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7918A - 굴삭장치 - Google Patents

굴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7918A
KR20010077918A KR1020000066148A KR20000066148A KR20010077918A KR 20010077918 A KR20010077918 A KR 20010077918A KR 1020000066148 A KR1020000066148 A KR 1020000066148A KR 20000066148 A KR20000066148 A KR 20000066148A KR 20010077918 A KR20010077918 A KR 20010077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ore bit
bit
hollow moto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자키시게루
이마오카토시오
사토쿠수오
Original Assignee
아끼모토 유미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타카다 요시토
니폰 다이아몬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1918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77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3419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5588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81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1284A/ja
Application filed by 아끼모토 유미,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타카다 요시토, 니폰 다이아몬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모토 유미
Publication of KR20010077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791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0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 B28D1/04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 B28D1/041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sawing with circular or cylindrical saw-blades or saw-discs with cylinder saws, e.g. trepanning; saw cylinders, e.g. having their cutting rim equipped with abrasive p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9/00Handling rods, casings, tubes or the like outside the borehole, e.g. in the derrick; Apparatus for feeding the rods or cables
    • E21B19/24Guiding or centralising devices for drilling rods o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5/00Apparatus for obtaining or removing undisturbed cores, e.g. core barrels or core ex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굴삭장치(1)는, 코어비트(2)를 관통가능하게 설치된 통형상의 회전자(32)와, 이 회전자(32)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33)와, 회전자(32)의 양단에 설치된 이 회전자(32)의 통형상 내부에 배치된 코어비트(2)의 외주면을 체결하므로써 이 코어비트(2)를 회전자(32)의 회전과 함께 회전시키는 고정부(34a, 34b)와,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삽입통과되어, 콘크리트(C) 중 코어비트(2) 내측부분에 있는 코어심(A)의 표면에 접촉하는 누름봉(4)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높은 토크를 발생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모된 코어비트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게다가 코어심이 코어비트 내부에 끼워맞춰지기 어렵게 된다.

Description

굴삭장치{EXCAVATION EQUIPMENT}
본 발명은, 피굴삭물을 환형으로 굴삭하는 비트를 보유하는 원통형상의 코어비트를 구비한 굴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미 설치된 콘크리트제 벽을 보강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이 벽을 크게 도려내고, 도려낸 개구부에 철제 프레스(비스듬히)를 설치하고, 다음으로 이 프레스와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시킨 앵커를 콘크리트에서 고정하므로써 벽전체를 보강하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앵커는, 개구부의 내주면에 설치된 구멍에 수용시키므로써 설치된다.
이 앵커를 설치하기 위한 구멍은, 도 8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원통형상부재의 앞끝에 다이아몬드나 초경칩 등으로 이루어지는 둥근 환형의 비트(80a)를 보유하는 코어비트(80)와, 이 코어비트(80)를 축선둘레로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81)를 구비한 장치에 의해서 형성된다.
즉, 코어비트(80)의 선단에 설치된 비트(80a)를 피굴삭물인 콘크리트(82)에 접촉시키면서 회전시키므로써 원기둥형상의 코어심(83)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82) 내부로부터 코어비트(80)를 뽑아낸다.
게다가, 콘크리트(82) 내부에 잔존하는 코어심(83)의 근원(83a)을 잘라내서 뽑아내므로써, 예컨대 직경 20mm 내지 35mm정도, 깊이 200mm정도의 앵커설치용 구멍이 형성된다.
그런데, 이 코어비트(80)를 콘크리트(82)로부터 뽑아낼 때에 근원(83a)이 잘려져버려서, 원기둥형상의 코어심(83)이 코어비트(80)의 통형상 내부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되어서 동시에 뽑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코어심(83)을 코어비트(80) 내부로부터 뽑아내는 것은 곤란하고, 작업성의 저하를 초래한다라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은 콘크리트(82)에 대해서 구멍을 뚫는 경우에는, 코어비트 (80)는 높은 토크를 발생할 필요가 있음과 아울러, 소모된 코어비트(80)는 용이하게 교환가능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모터(81)는, 기아를 끼우고 있기 때문에, 엔진이나 유압모터 등과 마찬가지로, 중량이 무겁고, 취급성이 부족하고, 게다가는, 소음도 크다라는 (90dB이상) 문제가 있고, 또한, 회전수가 고속에서도 약 1500rpm으로 낮고, 특수전동모터에서도 3000 내지 3900rpm정도가 최고이고, 이 때문에,천공시간이 장시간으로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또한, 초음파에 의해서 천공하는 초음파 천공장치는, 비교적 저소음으로 천공시키는 것이 가능한 반면, 그 천공속도가 느리고, 또한 작업시간의 장기화를 초래해버린다라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높은 토크, 회전수를 발생하여 단시간에 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모된 코어비트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게다가 코어심이 코어비트 내부에 끼워맞춰지기 어려운 저소음의 굴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다.
