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80000446B1 -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80000446B1
KR880000446B1 KR8200705A KR820000705A KR880000446B1 KR 880000446 B1 KR880000446 B1 KR 880000446B1 KR 8200705 A KR8200705 A KR 8200705A KR 820000705 A KR820000705 A KR 820000705A KR 880000446 B1 KR880000446 B1 KR 880000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induction motor
detection device
connection
del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0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8916A (ko
Inventor
노부요시 쓰보이
세이야 시마
모리오 가나사끼
하야시 나까자와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830008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89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8000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9/16Mobile or transportable lifts specially adapted to be shifted from one part of a building or other structure to another part or to another building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1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 H02P25/1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with arrangements for switching the windings, e.g. with mechanical switches or rela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50/00Energy efficient technologies in elevators,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e.g. energy saving or recuperation technolog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원 발명을 적용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일실시예의 개관도.
제2도는 본원 발명을 의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주회로 구성의 일실시예의 도면.
제3도는 본원 발명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효율 및 전력특성도.
제4도는 본원 발명의 동작원리를 설명하는 전류특성도.
제5도는 본원 발명의 교통수요 검출장치를 구성하는 부하검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도면.
제6도는 본원 발명의 패센저 컨베이어 제어회로의 일실시예의 도면.
제7도는 본원 발명의 교통수요 검추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도면.
제8도는 본원 발명의 소음억제효과를 나타낸 소음측정도.
본원 발명은 패센저 컨베이어(passenger conveyor)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패센저 컨베이어는 일단 기동되면, 그날 하루 일정속도로 연속 운전된다. 따라서 그 구동장치로서는 3상유도전동기가 적합하며, 컨베이어의 정격(定格)부하 토크에 의해 결정되는 용량의 유도전동기가 댈타접속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패센저 컨베이어의 정격토크에 상당하는 승객이 타는 일은 적으며, 보통 그 수송능력의 수 % 정도의 승객을 운반하고 있든가, 아니면 승객이 전혀 타고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전동기 용량에 대한 부하율은 낮으며, 효율이 나쁜 상태에서 운전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래서, 최근 승객수를 검출하여 컨베이어를 기동 정지하는 방식이 일부 실시되고 있다. 이 방식에 의하면, 승객이 없을 때에는 컨베이어는 정지하기 때문에, 그 사이의 전력소비를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승객이 한 사람이라도 있으면 종래와 같이 운전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와 같이 몇사람 안되는 승객을 운반하는 일이 많은 컨베이어에서는 상기 효율이 나쁜 운전을 피할 수 없다. 또한, 이 방식은 컨베이어가 정지하고 있으면 운행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되어 승객에세 이용되지 않을 염려가 있다. 이 때문에 불특정 다수인이 이용하고 서비스성을 중시하는백화점 등에서는 승객이 없어도 컨베이어를 정지시킬 수는 없기 때문에, 결국 종래와 같이 연속 운전을 않을 수 없는 경우가 많았다.
본원 발명의 주된 목적은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원 발명의 주된 특징은 패센저 컨베이어의 교통수요를 검출하고, 이 교통수요에 따라서 컨베이어 구동용 3상유도전동기를 스타결선 또는 델타결선으로 전환하도록 한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 및 특징 외에, 다음에 기술하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탑승기분 및 안전성 등에 대해서도 고려하고 있으며, 그것에 대해서는 다음의 설명에서 상술한다.
그런데, 패센저 컨베이어의 교통수요를 검출하는 장치로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방식을 생각할 수 있다.
