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76869A -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76869A
KR20010076869A KR1020000004546A KR20000004546A KR20010076869A KR 20010076869 A KR20010076869 A KR 20010076869A KR 1020000004546 A KR1020000004546 A KR 1020000004546A KR 20000004546 A KR20000004546 A KR 20000004546A KR 20010076869 A KR20010076869 A KR 2001007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ore
coil
inner cor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4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봉
Original Assignee
이길봉
동흥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봉, 동흥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길봉
Priority to KR1020000004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76869A/ko
Publication of KR2001007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86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12Lifting platforms for vehicles or motorcycles or similar lifting apparatus
    • B66F2700/123Details concerning the support members or devices not related to the lifting itsel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기기, LCD 모니터 및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초크코일을 제조하기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베이스의 중앙에 코일이 감긴 원형의 코아를 안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의 가이드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원형의 코아에 코일을 감고 베이스의 선단에 코일의 끝단을 감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주면에 외부코아를 조립한 후 상부에 실링제로 밀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타입 초크코일 제조 방법.

Description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METHOD OF MAKING BASE TYPE CHOKE COIL}
본 발명은 컴퓨터, 통신기기, LCD 모니터 및 전자제품에 사용되는 베이스 형태 초크코일을 제조하기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조과정을 자동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베이스형태 SMD 쵸크코일은 순수한 인덕턴스를 얻기위한 것으로 고주파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소자로써 컴퓨터, 통신기기, LCD 모니터 및 전자제품에서 교류는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며 노이즈 및 리플을 제거하여 직류전류만을 통과시켜 정류작용을 하는 것으로, 종래에 사용되어온 SMD 초크코일은 단순히 릴형태의 코어의 주위에 소정의 길이만큼 코일을 감고 이를 상기 코일의 끝단을 리드프레임의 선단에 납땜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원통형의 코어를 PCB기판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로봇의 핸드가 파지하는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어 SMD 초크코일의 리드프레임의 방향성을 정확히 맞추어 PCB기판에 조립할 수 없으므로 자동화시스템에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코일에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발생하는 자로(磁路)의 형성중 플럭스가 외부로 돌출되어 주위부품에 영항을 주게 된다. 또한, 종래의 SMD는 핀을 코어에 부착하였을 때 평탄도 유지에 대한 문제점과, PCB에 안착하여 리플로우를 타고 납땜을 할 때 핀이 코어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SMD 초크코일의 외부에 외부코어를 형성하여 자로의 형성중 플럭스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여 주위부품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며, 코어가 BASE에 안착되어 PCB 리플로우 통과시 평탄도 및 CORE와 핀의 이탈을 방지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원통형의 릴의 일부를 절단하여 로봇의 아암이 용이하게 파지하여 PCB기판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코아를 사각형의 형태로 구성하여 로봇의 핸드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PCB기판의 정위치에 정확히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의 중앙에 코일이 감긴 원형의 코아를 안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의 베이스 가이드를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원형의 코아에 코일을 감고 베이스의 선단에 코일의 끝단을 감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주면에 외부코아를 조립한 후 상측 공간부에 실링제로 밀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베이스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 베이스 형태 초크코일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 베이스 형태 초크코일의 조립상태의 단면도
도 4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코어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베이스 11 : 코아 안착부
12 : 베이스 가이드 13 : 베이스 선단
14 : 내부코아 15 : 구멍
16 : 코일 17 : 외부코아
18 : 관통부 19 : 베이스 선단 안착부
20 : 실링제
이하 본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a는 본 발명 베이스의 정면도, 도 1b는 본 발명 베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정을 설명하면 중앙에 코아 안착부 1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베이스 가이드 12가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 11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선단 13이 상기 베이스가이드 12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10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코아안착부 11에 릴형태의 내부코아 14를 안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가이드 12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릴형태의 내부코아 14에 코일 16을 감고 베이스선단 13에 코일 16의 끝단을 감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 18이 형성되며 외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부위의 내측에는 관통부와 연이어 베이스선단의 안착부 19가 형성된 외부코아 17을 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베이스선단의 상부와 내측코아와 외측코아 사이를 실링제 20로 밀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2a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에 코아 안착부 11가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베이스가이드 12가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 11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선단 13이 상기 베이스가이드 12에 연결되어 있는 베이스 10은 띠형태로 길게 제작되며, 베이스가이드 12에는 일정간격으로 구멍 15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베이스를 자동화기기에서 일정간격만큼씩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이후 도 2b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코아 안착부 11에 릴형태의 내부코아 14를 안착시키게 되는데 이는 자동화된 시스템에서 도시하지 않은 로봇이 내부코아 14의 상단을 잡고 이동시켜 내부코아를 안착시킨후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상기 베이스선단 13의 선단부에서 도시하지 않은 절단기를 이용하여 절단하면 베이스가이드 12은 제거되어 도 2c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코어의 하면에 베이스가 설치된 상태가 된다.
이후 도 2d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릴형태의 내부코아 14에 코일 16을 감고베이스선단 13에 코일 16의 끝단을 감아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며,
상기 공정을 완료한후 도 2e에 도시한 바와같이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 18이 형성되며 외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부위의 내측에는 관통부와 연이어 베이스선단 안착부 19가 형성된 외부코아 17을 조립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선단 안착부 19에 베이스선단 13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도 2f에 도시한 바와같이 베이스선단 안착부 의 상부와 내측코아와 외측코아 사이의 공간에 실링제 20으로 밀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실링제 20에 의해 내부코아와 외부코아가 접착되어 베이스가 견고히 고정되어 지는 것이며, 베이스의 하부가 전극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릴형태의 내부코아를 사용하였지만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양단이 절취되어 절단면을 가지는 코아를 사용할 경우 내부 코아조립 과정에서 로봇의 아암이 파지하는 부위가 평면으로 구성되어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항상 일정한 위치에 방향성을 맞추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럭스가 외부로 돌출되지 않아 주위부품에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으며 내부코아 및 외부코아의 파지면이 직선으로 구성되어 로봇의 핸드가 파지할 때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으며 PCB 기판에 조립할 때 방향성을 맞추어 정확히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PCB와 베이스 형태의 SMD 초크코일과 평탄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PCB에 안착하여 리플로우 이동시 원활한 납땜과 코아가 베이스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베이스 10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금속을 도금한 후 프레스 기계를 이용하여 베이스 선단 13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 선단 13의 버(burr)를 제거하는 공정과,
    금형에 베이스 선단 13을 삽입한 후 금형에 플라스틱 액을 넣고 성형하는 공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베이스 10에서 버(burr)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베이스 10의 제조 방법
  2. 초크코일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중앙에 코아 안착부 11이 형성되고 양측면에는 베이스가이드 12가 형성되며 상기 코아안착부 11로부터 연장되는 베이스 선단 13이 상기 베이스가이드 12에 연결되어있는 베이스 10을 제작하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의 중앙에 형성된 코아안착부 11에 릴형태의 내부코아 14를 안착시키는 공정과,
    상기 베이스가이드 12를 절단기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릴형태의 내부코아 14에 코일 16을 감고 베이스선단 13에 코일 16의 끝단을 감아 고정시키는 과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중앙에 원형의 관통부 18이 형성되며 외면이 사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모서리 부위의 내측에는 관통부와 연이어 베이스선단안착부 19가 형성된 외부코아 17을 조립하는 과정과,
    상기 공정을 완료한 후 베이스선단안착부 상부와 내측코아와 외측코아 사이를 실링제 20으로 밀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코일 제조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내부코아는 양단이 절취되어 직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크코일 제조방법
KR1020000004546A 2000-01-26 2000-01-26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KR20010076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546A KR20010076869A (ko) 2000-01-26 2000-01-26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4546A KR20010076869A (ko) 2000-01-26 2000-01-26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869A true KR20010076869A (ko) 2001-08-17