본 발명의 굴삭장치는, 피굴삭물을 환형으로 굴삭하는 비트를 보유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와, 이 코어비트를 회전시키는 중공형 모터를 구비한 굴삭장치로서, 상기 중공형 모터는, 상기 코어비트가 관통가능하게 설치된 통형상의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 회전자의 통형상내부에 배치된 상기 코어비트의 외주면을 고정하므로써 이 코어비트를 상기 회전자의 회전과 함께 회전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자의 통형상 내부에 관통되어 이 회전자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된 코어비트는, 회전자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즉, 회전자의 회전은 고정부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코어비트에 전달되므로, 코어비트는 높은 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회전자의 회전은 고정부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코어비트에 전달되는 구성으로서 기어 등의 부재는 필요없는 것이므로, 발생하는 소음은 저감된다. 게다가, 고정부는 코어비트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고정을 푸는 것만으로 코어비트의 지지는 풀어진다. 따라서 코어비트의 교환 등이라는 보수관리는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이므로 작업성은 향상된다. 게다가 코어비트는 교환가능하므로, 여러 가지의 두께나 날의 형상을 보유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중공형 모터가, 비트를 보유하는 코어비트를 직적회전시키는 고강성의 다이렉트형의 모터이므로, 회전축인 코어비트의 흔들림이 극히 작고, 이것에 의해, 고속회전시켜서 천공할 수 있고, 종래의 저속으로 천공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그 천공속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천공가공을 저속으로 행할 수 있고, 천공작업을 보유하는 각종 시공작업의 공정기간의 단축화 및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이렉트형의 모터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므로, 엔진, 유압모터 또는 기어를 부착한 전동모터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소음을 대폭(약70dB정도)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또한, 부품점수가 적어지므로, 보수관리작업에 걸리는 노력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굴삭장치는, 피굴삭물을 환형으로 굴삭하는 비트를 보유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와, 이 코어비트를 회전시키는 중공형 모터를 구비한 굴삭장치로서, 상기 중공형 모터는, 선단부에 상기 코어비트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회전축이 관통된 통형상의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와, 상기 회전축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냉각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냉각액을 상기 외전축 내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회전식 조인트를 보유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의 관통구멍 내로 상기 회전식 조인트를 통해서 보내지는 냉각액이 상기 회전축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하여 상기 관통구멍이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고, 이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서, 냉각팬에 의하지 않고 냉각이 행해진다.
따라서, 냉각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액을 회전자에 삽입통과되어서 관통된 회전축의 후단부로부터 회전식 조인트를 통해 회전축의 관통구멍 내로 보내지면서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코어비트의 비트에 의해서 피굴삭물을 굴삭하므로써, 후단부로부터 보내진 냉각액이 회전축의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므로써, 회전축을 통해서, 중공형 모터의 내부의 열이 흡수되고, 중공형 모터의 내부가 양호하게 냉각된다.
결국, 코어비트가 부착되는 회전축을 직접 회전시키는, 소위 다이렉트형 모터이므로, 회전축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 회전축의 후단부로부터 관통구멍으로 보내진 냉각액을 고속회전되고 있는 회전축의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것이 가능하고, 냉각액에 의한 냉각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지, 중공의 회전축 내로 공기를 보내주는 것과 비교하여도, 극히 양호한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냉각을 위한 팬이 불필요하므로, 소음이 없는 극히 조용한 소형ㆍ경량화된 굴삭장치로 할 수 있고, 게다가는, 팬에 의한 공냉팬과 비교하여, 부스러기나 분진이 흡인됨이 없이, 부스러기나 분진의 흡인에 의한 고장을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회전축의 후단부로부터 보내지는 냉각액에 의해서 냉각이 단속되는 것이므로, 정지 직후에 냉각되지 않게 되는 것에 의한 손상을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므로써, 중공형 모터를 냉각한 냉각액은, 코어비트 내로 보내지고, 그 후, 피굴삭물을 굴삭하고 있는 비트에 의한 굴삭부분으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냉각액에 의해서 비트에 의한 굴삭부분의 냉각을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냉각액을 굴삭부분에 있어서의 윤활제로서 윤활한 굴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형 모터는, 회전축이 삽입통과되는 중공부를 보유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통과된 회전축의 외주면을 고정하므로써 이 회전축을 상기 회전자의 회전과 함께 회전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자의 중공부에 삽입통과된 이 회전자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고정부에 의해서 고정된 회전축은, 회전자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즉, 회전자의 회전은 고정부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회전축에 전달되는 것이므로, 기어 등의 전달손실가 없이 회전축은 높은 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는 회전축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고정을 푸는 것만으로 회전축의 지지는 풀어진다. 이것에 의해, 회전축의 교환 등이라는 보수관리는 용이하게 행해지므로, 작업성은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중공형 모터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를 보유하고, 상기 회전자에는, 그 일단에, 천공공구가 직접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서 천공공구가 직접 회전되므로, 기어 등의 전달손실이 없이 높은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구성부품점수를 아주 적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삭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굴삭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굴삭장치에 이용되는 중공형 모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중공형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굴삭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굴삭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굴삭장치에 이용되는 다른 중공형 모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중공형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굴삭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굴삭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다른 굴삭장치에 이용되는 중공형 모터의 구조를 설명하는 중공형 모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굴삭장치에 이용되는 중공형 모터의 회전축 내에 있어서의 냉각액의 흐름을 설명하는 회전축 및 회전자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굴삭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굴삭장치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ㆍㆍㆍ 굴삭장치 2 ㆍㆍㆍ 코어비트