(가) 컨베이어의 승객을 직접 검출하는 장치
(나) 컨베이어의 승객을 간접적으로 검출하는 장치
(다) 컨베이어의 승객을 예측해서 검출하는 장치
상기 (가)로서는 미합중국 특허 제4,023,135호 및 제4,112,419호 등으로 알려져 있는 "승객수의 검출장치(Apparatus For Detecting The Number of Object)"를 이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장치의 상세한 것은 상기 미합중국 특허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생략하지만, 사람을 향해서 발사한 초음파의 반사파가 상기 사람의 수에 비례하고 있는 점을 이용하여 사람의 수를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검출장치를 사용하면 본원 발명을 실시하여 효과를 거두는데에 있어서 거의 정확하게 승객의 양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나)로서는 컨베이어 구동용 전동기의 부하가 승객의 양에 의해서 변동하는 점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기의 전류 또는 전력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이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다)로서는 예를들면 승객의 양이 많아지는 시간대를 타이머 등으로 검출하는 방법이다. 출퇴근시 및 점심시간처럼 특정의 정해진 시간대에만 승객이 많아지는 장소라면, 상기 타이머에 승객이 증가하는 시간대를 세트해 놓는 것으로 용이하게 교통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
다음에 기술하는 본원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나)의 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지만, 다른 장치 (가), (다)일지라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제1도는 본원 발명을 적용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개관도이며, 상단 및 하단의 일부를 절결해서 그 내부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객을 운반하기 위한 계단(1)은 상하단의 스프로켓(2), (3)에 감긴 계단구동체인(4)과 함께 컨베이어의 대략 전길이에 걸쳐서 무단형상(無端刑狀)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계단(1)의 양측면부에는 이 계단(1)의 전길이에 해당하는 길이의 난간(5)이 배치되며, 이 난간(5)에는 핸드 레일 구동장치(6)에 의해서 계단(1)과 동기해서 이동되는 핸드레일(7)이 지지되어 있다. 상기 계단(1)은 스타결선 및 델타결선 가능한 3상유도전동기(IM)에 의해 감속기(8) 및 구동체인(4)을 통해서 상승 또는 하강방향으로 이동된다. (EC)는 본원 발명의 특징을 나타낸 켄베이어의 제어장치로서, 그 상세한 점은 후술하는 바와 같다. 이들 부품은 프레임(9)에 의해 지지되며, 예를들면 건물의 층 바닥 사이에 설치된다.
제2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주회로 구성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3상교류전원(3
Figure kpo00001
)의 R, S, T상은 주회로 배선용 차단기(FFB), 상승용 전자접촉기(111) 또는 하강용전자접촉기(121) 및 운전개시용 전자접촉기(101)를 통해서, 3상유도 전종기(IM)의 단자 u.v.w에 접속되어 있다. 단자 X, Y, Z측에 접속된 델타결선용 전자접촉기(DR1) 및 스타결선용 전자접촉기(YR1)은 제6도의 제어회로에 의해서 작동되며, 유도전동기(IM)를 델타결선 또는 스타결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과전류 계전기(14)는 전자접촉기(DR1)과 (YR1)의 쌍방이 폐로(閉路)해서 전원단락이 생겼을 경우의 보호용으로서 설치된 것으로서, 전류검출코일(14A)에 의해서 과전류를 검출했을때, 계전기(14A1)를 개로(開路)하여 스타결선을 개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LDA)는 교통수요를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나)의 방법을 채용한 부하검출장치이며, R-S상간의 상간전압 및 전류검출기(CT1), (CT2)에 의해 S상의 전류를 각기 단자 a-f에 입력하고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의거하여, 그 동작원리를 설명한다.
제3도는 감속기(8)의 효율도 포함한 3상유도전동기(3
Figure kpo00002
)의 특성도이며, 전동기(IM)에 연결된 감속기(8)의 출력 P에 대한 효율 EF 및 입력전압 W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면에 있어서 ①은 스타결선의 효율곡선, ②는 텔타결선의 효율곡선, ③은 스타결선의 전력곡선, ④는 델타결선의 전력곡선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출력 P가 정격의 약 50%이하에서는 델타결선에 비해스타결선쪽이 효율이 좋고 소비전력도 적다. 이 관계는 출력 P가 50%를 넘은 부근에서 역전하여, 스타결선의 효율은 급격히 저하하고, 충분한 토크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본원 발명은 이 점에 착안하여, 컨베이어의 교통수요에 따라서 스타결선과 델타결선을 전환하고, 유도전동기(IM)을 효율이 좋은 상태에서 운전하여 소비전력이 저감을 도모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유도전동기(IM)의 부하를 입력전력 W를 측정함으로써 검출하고, 그 입력전력 W의 크기에 따라서 스타결선과 델타결선을 전환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런데, 단지 입력전력 W의 크기에 따라서, 스타결선과 델타 결선을 전환하면 그 전환부근에서의 입력전력 W의 진동에 의해 빈번히 전환을 반복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전환할때의 전력치(출력 P의 40%부근)와, 델타결선에서 스타결선으로 전환할때의 전력치(출력 P의 30%부근)를 다른 값으로 설치하고, 도시한 바와 같이 ⓐ점에서 델타결선으로 전환한 다음은 전력 W가 ⓒ점 이하로 되기까지 스타결선으로 전환하지 않도록 구성하여, 제어의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이와같이 유도전동기(IM)의 부하검출방법으로서, 전력을 사용한 이유는 전원(3
Figure kpo00003
)의 전압수동에 의한 영향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며, 전압변동이 적은 전원(3
Figure kpo00004
)이라면 유도전동기(IM)의 입력전류만을 사용하여 전환을 할 수도 있다.