Family

ID=19642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4546A KR20010076869A (ko) 2000-01-26 2000-01-26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76869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7908A (ja) * 1988-01-22 1989-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ダクタの製造法
JPH0279004U (ko) * 1988-12-05 1990-06-18
JPH03278505A (ja) * 1990-03-28 1991-12-10 Toko Inc 高周波コイルの製造方法
KR19990069579A (ko) * 1998-02-11 1999-09-06 이길봉 초크코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7908A (ja) * 1988-01-22 1989-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ダクタの製造法
JPH0279004U (ko) * 1988-12-05 1990-06-18
JPH03278505A (ja) * 1990-03-28 1991-12-10 Toko Inc 高周波コイルの製造方法
KR19990069579A (ko) * 1998-02-11 1999-09-06 이길봉 초크코일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7041A (en) Coil component
JPH073808B2 (ja) プリント回路上へのコイル組立て方法
JP2007273757A (ja)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JP4263471B2 (ja) 面実装型コイル部品
JP2005223147A (ja) チップコイル
KR20010076869A (ko) 베이스형태 초크코일 제조방법
JP4406187B2 (ja) 表面実装型コイル装置
KR100259786B1 (ko) 초크코일 제조방법
JPH09102342A (ja) 面実装型同軸コネクタ及び該面実装型同軸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4044566B2 (ja) 表面実装型インダ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3711920B2 (ja) チョークコイルの製造方法
JP2005285901A (ja)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H09162043A (ja) ボビン装置
KR100545528B1 (ko) 칩 인덕터 제조용 프레임, 이 프레임의 제조방법 및 이프레임을 이용한 칩 인덕터 제조방법
JPH05198438A (ja) チップ状インダ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96239A (ja) 低背チップ型コイル素子
JP5168101B2 (ja) スピーカ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たスピーカ
JP2533214B2 (ja) 二捲線継電器
KR200358191Y1 (ko) 칩 인덕터 제조용 프레임
JPH09199343A (ja) 巻線部品
JP2003168608A (ja) チョークコイル
JPS61214404A (ja) 高周波コイル
JPS6325703Y2 (ko)
JPS6223065Y2 (ko)
JPS60216747A (ja) コイル端末の形状とコイリング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