2a ㆍㆍㆍ 비트 3 ㆍㆍㆍ 중공형 모터
4 ㆍㆍㆍ 냉각팬 5 ㆍㆍㆍ 이송기구
5a ㆍㆍㆍ 랙 5b ㆍㆍㆍ 피니언
6 ㆍㆍㆍ 외부 커버 32 ㆍㆍㆍ 회전자
33 ㆍㆍㆍ 고정자 34a, 34b ㆍㆍㆍ 고정부
35 ㆍㆍㆍ 하우징 37 ㆍㆍㆍ 흡기구
38 ㆍㆍㆍ 배출구 39 ㆍㆍㆍ 브러쉬
A ㆍㆍㆍ 코어심 C ㆍㆍㆍ 콘크리트
a1 ㆍㆍㆍ 근원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굴삭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굴삭장치의 일실시형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방단면도이다. 또한, 도 2는 중공형 모터의 요부확대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굴삭장치(1)는, 피굴삭물인 콘크리트(C)를 환형으로 굴삭하기 위한 선단에 비트(2a)를 보유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2)와, 이 코어비트(2)를 회전시키는 중공형 모터(3)와,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삽입통과되고 있는 누름봉(누름부)(4)과, 중공형 모터(3)를 코어비트(C)의 표면에 대해서 접근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기구(5)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이들은 분해가능한 천정부와 코어비트(2)의 반경방향 외방으로 설치된 원통형상의 둘레벽부를 구비한 외부커버(6)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이 중 중공형 모터(3)는, 도 2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어비트(2)를 관통가능한 중공부(32c)를 보유하는 회전자(32)와, 이 회전자(32)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33)와, 회전자(32)의 양단에 설치된 고정부(34a, 34b)를 구비하고 있다. 이 중, 회전자(32)와 고정자(33)는 상벽부(35a)와 하벽부(35b)를 구비한 하우징(35)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코어비트(2)는 원통형상부재의 선단에 다이아몬드나 초경칩으로 이루어지는 비트(2a)를 구비한 것으로서, 회전되므로써 콘크리트(C)를 굴삭하고, 원기둥형상의 코어심(A)을 형성가능하게 되어 있다.
고정자(33)의 내측에 설치된 회전자(32)는 중공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원통부(32a)와, 이 원통부(32a)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코어비트(2)의 길이방향에 따르는 형상을 보유한 원통형상의 회전지지부(32b)를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회전지지부(32b)의 내주에는, 코어비트(2)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구멍인 중공부 (32c)가 축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35)의 상벽부(35a) 및 하벽부(35b)의 내측에는, 회전자(3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36a, 36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베어링(36a, 36b)은 회전자(32)의 회전지지부(32b)의 상하양단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코어비트(2) 및 이것에 연결된 회전자(32)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방향의 힘과 라디알방향의 힘을 받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회전자(32) 중 원통부(32a)의 반경방향 외방에는, 고정자(33)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고정자(33)는 원통부(32a)와 동일 길이를 보유한 원통형상의 것이고, 하우징(35)의 내주면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자(32)의 회전지지부(32b)의 상하양단에는, 중공부(32c)의 내부에 배치된 코어비트(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34a, 3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고정부(34a, 34b)는, 하우징(35)의 상벽부(35a) 및 하벽부(35b) 각각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자(32)의 회전지지부(32b)의 상하양단에 각각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부(34a, 34b)는, 예컨대 드릴 척이나 스크롤 척이라는 척기구로서, 회전자(32)의 중공부(32c)에 관통상태의 코어비트(2)의 외주면을 체결하므로써 이 코어비트(2)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코어비트(2)는 고정부(34a, 34b)에 의해서 회전자(32)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회전자(32)의 회전은, 코어비트(2)에 고정부(34a, 34b)를 통해서 직접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정부(34a, 34b)에 고정된 코어비트(2)는, 회전자(32)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공형 모터(3)에는, 회전지지부(32b)의 선단측에 냉각팬(4)이 설치되어 있고, 회전지지부(32b)가 회전되므로써, 하우징(35)의 선단측에 형성된 흡기구 (37)로부터 하우징(35) 내에 공기를 끌어들이고, 중공형 모터(3) 내로 내뿜고, 그 후, 고정자(33)와 회전자(32)이 간극이나, 고정자(33)와 하우징(35)의 공간부분으로 통하고, 하우징(35)의 상벽부(36a)에 형성된 배출구(38)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39는, 중공형 모터(3)의 하우징(35) 내에 있어서의 상방측에서, 회전지지부(32b)에 접촉하도록, 그 둘레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부이고, 이 브러쉬부(39)로부터 회전자(32)의 코일에 구동전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회전자(32)와 고정자(33)를 구비한 중공형 모터(3)는, 브러쉬가붙은 모터 또는 브러쉬가 없는 모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이어도 좋다. 또한, 회전자(32)가 통전되는 코일을 구비한 것인 경우에는 고정자(33)를 마그네트로 하고, 한편, 회전자(32)의 원통부(32a)를 마그네트로 한 경우에는 고정자(33)는 통전되는 코일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를 보유하는 회전자(32) 또는 고정자(33)의 내의 어느 한 쪽은, 그 마그네트로서,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고밀도 마그네트가 이용되어진다. 이송기구(5)는 중공형 모터(3)에 연결된 코어비트 (2)의 선단을 피굴삭물인 콘크리트(C)에 대해서 접근 및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고, 중공형 모터(3)의 일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 이송기구(5)는 랙(5a)과 피니언(5b)을 구비하고 있고, 랙(5a)의 상단은 외부 커버(6)의 천정부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하단은 콘크리트(C)의 표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연결시킨 피니언(5b)을 구동시키므로써, 중공형 모터(3)와 이 중공형 모터(3)에 연결되어 있는 코어비트(2)는, 외부 커버(6) 내부에 있어서 승강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송기구(5)에 의해서 중공형 모터(3)에 연결된 코어비트(2)가 하강된 경우에는, 코어비트(2)의 비트(2a)의 콘크리트(C)에 대한 압압력이 증가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C)는 원기둥형상으로 굴삭되도록 된다.