제4도는 제3도와 마찬가지로 감속기(8)를 포함한 유도전동기(IM)의 출력 P에 대한 입력전류 특성도이며, ⑤ 및 ⑥은 스타결선 및 델타결선시의 입력전류곡선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전원(3
Figure kpo00005
)의 전압이 일정하다면 전동기(IM)의 부하의 크기는 입력전류 I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전류검출기를 전력검출기의 백업으로서 사용하며, 이 전력검출기에 의한 델타결선으로의 전환이 행해지지 않았을 경우, 이 전류의 크기가 출력 P의 50%부근 ⓔ에 달한 것을 검출하여, 강제적으로 델타결선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동작원리에 의거하여 컨베이어를 제어하기 위한 실시예를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다.
제5도는 제2도에 나타낸 부하검출장치의 일실시예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변압기(T)의 1차권선(TW1)에는 전원(3
Figure kpo00006
)의 R, S상이 접속되어 있고, 그 2차권선(TW2)에서 다이오드(D1), (D2), 저항(R3)및 제너다이오드(ZD1)을 통해서 직류정전압(EZD)을 얻고 있다.
(PWD)는 주지의 전력검출기이며, 유도전동기(IM)의 부하를 검출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2차권선(TW3) 및 (TW4)에는 각기 R-S상의 상간전압에 비례한 전력이 출력되며, 전류검출기(CT1) 및 검출저항(R11)에 의해서 검출된 S상의 상전류에 비례한 전압과 합성된다. 이 합성전압은 전파정류(全波整流) 브리지(SR1) 및 (SR2)를 통해서 전파정류되고, 출력저항(R1) 및 (R2)에 인가된다. 따라서, 이 출력저항(R1) 및 (R2)사이의 전압은 제3도에 나타낸 입력전력 W에 비례한 값으로 된다. 이 입력전력 W는 컨베이어의 운전방향에 따라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값으로 되므로 전파전류 브리지회로(SR3)를 통해서 그 절대치에 비례한 전압을 보내서, 저항(R4), (R5)에 인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변저항(R5)의 전압은 유도 전동기(IM)의 전력에 비례한 값으로 된다.
그 밖에(TR1)-(TR3)는 트랜지스터, (A)는 스타·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 (AQ)는 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이다. 또 저항 (R6), (R7)은 그 저항치가 R6>R7의 관계가 되도록 설정해 놓는다.
먼저, 전원스위치(PSW)를 투입하여, 븐 장치의 전원을 투입한다. 이에 따라서 트랜지스ㅌ너(TR2)에는 저항(R6), (R8)를 통해서, 트랜지스터(TR3)에는 저항(R6), (R10)을 통해서 각기 베이스전압이 인가되므로, 양쪽이 모두 도통된다. 이 트랜지스터(TR3)의 도통에 의해 스타·델타전환용 보조릴레이코일(A)가 여자(所磁)되며, 그 접점(A1)을 폐로해서, 스타·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를 여자한다. 이 전화지령 릴레이코일(AX)의 접점은 제6도의 컨베이어 제어회로에 삽입되어 있고, 여자되었을때 유도전동기(IM)을 스타결선으로 되도록 작용하며, 소세(濟勢)하면 델타결선으로 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접점(14A2) 및 (AQ1)은 이 상태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폐로되어 있다.
