH105286A (ja) * 1996-06-21 1998-01-13 France Bed Co Ltd ベッ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91698B (en) 2002-06-21
JP3357984B2 (ja) 2002-12-16
JP2001190602A (ja) 2001-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4488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122570B2 (ja) エレベータ駆動システムの電源変動の管理
US8607402B2 (en) Vacuum cleaner with a vacuum cleaner fan
JP4108457B2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WO2013005457A1 (ja) 電力変換装置
JP2001186689A (ja) 無停電電源装置
JP5855128B2 (ja) 電力変換装置およ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KR880000446B1 (ko)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JP4934479B2 (ja) 電子機器
KR20010077974A (ko) 개지트침대의 전동장치 및 전동침대
JPH10129945A (ja) エレベータの非常運転装置
US6515455B2 (en) Apparatus for starting drive of load by high-voltage battery
JP6336250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07267582A (ja) 昇降圧チョッパ装置とその駆動方法
JP4061952B2 (ja) 遮断器の不足電圧引外し装置
JP2007076758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3555821B2 (ja) 交流アーク炉の電極昇降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S5819923A (ja) 直流電源装置
JP4511793B2 (ja) ジェネレータに対するダイオード装置
JP2579903B2 (ja) 突入電流抑制回路
JPH0823700A (ja) 発電電源装置
JP7004838B2 (ja) 電力変換装置及び電動機制動方法
JP3616028B2 (ja) スイッチングコンバータに用いられる立ち上がり制御回路
JP2005170539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2007174791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