한편, 이송기구(5)에 의해서 중공형 모터(3)와 함께 코어비트(2)가 상승된 경우에는, 코어비트(2)는 콘크리트(C) 내부로부터 뽑아내도록 되어 있다.
누름봉(4)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삽입통과된것으로서, 그 하단이 콘크리트(C) 중 코어비트(2)의 내측부분에 위치하는 코어심 (A)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봉(4)은, 이송기구(5)에 의해서 승강되는 중공형 모터(3) 및 이것에 연결된 코어비트(2)는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고, 코어비트(2) 및 중공형 모터(3)가 승강되어도, 누름봉(4)은 그 위치를 변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누름봉(4)은, 그 상단을 외부 커버(6)로부터 돌출시키고 있고, 상방으로부터 손 등에 의해서 누를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누름봉(4)과 외부 커버(6)의 천정부를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유하는 굴삭장치(1)에 의해서 콘크리트(C)를 굴삭하는 경우, 처음에 척기구인 고정부(34a, 34b)를 느슨하게 하여 회전자(32)의 중공부 (32c)에 코어비트(2)를 관통가능한 상태로 하고, 다음으로 코어비트(2), 그 비트 (2a)가 하단측의 고정부(34b)의 외방으로 배치되도록 중공부(32c)에 삽입통과시킨다.
게다가, 중공부(32c)의 내부에 있어서 코어비트(2)를 원하는 위치에 배치시키면, 상하양단에 설치된 척기구로 이루어지는 고정부(34a, 34b)에 의해서 코어비트(2)의 2부분의 외주면을 체결하여 고정시킨다. 게다가, 고정자(33)(또는 회전자 (32))에 설치된 코일을 통전시키고, 고정부(34a, 34b)에 연결된 회전자(32)를 회전시킨다. 고정부(34a, 34b)에 고정된 코어비트(2)는, 회전자(32)의 회전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된다.
게다가, 이 코어비트(2)의 비트(2a)를 콘크리트(C)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때,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누름봉(4)을 삽입통과시키고, 그 하단을 코어비트(2) 내측부분에 위치하는 콘크리트(C)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것과 동시에 이송기구(5)의 피니언(5b)을 구동하여 코어비트(2)를 둥공형 모터(3)와 함께 하강시킨다. 이 하강에 따라서, 코어비트(2)의 비트(2a)와 콘크리트(C)의 표면과의 압압력이 증가하고, 콘크리트(C)는 둥근 환형으로 굴삭된다.
게다가, 콘크리트(C)가 코어비트(2)에 의해서 원하는 깊이까지 굴삭되면, 이송기구(5)에 의해서 이 코어비트(2)를 중공형 모터(3)와 함께 상승시키고, 코어비트(2)를 콘크리트(C)로부터 뽑아낸다. 이 때, 누름봉(4)의 선단에 의해서 코어심 (A)의 표면을 누르면서 코어비트(2)를 뽑아낸다.
여기서, 코어비트(2)를 콘크리트(C)로부터 뽑아낼 때에, 코어심(A)을 누름봉 (4)에 의해서 누르므로써, 가령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코어심(A)의 근원(a1)이 절단되어도, 코어심(A)은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끼워맞춰져서 함께 뽑아내져버리는 것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굴삭된 콘크리트(C)에서는 코어비트(2)만이 뽑아내지고, 코어심(A)은 콘크리트(C) 내부에 잔존한다.
또한, 코어비트(2)의 상단측에 냉각수 공급수단을 연결하고,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를 통과시켜서 비트(2a)에 직접 냉각수를 공급하면서 굴삭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된 냉각수에 의해서 비트(2a)의 가열은 저감되는 것이므로 코어비트(2)의 사용수명은 장기화되어짐과 아울러, 굴삭에 의해서 생긴 콘크리트의 분진의 비산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진공기구에 연결된 척을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상단측으로부터 비트(2a)로 향하여 삽입하고, 굴삭에 의해서 생기는 분진이나 부스러기 등을 흡인하면서 굴삭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게다가, 코어비트(2)를 콘크리트(C)로부터 뽑아내면, 콘크리트(C) 내부에 잔존하는 코어심(A)를 손 등으로 근원(a1)로부터 잘라내서 뽑아내므로써 구멍이 형성된다.