이와같이 전원스위치(PSW)를 투입할때는 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가 여자되어서 유도전동기(IM)은 스타결선으로 운전된다.
이때의 바이어스저항(R9)의 단자전압(EB)는
Figure kpo00007
으로 된다.
한편,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에는 가변저항(R5)에 의해서 적당히 분압된 전압이 인가되어 있고, 이 전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전동기(IM)의 입력전력에 비례하고 있다. 따라서, 컨베이어의 승객이 증가해서, 유도전동기(IM)의 입력전력이 증대하여,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전압이 상기 저항(R9)의 바이어스전압(EB)을 넘으면, 트랜지스터(TR1)이 도통된다. 이 트랜지스터(TR1)이 도통되면, 트랜지스터(TR2) 및 트랜지스터(TR3)는 그 베이스전압이 자하하므로 차단된다. 이에 따라서 전환보조릴레이코일(A)가 소세되며, 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의 소세의 의해서 유도전동기(IM)를 델타결선으로 하도록 지령한다.
그래서, 상기 저항(R9)의 바이어스전압
Figure kpo00008
의 값을 제3도의 ⓐ점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세트해 놓음으로써, 출력 P가 정격의 40%를 넘었을때, 자동적으로 델타결선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델타결선으로 전환된 상태에서는 상기 저항(R9)의 바이어스전압(EB)는
Figure kpo00009
으로 변화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저항(R6)와 (R7)의 값은 R6>R7의 관계에 있으므로, 그 바이어스전압은 저하한다. 그리고, 이 바이어스전압
Figure kpo00010
의 값을 제3도의 ⓒ점에 대응하는 전압으로 세트해 놓음으로써, 델타결선으로 전환 후는 입력전력 W이 ⓒ점이 이하로 되기까지 스타결선으로 전환되는 일은 없다. 입력전력W가 저하해서, 트랜지스턴(TR1)의 베이스전압이 상기 바이어스전압
Figure kpo00011
이하로 되면, 트랜지스터(TR1)은 차단된다. 따라서, 최초의 상태로 되돌아가서 전환지령 릴렝이(AX)가 부세(付勢)되며, 스타결선으로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5도의 장치는 유도전동기(IM)의 입력전력, 즉 컨베이어의 승객량에 따라서 스타·델타결선의 전환지령을 발생한다.
한편, 전류검출기(CT2)는 백업용으로서 설치된 것이다. 이 전류검출기(CT2)의 출력은 저항(R12)에 접속되며 저항(R12)의 전압은 S상의 전류에 비례한 값으로 된다. 상기 전화지령 릴레일코일(AX)가 부세되면, 전파정류브리지(SR4) 및 저항(R13)과 콘덴서(C1)이 이루어진 평활회로를 통해서, 저항(R15)에는 제4도에 나타낸 전류 I에 비례한 전압이 인가된다.
그래서, 제저다이오드(ZD)의 제어전압을 제4도에 나타낸 출력 50%에 해당하는 점 ⓔ의 값으로 설정해 놓음으로써 U상의 전류 I가 ⓔ점을 넘었을때, 트랜지스터(TR4)가 도통된다. 이에 따라서 델타전환지령 릴렝이코일(AQ)가 부세되며, 그 접점(AQ1)이 개로해서, 스타·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를 소세한다.
이와 같이 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Q)는 스타·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가 부세되어 있고, 스타결선으로 운전중임에도 불구하고, 그 출력 P가 50%넘었을때에 강제적을 델타결선으로 전환하기 위한 것이다. 전력검출기(PWD)측의 회로가 정상이라면 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는 출력 P가 40%를 넘은 시점에서 소세되므로, 그 접점(AX1)을 개로한다. 따라서, 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Q)이 부세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일단 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Q)이 부세되면, 리세트스위치(RS)를 해제하지 않는 한 델타결선을 유지함으로서 컨베이어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제6도는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회로이다. 도면에 있어서, (UPS)는 컨베이어를 상승 운전하기 위한 상승운전지령스위치, (DNS)는 하강운전지령스위치이다.
여시서, 상승 운전한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승운전지령 스위치(UPS)를 투입하면, 상승운전보조릴레이코일(11X)의 여자되며, 접점(11X1)에서 자기유지(自己維持)하는 동시에, 접점(11X2)를 개로해서 하강운전보조릴레이코일(12X)이 여자되지 않도록 인터로크한다. 그리고, 정지스위치(STS)는 보통 폐로되어 있으며, 컨베이어를 정지시킬때 개로해서, 상기 자기유지회로를 개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상승운전보조릴레이코일(11X3)의 접점(11X3)에 의해, 상승운전릴레이코일(11)이 여자되며, 그 접점(114)을 개로해서 하강운전릴레이코일(10)이 여자되고, 그 접점(114)을 개로해서 하강운전릴레이코일(12)을 인터로크 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5도의 상기 스타·델자전환지령릴레이코일(AX)는 여자되어 있다. 따라서, 접점(11X4) 및 접점(AX2)를통해서 운전릴레이토일(10)이 여지되고, 접점(102)에서 자기유지한다.
이에 따라서, 접점(102)이 폐로하고, 접점(AX3)를 항상 개방 접점측이 폐로하고 있으므로 스타결선용 릴레이콩리(YR)이 여자되고, 그 접점(YR4)를 개로해서 델타결선용 릴레이코일(DR)을 인터로크한다.
이와 같은 상승운전 릴레이코일(11), 운전릴레이코일(10) 및 스타결선용 릴레이코일(YR)이 여자됨으로써, 제2도에 있어서 상승운전접축기(111), 운전접촉기(101) 및 스타결선용 접촉기(YR1)이 폐로 된다. 따라서, 유도전동기(IM)은 스타결선에서 상승방향으로 컨베이어를 구동한다.
그런데, 유도전동기(IM)의 기동시에는 기동전류가 흘러 전력이 증대하므로, 제5도의 스타·델타전환보조릴레이코일(A) 및 델타전환릴레이코일(AQ)가 일시적으로 소세되며, 스타·델타전환지령 릴레이코일(AX)가 소세되어, 델타결선으로 전환될 염려가 있다.
제6도의 시한릴레이코일(50T)은 이 기동시의 전환을 방지하기 위해, 기동시의 일정시간만 그 접점(50T1)(제5도)를 폐로해서 접점(A1) 및 (AQ)가 관계없이 전환지령릴레이코일(AX)를 여자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컨베이어가 상승운전중, 승객이 증가해서 전동기(IM)의 출력 P가 정격의 40%(제3도 ⓐ점)을 넘으면 상기한 바와같이 스타·델타전환지령릴레이콩리(AX)가 소세된다.
이에 따라서, 제6도의 접점(AX2)의 항상 개방접점측이 개로하며, 항상 폐쇄접점측이 폐로하므로, 스타결선용 릴레이코일(YR)이 소세되고, 델타결선용 릴레이코일(DR)이 여자된다. 따라서, 제2도의 접촉기(YR1)이 개로하며, 접촉기(DR1)이 폐로해서, 유도전동기(IM)은 커다란 부하토크를 구동하는데 충분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효율이 좋은 델타결선으로 컨베이어를 구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2도의 스타결선용 접촉기(YR1) 및 델타결선용 접촉기(DR1)은 부하토크 즉 승객량에 따라서 전환되는 것이지만, 이 전환시간이 길면 그 동안의 토크변동에 의해서 승객에서 쇼크를 중 염려가 있다. 따라서, 이 전환시간은 짧은 편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통전중의 접촉기를 개방하면 아크가 발생하며, 기계적으로는 개로되어 있어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간이 있으므로, 순간적이기는 하지만 선간단락(線間端絡)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이 선간단락이 생기면 그때의 대전류에 의해 접촉기(DR1) 또는 (YR1)이 용착될 염려가 있으며, 용착되면 완전히 전원(3
Figure kpo00012