또한, 코어비트(2)의 비트(2a)가 굴삭에 의해서 소모된 경우에는, 고정부 (34a, 34b)의 지지를 푸는 것에 의해서 새로운 코어비트(2)와의 교환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자(32)의 통형상 내부에 관통되고 이 회전자(32)와 일체적으로 연결된 고정부(34a, 34b)에 의해서 고정된 코어비트(2)는, 회전자(32)의 회전을 직접적으로 받는다. 즉, 중공형 모터(3)는, 코어비트(2)를 직접 회전시키는 다이렉트형 모터이므로, 회전자(32)의 회전이 고정부(34a, 34b)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코어비트(2)에 전달되고, 코어비트(2)는 높은 토크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C)의 굴삭은 안정하게 행해진다. 또한, 회전자(2)의 회전은 고정부(34a, 34b)를 통해서 직접적으로 코어비트(2)에 전달되는 구성으로서 기어 등의 부재는 필요없으므로, 발생하는 소음은 저감된다. 게다가, 고정부(34a, 34b)는 코어비트(2)의 외주면을 체결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이 체결을 푸는 것만으로 코어비트(2)의 지지는 풀어진다.
따라서 코어비트(2)의 교환 등이라는 보수관리는 용이하게 행해지므로 작업성은 향상된다. 게다가 코어비트(2)는 교환가능하므로, 여러 가지 두께나 형상의비트(2a)를 보유한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굴삭장치(1)는, 그 중공형 모터(3)가 비트(2a)를 보유하는 코어비트(2)를 직접 회전시키는 고강성 다이렉트형 모터이므로, 회전축인 코어비트(2)의 흔들림이 극히 작고, 이것에 의해, 고속회전시켜서 천공할 수 있고, 종래의 저속으로 천공한 경우와 비교하여 그 천공속도를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천공가공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천공작업을 보유하는 각종 시공작업의 공정기간의 단축화 및 용이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이렉트형 모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엔진, 유압모터 또는 기어붙은 전동모터를 이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소음을 대폭(약 70dB정도)적으로 저감시킬 수있고, 또한, 부품점수가 적어지므로, 보수관리작업에 걸리는 노력도 대폭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게다가, 코어비트(2)를 콘크리트(C)로부터 뽑아낼 때,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 삽입통과시킨 누름봉(4)에 의해서 콘크리트(C)의 코어비트(2) 내측부분인 코어심(A)의 표면을 누르므로써, 코어비트(2)만이 뽑아내져서 코어심(A)은, 콘크리트(C) 내부에 잔존하도록 된다. 따라서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에는 코어심(A)은 끼워맞춰지지 않으므로, 종래와 같이 코어비트(2)의 통형상 내부로부터 코어심 (A)을 제거한다라는 곤란한 작업은 필요없게 되고, 작업성은 향상된다.
코어비트(2)는, 랙(5a)과 피니언(5b)을 구비한 이송기구(5)에 의해서 안내되면서 승강하여 콘크리트(C)를 굴삭하므로, 안정한 형상의 코어심(A)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얻어지는 구멍의 형상도 안정한 것으로 된다.
외부 커버(6)를 설치하므로써, 굴삭에 의해서 생기는 콘크리트(C)의 분진이나 부스러기의 비산은 방지됨과 아울러, 굴삭에 의해서 생기는 소음을 저감된다.
또한, 회전자(32) 또는 고정자(33) 중 어느 한 쪽에 설치된 마그네트가,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고밀도 마그네트이므로, 회전자(32) 또는 고정자(33)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더 나은 소형ㆍ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3에서 나타내는 것은, 다른 실시의 형태의 굴삭장치(1)이다. 이 굴삭장치 (1)는, 선단부가, 예각으로 좁아진 테이퍼형상의 위치결정부(4a)로 된 누름봉(4)을 보유한 것이다.
이 누름봉(4)을 보유하는 굴삭장치(1)에서는, 굴삭 시에, 누름봉(4)의 위치결정부(4a)를, 미리 피굴삭물인 콘크리트(C)에 형성한 위치결정구멍으로 이루어지는 마크(M)로 끼워맞춘 형태로, 천공작업이 행해진다.
결국, 이 굴삭장치(1)에 의하면, 누름봉(4)의 위치결정부(4a)를 코어비트(C)의 마크(M)에 끼워맞추어 위치결정시키므로써, 극히 정밀도 좋게 천공가공을 행할 수 있고, 게다가, 이때, 중심에 남는 코어심(A)이 누름봉(4)에 의해서 확실하게 지지되고, 이 코어심(A)의 흔들림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와 같이, 코어심(A)을 지지하면서 천공작업을 행하므로써, 코어심 (A)이 코어비트(2)의 내면에 간섭하는 것에 의한 문제를 확실하게 방지하여, 양호한 천공작업을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굴삭장치(1)에 이용되는 다른 중공형 모터(3)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중공형 모터(3)는, 회전자(32)를 구성하는 회전지지부(32b)의 일단이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된 회전지지부(32b)가 연결부 (41)로 되어 있다. 게다가, 이 회전지지부(32b)의 연결부(41)에는, 선단부에 비트 (2a)가 설치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2A)가 직접 연결고정되어 있다.
이 연결부(41)에는, 코어비트(2A)를 연결고정하기 위한 어댑터(4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어댑터(42)에 의해서 회전자(32)의 회전지지부(32b)의 연결부(41)와 코어비트(2A)가 연결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이 중공형 모터(3)에 있어서도, 고정자(33)(또는 회전자(32))에 설치된 코일을 통전시키고, 회전자(32)를 회전시키므로써, 회전자(32)의 회전지지부 (32b)의 연결부(41)에 직접 연결된 코어비트(2A)가 회전자(32)의 회전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 코어비트(2A)의 선단부의 비트(2a)를 예컨대 콘크리트 등의 피굴삭물에 갖다 대므로써, 피굴삭물을 굴삭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중공형 모터(3)에서는, 회전자(32)의 회전이, 선단부에 비트 (2a)가 설치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2A)로 이루어지는 천공공구로 직접적으로 전달되므로, 기어 등의 전달손실이 없게 코어비트(2A)를 높은 토크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자(32)에, 공구에 있는 코어비트(2A)가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이므로, 구성부품점수가 아주 적게 할 수 있다.