)의 단락으로 되어 주배선용 차단기(FFB)가 트립해서 컨베이어는 정지하여 운전 불능으로 된다. 제2도의 과전류 계전기(14)는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전류계전기(14)는 상기 주배선용 차단기(FFB)보다 먼저 작동하는 것으로 상기 전원단락시의 대전류를 코일(14A)로 검출하면, 그 접촉기(14A1)를 개방하여, 스타결선회로를 강제적으로 절리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그 접점(14A2)(제5도)을 개로해서 델타결선용 접촉기(DR1)의 폐로를 유지함으로써, 설사 접촉기(YR1)이 용착된 경우일지라도 컨베이어의 운전을 계속하여 서비스를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전류계전기(14)는 델타결선용 접촉기(DR1)측에 설치해도 되고, 이 경우 용착되었을때는 스타결선으로 운전을 계속시키면 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나, 승객량의 증대시를 고려하면 본 실시예 쪽이 안전성이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제6도의 고장표시등(PL)은 이와 같은 고장을 표시하여 수리의 편리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전류계전기(14)가 작동하면, 그 접점(14A3)이 폐로하므로, 고장표시등(PL)이 접등한다. 또 제5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떤 고장으로 인해서 전동기(IM)의 출력 P가 정격의 40%(제3도 ⓐ점)를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델타결선으로 전환되지 않거나, 델타전환릴레이코일(AQ)에 의해서 델타결선으로 전환되었을 경우도, 접점(AQ2)가 폐로하여 고장 표시등(PL)이 점등한다.
이상 상승운전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하강운전도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교통수요 검출장치로서 제5도의 부하검출장치를 사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원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두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가) 또는 (다)의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도있다.
즉, (가)의 장치를 사용했을 경우 "승객수의 검출장치"의 출력은 승객의 수에 비례한 전압으로 된다. 그래서, 제5도의 전력검출기(PWD)대신에, "승객수의 검출장치"의 출력전압을 가변저항(R5)에 인가함으로써,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승객량에 따라서 스타·델타전환을 할 수 있다. 또 이 "승객수의 검출장치"는 컨베이어를 타려고 하는 승객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승객이 있을때 그 방향에 따라서 상승운전스위치(UPS) 또는 하강운전스위치(DNS)를 투입하며, 승객이 없을때에 정지스위치(STS)를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객량에 따라서 스타·델타를 전환함으로써 운전중의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함은 물론, 승객이 없는 기간은 컨베이어를 정지해서 그동안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백화점 등에서는 승객이 없는 동안에도 상기 실시예처럼 스타결선으로 효율좋게 연속 운전하는 편이 서비스상 우수하다.
또, 상기 (다)의 장치에 의한 일실시예를 제7도에 나타낸다.
제7도에 있어서 계시장치(計時裝置)를 성치하여(MS1)은 출근시간대에서 폐로하는 접점, (LS1)은 점심시간대에서 폐로하는 접점, (AS1)은 퇴근시간대에 폐로하는 접점이며, 이들 시간대에만 컨베이어의 승객이 혼잡한 것으로 한다. 따라서, 이들 시간대가 되면 스타·델타전환보조릴레이코일(B)가 여자되어 그 접점(B1)을 개로하므로, 스타·델타전환지령릴레이코일(AX)가 소세된다.
따라서, 이 제7도의 회로를 제5도의 장치로 바꿈으로써, 시간대에 의해서 교통수단을 예측하고, 스타·델타의 전환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대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컨베이어를 설치한 장소의 사정에 따라서 설정하면 된다.