다음에, 다른 굴삭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부호 51은, 굴삭장치이고, 부호 52는, 이 굴삭장치 (51)를 구성하는 중공형 모터이다. 이 굴삭장치(51)는, 기대(53)에 세워서 설치된지지기둥(54)에, 이송기구(55)를 통해서 상기 중공형 모터(52)를 지지시킨 구조로 되어 있고, 이송기구(55)에 의해서 중공형 모터(52)가 지지기둥(54)에 따라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중공형 모터(52)는, 그 중심에 원통형상의 회전축(61)을 보유한 것이므로, 이 회전축(61)의 선단부에는, 어댑터(62)를 통해서 코어비트(63)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코어비트(63)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튜브(64)의 선단부에, 다이아몬드 비트로 이루어지는 비트(65)가 원주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이 중공형 모터(52)는, 회전축(61)에 직결된 공구인 코어비트(63)를 직접회전시키는 다이아몬드형 모터이다.
코어비트(63)를 구성하는 비트(65)는, 예컨대, 다이아몬드 숫돌입자를 메탈본드 또는 레진본드를 바인더로서 고정한 다이아몬드 비트이다.
중공형 모터(52)에는, 그 하우징(66) 내에, 회전축(61)이 삽입통과되어서 일체적으로 고정된 회전자(67)와, 이 회전자(67)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68)를 보유하고 있다.
하우징(66)의 상벽부(66a) 및 하벽부(66b)의 내측에는, 회전자(6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69a, 69b)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베어링(69a, 69b)은, 회전자(67)의 중심에 삽입통과된 회전축(61)의 상하단부 근방을 지지하도록 되어 있고, 회전축(61) 및 이 회전축(61)이 삽입통과된 회전자(67)에 작용하는 스러스트방향의 힘과 라디알방향의 힘을 받는 것이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중공형 모터(52)의 후단부에는, 회전식 조인트(7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식 조인트(71)는, 하우징(66)의 상벽부(66a)에 부착되어 있고, 회전축(61)의 후단부와 회전가능하게 또한 액밀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 회전식 조인트(71)에는, 회전축(61)의 중심의 관통구멍(61a)과 연이어 통하는 유로(7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유로(72)는, 회전식 조인트(71)의 측방으로 개구되어 있다. 이 측방에 개구된 개구부(73)에는, 튜브(74)가 접속되도록 되어 있고, 이 튜브(74)로부터 냉각수(냉각액)이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이 튜브(74)로부터 회전식 조인트(71)의 유로(72)로 보내진 냉각수는, 이 회전식 조이트(71)의 유로(72)를 통하고,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으로 안내되어, 그 후, 회전축(61)의 선단부에 어댑터(62)를 통해서 연결된 코어비트 (63)의 튜브(64) 내에 보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부호 75는, 중공형 모터(52)의 하우징(66) 내에 있어서의 상방측에서, 회전축(61)에 접촉하도록, 그 둘레방향으로 설치된 브러쉬부이고, 이 브러쉬부(75)로부터 구동전류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들 회전자(62)와 고정자(63)를 구비한 중공형 모터(52)는, 브러쉬 붙은 모터 또는 브러쉬 없는 모터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도 좋다. 또한, 회전자 (67)가 코일을 구비한 것인 경우에는, 고정자(68)는 마그네트 또는 코일 중 어느 것으로도 좋고, 한편 회전자(67)를 마그네트로 한 경우에는 고정자(63)는 코일을 구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를 보유하는 회전자(67) 또는 고정자(68) 내 어느 한 쪽은,그 마그네트로서,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고밀도 마그네트가 이용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굴삭장치(51)를 이용하여 피굴삭물인 콘크리트(C)에 구멍을 뚫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지지기둥(54)의 상방측으로 위치시킨 중공형 모터(52), 콘크리트(C)의 원하는 천공위치에, 회전축(61)의 축선이 일치하도록 위치결정하고, 기대(53)를 콘크리트(C)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굴삭장치(51)를 콘크리트(C)에 설치하면, 중공형 모터(52)의 회전자(67)(또는 고정자(68))의 코일에 통전하고, 회전자(67)를 약 4000rpm의 고속으로 회전시킴과 아울러, 도시하지 않은 냉각수 공급장치(냉각액 공급원)로부터 튜브 (74)를 통해서 냉각수를 보낸다.
이와 같이 하면, 냉각수 공급장치로부터 튜브(74)를 통해서 보내진 냉각수가, 회전식 조인트(71)의 유로(72)를 통해서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 내로 보내진다.
게다가, 이 상태에 있어서, 이송기구(55)에 의해서 중공형 모터(52)를 하강시키므로써, 회전축(61)의 선단부에 연결한 코어비트(63)의 비트(6%)를 콘크리트 (C)의 표면에 접촉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는 비트(65)에 의해서 콘크리트(C)에 환형의 구멍(H)이 형성된다.
여기서, 이 중공형 모터(52)에서는, 회전축(61)이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으므로, 이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 내에 보내진 냉각수는, 도 3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에 따라서 선단부 방향으로 흐르게 된다.
결국,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 내를 흐르는 냉각수는,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므로써, 회전축(61)을 통해서, 중공형 모터(52)의 내부의 열을 흡수하면서 선단부로 이동하고, 중공형 모터(52)의 내부가 극히 양호하게 냉각된다.
게다가,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므로써, 중공형 모터(52)를 냉각한 냉각수는, 코어비트(63)의 튜브(54) 내로 보내지고, 그 후, 콘크리트(C)를 굴삭하고 있는 비트(65)에 의한 굴삭부분으로 공급된다.
이것에 의해, 이 비트(65)에서는, 냉각수에 의해서 굴삭부분이 냉각되고, 또한, 이 냉각수는, 비트(65)에 의한 굴삭부분에 있어서의 윤활제로 되어 양호한 굴삭을 행하게하고, 부스러기와 함께, 외부에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굴삭장치(51)에 의하면, 냉각수 공급원인 도시하지 않는 냉각수 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를 회전자(67)에 삽입통과되어서 관통된 회전축(61)의 후단부로부터 회전식 조인트(71)를 통해서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 내로 보내지면서 회전축(61)을 회전시켜 코어비트(63)의 비트(65)에 의해서 콘크리트(C)를 굴삭하므로써, 후단부로부터 보내진 냉각수가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므로써, 회전축(61)을 통해서, 중공형 모터(52)의 내부의 열이 흡수되고, 중공형 모터(52)의 내부가 양호하게 냉각된다.
결국 코어비트(63)아 부착되어 있는 회전축(61)을 직접회전시키는, 소위 다이렉트형 모터이므로, 회전축(61)을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 회전축(61)의 후단부로부터 관통구멍(61a)으로 보내진 냉각수를 고속회전하고 있는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를 수 있고, 냉각수에 의한 냉각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지, 중공의 회전축 내로 공기를 보내도록 한 것과 비교하여도, 극히 양호한 냉각효율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냉각을 위한 팬이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므로, 소음이 없는 극히 조용한 소형ㆍ경량화된 굴삭장치(51)로 할 수 있고, 게다가는, 팬에 의한 공냉타입과 비교하여, 부스러기나 분진이 흡인되는 것이 없이, 부스러기나 분진의 흡인에 의한 고장이 없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축(61)의 회전을 정지시켜도, 회전축(61)의 후단부로부터 보내지는 냉각수에 의해서 냉각이 단속되므로, 정지 직후에 냉각되지 않게 됨에 의한 손실을 없게 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므로써, 중공형 모터(52)를 냉각한 냉각수는, 코어비트(63) 내로 보내지고, 그 후, 콘크리트(C)를 굴삭하고 있는 비트(65)에 의한 굴삭부분으로 공급되므로, 냉각수에 의해서 비트 (65)에 의한 굴삭부분의 냉각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냉각수를 굴삭부분에 있어서의 윤활제로서 원활한 굴삭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회전자(67)와 회전축(61)이 일체적을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공형 모터(52) 내의 열을 회전자(67)로부터 회전축(61)으로 양호하게 전달시켜서, 이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는 냉각수로, 중공형 모터(52)의열을 확실하게 또한 양호하게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중공형 모터(52)를 하우징(66)에 의해서 밀폐한 구조로 하여, 회전축(61)의 관통구멍(61a) 내로 보내지는 냉각수에 의해서 중공형 모터(52)를 냉각시키는 것이므로, 양호한 냉각효율을 확보하면서 중공형 모터(52) 내로의 부스러기나 분진의 침입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고장이 적은 굴삭장치 (51)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에서는, 물을 냉각액으로서 이용하였지만, 이 냉각액으로서, 물 이외의 냉각효과에 우수한 액체를 이용하므로써, 더 나은 냉각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높은토크, 회전수를 발생하여 단시간에 천공할 수 있음과 아울러, 소모된 코어비트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고, 게다가 코어심이 코어비트 내부에 끼워맞춰지기 어려운 저소음의 굴삭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피굴삭물을 환형으로 굴삭하는 비트를 보유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와, 이 코어비트를 회전시키는 중공형 모터를 구비한 굴삭장치로서,
    상기 중공형 모터는, 상기 코어비트가 관통가능하게 설치된 통형상의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양단에 설치되고, 이 회전자의 통형상 내부에 배치된 상기 코어비트의 외주면을 고정하므로써 이 코어비트를 상기 회전자의 회전과 함께 회전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비트의 통형상 내부로 삽입통과되고, 상기 피굴삭물 중 코어비트 내측부분의 표면에 접촉하는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의 선단부가 선단으로 향하여 점점 좁아지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 위치결정부로 되고, 미리 상기 피굴삭물에 형성된 위치결정구멍으로 끼워맞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모터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코어비트의 상기 비트를 피굴삭물에 대해서 접근 및 분리시키는 이송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비트의 반경방향 외방으로, 원통형상의 외부커버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 중 어느 한 쪽은,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마그네트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7. 피굴삭물을 환형으로 굴삭하는 비트를 보유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와, 이 코어비트를 회전시키는 중공형 모터를 구비한 굴삭장치로서,
    상기 중공형 모터는, 선단부에 상기 코어비트가 부착된 원통형상의 회전축이 관통된 통형상의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와,
    상기 회전축의 후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냉각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액을 상기 회전축 내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회전식 조인트를 보유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의 관통구멍 내로 상기 회전식 조인트를 통해서 보내지는 냉각액이 상기 회전축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하여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고, 이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서, 냉각팬에 의하지 않고 냉각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회전축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모터의 외부둘레가, 하우징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모터를 축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코어비트의 상기 비트를 상기 피굴삭물에 대해서 접근 및 분리시키는 이송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형 모터의 회전자 또는 고정자 중 어느 한 쪽은,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마그네트를 보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장치.