이상 기술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은 교통수요가 적은 기간은 유도전동기(IM)을 스타결선으로 운전함으로써 소비전력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지만 그와 같은 효과에 더하여 컨베이어의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제8도는 세로축을 음압레벨, 가로축을 주차수로 하고, 동 도면(a)는 스타결선으로 운전중의 소음, 동 도면(b)는 델타결선으로 운전중의 소음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 측정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스타결선시는 델타결선시에 비해, 소음이 40(dB)을 넘는 경우가 적으며, 특히 600(Hz)부근의 피그소음을 델타결선시보다 3(dB)정도 작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음은 승객이 적어서 컨베이어 부근이 조용할때에 문제가 되는 것이며, 븐원 발명은 그와 같이 조용할때에 스타결선으로 운전하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Claims (10)

  1. 무단형상(無端形狀)으로 연결된 계단과, 이 계단을 구동하여 승객을 운반하는 패센저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계단을 구동하여, 스타결선 및 델타결선이 가능한 3상 유도전동기와 상기 패센저 컨베이어의 교통수단(승객량) 검출장치와, 이 교통수요(승객량)가 제1의 소정장치를 초과했을때 상기 3상 유도전동기를 스타결선에서 델타결선으로 전환하고, 상기 교통수요(승객량)가 제2의 소정치보다 저하했을때 상기 3상 유도전동기를 델타결선에서 스타결선으로 전환하도록 구성한 전환회로를 구비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컨베이어의 기동시에 상기 유도전동기를 스타결선으로 접속하는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요 검출장치는 상기 컨베이어 구동용 3상유도 전동기의 부하검출장치를 포함하는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검출장치는 상기 유도전동기에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로부터 이 전동기의 전력을 검출하도록 구성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검출장치는 상기 유도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도록 구성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요 검출장치는 교통수요가 증가하는 시간대에 세트한 계시(計時)장치를 포함하는 패센저 컨베이어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요 검출장치는 상기 컨베이어를 이용하는 승객수 검출장치를 포함하는 패센저컨베이어의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수 검출장치는 승객이 없음이 검출되었을 때는 상기 유도전동기를 정지시키는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수요 검출장치는 상기 유도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검출하는 장치와, 상기 유도전동기에 공급되는 전류를 검출하는 장치로 구성한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회로는 상기 전력검출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델타결선으로 전환하기 위한 제1의 소정치에 비해서, 상기 전류검출장치의 출력에 따라서 델타결선으로 전환하는 제2의 소정치를 크게 설정한 패센저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8200705A 1981-02-27 1982-02-17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8800004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027038A JPS57141377A (en) 1981-02-27 1981-02-27 Driving device for man conveyor
JP????81-27038? 1981-02-27
JP81-27038 1981-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8916A KR830008916A (ko) 1983-12-16
KR880000446B1 true KR880000446B1 (ko) 1988-04-06

Family

ID=1220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0705A KR880000446B1 (ko) 1981-02-27 1982-02-17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99986A (ko)
JP (1) JPS57141377A (ko)
KR (1) KR880000446B1 (ko)
GB (1) GB2096359B (ko)
HK (1) HK538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3927B2 (ja) * 1990-04-11 1996-08-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
JP2507670B2 (ja) * 1990-05-30 1996-06-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乗客コンベア
DE4313424C2 (de) * 1993-04-26 1995-04-06 O & K Rolltreppen Gmbh Verfahren zur elektronischen Steuerung von Personenföderanlagen
US5842554A (en) * 1996-07-31 1998-12-01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sensor for a conveyor
US6049189A (en) * 1996-10-29 2000-04-11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speed passenger conveyor and method of operation
DE10018887B4 (de) * 2000-04-14 2005-02-10 Kone Corp.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gelung der Bremse(n) einer Personenförderanlage
AU2003210227A1 (en) * 2003-02-07 2004-08-30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drive machine
KR100936019B1 (ko) * 2007-11-28 2010-01-11 주식회사 에이디티 트레드밀의 모터 구동 장치 및 방법
CN102666353B (zh) * 2009-12-18 2014-09-10 奥的斯电梯公司 采用电容传感器的相对于乘员输送机的人的检测
JP5298003B2 (ja) * 2009-12-28 2013-09-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速度制御装置および速度制御方法
CN103415460B (zh) * 2011-01-04 2015-11-25 通力股份公司 传送器驱动方法和传送器系统
CN103863932B (zh) * 2012-12-17 2017-09-05 通力股份公司 变频器和具有变频器的扶梯控制装置
CN103872967A (zh) * 2012-12-17 2014-06-18 通力股份公司 变频器和具有变频器的扶梯控制装置
WO2017205288A1 (en) 2016-05-23 2017-11-30 Hilmot LLC Roller system having spaced apart external rotor motor
WO2021030479A1 (en) 2019-08-13 2021-02-18 Kamran Ramezani Conveyor with extended motor configuration
CN117792216A (zh) * 2024-01-06 2024-03-29 东营市沃格艾迪石油技术有限公司 抽油机星三角节能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721369A (fr) * 1931-08-14 1932-03-02 Carl Flohr Ag Installation pour escaliers roulants
US1987272A (en) * 1933-10-04 1935-01-08 Ibm Weight control escalator
US2106833A (en) * 1936-02-06 1938-02-01 Westinghouse Elec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2130584A (en) * 1936-11-17 1938-09-20 Hobart Brothers Co Welder
US2317266A (en) * 1938-10-13 1943-04-20 Arrow Hart & Hegeman Electric Electric switching system
US2315469A (en) * 1941-03-14 1943-03-30 Gen Electric Protective system
US2709775A (en) * 1952-05-10 1955-05-31 M I C E N Societa Azionaria Ma Automatic regulation system for electric machines
US2697193A (en) * 1953-02-13 1954-12-14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ctrical control apparatus
US3940668A (en) * 1973-08-16 1976-02-24 Voldemar Voldemarovich Apsit Dual duty drive with induction motor
JPS5651588B2 (ko) * 1974-09-20 1981-12-07
JPS5264781A (en) * 1975-11-21 1977-05-28 Hitachi Ltd Escalator
US4042966A (en) * 1976-01-15 1977-08-16 Robertshaw Controls Company Motor control circuit
JPS594358B2 (ja) * 1977-03-19 1984-01-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マンコンベアの起動報知装置
JPS54159988A (en) * 1978-06-08 1979-12-18 Hitachi Ltd Man-conveyor monitor
US4413218A (en) * 1979-04-06 1983-11-01 Cmd Enterprise, Inc. Automatic load seeking control for a multitorque motor
AT368711B (de) * 1979-05-29 1982-11-10 Kiener Konrad Dr Spielgeraet fuer ein von zwei spielern durchfuehrbares ratespiel
US4425539A (en) * 1980-03-13 1984-01-10 Borg-Warner Corporation Control system for AC induction motor
US4434394A (en) * 1980-08-14 1984-02-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Circuit for controlling multiple rated mo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154277B2 (ko) 1989-11-17
US4499986A (en) 1985-02-19
GB2096359A (en) 1982-10-13
KR830008916A (ko) 1983-12-16
JPS57141377A (en) 1982-09-01
HK5386A (en) 1986-01-31
GB2096359B (en) 198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0446B1 (ko) 패센저 컨베이어의 제어장치
KR850001640B1 (ko) 교류에레베이터의 제어장치
KR860000666B1 (ko) 교류에레베이터의 운전장치
JP3261901B2 (ja) エレベーターの非常時運転装置
US8689944B2 (en) Control of an electricity supply apparatus in an elevator system
KR850002698Y1 (ko) 교류엘리베이터의제어장치
KR19980028729A (ko) 엘리베이터의 정전시 비상 운전 장치
JPH06144765A (ja) マンコンベア制御装置
CN213679319U (zh) 一种电梯应急救援控制电路
JPS59149284A (ja) エレベ−タの制御装置
JPH1179593A (ja) エレベータの非常時救出運転装置
JPH01317976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運転装置
JPS6013475A (ja) 交流エレベ−タの制御装置
CN112249827B (zh) 一种电梯应急救援控制电路和控制方法
JPH08157152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S5851870B2 (ja) エレベ−タウンテンセイギヨソウチ
JPH06255928A (ja) エレベータの停電時着床制御装置
JPH03297778A (ja) エレベーターの停電時運転装置
KR930009900A (ko) 정전시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5294576A (ja) リニアエレベータの保守安全装置
KR860000338B1 (ko) 교류 엘리베이터의 제어장치
JPH0347075B2 (ko)
JPH0236511B2 (ko)
JP2014230334A (ja) 半導体電力変換装置および直流中間コンデンサの急速放電方法
JPH0577591B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