  12. 회전축이 삽입통과되는 중공부를 보유하는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와,
    상기 회전자의 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부 내에 삽입통과된 회전축의 외주면을 고정하므로써 이 회전축을 상기 회전자의 회전과 함께 회전시키는 고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는, 상기 회전축이 관통가능한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전자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또는 고정자 중 어느 한 쪽은,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마그네트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5. 중공형상으로 형성된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위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고정자를 보유하고,
    상기 회전자에는, 그 일단에, 천공공구가 직접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6. 상기 회전자에는 원통형상의 회전축이 관통되고, 이 회전축의 후단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서 냉각액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액을 상기 회전축의 관통구멍 내로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 회전식 조인트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자와 함께 회전되는 상기 회전축 내로 상기 회전식 조인트를 통해서 보내지는 냉각액이 상기 회전축의 후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하여 상기 관통구멍의 내주면을 따라서 흐르고, 이 흐르는 냉각액에 의해서, 냉각팬에 의하지 않고 냉각이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와 상기 회전축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8. 제 16항에 있어서, 외부둘레가, 하우징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천공공구는, 선단부에 비트가 설치된 원통형상의 코어비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자 또는 상기 고정자 중 어느 한 쪽은, 네오디뮴ㆍ철ㆍ보론계 또는 사마륨ㆍ코발트계의 희토류의 마그네트를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형 모터.
KR1020000066148A 2000-01-27 2000-11-08 굴삭장치 KR200100779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19181A JP2001057757A (ja) 1999-06-11 2000-01-27 中空型モータ
JP2000-019181 2000-01-27
JP2000034198A JP2001055884A (ja) 1999-06-11 2000-02-10 掘削装置
JP2000054814A JP2001241284A (ja) 2000-02-29 2000-02-29 掘削装置
JP2000-054814 2000-02-29
JP2000-034198 2000-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7918A true KR20010077918A (ko) 2001-08-20

Family

ID=27342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148A KR20010077918A (ko) 2000-01-27 2000-11-08 굴삭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10077918A (ko)
CN (1) CN1316816A (ko)
SG (1) SG1651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50B1 (ko) * 2001-04-11 2008-06-27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연삭재 및 그것을 이용한 천공공법
KR100938939B1 (ko) * 2007-11-27 2010-01-27 박정열 진동 굴삭드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49259A (zh) * 2010-10-15 2011-01-19 肖双喜 一种多功能页岩电钻
CN102185401B (zh) * 2011-05-09 2013-02-27 北京交通大学 一种高速永磁同步电机转子
CN106226119B (zh) * 2016-07-20 2023-07-04 辽宁省水利水电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混凝土原状样采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29623A (en) * 1992-07-30 1997-05-13 Schlumberger Technology Corporation Pulsed nuclear magnetism tool for formation evaluation while drilling
US5346775A (en) * 1993-02-22 1994-09-13 At&T Laboratories Article comprising solder with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950B1 (ko) * 2001-04-11 2008-06-27 미츠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연삭재 및 그것을 이용한 천공공법
KR100938939B1 (ko) * 2007-11-27 2010-01-27 박정열 진동 굴삭드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65140A1 (en) 2010-10-28
CN1316816A (zh)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02893B2 (ja) ドリル及びそれを用いた穿孔装置
US4711609A (en) Drill tool
JP5735237B2 (ja) ドリルモータ用工具貫通冷媒アダプタ
KR20010051107A (ko) 고속 구멍뚫는 장치 및 공법
EP1407865B1 (en) Tool, device and method for drilling
KR20010077918A (ko) 굴삭장치
KR101060555B1 (ko) 회전 굴삭공구, 노면 굴삭장치 및 노면 굴삭공법
JP4310353B2 (ja) 回転掘削工具、路面掘削装置及び路面掘削工法
JP2011235407A (ja) 穿孔装置
TW497322B (en) Excavation equipment
JP2003127132A (ja) 掘削工具および掘削方法
JP2002067027A (ja) 高速穴あけ装置及び高速穴あけ工法
JP2001288975A (ja) コアビット及び掘削装置
JP2001055884A (ja) 掘削装置
JP3225309B2 (ja) 掘削装置
JP2001251811A (ja) ダイレクトモータ
JP2001241284A (ja) 掘削装置
CN220551118U (zh) 一种锯片式非开挖扩孔钻头
JP2001173350A (ja) ターボブロア機能を有するダイレクトモ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掘削装置
JP2001288976A (ja) コアビット及び掘削装置
JP2000291359A (ja) 大口径削孔工法および削孔装置
JP2001239436A (ja) 油穴を有する穴明け電動回転工具
JP2001241283A (ja) 掘削装置
JP2002096319A (ja) コアドリル装置
JP2002285773A (ja) さく岩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